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307A - Development of new peptide derivative for cosmetic material with enhanced skin permeability - Google Patents

Development of new peptide derivative for cosmetic material with enhanced skin perme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307A
KR20190064307A KR1020170163754A KR20170163754A KR20190064307A KR 20190064307 A KR20190064307 A KR 20190064307A KR 1020170163754 A KR1020170163754 A KR 1020170163754A KR 20170163754 A KR20170163754 A KR 20170163754A KR 20190064307 A KR20190064307 A KR 20190064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skin
fatty acid
aci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7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5275B1 (en
Inventor
강상문
차상주
이기영
신은진
허경석
김영민
김보민
김가연
Original Assignee
에이앤펩주식회사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앤펩주식회사,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에이앤펩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3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275B1/en
Publication of KR20190064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3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2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effectively synthesizing a fatty acid-peptide showing skin wrinkle-reducing activ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MMP-1 expression in skin cells, promotes collagen production, exhibits skin wrinkle-reducing activity, and promotes proliferation of skin cells. The peptide also has shown an excellent improvement effect on a wrinkle reduction clinical test compared to a control group, and has excellent stability and reduced skin irritation. In addition, the fatty acid-peptide exhibits higher skin permeability compared to conventional peptid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reducing skin wrinkles comprising the fatty acid-peptide.

Description

피부투과와 효능이 개선된 화장품 소재용 신규 펩타이드 유도체 개발{DEVELOPMENT OF NEW PEPTIDE DERIVATIVE FOR COSMETIC MATERIAL WITH ENHANCED SKIN PERMEABILIT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peptide derivative for cosmetic materials having improved skin permeability and efficacy. BACKGROUND ART < RTI ID = 0.0 > [0002] <

본 발명은 피부투과와 효능이 개선된 화장품 소재용 신규 펩타이드 유도체 개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투과도가 향상되고 주름 개선효과가 향상된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ptide derivative having improved skin permeability and improved wrinkle-reducing effect and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wrinkles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

피부는 인체에서 가장 큰 조직으로 햇빛이나 물리,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신체 내부를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하며 이는 인간의 생명유지를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끊임없이 재생되어 항상성을 유지시킨다. 피부는 바깥쪽으로부터 표피, 진피, 피하지방 순서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얇은 조직인 표피는 피부의 보습과 보호를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수분 손실, 손상과 세균 침입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피부는 신체를 전부 감싸고 있는 조직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신체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장벽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랑게르한스섬에 의한 면역 체계를 갖추고 있고 표피에 의한 수분 조절기능을 가지고 있음. 또한, 적절한 햇빛으로 비타민 D를 합성하고 지질의 저장고와 땀샘으로의 배설 기능도 수행한다. 건강한 피부에서의 정상적인 분화과정에 의해 생성된 각질층은 피부의 보습을 유지하고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피부 장벽 기능이라 하며 표피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Skin is the largest tissue in the body and functions to protect the inside of the body from sunlight, physical and chemical stimuli, which i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of human life and is constantly regenerated to maintain homeostasis. The skin is composed of the epidermis, the dermis and the subcutaneous fat in order from the outside. The skin which is the thinnest tissue plays an important function for moisturizing and protecting the skin, and it plays a role to prevent water loss, damage and invasion of bacteria. Skin is a tissue that covers the whole body and has various functions. It has a barrier function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ody, so it has an immune system by Langerhans, and it has moisture control function by epidermis. It also synthesizes vitamin D in the proper sunlight and also excretes lipids into the reservoir and sweat glands. The stratum corneum, which is produced by the normal differentiation process in healthy skin, has the function of maintaining the moisturization of the skin and protecting it from the stimulation of the external environment. This function is called skin barrier function and it is the most important role of the epidermis.

화장료의 가장 큰 관심 분야 중 하나는 노화와 관련된 주름, 색소침착, 탄력감소, 피부건조화, 탈모, 모발의 윤기 부족 등이다. 피부는 노화를 통해 다양한 변화를 맞게 된다. 먼저 피부의 구성 성분인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의 두께가 얇아지고 피부에 탄력을 주는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 성분이 변화하게 되는데 그 중 세포외 기질의 70~80%를 차지하는 콜라겐은 나이가 들면서 그 생성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주름 생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고, 피부결합조직을 이루고 있는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프로티오글리칸(proteoglycans),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glucosaminoglycan), 라미닌(laminin),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 등은 산화되어 그 기능을 잃어버림으로써 피부가 탄력을 잃고 주름이 과도하게 형성되면서 노인성 피부로 변화되어 간다. One of the greatest areas of interest in cosmetics is wrinkling, pigmentation, loss of elasticity, skin dryness, hair loss, and lack of shine in the hair associated with aging. The skin is subject to various changes through aging. First, the thickness of the epidermis, dermis, and subcutaneous tissues, which are components of the skin, is thinned and the extracellular matrix (ECM) component that gives skin elasticity changes. Among them, collagen which accounts for 70 ~ 80% As the age increases, the production thereof is drastically lowere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wrinkle formation, and collagen, elastin, proteoglycans, glucosaminoglycan, , Laminin, fibronectin, etc. are oxidized and lose their function, causing the skin to lose its elasticity and wrinkles becoming excessively formed and changing into senile skin.

세포외 기질의 결합조직섬유에는 아교섬유(교원섬유, collagen fiber), 세망섬유(reticular fiber), 탄력섬유(탄성섬유, elastic fiber)가 있으며, 이 중 피부결합조직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대부분 형성된다. 나이가 들면서 피부결합조직 내의 콜라겐 함량이 줄어드는데 이는 콜라겐 합성의 저하와 분해의 촉진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콜라겐 생합성의 저하와 콜라겐 분해 촉진은 피부주름 형성의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다. There are collagen fibers, collagen fibers, reticular fibers, elastic fibers (elastic fibers, elastic fibers) in the connective tissue of the extracellular matrix. Collagen, which accounts for 70% Are mostly formed in fibroblasts of the skin. As you get older, the collagen content in the connective tissue of the skin decreases, which is due to degradation of collagen synthesis and promotion of degradation. Therefore, degradation of collagen biosynthesis and promotion of collagen degradation are the major causes of wrinkles in the skin.

콜라겐 생합성 과정은 전사 수준(Transcription level)과 해독 후 수준(Post-translation level)에 관여하는 많은 인자(Factor)들에 의해 조절을 받아 변화를 일으키며, 콜라겐 분해는 자외선 등에 의해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와 같은 기질금속단백질 분해효소들(Matrix metalloproteases; MMP)의 발현의 촉진으로 콜라겐 분해가 촉진되어 콜라겐 함량이 줄어든다. 아울러 외부 환경에 의해 콜라겐의 변형이 가속화되면서 피부는 주름이 많아지고 깊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피부노화 현상은 세포의 비균질화, 엘라스틴의 소실, 콜라겐의 파괴, 콜라겐 합성의 감소 및 지연 등에 의해 나타난다. 따라서 피부노화 현상은 피부 표피에서도 일어나지만 이보다는 진피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The collagen biosynthesis process is regulated by many factors involved in transcription level and post-translation level, and collagen degradation is triggered by collagenase degrading collagen by ultraviolet rays Promotion of matrix metalloproteases (MMP), such as collagenase, promotes collagen degradation and reduces collagen content. In addition, as the collagen's deformation accelerates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skin becomes wrinkled and deepened. As a result, skin aging is caused by non-homogenization of cells, loss of elastin, destruction of collagen, reduction and delay of collagen synthesis, and the like. Therefore, the skin aging phenomenon occurs in the epidermis of the skin but can be seen as a phenomenon that occurs in the dermis.

