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612A -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612A
KR20190065612A KR1020170164946A KR20170164946A KR20190065612A KR 20190065612 A KR20190065612 A KR 20190065612A KR 1020170164946 A KR1020170164946 A KR 1020170164946A KR 20170164946 A KR20170164946 A KR 20170164946A KR 20190065612 A KR20190065612 A KR 20190065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vertical frame
hole
ballo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0733B1 (ko
Inventor
김부곤
Original Assignee
김부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부곤 filed Critical 김부곤
Priority to KR1020170164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7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65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61G5/08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 A61G5/085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folding up and down, e.g. reducing or expand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wheel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체근력 감소로 활동의 폭이 제한된 노약자를 포함하여 보행 재활운동이 필용한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로 휠체어 대신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파지부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여 착석부의 후방측에서 안전하게 기립한 후 보조보행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HELP STANDING AND SITTING MOVING IF USER}
본 발명은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체근력 감소로 활동의 폭이 제한된 노약자를 포함하여 보행 재활운동이 필요한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로 휠체어 대신 사용하거나 파지부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여 착석부의 후방측에서 안전하게 기립한 후 보조보행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령자와 환자 및 장애인 중에는 다리가 불편하거나 몸이 불편하여 짧은 거리도 혼자서 이동할 수 없는 이들이 있는데, 이들은 가까운 거리를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도 항상 다른 사람에게 의지한 상태로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양팔로 지지한 상태로 자신의 힘으로 보행할 수 있는 목발 또는 보행보조기를 사용하거나, 휠체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목발은 사용 시 겨드랑이에 하중이 집중되어 사용자의 불편이 클 뿐 아니라 이동을 위해 장시간 사용에 무리가 있고, 보행보조기는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고 재활을 돕는 유용한 장치이기는 하나, 장거리 이동수단으로서의 가치는 매우 적은 편이다.
그리고, 종래의 보행보조기는 좁은 장소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고, 사용자들의 신장은 다양하기 마련인데, 다양한 사용자들의 신장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휠체어는 수동의 경우 보호자 없이 고령자와 환자 및 장애인이 스스로 이동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은 문제로 인해 병원이나 요양원 등을 제외한 것에서는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다.
그리고, 경사로나 좁은 장소를 비롯하여 다수의 사람이 다니는 것, 화장실 등에서는 사용이 더욱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과격한 활동을 인해 다리, 무릎, 발목, 발 등이 약한 고령자와 환자의 경우에는 일정 기간 해당 부분에 하중이 인가되는 것을 막기 위해 휠체어의 사용이 요구되고, 치료가 마무리될 즈음에 재활운동을 통해 약해진 근육에 힘을 인가하는 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목발이나 보행보조기의 사용이 요구된다.
하지만, 휠체어와 보행보조기 별도의 제품만 출시됨에 따라 사용자가 이를 동시에 갖고 이동하는 것을 비롯하여 휠체어를 보행보조기로 사용하거나, 보행보조기를 휠체어 용도고 사용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여, 이동시 둘 중 하나는 포기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공개특허 제10-2014-0018020호 등록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40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체근력 감소로 활동의 폭이 제한된 노약자를 포함하여 보행 재활운동이 필요한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로 휠체어 대신 사용하거나 파지부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여 착석부의 후방측에서 안전하게 기립한 후 보조보행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전방바퀴와 후방바퀴가 장착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파지부;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착석부 및 상기 전방바퀴 및 후방바퀴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 파지부 또는 착석부 중 어느 하나에 내설되는 제1GPS;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고 속도조절 버튼 및 전후진 버튼이 구비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핸들; 구동 시 손의 터치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손잡이에 내설되는 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은 하부에 형성된 회전축, 회전축의 상부에 좌우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회전고정관통구, 상기 회전고정관통구의 상부에 좌우측을 관통하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높낮이조절관통구를 포함하는 제1수직프레임;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내부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고 좌우측을 관통하며 수직방향으로 다수로 형성되는 제1높낮이조절관통구를 포함하는 제2수직프레임; 제1수직프레임이 관통하며 상기 회전축이 고정되는 측면, 및 상기 제1회전고정관통구의 회전반경을 따라 형성되는 제2회전고정관통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는 각도조절부재; 및 제1높낮이조절관통구와 제2높낮이조절관통구에 삽입되는 높낮이조절핀; 제1회전고정관통구와 제2회전고정관통구에 삽입되는 회전고정조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동식 보행보조장치는 상기 전동식 보행보조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론호출신호발생부, 및 상기 드론호출신호발생부에서 발생한 신호를 수신하는 드론호출신호수신부를 내부에 