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453A - 태그 디바이스 및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태그 디바이스 및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453A
KR20190064453A KR1020180145713A KR20180145713A KR20190064453A KR 20190064453 A KR20190064453 A KR 20190064453A KR 1020180145713 A KR1020180145713 A KR 1020180145713A KR 20180145713 A KR20180145713 A KR 20180145713A KR 20190064453 A KR20190064453 A KR 20190064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nsity
signal
data
reader device
ta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1024B1 (ko
Inventor
유태진
김영진
류제인
심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씨티케이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씨티케이 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씨티케이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190064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태그 디바이스 및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은 태그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드라이버 사이즈를 가지는 복수의 변조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며, 선택된 변조기를 이용하여, 리더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Description

태그 디바이스 및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TAG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AG DEVICE}
아래의 설명은 태그 디바이스 및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ID 무선통신 기술의 하나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해 10cm 내의 짧은 거리에서 단말기끼리 데이터를 상호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 NFC는 비접촉 통신 기술로 사물의 다양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전자 태그(RFID)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RFID는 리더기에서 정보 읽기 기능밖에 사용할 수 없었던 반면에 NFC는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NFC가 장착된 경우에 NFC 안테나를 활성화하면, 스마트폰 자체가 카드리더기 역할을 수행한다. 즉, 교통카드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폰을 버스에 설치된 단말기에 대면 스마트폰은 단말기에 잔액 정보를 주고 단말기는 정보를 받아 결제할 수 있다.
즉, NFC가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기입 및 독출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통신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구현 비용이 저렴하고, 상대적으로 우수한 보안성을 갖는다.
일실시예에 따른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은 상기 태그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드라이버 사이즈를 가지는 복수의 변조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변조기를 이용하여, 상기 리더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복수의 변조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클수록 드라이버 사이즈가 작은 변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복수의 변조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작을수록 드라이버 사이즈가 큰 변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복수의 변조기들 각각은 대응하는 드라이버 사이즈에 따른 세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로부터 생성된 전압을 제한하는 리미터(limiter) 내 다이오드에 연결된 저항의 전압을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전압을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신호의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태그 디바이스는 상기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획득된 전원으로 구동하고, 상기 신호로부터 획득된 인쿼리(inquiry)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데이터를 상기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을 처리하는 NFC 태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은 상기 태그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할 데이터의 세기를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된 세기의 데이터를 상기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데이터를 증폭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클수록 상기 데이터의 세기를 작게 증폭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데이터를 증폭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작을수록 상기 데이터의 세기를 크게 증폭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데이터를 증폭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세기에 따라 다단 증폭기에 포함된 복수의 증폭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증폭기들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세기를 증폭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태그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드라이버 사이즈를 가지는 복수의 변조기들; 상기 태그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는 RF 세기 검출기; 및 상기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변조기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변조기를 이용하여 상기 리더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태그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클수록 드라이버 사이즈가 작은 변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태그 디바이스에서 상기 RF 세기 검출기는 상기 신호로부터 생성된 전압을 제한하는 리미터 내 다이오드에 연결된 저항의 전압을 증폭하는 전압 증폭기; 및 상기 증폭된 전압을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태그 디바이스는 상기 태그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는 RF 세기 검출기; 상기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할 데이터의 세기를 증폭하는 다단 증폭기; 및 상기 증폭된 세기의 데이터를 상기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안테나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태그 디바이스에서 상기 다단 증폭기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클수록 상기 데이터의 세기를 작게 증폭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할 데이터의 세기를 적응적으로 결정함으로써, 리더 디바이스와 태그 디바이스 간 거리에 강인한 NFC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드라이버 사이즈를 가지는 복수의 변조기들 중에서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적절한 변조기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변조하거나, 또는 다단 증폭기에 포함된 복수의 증폭기들 중에서 신호의 세기에 적절한 개수의 증폭기를 선택하여 변조된 데이터의 세기를 증폭함으로써, 리더 디바이스와 태그 디바이스 간 거리에 적절한 세기로 데이터를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NFC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태그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RF 세기 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태그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다단 증폭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실시예의 범위가 본문에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공지된 기능 및 구조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NFC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NFC 시스템(100)은 태그 디바이스(110) 및 리더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리더 디바이스(120)는 태그 디바이스(110)와 NFC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태그 