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501A -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501A
KR20170050501A KR1020150152107A KR20150152107A KR20170050501A KR 20170050501 A KR20170050501 A KR 20170050501A KR 1020150152107 A KR1020150152107 A KR 1020150152107A KR 20150152107 A KR20150152107 A KR 20150152107A KR 20170050501 A KR20170050501 A KR 20170050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application
hardware
key value
pass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075B1 (ko
Inventor
이호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2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0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a) 도어락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를 인식하여 연동하는 단계, (b) 도어락이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한 키(Key)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c) 도어락이 상기 수신한 키(Key)값을 자신의 비밀번호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도어락의 비밀번호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기존 도어락의 번거로운 비밀번호 설정 과정이 생략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도어락에 접근한 것 만으로 인증이 되어 도어락이 해제되므로, 비밀번호를 일일이 입력하거나 지문을 인식시킬 필요 없이 손쉽게 도어락을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METHOD AND APPLICATION FOR OPENING SMART DOOR-LOCK}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보유한 디바이스를 통해 자동으로 도어락을 해제할 수 있는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란 말 그대로 인간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착용 부위에 따라 글래스(Glasses), 워치(Watch), 팔찌, 신발, 반지, 벨트, 밴드(Band), 목걸이, 헤드셋(Headset), 의류 등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현재 빠른 보급화 단계에 있으며, 그 중에서 인간의 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됨과 동시에 착용이 용이한 웨어러블 글래스, 웨어러블 워치 그리고 웨어러블 밴드가 가장 많은 제품군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말로 스마트(Smart) 디바이스라고도 한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필요하지만, 일단 구동이 개시되면 그 이후부터는 자동으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워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자신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싶다면 사용자가 심박수 측정 입력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웨어러블 워치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게 되며, 측정한 심박수를 기초로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필요하지 않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도 많이 출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밴드의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없더라도 사용자의 심박수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앞으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필요하지 않는 방향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사용자의 입력이 필요 없는 만큼, 디바이스 구동의 편의성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추가 정보의 근원은 사용자로부터 측정한 정보들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박수, 혈압, 심리상태, 체중, 체온, 호흡량, 땀의 성분비, 도보 수, 제스처, 관심사, 현재위치 등과 같은 정보들이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Sensor)를 필수적으로 실장해야 하며, 실장되는 센서의 종류가 많을수록 사용자로부터 많은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심박수 측정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도보 수 측정 센서는 필수적으로 실장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제한된 디바이스 내부의 공간에 다양한 센서를 실장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실장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측정한 이후, 이를 기초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하여 혈압이 지나치게 높다면 혈압을 적정 수준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관심사에 관련된 근처 매장이나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정보의 제공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각기 다른 사용자에게 필요한 모든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최근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함께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일종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는바,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기능을 통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혈압을 적정 수준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약에 대한 정보나 사용자의 관심사에 관련된 근처 매장이나 상품들에 대한 정보의 제공 모두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될 때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추가 정보는 다양해질 수밖에 없으며,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개발과 함께 앞으로 나아가는 동반자로 볼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뿐만 아니라 다른 사물들과 연동하여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과 연동하여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으며, 텔레비전의 채널 변경, 전원의 ON/OFF 등과 같은 제어동작까지 가능하다. 이렇게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할 수 있는 다른 사물들은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면 그 종류의 제한이 없는바, 현관이나 방문에 설치되는 도어락(Door-Lock)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연동을 생각해볼 수 있다.
종래의 도어락은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 설정한 비밀번호를 사용자가 일일이 입력하거나 지문 등을 인식시켜 해제해야만 했던바, 비밀번호를 잊어버리거나 인식해야 하는 손가락 지문에 이상이 생긴 경우 도어락의 해제가 불가능하여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비교적 큰 소리까지 나는바, 늦은 밤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 자고 있던 가족들이 깨버리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5288호(2014.12.23)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도어락의 비밀번호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일일이 입력하거나 지문을 인식시키지 않고 손쉽게 해제할 수 있는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a) 도어락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를 인식하여 연동하는 단계, (b) 도어락이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한 키(Key)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c) 도어락이 상기 수신한 키(Key)값을 자신의 비밀번호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는,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의 키(Key)값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디바이스 고유의 ID와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인증 값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생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비콘(Beac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도어락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를 보유한 사용자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a') 도어락이 주변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b') 하드웨어가 주변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c') 하드웨어가 주변에 존재한다면, 상기 하드웨어로부터 하드웨어 ID를 전송 받는 단계, (d') 상기 전송 받은 하드웨어 ID와 자신이 설치된 하드웨어 ID를 비교하는 단계 및 (e') 상기 비교결과, 전송 받은 하드웨어 ID와 자신이 설치된 하드웨어 ID가 동일하다면, 상기 하드웨어 ID와 자신의 인증 값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키(Key)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단, 여기서 하드웨어는 디바이스, 매체는 디바이스의 메모리부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하드웨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비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 이후에, (f') 상기 생성한 키(Key) 값을 상기 도어락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 이후에, (g') 상기 생성한 키(Key) 값을 사용자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도어락의 비밀번호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기존 도어락의 번거로운 비밀번호 설정 과정이 생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도어락에 접근한 것 만으로 인증이 되어 도어락이 해제되므로, 비밀번호를 일일이 입력하거나 지문을 인식시킬 필요 없이 손쉽게 도어락을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사용자가 종래의 도어락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가 종래의 도어락에 지문을 인식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가 착용한 스마트 워치와 도어락이 연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어락과 연동된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애플리케이션의 인증 값 전송 요청에 의해 중앙서버가 인증 값을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가 보유한 디바이스가 도어락에 접근함에 따라 도어락이 자동으로 해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 키 값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사용자가 착용한 스마트 워치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으며,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기존의 도어락의 문제점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며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사용자가 기존의 도어락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도어락이 도 1과 같은 비밀번호 입력 방식인바, 비밀번호 입력방식 도어락은 치명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비밀번호 설정 방식이 지나치게 복잡하다. 현관에 비밀번호 입력방식 도어락이 설치된 경우, 사용자가 변경되어 비밀번호를 새롭게 설정하거나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잊어버린 경우 번거로운 리셋(Re-Set) 과정과 비밀번호 재설정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도어락의 경우 보유하고 다니는 사물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설명서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새로운 사용자는 비밀번호 리셋 과정과 재설정 과정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므로 불편함을 겪을 수밖에 없다. 아울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비교적 큰 소리가 발생하는바, 늦은 밤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때문에 자고 있던 가족들이 깨버리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입력하는 번호에 따라 발생하는 소리가 어느 정도 정해져 있으므로, 소리를 듣고 비밀번호 유추가 가능하다. 이는 보안이 가장 중요한 도어락에 있어서 매우 치명적인 문제점이다.