포함하여 상기 보행보조장치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드론을 포함하고, 상기 드론은, 육각 형상의 드론본체(100); 상기 드론본체(100)의 하면에 일체로 구비된 하부바디(BD); 상기 하부바디(BD)의 하면에 설치된 카메라(120) 및 스피커(SPK); 상기 드론본체(100)를 지면에서 일정높이 위치되게 지지하는 랜딩기어(110); 상기 드론본체(100)의 둘레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고정암(130); 상기 고정암(13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봉(140); 상기 회동봉(140) 상에 고정되고 로터를 구비한 로터모터(15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바디(BD)의 내부에는 제1,2배터리(BT1,BT2)가 탑재되고; 상기 제1,2배터리(BT1,BT2) 사이에는 컨트롤러(200)가 실장되며; 상기 드론본체(100)의 상면에는 일정깊이 설치홈(102)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0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에는 안착돌기(104)가 돌출되며; 상기 안착돌기(104)에는 구획판(106)이 안착 고정되어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하부공간에는헬륨가스통(160)이 구비되며; 상기 헬륨가스통(160)에는 가스공급관(162)이 연결되고; 상기 가스공급관(162)에는 개폐밸브(164)가 설치되며; 상기 가스공급관(162)의단부는 가스펌프(170)의 입구단에 접속되고; 상기 가스펌프(170)의 출구단에는 벌룬공급관(172)이 연결되며; 구획된 상부공간에는 벌룬(180)이 구비되고; 상기 벌룬(180)의 주입구(182)는 상기 구획판(106) 상에 고정되며; 상기 벌룬공급관(172)의단부는 상기 구획판(106)을 관통하여 상기 벌룬(180)의 주입구(182)에 접속되고; 상기 드론본체(100)의 설치홈(102)을 제외한 하측에는 공간인 중공부(108)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08)에는 와이어모터(190)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모터(190)에는 와이어드럼(192)이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드럼(192)에는 와이어(194)가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드론본체(100)의 상면에는 신축성있는 소재로 된 낙하산커버(196)가 덮여 씌워지며; 상기 설치홈(102)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중공부(108) 상에는 다수의 아이들롤(ROL)이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194)는 각 아이들롤(ROL)을 경유한 채 드론본체(100)의 각 꼭지점 부분에서 드론본체(100)의 각 측면을 관통한 후 낙하산커버(196)를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하여 간이휠체어 대용으로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직립하여 보조보행기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겸비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고 별도로 구입해야하는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전동식 보조보행장치 작동 중 감지센서에 터치가 감지되지 않으면 구동부의 작동이 멈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사용자의 앉은키, 선키 및 허리가 굽은 정도에 따라 적절히 파지부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사용자가 길을 잃었을 경우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와 연동되어 사용되는 드론의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은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보조보행기는 메인프레임(50), 파지부(60), 착석부(70), 구동부(80) 및 제1GPS(9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50)은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전방바퀴(51)와 후방바퀴(52)가 장착되고 상기 전방바퀴(51)는 중앙부분에 1개 또는 양측에 2개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후방바퀴(52)는 한 쌍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바퀴(52)는 상기 전방바퀴(51)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파지부(60)는 상기 메인프레임(50)의 전방측에 위치될 수 있고, 수직프레임(61), 핸들(62), 감지센서(63)가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프레임(61)은 일 실시예로 상기 메인프레임(50)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62)은 상기 수직프레임(61)의 상부에 형성되고 속도조절 버튼 및 전후진 버튼이 구비되는 조작부(62-1)와, 상기 조작부(62-1)의 양측에 위치하는 손잡이(6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단순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팔을 걸 수 있도록 상기 저작부의 양 측에서 좌측은 ‘┎’형상으로 그리고 우측은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63)는 구동 시 손의 터치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손잡이(62-2)에 내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센서(63)는 터치 여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부(80)를 제어하는 것으로, 전동식 보행보조장치의 구동 중 사용자가 손잡이(62-2)에서 손을 놓쳐 감지센서(63)에 터치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전동식 보조보행장치의 구동을 멈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파지부(60)를 이용하여 보행보조장치의 전진, 후진, 좌회전 및 우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렇게 보행보조장치의 전진, 후진, 좌회전 및 우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동력전달수단은 종래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기능 및 감속기능 등도 종래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50)의 후방측에는 착석부(70)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착석부(70)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닿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착석부(70)에는 사용자의 등이 닿을 수 있는 접이식 등받이 또는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가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착석부의 전방측에 메인프레임에 상부에 사용자의 발이 올려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메인프레임이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경우 안전한 발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동식 보조보행장치의 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81)와 구동모터(81)를 작동시키는 베터리(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베터리는 전기충전을 위한 단자(8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80)는 