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726A - 기능성 화장품 - Google Patents

기능성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726A
KR20190064726A KR1020170163855A KR20170163855A KR20190064726A KR 20190064726 A KR20190064726 A KR 20190064726A KR 1020170163855 A KR1020170163855 A KR 1020170163855A KR 20170163855 A KR20170163855 A KR 20170163855A KR 20190064726 A KR20190064726 A KR 20190064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s
cosmetic
container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349B1 (ko
Inventor
애들러 김
윤지영
Original Assignee
애들러 김
윤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들러 김, 윤지영 filed Critical 애들러 김
Priority to KR1020170163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349B1/ko
Priority to PCT/KR2018/014930 priority patent/WO2019107957A1/ko
Publication of KR20190064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효능을 갖는 화장료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나의 효과를 발현하는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화장품 용기와, 화장품 용기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서로 다른 효능을 갖는 복수의 화장료를 구비하며, 복수의 화장료는 배출경로 상 배출구와 가까이 배치된 화장료부터 배출구와 멀리 배치된 화장료 순서대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화장품의 목적이 달성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기능성 화장품{FUNCTIONAL COSMETICS}
본 발명은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효능을 갖는 화장료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나의 효과를 발현하는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이다. 특히 현대 화장품은 산업화 및 공업화에 따른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건강하게 유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어, 단순히 메이크업을 넘어서 피부를 아름답고 청결하게 하는 개인 위생 제품뿐만 아니라 기능성 화장품 등의 다양한 개념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화장품의 사용계층이 다양화되고 그 사용인구가 증가하면서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가 반영되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의 경우, 하나의 화장료만으로 기능성 화장품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여러 화장료를 사용함으로써 기능성 화장품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는 형태의 화장품 세트, 피부 케어 프로그램 등이 많이 출시되고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여러 화장품을 사용하여야 하는 화장품 세트는 화장품 양이 증가하여 보관, 휴대에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여러 화장품을 순서대로 사용해야 하는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사용 횟수, 사용기간 등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순차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서로 다른 효능을 갖는 복수의 화장료를 하나의 용기에 적층시켜 사용자에게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일 실시예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화장품 용기; 및 상기 화장품 용기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서로 다른 효능을 갖는 복수의 화장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화장료는, 배출경로 상 상기 배출구와 가까이 배치된 화장료부터 상기 배출구와 멀리 배치된 화장료 순서대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화장품의 목적이 달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는 정량(定量)의 화장료가 배출될 수 있는 정량 배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장료의 각각의 화장료는 효능이 발현되는 최적의 양이라고 사전에 정해진 양의 화장료가 상기 화장품 용기 내부에 각각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은 순차적으로 사용하여야 전체적으로 하나의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복수의 화장료가 순서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용기 내에 적층되어 있어, 여러 개의 화장품을 보관하거나 휴대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은 효능이 발현되는 최적의 양이 용기 내에 담겨 있고, 화장품 용기는 정량의 화장료가 배출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특별히 사용횟수, 사용일자를 기억하거나 체크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100)은 화장품 용기(110)와 복수의 화장료(150)를 구비한다.
화장품 용기(110)는 진공 타입의 화장품 용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장품 용기(110)는 용기 본체(120)와 용기 본체(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화장품 배출부(130)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120)는 용기 외주부(122), 용기 내주부(124) 및 피스톤(126)을 구비한다.
