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962A - Dc-dc 변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Dc-dc 변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962A
KR20190064962A KR1020170164333A KR20170164333A KR20190064962A KR 20190064962 A KR20190064962 A KR 20190064962A KR 1020170164333 A KR1020170164333 A KR 1020170164333A KR 20170164333 A KR20170164333 A KR 20170164333A KR 20190064962 A KR20190064962 A KR 20190064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es
inductors
switch
current
i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5880B1 (ko
Inventor
박정언
이나영
최재동
장진백
이상률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64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880B1/ko
Priority to EP18201114.8A priority patent/EP3493380A1/en
Priority to US16/191,568 priority patent/US20190173385A1/en
Publication of KR20190064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02M1/15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using a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DC-DC 변환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변환 시스템은, 입력과 출력 사이에 서로 자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인덕터, 상기 한 쌍의 인덕터 각각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스위치 및 상기 한 쌍의 인덕터 각각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3 및 제4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의 턴-온 구간에 대응하는 구간에서 턴-온 된다.

Description

DC-DC 변환 시스템{DC to DC Converting System}
본 발명은 DC-DC 변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력전류 리플을 억제할 수 있는 DC-DC 변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궤도위성의 PCU에 사용되는 BDR은 Solar Array와 ASR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 전력 충전, 방전 및 버스 전력 충전을 하는 Non-Isolation DC-DC 컨버터이다.
이러한 DC-DC 컨버터는 출력전류 리플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출력전류에 비해 큰 용량과, 큰 사이즈, 더 긴 수명의 버스 커패시터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는 위성의 무게, 크기, 성능면에서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지상에서 배터리 시험 및 운용을 위해 사용하는 배터리 충방전기에서도 해당 DC-DC 컨버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 성능, 수명 등을 위해 큰 출력전류 리플을 억제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Non-Isolation DC-DC 컨버터의 출력전류 리플을 억제할 수 있는 DC-DC 변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변환 시스템은, 입력과 출력 사이에 서로 자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인덕터, 상기 한 쌍의 인덕터 각각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스위치 및 상기 한 쌍의 인덕터 각각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3 및 제4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의 턴-온 구간에 대응하는 구간에서 턴-온 된다.
또한, 상기 입력과 출력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3 및 제4 인덕터 및 상기 제4 인덕터에 직렬로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및 제4 인덕터는 서로 자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가 턴-오프 상태일 때,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전류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는 서로 교번하여 스위칭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는 50% 미만의 듀티비(duty ratio)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는 사이리스터이고, 상기 사이리스터의 게이트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위치가 턴-온 상태일 때, 상기 제1 인덕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변화가 상기 제2 인덕터에 유도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Non-Isolation DC-DC 컨버터의 출력전류 리플을 억제할 수 있는 DC-DC 변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변환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출력전류 리플이 발생하는 경우의 파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변환 시스템의 출력전류 파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변환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변환 시스템(10)은, 입력과 출력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인덕터 및 두 쌍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인덕터는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L1, L2)는 서로 자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L1, L2)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치(Q1) 및 제2 스위치(Q2)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L1, L2)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제3 스위치(Q3) 제4 스위치(Q4)가 포함된다.