상기 메인프레임(50)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프레임(61)의 전방측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1GPS(90)는 상기 메인프레임(50), 파지부(60) 또는 착석부(70) 중 어느 하나에 내설될 수 있으며, 상기 제1GPS(90)는 보조보행기의 사용자가 길을 잃었을 경우 또는 사용자가 사라졌을 경우에 사용자를 찾기 위해 내설되는 것으로 제1GPS(90)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할 것이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60)에 포함되는 상기 수직프레임(61)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수직프레임(61)은 제1수직프레임(610), 제2수직프레임(620), 각도조절부재(630), 높낮이조절핀(640) 및 회전고정조절핀(6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프레임(610)은 하부에 형성된 회전축(611), 회전축(611)의 상부에 좌우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회전고정관통구(612), 상기 제1회전고정관통구(612)의 상부에 좌우측을 관통하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높낮이조절관통구(6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프레임(610)은 상기 메인프레임(50)에서 분리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620)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610)의 상부에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610)의 내부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고 좌우측을 관통하며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제2높낮이조절관통구(6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직프레임(610)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620)에 형성되는 관통구의 개수와 간격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관통구가 형성되는 수직 위치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수직프레임(610)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6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형성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원의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재(630)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610)이 관통하며 상기 회전축(611)이 고정되는 측면(631) 및 상기 제1회전고정관통구(612)의 회전반경을 따라 형성되는 제2회전고정관통구(632)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5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고정관통구(632)의 개수에 따라 상기 파지부(60)의 조절각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2회전고정관통구(632)는 3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높낮이조절핀(640)은 상기 높낮이조절관통구와 제1높낮이조절관통구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회전고정조절핀(650)은 상기 제1회전고정관통구와 제2회전고정관통구(632)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도조절부재(630)의 제2회전고정관통구(632) 중 하나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제1회전고정관통를 회전고정조절핀(650) 고정하여 파지부(60)의 각도를 조절하고, 제1수직프레임(610)의 제1높낮이조절관통구(613) 및 상기 제2수직프레임(620)의 제2높낮이조절관통구(621)를 높낮이조절핀(640) 고정해 파지부(6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파지부(60)를 각도와 높이조절을 하면서 상기 전동식 보행보조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상기 착석부(70)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62-2)를 잡았을 때 불편함이 없도록 파지부(6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간이 휠체어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먼저 파지부(60)에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610)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620)을 연결하는 높낮이조절핀(640)을 제거한 후 상기 제2수직프레임(620)을 상기 제1수직프레임(610)의 내부로 더 삽입시키거나 상부로 빼내어 사용자의 앉은키에 맞는 높이로 맞춘 후 상기 제1높낮이조절관통구(613)와 상기 제2높낮이조절관통구(621)를 일직선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높낮이조절핀(640)을 상기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상기 착석부(70)의 후방측에 선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62-2)를 잡았을 때 불편함이 없도록 파지부(60)의 높낮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전동식 보행보조기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각도조절부재(630)와 상기 제1수직프레임(610)을 연결하는 회전고정조절핀(650)을 제거한 후 사용자의 선 키에 맞는 각도로 기울여 위치를 조정하고 그 각도 상의 상기 제1수직프레임(610)의 제1회전고정관통구(612)와 상기 각도조절부재(630)의 제2회전고정관통구(632)를 일직선상에 위치시킨 생태에서 상기 회전고정조절핀(650)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잡이(62-2)를 잡거나 또는 손잡이(62-2)에 팔을 걸칠 수 있도록 상기 제1수직프레임(610)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620)을 연결하는 높낮이조절핀(640)을 제거한 후 상기 제2수직프레임(620)을 상기 제1수직프레임(610)의 내부로 더 삽입시키거나 상부로 빼내어 사용자에게 맞는 높이로 맞춘 후 상기 제1높낮이조절관통구(613)와 상기 제2높낮이조절관통구(621)를 일직선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높낮이조절핀(640)을 상기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높이를 조절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장과 허리의 굽어진 정도에 따라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직프레임(610)의 내부로 상기 제2수직프레임(620)을 전부 삽입시킨 상태에서 높낮이조절핀(640)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파지부(60)를 착석부(70) 방향으로 기울여 상기 제1수직프레임(610)의 제1회전고정관퉁구(612)와 상기 각도조절부재(630)의 가중 후방측에있는 제2회전고정관통구(632)를 회전고정조절핀(650)으로 고정함으로써 부피를 줄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되는 본원발명의 전동식 보행보조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GPS가 내설되어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식 보조보행기의 사용자가 길을 잃었을 경우 또는 사용자가 사라졌을 경우에 사용자를 찾기 위해 장착하는 것이다.