도 2는 사용자가 기존의 도어락에 지문을 인식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비밀번호 입력방식과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인바, 이 역시 치명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보안이 가장 중요한 도어락에 지문인식 방식을 채택한 것은 전세계의 모든 사람이 보유하고 있는 지문이 상이하기 때문이며, 지문을 일종의 비밀번호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비밀번호 입력방식처럼 비밀번호의 유추가 가능하지는 않으나 지문에 이상이 생긴 경우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부인 경우 지문을 인식시키는 손가락에 습진이 생겨 일부 지문이 흐릿해제거나 끊겨버리면 지문 인식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지문을 인식시키는 손가락에 상처가 생겨 반창고, 붕대 등과 같은 보호수단을 부착한 경우 역시 지문 인식이 불가능해진다. 물론 이러한 경우 다른 손가락의 지문을 등록할 수 있으나, 기존에 등록된 지문을 삭제하고 새로운 손가락의 지문을 등록하는 과정은 매우 번거롭다.
이렇게 기존 비밀번호 입력방식 및 지문인식 방식의 도어락은 다양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도어락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새로운 비밀번호의 설정 및 기존 비밀번호의 변경이 간편해야 하며,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소리가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비밀번호의 유추가 불가능해야 한다. 아울러, 지문에 이상이 생긴 경우라 할지라도 문제없이 도어락의 해제가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는바, 이하 제1 실시 예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단계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일부 단계가 수정되거나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도어락(10)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20)이 설치된 디바이스(30)를 인식하여 연동(Pairing)한다(S210). 여기서 도어락(10)은 기존 현관에 설치된 도어락(10)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전용으로 제작된 도어락(10)일 수도 있으나, 어느 경우에나 디바이스(30)와 연동 가능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어락(10)은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구비하여 디바이스(30)와 연동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모듈뿐만 아니라 비접촉 근거리 통신 모듈(Near Frequency Communication) 등과 같이 다양한 공지의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디바이스(30)와 연동될 수 있다. 한편, 도어락(10)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비콘(Beacon)을 포함할 수도 있는바, 비콘의 경우 블루투스 모듈에 비하여 인식 거리가 넓고, 보안에 강한 장점이 있으므로 금융기관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바, 도어락(10)의 경우에도 안성맞춤인 통신 모듈이다. 한편, 디바이스(30)와의 연동은 보안이 최우선시되는 도어락(20)의 특성상 근거리 통신 모듈만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진실된 사용자라는 확인이 가능하다는 전제 하에 원거리 통신 모듈과 연동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자녀를 집에 혼자 두고 외출한 부모님 소유의 디바이스(30)와 원거리 연동이 가능하다.
디바이스(30)는 상기 설명한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디바이스(30)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PDA, PDP 등과 같이 현대인들이 일반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디바이스(30)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디바이스(30)는 옷이나 가방 속에 휴대하고 다니는 것이 일반적인바, 도어락(10)과 연동을 위해 옷이나 가방으로부터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도어락(10)과 연동하는 디바이스(3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옷이나 가방으로부터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밴드 등과 같은 디바이스(30)를 들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디바이스(30) 자체를 항상 신체에 착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락(10)과의 연동을 위해 별도의 동작을 취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역시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착용한 스마트 워치와 도어락(10)이 연동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30)에는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일종의 프로그램과 같은 것으로써, 애플리케이션(20) 제작자에 의해 구현되어 온라인 마켓(Market) 등에서 디바이스(30)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자가 애플리케이션(20)을 구현하여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앱스토어 등에 업로드하면, 사용자는 디바이스(30)를 통해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20)을 다운로드 받아 디바이스(30)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을 디바이스(30)를 통해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배경기술과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20)의 설치가 필수적인 것은 아닐 수도 있는바, 예를 들어, 디바이스(30) 자체가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의 실시를 기본 기능으로 구현한다면 애플리케이션(20)의 설치가 필요 없을 수 있다. 하지만 정해진 하드웨어의 성능과 용량의 한계성, 그리고 나날이 새롭게 출시되는 디바이스(30)에 기본 기능으로 구현하는 것은 현실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는바, 애플리케이션(20)의 형태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다운로드 받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어락(10)이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된 디바이스(30)를 인식하여 연동하는 단계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도어락(10)이 설치된 현관 앞에서 디바이스(3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20)을 구동시키며, 애플리케이션(20)의 구동과 동시에 기존에 OFF되어 있던 통신 모듈이 ON될 수 있다. 물론 기존에 애플리케이션(20)이 디바이스(30)의 백그라운드에서 구동되고 있었다면 별도의 구동은 필요 없으며,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을 디바이스(30)의 기본 기능으로 구현하고 있는 경우 역시 별도의 구동이 필요 없다. 이후, 디바이스(30)의 통신 모듈이 ON되면 도어락(10)은 주변에 있는 디바이스(30)를 인식할 수 있으며, 두 기기가 서로 연동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어락(10)과 연동된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어락(10)이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된 디바이스(30)를 인식하여 연동되었다면, 도어락(10)은 디바이스(3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20)을 통해 생성한 키(Key)값을 수신한다(S220). 여기서 키 값은 도어락(10)을 해제할 수 있는 일종의 비밀번호로 볼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20)이 자제적으로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20)이 디바이스 고유의 ID와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20)의 인증 값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생성하는바, 여기서 디바이스 ID는 디바이스 마다 부여된 고유한 ID로써, 하나의 디바이스는 하나의 디바이스 ID를 가지며, 동일한 디바이스 ID를 갖는 복수의 디바이스는 존재할 수 없다. 따라서 디바이스 ID를 통해 키 값을 생성하면 보안상의 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20)은 디바이스(30) ID와 더불어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까지 이용하여 키 값을 생성하는바,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은 일종의 OTP(One Time Password) 코드와 같은 개념으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20)은 중앙서버(40)에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 전송 요청을 하고, 중앙서버(40)는 이러한 요청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을 생성해 디바이스(30)에 전송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20)의 인증 값 전송 요청에 의해 중앙서버(40)가 인증 값을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디바이스(30)에 전송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단계로 이루어진 키 값 생성 과정을 거쳐 유출 염려가 없는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키 값은 애플리케이션(20)이 자체적으로 저장하여 이후의 도어락(10) 해제에 사용된다. 