KR20190065777A - 비접촉 자물쇠 및 이를 이용하는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 - Google Patents

비접촉 자물쇠 및 이를 이용하는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777A
KR20190065777A KR1020170165282A KR20170165282A KR20190065777A KR 20190065777 A KR20190065777 A KR 20190065777A KR 1020170165282 A KR1020170165282 A KR 1020170165282A KR 20170165282 A KR20170165282 A KR 20170165282A KR 20190065777 A KR20190065777 A KR 20190065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lock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0779B1 (ko
Inventor
하태양
Original Assignee
(주) 듀얼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듀얼아이 filed Critical (주) 듀얼아이
Priority to KR1020170165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7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65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5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data carrier can be programm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3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passwords or one-time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28One-time or temporary data, i.e. information which is sent for every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e.g. one-time-password, one-time-token or one-time-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dditional secure or trusted devices, e.g. TPM, smartcard, USB or software tok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비접촉 자물쇠 및 이를 이용하는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로서, 상기 비접촉 자물쇠는, 키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 상기 잠금부에 연동되어서 상기 개폐 동작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구동원이 되는 커패시턴스부; 일회성 키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웨이크업 신호의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커패시턴스부를 충전하고, 상기 커패시턴스부의 충전 전력으로 웨이크업하여 상기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와 상기 일회성 키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잠금부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접촉 자물쇠 및 이를 이용하는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CONTACTLESS LOCK AND METHOD FOR LOCKING AND UNLOCKING LOCK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접촉 자물쇠 및 이를 이용하는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휘트니스 열풍과 더불어서 다양한 종류의 보관함들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보관함의 경우 대부분 기계식 자물쇠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계식 자물쇠로는, 수개의 번호 버튼의 입력에 따라 잠금이 해제되는 방식과, 열쇠를 이용하여 잠금이 해제되는 방식이 이용된다.
그런데, 번호 버튼 입력의 경우, 비밀번호 해제가 용이하여 누구나 수분 내지 수십분의 시간동안 여러번 랜덤 입력을 통해 잠금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비밀 번호를 잊어 버리는 경우, 이를 해제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한편, RFID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한 자물쇠가 개발되게 되었다. RFID를 구비한 자물쇠의 경우,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있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자물쇠에 대기만 하면 잠금이 자동 해제되도록 구성되고 있다(한국 등록 특허 10-1757208호).
그러나, 이러한 경우, 자물쇠 자체 내에 구동을 위한 배터리가 탑재되게 되고, 이에 따라 배터리의 교환이 불가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방향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읽기만 가능한 NFC 태그를 가진 스마트폰)의 경우, 이를 이용하여 자물쇠를 잠그고, 해제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와 같은 상시 전원부가 없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비접촉 자물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읽기만 가능한 NFC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즉 읽기만 가능한 스마트폰)으로도 비접촉방식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접촉 자물쇠 및 이를 이용하는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비접촉 자물쇠는, 키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 상기 잠금부에 연동되어서 상기 개폐 동작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구동원이 되는 커패시턴스부; 일회성 키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웨이크업 신호의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커패시턴스부를 충전하고, 상기 커패시턴스부의 충전 전력으로 웨이크업하여 상기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와 상기 일회성 키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잠금부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는, 제 1 인증 필요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 1 인증 필요 정보를 리딩하여 상기 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로 웨이크업한 후에 상기 제 1 필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일회성 키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물쇠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대체 인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대체 인증 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체 인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대체 인증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일회성 키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잠금부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체 인증 신호는, 대체 인증 음성 신호이고, 상기 대체 인증 신호 수신부는, 상기 대체 인증 음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체 인증 신호는, 대체 인증 광신호이고, 상기 대체 인증 신호 수신부는, 상기 대체 인증 광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체 인증 신호는 상기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부를 해제시킨 후, 제 2 필요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비접촉 자물쇠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비접촉 자물쇠에 인접함에 따라 상기 비접촉 자물쇠로부터 제 1 인증 필요 정보를 리딩하여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접촉 자물쇠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접근함에 따라 웨이크업하고, 