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371A - 잠재 탄성 올레핀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잠재 탄성 올레핀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371A
KR20190065371A KR1020197013065A KR20197013065A KR20190065371A KR 20190065371 A KR20190065371 A KR 20190065371A KR 1020197013065 A KR1020197013065 A KR 1020197013065A KR 20197013065 A KR20197013065 A KR 20197013065A KR 20190065371 A KR20190065371 A KR 20190065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mer
semi
composite
crystal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688B1 (ko
Inventor
크레이그 에이. 바니스
라바다 씨. 보그스
이자벨 알. 보차드
주니어. 제임스 알. 피츠
데니엘 더블유. 헤세
샤운 이. 젠킨스
로렌 이. 짐머만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065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64Producing wearing appa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88Blends of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503/00 - B29K2507/00, as filler
    • B29K2509/02Ceram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2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4Semi-crystal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46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63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71Underwear
    • B29L2031/4878Diapers, napk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4Crystal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32B2307/736Shrink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32B2555/02Diapers or napk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5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4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5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1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additives being liquid crystalline or anisotropic in the mel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올레핀 탄성중합체를 주로 포함하는 필름을 포함하는, 잠재 탄성 필름 적층체가 제공된다. 필름은, 원하는 수준의 잠재 탄성을 부여하도록 신장되고 신장된 상태로 유지되어서, 컨디셔닝된 필름 적층체가 활성화시, 예를 들어 가열에 의해 수축될 것이다. 잠재 탄성 필름 적층체는, 용품에 부착된 후에 잠재 탄성을 활성화함으로써, 필름 적층체가 부착되는 구성요소를 셔링하고 탄성화하는 것에 의해,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을 포함하는, 다양한 탄성화된 용품의 제조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잠재 탄성 올레핀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본 출원은 2016년 10월 3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2/415186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원용된다.
탄성 물질은, 용품이 신체의 윤곽에 더욱 잘 맞을 수 있는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신체 위나 그 주위에 착용된 많은 용품에 일반적으로 포함된다. 탄성 물질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이러한 용품의 예는 기저귀, 훈련용 팬티, 성인 실금 의복, 개인 보호용 의복, 랩 붕대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탄성 물질은 종종 바람직하지 않은 촉감 및/또는 연성(softness) 수준을 나타낸다. 따라서, 피부 접촉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개인 위생 용품 및 의복에서 탄성 복합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탄성 복합재는, 예를 들어, 탄성 필름, 및 원하는 촉감 및 연성을 제공하는, 부직포와 같은 하나 이상의 외부 페이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부직포는 탄성 필름에 연결될 수 있는 한편, 필름은 신축된 상태여서 부직포가 필름이 풀어질 때 필름에 접합되는 위치들 사이에 모일 수 있게 된다. 그 결과의 탄성 복합재는 접합 위치들 사이에 부직포가 모인 정도까지 신축가능하며; 탄성 필름과 복합재가 신장될 수 있도록 주름을 펼치고 평평하게 한다. 신축 접합된 복합재의 예는, 예를 들어 Vander Wielen 등의 US4720415 및 Wright의 US5385775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복합재의 신축성 성질은 종종 이를 포함하는 용품의 제조 공정 동안 문제를 야기한다. 예를 들어, 롤형 복합재를 권출하는 데 필요한 힘은 탄성 용품이 장력 하에 있는 동안 탄성 복합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신축성 복합재의 이러한 부분적 연장은 최종 제품에서 원하는 양의 탄성 물질을 적절하게 측정하고 위치시키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층 용품의 제조는, 연장성이 용품 자체에 부여될 것을 필요로 할 수도 있고, Vander Wielen 및 Wright의 공정들은, 그 성질상, 복잡한 다중 구성요소 용품의 제조에는 쉽게 적용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상당한 정도의 잠재 탄성이 요구될 것이다.
예를 들어 US7585382 Hughes 등에 기재된 것들을 비롯하여 잠재 탄성을 갖는 탄성 복합재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Hughes는, 신축시 결정질 도메인을 발생시키기 위해 올레핀 및 비-올레핀 탄성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해서, 후속하는 열의 인가가 도메인들로 하여금 그들의 미배향 상태로 복귀하고 신축된 필름이 수축하도록 한다. 그러나, Hughes는 비교적 고가의 중합체 성분을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배합 및 화합 단계들을 요구한다.
이와 같이, 재활성화 및 최종 생성물로 배치하기 전에 열 활성화되고 실질적으로 탄성이 적은 경우에 강한 수축력을 갖는 올레핀 중합체로부터 주로 형성되는 개선된 잠재 탄성 복합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본 발명은 그것의 중합체 부분이 적어도 90%의 반결정 폴리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탄성 필름, 및 상기 탄성 필름에 단속적으로 접합된 지지층을 포함하는 열 수축성 복합재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복합재는 72℃에서 약 15% 초과의 열 수축을 갖는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탄성 필름의 중합체 부분은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올레핀 중합체를, 추가 측면들에서는 약 0.85 내지 0.90g/cm3의 밀도를 갖는 것들과 같은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반결정 폴리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탄성 필름은 에틸렌 중합체, 프로필렌 중합체 및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지지층은, 예를 들어, 약 20g/M2 미만의 평량 및 약 50g-f 초과의 인장 강도를 갖는 부직포와 같은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탄성 용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i) 적어도 90%의 반결정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부분을 갖는 압출물을 용융 압출하는 단계; (ii) 압출물을 냉각시켜 약 10℃ 내지 약 50℃의 온도를 갖는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iii) 그 후 상기 필름을 원래 길이의 2배 내지 7배로 신장시키는 단계; (iv) 지지층을 단속적인 위치들에서 신장된 필름에 접합하여 복합재를 형성하는 단계; (v) 복합재가 (접합시 길이에 비해) 그의 길이의 약 80% 미만으로 수축하도록 하는 장력 하에 복합재를 권취기 롤 상에 권취하는 단계; (vi) 상기 장력 부여된 복합재를 적어도 24시간 동안 상기 롤 상에 에이징(aging)하고, 그에 의해 열 수축성 복합재를 형성하는 단계; (vii) 서로에게 원위에 있는 2개의 위치에서 용품의 단일 구성요소에, 또는 서로에게 원위에 있는 용품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에 열 수축성 복합재를 부착하는 단계; (viii) 열 수축성 복합재 물질에 열을 인가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복합재는 수축하고, 상기 부착 지점들 사이에서 내측으로 당겨지고 상기 부착 지점들이 서로 더 가깝게 움직이게 해서 상기 용품 내부에 탄성화된 영역을 생성하도록 기능한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기저귀 또는 다른 의복의 탄성 성분을 형성하는 데에, 예컨대 탄성화된 허리밴드, 측면 패널, 후면 패널, 전면 패널 및/또는 커프(cuff)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재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대체 실시예에 따른 복합재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탄성 복합재를 포함하는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의 사시도이다.
정의
명세서 및 청구항 전체에 걸쳐, 물품 및/또는 그 개별 성분들에 대한 논의는 아래에 기술된 점을 포함한다.