또한, 키 값을 저장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아 키 값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할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20)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기재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S210 단계에서 도어락(10)과 디바이스(30)가 연동되었으므로, 키 값의 송신은 연동을 구현한 통신 모듈을 통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어락(10)과 디바이스(30)가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연동되어 있다면,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키 값을 수신하며, 도어락(10)과 디바이스(30)가 비콘을 통해 연동되어 있다면, 비콘의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키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반드시 연동을 구현한 통신 모듈을 통해 키 값을 송/수신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 구비한 통신 모듈을 통해서도 키 값을 송/수신할 수 있으나, 통신 모듈을 별도로 구동시켜야 하는 만큼 전력 소비 역시 그만큼 증가할 것이므로, 연동을 구현한 통신 모듈을 통해 키 값을 송/수신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락(10)이 키 값을 수신하였다면, 수신한 키 값을 도어락(10) 자신의 비밀번호로 저장한다(S230). 여기서 비밀번호의 저장은 도어락(10)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 자체에 저장될 수 있고, 별도의 메모리부(미도시) 등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최초 비밀번호가 간편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저장된 비밀번호는 이후 도어락(10)의 해제에 이용되고, 비밀번호의 저장은 디바이스(30)의 등록과정으로 볼 수 있다. 비밀번호는 애플리케이션(20)이 생성한 키 값인바, 디바이스 고유의 ID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어락(10)은 비밀번호를 저장함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보유한 디바이스에 의한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경우 단순히 비밀번호 자체만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자가 아버지라는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도어락(10)이 포함하는 액정 등과 같은 입력수단(미도시)을 통해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입력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설명한 애플리케이션(20)이 키 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에서 디바이스(30)의 입력수단(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기 입력하여 함께 저장해 놓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키 값에 사용자 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으므로 도어락(10)이 키 값을 수신하면 사용자 정보 역시 함께 수신하게 되는바, 도어락(10)을 통한 사용자 정보의 입력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한편, 비밀번호의 저장은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아버지가 보유한 디바이스에 의한 비밀번호와 아들이 보유한 디바이스에 의한 비밀번호가 별개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아버지가 보유한 디바이스와 아들이 보유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ID가 상이할 것이며, 중앙서버(40)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인증 값 역시 상이할 것이므로 키 값 자체가 상이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상이한 키 값이 동시에 존재한다고 하여 하나의 키 값만을 도어락(10)의 비밀번호로 설정할 수 있다면 다른 사용자는 도어락(10)을 해제하기 위해 타인의 디바이스(30)를 보유하고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진실한 사용자라는 전제 하에 도어락(10)의 해제가 가능한 비밀번호는 복수 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보유한 디바이스에 의한 비밀번호 12XY3-AB와 아들이 보유한 디바이스에 의한 번호 56AB7-CD가 공존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둘은 진실한 사용자이며, 도어락(10)을 해제시킬 권한을 가졌기 때문이다. 사용자 정보의 경우 각각의 비밀번호가 개별적인 사용자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어락(10)이 수신한 키 값을 자신의 비밀번호로 저장했다면, 이후에는 도어락(10)의 해제에 관한 단계가 수행되며, 도어락(10)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10)를 보유한 사용자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해제된다(S240). 예를 들어, 상기 실시 예에서 아버지가 보유한 디바이스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으며, 아들이 보유한 디바이스가 접근하는 경우 역시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30)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기 생성된 키 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도어락(10) 역시 기 생성된 키 값을 수신하여 비밀번호로 기 저장해두었기 때문에, 디바이스(30)가 도어락(10)에 접근하여 기 생성된 키 값을 도어락(10)에 송신하면 도어락(10)은 이를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현관문을 열기 위해 도어락(10)에 접근하면 아버지가 보유한 디바이스(30)와 도어락(10)이 연동되며, 이후 아버지가 보유한 디바이스(30)는 기 생성하여 저장해둔 키 값인 12XY3-AB를 도어락(10)에 송신하고, 도어락(10)은 수신한 키 값인 12XY3-AB를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아들이 현관문을 열기 위해 도어락(10)에 접근하면 아들이 보유한 디바이스(30)와 도어락(10)이 연동되며, 이후 아들이 보유한 디바이스(30)는 기 생성하여 저장해둔 키 값인 56AB7-CD 를 도어락(10)에 송신하고, 도어락(10)은 수신한 키 값인 56AB7-CD 를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보유한 디바이스(30)가 도어락(10)에 접근함에 따라 도어락(10)이 자동으로 해제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키 값의 송/수신 역시 상기 설명한 연동을 구현한 통신 모듈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 판단은 도어락(10)의 제어부(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에 따라 사용자는 최초 비밀번호를 설정한 이후 도어락(10)을 해제하기 위해 비밀번호를 번거롭게 재차 입력하거나 지문을 인식시킬 필요가 없으며 단순히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된 디바이스(30)를 보유한 상태에서 도어락(10) 근처에 접근하면 된다. 아울러, 도어락(10)의 비밀번호 역시 사용자 자신이 보유한 디바이스(30)의 고유 ID와 중앙서버(40)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인증 값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생성한 것이므로 유출 염려가 없다. 한편, 상기 설명한 S210 내지 S240 단계는 도어락(10)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최초로 생성 및 저장하는 과정이며, 사용자(30)가 디바이스를 분실하는 등 경우에 따라 도어락(10)에 기 저장된 비밀번호를 삭제하고 새로운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는바, 이하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실시 예에서 아버지가 보유한 디바이스(30)에 따른 비밀번호 12XY3-AB가 도어락(10)에 기 저장되어 있다는 전제 하에, 아버지가 디바이스를 분실하여 새로운 디바이스(35)를 구입했다는 상황을 설정하여 도 8과 함께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단계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일부 단계가 수정되거나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도어락(10)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새로운 디바이스(35)를 인식하여 연동한다(S310). 그러나 새로운 디바이스(30)는 도어락(10)에 등록된 디바이스가 아니기 때문에 도어락(10)이 자동으로 해제되지는 않으며, 별도의 등록 과정을 거쳐야 한다. 아울러, 여기서 도어락(10)은 기존 현관에 설치된 도어락(10)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전용으로 제작된 도어락(10)일 수도 있으나, 어느 경우에나 새로운 디바이스(35)와 연동 가능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어락(10)은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구비하여 새로운 디바이스(30)와 연동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모듈뿐만 아니라 비접촉 근거리 통신 모듈(Near Frequency Communication) 등과 같이 다양한 공지의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새로운 디바이스(30)와 연동될 수 있다. 한편, 도어락(10)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비콘(Beacon)을 포함할 수도 있는바, 비콘의 경우 블루투스 모듈에 비하여 인식 거리가 넓고, 보안에 강한 장점이 있으므로 금융기관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바, 도어락(10)의 경우에도 안성맞춤인 통신 모듈이다. 한편, 디바이스(30)와의 연동은 보안이 최우선시되는 도어락(20)의 특성상 근거리 통신 모듈만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진실된 사용자라는 확인이 가능하다는 전제 하에 원거리 통신 모듈과 연동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자녀를 집에 혼자 두고 외출한 부모님 소유의 디바이스(35)와 원거리 연동이 가능하다.