이러한 피부노화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이 연구되고 있고,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는 일부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피부주름 및 기미, 색소침착 개선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레티노이드류, 그 중에서도 레티놀(retinol)에 대한 피부주름 제거 임상 결과들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고, 레티놀을 함유한 화장료는 일광에 의해 형성된 피부주름살이나 피부처짐, 탄력감소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였다.Various cosmetic compositions have been studied for solving the problem of skin aging, and the wrinkle improvement effect of the skin is visible in some parts. For example, there have been various reports on retinoids widely used for the improvement of skin wrinkles, spots, and pigment deposition, and in particular, clinical results of removing skin wrinkles on retinol. Among them, retinol- And skin deflection and elasticity reduction.

최근 들어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고 삶의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하고 아름다워지고자 하는 사람들의 관심이 매우 증대 되고 있으며 이는 피부노화와 관련된 기능성화장품 및 기능성식품, 미용분야의 시장이 최근에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잘 알 수 있다.Recently, human lifespan has been lengthened and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improved, so that the interest of healthy and beautiful people has been greatly increased. Recently, the market for functional cosmetics,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related to skin aging has increased rapidly It is well known that

피부노화는 외인성 노화(태양광선 등 외부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노화)와 내인성 노화(나이의 증가에 따른 자연적 노화)로 나뉘어 왔으며 노화된 피부는 주름살이 증가하며, 탄력성이 떨어짐. 그러나 이러한 피부노화 증상의 발생 원인의 이해와 예방, 치료기술은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Skin aging has been divided into extrinsic aging (aging caused by external stimuli such as the sun's rays) and endogenous aging (natural aging with increasing age), and aging skin has increased wrinkles and decreased elasticity. However, understanding,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causes of skin aging symptoms have not been developed yet.

결과적으로 피부노화 현상은 세포의 비균질화, 엘라스틴의 소실, 콜라겐의 파괴, 콜라겐 합성의 감소 및 지연 등에 의해 나타나며 따라서 피부노화 현상은 피부 표피에서도 일어나지만 이보다는 진피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As a result, skin aging phenomenon is caused by non-homogenization of cells, disappearance of elastin, destruction of collagen, reduction and delay of collagen synthesis, and thus, skin aging phenomenon occurs in skin epidermis but occurs more in dermis than in skin epidermis.

이러한 피부노화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이 연구되고 있고, 그 중 펩타이드는 아미노산의 중합을 통해 생성되는 생체 분자이며 인체에 무해하고 특히 생체 내에서 다양한 생리활동을 조절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특히 펩타이드는 아미노산의 거대 조합체인 단백질에 비해 열과 pH 등에 대단히 안정하고 쉽게 활성을 잃지 않는 다는 점에서 의약, 약학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약물이며 화장품에서도 피부 주름개선, 주름 개선 등의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펩타이드를 이용한 다양한 주름 개선제를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지만, 그 효과는 그리 크지 않았으며, 효과를 보다 극대화하기 위한 비타민 C-펩타이드 복합체, 하이드로 퀴논-펩타이드 복합체 등도 제조에 있어 어려움이 있으며, 고가이기 때문에 이용이 제한적이어서 시장에서의 적용은 그리 많지 않았다. 특히 펩타이드는 물에 용해도가 좋은 물질이며 기름에는 잘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피부 층을 통과하여 피부 내에 침투하여 생리활성 기능을 나타내기 어려운 물성을 가지고 있다.A variety of cosmetic compositions have been studied to solve the problem of skin aging. Among them, peptides are biomolecules produced through polymerization of amino acids and are known to be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particularly to control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in vivo . In particular, peptides are widely used for pharmaceuticals and pharmacies because they are very stable to heat and pH, and do not easily lose their activity compared to protein, which is a large combination of amino acids. They are also used in cosmetics to improve skin wrinkles and wrinkles . However,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velop various wrinkle remedies using peptides, but the effect thereof is not so great, and vitamin C-peptide complexes and hydroquinone-peptide complexes for maximizing effects are also difficult to manufacture, It is not easy to apply in the market because of limited use. Particularly, peptides have good solubility in water and they do not dissolve well in oil, so they penetrate into the skin through the skin layer and have a physical property hard to exhibit physiological activity.

피부는 각질층, 표피층, 진피 층 등의 다양한 층으로 겹겹이 쌓여진 겹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층들은 각각의 특성이 있어 인체를 자외선, 미생물 등의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고 인체의 수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보인다.The skin is formed in a layered structure composed of various layers such as stratum corneum, epidermal layer and dermis layer. Each layer has its own characteristics and protects the human body from external threats such as ultraviolet rays and microorganisms. It seems to be a function to suppress things.

하지만 이러한 피부의 구조는 피부 외부의 유용한 성분의 피부 내 침투를 막게 되어 물질의 효능의 발현을 억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 침투의 어려움에 대한 해법으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 중 하나는 소수성 특성을 가지고 있는 각질층을 피부 내 침투가 어려운 수용성 물질을 지용성 물질과 화학적인 결합을 통해 물질의 수용성 특징을 감소시켜 투과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피부투과도를 높이려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제조 방법이 결정된다.However, such a structure of the skin prevents penetration of useful ingredients outside the skin into the skin, thereb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the substance's efficacy.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and developed as a solution to the difficulty of penetration of the skin. One of these methods is to improve the permeability of the stratum corneum, which has hydrophobic properties, by reducing the water-solu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substance through chemically bonding the water-soluble substance, which is difficult to penetrate into the skin, with the lipophilic substance. In such a method, the manufacturing metho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perty of the substance to increase the skin permeability.

펩타이드 합성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보호기(Protecting group)가 필요한데 현재까지 다양한 특성을 가진 보호기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보호기는 Fmoc/trt-아미노산 유도체가 개발되어 몇몇 펩티드 합성에 사용되어서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Fmoc/trt-아미노산 유도체가 고체상 펩티드 합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일부 Fmoc이 가지는 소수성(hydrophobicity)에 따른 낮은 용해도에 의해 난구조 펩티드 합성에서 낮은 축합 수율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하여, 2-(4-니트로페닐)설포닐에톡시카르보닐(Nsc)은 니트로기와 설포닐기의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아미노산의 용해도 증가와 펩티드 사슬 사이의 소수성 상호 작용(hydrophobic interaction)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자동화 시스템 하에서 Fmoc에 비해 Nsc의 안정성이 탁월하여 긴 사슬의 펩티드 합성반응에 매우 유리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In order to facilitate peptide synthesis, a protecting group (protecting group) is required. Up to now, a protecting group having various characteristics has been developed and utilized. It has been reported that Fmoc / trt-amino acid derivatives have been successfully used to synthesize some peptides. However, even though Fmoc / trt-amino acid derivatives have an excellent effect on the synthesis of solid phase peptides However, low Fmoc solubility due to the hydrophobicity of Fmoc showed low condensation yield in egg shell peptide synthesis. In contrast, 2- (4-nitrophenyl) sulfonylethoxycarbonyl (Nsc) inhibits the hydrophobic interaction between peptide chains due to increased solubility of amino acids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itro group and the sulfonyl group It plays a role. In addition, the stability of Nsc is superior to that of Fmoc under an automation system, which is very advantageous for a long-chain peptide synthesis reaction.