용어 "포함하는" 또는 "구비하는" 또는 "가지는"은 포괄적이거나 개방적이며, 추가적인 미인용된 요소, 조성 성분, 또는 방법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포함하는" 또는 "구비하는" 또는 "가지는"은 더 제한적인 용어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및 "로 이루어지는"을 포함하고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중합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호모중합체, 공중합체, 예를 들어, 블록, 그래프트, 랜덤 및 교번 공중합체, 테르중합체 등, 및 이들의 블렌드와 개질물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예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게다가,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중합체"라는 용어는 분자의 모든 가능한 기하학적 구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들은 동일배열, 교대배열 및 랜덤 대칭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프로필렌 중합체"는 50% 초과의 프로필렌 함량(몰%)을 갖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에틸렌 중합체"는 50% 초과의 에틸렌 함량(몰%)을 갖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올레핀 중합체"는 50% 초과의 올레핀 함량(몰%)을 갖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부직 웹"은, 식별 가능하고, 반복되는 방식이 아니라, 엉켜 있거나 맞물려 있는 개별 섬유 또는 스레드의 구조체를 생산하도록, 직조 또는 편직과 같은 전통적인 직물 형성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형성된 재료의 구조체 또는 웹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직물"은 직조, 편직, 및 부직포 물질을 포함하는 점착성 섬유성 시트형 물질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기계 방향" 또는 "MD"는 필름의 주행 방향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교차 기계 방향" 또는 "CD"는 상기 정의된 기계 방향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탄성중합체" 및 "탄성"은 신장력의 적용 시에 적어도 한 방향(예를 들면 MD 방향)으로 신장할 수 있으며, 신장력의 해제 시에 원래 치수로 수축/복귀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신장된 물질은 그의 이완된 미신장된 길이 보다 적어도 50% 큰 신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신장력의 해제 시에 그의 신장된 길이의 적어도 50% 이내로 회복할 것이다. 가상의 예는 적어도 1.50 인치까지 신장할 수 있으며, 신장력의 해제 시에 1.25 인치보다 크지 않은 길이로 회복하게 될 물질의 1 인치 샘플일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물질은 적어도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신장된 길이의 적어도 80% 수축 또는 회복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신장 퍼센트(percent stretch)"는 소정의 힘을 받을 때 물질이 주어진 방향으로 신장하는 정도를 지칭한다.
필름 압출물 및 본 발명의 대응하는 탄성 필름은 중합체 부분을 포함하고, 일 측면에서 필름의 중합체 부분은 90%, 92%, 95%, 또는 98% 반결정 폴리올레핀 중합체(들)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반결정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그들의 배합물 및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필름 압출물 및/또는 탄성 필름의 중합체 부분은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 측면에서는,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 반결정 폴리올레핀 중합체(들)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필름 압출물 및 대응하는 탄성 필름은 반결정 올레핀 중합체의 혼합물, 예컨대 반결정 에틸렌 및 프로필렌 중합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반결정 중합체는 약 60% 초과의 에틸렌 중합체 및 약 40% 미만의 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때 에틸렌 중합체는 반결정 중합체의 약 80 내지 약 99% 또는 약 85 내지 약 95%를 포함하고, 프로필렌 중합체는 반결정 중합체의 약 1 내지 약 20% 또는 약 5 내지 약 15%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반결정 중합체는 약 60% 초과의 프로필렌 중합체 및 약 40% 미만의 에틸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때 프로필렌 중합체는 반결정 중합체의 약 80 내지 약 99% 또는 약 85 내지 약 95%를 포함하고, 에틸렌 중합체는 반결정 중합체의 약 1 내지 약 20% 또는 약 5 내지 약 15%를 포함한다.
반결정 폴리올레핀은 실질적으로 규칙적인 구조를 가지거나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결정 폴리올레핀은 미변형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비정질일 수 있지만, 신장 시에 결정 도메인 또는 증가된 중합체 사슬 정렬을 형성한다. 올레핀 중합체의 결정화도는 약 3% 내지 약 30%,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5% 내지 약 25%,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5% 내지 약 15%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반결정 폴리올레핀은 약 15 내지 약 75J/g("J/g"),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20 내지 약 65J/g,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25 내지 약 50J/g의, 결정화도의 다른 지표인 융해 잠열(latent heat of fusion)(△Hf)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반결정 폴리올레핀은 약 10℃ 내지 약 100℃,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20℃ 내지 약 80℃,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30℃ 내지 약 60℃의 비캇 연화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반결정 폴리올레핀은 약 20℃ 내지 약 120℃,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35℃ 내지 약 90℃,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40℃ 내지 약 80℃의 용융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융해 잠열(△Hf) 및 용융 온도는 당업계 숙련자들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ASTM D3417-99에 따라 시차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비캇 연화 온도는 ASTM D1525-09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결정화율은 전술한 바와 같이 DSC로부터 수득된 융해 열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샘플의 측정된 △Hf를 100% 결정질 중합체의 △Hf로 나눈 다음 이 양에 100을 곱해서 결정화율을 산출한다. 100% 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에 대한 △Hf가 189J/g인 것으로 가정되고 100% 결정질 에틸렌 중합체에 대한 △Hf는 292J/g인 것으로 가정한다.
특히 적절한 폴리에틸렌 공중합체는 "선형" 또는 "실질적으로 선형"인 것들이다. "실질적으로 선형"인이라는 용어는 공단량체 혼입에 기인할 수 있는 단쇄 분지 이외에, 에틸렌 중합체가 중합체 골격에 장쇄 분지를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장쇄 분지"는 적어도 6개의 탄소의 사슬 길이를 말한다. 각각의 장쇄 분지는 중합체 골격과 동일한 공단량체 분포를 가질 수도 있고 부착되는 중합체 골격 만큼 길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질적으로 선형인 중합체는 1000개의 탄소 당 0.01개의 장쇄 분지 내지 1000개의 탄소 당 1개의 장쇄 분지로 치환되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1000개의 탄소 당 0.05개의 장쇄 분지 내지 1000개의 탄소 당 1개의 장쇄 분지로 치환된다. "실질적으로 선형"이라는 용어와 대조적으로, 용어 "선형"이란 중합체가 측정가능하거나 입증가능한 장쇄 분지가 결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중합체는 1000개의 탄소 당 0.01개 미만의 평균 장쇄 분지로 치환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에틸렌과 α-올레핀, 예컨대 C3-C20 α-올레핀 또는 C3-C12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에틸렌 중합체를 채택한다. 적절한 α-올레핀은 선형이거나 분지형(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C1-C3 알킬 분지, 또는 하나의 아릴기)일 수도 있다. 특정한 예로는, 1-부텐; 3-메틸-1-부텐; 3,3-디메틸-1-부텐; 1-펜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갖는 1-펜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갖는 1-헥센;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갖는 1-헵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갖는 1-옥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갖는 1-노넨; 에틸, 메틸, 또는 디메틸-치환된 1-데센; 1-도데센; 및 스티렌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α-올레핀 공단량체는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이다. 이러한 공중합체의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함량은 약 60몰% 내지 약 99몰%,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80몰% 내지 약 98.5몰%,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87몰% 내지 약 97.5몰%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α-올레핀 함량은 약 1몰% 내지 약 40몰%,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5몰% 내지 약 15몰%,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2.5몰% 내지 약 13몰%의 범위일 수 있다. 에틸렌 중합체 탄성중합체는 약 0.85g/cm3 내지 약 0.90g/cm3,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약 0.85g/cm3 내지 약 0.89g/cm3 또는 약 0.86 내지 약 0.89g/cm3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밀도는 실온에서 ASTM 1505-10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적합한 프로필렌 중합체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의 공중합체나 삼중합체, 예컨대 에틸렌, 1-부텐, 2-부텐, 다양한 펜텐 이성질체, 1-헥센, 1-옥텐, 1-노넨, 1-데센, 1-유니데센, 1-도데센,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5-메틸-1-헥센, 비닐시클로헥센, 스티렌 등의, α-올레핀(예, C3-C20)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필렌 중합체의 공단량체 함량은, 약 35중량% 이하,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1중량% 내지 약 20중량%, 일부 실시예에서는 약 2중량% 내지 약 10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예를 들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는 0.91g/cm3 이하일 수 있으며, 그리고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약 0.85g/cm3 내지 약 0.90g/cm3, 약 0.85g/cm3 내지 약 0.89g/cm3, 약 0.85g/cm3 내지 약 0.88g/cm3, 심지어 약 0.85g/cm3 내지 0.87g/cm3일 수 있다.