하지만, 전동식 보조보행기는 주로 노인들이 사용하는데 노인들은 일반 사람들보다 상황 대처능력이 낮기 때문에 길을 잃었을 경우 주로 직진을 해서 길을 찾으려 한다거나 그 자리를 벗어나고자 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급하게 찾아야 하는데 GPS좌표로는 찾을 수 있는 반경이 작고 GPS좌표를 벗어난 경우 직접 주변을 살피면서 찾는 것은 어욱 어려은 문제가 있다.
이때, 사용자의 보호자는 상기 전동식 보조보행장치의 제1GPS와 연결되는 드론을 작동시켜 제1GPS에서 발생하는 좌표신호의 주변반경을 넓게 탐색할 수 있도록 상기 GPS와 연결된 드론을 별도로 상공에 띄워 사용자를 찾을 수 있지만, 일반적인 드론은 체공시간이 10-15분 정도이기 때문에 사용자를 찾을 때까지 장시간 상공에 체공할 수 없고 체공한다 하더라도 드론 자체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구성요소인 상공에 장시간 체공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해 길을 잃은 사용자를 찾을 수 있다.
도 6 내지 9를 참고하여 본원발명의 상공에 장시간 체공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해 길을 잃은 사용자를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전동식 조보보행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전동식 보행보조장치는 상기 전동식 보행보조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론호출신호발생부(95), 및 상기 드론호출신호발생부(95)에서 발생한 신호를 수신하는 드론호출신호수신부(100-1)를 내부에 포함하여 상기 보행보조장치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드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론은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소지되는 것으로, 육각 형상의 드론본체(10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론본체(100)의 하면에는 랜딩기어(110)가 구비되는데, 상기 랜딩기어(110)는 지지체(112)에 의해 드론본체(100)와 연결되어 드론본체(100)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 간격을 유지한 채 위치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론본체(100)의 하면에는 하부바디(BD)가 돌출되고, 상기 하부바디(BD)에는 카메라(120)가 장착되어 감시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드론본체(100)의 둘레면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 바람직하게는 6개의 고정암(13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암(130)의 단부에는 회동봉(140)이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상기 회동봉(140)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드론본체(100)에 내장된 회동모터에 의해 회전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회동봉(140)의 각도 조절을 통해 상승비행(ascend), 하강비행(descend), 전진비행(forward), 후진비행(backward), 우횡비행(roll right), 좌횡비행(roll left), 좌회전비행(yaw left),또는 우회전비행(yaw right)이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것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드론에 구현되어 있는 일반적이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봉(140)에는 로터모터(150)가 고정되고, 상기 로터모터(150)의 모터축에는 로터(미도시)가 장착되어 로터모터(150)의 구동에 따라로터(통상 '프로펠러'라 함)가 회전하면서 드론본체(100)를 비행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이미 시판중인 드론에 구현되어 있는 기술들을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최소한 10시간 이상 장시간 동안 체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를 위해, 카메라(120)가 장착된 하부바디(BD)의 내부에는 제1,2배터리(BT1,BT2)가 탑재된다. 이때, 상기 제1,2배터리(BT1,BT2)는 축전지일 수 있으며, 특히 듀얼로 설치되어 이중화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배터리(BT1,BT2) 사이에는 컨트롤러(200)가 탑재된다. 그리고, 상기 드론본체(100)의 상면에는 일정깊이 설치홈(102)이 요입 형성된다.또한, 상기 설치홈(10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에는 안착돌기(104)가 돌출되고, 상기 안착돌기(104)에는 구획판(106)이 안착 고정되어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으로 구획한다.
