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680B1 - 전지지원형 무선인식 태그의 전지 연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전지지원형 무선인식 태그의 전지 연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680B1
KR102397680B1 KR1020170052901A KR20170052901A KR102397680B1 KR 102397680 B1 KR102397680 B1 KR 102397680B1 KR 1020170052901 A KR1020170052901 A KR 1020170052901A KR 20170052901 A KR20170052901 A KR 20170052901A KR 102397680 B1 KR102397680 B1 KR 102397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ttery
rfid tag
high frequency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317A (ko
Inventor
김현석
신동범
모상현
이강복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52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680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조기로부터 수신된 제1 신호와 소정의 기준 전압 간의 비교를 기반으로 고주파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RFID 태그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신호를 활성화하며, 활성화된 제2 신호에 기반하여 RFID 태그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지지원형 무선인식 태그의 전지 연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MEHTOD FOR CONNECTING BATTERY OF BATTERY-ASSISTED RFID TAG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무선인식 태그의 구조에 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지지원형 무선인식 태그의 전지를 효율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인식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은 각 사물에 태그를 부착하고, 사물의 고유 식별자 (ID: Identification)를 무선으로 인식하여, 해당 정보를 수집, 저장, 가공, 추적함으로써 사물에 대한 측위, 원격처리, 관리 및 사물간 정보교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은 기존의 바코드를 대체하여 자재 관리 및 유통뿐만 아니라, 보안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IoT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저장하는 무선인식 기술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원칩 형태를 가진 REID 수동형 태그 IC를 기반으로 개발된 전지지원형 무선인식 태그의 경우, 수동형 태그 IC의 기본적인 구조에서 출발한다. 복잡한 구조를 원칙적으로 피하는 수동형 태그 IC의 경우, 전지가 단순히 연결되는 구조를 갖게되며, 이 경우 일정한 양의 전지 소모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전지지원형 무선인식 태그에 전지를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르면, 무선인식 태그에 전지의 연결여부를 판단하는 블록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무선인식 태그에 단순히 블록을 추가하는 것이 아닌, 무선인식 태그의 수신부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수신된 신호 또는 이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수신기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전지지원형 무선인식 태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전지지원형 무선인식 태그는 고주파 신호를 인식하는 순간에만 전지를 이용하고, 인식하지 않는 동안에는 전혀 전지를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효율적인 전지 연결을 이용할 경우, RFID 리더와 RFID 태그 간의 인식거리가 확대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수동형 무선인식 태그의 기본 구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칩 크기 측면에서 약간의 추가 블록의 크기만큼 증가하게 되어 효율적인 크기를 차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수동형 RFID 태그(10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복조기(13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전지지원형 RFID 태그(30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전지지원형 블록(4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전지지원형 블록(400)에서 RFID 태그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전지지원형 무선인식(RFID) 태그는 일명 반수동형 태그라고도 하며, 수동형 태그와 달리 자체 전원을 구비함으로써 태그-리더간 통신 거리를 증대시켜주는 효과가 있고, 주변 환경 정보의 수집 및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지지원형 무선인식 태그는 리더와의 통신에서는 수동형의 역산란(backscattering)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자체 구비된 배터리를 주전원으로 사용하여 주변 환경 정보의 센싱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지지원형 무선인식 태그는 수동형 무선인식 태그의 수신기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전지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수신기의 구조는 소정의 전압을 기반으로 하는 비교기를 이용할 수도 있고, 수신된 신호 또는 이의 평균값을 기반으로 하는 비교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수동형 무선인식 태그의 수신기의 구조를 이용하면서 전지 지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신된 신호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수신기의 구조를 이용하고자 한다. 