탄성중합체 필름 층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는 VISTAMAXX™(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의 ExxonMobil Chemical로부터 입수 가능한 프로필렌계 탄성중합체), INFUSE™(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 가능한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VERSIFY™(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예를 들어 VERSIFY™ 4200 및 VERSIFY™ 4300(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Dow Chemical Company), ENGAGE™(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의 Dow Chemical로부터 입수 가능한 에틸렌 옥탄 공중합체), 및 NOTIO 0040 및 NOTIO 3560(미국 뉴욕주 뉴욕 소재의 Mitsui Chemical (USA)로부터 입수 가능함)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는 VISTAMAXX™ 6102FL이다.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기술들 중 임의의 기술을 채택하여 반결정 폴리올레핀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레핀 중합체는 유리 라디칼 또는 배위 촉매(예컨대 지글러-나타)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올레핀 중합체는 단일-부위 배위 촉매, 예컨대 메탈로센 촉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런 촉매 시스템은 공단량체가 분자 사슬 내에 무작위로 분포되고 상이한 분자량 단편들을 가로질러 균일하게 분포되는 에틸렌 공중합체를 유발한다. 올레핀 탄성중합체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Lai 등의 US5272236, Lai 등의 US5278272, Obijeski 등의 US5472775, Yang 등의 5539056 및 Liang 등의 US7582716에 설명된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그 내용은 본원과 일치하는 정도로 본원에 참고로 원용된다.
필름은 또한 다양한 특성을 달성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원하는 경우에 추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결정 폴리올레핀 중합체에 더하여, 필름은 또한 선택적으로 충전제, 착색제, 가소제, 점착 부여제, 항산화제, 및/또는 다른 공지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필름은 예를 들어 필름 압출물 및 탄성 필름의 약 0.1 내지 약 5 중량% 또는 약 0.5 중량% 내지 약 3 중량%의 양으로, TiO2와 같은, 불투명화 충전제 또는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열 및/또는 UV 안정화제 패키지가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Eastman Regalrez 1049 또는 1126이 필름 압출물 및 탄성 필름의 약 2 내지 10 중량 % 또는 약 3 내지 8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점착 부여제는, 예를 들어 단쇄 (≤C20) 비정질 폴리알파올레핀(APAO) 같은 단쇄 올레핀의 올리고머 및/또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10 중량% 아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잠재 탄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취입, 캐스팅, 플랫 다이 압출 등을 비롯한, 다수의 상이한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압출물로부터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냉각되면, 필름의 잠재 특성은 신축-배향을 통해 도입될 수 있다. 필요하지는 않지만, 필름은 별도의 처리를 위해 필름을 제거할 필요 없이 인라인으로 신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이 상이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롤들에 의해 즉시 연신되어 시트가 길이 방향(기계 방향)으로 원하는 연신 비율로 신축된다. 그런 다음, 이러한 "단축(uniaxially)" 신축된 필름이 섬유성 웹에 적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 단축 신축된 필름은 또한 교차 기계 방향으로 배향되어 "이축" 신축된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은 체인 클립에 의해 그의 측방향 에지들에서 클램핑되고 텐터 프레임(tenter frame) 내로 전달될 수 있다. 텐터 프레임에서, 필름은 순방향 이동으로 분기된 체인 클립에 의해 원하는 연신 비율로 교차 기계 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다.
필름의 원하는 잠재 탄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신 비율, 신장 온도, 신장된 상태에서 유지되는 시간 등과 같은 연신 작업의 다양한 파라미터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연신 비율은 신장 동작을 빠져나가는 필름의 선형 속도를 신장 동작에 진입하는 필름의 선형 속도로 나눔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필름은 약 2 내지 약 7, 일부 실시예에서 약 3 내지 약 6, 및 일부 실시예에서 약 4 내지 약 6의 연신 비율로 기계 방향으로 신장된다. 배향 온도 프로파일은 원하는 수축 기계적 특성, 예컨대 수축 장력 및 수축 백분율을 전달하도록 선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향 온도는 반결정 폴리올레핀의 용융 온도보다 작다. 예를 들면, 냉각 롤 및 필름 압출물의 주행 거리는 신장 동작과 연관된 높은 장력 및 응력을 견디기 위해 충분한 결정화를 갖는 신장 시 필름을 얻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필름 압출물의 온도는 신장 시작시, 약 12℃ 내지 약 60℃,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약 12℃ 내지 약 50℃, 또는 약 18℃ 내지 약 43℃의 외부 온도를 가질 수도 있다. 특히, 프로필렌 중합체를 이용할 때, 상기 범위의 하위 끝에서 필름 신장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필름은, "냉간 연신", 즉 외부 열(예를 들어, 가열된 롤러)의 인가 없이 주위 온도에서 신장되어, 잠복 탄성을 개선한다.
또한, 원하는 잠재기 및 높은 수축력을 달성하기 위해서, 필름은 신장되고, 탄성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기간을 넘는 기간 동안 신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필요한 지속시간 동안 신장된 장력 부여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연장된 신장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많은 방식 중 어느 하나에서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신장된 필름은 긴장된 상태에서 롤 상에 감길 수 있고, 여기서 롤 상에 권취될 때 필름 상의 장력은 신장-박화 단계에 적용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보다 적은 선택된 정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면, 중합체 압출물은 호퍼(미도시)로부터 공급되고, 용융되고 필름 다이와 같은 압출 장치(10)로 유도된다. 이어서, 압출된 필름(12)은, 원하는 대로 종래의 취입 필름 공정, 캐스트 필름 공정 또는 다른 필름 형성 공정에 의한 것과 같이 초기에 신장되고 얇아진다. 취입 필름과 관련하여, 공기를 사용해서 환형 다이를 통해 압출물의 기포를 팽창시킨다. 그런 다음, 기포가 붕괴되어 평평한 필름 형태로 모아진다. 취입 필름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은, 예를 들어, Raley의 US3354506; Schippers의 US3650649; Schrenk 등의 US3801429, Boggs 등의 US6824734 및 McCormack 등의 US2005/0245162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의 특정 실시예에서, 취입 필름(12)은 닙 롤 또는 "냉각 롤(chill roll)"(14)로 유도되어 단일층 전구체 탄성 필름(16)을 형성한다. 다중층 필름이 제조될 경우에는, 다수의 층이 닙 롤로 함께 공압출된다(co-extruded). 통상적으로, 닙 롤(14)은, 약 20 내지 60℃와 같이, 취입 필름(12)이 형성될 때 그것을 고형화하고 ?칭하기에 충분한 온도에서 유지되고,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 온도를 달성한다.
