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561A - 구분 구조의 넥 워머 - Google Patents

구분 구조의 넥 워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561A
KR20190064561A KR1020190065271A KR20190065271A KR20190064561A KR 20190064561 A KR20190064561 A KR 20190064561A KR 1020190065271 A KR1020190065271 A KR 1020190065271A KR 20190065271 A KR20190065271 A KR 20190065271A KR 20190064561 A KR20190064561 A KR 20190064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se unit
protection
neck warmer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5479B1 (ko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이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석 filed Critical 이원석
Priority to KR1020190065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4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분 구조의 넥 워머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상하로 특성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구분 영역으로 이루어진 넥 워머에 관한 것이다. 구분 구조의 넥 워머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면서 위쪽 면과 아래쪽 면이 개방된 베이스 유닛에 의하여 형성되는 1 보호 유닛(11); 및 베이스 유닛의 내부 둘레 면에 결합되어 베이스 유닛의 적어도 일부에 이중 겹의 밀폐 영역을 형성시키는 플리스(fleece) 원단의 보온 유닛(15)에 의하여 형성되는 2 보호 유닛(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온 유닛(15)의 한쪽 끝은 2 보호 유닛(12)의 아래쪽 끝의 외부 면에 봉재가 된다.

Description

구분 구조의 넥 워머{A Neck Warmer Having a Distinguishing Area}
본 발명은 구분 구조의 넥 워머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상하로 특성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구분 영역으로 이루어진 넥 워머에 관한 것이다.
추위로부터 목 또는 얼굴을 보호하기 위하여 목에 두르는 섬유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진 넥 워머는 방한 의류에 해당한다. 넥 워머는 주로 목 부위를 추위로부터 보호하는 목적을 가지지만 넥 워머의 형상에 따라 입 또는 코 부위와 같은 얼굴 부위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쪽 면과 위쪽 면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의 넥 워머는 목 또는 얼굴의 일부를 가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넥 워머는 사용 과정에서 넥 워머의 위쪽 부분으로 입 또는 코 부분을 가릴 수 있고,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다양한 형태의 넥 워머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59497호는 착용 시 흘러내림이 없이 눈과 이마를 제외한 얼굴 전체를 안정적으로 감싸서 보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미니 모자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넥 워머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0804호는 고정 끈을 구비하면서 일부를 내부로 노출시켜 귀에 걸 수 있는 귀걸이부를 형성하는 새로운 구성으로 흘러내림이 방지되어 내부 시 활동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통기성이 확보되어 호흡이 용이함을 물론이고 안경에 발생될 수 있는 성에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의사소통이 원활하면서 외부 공기나 빗물이 쉽게 유입되지 못하는 구조를 가지는 원통형 방한 마스크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에서 공지된 넥 워머는 흘러내림 방지 또는 통기성 확보에 유리한 구조를 가지지만 얼굴 부분과 목 부분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도록 만들어져 착용감이 향상되면서 이와 동시에 부위에 따른 보온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넥 워머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59497호((주)제이앤제이유에스에이, 2012년04월02일 공고) 다용도 넥워머 선행기술 2: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0804호(박기용, 2012년06월11일 공고) 원통형 방한 마스크
본 발명의 목적은 위쪽과 아래쪽 부분이 개방이 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구분 영역이 형성된 구분 구조의 넥 워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구분 구조의 넥 워머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면서 위쪽 면과 아래쪽 면이 개방된 베이스 유닛에 의하여 형성되는 1 보호 유닛; 및 베이스 유닛의 내부 둘레 면에 결합되어 베이스 유닛의 적어도 일부에 이중 겹의 밀폐 영역을 형성시키는 플리스(fleece) 원단의 보온 유닛에 의하여 형성되는 2 보호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온 유닛의 한쪽 끝은 2 보호 유닛의 아래쪽 끝의 외부 면에 봉재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베이스 유닛은 폴리에스터 원단이 되고, 보온 유닛의 다른 끝은 베이스 유닛의 전체 길이의 1/4 내지 4/5가 되는 위치의 내부 면에 원형으로 결합되어 1, 2 보호 유닛의 경계가 되는 밀폐 테두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온 유닛의 한쪽 끝은 2 보호 유닛의 아래쪽 끝에 보호 유닛으로 형성된 마감 테두리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넥 워머는 상하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진 부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목과 얼굴 부위에 대한 적절한 보온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넥 워머는 착용 상태에서 호흡에 따른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분 영역 구조의 넥 워머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넥 워머가 만들어지는 과정이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넥 워머의 연결 부분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분 영역 구조의 넥 워머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분 구조의 넥 워머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면서 위쪽 면과 아래쪽 면이 개방된 베이스 유닛에 의하여 형성되는 1 보호 유닛(11); 및 베이스 유닛의 내부 둘레 면에 결합되어 베이스 유닛의 적어도 일부에 이중 겹의 밀폐 영역을 형성시키는 플리스(fleece) 원단의 보온 유닛(15)에 의하여 형성되는 2 보호 유닛(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온 유닛(15)의 한쪽 끝은 2 보호 유닛(12)의 아래쪽 끝의 외부 면에 봉재가 된다.