디바이스(110)로 인쿼리(inquiry) 및 전력을 포함한 신호를 전송하고, 신호에 포함된 전력으로 구동된 태그 디바이스(110)로부터 응답(response)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등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더 디바이스(120)는 13.56MHz에서 공진하는 AC(Alternating Current) 신호를 태그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태그 디바이스(110)는 리더 디바이스(120)와 NFC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이동 전화, PDA,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 넷북, 랩톱 컴퓨터 등 NFC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태그 디바이스(110)는 리더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생성된 전압을 통해 구동할 수 있으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리더 디바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NFC 통신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서, 태그 디바이스(110)와 리더 디바이스(120) 간의 거리에 따라 태그 디바이스(110)에서 리더 디바이스(120)로 전송된 데이터가 강한 세기로 전달되어 큰 노이즈가 함께 전달되거나, 또는 약한 세기로 전달되어 리더 디바이스(120)가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태그 디바이스(110)에서 리더 디바이스(120)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세기를 적절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태그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태그 디바이스(200)는 정류기(rectifier)(210), 리미터(limiter)(220), 밴드갭 & LDO(bandgap & low drop regulator)(230), 복조기(demodulator)(240), 클럭 생성기(clock generator)(250), RF 세기 검출기(RF strength detector)(260), 복수의 변조기들(modulators)(270) 및 메모리(28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기(210)는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기(210)는 안테나를 통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전압보다 낮은 전압(예컨대, 2~8V)이 입력되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전압 이상으로 상승시켜서 안정된 레벨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정류기(210)는 전압 더블러(voltage doubler)를 포함할 수 있다.
리미터(220)는 안테나를 통해 미리 정해진 제2 기준전압보다 큰 전압이 입력되면, 입력된 전압의 일부를 바이패스(bypass)시켜서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밴드갭 & LDO(230)는 BGR(bandgap reference) 및 LDO를 포함할 수 있다. BGR은 LDO의 출력을 안정시키기 위한 기준 전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 동작 온도 범위(예컨대, -40℃~125℃) 내에서 작은 편차를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LDO는 전압 레귤레이터가 내장되어 있어 외부 공급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안정적인 내부 공급 전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DO는 1.5V 및 2.5V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복조기(240)는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복원하는 수신기(receiver)일 수 있다.
클럭 생성기(250)는 복조기(240)에서 복원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NFC 클럭 주파수(예컨대, 13.56MHz)를 생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8μm 이내의 안정된 주파수가 생성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RF 세기 검출기(260)는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태그 디바이스에 수신된 신호의 세기는 태그 디바이스와 리더 디바이스 간의 거리가 먼 경우보다 가까운 경우에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RF 세기 검출기(240)에서 결정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태그 디바이스와 리더 디바이스 간의 거리가 유추될 수 있다. RF 세기 검출기(24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복수의 변조기들(270)은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할 데이터를 ASK(amplitude shift keying) 신호로 변조하는 송신기(transmitter)일 수 있다. 복수의 변조기들(270)은 서로 다른 드라이버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버 사이즈는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변조기들(270)은 서로 다른 세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부하 변조(load modulation)를 수행하는 장치들일 수 있다.
RF 세기 검출기(260)에서 결정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변조기들(27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선택된 변조기에서 데이터가 ASK 신호로 변조되어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변조된 ASK 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태그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제어기가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변조기들(27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변조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변조하여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280)는 RF 세기 검출기(260)에서 결정된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는 변조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EEPROM, E-FUSE와 같은 NVM(non-volatile memory) 등일 수 있다. 제어기는 메모리(28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변조기들(270) 중에서 RF 세기 검출기(260)에서 결정된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는 변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RF 세기 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RF 세기 검출기(260)는 저항(310), 전압 멀티플라이어(voltage multiplier)(320) 및 비교기(comparator)(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340)는 리미터에 포함된 소자일 수 있다. RF 세기 검출기(260)는 저항(310)에 흐르는 전류의 양으로 신호의 세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저항(310)은 다이오드(340) 아랫단에 연결된 소자로서,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은 저항 값을 가질 수 있다. 전압 멀티플라이어(320)는 저항(130) 양단에 걸린 전압을 증폭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저항의 전압을 10~100배로 증폭시킬 수 있다. 그리고, 비교기(330)는 전압 멀티플라이어(320)에서 증폭된 전압과 기준 전압(reference voltage)을 비교함으로써, 신호의 세기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기(330)는 증폭된 전압 및 기준 전압 중 어느 전압이 큰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비교기(330)의 출력을 이용하여 증폭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 전압보다 큰지, 작은지 또는 같은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비교기들을 이용할 경우, 신호의 세기가 세밀하게 판단될 수도 있다. 결정된 신호의 세기는 전송 드라이버 사이즈 제어(transmitter driver size control)에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비교기(330)가 ADC(analog digital converter)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처럼, 신호의 세기를 결정함으로써, 전송 드라이버를 2단 또는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어, 더 넓은 RF 범위에서 태그 디바이스가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태그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태그 디바이스(400)는 정류기, 리미터, 밴드갭 & LDO, 복조기, 클럭 생성기, RF 세기 검출기(410), 변조기(420), 다단 증폭기(Multi-stage Amplifier)(430) 및 메모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류기, 리미터, 밴드갭 & LDO, 복조기, 클럭 생성기, RF 세기 검출기(410)의 동작들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변조기(420)는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일 송신기일 수 있다.