이어서, 탄성 전구체 필름(16)은 상이한 원주 속도로 주행하는 일련의 롤(18)을 통과함으로써 기계 방향으로 신장-박화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세트의 구동 롤러(18A)는 제1 세트의 롤러(18A)로부터 하류에 위치된 제2 세트의 구동 롤러(18B)보다 느린 원주 속도로 주행하고 있다. 도 1에서는 4개의 롤이 구동 롤러(18)의 일부로 도시되어 있지만, 롤의 수는 원하는 신장 수준 및 각 롤 간의 신장의 정도에 따라, 원하는 경우 더 많을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필름은 단일 또는 다수의 개별 신장 동작으로 신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탄성 필름은, 또한, 종래의 필름 배향 유닛 또는 기계 방향 배향기("MDO"), 예컨대 Parkinson Technologies, Inc.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여, 신장될 수 있다. 기계 방향 배향과 신장의 결과로서, 탄성 필름(20)은 그 후 추가 세트의 닙 롤(28)로 유도된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는 신장된 탄성 필름에 적층하기 위한 페이싱 물질로서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 부재는 원하는 물리적 속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섬유성 물질 또는 필름, 예컨대 기분 좋은 손 느낌, 연성, 심미감, 인장 강도 및/또는 다른 원하는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중요하게는, 지지 부재는, 궁극적인 용품의 연관된 가공, 변환, 및 제조를 위해서 그리고/또는 사용시 충분한 내구성을 위해서 필요한 추가 강도 특성을 탄성 필름에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 부재는 복합재에 추가 인장 강도를 제공하고, 이와 관련하여 지지 직물은 예를 들어, 약 100g-f, 150g-f, 200g-f, 250g-f 또는 심지어 300g-f를 초과하는 인장 강도를 포함하여 적어도 약 50g-f의 인장 강도를 갖고,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약 5000g-f, 3000g-f, 2500g-f, 2000g-f 또는 심지어 1500g-f의 인장 강도를 갖는다. 또한, 지지 부재는 바람직하게 기분 좋은 손 느낌을 제공한다. 그러나, 추가된 강도를 필요로 하지만, 필름 및 대응하는 적층체의 수축력 특성을 실질적으로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 부재는 매우 드레이프성이며 및/또는 낮은 굽힘 탄성계수를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지지 부재로서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직물은, 직조 또는 편직물뿐만 아니라, 멜트블로잉, 스펀본딩, 카딩 및/또는 수력엉킴 공정에 의해 제조된 것들과 같은 부직포 직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직물의 예들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들은 Butt 등의 US5492751, Kobylivker 등의 US6224977, Welch 등의 US8603281, Stokes 등의 WO99/32699 및 Kupelian 등의 WO16/080960에 기술된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수축력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제한하기 위해서, 더욱 낮은 평량의 지지 물질 및 직물이 활용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30g/m2 미만의 평량을 갖는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지지 물질 및 직물은 약 25g/m2, 20g/m2, 18g/m2 또는 심지어 16g/m2 미만의 평량을 가질 수 있으며, 추가로,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약 5g/m2, 7g/m2 또는 심지어 8g/m2 초과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더욱 큰 드레이프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내부 유연제, 외부 유연제 및/또는 기계적 연화 처리제의 사용에 의해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관점에서 처리된다.
예로서, 웹의 기계적 처리는 마이크로 크레이프(micro-creping), 콜드 엠보싱(cold embossing), 브레이커 바 처리(breaker bar treatment), 넥 신장(neckstretching), 링 롤링(ring rolling),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수의 상이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른 방법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신장과 관련하여, 그것은 예를 들어 구동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MD로 또는 텐터 프레임의 사용을 통해 CD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홈 롤 신장은 직물을 신장시키고 연화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개선된 드레이프 및 연성을 부여하도록 직물을 기계적으로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의 예는, Fitting 등의 US5413811, Sudduth 등의 US5770531, Jacobs 등의 US5810954, US6197404 Varona, US6372172 Sudduth 등 및 Delucia 등의 US2004005457에 기술된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충분히 드레이프성이 있고 순응적인 지지 직물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내부 유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연제의 특정 조성물은 한정된 것으로 여겨지지 않고 음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이온성일 수 있다. 유연제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에틸렌 왁스와 같은 올레핀 왁스; 지방산, 예컨대 에루산, 올레산, 스테아르산; 지방산 아미드, 예컨대 스테아릴아민 또는 올레일아민; 캐스터, 올리브 및 대두 같은 설페이트 오일; 설페이트 지방 알코올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콜 및 그들의 유도체, 예컨대 글리세린,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트리올리에이트; 팔미틱 및 스테아르산 장쇄 아미드와 같은 지방산의 폴리글리콜 에스테르; 소르비톨 및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당 알코올 및 그의 유도체; 이미다졸린; 기타 등등. 직물 및 필름의 드레이프 및 연성을 개선하기 위한 첨가제의 예는, Sudduth 등의 US5770531, US6197404 Varona, US2004005457 Delucia 등 및 Klaska 등의 WO2014/044235에 기술된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직포 웹의 증가된 드레이프 및 연성은, 섬유 또는 필름이 압출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형성되는 최종 조성물에 약 5중량% 미만의 하나 이상의 유연제를 포함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유연제는 약 5 중량%, 3 중량%, 또는 심지어 1 중량% 미만의 양으로, 소정의 실시예에서는 약 0.1 중량%, 0.3 중량% 또는 심지어 0.5 중량% 초과의 양으로, 섬유 및/또는 필름 내에 혼입될 수 있다. 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유연제는 농축물로서 섬유 또는 필름 형성 수지와 화합될 수 있고, 그런 다음 마스터배치 공정의 일부로서 제제의 균일한 분배를 이루기 위해 첨가되고 미화합된 수지와 혼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 또는 직물은 탄성 필름과 인라인으로 제조될 수 있고 및/또는 공급 롤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부직포 직물(22A)은 제1 공급 롤(24A)로부터 풀려서 제1 세트의 구동 롤러(26A)를 통해 유도될 수 있다. 이어서, 부직포 웹(22A)은 신장된 필름(20)과 함께, 접합 롤(28)에 의해 형성된 닙으로 향할 수 있다. 중첩된 물질이 접합 롤(28)을 통해 주행함에 따라, 그들은 서로 접합되고 점착성의 탄성 적층체(30)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그라비아, 슬롯 또는 스프레이 접착 시스템을 통하는 것과 같은 접착제 접합, 및 또한 열 접합, 초음파 접합 등을 통하는 것과 같은 기계적 접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술이 탄성 필름(20)을 부직포 직물(22A)에 접합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탄성 및/또는 수축을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도록,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35%, 30%, 25% 또는 심지어 20% 미만의 접합 면적을 제공하고 소정의 실시예들에서는 적어도 약 3%, 5%, 8% 또는 심지어 10%의 접합 면적을 갖는 패턴을 이용하여 탄성 필름에 접합된다. 또한, 열 접합에 관하여,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직물은 약 150℃ 미만과 약 110℃ 초과의 온도에서 탄성 필름에 접합될 수 있다. 사용된 접합 패턴은 별개의 이격된 접합 지점들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합 지점은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곡선 형상,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삼각형과 같은 기하학적 형상, 뿐만 아니라 강아지, 잎 또는 다른 인식 가능한 물체와 같은 아이콘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별 접합 지점은 고형 또는 중공형일 수 있다(즉, 미접합된 내부 부분을 가짐). 대안적으로, 패턴은, 예를 들어, 총안 모양(crenulated), 사인파형 또는 다른 구조를 갖는 평행하고 간격이 있는 선을 포함하는 별개로 이격된, 비교차 선과 같은 일련의 연속하는 접합 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합 패턴은, 예를 들어 벌집 유형 패턴의 일련의 교차 선을 포함하는 개방된 격자 유형의 패턴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성 필름은 또한 탄성 필름이 2개의 외부 직물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2 직물에 접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필름(20)은 제2 공급 롤(24B)로부터 기원하고 제2 구동 롤러(26B)를 통과하는 제2 부직포 직물(22B)에 동시에 접합된다. 제2 직물(22B)은 제1 직물(22A)의 것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부직포 웹(22A, 22B)은 신장된 필름(20)과 함께, 접합 롤(28)에 의해 형성된 닙으로 향할 수 있고, 여기서 필름은 외부 부직포 직물 층(22A, 22B) 사이에 위치된다. 중첩된 물질이 접합 롤들(28)을 통해 주행함에 따라, 그것들은 서로 접합되어서 점착성의 탄성 적층체(30)를 형성하게 된다.