상기 제 1 인증 필요 정보에 기초하여 일회성 키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자물쇠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비접촉 자물쇠는 상기 단말 일회성 정보와 상기 일회성 키정보를 비교하여 자물쇠의 잠금부를 해제하고, 메모리에 제 2 인증 필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비접촉 자물쇠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비접촉 자물쇠에 인접함에 따라 상기 비접촉 자물쇠로부터 제 1 인증 필요 정보를 리딩하여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접촉 자물쇠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접근함에 따라 웨이크업하고, 상기 제 1 인증 필요 정보에 기초하여 일회성 키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신호 및 광신호 중 하나를 포함하는 대체 인증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비접촉 자물쇠는 상기 대체 인증 신호를 마이크 및 수광 소자 중 어느하나를 수신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상기 일회성 키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비접촉 자물쇠의 잠금부를 해제하고, 메모리에 제 2 인증 필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물쇠에 배터리가 불필요한 구조를 이룰수 있게 되어서 배터리 교체의 경제적 비용 및 관리적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읽기만 가능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도, 음성출력이나 광출력을 이용하여 키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되어서 보안성 높게 자물쇠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자물쇠의 사용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자물쇠와 이에 관련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서버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자물쇠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자물쇠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비접촉 자물쇠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비접촉 자물쇠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자물쇠(1)의 사용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사물함에는 다수의, 본원 발명에 따르는 자물쇠(1)가 설치된다. 이들 자물쇠(1)에는 근거리 통신부(11)이 설치되어서, 이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2)을 자물쇠(1)에 인접시키면 구동부(12)가 잠금부(20)를 해제하게 구동함으로써, 자물쇠(1)가 풀리게 된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부(11)로는 NFC 또는 RFID가 이용될 수 있다. 즉, 자물쇠(1)에는 NFC 태그 또는 RFID 태그가 내장되고, 이 상태에서 스마트폰(2)이 인접하게 되면, 웨이크업신호에 따른 전자기력이 자물쇠(1)에 내장된 커패시턴스부(13)에 저장되고 이것이 구동원이 되어서, 자물쇠(1)의 구동부(12)를 동작시켜 잠금부(20)가 해제되게 된다. 또한, 자물쇠(1)에는 마이크(15)와 광센서(16)가 부착되어서 근거리 통신 모듈(21)이읽기만 가능하거나 또는 장착되지 않은 스마트폰(2)이 키로서 사용되는 경우, 스마트폰(2)의 스피커에서 암호 음성이 출력되거나 플래쉬에서 암호 광출력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마이크(15) 및 광센서(16)는 이를 수신하여 분석한 후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RFID 등의 NFC가 장착되지 아니한 스마트폰(2)에서 NFC등을 대체하는 음성출력 및 광출력을 통해 자물쇠(1)를 잠금/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자물쇠(1)에 배터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높아지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RFID와 같은 NFC가 없는 구조의 스마트폰(2)으로도 자물쇠(1)를 잠금/해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자물쇠(1), 이동 통신 단말기(2: 스마트폰) 그리고, 관리 서버(3)와의 관계를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자물쇠(1)와 이에 관련된 이동 통신 단말기(2) 및 서버(3)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촉 자물쇠(1)는 NFC 모듈을 구비하고 있고, 스마트폰(2)은 자물쇠(1)의 열쇠로서 기능을 한다. 그런데 자물쇠(1)의 열쇠로서 기능하는 스마트폰(2)과 자물쇠(1)를 연동시키기 위해서 관리 서버(3)가 이용된다. 스마트폰(2)에는 필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일회성 인증 번호를 생성하는 인증 생성 알고리즘을 가진 자물쇠앱이 설치되고, 자물쇠에도 동일한 인증 생성 알고리즘에 메모리에 저장된다. 여기서 자물쇠 구동앱에 대한 다운로드, 업데이트 등의 관리는 관리 서버(3)가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메모리(여기서, 메모리는 NFC 태그일 수 있다)에는 필요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이것은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리딩하게 된다. 그러면, 자물쇠(1)와 이동 통신 단말기(2) 모두 동일한 필요 인증 정보 및 인증 생성 알고리즘을 구비하게 되어, 동일한 일회성 키 정보 및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자물쇠는 잠금이 해제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비접촉 자물쇠(1)와 이동 통신 단말기(2)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3 및 도 4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자물쇠(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촉 자물쇠(1)는 본체(10)와 잠금부(2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에는, 그 내부에 이동통신 단말기(2)의 근거리 통신 모듈(21)로부터 일회성 인증 정보 및 필요 인증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11)이 설치되고,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21)이 없거나, 근거리 통신 모듈(21)의 기능이 읽기만 가능한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2)로부터 대체 인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대체 인증 수신부로서 마이크(15) 및 광센서(16)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폰(2)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NFC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면, 사용자가 스마트폰(2)을 비접촉 자물쇠(1)에 인접시키면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가 근거리 통신부(11:NFC 태그)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자물쇠(1)의 잠금이 해제된다. 또한 대체 인증 신호가 대체 인증 수신 신호부인 마이크(15) 또는 광센서(16)를 통해 수신되게 되면, 자물쇠(1)의 잠금이 해제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동작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비접촉 자물쇠(1)와 이동 통신 단말기(2)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1)는, 근거리 통신부(11), 구동부(12), 커패시턴스부(13), 메모리부(14), 마이크(15), 광센서(16), 및 제어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근거리 통신부(11)는 키역할을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2)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부분이다. 근거리 통신부(11)로는 NFC, 블루투스, 지그비, RFID 등 다양한 방식의 근거리 통신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근거리 통신부(11)로서 NFC 태그가 활용되는 예를 설명하며, 여기서 NFC 태그는 통신부로서의 기능과 더불어서 소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로서의 기능도 구비한다.