이때, 상기 구획판(106)에 의해 구획된 하부공간에는 헬륨가스통(160)이 구비되고, 상기 헬륨가스통(160)에는 가스공급관(162)이 연결되며, 상기 가스공급관(162)에는 솔레노이드밸브 형태를 갖는 개폐밸브(164)가 설치되고, 상기 가스공급관(162)의 단부는 가스펌프(170)의 입구단에 접속된다.
아울러, 상기 가스펌프(170)의 출구단에는 벌룬공급관(172)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구획판(106)에 의해 구획된 상부공간에는 벌룬(180)이 구비되는데, 상기 벌룬(180)은 주입구(182)가 상기 구획판(106)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벌룬공급관(172)의 단부는 상기 구획판(106)을 관통하여 상기 벌룬(180)의 주입구(182)에 긴밀하게 접속 고정된다.따라서, 후술될 컨트롤러(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개폐밸브(164)가 열리고 가스펌프(170)가 가동되면 헬륨가스통(160) 내부의 헬륨가스가 벌룬(180)으로 주입되어 도 3과 같은 형태로 부풀어 오르게 되어 체공할 수 있는 부력을 생산하게 된다.
반면에, 가스펌프(170)가 역회전하게 되면 벌룬(180) 속에 장입되어 있던 헬륨가스가 다시 헬륨가스통(160) 속으로 회수되고, 그 과정에서 벌룬(180)은 쪼그라들어 원래 상태로 상부공간에 수납되며, 헬륨가스의 회수가 완료되면 개폐밸브(164)가 잠긴다.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보다 가벼운 헬륨가스를 이용하여 벌룬(180)를 부상시키는 것에 의해 드론본체(100)에 부력을 제공하여 공기중에 장시간 동안 체공, 즉 호버링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드론본체(100)의 설치홈(102)을 제외한 하측에는 공간인 중공부(108)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108)에는 와이어모터(190)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모터(190)에는 와이어드럼(192)이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드럼(192)에는 와이어(194)가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그리고, 상기 드론본체(100)의 상면에는 신축성있는 소재로 된 낙하산커버(196)가 덮여 씌워지는 형태로 구비된다.
특히, 상기 낙하산커버(196)는 단부가 상기 드론본체(100)을 완전히 씌운 후 드론본체(100)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와이어(194)에 의해 결속된다.
벌룬(180)이 설치되는 설치홈(102)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중공부(108) 상에는 다수의 아이들롤(ROL)이 설치되고, 와이어(194)는 각 아이들롤(ROL)을 경유한 채 육각형상 드론본체(100)의 각 꼭지점 부분에서 드론본체(100)의 각 측면을 관통한 후 낙하산커버(196)를 결속한다.
따라서, 허리춤에 고무줄이 끼워져 있어 고무줄의 일단을 당기면 허리춤이 조여지듯이 와이어모터(190)를 회전시켜 와이어(194)를 와이어드럼(192)에감으면 와이어(194)가 당겨지므로 조여져 낙하산커버(196)가 드론본체(100)의 표면에 타이트하게 밀착되면서 벌룬(180)을 눌러 고정한다.