무선인식 태그는 RFID 리더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데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그 결과 수신된 신호의 평균값을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캐페시터 또한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이러한 신호들은 수동형 무선인식 태그에서도 이용될 수 있고, 나아가 전지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것 역시 무전지 상태에서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수신된 신호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수신기의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전지지원형 무선인식 태그를 예로 들어 살펴 보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수동형 RFID 태그(10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동형 RFID 태그(100)는 안테나를 통해 RFID 리더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동형 RFID 태그(100)는 변조기(110), 전압 체배기(120), 복조기(130), 아날로그부(140), 디지털부(150) 또는 메모리부(1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동형 RFID 태그(100)의 안테나는 변조기(modulator), 전압 체배기(voltage multiplier) 또는 복조기(demodulator)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전압 체배기(120)의 출력인 VM_out은 수동형 RFID 태그(100) 내의 블록들(예를 들어, 아날로그부(140), 디지털부(150) 및 메모리부(160))을 구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복조기(13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디지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조라 함은 수신된 신호에서 캐리어 성분을 제거하고, 이를 비교기 및/또는 신호 변환기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화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조기(130)는 포락선 검파기(131), RC 필터(132) 또는 비교기(1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동형 RFID 태그에서는 포락선 검파기(131), RC 필터(132) 또는 비교기(133)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술한 복조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포락선 검파기(131)는 다이오드와 커패시터로 구성될 수 있고, 포락선 검파기(131)의 출력은 RC 필터(132)를 통해 고주파 성분이 제거될 수 있다. RC 필터(132)의 출력은 크기 폭의 범위가 매우 넓은 구형파일 수 있고, 이는 비교기(133)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변환 과정에서 소정의 기준치가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기준치는 복조기(130)에 기-정의된 특정 기준치를 의미할 수도 있고, RC 필터(132)의 출력 신호와 동일할 수도 있다. 또는, RFID 태그로 수신된 신호의 평균치를 이용하기 위해, 소정의 기준치는 RC 필터(132)의 출력에 대해 커패시터를 통과시켜 획득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때, 커패시터를 통과한 RCE 필터의 출력은 천천히 변화하는 일종의 저주파 필터의 출력에 해당할 수 있다.으며, 이는 RFID 태그로 수신된 신호의 평균치를 이용하기 위함이다. 비교기(133)의 출력은 output stage와 짝수개의 인버터를 통과하여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이 완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전지지원형 RFID 태그(30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지원형 RFID 태그(300)는 RFID 태그(310)와 전지지원형 블록(320)을 포함할 수 있다. RFID 태그(31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 보았는바,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지지원형 블록(320)은 RFID 태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330), RFID 태그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전지지원형 아날로그부(340), 또는 RFID로의 전력을 ON/OFF하는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전지지원형 블록(320)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전지지원형 블록(320) 외부에 위치하여 RFID 태그(310)와 전지지원형 블록(320)을 상호 연결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지지원형 블록(320)은 전압 체배기의 출력단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스위치를 통해 전압 체배기의 출력단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지지원형 블록(320)은 RFID 태그(310)의 복조기와 연결되어 복조기의 출력 신호 (UHF_det, 이하 "제1 신호"라 함)를 수신할 수 있다.
전지지원형 블록(320)은 RFID 태그(310)의 복조기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신호를 기반으로 RFID 태그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서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신호는 DC 성분 및/또는 빠른 변화가 없는 저주파 성분으로 주로 구성되기 때문에 DC 전압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신호는 리더와 태그 간의 거리에 반비례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신호의 특성은 안테나의 특성 및/또는 수동형 태그의 칩 인피던스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신호는 수십[Mv] 내지 수[V]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지지원형 아날로그부(340)는 복조기로부터 출력된 제1 신호를 기반으로 고주파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지지원형 아날로그부(340)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RFID로의 전력 공급을 ON/OFF하는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조기로부터 출력된 제1 신호에서 고주파 신호(예를 들어, UHF 신호)가 감지된 경우, 스위치가 ON으로 동작하며, 전지(330)에서 RFID 태그(310)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더(Reader)와 태그(Tag) 간의 인식 거리가 확대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반면, 복조기로부터 출력된 제1 신호에서 더 이상의 고주파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스위치가 OFF로 동작하며, 전지(330)에서 RFID 태그(310)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RFID 태그(310)로의 전력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전지의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도 있다.