추가 옵션으로서, 구동 롤러(26)의 원주 속도는 적층 롤(28) 및 권취기 롤(32)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느릴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더욱 느린 구동 롤러(26)의 원주 속도를 사용함으로써 부직포 직물(22A, 22B)의 네킹은, 부직포 직물 및 복합재의 개선된 드레이프 및/또는 CD 연장성을 얻도록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적층 롤(28)의 상류에 있는 탄성 필름(16, 20)에 적용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장력 하에 있는 동안, 복합재(30)가 권취 롤(32) 상에 권취된다. 복합재(30)는, 적층 롤(28) 및/또는 신장 롤러(18B)의 것과 권취 롤(32)에 대하여 동일한 원주 속도를 사용함으로써 수축하지 않고 장력 하에 완전히 유지된다. 대안적으로, 탄성 복합재는, 적층 롤(28) 및/또는 신장 롤(18B)에 의해 상류에 적용된 것보다 단지 약간 작은 장력을 인가함으로써 약간 수축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이는, 적층 롤(28)의 속도에 비해 롤(32)에 대한 보다 느린 원주 속도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탄성 복합재는 약 35%, 30%, 25%, 20% 또는 심지어 15% 이하로 수축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복합재(30)의 필름(20)은 적층 전 인장되기 때문에, 이완 시에 그것은 원래의 신장-전 기계 방향 길이를 향해 수축하고 기계 방향으로 더 짧아질 것이고, 그에 따라 복합재의 외부 지지층에 버클링되거나 주름을 형성한다. 따라서, 생기는 탄성 복합재는 외부 직물에서의 주름 또는 버클이 평평하게 당겨질 수 있고 탄성 필름이 늘어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정도로 기계 방향으로 연장 가능해진다.
복합재는, 롤 상의 장력 하에, 신장된(장력 부여된) 중합체 필름의 추가 설정 및/또는 결정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적어도 약 24시간, 48시간 또는 심지어 72시간 동안 주변 조건에서 유지된다. 반결정 중합체(들)의 연화 온도보다 높은 복합재의 후속 가열은 고도로 배향된 영역들로 하여금 MD로 비정질 상태 및 '수축(shrink)'으로 복귀하게 하여, 주름의 형성 및 상당히 높은 수준의 탄성을 갖는 탄성 복합재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탄성 복합재는, 개인 위생 흡수 용품의 일부로서 접합되는 페이싱 물질 및 기타 물질을 당길 수 있는, 높은 수축력을 갖는 잠재적인 수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복합재의 72℃에서의 열 수축%는 바람직하게는 약 15%, 20%, 25%, 30% 또는 35% 초과 (열 활성화 및 수축 전의 길이에 대해)이며, 그리고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약 55% 또는 50% 미만일 수 있다. 또한, 활성화된(수축된) 탄성 복합재는 적어도 50%, 60%, 70% 또는 80%의 신장율을 가질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압출물은 유사하게 압출되고, 취입되고, 신장된다. 이와 관련하여, 유사한 숫자들은 유사한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을 나타내는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공정과는 달리, 신장된 필름(20)은 페이싱 물질 또는 직물에 적층 전에 S-랩 조립체(19)를 따라 장력 하에 유지된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신장된 필름(20)은 이어서 적어도 약 0.5초, 0.6초, 또는 0.8초 이상 동안 신장된 상태로 유지된다. 신장된 조건에서 지속되는 상태는 필름 내의 잠재 특성을 증가 및/또는 설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 후, 컨디셔닝된 신장된 필름(21)은, 다층 적층체 또는 복합재(31)를 형성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물질 또는 직물(22A), 및 선택적으로 제2 지지 물질 또는 직물(22B)에 적층된다. 그 후, 복합재(31)는 장력 하에서 권취 롤 상에 권취되지만, 장력은 이전 실시예와 연관된 것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복합재는, 접합 롤(28) 직전의 복합재(31)의 속도보다 작은 권취 롤(32)에 대한 권취 속도를 사용함으로써와 같이 롤 상에 권취되기 전에 실질적으로 수축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복합재는 그 길이의 최대 약 80%, 75%, 70%, 65% 또는 심지어 60%까지 수축될 수 있다; 즉, 권취 롤(32)은 이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롤(28)과 같은 상류 롤들의 속도의 적어도 약 20%, 25%, 30%, 35% 또는 심지어 40%의 원주 속도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공정들은 탄성 적층체를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들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단지 예로서, 본 발명의 공정은 하나 이상의 방법들 속으로 통합될 수 있고, Siqueira 등의 US7803244에 기술된 물질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은 본원과 일치하는 정도로 본원에 참고로 원용된다. 예를 들어, 탄성 필름(20, 21) 및 외부 직물(22A, 22B)은 상기 층들을 부착하고 점착성 다층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해 롤들(28) 사이에 정의된 닙으로 유도될 수 있다. 롤들(28) 중 하나 또는 둘 다, 다수의 융기된 접합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가열될 수 있다. 적층시, 탄성 필름(20, 21)은 복수의 분리된 접합 부위에서 섬유성 물질(22A, 22B)에 용융 융합된다. 즉, 필름(20, 21)의 탄성중합체(들)는 연화 및/또는 용융되어서 그것은 직물(22A, 22B)의 섬유를 물리적으로 포획할 수 있다. 물론, 탄성 필름(20, 21)은 소정의 점착성(tack)을 가질 수 있어서 그것은 또한 적층시 섬유에 접착된다. 패턴이 있는 롤들에 의해 사용되는 열 및/또는 압력에 따라, 접합 부위는 필름의 변위에 의해 형성되는 대응하는 천공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Siqueira에 더욱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천공들에 인접하거나 그 근처에 있는 접합 부위의 특정 위치는, 천공을 둘러싸는 구역을 강화함으로써 생성된 복합재의 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복합재에 증기 투과성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보이지는 ?지만,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추가의 잠재적 가공 및/또는 마무리 단계, 예를 들어 슬릿화, 처리, 천공형성, 그래픽 인쇄 등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이탈하지 않으면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합재는 선택사항으로 교차-기계 및/또는 기계 방향으로 기계적으로 신장되어 연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합재는, CD 및/또는 MD 방향으로 홈을 갖는 두 개 이상의 롤을 통해 유도될 수 있다. 홈형 롤 이외에, 다른 기술이 복합재를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기계적으로 신장시키는 데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재는, 텐터 프레임, 기계 방향 배향기, 또는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른 장치를 통과할 수 있다. 복합재는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네킹될 수 있다.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믿어지는 다양한 신장 시스템의 예로는 Schwarz의 US414400, Morman의 US4981747, Sudduth 등의 US5770531, Haffner 등의 US5789065, US6368444 Jameson 등, Gerndt의 US7198742, US7320948 Morman 등 및 Gerndt 등의 US2006/151914에 설명된 것들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복합재는 활성화 전에 탄성이 적기 때문에 최종 제품으로 더욱 쉽게 가공될 수 있으므로, 더욱 치수적으로 안정적이다. 예를 들어, 잠재 탄성 복합재는, 내부에 탄성 영역 및/또는 구성요소를 제공하기 위해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 또는 개인 보호용 의복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조 또는 조립 공정 동안, 잠재 탄성 복합재는 용품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에 부착될 수 있고, 그런 다음 구체적으로 필름을 수축시키는 기능 또는 다른 기능 단계들, 예컨대, 제품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함께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접착제를 위한 경화 공정 동안 열 인가를 통해 활성화될 수 있다. 잠재 탄성 복합재는 고탄성 재료보다 큰 치수 안정성을 갖기 때문에, 향상된 가공 효율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재는 제품의 다른 구성요소에 부착하는 동안 기계적으로 신장된 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없다. 