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Q1, Q2)는 스위치 제어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스위칭 동작하는데, 서로 교번하여 턴-온(turn-on)과 턴-오프(turn-off)를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Q1, Q2)가 동시에 턴-온 되는 구간이 존재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치(Q1)가 턴-온 되면, 상기 제1 인덕터(L1)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제2 인덕터(L2)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고 상기 전류는 상기 제3 스위치(Q3)를 통해 흐르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치(Q2)가 턴-온 되면, 상기 제2 인덕터(L2)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제1 인덕터(L1)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고 상기 전류는 상기 제4 스위치(Q4)를 통해 흐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DC-DC 변환 시스템(10)은 상기 입력과 출력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3 인덕터(L3) 및 제4 인덕터(L4), 그리고 상기 제4 인덕터(L4)에 직렬로 연결되는 다이오드(D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4 인덕터(L3, L4)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로 자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3 인덕터(L3)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상기 제4 인덕터(L4)에 유도 전류가 발생한다.
상기 제3 및 제4 인덕터(L3, L4)와 상기 다이오드(D1)는 상기 입력과 출력 사이에 전류 경로를 형성하므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Q1, Q2)가 모두 턴-오프 되면, 상기 다이오드(D1)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Q1, Q2) 쪽으로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DC-DC 변환 시스템(10)은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Q1, Q2)가 교번하여 스위칭 할 때와, 모두 턴-오프 되었을 때 각각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Q3, Q4) 또는 상기 다이오드(D1)를 통해 전류를 출력쪽으로 도통하게 하여 출력전류가 연속적으로 흐르는 특성을 갖게 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L1, L2)에 의해 형성되는 트랜스포머(T1)의 기생 인덕턴스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치(Q1)가 턴-오프 되고 상기 제4 스위치(Q4)를 통해 흐르던 전류가 감소할 때 상기 제3 스위치(Q3) 출력 쪽과 순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4 스위치(Q4)와 같은 전류가 도통하게 되고, 이는 출력전류에 추가되어 리플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Q3, Q4)가 다이오드로 구성될 때에는 다이오드의 junction 커패시터에 의해 더 큰 리플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력전류 리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DC-DC 변환 시스템(10)은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Q3, Q4)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Q1, Q2)의 턴-온 구간에 대응하는 구간에서 턴-온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스위치(Q1)가 턴-온 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3 스위치(Q3)가 턴-온 되고, 상기 제2 스위치(Q2)가 턴-온 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4 스위치(Q4)가 턴-온 된다.
이때,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Q3, Q4)는 사이리스터(Thyristor)일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DC-DC 변환 시스템(10)은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Q3, Q4)의 게이트 제어를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Q3, Q4)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가 공급될때에만 턴-온 되고, 상기 게이트 제어 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면 즉시 턴-오프 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Q1, Q2)는 50% 미만의 듀티비(duty ratio)를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듀티비는 40% 일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Q1, Q2)가 모두 턴-오프 되는 20% 의 구간에서는 상기 게이트 제어 신호가 공급되지 않는다.
도 2는 출력전류 리플이 발생하는 경우의 파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제1 및 제2 스위치(Q1, Q2)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를 나타내며, 제1 및 제2 스위치(Q1, Q2)는 모두 50% 미만의 듀티비를 갖게 되며, 서로 동일한 듀티비를 가질 수 있다.
도 2(b)는 제1 및 제2 스위치(Q1, Q2)를 도통하는 전류의 파형을 나타내며, 도 2(c)는 제3 및 제4 스위치(Q3, Q4)를 도통하는 전류의 파형을 나타내는데, 이때 제3 및 제4 스위치(Q3, Q4)로 다이오드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경우,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T1)의 기생 인덕턴스와 다이오드의 junction 커패시터에 의해 스파이크(spike)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5~t6 구간 참조)
마지막으로, 도 2(d)는 입력 전류(Iin)와 출력 전류(Iout)의 파형을 나타내는데, 도 2(c)를 통해 확인한 스파이크 전류에 의해 출려 전류(Iout)의 리플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DC-DC 변환 시스템(10)은 출력전류의 리플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Q3, Q4)로 사이리스터(Thyristor)를 사용하고,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Q3, Q4)의 스위칭 타이밍을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Q1, Q2)의 스위칭 타이밍에 동기화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변환 시스템의 출력전류 파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Q1)와 제2 스위치(Q2)가 모두 턴-오프 되는 구간에서는 제1 다이오드(D1)를 통해서만 전류가 검출되는 것을 알 수 있고, 도 2(c)에서와 같은 스파이크 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출력 전류(Iout)에 리플이 최대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DC-DC 변환 시스템(10)은 출력전류 리플을 억제하여 출력 커패시터(도 1의 C)의 수명이 비정상적으로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커패시터는 위성의 전원 공급원이 되는 점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 따른 DC-DC 변환 시스템(10)을 적용함으로써 위성의 기대 수명을 충분히 연장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DC-DC 변환 시스템

Claims (8)