전지지원형 RFID 태그(300)가 수동형 태그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수동형 태그 구조에서 제1 신호의 유출 여부가 영향을 끼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비교기의 입력들 중 커패시터의 출력을 제1 신호로 정의할 수 있고, 이 경우 전술한 수동형 태그로의 방해를 주지 않을 것이다. 전지지원형 RFID 태그에서 전지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wake-up 신호를 판단하는 것과 같은 디지털부의 동작이 수반될 수 있다. 다만, 발명은 고주파 신호의 검파된 구형파를 기반으로 고주파 신호의 유무만을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지와 RFID 태그 간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보다 저전력으로 전지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전지지원형 블록(4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지원형 블록(400)은 RFID 태그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전지지원형 아날로그부(410) 또는 RFID 태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4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지지원형 아날로그부(410)는 비교기(430), 전지지원형 바이어스(440) 또는 전지지원형 정전압 발생기(4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기(430)는 RFID 태그의 복조기로부터의 출력 신호 (UHF_det, 이하 "제1 신호"라 한다.)를 기반으로, 스위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신호(BAT_enable, 이하 "제2 신호"라 한다.)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신호는 도 3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제1 신호와 동일/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여기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교기(430)는 제1 신호를 기반으로 고주파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신호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신호의 유무는 제1 신호와 소정의 기준 전압 간의 비교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압은 전지지원형 블록(400)에 임베디드된 전지(420) 또는 제1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종속적/가변적으로 결정된 것일 수도 있고, 전지지원형 블록(400)에 기-설정된 고정된 전압일 수도 있다.
비교기(430)의 출력 신호는 제2 신호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일 수도 있고, 제2 신호 자체가 될 수도 있다. 비교기(430)의 출력 신호가 제2 신호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인 경우, 전지지원형 아날로그부(410)는 제2 신호 활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신호 활성부는 비교기(430)으로부터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스위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비교기(430)는 전지지원형 바이어스(440) 또는 전지지원형 정전압 발생기(450)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전지지원형 바이어스(440)와 전지지원형 정전압 발생기(450) 중 적어도 하나는 전지지원형 블록(400)에 임베디드된 전지(420)를 기반으로 동작될 수 있다.
전술한 제2 신호가 활성화되면, RFID 태그에 속한 전부 또는 일부 블록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신호가 활성화될 경우, RFID 태그에 속한 전압 제한기(voltage limiter)의 동작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전압 제한기는 RFID 태그에서 전압 체배기의 출력 신호 (VM_out 신호)에 연결된 블록일 수 있다. 전압 제한기는 RFID 태그 내 전압 체배기의 출력 신호인 체배 전압의 최대값을 정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압 체배기의 출력단에 전지가 바로 연결되는 경우, 전압 제한기는 전지의 무한 소모를 유도한다. 따라서, 제2 신호가 활성화되는 동안에는 전지의 무한 소모를 억제하기 위해서 RFID 태크 내 전압 제한기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전지지원형 블록(400)에서 RFID 태그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RFID 태그의 복조기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500).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서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S500에서 수신된 제1 신호와 소정의 기준 전압 간의 비교를 기반으로 고주파 신호(UHF 신호)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S510). 여기서, 소정의 기준 전압은 전지지원형 블록에 임베디드된 전지에 기반하여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전지지원형 블록(400)에 기-정의된 기준 전압일 수도 있다. 소정의 기준 전압은 제1 신호에 고주파수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일종의 임계값일 수 있다.
S510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제1 신호에 고주파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제2 신호가 활성화될 수 있다(S520).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신호는 전지지원형 블록(400)의 전지와 RFID 태그를 연결하는 스위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전지지원형 블록(400)에서는 활성화된 제2 신호를 이용하여 RFID 태그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S530).