이는 접착제가 적용되는 위치 및 방식을 훨씬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필름이 통합되는 용품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와 함께 필름의 수축과 복합재의 셔링은 개선된 탄성 및/또는 이동 자유도를 갖는 용품을 생산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탄성 복합재의 적용 및 사용이 기저귀, 성인 실금 의복, 실금 패드/라이너, 생리대, 팬티라이너 등과 같은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의 제조 및 구성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은 통상적으로 액체 불투과성 외부 커버, 외부 커버에 대해 대면 관계로 위치된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 및 외부 커버와 상면시트 사이의 흡수성 코어를 포함한다. 또한,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은 또한 일반적으로 체결 테이프 또는 탭, 허리밴드, 탄성 허리 패널, 탄성 측면 패널, 탄성 다리 커프스, 플랩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핏 관련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조되고 제공된 독특한 탄성 복합재는 하나 이상의 탄성 구성요소를 갖는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의 구성요소로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단지 예로서, 다양한 탄성 개인 위생 흡수 용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Enloe의 US4685916, Pomplum 등의 US4816094, Wood 등의 US4857067, Rajala 등의 US5643396, Rajala 등의 US5745922, Rajala 등의 US5940887, VanGompel 등의 US6336922, Popp 등의 US6953452, VanGompel 등의 US7018369 및 Cazzato 등의 US7150731에 설명된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들의 내용이 본원과 일치하는 정도까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은 일반적으로 착용자를 향하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또는 외부 커버를 포함한다. 상면시트와 외부 커버 사이에는 흡수성 코어가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면 시트와 외부 커버는 종종 흡수성 코어를 감싸기 위해 연결 및/또는 밀봉된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이 특정 개인 위생 흡수 용품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지만, 다른 유형의 개인 위생 흡수 용품 및/또는 하기에 논의된 특정 구성의 다른 조합 또는 변경에서의 유사한 용도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만들어 질 수 있다는 점이 용이하게 인식될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기저귀(50)는 액체 불투과성 외부 커버(54), 외부 커버(54)에 대해 대면 관계로 위치된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52) 및 외부 커버(54)와 상면시트(52) 사이의 흡수성 코어(미도시함)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귀(50)는,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T자형, 모래 시계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면시트는 일반적으로 외부 커버와 동일한 공간을 차지하지만, 외부 커버의 면적보다 크거나 작은 면적을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다.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외부 커버의 여유부와 같은, 기저귀의 부분은 제품의 끝단 에지를 지나고 그 주위로 연장될 수 있으며 신체 대향층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에 대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시트 또는 신체측 라이너(52)는 바람직하게는 유연하고, 촉감이 부드럽고, 착용자의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은 신체 대향 표면을 제공한다. 상면시트(52)는 액체가 흡수 용품 내로 빠르게 흡입될 수 있게 하고, 바람직하게는, 흡수성 코어에 보유된 액체로부터 착용자의 피부를 격리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게 한다. 상면시트는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다공성 발포체, 망상 발포체, 천공형 플라스틱 필름, 천연 섬유(모, 면 섬유 등), 합성 섬유(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의 조합 등과 같은 매우 다양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면시트는 단일 층 또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물질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부직포 및 이의 박층체가 일반적으로 상면시트를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적절한 상면시트 물질은 Pike 등의 US5382400, Kirby 등의 US5415640, Sauer의 US5527300, Dodge 등의 US5994615, Everett 등의 US6383960, Daley 등의 US6410823 및 Biggs 등의 US2014/0121623에 설명된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배면시트 또는 외부 커버(54)는 액체 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커버는 물의 통과를 방지하지만 공기와 수증기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외부 커버는 물질의 단일 층 또는 상이한 물질의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다중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외부 커버는 하나 이상의 부직 웹에 고정식으로 부착된 또는 접합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커버의 특정 구조 및 조성은 필름 및/또는 섬유의 다양한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외측 층은 일반적으로 원하는 강도, 내마모성, 촉감 특성 및/또는 심미성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된다. 예로서, 부직포가 일반적으로 외부 커버의 최외측 층으로서 이용된다. 적절한 외부 커버는 Brock 등의 US4041203, McCormack 등의 US6075179, McCormack 등의 US6111163 및 Cho 등의 US2015/099086에 설명된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기저귀(50)는 또한 허리 개구(55) 주위에 위치하는 탄성 허리밴드(56)를 포함할 수 있다. 허리밴드를 위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복합재는 상면시트의 피부 접촉면에 노출되거나, 배면시트의 외측에 노출되거나 그리고/또는 상면시트와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면시트의 피부 접촉 표면 상에 위치할 때, 허리밴드는 또한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샘방지 포켓으로서 작용하는 이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기저귀에는 별도의 전방 및 후방 허리밴드(56A, 56B)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소정의 팬티 스타일 의복의 경우에, 연속하는 탄성 허리밴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기저귀(50)는,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탄성 측면 패널(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 패널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복합재는 각 측면 패널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체결기구(60)와 측면 패널(56)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탄성 복합재 사이에 비탄성 패널(58)이 위치할 수 있다.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탄성 측면 패널은 배면시트 및/또는 상면시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배면시트 및 상면시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모두에 부착되는 것과 같은 중앙 기저귀 섀시에 부착되는 별도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저귀(50)는 다리 개구(61) 주위에 위치하는 탄성 다리 커프스(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리 커프스는 다리 개구를 중심으로 만곡될 수 있거나, 측면 패널과 전방 및 후방 허리 개구를 향하여 다리 개구들에 근접하여 다수의 다리 탄성체가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탄성 복합재가 본원에서 설명되는 용품의 다른 구성요소 및/또는 추가 구성요소에 사용될 수 있고, 탄성 및 신장 특성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탄성 복합재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보호 의복을 포함하는 다른 의복 또는 용품에 탄성 및 착용감 향상 속성을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탄성 복합재는 탄성 패널, 허리밴드, 커프스 등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탄성 복합재는, US5594955 Sommers, US6799331 Griesbach 등 및 Aroch 등의 US2005/097659에 기술된 의복에 사용될 수 있고, 그 내용은 본원과 일치하는 정도로 본원에 참조로 원용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탄성 복합재는, 예를 들어, 와이프, 땀 패드, 세면수건, 붕대, 바디랩, 침대 패드 등과 같은 다른 용품에 사용될 수도 있다.