새로운 디바이스(35)는 상기 설명한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디바이스(30)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PDA, PDP 등과 같이 현대인들이 일반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디바이스(30)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디바이스(30)는 옷이나 가방 속에 휴대하고 다니는 것이 일반적인바, 도어락(10)과 연동을 위해 옷이나 가방으로부터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도어락(10)과 연동하는 새로운 디바이스(35)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옷이나 가방으로부터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밴드 등과 같은 디바이스(30)를 들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새로운 디바이스(35) 자체를 항상 신체에 착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락(10)과의 연동을 위해 별도의 동작을 취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역시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새로운 디바이스(35)에는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일종의 프로그램과 같은 것으로써, 애플리케이션(20) 제작자에 의해 구현되어 온라인 마켓(Market) 등에서 새로운 디바이스(35)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자가 애플리케이션(20)을 구현하여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앱스토어 등에 업로드하면, 사용자는 새로운 디바이스(35)를 통해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20)을 다운로드 받아 새로운 디바이스(35)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을 새로운 디바이스(35)를 통해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배경기술과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20)의 설치가 필수적인 것은 아닐 수도 있는바, 예를 들어, 새로운 디바이스(35) 자체가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의 실시를 기본 기능으로 구현한다면 애플리케이션(20)의 설치가 필요 없을 수 있다. 하지만 정해진 하드웨어의 성능과 용량의 한계성, 그리고 나날이 새롭게 출시되는 디바이스(30)에 기본 기능으로 구현하는 것은 현실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는바, 애플리케이션(20)의 형태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다운로드 받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어락(10)이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된 새로운 디바이스(35)를 인식하여 연동하는 단계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도어락(10)이 설치된 현관 앞에서 새로운 디바이스(35)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20)을 구동시키며, 애플리케이션(20)의 구동과 동시에 기존에 OFF되어 있던 통신 모듈이 ON될 수 있다. 물론 기존에 애플리케이션(20)이 새로운 디바이스(35)의 백그라운드에서 구동되고 있었다면 별도의 구동은 필요 없으며,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을 새로운 디바이스(35)의 기본 기능으로 구현하고 있는 경우 역시 별도의 구동이 필요 없다. 이후, 새로운 디바이스(35)의 통신 모듈이 ON되면 도어락(10)은 주변에 있는 새로운 디바이스(35)를 인식할 수 있으며, 두 기기가 서로 연동될 수 있다.
도어락(10)이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된 새로운 디바이스(35)를 인식하여 연동되었다면, 도어락(10)은 새로운 디바이스(35)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20)을 통해 생성한 새로운 키(Key)값을 수신한다(S320). 여기서 키 값은 도어락(10)을 해제할 수 있는 일종의 비밀번호로 볼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20)이 자제적으로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20)이 새로운 디바이스(35) 고유의 ID와 새로운 디바이스(35)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20)의 인증 값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생성하는바, 여기서 디바이스 ID는 디바이스마다 부여된 고유한 ID로써, 하나의 디바이스는 하나의 디바이스 ID를 가지며, 동일한 디바이스 ID를 갖는 복수의 디바이스는 존재할 수 없다. 따라서 디바이스 ID를 통해 키 값을 생성하면 보안상의 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20)은 디바이스 ID와 더불어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까지 이용하여 키 값을 생성하는바,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은 일종의 OTP(One Time Password) 코드와 같은 개념으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20)은 중앙서버(40)에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 전송 요청을 하고, 중앙서버(40)는 이러한 요청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을 생성해 디바이스(3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두 단계로 이루어진 키 값 생성 과정을 거쳐 유출 염려가 없는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키 값은 애플리케이션(20)이 자체적으로 저장하여 이후의 도어락(10) 해제에 사용된다. 또한, 키 값을 저장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아 키 값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보유한 디바이스에 의한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경우 단순히 비밀번호 자체만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자가 아버지라는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을 것이며, 사용자 정보는 키 값과 함께 도어락(10)에 전송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할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20)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기재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S310 단계에서 도어락(10)과 새로운 디바이스(35)가 연동되었으므로, 키 값의 송신은 연동을 구현한 통신 모듈을 통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어락(10)과 새로운 디바이스(35)가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연동되어 있다면,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키 값을 수신하며, 도어락(10)과 새로운 디바이스(35)가 비콘을 통해 연동되어 있다면, 비콘의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키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반드시 연동을 구현한 통신 모듈을 통해 키 값을 송/수신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 구비한 통신 모듈을 통해서도 키 값을 송/수신할 수 있으나, 통신 모듈을 별도로 구동시켜야 하는 만큼 전력 소비 역시 그만큼 증가할 것이므로, 연동을 구현한 통신 모듈을 통해 키 값을 송/수신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에 따르면, 도어락(10)이 키 값을 수신한 이후 이를 자신의 비밀번호로 저장하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의 경우 아버지의 기존 디바이스(30)에 따른 비밀번호가 도어락(10)에 기 저장되어 있으므로 문제가 된다. 동일인이 복수의 비밀번호를 동시에 보유하는 상황이 초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도어락(10)이 키 값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동일한 사용자에 의한 비밀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30). 상기 S320 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20)은 생성한 키 값을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와 함께 도어락(10)에 전송할 수 있다고 설명한바, 새로운 디바이스(35)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 경우 입력한 사용자 정보는 아버지가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 정보가 중복되는바, 도어락(10)은 상기 S330 단계의 확인 결과 새롭게 수신한 키 값에 대한 사용자 정보가 기존 사용자 정보와 중복되는 경우 기존 비밀번호의 삭제 여부를 표시한다(S340). 이 경우 사용자가 기존 비밀번호를 삭제한다면 도어락(10)은 새로운 키 값을 새로운 비밀번호로 저장하며(S350), 삭제하기 않는 다면 새로운 키 값은 비밀번호로 저장되지 못하며,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은 그대로 종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 S330단계의 확인 결과 새롭게 수신한 키 값에 대한 사용자 정보가 기존 사용자 정보와 중복되지 않는다면 새로운 키 값은 새로운 비밀번호로 저장된다.