구동부(12)는, 제어부(17)의 제어 명령에 따라 잠금부(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동부(12)는 제어부(17)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잠금부(20)의 모터를 동작시킨다.
커패시턴스부(13)는, 근거리 통신부(11)로부터 수신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2)의 근거리 통신 신호(웨이크업 신호)의 전자기력에 의해 충전되는 구성요소로서, 구동원이 되는 기능을 한다.
메모리부(14)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특히 키정보 및 필요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키정보는 근거리 통신부(11)를 통해 입력되는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정보이고, 또한 필요 인증 정보는 상기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와 상기 키정보를 생성하는 데 이용되는 일회성 인증 코드이다.
광센서(16)는, 이동 통신 단말기(2)의 플래쉬부(미도시)에서 발생되는 대체 인증 광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이 대체 인증 광신호는 대체 인증 광 패턴신호로서, 제어부(17)는 대체 인증 광패턴 신호를 광센서(16)를 통해 수신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단말 일회성 인증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상기 키정보와 비교하여 자물쇠(1)의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여기서 광센서(16)는 포토 커플러와 같은 수광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로부터의 웨이크업 신호의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커패시턴스부(13)를 충전하고, 상기 커패시턴스부(13)의 충전 전력으로 웨이크업하여 상기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와 상기 일회성 키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부(12)의 동작을 제어하여 잠금부(20)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로 웨이크업한 후에 상기 제 1 필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일회성 키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잠금부를 해제시킨 후, 제 2 필요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2)는 비접촉 자물쇠(1)의 키역할을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2)는, 근거리 통신 모듈(21), 이동 통신 모듈(22), 메모리 모듈(23), 디스플레이 모듈(24), 제어 모듈(25)을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21)은 자물쇠(1)의 근거리통신부에 웨이크업 신호와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웨이크업 신호는 자물쇠(1)의 제어부(17)를 활성화시키면서, 커패시턴스부(13)를 충전시키는 기능을 하며,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는 자물쇠에서 키정보와 매칭되게 된다.
이동 통신 모듈(22)은 외부 서버(3)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외부 서버는 관리 서버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2)는 외부 서버(3)로부터 인증 생성 알고리즘을 구비한 자물쇠 구동앱을 수신한다.
메모리 모듈(23)은 각종 프로그램 및 자물쇠 구동앱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또한, 필요 인증 정보 및 키정보를 잠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4)는 각종 GUI 가 표시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패스워드 생성창이 디스플레이 모듈(24)에 표시되게 되고, 여기에 입력되는 비밀 번호가 자물쇠(1)로부터 필요 인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패스워드로 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동 통신 단말기(2)는, 대체 인증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플래쉬와 음성출력수단(스피커)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 모듈(25)은, 메모리 모듈(23)에 저장되어 있는 자물쇠 구동앱을 구동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을 통해 상기 비접촉 자물쇠(1)에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자물쇠(1)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25)은, 상기 비접촉 자물쇠 구동앱을 구동함에 따라 생성되는 패스워드 생성창을 디스플레이 모듈(24)에 표시한 후, 이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필요 인증 번호를 최초로 수신하는데 쓰이는 패스워드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25)은, 상기 이동 통신 모듈(22)을 통해 외부 서버(3)와 연결되어서, 상기 자물쇠 구동앱의 다운로드 및 업데이트 등이 진행되게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비접촉 자물쇠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비접촉 자물쇠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 1 실시예에서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NFC 모듈(근거리 통신부)를 구비하고, 또한 NFC 모듈이 양방향 송수신 가능한 장치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이동 통신 단말기는 비접촉 자물쇠에 접근한다(S21). 그 후,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되면 웨이크업 신호를 자물쇠에 전송함괴 더불어서 자물쇠의 NFC 태그에 있는 태그 정보(제 1 필요 인증 정보)를 리딩한다(S22,S11). 제 1 필요 인증 정보를 획득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를 이용하여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볼르 생성하고, 이를 자물쇠로 전송한다(S23,S24).