피부노화 및 주름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개선하기 위해서는, 효능이 정확하게 검증된 원료를 이용한 신규 주름 개선 조성물 개발이 필요하며 효능의 검증은 분자생물학적 메카니즘으로 규명되고 인체 대상 임상시험으로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or improve skin aging and wrinkl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ovel wrinkle-improving composition using ingredients that have been proven to be efficacious, and it is important to verify the efficacy with a molecular biological mechanism and to validate it with human clinical trials.

본 발명자들은 지방산이 결합된 펩타이드 라이브러리에서 우수한 주름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찾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지방산이 결합된 일부 펩타이드가 피부투과도가 개선되고 주름개선에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그로부터 안정성 및 피부 투과율이 우수한 펩타이드의 제조 방법을 발명하고 이를 선별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efforts to search for a peptide derivative exhibiting an excellent wrinkle-reducing effect in a peptide library having a fatty acid-bonded peptide. As a result, they found that some peptides having a fatty acid bond improve skin permeability and improve wrinkles. And a method of producing a peptide having excellent skin permeability, and selecting the peptid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번호 1 내지 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펩타이드와 탄소수 10 내지 20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 아마이드 결합된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comprising a pept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Q ID NOS: 1 to 5 and a fatty acid-peptide complex in which a saturated or unsaturated fatty acid having 10 to 20 carbon atoms is amide bonded, To provide a composi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탄소수 10 내지 20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은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리놀레익산(Linole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 올레익산(Oleic acid) 및 라우르산(Laur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he above saturated or unsaturated fatty acid having 10 to 20 carbon atoms, wherein the saturated or unsaturated fatty aci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yristic acid, stear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 Wherei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leic acid and lauric aci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서열번호 4로 표현되는 펩타이드와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또는 팔미트산(Palmitic acid)이 아마이드 결합된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is a complex in which a peptide represented by SEQ ID NO: 4 and a myristic acid or palmitic acid are amide bonded to each other will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wherein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is prepared us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In Formula 1,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 또는 가지형의 탄화수소이다.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a linear or branched hydrocarbon having 1 to 20 carbon ato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MMP-1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inhibits MMP-1 express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피부 세포 내 콜라겐 생합성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activates collagen biosynthesis in skin cell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프란츠 확산 세포(Franz diffusion cell)를 이용한 피부 투과도(실험 24시간 경과 기준)가 0.01m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has a skin permeability (based on 24 hours as an experiment) of at least 0.01 mg / ml using a Franz diffusion cel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번호 1 내지 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펩타이드와 탄소수 10 내지 20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 아마이드 결합된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ptide-peptide conjugate comprising one pept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Q ID NOS: 1 to 5 and a saturated or unsaturated fatty acid having 10 to 20 carbon ato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본 명세서에서 용어 “펩타이드”는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아미노산 잔기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선형의 분자를 의미하며, 지방산-펩타이드는 펩타이드의 N-말단에 지방산을 결합시킨 형태를 말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 peptide " refers to a linear molecule in which amino acid residues are joined together by peptide bonds, and a fatty acid-peptide refers to a form in which a fatty acid is bonded to the N-terminus of the peptide.

본 발명자들은 지방산이 결합된 펩타이드 라이브러리에서 주름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펩타이드를 찾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지방산이 결합된 일부 펩타이드가 MMP-1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콜라겐 생성을 촉진, 피부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여 피부 주름개선에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As a result of efforts to search for a peptide showing a wrinkle-improving effect in a peptide library having a fatty acid-bound peptide, the inventors found that some peptides to which fatty acid-linked peptides inhibit the expression of MMP-1 protein, promote collagen production, Which is effective for improving skin wrinkles.

본 발명자들은 N-말단에 다양한 지방산을 포함하는 다양한 펩타이드 라이브러리를 제조하고 후보 펩타이드들을 준비한 후, 후보 펩타이드들 중에서 피부투과도와 주름개선 활성이 우수한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를 스크리닝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preparing various peptide libraries containing various fatty acids at the N-terminus, preparing candidate peptides, and screening fatty acid-peptide complexes excellent in skin permeability and wrinkle-reducing activity among candidate peptid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N-말단에 지방산을 결합하여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을 통해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생체 내 투여시 안정성이 증가되어 높은 반감기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deformation by binding a fatty acid to the N-terminus. Through such modification,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increased half-life due to increased stability in vivo.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펩타이드의 C-말단에 아미노기(-NH2)결합하여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mino group (-NH2) may be bonded to the C-terminal of the peptide to induce a modific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보호기로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may be prepared by us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s a protecting group.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In Formula 1,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 또는 가지형의 탄화수소이다.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a linear or branched hydrocarbon having 1 to 20 carbon atom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보호기로 사용하여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를 이용하는 경우 Fomc(9-fluorenylmethyloxycarbonyl group)를 보호기로 이용한 경우에 비해 복합체의 수율이 현저히 높았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ound of Formula 1 is used as a protecting group and a fatty acid-peptide complex is used, the yield of the complex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omc (9-fluorenylmethyloxycarbonyl group)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kinds of fatty acid-peptide complexes could be prepar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2-(4-니트로페닐)설포닐에톡시카르보닐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compound of Formula 1 may be 2- (4-nitrophenyl) sulfonylethoxycarbonyl.

상술한 아미노산의 변형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안정성을 크게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안정성”은 인비보(in vivo) 안정성뿐만 아니라, 저장 안정성(예컨대, 상온 저장 안정성)도 의미한다. The above-mentioned modification of the amino acid serves to greatly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term " stability " refers not only to in vivo stability, but also to storage stability (e.g., room temperature storage stability).

본 발명에서 상기 지방산은 탄소수 10 내지 20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라면 제한 없이 포함이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은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리놀레익산(Linole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 올레익산(Oleic acid) 및 라우르산(Laur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tty aci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aturated or unsaturated fatty acid having 10 to 20 carbon atoms. Preferably, the saturated or unsaturated fatty acid having 10 to 20 carbon atoms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yristic acid, stearic acid ), Linole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lauric acid. [0027] The term " acid anhydride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5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는 상기 지방산과 아마이드 결합을 통해 복합체를 형성하면 피부 주름 개선효과가 현저히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peptides of SEQ ID NOS: 1 to 5 significantly improve the wrinkle of skin when a complex is formed through the amide bond with the fatty acid.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5로 표시되는 펩타이드 각각은 탄소수 10 내지 20의 지방산 중에서 특정 종류의 지방산과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했을 때 특히 더 향상된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The peptides represented by SEQ ID NOS: 1 to 5 were found to exhibit a particularly improved wrinkle-reducing effect when they were combined with a fatty acid of a certain kind among fatty acids having 10 to 20 carbon atoms to form a complex.