반면, S510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제1 신호에 고주파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신호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S540). 이 경우, 전지지원형 블록(400)의 전지와 RFID 태그를 연결하는 스위치는 OFF 상태를 유지하거나, ON 상태를 OFF 상태로 변경하여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서 수동형 RFID 태그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는 다른 다양한 무선인식 태그 기반의 장치 및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복조기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와 소정의 기준 전압 간의 비교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신호의 고주파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RFID 태그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신호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RFID 태그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서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신호이고,
    상기 제 1 신호는 DC 전압의 특성을 포함하는,
    전지지원형 RFID 태그에서의 전력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 전압은 전지에 기반해 종속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지원형 RFID 태그에서의 전력 제어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 전압은 상기 제1 신호에 기반해 종속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지원형 RFID 태그에서의 전력 제어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는 전지와 상기 RFID 태그를 연결하는 스위치를 제어하는 신호인, 전지지원형 RFID 태그에서의 전력 제어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제1 신호에 고주파 신호가 존재하는 판단에 기초한 것인, 전지지원형 RFID 태그에서의 전력 제어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의 고주파 신호의 유무 판단 결과 수신된 상기 제1 신호에 고주파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신호를 비활성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지지원형 RFID 태그에서의 전력 제어 방법.
  8.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복조기를 포함하는 RFID 태그; 및
    상기 복조기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신호의 고주파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RFID 태그로의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서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신호이고,
    상기 제 1 신호는 DC 전압의 특성을 포함하는,
    전지지원형 RFID 태그.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의 고주파 신호의 유무 판단 결과 수신된 상기 제1 신호에 고주파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RFID 태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지원형 RFID 태그.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전압 제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의 고주파유무 판단 결과에 따라 제2 신호가 활성화될 경우, 상기 전압 제한기가 비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지원형 RFID 태그.
KR1020170052901A 2017-04-25 2017-04-25 전지지원형 무선인식 태그의 전지 연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397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901A KR102397680B1 (ko) 2017-04-25 2017-04-25 전지지원형 무선인식 태그의 전지 연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901A KR102397680B1 (ko) 2017-04-25 2017-04-25 전지지원형 무선인식 태그의 전지 연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317A KR20180119317A (ko) 2018-11-02
KR102397680B1 true KR102397680B1 (ko) 2022-05-13

Family

ID=6432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901A KR102397680B1 (ko) 2017-04-25 2017-04-25 전지지원형 무선인식 태그의 전지 연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6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7075A (ja) * 2008-09-11 2010-03-25 Sony Corp Icチップ、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188B1 (ko) * 2006-12-08 2008-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id 시스템에서의 전원 차단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7075A (ja) * 2008-09-11 2010-03-25 Sony Corp Icチップ、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317A (ko)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2616C (en) Transponder detector for an rfid system generating a progression of detection signals
US7180403B2 (en) RFID reader utilizing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for data acquisition and power monitoring functions
US20190068247A1 (en) Nfc device and power management method
CN102460481B (zh) 为rfid组件供应能量的设备和方法
US20080136603A1 (en) Low-powered rfid tag and method of expanding lifecycle of rfid tag
US20130120119A1 (en) Adapt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qader power levels
CN104036603B (zh) 一种有源rfid身份识别装置的节能方法
US20140111310A1 (en) System for simultaneously identifying massive rfid tags using hf band
CN103839092A (zh) 一种超高频rfid读写器
US20110163852A1 (en) Rfid tag communication system and rfid tag communication apparatus
CN111742323A (zh) 通过射频识别rfid和rfid系统来无线地供应能量的方法
CN106570432A (zh) 一种基于uhf频段无源rfid读写器的收发链路自测方法
US9773134B2 (en) Apparatus and method pertaining to switching RFID transceiver read states
KR102397680B1 (ko) 전지지원형 무선인식 태그의 전지 연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8022889B2 (en) Antenna impedance modulation method
CN107580711B (zh) Rfid应答器、rfid应答器装置和用于rfid应答器与读取设备之间的通信的方法
JP2006350636A (ja) Icタグ、リーダ・ライタ、それらを用いた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20160119033A1 (en) Method for Operating Object Capable via Contactless Communication
JP6844478B2 (ja) Rfタグ
JP2006303970A (ja) 非接触式通信システム
JP688849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7164227B2 (ja) 低消費電力の無線周波数識別方法と装置
EP3996425A1 (en) Rf communication devices and operating methods
JP2005506014A (ja) 可変な回路構成を有するトランスポンダ
KR20150066750A (ko) Rfid 태그의 전원 공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