넥 워머는 전체적으로 위쪽 면과 아래쪽 면이 열린 원통 형상이 될 수 있고, 1 보호 유닛(11)과 1 보호 유닛(11)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2 보호 유닛(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 보호 유닛(11)과 2 보호 유닛(12)의 바깥쪽 면은 베이스 원단으로 형성이 되고, 1 보호 유닛(11)의 1 내부 부분(11a)은 베이스 원단의 안쪽 면으로 이루어지고, 2 보호 유닛(12)의 안쪽 면은 예를 들어 플리스 소재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보온 유닛(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1 보호 유닛(11)은 한 겹의 원통 형상이 되고, 2 보호 유닛(12)은 두 겹의 원통 형상이 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원단의 양쪽 끝이 결합되어 위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이 열린 원통 형상이 되면서 1 보호 유닛(11)을 형성하면서 이와 동시에 2 보호 유닛(12)의 바깥 면을 형성할 수 있다. 2 보호 유닛(12)은 어깨에 걸쳐지고, 1 보호 유닛(11)은 목 주위 또는 얼굴의 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1 보호 유닛(11)과 2 보호 유닛(12)은 밀폐 테두리(13)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은 예를 들어 신축성 폴리에스터 원단으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베이스 유닛은 70 내지 95 wt%의 폴리에스터 섬유와 전체를 100 wt%로 만드는 면섬유 또는 다른 신축성 섬유의 혼방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1 보호 유닛(11)이 적절한 수준의 통기성과 보온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 유닛의 내부 면에 보온 유닛(15)이 덧대어 지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2 보호 유닛(12)이 형성될 수 있다. 보온 유닛(15)은 플리스(fleece) 원단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라 플리스(polar fleece), 폴라 플러스(polar plus), 폴라 텍(polar tec) 또는 폴라 터프(polar tuff)와 같은 원단이 될 수 있다. 또는 보온 유닛(15)은 벨보아 원단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온 유닛(15)은 원통 형상의 베이스 유닛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아래쪽 부분을 내부에서 감싸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2 보호 유닛(12)이 이중 겹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보온 유닛(15)의 한쪽 끝은 원형이 되면서 베이스 유닛의 아래쪽 끝에 결합이 되어 넥 워머의 외부 아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온 유닛(15)의 한쪽 끝은 베이스 유닛의 안쪽 끝의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베이스 유닛으로 이루어진 2 보호 유닛(12)의 외부 면의 끝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보온 유닛(15)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아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유닛의 아래쪽 끝과 보온 유닛(15)의 아래쪽 끝의 봉재 선은 넥 워머의 외부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보온 유닛(15)의 위쪽 끝은 베이스 유닛의 내부 면에 봉재가 되어 1 보호 유닛(11)과 2 보호 유닛(12)의 경계선이 되는 밀폐 테두리(13)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온 유닛(15)의 위쪽 끝은 베이스 유닛의 전체 길이의 1/4 내지 4/5가 되는 위치의 내부 면에 원형으로 결합되어 밀폐 테두리(13)를 형성할 수 있고, 밀폐 테두리(13)는 베이스 유닛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봉재선과 베이스 유닛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 경계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온 유닛(15)의 아래쪽 끝이 베이스 유닛의 아래쪽 끝을 감싸는 형태로 아래쪽 부분에 봉재가 되고, 보온 유닛(15)의 다른 끝은 베이스 유닛의 내부 면에 폭 방향으로 내부 둘레 면을 따라 봉재가 되는 것에 의하여 넥 워머의 아래쪽 부분에 2 보호 유닛(12)이 이중 겹으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보온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보온 공간을 형성하는 2 보호 유닛(12)은 목 부분 또는 얼굴의 입 아래쪽 부분의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1 보호 유닛(11)은 입 또는 코 부위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1 보호 유닛(11)의 위쪽 테두리(111)는 안쪽으로 말린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다. 