시험 방법
신장율: 신장된 치수로 물질의 길이 증가를 측정하고, 그 값을 물질의 원래 치수로 나눈 다음, 100을 곱함으로써 신장율을 결정한다. 이러한 측정은, ASTM D5035-11의 명세를 실질적으로 따르는 "스트립 신장 시험"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시험에서는 두 개의 클램프를 사용하며, 각 클램프는 두 개의 치형부(jaw)를 구비하고, 각 치형부는 샘플과 접촉하는 페이싱(facing)을 갖는다. 클램프들은 3인치만큼 분리되어 있는 동일한 면의 물질을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유지하고, 특정한 확장 속도에서 떨어지도록 이동시킨다. 샘플 크기는 3인치 x 6인치이고, 치형부 대면 높이가 1인치이고 폭이 3인치이며, 300mm/분의 일정한 연장 속도를 갖는다. 시편은, 예를 들어 Renew MTS mongoose 박스(대조군)와 함께 Sintech 2/S 시험기에서, TESTWORKS 4.07b 소프트웨어(노스캐롤라이나주 캐리 소재의 Sintech Corp)를 사용하여 클램핑한다. 주변 조건 하에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세 개의 시편의 평균으로 보고하며 시편과 교차 방향(CD) 및/또는 기계 방향(MD)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열 수축율: 롤 상의 장력 하에 물질 조각을 롤로부터 제거하고 수축할 수 있게 한다. 그런 다음, 물질로부터 75mm x 175mm 스트립을 절단하고, 마크를 100mm 이격하여 놓고, 마크들 사이의 거리가 초기 길이이다(전 가열된 수축 길이(Before Heated Retraction Length) 또는 "BHRL"). 이어서, 물질을 2분 동안 72℃ 물에 침지시킨다. 그런 다음, 물질의 스트립을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그 후, 마크들 사이의 거리를 다시 측정한다(후 가열된 수축 길이(After Heated Retraction Length) 또는 "AHRL"). 수축율은 물질의 잠재 탄성을 나타내며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한다:
수축율=100*(BHRL-AHRL)/BHRL
측정은 3개의 샘플에 대해 수득하고 평균낸다. 측정은 주변 조건에서 실시한다.
인장 강도: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인장 강도" 또는 "스트립 인장"은 피크 부하 값, 즉 시편이 당겨져 파열될 때 시편에 의해 생성되는 최대 힘이다. 인장 강도 시험용 샘플은 25mm의 폭과 대략 152mm의 길이로 시험편을 건조 후 다이 절단하여 준비된다. 인장 강도 측정에 사용되는 계측기는 Windows Ver. 4용 MTS Criterian 42 및 MTS TestWorks™ (노스캐롤라이나주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의 MTS Systems Corp.)이다. 테스트 중인 샘플의 강도에 따라, 로드 셀이 선택되어서, 피크 부하 값은 로드 셀의 전체 스케일 로드의 10 내지 90% 사이에 있다. 게이지 길이는 76mm이고 조 길이는 76mm이다. 크로스헤드 속도는 305㎜/분이며, 브레이크 감도는 70%로 설정되고, 미리 설정된 구배는 70 및 157g으로 향한다. 샘플을 계측기의 조에 놓고 더 긴 치수가 부하 적용 방향에 평행한 상태로 중심에 놓인다. 테스트가 그후 시작되며 시험편이 파단될 때에 종료된다. 피크 부하는 CD 인장 강도에 기초하여 본원에서 목적을 위해 결정된다. 6개의 대표적인 시험편이 테스트되며, 테스트된 모든 개별적인 시험편의 산술 평균은 제품을 위한 인장 강도이다.
실시예
실시예 1.
70% INFUSE 9108, 20.5% INFUSE 9508, 9% Vistamaxx 및 0.5% 항산화제의 혼합물을 용융시키고 압출하여 캐스트 필름 공정에 의해 막을 형성하였다. 필름 압출물을 18℃에서 냉각 롤 위로 통과시킨 다음 제1 s-랩 조립체에 공급하였다. 상류 롤의 속도는 0.25M/초(50fpm)이었고 하류 롤의 속도는 1.52M/초(300fpm)이었고 그에 의해서 필름을 신장시켰다. 이어서, 필름을 1.46 M/초(289 fpm)의 속도로 작동하는 제2 s-랩 조립체로 유도하였다. 제2 s-랩 조립체로부터, 신장된 필름을 1.39M/초(273fpm)로 작동하는 캘린더 롤로 유도하였다. 신장된 필름을 2개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 웹과 함께 캘린더 롤을 통과시켰으며, 각각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 웹은 12g/M2의 평량을 가지며 필름의 대향 측면들에 인접한다. 부직포 웹과 필름을, US5620779 Levy 등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5%의 접합 면적을 갖는, 리브-니트 접합 패턴을 사용하여 캘린더 롤들에 적층하였다. 그런 다음 필름/부직포 적층체를 0.47M/초(92fpm)의 속도로 작동하는 권취 롤 상에 권취하였다. 권취된 적층체를 3일 넘는 동안 롤 상에 유지하였다. 적층체는 높은 수축력 및 26%의 열 수축율을 가졌다.
본 발명을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전술한 바를 이해함에 따라,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대체예, 변형예, 균등예를 쉽게 구상할 수 있다는 점을 알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로서 평가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열 수축성 복합재로,
    적어도 90%의 반결정 폴리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부분을 갖는 탄성 필름;
    상기 탄성 필름에 단속적으로 접합된 지지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복합재는 72℃에서 15% 초과의 열 수축%을 갖는, 열 수축성 복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필름의 중합체 부분은 적어도 95 중량%의 반결정 폴리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열 수축성 복합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결정 폴리올레핀 중합체는 약 0.85g/cm3 내지 0.89g/cm3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 반결정 중합체와 약 0.85g/cm3 내지 0.89g/cm3의 밀도를 갖는 프로필렌 반결정 중합체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열 수축성 복합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반결정 중합체는 상기 필름의 상기 중합체 부분의 약 80% 내지 99%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필렌 반결정 중합체는 상기 필름의 상기 중합체 부분의 약 20 중량%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열수축성 복합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반결정 중합체는 상기 필름의 상기 중합체 부분의 약 80% 내지 99%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 반결정 중합체는 상기 필름의 상기 중합체 부분의 약 20 중량% 내지 약 1 중량%를 포함하는, 열수축성 복합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충진제 입자를 더 포함하는, 열 수축성 복합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약 0.1 내지 10%의 올레핀 점착 부여제를 더 포함하는, 열 수축성 복합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약 5 내지 약 20g/M2의 평량을 갖는 부직포 직물을 포함하고, 추가로 상기 지지층은 50g-f 초과의 인장 강도를 갖는, 열 수축성 복합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결정 폴리올레핀 중합체는 약 15 내지 약 75J/g의 융해 잠열을 갖는, 열 수축성 복합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결정 폴리올레핀 중합체는 약 3 내지 약 30%의 결정화도를 가지는, 열 수축성 복합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필름의 중합체 부분은 적어도 98 중량%의 반결정 폴리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열 수축성 복합재.