구체적으로, 상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는 미리스트산 또는 스테아릭산과 결합했을 때, 상기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는 올레익산, 리놀레익산 또는 팔미트산과 결합했을 때, 상기 서열번호 3의 펩타이드는 라우르산, 올레익산 또는 스테아릭산과 결합했을 때, 상기 서열번호 4의 펩타이드는 스테아릭산, 미리스트산 또는 팔미트산과 결합했을 때, 및 상기 서열번호 5의 펩타이드는 라우르산 또는 미리스트산과 결합했을 때 주름개선 효과의 상승작용이 특히 더 현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Specifically, the peptide of SEQ ID NO: 1 binds to myristic acid or stearic acid, and when the peptide of SEQ ID NO: 2 binds oleic acid, linoleic acid or palmitic acid, the peptide of SEQ ID NO: The peptide of SEQ ID NO: 4 when bound to stearic acid, myristic acid or palmitic acid, and the peptide of SEQ ID NO: 5 is bound to lauric acid or myristic acid, when bound to uric acid, oleic acid or stearic acid,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wrinkle-improving effect was found to be particularly remarkab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사람 유래의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활용도가 매우 높다. 본 발명에 따르면, 100 ng/ml-1000 μg/ml의 농도로 HaCat 세포 및 HDF 세포에 지방산-펩타이드를 처리한 결과, 현저한 세포 독성은 측정되지 않았으며 육안으로 세포의 형태를 확인하였을 때도 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도 6).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how toxicity to human-derived cells, and thus is highly utilized as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atty acid peptides were treated with HaCat cells and HDF cells at a concentration of 100 ng / ml to 1000 μg / ml, no significant cytotoxicity was measured, and even when the morphology of the cells was confirmed visually, (Fig. 6).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50℃ 온도에서도 우수한 열안정성을 나타내며, 일광조건에서도 안정함을 확인하였다(도 4 및 5). 따라서, 본 발명의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화장품과 같은 장기간 저장이 요구되는 제품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exhibited excellent thermal stability even at a temperature of 50 캜 and was stable even in daylight (Figs. 4 and 5). Thus,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vantageously applied to products requiring long-term storage such as cosmetic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MMP-1 발현 저해능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 진피 세포(Fibroblast)에 UV 광선을 조사하여 MMP-1 발현을 촉진 시킨 후 본 발명의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를 처리하고 배양시킨 후 MMP-1 발현 저해능을 비교한 결과,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를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MMP-1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ility to inhibit MMP-1 express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inhibitory effect of MMP-1 on the expression of MMP-1 was examined by irradiating UV light to skin dermal cells (Fibroblast) to promote MMP-1 expression and then treating and culturing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of the present invention. Peptide complex inhibited MMP-1 expr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 개선효과를 임상적으로 평가해 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이 처방된 크림은 무처방 크림을 비교했을 때 눈가 주름 개선 효능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5 및 도 7).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rinkle-improving effect of the wrinkle-improv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evaluated clinically, and as a result, (Table 5 and Fig. 7).

또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다양한 제형을 이용하여 피부 주름개선에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formulations can be used to effectively use it for improving skin wrinkles.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지방산과 결합하지 않은 펩타이드에 비해 낮은 HLB(hydrophlic Lipophilic balance)를 나타내기 때문에 피부 침투율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높은 피부 침투율로 인해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low HLB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as compared with a peptide not bound to a fatty acid, and thus has excellent skin permeability. Therefore,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lly applied to the ski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rinkles of the skin can be maximized due to the high penetration of the ski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프란츠 확산 세포(Franz diffusion cell)를 이용한 피부 투과도(실험 24시간 경과 기준)가 0.01mg/㎖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5mg/ml 이상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kin permeability (based on 24 hours of the experiment) using Franz diffusion cells of not less than 0.01 mg / ml, preferably not less than 0.05 mg / ml .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젤 타입, 스킨 타입, 크림 타입, 연고 타입 등의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조성물은 그것의 타입에 따라 적절한 통상의 연화제, 유화제, 증점제 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기타 물질들을 첨가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다.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can be applied to cosmetic compositions such as a gel type, a skin type, a cream type, an ointment type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bove composition can be suitably prepared by known methods, adding appropriate conventional softening agents, emulsifying agents, thickening agents or other materials known in the art depending on the type thereof.

상기 젤 타입 조성물은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의 연화제, 프로필렌 글리콜, 에탄올, 이소세틱알콜 등의 용매, 정제주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The gel-type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adding a softening agent such as trimethylolpropane, polyethylene glycol or glycerin, a solvent such as propylene glycol, ethanol, isocetyl alcohol, or the like.

상기 스킨 타입 조성물은 스테아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베헤닐 알콜, 아라키딜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이소세틸 알콜 등의 지방 알콜, 부틸렌 글라이콜, 글리세린, 알란토인, 메틸 파라벤, 이디티에이-2-소디움, 잔탄검, 디메티콘, 폴리 에틸렌 글라이콜-60 하이드로제네이트 카스톨 오일, 폴리 소르베이트 60 및 정제수 등을 첨가하여 제조 할 수 있다. The skin-type composition may contain at least one of fatty alcohols such as stearyl alcohol, myristyl alcohol, behenyl alcohol, arachidyl alcohol, isostearyl alcohol and isocetyl alcohol, butylene glycol, 2-sodium, xanthan gum, dimethicone, polyethylene glycol-60 hydrogeneate castor oil, polysorbate 60 and purified water.

상기 크림 타입 조성물은 스테아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베헤닐 알콜, 아라키딜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이소세틸 알콜 등의 지방 알콜,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소프파티질세린, 소프파티딜이노시톨 등의 리피드, 이들의 유도체,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팔미테이트, 소리비탄 스테아레이트 등의 유화제, 아보카도 오일, 살구 오일, 바바수 오일, 유리지치 오일, 동백 오일 등의 천연 지방 또는 오일,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용매 및 정제수 등을 첨가하여 제조 할 수 있다. The cream-type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by dissolving or dispersing the above-mentioned cream type composition in an aqueous medium such as alcohols such as stearyl alcohol, myristyl alcohol, behenyl alcohol, arachidyl alcohol, isostearyl alcohol, isocetyl alcohol and the like, lecithin, 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ylethanolamine, Emulsifiers such as glyceryl stearate, sorbitan palmitate, and sorbitan stearate; natural fats or oils such as avocado oil, apricot oil, barba water oil, glass fat oil and camellia oil; Propylene glycol and the like, purified water, and the like.

상기 연고 타입 조성물은 연화제, 유화제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 파라핀, 세레신, 밀납, 경납, 바세린 등의 왁스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The ointment type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adding a softening agent, an emulsifying agent, and a wax such as microcrystalline wax, paraffin, ceresin, wax, spermaceti, vaseline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와 하나 이상의 화장료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provided as a formulation comprising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as the active ingredient and at least one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or excipient.

따라서, 상기 제제에는 화장료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이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제제는 생물체 내로 활성 성분의 투여를 용이하게 한다. Thus, the preparation may contain a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diluent, excipient, or a combination thereof if necessary. These agents facilitate administr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into the organism.

본 발명의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투과도가 매우 우수하며, MMP-1 발현을 억제, 피부세포 내 콜라겐 생성을 촉진, 피부세포의 증식을 촉진시켜 피부 주름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Th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s excellent in skin permeability, inhibits MMP-1 expression, promotes collagen production in skin cells, promotes skin cell proliferation, Effect.