한편, 비접촉 자물쇠는 웨이크업신호에 따라 구동되어서, 기저장되어 있는 제 1 필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일회성 키정보를 생성한다(S12). 자물쇠의 제어부는 이 일회성 키정보와,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이들이 매칭되는지를 확인한다(S13). 매칭이 되면, 자물쇠의 제어부는 구동부를 동작시켜 자물쇠의 잠금부를 해제할 뿐 아니라 다음 잠금해제를 위하여 제 2 필요 인증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NFC 태그에 저장하게 된다(S14,S15). 이에 따라, 사용자가 비접촉 자물쇠를 잠근 후, 다시 열기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비접촉 자물쇠에 접근하게 되면, 제 1 필요 인증 정보와는 상이한 제 2 필요 인증 정보로 자물쇠의 잠금부를 해제하게 되므로, 자물쇠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읽기만 가능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비접촉 자물쇠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NFC 태그를 읽을 수 있으나, 자물쇠의 NFC 태그로는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 장치이다. 도 5에서 설명한 S11,S12, S13, S14, S15 및 S21, S22, S23은 제 2 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이용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S23 단계 후, 즉, 이동 통신 단말기가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생성한 후, 단말 일회성 인증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대체 인증 신호를 생성한다(S25). 여기서 대체 인증 신호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대체 인증 음성 신호 또는 플래쉬를 통해 출력되는 대체 인증 광신호일 수 있다. 이 대체 인증 신호는 자물쇠의 마이크 또는 광센서를 통해 자물쇠가 수신하게 된다(S26). 그러면 자물쇠에서는, 대체 인증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획득하게 되고, 그 다음 S13 단계 이후를 진행하게 된다(S16).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 NFC 태그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스마트폰(이동 통신 단말기)로도 소리 또는 빛으로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전송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자물쇠의 잠금이 해제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물쇠에 배터리가 불필요한 구조를 이룰수 있게 되어서 배터리 교체의 경제적 비용 및 관리적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 모듈이 설치되지 아니한 스마트폰도, 음성출력이나 광출력을 이용하여 자물쇠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비접촉 자물쇠
11 : 근거리 통신부
12 : 구동부
13 : 커패시턴스부
14 : 메모리부
15 : 마이크
16 : 광센서
17 : 제어부
2 :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21 : 근거리 통신 모듈
22 : 이동 통신 모듈
23 : 메모리 모듈
24 : 디스플레이모듈
25 : 제어 모듈
3 : 서버

Claims (10)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비접촉 자물쇠로서,
    키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
    상기 잠금부에 연동되어서 상기 개폐 동작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구동원이 되는 커패시턴스부;
    일회성 키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웨이크업 신호의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커패시턴스부를 충전하고, 상기 커패시턴스부의 충전 전력으로 웨이크업하여 상기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와 상기 일회성 키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잠금부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접촉 자물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제 1 인증 필요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 1 인증 필요 정보를 리딩하여 상기 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로 웨이크업한 후에 상기 제 1 필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일회성 키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비접촉 자물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대체 인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대체 인증 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체 인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대체 인증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일회성 키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잠금부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접촉 자물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인증 신호는, 대체 인증 음성 신호이고,
    상기 대체 인증 신호 수신부는, 상기 대체 인증 음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하는, 비접촉 자물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인증 신호는, 대체 인증 광신호이고,
    상기 대체 인증 신호 수신부는, 상기 대체 인증 광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광센서를 포함하는, 비접촉 자물쇠.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인증 신호는 상기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비접촉 자물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RF 태그 및 NFC 태그 중 하나를 포함하는, 비접촉 자물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부를 해제시킨 후, 제 2 필요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비접촉 자물쇠.