그러다가, 벌룬(180)이 부풀어 오를 때는 와이어모터(190)가 역회전하면서 와이어(194)를 풀어 주어 부풀어 오르는 벌룬(180)과 함께 도 3의 예시와 같은 형태로 들떠 오르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낙하산커버(195)를 구비해야 하는 이유는 튜브 형태인 벌룬(18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장시간 호버링시 갑작스런 기상의 변화에 따른 파손, 조류에 의한 파손, 비나 눈, 천둥번개 등에 의한 손상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불측의 사유로 벌룬(180)이 터졌을 경우 드론본체(100)가 그대로 낙하하게 되면 드론본체(100)의 파손이 커 손실이 막대하므로 이럴 경우 자연스럽게 낙하산커버(195)가 낙하산 기능을 수행하여 공기 완충에 의한 드론본체(100)의 급격한 낙하를 막아 파손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벌룬(180)에 충전되는 헬륨가스 때문에 주된 부력이 생기지만, 벌룬(180)과 낙하산커버(196)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들어가기 때문에 공기에 의한 부력도 가해져 드론본체(100)가 훨씬 더 용이하게 떠오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드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장시간 체공이 가능하고 지속적으로 이동하지 않고 한 자리에서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가 길을 잃었을 때 상기 전동식 보조보행치의 드론호출신호발생부(95)에서 신호를 보내면 드론의 드론호출신호수신부(100-1)에서 그 신호를 받아 드론으로 길을 잃은 사용자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신호를 받은 드론은 상기 전동식 보조보행기의 제1GPS(90)의 좌표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제1GPS(90) 좌표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제1GPS(90) 좌표에서 벗어났을 경우 등을 고려하여 제1GPS(90) 좌표의 주변으로 반경을 더 확대하여 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고 사용자를 위치가 금방 파악되지 않는 경우에는 드론이 제1GPS(90) 좌표의 주변에 장시간 체공하여 사용자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60: 수직프레임
610: 제1수직프레임
620: 제1수직프레임
630: 각도조절부

Claims (3)

  1.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전방바퀴와 후방바퀴가 장착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파지부;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착석부 및
    상기 전방바퀴 및 후방바퀴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 파지부 또는 착석부 중 어느 하나에 내설되는 제1GPS;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고 속도조절 버튼 및 전후진 버튼이 구비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핸들;
    구동 시 손의 터치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손잡이에 내설되는 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하부에 형성된 회전축, 회전축의 상부에 좌우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회전고정관통구, 상기 회전고정관통구의 상부에 좌우측을 관통하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높낮이조절관통구를 포함하는 제1수직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내부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고 좌우측을 관통하며 수직방향으로 다수로 형성되는 제1높낮이조절관통구를 포함하는 제2수직프레임;
    제1수직프레임이 관통하며 상기 회전축이 고정되는 측면, 및 상기 제1회전고정관통구의 회전반경을 따라 형성되는 제2회전고정관통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는 각도조절부재; 및
    제1높낮이조절관통구와 제2높낮이조절관통구에 삽입되는 높낮이조절핀;
    제1회전고정관통구와 제2회전고정관통구에 삽입되는 회전고정조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보행보조장치는
    상기 전동식 보행보조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론호출신호발생부, 및
    상기 드론호출신호발생부에서 발생한 신호를 수신하는 드론호출신호수신부를 내부에 포함하여 상기 보행보조장치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드론을 포함하고,
    상기 드론은,
    육각 형상의 드론본체(100); 상기 드론본체(100)의 하면에 일체로 구비된 하부바디(BD); 상기 하부바디(BD)의 하면에 설치된 카메라(120) 및 스피커(SPK); 상기 드론본체(100)를 지면에서 일정높이 위치되게 지지하는 랜딩기어(110); 상기 드론본체(100)의 둘레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고정암(130); 상기 고정암(13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봉(140); 상기 회동봉(140) 상에 고정되고 로터를 구비한 로터모터(15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바디(BD)의 내부에는 제1,2배터리(BT1,BT2)가 탑재되고; 상기 제1,2배터리(BT1,BT2) 사이에는 컨트롤러(200)가 실장되며; 상기 드론본체(100)의 상면에는 일정깊이 설치홈(102)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0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의 내벽에는 안착돌기(104)가 돌출되며; 상기 안착돌기(104)에는 구획판(106)이 안착 고정되어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하부공간에는헬륨가스통(160)이 구비되며; 상기 헬륨가스통(160)에는 가스공급관(162)이 연결되고; 상기 가스공급관(162)에는 개폐밸브(164)가 설치되며; 상기 가스공급관(162)의단부는 가스펌프(170)의 입구단에 접속되고; 상기 가스펌프(170)의 출구단에는 벌룬공급관(172)이 연결되며; 구획된 상부공간에는 벌룬(180)이 구비되고; 상기 벌룬(180)의 주입구(182)는 상기 구획판(106) 상에 고정되며; 상기 벌룬공급관(172)의단부는 상기 구획판(106)을 관통하여 상기 벌룬(180)의 주입구(182)에 접속되고; 상기 드론본체(100)의 설치홈(102)을 제외한 하측에는 공간인 중공부(108)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08)에는 와이어모터(190)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모터(190)에는 와이어드럼(192)이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드럼(192)에는 와이어(194)가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드론본체(100)의 상면에는 신축성있는 소재로 된 낙하산커버(196)가 덮여 씌워지며; 상기 설치홈(102)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중공부(108) 상에는 다수의 아이들롤(ROL)이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194)는 각 아이들롤(ROL)을 경유한 채 드론본체(100)의 각 꼭지점 부분에서 드론본체(100)의 각 측면을 관통한 후 낙하산커버(196)를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