도어락(10)이 새로운 키 값을 자신의 새로운 비밀번호로 저장했다면, 이후에는 도어락(10)의 해제에 관한 단계가 수행되며, 도어락(10)은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된 새로운 디바이스(35)를 보유한 사용자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해제된다(S360). 예를 들어, 상기 실시 예에서 아버지가 보유한 새로운 디바이스(35)가 도어락(10) 근처에 접근하면 도어락(10)은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새로운 디바이스(35)에는 애플리케이션(20)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키 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도어락(10) 역시 새로운 키 값을 수신하여 새로운 비밀번호 저장해두었기 때문에, 새로운 디바이스(35)가 도어락(10)에 접근하여 키 값을 도어락(10)에 송신하면 도어락(10)은 이를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아버지의 기존 디바이스(30)에 따른 비밀번호는 삭제되었기 때문에, 제3자가 아버지의 기존 디바이스(30)를 습득하여 도어락(10) 근처에 접근하여도 도어락(10)은 해제되지 않을 것인바, 디바이스(30) 분실에 따른 보안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락(10)을 해제하기 위해 번거롭게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지문을 인식시킬 필요가 없으며, 단순히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된 디바이스(30)를 보유한 상태에서 도어락(10) 근처에 접근하면 된다. 아울러, 최초 비밀번호를 설정한 디바이스(30)를 분실하여 새로운 디바이스(35)를 구입한 경우라도 간편하게 새로운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존 비밀번호는 삭제되므로 분실한 디바이스(30)에 따른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없다.
한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된 디바이스(30)와 도어락(10)이 상호 연동하여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가장 핵심적인 단계는 애플리케이션(20)이 키 값을 생성하는 단계인바,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20)이 키 값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단계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일부 단계가 수정되거나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애플리케이션(20)은 도어락(10)이 주변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410). 여기서 도어락(10)이 주변에 존재하는지에 대한 확인은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된 하드웨어의 연동 기능을 통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하드웨어에 포함된 블루투스 모듈이나 비접촉 근거리 통신용 모듈을 통한 무선 통신 기능이 ON되어 있다면 애플리케이션(20)은 이를 통해 도어락(10)이 주변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에 포함된 블루투스 모듈이나 비접촉 근거리 통신용 모듈을 통한 무선 통신 기능이 OFF되어 있다면 애플리케이션(20)은 이를 강제로 ON시켜 도어락(10)이 주변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도어락(10)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비콘(Beacon)을 포함할 수도 있는바, 비콘의 경우 블루투스 모듈에 비하여 인식 거리가 넓고, 보안에 강한 장점이 있으므로 금융기관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바, 도어락(10)의 경우에도 안성맞춤인 통신 모듈이다. 한편, 연동은 보안이 최우선시되는 도어락(10)의 특성상 근거리 통신 모듈만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진실된 사용자라는 확인이 가능하다는 전제 하에 원거리 통신 모듈과 연동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자녀를 집에 혼자 두고 외출한 부모님 소유의 하드웨어와 원거리 연동이 가능하다.
도어락(10)이 주변에 존재하는지 확인했다면, 애플리케이션(20)은 하드웨어가 주변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420). 여기서 하드웨어는 사용자가 보유한 디바이스(30)로써,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된 하드웨어를 의미하는바, 애플리케이션(20)은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되고 하드웨어에 설치될 수밖에 없으므로 S420단계에서 하드웨어는 언제나 확인 가능함으로 판단될 것이다. 따라서 하드웨어 존재 여부의 판단은 애플리케이션(20) 스스로 설치된 하드웨어를 인식하는 형태로 수행될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복수의 하드웨어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별개인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된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폰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경우, 스마트 워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20)의 입장에서 스마트폰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하드웨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PDA, PDP 등과 같이 현대인들이 일반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하드웨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하드웨어는 옷이나 가방 속에 휴대하고 다니는 것이 일반적인바, 도어락(10)과 연동을 위해 옷이나 가방으로부터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도어락(10)과 연동하는 하드웨어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옷이나 가방으로부터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밴드 등과 같은 하드웨어를 들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하드웨어 자체를 항상 신체에 착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락(10)과의 연동을 위해 별도의 동작을 취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410 단계 및 S420단계는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두 단계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S420단계가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20)은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도어락(10)이 주변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애플리케이션(20) 자신이 설치된 하드웨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20) 자신이 설치된 하드웨어를 인식한 후에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도어락(10)이 주변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S410 단계 및 S420단계는 키 값 생성을 위한 준비단계로 볼 수 있다. 도어락(10)과 하드웨어의 존재 여부가 확인되지 않으면 키 값 생성은 아무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하드웨어가 주변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면, 애플리케이션(20)은 하드웨어로부터 하드웨어 ID를 전송 받는다(S430). 여기서 하드웨어 ID는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에서 설명한 디바이스 ID와 동일한 것으로써 하드웨어 마다 부여된 고유한 ID며, 하나의 하드웨어는 하나의 하드웨어 ID를 가지며, 동일한 하드웨어 ID를 갖는 복수의 하드웨어는 존재할 수 없다. 따라서 하드웨어 ID를 통해 키 값을 생성하면 보안상의 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다.