또한 1 보호 유닛(11)과 2 보호 유닛(12)의 외부 면에 다양한 형상이 인쇄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넥 워머가 만들어지는 과정이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분 구조의 넥 워머는 베이스 유닛 및 보온 유닛을 위한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P21); 베이스 유닛의 한쪽 면에 열 전사 방식으로 디자인을 인쇄하는 단계(P22); 베이스 유닛을 1 보호 유닛과 2 보호 유닛의 형성을 위한 크기로 재단하는 단계(P23); 및 보온 유닛을 베이스 유닛의 내부 면에 결합하는 단계(P2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과 보온 유닛을 위한 원단은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폴리에스터 또는 플리스 원단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에스터 원단은 신축성 및 통기성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탄성 회복율이 20 내지 55 %가 되고, 공기 투과도(air permeability)가 0.6 ㎤/㎠/s 이상이 되는 폴리에스터 원단 또는 폴리에스터/면 혼방 원단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베이스 유닛이 일정 수준의 탄성 회복율과 공기 투과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1 보호 유닛에 의하여 얼굴 부분이 가려지도록 하는 경우 탄성 또는 신축성에 의하여 얼굴 부위에 밀착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입 또는 코를 통한 호흡의 어려움이 방지되도록 한다.
베이스 유닛과 보온 유닛을 위한 원단이 준비되면(P21), 베이스 유닛의 한쪽 면에 디자인이 인쇄가 될 수 있다(P22). 예를 들어 디자인은 흰색 폴리에스터 원단에 디자인이 인쇄가 된 인쇄지를 열 프레스 방식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전사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에 인쇄가 되는 디자인은 미리 결정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이 다양한 인쇄 방법으로 베이스 유닛의 한쪽 면에 인쇄가 될 수 있고, 1 보호 유닛과 2 보호 유닛에 각각 서로 다른 디자인이 인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베이스 유닛의 한쪽 면에 인쇄가 되면 베이스 유닛이 재단이 될 수 있다(23). 베이스 유닛의 재단은 예를 들어 인쇄가 된 베이스 유닛의 원단을 인쇄 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결합되는 부분, 마무리가 되는 부분 또는 보온 유닛이 결합되는 부분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베이스 유닛이 재단이 되어 플리스 원단의 결합 위치가 결정되면, 내피 형태로 보온 유닛이 결합될 수 있다(P24).
베이스 유닛은 사각형이 될 수 있고, 사각 형상의 베이스 유닛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보온 유닛의 위쪽 끝과 아래쪽 끝이 결합될 수 있다(P24). 이에 의하여 베이스 유닛은 한 겹이 되는 부분과 이중 겹으로 된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유닛의 양쪽 끝이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1 보호 유닛과 2 보호 유닛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1 보호 유닛은 한 겹으로 된 실린더 형상이 되고, 이중 겹으로 된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넥 워머가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넥 워머의 연결 부분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가)는 밀폐 테두리(13)의 바깥쪽 부분과 안쪽 부분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나)는 마감 테두리(14)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가)를 참조하면, 밀폐 테두리(13)는 둘레 면을 따라 연장되는 세 개의 마감 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세 개의 마감 선에 의하여 밀폐 테두리(13)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스트립 경계 영역(131, 132)을 형성할 수 있다. 스트립 경계 영역(131, 132)은 베이스 유닛의 안쪽 면에 보호 유닛의 끝 부분을 띠 형태로 재직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스트립 경계 영역(131, 132)의 형성을 위하여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루프가 형성되도록 재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트립 경계 영역(131, 132)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얼굴 부분을 보호를 위하여 1 보호 유닛(11)을 위쪽으로 당길 때 2 보호 유닛(12)이 위쪽 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1 보호 유닛(11)이 얼굴 부분에 착용된 상태에서 얼굴 부분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2 보호 유닛(11)이 위쪽 방향으로 당겨 올라가는 것이 완화될 수 있다.
도 3의 (나)를 참조하면, 마감 테두리(14)는 보온 유닛(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온 유닛(15)은 베이스 유닛의 안쪽 면에 한쪽 끝이 마감 선에 의하여 고정되고, 다른 끝은 베이스 유닛의 아래쪽 끝 너머로 연장된 이후 베이스 유닛의 바깥쪽 부분에 마감이 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마감 테두리(14)는 아래쪽으로 볼록한 보온 유닛(15)의 이중 겹 밀폐 마감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보온 유닛(15)은 베이스 유닛에 비하여 큰 보온성을 가지면서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마감 테두리(14)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보온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넥 워머의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한다.
밀폐 테두리(13) 또는 마감 테두리(14)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에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넥 워머는 상하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진 부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목과 얼굴 부위에 대한 적절한 보온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넥 워머는 착용 상태에서 호흡에 따른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1 보호 유닛 11a: 1 내부 부분
12: 2 보호 유닛 13: 밀폐 테두리
14: 마감 테두리 15: 보온 유닛
111: 위쪽 테두리 131, 132: 마감 테두리