  12. 탄성화된 용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적어도 90%의 반결정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부분을 갖는 압출물을 용융 압출하는 단계;
    상기 압출물을 냉각해서 약 10℃ 내지 약 50℃의 온도를 갖는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을 원래 길이의 2배 내지 7배로 신장시키는 단계;
    상기 필름이 신장된 상태에 있는 동안 지지 직물을 단속적인 위치들에서 상기 필름에 접합시켜서 복합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합재가 상기 접합 단계의 시점에서 그의 길이의 80% 미만으로 수축하도록 하는 장력 하에 상기 복합재를 권취기 롤 상에 권취하는 단계;
    상기 장력 부여된 복합재를 적어도 24시간 동안 상기 롤 상에 에이징해서, 열 수축성 복합재를 형성하는 단계;
    서로에게 원위에 있는 2개의 위치에서 용품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상기 열 수축성 복합재를 부착하여, 원위 부착 지점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열 수축성 복합재에 열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복합재는 수축하고 상기 원위 부착 지점들 사이에서 내측으로 당겨지고 상기 원위 부착 지점들이 서로 더 가깝게 움직이게 해서 상기 용품 내부에 탄성화된 영역을 생성하도록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물은 50중량% 초과의 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고, 추가로 신장 시작시 상기 필름의 상기 온도는 약 21℃ 내지 약 10℃인,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물은 50중량% 초과의 에틸렌 중합체를 포함하고, 추가로 신장 시작시 상기 필름의 상기 온도는 약 32℃ 내지 약 10℃인,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된 필름은 부직포 직물을 포함하고 약 5g/M2 내지 약 20g/M2의 평량 및 적어도 약 50g-f의 인장 강도를 갖는 지지 직물에 접합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품은 액체 투과성 신체-대향 상면시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및 상기 상면시트와 배면시트 사이의 흡수성 코어를 갖는 흡수성 개인 위생 용품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축성 복합재는 상기 상면시트 및 배면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물의 상기 중합체 부분은 약 0.85g/cm3 내지 0.89g/cm3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 반결정 중합체 및 약 0.85g/cm3 내지 0.89g/cm3의 밀도를 갖는 프로필렌 반결정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95 중량%의 반결정 폴리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물의 중합체 부분은 약 3 내지 약 30%의 결정화도를 갖는 적어도 약 95%의 반결정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축성 필름은 열 인가시 약 15% 내지 약 50%로 수축해서 상기 복합재를 수축시키고 상기 원위 부착 지점들 사이에서 내측으로 당기는, 방법.
KR1020197013065A 2016-10-31 2017-10-30 잠재 탄성 올레핀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KR102551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15186P 2016-10-31 2016-10-31
US62/415,186 2016-10-31
PCT/US2017/059056 WO2018081718A2 (en) 2016-10-31 2017-10-30 Latent elastic olefin film laminates and methods of making absorbent articles incorpor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371A true KR20190065371A (ko) 2019-06-11
KR102551688B1 KR102551688B1 (ko) 2023-07-06

Family

ID=6202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065A KR102551688B1 (ko) 2016-10-31 2017-10-30 잠재 탄성 올레핀 필름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90270877A1 (ko)
KR (1) KR102551688B1 (ko)
CN (1) CN109803822A (ko)
AU (1) AU2017350973A1 (ko)
BR (1) BR112019007465A2 (ko)
GB (1) GB2570249B (ko)
MX (1) MX2019004397A (ko)
WO (1) WO201808171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4072B2 (en) * 2016-11-09 2021-06-15 Berry Global, Inc. Prestretched elastic film in personal hygiene products
DE102020126818A1 (de) * 2020-10-13 2022-04-14 K. L. Kaschier- Und Laminier Gmbh Bahnenförmiges Vliesstofflaminat
CN113416330B (zh) * 2021-06-04 2023-05-26 河南联和聚邦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密度高延伸率聚乙烯薄膜及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663A (ko) * 1998-03-26 2001-04-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탄성 부재 및 전체 사용기간 동안에 신체에 대한 정합성이향상된 일회용 가멘트
JP2008539340A (ja) * 2005-04-29 2008-11-13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ポリプロピレンによる繊維および不織布
KR20090021365A (ko) * 2006-06-30 2009-03-0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잠재적 탄성 부직 복합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5407A (en) * 1982-08-27 1985-06-25 Chicopee Elastic composites
US4865902A (en) * 1986-01-17 1989-09-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ultilayered polyolefin high shrinkage, low-shrink force shrink film
US5470639A (en) * 1992-02-03 1995-11-28 Fiberweb North America, Inc. Elastic nonwoven web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549943A (en) * 1992-09-23 1996-08-27 Viskase Corporation Heat shrinkable nylon food casing with a polyolefin core layer
KR100665456B1 (ko) * 2000-10-12 2007-01-04 가오가부시끼가이샤 3차원적 형태의 돌출부를 갖는 입체시트 재료
US7803244B2 (en) * 2006-08-31 2010-09-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composite containing an apertured elastic film
US7582178B2 (en) * 2006-11-22 2009-09-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film composite with latent elastic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663A (ko) * 1998-03-26 2001-04-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탄성 부재 및 전체 사용기간 동안에 신체에 대한 정합성이향상된 일회용 가멘트
JP2008539340A (ja) * 2005-04-29 2008-11-13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ポリプロピレンによる繊維および不織布
KR20090021365A (ko) * 2006-06-30 2009-03-0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잠재적 탄성 부직 복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50973A1 (en) 2019-05-16
GB2570249B (en) 2022-06-08
WO2018081718A3 (en) 2018-07-26
GB201906714D0 (en) 2019-06-26
KR102551688B1 (ko) 2023-07-06
US20220041853A1 (en) 2022-02-10
WO2018081718A2 (en) 2018-05-03
CN109803822A (zh) 2019-05-24
MX2019004397A (es) 2019-06-24
US20190270877A1 (en) 2019-09-05
GB2570249A (en) 2019-07-17
BR112019007465A2 (pt)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7352B2 (en) Method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 having stretchable region with high peeling strength
CN103200916B (zh) 具有抗撕裂膜的吸收制品
JP6235589B2 (ja) 伸張可能なウェブ積層体の作製方法
US20220041853A1 (en) Latent elastic olefin film laminates and methods of making absorbent articles incorporating the same
KR101511390B1 (ko) 잠재 탄성을 갖는 스트랜드 복합체
KR20110036895A (ko) 다중 라미네이트 구조물로부터 형성된 탄성 복합체
KR20090021365A (ko) 잠재적 탄성 부직 복합체
JP2004507384A (ja) 一方向に弾性があり別の方向に伸張性がある複合弾性体
KR20090083389A (ko) 잠재 탄성을 갖는 부직-필름 복합체
JP2016193199A5 (ko)
JP4975809B2 (ja) 吸収構造体とともに使用される衣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10086487A1 (en) Composite elastic laminate
CN106459528A (zh) 具有低声压水平的活化膜
KR101351205B1 (ko) 탄성력-부여된 수축 라미네이트
CZ2012757A3 (cs) Netkaná textilie se zlepšeným omakem a mechanickými vlastnostmi
CN106456409A (zh) 具有低声压水平的膜
KR101846806B1 (ko) Cd 신장성 부직포 복합체
MXPA05000105A (es) Laminados compuestos elastomericos reforzados con hilo, prendas que incluyen los laminados y metodos para hacer los laminados.
KR20070088733A (ko) 슬릿 넥킹된 신장성 적층물 및 그의 제조 방법
BR112019019802A2 (pt) artigo absorvente compreendendo fitas elastoméricas
WO2019046622A2 (en) COMPOSITE ELASTIC LAMINATE
US11220085B2 (en) Apertured elastic film laminates
RU2352314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дноразовых впитывающих изделий
KR20180058736A (ko) 탄성 적층체에서 높은 릴리프 및 토포그래피를 유도하는 수단으로서 접합 패턴
CZ2012761A3 (cs) Netkaná textilie se zlepšeným omakem a mechanickými vlastnost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