하드웨어 ID의 전송은 하드웨어의 제어부(미도시) 등과 같이 애플리케이션(20)의 설치와 메모리부(미도시)의 용량을 관리하는 구성으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된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폰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경우, 스마트 워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20)의 입장에서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ID를 전송 받을 수 있다.
하드웨어로부터 하드웨어 ID를 전송 받았다면, 전송 받은 하드웨어 ID와 자신이 설치된 하드웨어 ID를 비교한다(S440). 여기서 애플리케이션(20) 자신이 설치된 하드웨어 ID는 온라인 마켓으로부터 하드웨어로 다운로드 받아 설치될 때 애플리케이션 자체에 기록되는 하드웨어에 대한 ID이며,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20)이 어떠한 하드웨어에 설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된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폰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경우, 스마트 워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20)의 입장에서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ID를 전송 받을 수 있으나, 자신이 설치된 하드웨어 ID는 스마트 워치의 ID일 것이므로 하드웨어 ID를 비교하면 동일하지 않을 것이다. 이는 보안이 최우선시 되는 키 값 생성에 관한 것이므로 하나의 하드웨어를 통해 하드웨어 ID의 이용 및 키 값을 생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바, 상기 실시 예의 경우 S440 단계 이후의 단계로 넘어가지 못할 것이나, 사용자가 복수의 하드웨어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도 키 값을 생성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S440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S440단계의 비교결과, 전송 받은 하드웨어 ID와 자신이 설치된 하드웨어 ID가 동일하다면, 하드웨어 ID와 자신의 인증 값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키 값을 생성한다(S450). 여기서 키 값은 도어락(10)을 해제할 수 있는 일종의 비밀번호로 볼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20) 자신의 인증 값은 중앙서버(40)가 생성하여 전송한 값이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은 일종의 OTP 코드와 같은 개념으로 볼 수 있는바, 애플리케이션(20)이 중앙서버(40)에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 전송 요청을 하면, 중앙서버(40)는 이러한 요청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을 생성해 재전송한다. 따라서 중앙서버(40)는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 생성을 위한 알고리즘 또는 프로그램이 기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하드웨어 ID와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을 통해 키 값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양한 방식의 키 값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ID와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에 대해 사칙연산을 수행하거나 일정한 숫자를 더하거나 빼거나 곱하거나 나누는 알고리즘, 그리고 하드웨어 ID와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의 특정 부분을 추출하여 조합하는 알고리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하드웨어 ID가 1234,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이 5678인 경우와, 하드웨어 ID가 ABCD, 애플리케이션 ID가 EFGH인 경우를 예로 들어 키 값 생성 알고리즘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하드웨어 ID 1234, ABCD와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 5678, EFGH는 숫자로 표기된 하드웨어 ID와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의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숫자와 영문자의 조합, 특수문자의 조합 등 여러 가지 형식의 하드웨어 ID와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이 존재할 수 있으며, 자릿수 역시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드웨어 ID가 1234,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이 5678이라면, 키 값 생성 제1 알고리즘을 통해 1234와 5678을 단순 합산하여 6912란 키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키 값 생성 제2 알고리즘을 통해 큰 값에서 작은 값을 뺀 4444란 키 값을 생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키 값 생성 제3 알고리즘을 통해 1234와 5678을 곱한 7006652란 키 값을 생성할 수도 있으며, 키 값 생성 제4 알고리즘을 통해 큰 값에서 작은 값을 나눈 4601(소수점 삭제, 소수점 다섯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란 키 값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키 값 생성 제5 알고리즘을 통해 하드웨어 ID의 앞의 두 자리를 추출하고,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의 뒤의 두 자리를 추출하여 연결시켜 1278이란 키 값을 생성할 수도 있다.
하드웨어 ID가 ABCD,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이 EFGH라면 이를 숫자표시로 1234와 5678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키 값 생성 제1 알고리즘을 통해 ABCD와 EFGH를 단순 합산하여 FGAB란 키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키 값 생성 제2 알고리즘을 통해 큰 값에서 작은 값을 뺀 DDDD란 키 값을 생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키 값 생성 제3 알고리즘을 통해 ABCD와 EFGH를 곱한 GXXFFEB(여기서 X는 0을 의미)란 키 값을 생성할 수도 있으며, 키 값 생성 제4 알고리즘을 통해 큰 값에서 작은 값을 나눈 DFXA(소수점 삭제, 소수점 다섯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 X는 0을 의미)란 키 값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키 값 생성 제5 알고리즘을 통해 하드웨어 ID의 앞의 두 자리를 추출하고, 애플리케이션(20) 인증 값의 뒤의 두 자리를 추출하여 연결시켜 ABGH란 키 값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한 키 값 생성 제1 내지 제5 알고리즘은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실제로 구현하는 경우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단계를 거쳐 키 값을 생성할 수 있으며, 키 값 생성 제1 내지 제5 알고리즘 중 어느 둘 이상을 조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한편, 애플리케이션(20)은 생성한 키 값을 자체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S452), 키 값을 저장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아 키 값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S451). 여기서 사용자 정보란 키 값이 도어락(10)의 비밀번호로 저장되었을 때, 어떠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하며, 사용자 이름, 사용자 나이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사용자 정보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저장의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 키 값 생성 제3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키 값 7006652를 저장하며 사용자 이름을 "홍길동" 또는 "아버지" 등과 같이 저장할 수 있으며, 이후 키 값 7006652는 사용자 정보 홍길동 또는 아버지와 하나로 취급되어 함께 전송된다. 따라서, 생성된 키 값과 사용자 정보는 같은 공간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드웨어에서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되면서 차지한 저장공간 내부의 공간에 저장할 수 있고, 별도의 하드웨어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20)이 1.5GB의 공간을 차지하며 하드웨어에 설치되었다면, 생성된 키 값과 사용자 정보는 1.5GB 내부의 일부 공간에 저장될 수 있으며, 1.5GB와 무관한 하드웨어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 키 값과 하나로 취급되는 사용자 정보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에 유용한바, 동일한 사용자가 설정한 기존 비밀번호를 삭제하고 새로운 비밀번호를 설정함에 있어 사용자 정보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용자 정보의 입력이 항상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따라서 S451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의 입력은 하드웨어의 입력수단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가 스마트 폰이라면 스마트 폰의 키 패드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며, 하드웨어가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밴드라면 각각의 하드웨어가 구비하고 있는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착용한 스마트 워치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애플리케이션(20)은 생성한 키 값을 도어락(10)에 전송한다(S460). 여기서 키 값의 전송은 상기 S410단계에서 연동을 구현한 통신 모듈을 통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어락(10)과 하드웨어가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연동되어 있다면,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키 값을 수신하며, 도어락(10)과 하드웨어가 비콘을 통해 연동되어 있다면, 비콘의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키 값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반드시 연동을 구현한 통신 모듈을 통해 키 값을 전송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 구비한 통신 모듈을 통해서도 키 값을 전송할 수 있으나, 통신 모듈을 별도로 구동시켜야 하는 만큼 전력 소비 역시 그만큼 증가할 것이므로, 연동을 구현한 통신 모듈을 통해 키 값을 전송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S451단계에서 사용자 정보를 키 값과 함께 저장한 경우에는 사용자 정보가 키 값과 함께 도어락(10)에 전송된다.