도 1은 합성된 지방산-펩타이드의 고성능 액상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도 1a: Palmitoyl-RKDVY 복합체, 도 1b: Palmitoyl-GPQGPQ 복합체, 도 1c: Myristoyl-GPQGPQ 복합체, 도 1d: Lauryl-FVAPDP 복합체, 도 1e:Myristoyl-AFPG).
도 2는 합성된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 5종의 세포 내 MMP-1 발현 저해 실험의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3은 합성된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 4종의 세포 내 콜라겐 생성 촉진 실험의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의 광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의 열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피부세포 2종(HDF, HACAT)에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를 처리한 후, 피부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한 MTT assay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와 펩타이드의 피부투과도 비교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임상시험을 통해 지방산-펩타이드와 지방산의 주름개선 임상 효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좌: 대조군, 우:실험군, A: 실험군, B: 대조군).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of the synthesized fatty acid peptides (FIG. 1A: Palmitoyl-RKDVY complex, FIG. 1b: Palmitoyl-GPQGPQ complex, FIG. 1C: Myristoyl-GPQGPQ complex, Complex, Figure 1 e: Myristoyl-AFPG).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xperiments of inhibition of intracellular MMP-1 expression of five synthesized fatty acid-peptide complexes.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for promoting intracellular collagen production of four synthesized fatty acid-peptide complexes.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ight stability of a fatty acid-peptide complex.
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thermal stability of a fatty acid-peptide complex.
FIG. 6 is a graph showing MTT assay results for confirming skin cell toxicity after treatment of two skin cells (HDF, HACAT) with a fatty acid-peptide complex.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 comparison of skin permeability of a fatty acid-peptide complex and a peptide.
FIG. 8 is a graph comparing clinical efficacy of wrinkle improvement of fatty acid-peptide and fatty acid through clinical trials (left: control group, right: test group, A: test group, B: control group).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embodiments are only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

실시예 1 Example 1

지방산-fatty acid- 펩타이드Peptides 라이브러리의 합성 Synthesis of libraries

지방산-펩타이드 라이브러리를 합성하기 위해 2-(4-니트로페닐)설포닐에톡시카르보닐를 보호기로 이용한 19개의 nsc-아미노산(nsc-Ala, nsc-Arg(pbf), nsc-Asp(OtBu), nsc-Asn(trt), nsc-Gly, nsc-Glu(OtBu), nsc-Gln(trt), nsc-His(trt), nsc-Ser(tBu), nsc-Thr(tBu), nsc-Tyr(tBu), nsc-Trp(Boc), nsc-Leu, nsc-Ile, nsc-Val, nsc-Phe, nsc-Met, nsc-Lys(Boc), nsc-Pro)이 부착된 클로로 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Chloro trityl chloride resin: CTL resin, Novabiochem Cat No. 01-64-0021)과 Fomc(9-fluorenylmethyloxycarbonyl group)를 보호기로 이용한 19개의 Fmoc-아미노산(Fmoc-Ala, Fmoc-Arg(pbf), Fmoc-Asp(OtBu), Fmoc-Asn(trt), Fmoc-Gly, Fmoc-Glu(OtBu), Fmoc-Gln(trt), Fmoc-His(trt), Fmoc-Ser(tBu), Fmoc-Thr(tBu), Fmoc-Tyr(tBu), Fmoc-Trp(Boc), Fmoc-Leu, Fmoc-Ile, Fmoc-Val, Fmoc-Phe, Fmoc-Met, Fmoc-Lys(Boc), Fmoc-Pro)이 부착된 클로로 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Chloro trityl chloride resin: CTL resin, Novabiochem Cat No. 01-64-0021), Lauryl chloride oleioyl chloride, linoleoyl chloride, Myristoyl chloride, Palmitoyl chloride, Stearic chloride 총 6종의 지방산 클로라이드를 96웰 테프론 반응기에 시리즈 별로 각 19 라인에 50 mg을 넣고 메틸렌 클로라이드(MC) 1ml를 가하여 3분간 교반하였다. 용액을 제거하고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1ml를 넣어 3분간 교반한 후 다시 용매를 제거하였다. 제조된 지방산-펩티딜 레진은 DMF, MC 및 메탄올로 각각 3번을 세척하고, 질소 공기를 천천히 흘려 건조한 후, P2O5하에서 진공으로 감압하여 완전히 건조하였다. 제조된 레진에 탈루용액[트리플로로화 초산(Trifluroacetic acid: TFA) 81.5%, 증류수 5%, 티오아니졸(Thioanisole) 5%, 페놀 5%, EDT(1,2-Ethanedithiol) 2.5% 및 TIS(Triisopropylsilane) 1% 포함] 30mL을 넣은 후 상온에서 가끔 흔들어주며 얼음 수조 안에서 1 시간 반응을 유지하였다. 레진을 여과하고, 소량의 TFA 용액으로 세척한 후 모액과 합하였다. 이 후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를 수득하였다.(Nsc-Ala, nsc-Arg (pbf), nsc-Asp (OtBu), and nsc-Asp) using 2- (4-nitrophenyl) sulfonylethoxycarbonyl as a protecting group to synthesize a fatty acid- Nsc-Asn (trt), nsc-Gly, nsc-Glu (OtBu), nsc-Gln (trt), nsc-His (trt) (Boc), nsc-Trp (Boc), nsc-Leu, nsc-Ile, nsc-Val, nsc-Phe, nsc-Met and nsc-Lys Amino acid (Fmoc-Ala, Fmoc-Arg (pbf), Fmoc-Asp (pbp)) using Fmoc- (OtBu), Fmoc-Asn (trt), Fmoc-Gly, Fmoc-Glu (OtBu), Fmoc-Gln (trt), Fmoc- (Boc), Fmoc-Tyr (tBu), Fmoc-Trp (Boc), Fmoc-Leu, Fmoc-Ile, Fmoc-Val, Fmoc-Phe, Fmoc-Met, Fmoc- Chloro trityl chloride resin (CTL resin, Novabiochem Cat No. 01-64-0021), Lau Into a 96-well Teflon reactor, 50 mg of each of 19 lines was added, and 1 ml of methylene chloride (MC)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stirring for 3 minutes . The solution was removed, and 1 ml of dimethylformamide (DMF) was added. After stirring for 3 minutes, the solvent was removed again. The prepared fatty acid-peptidyl resin was washed three times with DMF, MC and methanol, dried slowly by flowing nitrogen air, and then completely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in a vacuum under P2O5. The prepared resin was immersed in a solution of maltitol solution (Trifluroacetic acid (TFA) 81.5%, distilled water 5%, thioanisole 5%, phenol 5%, EDT (1,2-Ethanedithiol) 2.5% (Containing 1% of triisopropylsilane)] was added, and the reaction was kept for 1 hour in an ice water bath with occasional shaking at room temperature. The resin was filtered, washed with a small amount of TFA solution, and then combined with the mother liquor. Thereafter, a fatty acid-peptide complex was obtained.

합성 및 정제 결과 서로 다른 서열의 펩타이드와 지방산이 결합된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 종을 얻었다(표 1). As a result of synthesis and purification, fatty acid-peptide complex species having peptides with different sequences and fatty acids were obtained (Table 1).

* 서열번호 1: AFPG* SEQ ID NO: 1: AFPG

* 서열번호 2: RKDVY* SEQ ID NO: 2: RKDVY

* 서열번호 3: EEMQRR* SEQ ID NO: 3: EEMQRR

* 서열번호 4: GPQGPQ* SEQ ID NO: 4: GPQGPQ

* 서열번호 5: FVAPDP* SEQ ID NO: 5: FVAPDP

합성된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의 수율은 펩타이드의 서열에 따른 물성 차에 의해 수율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4% 이하의 수율은 별도로 표기하지 않았다). 특히 Fmoc, NSC 보호기와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합성 자체가 불가한 경우도 존재하였다. 하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2-(4-니트로페닐)설포닐에톡시카르보닐(NSC)를 보호기로 이용하여 제조한 경우에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의 수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yield of the synthesized fatty acid-peptide complexes showed a large difference also in the yield due to the propert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equence of the peptide (the yield of 4% or less was not indicated separately). In some cases, the synthesis itself was not possible depending on the kinds of Fmoc and NSC protecting groups and fatty acids. As can be seen from the following Tabl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yield of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was excellent when it was prepared by using 2- (4-nitrophenyl) sulfonylethoxycarbonyl (NSC) as a protecting group.