KR1020170164946A 2017-12-04 2017-12-04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 KR102050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946A KR102050733B1 (ko) 2017-12-04 2017-12-04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946A KR102050733B1 (ko) 2017-12-04 2017-12-04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612A true KR20190065612A (ko) 2019-06-12
KR102050733B1 KR102050733B1 (ko) 2019-12-03

Family

ID=66846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946A KR102050733B1 (ko) 2017-12-04 2017-12-04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7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48166A (zh) * 2021-06-03 2021-07-23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士官学校 一种无人机伤员转运吊舱
CN113712787A (zh) * 2021-07-29 2021-11-30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一医学中心 一种智能行走辅助支架
KR102432145B1 (ko) * 2021-07-26 2022-08-12 주식회사 일성하이드로닉스 조립식 복합 방역 게이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928U (ja) * 1991-07-31 1993-02-19 スズキ株式会社 電動車両のハンドル固定装置
JP2002197569A (ja) * 2000-12-25 2002-07-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動カート監視システム
JP2002225726A (ja) * 2001-01-31 2002-08-14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電動車両のチルトハンドル装置
KR20100004001U (ko) 2008-10-06 2010-04-15 전창국 휠체어겸용 보행보조기
KR20140018020A (ko) 2012-08-03 2014-02-12 이은주 보행보조기를 구비한 휠체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928U (ja) * 1991-07-31 1993-02-19 スズキ株式会社 電動車両のハンドル固定装置
JP2002197569A (ja) * 2000-12-25 2002-07-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動カート監視システム
JP2002225726A (ja) * 2001-01-31 2002-08-14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電動車両のチルトハンドル装置
KR20100004001U (ko) 2008-10-06 2010-04-15 전창국 휠체어겸용 보행보조기
KR20140018020A (ko) 2012-08-03 2014-02-12 이은주 보행보조기를 구비한 휠체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48166A (zh) * 2021-06-03 2021-07-23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士官学校 一种无人机伤员转运吊舱
CN113148166B (zh) * 2021-06-03 2022-12-27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士官学校 一种无人机伤员转运吊舱
KR102432145B1 (ko) * 2021-07-26 2022-08-12 주식회사 일성하이드로닉스 조립식 복합 방역 게이트
CN113712787A (zh) * 2021-07-29 2021-11-30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一医学中心 一种智能行走辅助支架
CN113712787B (zh) * 2021-07-29 2024-04-30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一医学中心 一种智能行走辅助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733B1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549B2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
US9149408B2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
KR20190065612A (ko) 좌립 이동을 보조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장치
CN209734250U (zh) 起身辅助装置
KR101763214B1 (ko) 보행 훈련 보조 장치
CN109646255B (zh) 助行辅助设备及其使用方法
KR20200001098A (ko) 재활운동을 위한 보행용 스마트 전동휠체어
JPH10216183A (ja) 歩行補助装置と歩行補助方法
KR20170107707A (ko) 기립 보행 보조 로봇
KR101439955B1 (ko) 보행기 및 의자로도 사용되는 트랜스포머 지팡이
CN109771161B (zh) 便携式助力轮椅
KR101517292B1 (ko) 보행보조 로봇
JP2012210237A (ja) 室内移動用自助具及びキャスター用安全装置
KR101644106B1 (ko) 편마비 장애인이 한 손으로 이용 가능한 실내 전동형 보행보조기구
US9610212B2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JP2011050557A (ja) 歩行訓練機
CN210698035U (zh) 便携式助力轮椅
KR101592321B1 (ko) 지능형 보행 보조차의 제어방법
KR20150003508A (ko)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
KR20170061926A (ko) 장애물을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삼단 상하운동 바퀴를 구비한 전동휠체어
KR102395512B1 (ko) 자체 안전제동 전동기 구동 노약자 보행보조장치
KR101198841B1 (ko) 보행 보조장치
KR101188899B1 (ko) 기립형 휠체어
JP2017164431A (ja) 移動支援装置
KR101270368B1 (ko) 기립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