다단 증폭기(430)는 RF 세기 검출기(410)에서 결정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할 데이터의 세기를 증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단 증폭기(430)는 신호의 세기가 클수록 데이터의 세기를 작게 증폭할 수 있다. 또는, 다단 증폭기(430)는 신호의 세기가 작을수록 데이터의 세기를 크게 증폭할 수 있다. 다단 증폭기(430)는 복수의 증폭기들을 포함하고, 신호의 세기에 따라 복수의 증폭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며, 선택된 증폭기들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세기를 증폭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다단 증폭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다단 증폭기(500)는 복수의 증폭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RF 세기 검출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증폭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선택된 증폭기는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세기를 증폭시킬 수 있다. 이처럼, RF 세기 검출기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세기를 증폭시켜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태그 디바이스와 리더 디바이스 간 거리에 강인한 NFC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이 도시된다.
단계(610)에서, 태그 디바이스는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태그 디바이스는 신호로부터 생성된 전압을 제한하는 리미터(limiter) 내 다이오드에 연결된 저항의 전압을 증폭하고, 증폭된 전압을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과 비교함으로써, 신호의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태그 디바이스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드라이버 사이즈를 가지는 복수의 변조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복수의 변조기들은 대응하는 드라이버 사이즈에 따른 세기로 전송되도록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디바이스는 신호의 세기가 클수록 드라이버 사이즈가 작은 변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태그 디바이스는 신호의 세기가 작을수록 드라이버 사이즈가 큰 변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630)에서, 태그 디바이스는 선택된 변조기를 이용하여 리더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6에 도시된 각 단계들에는 도 1 내지 도 5를 통하여 전술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이 도시된다.
단계(710)에서, 태그 디바이스는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결정한다.
단계(720)에서, 태그 디바이스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할 데이터의 세기를 증폭한다. 예를 들어, 태그 디바이스는 신호의 세기가 클수록 데이터의 세기를 작게 증폭할 수 있다. 또는, 태그 디바이스는 신호의 세기가 작을수록 데이터의 세기를 크게 증폭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태그 디바이스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다단 증폭기에 포함된 복수의 증폭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증폭기들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세기를 증폭할 수 있다.
단계(730)에서, 태그 디바이스는 증폭된 세기의 데이터를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도 7에 도시된 각 단계들에는 도 1 내지 도 5를 통하여 전술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프로세서 (Processor), 컨트롤러 (Controller),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와 같은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Programmable Logic Element), 다른 전자 기기들 및 이것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hardware components)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기능들(functions) 또는 프로세스들(processes) 중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software)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기록 매체(recording medium)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 기능들 및 프로세스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0: NFC 시스템
110: 태그 디바이스
120: 리더 디바이스

Claims (15)

  1.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태그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드라이버 사이즈를 가지는 복수의 변조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변조기를 이용하여, 상기 리더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조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클수록 드라이버 사이즈가 작은 변조기를 선택하는,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조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작을수록 드라이버 사이즈가 큰 변조기를 선택하는,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조기들 각각은
    대응하는 드라이버 사이즈에 따른 세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데이터를 변조하는, 통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로부터 생성된 전압을 제한하는 리미터(limiter) 내 다이오드에 연결된 저항의 전압을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전압을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는, 통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디바이스는
    상기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획득된 전원으로 구동하고, 상기 신호로부터 획득된 인쿼리(inquiry)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데이터를 상기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NFC 태그 디바이스인, 통신 방법.
  7.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태그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할 데이터의 세기를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된 세기의 데이터를 상기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증폭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클수록 상기 데이터의 세기를 작게 증폭하는, 통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증폭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작을수록 상기 데이터의 세기를 크게 증폭하는, 통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증폭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세기에 따라 다단 증폭기에 포함된 복수의 증폭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증폭기들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세기를 증폭하는, 통신 방법.