S460단계 이후에는 도어락(10)이 전송 받은 키 값을 자신의 비밀번호로 저장하는 단계와,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된 하드웨어를 보유한 사용자가 도어락(10)에 접근하면 도어락(10)이 자동으로 해제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도어락(10)이 키 값을 자신의 비밀번호로 저장하는 단계부터 설명하면, 비밀번호의 저장은 도어락(10)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 자체에 저장될 수 있고, 별도의 메모리부(미도시) 등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20)에 의해 생성된 최초 비밀번호가 간편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저장된 비밀번호는 이후 도어락(10)의 해제에 이용되고, 비밀번호의 저장은 하드웨어의 등록과정으로 볼 수 있다. 비밀번호는 애플리케이션(20)이 생성한 키 값인바, 디바이스 고유의 ID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키 값과 사용자 정보가 함께 전송된 경우 도어락(10)은 비밀번호를 저장함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보유한 디바이스에 의한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경우 단순히 비밀번호 자체만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자의 이름이 홍길동이라는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비밀번호의 저장은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아버지가 보유한 디바이스에 의한 비밀번호와 아들이 보유한 디바이스에 의한 비밀번호가 별개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아버지가 보유한 디바이스와 아들이 보유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ID가 상이할 것이며, 중앙서버(40)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인증 값 역시 상이할 것이므로 키 값 자체가 상이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상이한 키 값이 동시에 존재한다고 하여 하나의 키 값만을 도어락(10)의 비밀번호로 설정할 수 있다면 다른 사용자는 도어락(10)을 해제하기 위해 타인의 디바이스(30)를 보유하고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진실한 사용자라는 전제 하에 도어락(10)의 해제가 가능한 비밀번호는 복수 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보유한 디바이스에 의한 비밀번호 FGAB와 아들이 보유한 디바이스에 의한 번호 DDDD가 공존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둘은 진실한 사용자이며, 도어락(10)을 해제시킬 권한을 가졌기 때문이다. 사용자 정보의 경우 각각의 비밀번호가 개별적인 사용자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어락(10)이 전송 받은 키 값을 자신의 비밀번호로 저장했다면, 이후에는 도어락(10)의 해제에 관한 단계가 수행되며, 도어락(10)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하드웨어를 보유한 사용자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해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예에서 아버지가 보유한 하드웨어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으며, 아들이 보유한 하드웨어가 접근하는 경우 역시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드웨어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기 생성된 키 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도어락(10) 역시 기 생성된 키 값을 수신하여 비밀번호로 기 저장해두었기 때문에, 하드웨어가 도어락(10)에 접근하여 기 생성된 키 값을 도어락(10)에 전송하면 도어락(10)은 이를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현관문을 열기 위해 도어락(10)에 접근하면 아버지가 보유한 하드웨어와 도어락(10)이 연동되며, 이후 아버지가 보유한 하드웨어는 기 생성하여 저장해둔 키 값인 FGAB를 도어락(10)에 전송하고, 도어락(10)은 전송 받은 키 값인 FGAB를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아들이 현관문을 열기 위해 도어락(10)에 접근하면 아들이 보유한 하드웨어와 도어락(10)이 연동되며, 이후 아들이 보유한 하드웨어는 기 생성하여 저장해둔 키 값인 DDDD를 도어락(10)에 전송하고, 도어락(10)은 전송 받은 키 값인 DDDD를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키 값의 전송 역시 상기 설명한 연동을 구현한 통신 모듈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 판단은 도어락(10)의 제어부(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20)에 의해 보안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안전한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으며, S410 내지 S460단계가 애플리케이션(20)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디바이스(30)를 변경한다 하여도 애플리케이션(20)만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여 로그인 한다면 변경된 디바이스에서도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 범위를 제한해놓은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들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순차적인 순서에 불과하며, 다른 추가적인 단계들이 제공되거나, 일부 단계가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과 이를 실행하는 구현물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또는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관한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장치"라 함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모두 포함한다.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 등으로 알려진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 또는 선험적,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되는 것은 아니며,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를 들어,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예를 들어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와 DVD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이하, 상기 기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명세서에 기술한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구성들을 구현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스토리지 시스템과 관련된 서버 또는 서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 상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코드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수단을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서버,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 모바일 컴퓨팅 플랫폼, 고정 컴퓨팅 플랫폼 등과 같은 컴퓨팅 플랫폼 중 일부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명령어, 코드 등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한 종류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CD-ROM, DVD, 메모리, 하드 디스크, 플래시 드라이브, RAM, ROM, 캐시 등과 같은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접근(Access)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은 서버, 클라이언트, 게이트웨이, 허브, 라우터 또는 네트워크 하드웨어 상의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장치를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는 파일 서버, 프린트 서버, 도메인 서버, 인터넷 서버, 인트라넷 서버, 호스트 서버, 분산 서버 등과같이 다양한 종류의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서버들은 메모리, 프로세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스토리지 매체, 통신 디바이스, 포트, 클라이언트 그리고 다른 서버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등 역시 서버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디바이스들은 서버와 연관된 계층구조의 일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서버는 클라이언트, 다른 서버, 프린터,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린트 서버, 파일 서버, 통신 서버, 분산 서버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그램의 원격 실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에 연결된 디바이스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의 중앙 프로세서는 상이한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명령어, 코드 등을 디바이스에 제공하여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는 컴퓨팅 디바이스, 서버, 라우터, 허브, 방화벽, 클라이언트, 개인용 컴퓨터, 통신 디바이스, 라우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디바이스와 각각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별도의 모듈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디바이스와 모듈 외에 스토리 플래시 메모리, 버퍼, 스택, RAM, ROM 등과 같은 스토리지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등 역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가 포함하는 디바이스, 모듈, 스토리지 매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실행 및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디바이스 역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의 일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사용자 맞춤형 멤버십 및 쿠폰 정보 제공 방법은 하드웨어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적합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드웨어는 개인용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범용 컴퓨터 디바이스와 기업형 특정 컴퓨터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하며, 컴퓨터 디바이스는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콘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집적 회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조직 등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 