Claims (1)

  1.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면서 위쪽 면과 아래쪽 면이 개방된 폴리에스터 원단의 베이스 유닛의 일부로 형성되는 1 보호 유닛(11); 및
    1 보호 유닛(11)의 아래쪽에 형성되고, 베이스 유닛과 함께 이중 겹의 밀폐 영역을 형성시키는 플리스(fleece) 원단의 보온 유닛(15)이 베이스 유닛의 내부 둘레 면에 결합된 2 보호 유닛(12)으로 이루어지고,
    1 보호 유닛(11)과 2 보호 유닛(12)은 밀폐 테두리에 의하여 구분되고, 베이스 유닛은 70 내지 95 wt%의 폴레에스터 섬유와 전체를 100 wt%로 만드는 면섬유로 이루어지면서 탄성 회복율이 20 내지 55 %가 되고, 공기 투과도(air permeability)가 0.6 ㎤/㎠/s 이상이 되어 통기성 및 보온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 구조의 넥 워머.
KR1020190065271A 2019-06-03 2019-06-03 구분 구조의 넥 워머 KR102085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271A KR102085479B1 (ko) 2019-06-03 2019-06-03 구분 구조의 넥 워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271A KR102085479B1 (ko) 2019-06-03 2019-06-03 구분 구조의 넥 워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986A Division KR20190029495A (ko) 2018-11-16 2018-11-16 구분 구조의 넥 워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561A true KR20190064561A (ko) 2019-06-10
KR102085479B1 KR102085479B1 (ko) 2020-03-05

Family

ID=6684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271A KR102085479B1 (ko) 2019-06-03 2019-06-03 구분 구조의 넥 워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4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497Y1 (ko) 2011-12-21 2012-04-02 (주)제이앤제이유에스에이 다용도 넥워머
KR200460804Y1 (ko) 2011-12-30 2012-06-11 기 용 박 원통형 방한 마스크
JP2014503288A (ja) * 2010-12-22 2014-02-13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飛散防御性を有するフェイスマスク
KR20150000911U (ko) * 2013-08-22 2015-03-04 경 주 신 넥 워머
KR20170098047A (ko) * 2016-02-19 2017-08-29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헤어웨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3288A (ja) * 2010-12-22 2014-02-13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飛散防御性を有するフェイスマスク
KR200459497Y1 (ko) 2011-12-21 2012-04-02 (주)제이앤제이유에스에이 다용도 넥워머
KR200460804Y1 (ko) 2011-12-30 2012-06-11 기 용 박 원통형 방한 마스크
KR20150000911U (ko) * 2013-08-22 2015-03-04 경 주 신 넥 워머
KR20170098047A (ko) * 2016-02-19 2017-08-29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헤어웨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ibers and Polymers, Vol. 14(7), pp. 1172-1178.(201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479B1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5230A (en) Multifunction head apparel
US4996723A (en) Dress having ventilation means in the sleeves, hem and coverable ventilation means in the bodice
US20140101822A1 (en) Adjustable wrap
US20140007315A1 (en) Privacy Cover
US9993042B1 (en) Headgear system that includes easily coupled cap and outer head covering and that helps to protect against vision obstruction
KR101525794B1 (ko) 보호 마스크를 가진 넥워머
KR20190064561A (ko) 구분 구조의 넥 워머
KR20190029495A (ko) 구분 구조의 넥 워머
KR200497543Y1 (ko) 일체형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1314798B1 (ko) 원통형 스카프
KR200470496Y1 (ko) 다기능 비니모자
TW202045050A (zh) 外衣
KR200381634Y1 (ko) 굴곡 밀착구조를 갖는 마스크
KR200497414Y1 (ko) 이중 구조 원단을 이용한 뒤판 안쪽 면 모자 내장형 재킷
KR200491609Y1 (ko) 귀 보온 부분을 가진 후드
KR200421775Y1 (ko) 모자를 내장한 탈착식 목도리
KR200472399Y1 (ko) 마스크를 구비한 방한용 두건
KR200480036Y1 (ko) 아기캐리어 커버
KR200363377Y1 (ko) 차양모자
KR20200079596A (ko) 착용 안정감이 향상된 넥워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넥워머
KR200497216Y1 (ko) 안면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의류
CN214260400U (zh) 全面部型防护面罩
CN201067108Y (zh) 功能性遮阳帽
KR200348895Y1 (ko) 얼굴보온마스크
KR200381492Y1 (ko) 방한용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