  9. 비접촉 자물쇠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비접촉 자물쇠에 인접함에 따라 상기 비접촉 자물쇠로부터 제 1 인증 필요 정보를 리딩하여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접촉 자물쇠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접근함에 따라 웨이크업하고, 상기 제 1 인증 필요 정보에 기초하여 일회성 키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상기 비접촉 자물쇠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비접촉 자물쇠는 상기 단말 일회성 정보와 상기 일회성 키정보를 비교하여 자물쇠의 잠금부를 해제하고, 메모리에 제 2 인증 필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접촉 자물쇠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
  10. 비접촉 자물쇠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비접촉 자물쇠에 인접함에 따라 상기 비접촉 자물쇠로부터 제 1 인증 필요 정보를 리딩하여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접촉 자물쇠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접근함에 따라 웨이크업하고, 상기 제 1 인증 필요 정보에 기초하여 일회성 키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말 일회성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신호 및 광신호 중 하나를 포함하는 대체 인증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비접촉 자물쇠는 상기 대체 인증 신호를 마이크 및 수광 소자 중 어느하나를 수신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상기 일회성 키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비접촉 자물쇠의 잠금부를 해제하고, 메모리에 제 2 인증 필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접촉 자물쇠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
KR1020170165282A 2017-12-04 2017-12-04 비접촉 자물쇠 및 이를 이용하는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 KR102040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282A KR102040779B1 (ko) 2017-12-04 2017-12-04 비접촉 자물쇠 및 이를 이용하는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282A KR102040779B1 (ko) 2017-12-04 2017-12-04 비접촉 자물쇠 및 이를 이용하는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777A true KR20190065777A (ko) 2019-06-12
KR102040779B1 KR102040779B1 (ko) 2019-11-05

Family

ID=6684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282A KR102040779B1 (ko) 2017-12-04 2017-12-04 비접촉 자물쇠 및 이를 이용하는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7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1951130A1 (en) * 2019-10-03 2021-04-04 Swedlock Ab Electromechanical lock assembly
CN116543484A (zh) * 2023-06-14 2023-08-04 广东维信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保密柜的双向校检防破译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688A (ko) * 2011-11-11 2014-10-10 이록 오와이 전기기계식 잠금장치
KR20170050501A (ko) * 2015-10-30 2017-05-11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688A (ko) * 2011-11-11 2014-10-10 이록 오와이 전기기계식 잠금장치
KR20170050501A (ko) * 2015-10-30 2017-05-11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1951130A1 (en) * 2019-10-03 2021-04-04 Swedlock Ab Electromechanical lock assembly
CN116543484A (zh) * 2023-06-14 2023-08-04 广东维信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保密柜的双向校检防破译系统
CN116543484B (zh) * 2023-06-14 2023-12-22 广东维信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保密柜的双向校检防破译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779B1 (ko) 201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4714B2 (en) External power supply system for a lock comprising NFC-type contactless communication means
US114237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electronic lockers
US9355512B2 (en) Closing unit, clo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cking and/or locking a lock
ES2539535T3 (es) Cerradura electromecánica
EP2804153B1 (en) Electronic lock, lock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lock
CN108475450B (zh) 近场通信标签
EP2919202B1 (en) RFID powered lock device
CN110944883B (zh) 用于车辆的访问设备
JP6303415B2 (ja) 電子錠
KR100869888B1 (ko) 세대현관 출입제어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세대현관 자동출입관리 시스템
US9984523B1 (en) Control system for lock devices
KR101866375B1 (ko) 근접식 출입통제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068897B1 (ko) 원격제어를 통한 보관함 관리시스템
KR20190065777A (ko) 비접촉 자물쇠 및 이를 이용하는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
Patil et al. Automatic door lock system using pin on android phone
KR20160109887A (ko) 모바일 연동 엔에프씨 자물쇠 및 이의 오픈 방법
JP5785013B2 (ja) ロックシステム
TWM505524U (zh) 智慧鎖控制系統、開鎖裝置及電子鎖
CN204940985U (zh) 光子车位锁及光子车位锁系统
TW202036383A (zh) 權限控管系統
JP5262431B2 (ja) 認証システム
KR100634567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30021240A (ko) 사이버 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JP6817581B2 (ja) 電気錠制御システム、電気錠システム、電気錠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97377A (ko) 전자카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