코드 등은 판독 가능한 디바이스에 의해 저장 또는 접근될 수 있으며, 여기서 판독 가능한 디바이스는 일정 시간 간격 동안 컴퓨팅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구비하는 컴퓨터 컴포넌트, RAM 또는 ROM과 같은 반도체 스토리지, 광디스크와 같은 영구적인 스토리지, 하드 디스크, 테이프, 드럼 등과 같은 대용량 스토리지, CD 또는 DVD와 같은 광 스토리지, 플래시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페이퍼 테이프, 독립형 RAM 디스크, 컴퓨터로부터 착탈 가능한 대용량 스토리지와 동적 메모리, 정적 메모리, 가변 스토리지, 클라우드와 같은 네트워크 접속형 스토리지 등과 같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명령어와 코드 등은 SQL, dBase 등과 같은 데이터 지향 언어, C, Objective C, C++, 어셈블리 등과 같은 시스템 언어, Java, NET 등과 같은 아키텍처 언어, PHP, Ruby, Perl, Python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언어 등과 같은 언어들을 모두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언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명령어를 프로세서로 제공하는데 기여하는 모든 매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광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매체, 동적 메모리 등과 같은 휘발성 매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축 케이블, 구리 와이어, 광섬유 등과 같은 전송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블록도와 순서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성들은 상기 구성들 사이의 논리적인 경계를 의미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된 구성들과 그 기능들은 독립형 소프트웨어 모듈, 모놀리식 소프트웨어 구조, 코드, 서비스 및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실행되며,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등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그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모든 실시 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과 그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는 하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특정 배열이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단순히 추론되어서는 안된다. 즉, 이상에서 기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 예들이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보유하면서 일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순서도의 경우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도시된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 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실시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도어락
20: 애플리케이션
30: 디바이스
40: 중앙서버

Claims (8)

  1. (a) 도어락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를 인식하여 연동하는 단계;
    (b) 도어락이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한 키(Key)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c) 도어락이 상기 수신한 키(Key)값을 자신의 비밀번호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는,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키(Key)값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디바이스 고유의 ID와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인증 값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생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비콘(Beac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도어락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를 보유한 사용자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해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6.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a') 도어락이 주변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b') 하드웨어가 주변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c') 하드웨어가 주변에 존재한다면, 상기 하드웨어로부터 하드웨어 ID를 전송 받는 단계;
    (d') 상기 전송 받은 하드웨어 ID와 자신이 설치된 하드웨어 ID를 비교하는 단계; 및
    (e') 상기 비교결과, 전송 받은 하드웨어 ID와 자신이 설치된 하드웨어 ID가 동일하다면, 상기 하드웨어 ID와 자신의 인증 값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키(Key)값을 생성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여기서 하드웨어는 디바이스, 매체는 디바이스의 메모리부에 해당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f') 상기 생성한 키(Key) 값을 상기 도어락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g') 상기 생성한 키(Key) 값을 사용자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0150152107A 2015-10-30 2015-10-30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KR101874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107A KR101874075B1 (ko) 2015-10-30 2015-10-30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107A KR101874075B1 (ko) 2015-10-30 2015-10-30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501A true KR20170050501A (ko) 2017-05-11
KR101874075B1 KR101874075B1 (ko) 2018-07-03

Family

ID=5874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107A KR101874075B1 (ko) 2015-10-30 2015-10-30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0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777A (ko) * 2017-12-04 2019-06-12 (주) 듀얼아이 비접촉 자물쇠 및 이를 이용하는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
WO2019160250A1 (ko) * 2018-02-14 2019-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30038923A (ko) *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 동영엠텍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1490B (zh) * 2019-07-12 2022-03-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门把手、门把手控制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KR102291715B1 (ko) 2019-09-27 2021-08-20 (주)디앤써 웨어러블 단말기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1491A (ja) * 2013-03-19 2014-09-29 Miwa Lock Co Ltd ロック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777A (ko) * 2017-12-04 2019-06-12 (주) 듀얼아이 비접촉 자물쇠 및 이를 이용하는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
WO2019160250A1 (ko) * 2018-02-14 2019-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423718B2 (en) 2018-02-14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key
KR20230038923A (ko) *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 동영엠텍 비접촉 비대면 자동출입 IoT 제어용 푸시풀 개폐문락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075B1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075B1 (ko) 스마트 도어락 해제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KR102576809B1 (ko) 결제 수단 운용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56598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6973166B (zh) 一种提供与附件对应的内容的方法及电子装置
KR102530888B1 (ko) 결제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EP2980720B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8376546B (zh) 语音输入方法以及用于支持该方法的电子设备和系统
US20150135284A1 (en) Automatic electronic device adoption with a wearable device or a data-capable watch band
KR102329333B1 (ko)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N105955973B (zh) 用户信息处理方法和支持该方法的电子设备
KR102351042B1 (ko) 전자 장치의 인증 방법 및 장치
CN108474218B (zh) 用于锁装置控制的方法及其电子装置
CN106068640A (zh) 选择性地向可穿戴计算设备重定向通知
JP2017520033A (ja) ウェアラブルアイデンティティマネージャを容易に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6445065A (zh) 用于根据状态进行控制的方法及其电子装置
KR102329258B1 (ko) 보안 모듈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장치
KR20170035294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보안을 제공하는 결제 방법
CN109429102A (zh) 用于显示应用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CN106663018A (zh) 在容器化工作空间环境中修改android应用生命周期以控制其执行的方法
CN108702295A (zh) 基于生物数据进行认证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KR102544488B1 (ko)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125468A (ko) 조건부 액션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80023330A (ko) 위치 인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587726B1 (ko)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579895B1 (ko) 전자장치, 이를 활용한 적외선 센서 기반의 심장 박동 수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