  1. 입력과 출력 사이에 서로 자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인덕터;
    상기 한 쌍의 인덕터 각각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스위치; 및
    상기 한 쌍의 인덕터 각각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3 및 제4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의 턴-온 구간에 대응하는 구간에서 턴-온 되는 DC-DC 변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과 출력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3 및 제4 인덕터; 및
    상기 제4 인덕터에 직렬로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DC-DC 변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인덕터는 서로 자기적으로 연결되는 DC-DC 변환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가 턴-오프 상태일 때,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전류 경로가 형성되는 DC-DC 변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는 서로 교번하여 스위칭 동작하는 DC-DC 변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는 50% 미만의 듀티비(duty ratio)를 갖는 DC-DC 변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치는 사이리스터이고,
    상기 사이리스터의 게이트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DC-DC 변환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가 턴-온 상태일 때, 상기 제1 인덕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변화가 상기 제2 인덕터에 유도 전류를 생성하는 DC-DC 변환 시스템.
KR1020170164333A 2017-12-01 2017-12-01 Dc-dc 변환 시스템 KR102005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333A KR102005880B1 (ko) 2017-12-01 2017-12-01 Dc-dc 변환 시스템
EP18201114.8A EP3493380A1 (en) 2017-12-01 2018-10-18 Dc-dc converter
US16/191,568 US20190173385A1 (en) 2017-12-01 2018-11-15 Dc-dc conve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333A KR102005880B1 (ko) 2017-12-01 2017-12-01 Dc-dc 변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962A true KR20190064962A (ko) 2019-06-11
KR102005880B1 KR102005880B1 (ko) 2019-10-01

Family

ID=63878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333A KR102005880B1 (ko) 2017-12-01 2017-12-01 Dc-dc 변환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173385A1 (ko)
EP (1) EP3493380A1 (ko)
KR (1) KR1020058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3737B2 (en) * 2017-04-28 2021-01-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ower supply circuit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voltage and a predetermined current
KR102075470B1 (ko) * 2018-05-25 2020-02-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플라이백 컨버터
KR102256221B1 (ko) * 2019-12-27 2021-05-2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입력 인덕터와의 커플링을 이용한 dc-dc 변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9387A1 (de) * 1977-09-01 1979-03-15 Bosch Gmbh Robert Schaltregler, insbesondere doppelpulsiger schaltregler
EP2973974B1 (en) * 2013-06-26 2020-05-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Dc-dc boost converter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three-state switching cell
GB2532454A (en) * 2014-11-19 2016-05-25 Univ Plymouth Control arrangemen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K. Weinberg et al., A high power, high frequency, DC to DC converter for space applications, PESC '92 Record. 23rd Annual IEEE Power Electronics Specialists Conference,vo.2, pp.1140-1147. (1992.7.3)* *
E. Maset et al., 5kW Weinberg Converter for Battery Discharging in High-Power Communication Satellites, 2005 IEEE 36th Power Electronics Specialists Conference, pp.69-75. (2005.6.1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880B1 (ko) 2019-10-01
US20190173385A1 (en) 2019-06-06
EP3493380A1 (en)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2787B (zh) 反激变换器
US6501193B1 (en) Power converter having regulated dual outputs
KR102005881B1 (ko) Dc-dc 변환 시스템
US8743565B2 (en) High power converter architecture
US9577530B1 (en) Boost converter with zero voltage switching
US10686387B2 (en) Multi-transformer LLC resonant converter circuit
US20140029312A1 (en) High power converter architecture
US7535733B2 (en) Method of controlling DC-to-DC converter whereby switching control sequence applied to switching elements suppresses voltage surges at timings of switch-off of switching elements
US10361624B2 (en) Multi-cell power converter with improved start-up routine
JP2015159710A (ja) エネルギー回収スナバ
KR102482820B1 (ko) 절연형 스위칭 전원
KR20150044317A (ko) 컨버터 및 그 구동 방법
EP3731393A1 (en) Dc to dc converter with sequentially switched lc snubber and regenerative circuit
JP2008072856A (ja) Dc/dc電力変換装置
CN114793068A (zh) 电源转换器以及用于操作电源转换器的方法和控制器
KR20190064962A (ko) Dc-dc 변환 시스템
US6859372B2 (en) Bridge-buck converter with self-driven synchronous rectifiers
US6477064B1 (en) High efficiency DC-DC power converter with turn-off snubber
KR102081411B1 (ko) Dc-dc 변환 장치
KR101256032B1 (ko) 솔리드 스테이트 스위칭 회로
CN108736748B (zh) 电源转换装置及其同步整流控制器
KR101141374B1 (ko) 부스트 컨버터
US9564819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TWI586092B (zh) 單級交流至直流轉換器
JPWO2007116481A1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