용기 외주부(122)는 용기 본체(120)의 외측을 구성하여 용기 본체(120) 내부의 구성물을 보호하는 것으로, 아크릴 또는 AS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크릴은 파괴강도와 내후성이 좋고, 변형율과 열전도율이 낮아 내동체(12)의 내부에 존재하는 화장료(150)를 안정하게 보호할 수 있어 적합하고, AS수지는 스티렌(styrene)에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을 공중합시킴에 의해 폴리스틸렌의 우수한 투과성, 가공성,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유성, 내후성 등을 개선한 것이다. 특히 아크릴 또는 AS수지는 투명성이 좋고 색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외관이 수려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용기 내주부(124)는 용기 외주부(12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화장료(150)를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은 내화학성이 좋아 화장품 성분과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화장료(150)가 용기 내주부(124)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기 내주부(124)가 비틀림 없이 안정하게 유지되고, 또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은 기밀성이나 윤활성이 높아 용기 내주부(124) 내의 화장료(150)가 배출됨에 따라 진공압에 의해 상승되는 피스톤(126)이 용기 내주부(124)의 내주면을 따라 밀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피스톤(126)은 용기 내주부(124)의 하부에 밀봉되게 삽입되어 형성된다. 피스톤(126)은 용기 내주부(124) 내의 화장료(150)가 배출됨에 따라 진공압에 의해 용기 내주부(124)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승되어 용기 내주부(124) 내의 화장료(150)가 화장품 배출부(13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화장료(150)의 사용에 따라 용기 내주부(124) 내부의 화장료(150)가 감소하면, 피스톤(126)이 상승하여 화장료(150)가 항상 화장품 배출부(130)와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이후에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화장품 배출부(130)는 용기 본체(1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120) 내의 화장료(150)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화장품 배출부(130)는, 화장품 배출부(130)의 상부에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출구(132)를 포함하는 누름 버튼(134)이 형성되고, 누름 버튼(134)의 하부에 입출구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136)가 형성되고, 체결부(136)는 입출구의 외주연에 형성된 숫나사부와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연에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체결부(136)의 중앙에는 배출구(132)와 연통되어 용기 본체(120) 내의 화장료(150)를 배출구(132)로 유동시키는 배출관(138)이 형성되며 배출관(138)의 하부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39)가 형성되어 누름 버튼(134)을 상부로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도 1에 화장품 배출부(130)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배출부(13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용기 본체(120) 내의 화장료(150)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 배출부(130)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100)는 진공 타입으로, 누름 버튼(134)을 누르면 누름 버튼(134)은 체결부(136)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면서 탄성 부재(139)를 가압하게 되고, 이때 용기 내주부(124)의 내부의 공기가 진공으로 형성되어 있어 피스톤(126)이 밀봉된 상태에서 용기 내주부(124)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여 화장료(150)를 밀어내게 되며, 이에 따라 화장료(150)가 배출관(138)과 배출구(132)를 차례로 지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화장품 용기(100)는 누름 버튼(134)를 한 번 누를 때 일정한 정량(定量)의 화장료(150)가 배출될 수 있는 정량 배출 수단(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진공 타입의 화장품 용기(110)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100)에 구비된 화장품 용기(11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에 배치된 화장료(150)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화장품 용기가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화장료(150)는 서로 다른 효능을 갖는 화장료로, 화장품 용기(110) 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배치된다. 도 1에는 서로 다른 효능을 갖는 4개의 화장료(제1 화장료(152), 제2 화장료(154), 제3 화장료(156), 제4 화장료(158))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화장료(150)는 화장품 용기(110) 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배치되되 서로 혼합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복수의 화장료(150)는 서로 다른 효능을 가지고 있으나, 이를 순차적으로 사용하면 전체적으로 하나의 효능을 가져 기능성 화장품(100)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는 화장료들로 구성된다.
예컨대, 기능성 화장품(100)이 피부재생용 기능성 화장품일 경우, 피부재생이라는 목적을 달성(피부재생이라는 효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질제거, 보습/영양, 밸런싱 및 재생 과정이 순차적으로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피부재생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 번째 단계로 각질제거의 효능을 갖는 제1 화장료(152)를 사용하고, 두 번째 단계로 보습과 영양의 효능을 갖는 제2 화장료(154)를 사용하고, 세 번째 단계로 밸런싱 효능을 갖는 제3 화장료(156)를 사용한 후, 마지막으로 피부 재생 효능을 갖는 제4 화장료(158)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화장료(152)는 각질제거의 효능을 갖는 유향나무 오일 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2 화장료(154)는 보습과 영양의 효능을 갖는 물푸레나무 오일 성분이 포함된 여러 식물을 블렌딩한 오일 성분이 포함될 수 있고, 제3 화장료(156)는 밸런싱 효능을 갖는 도금양과 로즈마리 에센스 오일 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4 화장료(158)는 재생 효능을 갖는 당근, 편맥, 헬리크리섬 오일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능성 화장품(100)이 피부 미백과 안티에이징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일 경우, 제1 화장료(152)는 ENZYMATIC RESURFACING SERUM일 수 있고, 제2 화장료(154)는 MODERATE BRIGHTENING SERUM일 수 있으며, 제3 화장료(156)는 INTENSIVE BRIGHTENING SERUM일 수 있고, 그리고 제4 화장료(158)는 RESTORATION AND PROTECTION SERUM일 수 있다. 즉, 제1 화장료(152)를 이용하여 먼저 각질을 제거하고 피부결을 정돈함과 동시에 피부 표면의 주름 등을 감소시킨 후, 제2 화장료(154)를 이용하여 최적화된 클리닉과 트리트먼트를 통해 안색을 개선시키고, 제3 화장료(156)를 이용하여 집중 트리트먼트를 수행하고 보습도 유지시키고, 마지막으로 제4 화장료(158)를 이용하여 피부 미백과 광택과 함께 피부 탄력과 보습을 회복시키게 된다.