지방산과 펩타이드의 복합체 제조 시 수율은 펩타이드의 길이와 극성도, 지방산의 길이와 비극성도 사이의 상관관계는 크지 않았고 3차원 구조에 의한 입체적 방해(Steric hindrance) 등 의해 결정된 것으로 예측된다. 컬럼 분리 시 elution 시간도 역시 상이하나 25~35분대에서 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The yield of fatty acid and peptide complexes was predicted to be determined by the length and polarity of the peptide, the length of the fatty acid and the degree of nonpolarity, but not by the sterical hindrance due to the three dimensional structure. The elution time for the separation of the column was also different, but the peak was confirmed at 25 to 35 minutes (FIG. 1).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실시예 2Example 2

지방산-fatty acid- 펩타이드의Of peptide 피부주름 개선 효과 확인 Confirmation of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지방산-펩타이드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표 1에서 제조한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를 하기와 같이 생체 외(In vitro)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활성 제해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kin wrinkles of the fatty acid peptides, the in vitro collagenase activity inhibition experiments of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es prepared in Table 1 were carried out as follow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Respectively.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활성 저해 시험 방법은 콜라겐을 인산 완충액에 녹여 준비한다(100ppm).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아데노신을 같은 농도로 준비한다. 25mM 시트르산을 400㎕/tube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다. 이후 에틸아세테이트를 1.5㎖/tube 첨가하고, 볼텍싱(vortexing)한 후 상등액을 취하여 황산나트륨 150mg/ep-tube에 옮기고, 볼텍싱 후 원심분리(10,000rpm, 3분)한다. 상등액 300㎕/ep-tube를 취하여 석영 96well 플레이트에 옮긴 후 3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Collagenase activity inhibition test method is prepared by dissolving collagen in phosphate buffer (100 ppm). At this time, adenosine is prepared at the same concentration as a positive control group. The reaction is terminated by adding 25mM citric acid to 400μl / tube. Then add 1.5 ml / tube of ethyl acetate and vortex. Transfer supernatant to sodium sulfate 150 mg / ep-tube, vortex and centrifuge at 10,000 rpm for 3 minutes. Take supernatant 300 μl / ep-tube and transfer to quartz 96-well plate and measure absorbance at 320 nm.

측정 결과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지방산이 결합되지 않은 펩타이드와 대조군인 아데노신에 비해 우수한 콜라게나제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tty acid - peptide complex showed better collagenase inhibition than fatty acid - free peptide and adenosine.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표 2를 참고하면, 서열번호 1 내지 5의 펩타이드와 지방산이 결합된 복합체들 중에 일부 복합체에서만 지방산과 결합되지 않은 펩타이드보다 우수한 콜라게나제 저해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2, it was confirmed that some of the complexes having the peptides of SEQ ID NOS: 1 to 5 and the fatty acid-bound complexes showed better collagenase inhibitory ability than the peptides not bound to fatty acids.

즉, 서열번호 1 내지 5의 펩타이드 각각은 특정 지방산과 복합체를 형성했을 때에만 주름개선 효과에 현저한 향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이들 이외의 다른 지방산과 복합체를 형성했을 때에는 각각의 펩타이드 단독 처리군과 비교해 콜라게나제 저해능이 오히려 저하되기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ame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each of the peptides of SEQ ID NOS: 1 to 5 exhibits a remarkable improvement in the wrinkle-reducing effect only when a complex is formed with a specific fatty acid. When a complex is formed with other fatty acids other than these peptide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lagenase inhibitory effect was lowered.

실시예 3: Example 3:

MMPMMP -1 (Matrix -1 (Matrix MetalloproteinaseMetalloproteinase -  - 1)활성1) active 저해 실험 Inhibition experiment

콜라게나제 억제능 실험을 통해 선별된 5종의 조합을 MMP-1활성 저해능 시험을 진행하였다. MMP-1 activity inhibition test was performed on the combination of five selected compounds by collagenase inhibition experiment.

사람 진피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st(HDF) 세포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Sigma)에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Sigma)을 첨가한 배지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웰 플레이트에 2 X 105 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하고 세포의 부착을 확인한 뒤, 대조군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용매만 넣었으며, 디쉬에는 선별된 5종의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레티놀을 10ug/ml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를 하였다. 각각의 디쉬에 시험물질을 가한 뒤 2일 동안 배양하였다. 2일 뒤, 배지를 채취하여 Matrix Metalloproteinase-1(MMP-1),Human,biotrak,ELISA kit (GE healthcare RPN2610)을 통해 MMP-1의 저해능을 측정하였다.Human dermal fibroblast (HDF) cells were cultured in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Sigma)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Sigma) at 37 ° C and 5% CO2. Cells were cultured in a 24-well plate at a concentration of 2 × 10 5 cells / well. After confirming cell attachment, only the solvent was added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any treatment. In the dish, 5 kinds of test groups were selected, and retinol And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10 ug / ml. The test material was added to each dish and cultured for 2 days. After 2 days, the medium was harvested and the inhibitory activity of MMP-1 was measured by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Human, biotrak and ELISA kit (GE healthcare RPN2610).

5종의 실험군을 농도별로 처리한 뒤 MMP-1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멜라닌의 양이 대부분의 실험군에서 대조군인 레티놀에 비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이러한 결과로부터 피부에 MMP-1생성을 유발하는 UV가 요인으로 적용되었을 때,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의 경우 세포 내 침투가 용이하여 MMP-1생성을 저해하여 피부의 주름을 억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MMP-1 inhibitory effect was measured after 5 treatment groups. The amount of melanin was found to be reduced in most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retinol (Fig. 2).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fatty acid-peptide complexes can easily penetrate into the cell and inhibit MMP-1 production, thereby suppressing the wrinkles of the skin when UV as a factor inducing MMP-1 production in skin is applied .

실시예 4Example 4

세포 내 Intracellular collgencollagen 생성능Generation 시험 exam

MMP-1 저해능 시험에서 선별된 3종의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에 대해 세포 내 collagen 생성능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에 사용할 사람 진피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st(HDF) 세포는 Medium 106 (cascade biologics, M-106-500) 에 1X LSGS(Low Serum Growth Supplement, cascade biologics S-003-10)을 첨가한 배지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웰 플레이트에 1X 105 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하고 세포의 부착을 확인한 뒤, 대조군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용매만 넣었으며, 디쉬에는 3종의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TGF를 10μg/ml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를 하였다. 각각의 디쉬에 시험물질을 가한 뒤 2일 동안 배양하였다. 2일 뒤, 배지를 채취하여) Procollagen Type I C-peptide(이하 PIP) EIA kit (takara MK101)을 통해 Collagen 생성을 측정하였다.The intracellular collagen production was tested for the three fatty acid-peptide complexes selected in the MMP-1 inhibition test. Human dermal fibroblast (HDF) cells were cultured in Medium 106 (cascade biologics, M-106-500) supplemented with 1X LSGS (Low Serum Growth Supplement, cascade biologics S-003-10) C, 5% CO2. Cells were cultured in a 24-well plate at a concentration of 1 × 10 5 cells / well. After the cell adhesion was confirmed, only the solvent was added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any treatment. In the dish, 3 kinds of test groups and 10 μg / ml of TGF . ≪ / RTI > The test material was added to each dish and cultured for 2 days. After 2 days, the medium was collected and collagen production was measured by Procollagen Type I C-peptide (PIP) EIA kit (takara MK101).