  11. 태그 디바이스에 있어서,
    서로 다른 드라이버 사이즈를 가지는 복수의 변조기들;
    상기 태그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는 RF 세기 검출기; 및
    상기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변조기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변조기를 이용하여 상기 리더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태그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클수록 드라이버 사이즈가 작은 변조기를 선택하는, 태그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RF 세기 검출기는
    상기 신호로부터 생성된 전압을 제하는 리미터 내 다이오드에 연결된 저항의 전압을 증폭하는 전압 증폭기; 및
    상기 증폭된 전압을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비교기
    를 포함하는, 태그 디바이스.
  14. 태그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태그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리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결정하는 RF 세기 검출기;
    상기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할 데이터의 세기를 증폭하는 다단 증폭기; 및
    상기 증폭된 세기의 데이터를 상기 리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안테나
    를 포함하는 태그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증폭기는
    상기 신호의 세기가 클수록 상기 데이터의 세기를 작게 증폭하는, 태그 디바이스.
KR1020180145713A 2017-11-30 2018-11-22 태그 디바이스 및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KR102151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206 2017-11-30
KR20170163206 2017-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453A true KR20190064453A (ko) 2019-06-10
KR102151024B1 KR102151024B1 (ko) 2020-09-02

Family

ID=6684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713A KR102151024B1 (ko) 2017-11-30 2018-11-22 태그 디바이스 및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0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7912B2 (en) * 2002-05-31 2006-01-17 Intel Corporation Epitaxial growth for waveguide tapering
US6989712B2 (en) * 2002-11-06 2006-01-24 Triquint Semiconductor, Inc. Accurate power detection for a multi-stage amplifier
KR20060119831A (ko) * 2006-09-27 2006-11-24 주식회사 알에프엔진 무선통신신호 송수신 경로 선택장치
KR200433349Y1 (ko) * 2006-09-27 2006-12-11 주식회사 알에프엔진 무선통신신호 송수신 경로 선택장치
US20170155429A1 (en) * 2015-12-01 2017-06-01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Power adaptive dual mode card emulation system for nfc and rfid applic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7912B2 (en) * 2002-05-31 2006-01-17 Intel Corporation Epitaxial growth for waveguide tapering
US6989712B2 (en) * 2002-11-06 2006-01-24 Triquint Semiconductor, Inc. Accurate power detection for a multi-stage amplifier
KR20060119831A (ko) * 2006-09-27 2006-11-24 주식회사 알에프엔진 무선통신신호 송수신 경로 선택장치
KR200433349Y1 (ko) * 2006-09-27 2006-12-11 주식회사 알에프엔진 무선통신신호 송수신 경로 선택장치
US20170155429A1 (en) * 2015-12-01 2017-06-01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Power adaptive dual mode card emulation system for nfc and rfid 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024B1 (ko)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823B1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 디바이스들의 출현 감지
CN104038259B (zh) 非接触式通信装置和包括非接触式通信装置的用户装置
JP4382063B2 (ja) 情報処理端末、および受信電圧制御方法
EP2752792A1 (en) Receiver and metho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080237345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modulation index of a wireless smart device reader
US20090295543A1 (en) Transponder, interrogator, and communication device
CN109756249B (zh) 近场通信设备
KR102282717B1 (ko) Nfc 카드 리더기,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상기 카드 리더기의 동작 방법
EP2602942B1 (en) Detecting a presence of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devices
US201303377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NFC Tag Power Dissipation
KR20200104157A (ko) 수신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카드
US20070063818A1 (en) Automatic data collection device, method and article for avoiding interference
US9654186B2 (en) Portable terminal
US20150257006A1 (en) Security mechanism for short range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KR102151024B1 (ko) 태그 디바이스 및 태그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US20160119033A1 (en) Method for Operating Object Capable via Contactless Communication
US968480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obile device
US91549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KR102073819B1 (ko) Nfc 장치의 송신기 및 nfc 칩
JP4876394B2 (ja) Rfid及び通信動作距離設定方法
KR100762826B1 (ko) 무선주파수인식 시스템의 리더 장치
KR102023624B1 (ko) Rf 전송 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JP2011024101A (ja) 情報処理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97680B1 (ko) 전지지원형 무선인식 태그의 전지 연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JP2009296061A (ja) 情報処理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