상술한 2개의 예에서와 같이 피부재생이나 미백/안티에이징을 위해서는 서로 다른 효능을 갖는 4개의 화장료(152, 154, 156, 158)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야 한다. 그런데 기존의 기능성 화장품은 제1 화장료(152), 제2 화장료(154), 제3 화장료(156) 및 제4 화장료(158)가 각각 담겨 있는 4개의 화장품을 이용하여야만 피부재생이나 미백/안티에이징 효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즉, 4개의 화장품을 각각 일정 기간씩 순차적으로 사용하여야 전체적으로 피부재생(또는 미백과 안티에이징)이라는 효능이 구현되므로, 4개의 화장품을 보관하고,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각각의 화장품을 얼마나 사용하였는지 어느 정도 사용하여야 하는지를 기억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100)은 하나의 화장품 용기(110)에 전체적으로 피부재생(또는 미백과 안티에이징)이라는 효능을 구현하기 위한 4가지 화장료(15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으므로, 1개의 화장품만을 이용하면 되어 매우 간편하다. 또한, 화장품 용기(110) 내에 각각의 화장료(150)의 효능이 발현되는 최적의 양이라고 사전에 정해진 양의 화장료(150)가 각각 적층되어 있으므로, 누름 버튼(134)만을 누르는 것으로 정량(定量)의 화장료가 배출되어 제1 화장료(152)를 일정 기간 사용하여 모두 소모하면 자동적으로 제2 화장료(154)가 배출되고, 마찬가지로 제2 화장료(154)가 모두 소모되면 자동적으로 제3 화장료(156)가 배출되고, 제3 화장료(156)가 모두 소모되면 제4 화장료(158)가 배출되므로, 특별히 화장품을 얼마나 사용하였는지, 어느 정도 사용하였는지를 기억하지 않아도 효능 발현에 최적의 양의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100)에서 복수의 화장료(150)는 가장 먼저 사용되어야 할 제1 화장료(152)가 배출경로 상 배출구(134)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어야 하며, 순차적으로 제2 화장료(154), 제3 화장료(156) 및 제4 화장료(158)가 배치되어야 한다. 도 1에서는 배출구(134)와 인접하게 배치된 화장료(150)가 먼저 배출되는 형태의 화장품 용기(110)이므로,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4 화장료(158), 제3 화장료(156), 제2 화장료(154) 및 제1 화장료(152)가 적층된 형태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하부에 배치된 화장료(150)가 먼저 배출되는 형태의 화장품 용기가 이용된다면,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화장료(152), 제2 화장료(154), 제3 화장료(156) 및 제4 화장료(158)가 적층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기능성 화장품으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화장품 용기; 및
    상기 화장품 용기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서로 다른 효능을 갖는 복수의 화장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화장료는, 배출경로 상 상기 배출구와 가까이 배치된 화장료부터 상기 배출구와 멀리 배치된 화장료 순서대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화장품의 목적이 달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는 정량(定量)의 화장료가 배출될 수 있는 정량 배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장료의 각각의 화장료는 효능이 발현되는 최적의 양이라고 사전에 정해진 양의 화장료가 상기 화장품 용기 내부에 각각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20170163855A 2017-12-01 2017-12-01 기능성 화장품 KR102023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855A KR102023349B1 (ko) 2017-12-01 2017-12-01 기능성 화장품
PCT/KR2018/014930 WO2019107957A1 (ko) 2017-12-01 2018-11-29 기능성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855A KR102023349B1 (ko) 2017-12-01 2017-12-01 기능성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726A true KR20190064726A (ko) 2019-06-11
KR102023349B1 KR102023349B1 (ko) 2019-09-20

Family

ID=6666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855A KR102023349B1 (ko) 2017-12-01 2017-12-01 기능성 화장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3349B1 (ko)
WO (1) WO2019107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039B1 (ko) * 2020-05-29 2021-07-01 최현철 피부미용기기를 위한 앰플장치 및 그 장치의 제조방법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244A (ja) * 1998-12-01 2000-07-11 L'oreal Sa 多相組成物を分配するための装置、この種の装置の使用および使用方法