3 종의 실험군을 농도별로 처리한 뒤 collagen 생성률을 측정하였다. 콜라겐의 양이 대부분의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이러한 결과로부터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가 collagen 생성을 크게 증가시켜 피부의 주름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Three different groups were treated by concentration and collagen production rate was measured. The amount of collagen was found to increase in most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Fig. 3).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tty acid - peptide complex can significantly inhibit wrinkles of skin by increasing collagen production.

실시예 5 Example 5

피부 주름 개선 조성물의 안정성 확인 실험Experiment to confirm stability of wrinkle-improving composition

본 발명의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의 열과 광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주름 개선 조성물이 10 mg/mL이 되도록 조성물을 50 mM Tris-HCl(pH 8.0) 완충용액에 용해하여 유리 바이알에 분주하여 넣은 후 50℃ 에서 7, 14, 21, 28, 35, 42 및 60일 보관하며 열에 의한 조성물 내 펩타이드 성분의 손실을 측정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일광 조건에서 안정성 여부를 측정하였다.열에 의한 펩타이드 손실을 측정하고 일광 조건에서 안정성 여부를 측정한 결과, 60일까지 단지 10% 미만의 펩타이드 손실을 나타내어 열 및 보관기간에 있어 높은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및 5). In order to confirm the heat and light stability of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was dissolved in a 50 mM Tris-HCl (pH 8.0) buffer solution so that the wrinkle-reducing composition was 10 mg / The loss of peptide components in the composition by heating was measured and the stability was measured in daylight conditions by the same method. The loss of peptide by heat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daylight conditions (Fig. 4 and 5).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eptide showed less than 10% peptide loss up to 60 days and had high stability in heat and storage period (Figs. 4 and 5).

실시예 6 Example 6

세포독성, Cytotoxicity, 재생능Playability 실험 Experiment

본 발명의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가 각질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독성, 재생능 평가를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ACAT세포와 HDF세포를 24 well plate에 각 well당 4 X 104 cells/24well의 세포수가 되도록 seeding 한 후 24h 동안 37℃, 5% CO2조건으로 항온 배양하였다. PBS로 2회 세척 후 배양 후 합성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를 농도별(1mg ~ 1ug/mL)로 처리하여 24h 동안 항온 배양하였다. 배양 후 MTT 0.5% in DPBS를 배양배지와 1:9(v/v)로 혼합하여 첨가한 후 2h 동안 CO2 incubator에서 배양한 후 생성된 formazan을 DMSO에 녹여 ELISA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측정하였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질세포주의 일종인 HaCat 세포, 섬유아세포의 일종인 HDF 세포에 대하여, 저농도에서 고농도까지 투여한 조성물에 의한 세포수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세포들의 증식에 도움을 주며 세포의 현미경적인 관찰에서도 별다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oxicity to keratinocytes, cytotoxicity and regeneration ability were evaluated by MTT assay. HACAT cells and HDF cells were seeded on a 24-well plate at 4 × 10 4 cells / 24 well per well and incubated at 37 ° C and 5% CO 2 for 24 h. After washing twice with PBS, the cultured synthetic fatty acid-peptide complex was treated with concentration (1 mg ~ 1 ug / mL) and incubated for 24 h. After incubation, MTT 0.5% in DPBS was mixed with the culture medium at a ratio of 1: 9 (v / v). Then, formazan was dissolved in DMSO for 2 h and incubated in a CO2 incubator for 2 h at 570 nm using ELISA. As shown in FIG. 6, there was no decrease in cell number due to the composition administered at a low concentration to a high concentration on HaCat cells, a kind of keratinocyte, and HDF cells, a kind of fibroblasts,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cells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지방산-펩타이드는 피부 관련 세포에 독성이 전혀 없으며 피부세포 증식을 촉진함을 알 수 있으며, 이로써 본 주름 개선 조성물을 피부에 처리하여도 큰 영향을 끼치지 않으리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Thus, it can be seen that the fatty acid peptid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 toxicity to the skin-related cells and promote skin cell proliferation. Thus,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present wrinkle-improving composition will not have a great influence even if it is treated on the skin .

실시예 7Example 7

지방산-fatty acid- 펩타이드의Of peptide 피부 투과도 향상 확인 Confirm skin permeability improvement

지방산-펩타이드의 피부 투과도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인체의 표피 층(Epidermis)을 대상으로 하여 하기와 같이 프란츠 확산 세포(Franz diffusion cell)를 이용한 피부 투과도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confirm the enhancement of the skin permeability of the fatty acid-peptide, a skin permeability comparative experiment using a Franz diffusion cell was conducted on the epidermis of the human body as described below.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8 .

[피부 투과도 실험 방법][Experimental method of skin permeability]

1. 프란츠 확산 세포(Franz diffusion cell)의 수용 챔버(receptor chamber)에 인산 완충용액을 6.5㎖ 채우고, 각질층이 위로 향하도록 도너 챔버(donor chamber)와 수용 챔버(receptor chamber) 사이에 인체 사체의 피부(cadaver)를 고정시킨다. 사용한 커대버(cadaver)로는 한스바이오메드(주)의 epidermis skin을 활용하였다.1. Fill the receptor chamber of the Franz diffusion cell with 6.5 ml of phosphate buffer solution and place the horny layer face up on the skin of the human body between the donor chamber and the receptor chamber. (cadaver). The epidermis skin of Hans Biomed was used as the cadaver used.

2. 도너 챔버(Donor chamber)에는 실험군으로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와 비교군으로 일반 펩타이드의 농도가 1mg/㎖인 수용액, 양성 대조군으로 카페인 1mg/㎖ 농도의 수용액을 준비하여 담지하였다.2. Donor chambers were prepared with an aqueous solution of 1 mg / ml of a general peptide as a control group and a 1 mg / ml solution of caffeine as a positive control group.

3.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35±1℃로 온도를 유지하고 계속해서 자석교반 하였다.3. During the experiment, th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35 ± 1 ℃ and the magnetic stirring was continued.

4. 0.5, 1, 3, 5, 8, 12 및 24시간 후 수용 챔버(receptor chamber) 내 각각의 시료를 샘플링 포트(sampling port)에서 채취하였다.4. After 0.5, 1, 3, 5, 8, 12 and 24 hours, each sample in the receptor chamber was sampled at a sampling port.

5. 시간 별 샘플 내 펩타이드, 카페인의 함량은 HPLC 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피부 투과량, 피부 투과도를 구하고, 비교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다.5. The amount of peptide and caffeine in the sample by time was checked by HPLC analysis, and the skin permeation rate and skin permeability were determined, and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compared.