JP3079150B2 (ja) * 1991-12-04 2000-08-21 株式会社大阪造船所 複層吐出用の包装容器および包装製剤
KR200262423Y1 (ko) * 2001-08-16 2002-03-18 김문희 멀티피스 립스틱케이스
KR200394424Y1 (ko) * 2005-06-22 2005-08-31 (주)민진 내용물의 소진인지수단이 구비된 디스펜서 용기
JP4286154B2 (ja) * 2002-06-26 2009-06-24 株式会社ダイゾー 複数内容物吐出用の包装容器、その包装容器を用いた包装製品およびその包装製品の製造方法
KR200450883Y1 (ko) * 2007-09-17 2010-11-08 주식회사 다린 펌프 디스펜서
KR20110002628U (ko) * 2009-09-08 2011-03-16 (주)아모레퍼시픽 매니큐어 용기
KR20130099432A (ko) * 2012-02-29 2013-09-06 (주)연우 이종 내용물의 배출구조를 갖는 펌핑식 화장품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5944B1 (ko) * 2013-08-08 2014-04-16 정상열 내용물 배출용 에어리스 펌프의 사이드 버튼
KR101422069B1 (ko) * 2013-09-26 2014-07-23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200473968Y1 (ko) * 2013-02-14 2014-08-13 (주)아모레퍼시픽 이종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
KR20170082921A (ko) * 2016-01-07 2017-07-17 하좌용 디스펜서
KR101806524B1 (ko) * 2016-10-31 2017-12-07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279B1 (ko) * 2009-08-13 2013-01-28 임미숙 이중용기
KR101802270B1 (ko) * 2015-04-16 2017-11-28 (주)아우딘퓨쳐스 분리형 화장품 용기
KR101588376B1 (ko) * 2015-10-20 2016-01-25 (주)코비젼 복합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150B2 (ja) * 1991-12-04 2000-08-21 株式会社大阪造船所 複層吐出用の包装容器および包装製剤
JP2000189244A (ja) * 1998-12-01 2000-07-11 L'oreal Sa 多相組成物を分配するための装置、この種の装置の使用および使用方法
KR200262423Y1 (ko) * 2001-08-16 2002-03-18 김문희 멀티피스 립스틱케이스
JP4286154B2 (ja) * 2002-06-26 2009-06-24 株式会社ダイゾー 複数内容物吐出用の包装容器、その包装容器を用いた包装製品およびその包装製品の製造方法
KR200394424Y1 (ko) * 2005-06-22 2005-08-31 (주)민진 내용물의 소진인지수단이 구비된 디스펜서 용기
KR200450883Y1 (ko) * 2007-09-17 2010-11-08 주식회사 다린 펌프 디스펜서
KR20110002628U (ko) * 2009-09-08 2011-03-16 (주)아모레퍼시픽 매니큐어 용기
KR20130099432A (ko) * 2012-02-29 2013-09-06 (주)연우 이종 내용물의 배출구조를 갖는 펌핑식 화장품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73968Y1 (ko) * 2013-02-14 2014-08-13 (주)아모레퍼시픽 이종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
KR101385944B1 (ko) * 2013-08-08 2014-04-16 정상열 내용물 배출용 에어리스 펌프의 사이드 버튼
KR101422069B1 (ko) * 2013-09-26 2014-07-23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20170082921A (ko) * 2016-01-07 2017-07-17 하좌용 디스펜서
KR101806524B1 (ko) * 2016-10-31 2017-12-07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349B1 (ko) 2019-09-20
WO2019107957A1 (ko)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07521A1 (en) Ergonomic container
KR20190064726A (ko) 기능성 화장품
CN205624999U (zh) 抽拉式化妆粉盒
CN204105137U (zh) 一种便于握持的餐盒
CN205813889U (zh) 化妆品容器
CN209548408U (zh) 一种用于祛疲劳的艾饼包
CN203158387U (zh) 一种收纳盒
CN207107210U (zh) 一种新型组合瓶
CN218796666U (zh) 一种钥匙扣结构的喷雾瓶
CN201258136Y (zh) 便携双效盒
CN204896112U (zh) 一种多功能塑料盒
CN201127376Y (zh) 化妆品容器
CN108851620A (zh) 智能梳妆台
KR20190120675A (ko) 방수와 분리가 가능한 블루투스 스피커를 겸비한 휴대용 목욕용품 케이스
CN201806133U (zh) 两用唇膏盒
CN207532065U (zh) 一种可叠加组合瓶体
CN204416160U (zh) 一种多功能防烫泡面盒
CN2883189Y (zh) 一种包装盒
CN210259536U (zh) 一种化妆品套餐塑料包装盒
CN208454917U (zh) 一种纳米复合碳皂
CN207242274U (zh) 一种盛放质控品的包装结构
CN209290950U (zh) 折叠水瓶
CN209172150U (zh) 一种陶瓷防滑盥洗器具
CN207428683U (zh) 一种化妆盒
CN201967740U (zh) 一种一次性卫生手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