도 7을 참조하면, 프란츠 확산 세포(Franz diffusion cell)를 이용한 피부 투과도 비교실험을 실시한 결과 지방산과 결합되지 않은 일반 펩타이드는 큰 분자량으로 피부 침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나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시간에 비례하여 프란츠 확산 세포(Franz diffusion cell)의 수용 챔버(receptor chamber)와 도너 챔버(donor chamber) 사이의 커대버(cadaver)를 통과하여 수용 챔버(receptor chamber)에서 발견되었다. 본 실시예를 통해 지방산-펩타이드는 펩타이드의 피부 각질층 투과를 원활히하여 펩타이드의 피부 흡수를 현저히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7, a skin permeability comparative experiment using Franz diffusion cells showed that the general peptides not bound to fatty acids had a large molecular weight and hardly penetrated into the skin. However, fatty acid-peptide complexe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time Was found in the receptor chamber through the cadaver between the receptor chamber of the Franz diffusion cell and the donor chamber. In this example, it was confirmed that the fatty acid peptides smoothly permeate the skin horny layer of the peptide and significantly promote the skin absorption of the peptide.

실시예 8 Example 8

임상 주름개선 시험Clinical wrinkle improvement test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개선 임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공인 인증기관에 의뢰하여 조성물이 처방된 화장품 제형의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clinical effect of improving the wrinkle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rinkle-improving effect of the cosmetic formulation prescribed with the composition was confirmed by an authorized certification body.

In vitro에서 피부 주름개선 효능이 높았던 1종의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를 선정하여 하기 표 3에서 제시한 크림의 조성에 상기 선정된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를 넣은 크림을 제조하였으며 만 30~50세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시험 제품은 안면 부위에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눈가 주름 개선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는 평가기관 내부 지침서(SOP)에 준하여 수행하였으며,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에 규정하지 않은 사항은 참고 문헌을 참조하여 수행하였다. One kind of fatty acid-peptide complex which had a high skin wrinkle-reducing effect in vitro was selected and a cream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fatty acid-peptide complex was prepared in the cream composition shown in Table 3 below. . The test product was applied to the facial area according to the method of use, and th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eye wrinkles was evaluated. Evaluation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SOP of the evaluation institution, and matters not specified in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s safety guidelines were referred to the reference documents.

주름 측정은 PRIMOS(Phaseshift Rapid In-vivo Measurement Of Skin)를 이용하여 눈가 부위를 측정하였고, 시험 부위에 대한 정확한 재현성을 위해 기존 측정부위와 새로운 측정부위가 동일할 수 있도록 overlay 기능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The wrinkles were measured using the PRIMOS (Phaseshift Rapid In-vivo Measurement of Skin) and the overlay function was used to ensure that the existing measurement area and the new measurement area were identical for accurate reproducibility of the test area .

PRIMOS는 미세주름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로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에서 만들어진 미세한 줄무늬(fringe fraction)가 피부에 투영된다. 투영된 영상은 3차원 profile 정보로 나타나며 필터과정을 통해 PRIMOS프로그램(GFM, Germany) 으로 분석된다. PRIMOS 분석 변수로는 Ra와 R3z를 선정하였다. PRIMOS is a device for measuring fine wrinkles. A fringe fraction made from a 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is projected onto the skin. The projected image is represented by three-dimensional profile information and analyzed by PRIMOS program (GFM, Germany) through a filter process. Ra and R3z were selected as PRIMOS analysis variables.

Ra(Arithmetic roughness average)는 PRIMOS로 측정된 주름의 거칠기 단면 peak에 대한 산술 평균값으로 Ra값이 작아질수록 피부 주름의 깊이가 낮아져 주름이 개선됨을 의미하며, 단위는 ㎛이다.The arithmetic roughness average is an arithmetic average value of the roughness cross-sectional peaks of the wrinkles measured by PRIMOS. The lower the Ra value, the lower the wrinkle depth of the wrinkles, and the wrinkles are improved.

R3z(Base roughness depth)는 R3z1부터 R3z5까지 5가지의 단일 거칠기 깊이에 대한 산술 평균으로 나타낸다. 단일 거칠기 깊이는 거칠기 단면의 단일 평가 거리(Ir)에서 세 번째로 높은 단면 peak과 세번째로 깊은 곡선 사이의 수직거리를 의미한다. R3z의 값이 작아질수록 피부의 주름 깊이가 낮아짐을 의미하며 주름 개선이 되었음을 의미한다.Base roughness depth (R3z) is expressed as an arithmetic average of five single roughness depths from R3z1 to R3z5. The single roughness depth means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third highest peak and the third deepest curve at a single evaluation distance (Ir) of the roughness section. The smaller the value of R3z, the lower the wrinkle depth of the skin, which means that the wrinkles are improved.

두 군 간의 눈가 주름 변화 분석 결과 시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Ra, R3z에서 제품 사용 8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눈가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8).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eye wrinkles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wrinkles of the eye at 8 weeks after using the product in Ra and R3z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ig. 8).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range, and equivalence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10> A and PEP INC. Hannam University Institute for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120> DEVELOPMENT OF NEW PEPTIDE DERIVATIVE FOR COSMETIC MATERIAL WITH ENHANCED SKIN PERMEABILITY <130> NP17-11167 <160> 5 <170> KoPatentIn 3.0 <210> 1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1 <400> 1 Ala Phe Pro Gly 1 <210> 2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2 <400> 2 Arg Lys Asp Val Tyr 1 5 <210> 3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3 <400> 3 Glu Glu Met Gln Arg Arg 1 5 <210> 4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4 <400> 4 Gly Pro Gln Gly Pro Gln 1 5 <210> 5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5 <400> 5 Phe Val Ala Pro Asp Pro 1 5 <110> A and PEP INC.          Hannam University Institute for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120> DEVELOPMENT OF NEW PEPTIDE DERIVATIVE FOR COSMETIC MATERIAL WITH          ENHANCED SKIN PERMEABILITY <130> NP17-11167 <160> 5 <170> KoPatentin 3.0 <210> 1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1 <400> 1 Ala Phe Pro Gly   One <210> 2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2 <400> 2 Arg Lys Asp Val Tyr   1 5 <210> 3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3 <400> 3 Glu Glu Met Gln Arg Arg   1 5 <210> 4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4 <400> 4 Gly Pro Gln Gly Pro Gln   1 5 <210> 5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5 <400> 5 Phe Val Ala Pro Asp Pro   1 5

Claims (7)

서열번호 1 내지 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펩타이드와 탄소수 10 내지 20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 아마이드 결합된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comprising a peptide-peptide complex comprising a pept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Q ID NOS: 1 to 5 and a saturated or unsaturated fatty acid having 10 to 20 carbon atoms as an active ingredi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0 내지 20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은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리놀레익산(Linole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 올레익산(Oleic acid) 및 라우르산(Laur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aturated or unsaturated fatty acid having 10 to 20 carbon atoms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yristic acid, stear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Wherei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uric ac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서열번호 4로 표현되는 펩타이드와 스테아릭산(Stea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또는 팔미트산(Palmitic acid)이 아마이드 결합된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is an amide-bonded complex of a peptide represented by SEQ ID NO: 4 with stearic acid, myristic acid or palmitic ac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보호기로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 또는 가지형의 탄화수소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is prepared by us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s a protecting group.
[Chemical Formula 1]
Figure pat00006

In Formula 1,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a linear or branched hydrocarbon having 1 to 20 carbon atom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MMP-1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inhibits MMP-1 expres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피부 세포 내 콜라겐 생합성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activates collagen biosynthesis in skin ce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펩타이드 복합체는 프란츠 확산 세포(Franz diffusion cell)를 이용한 피부 투과도(실험 24시간 경과 기준)가 0.01m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tty acid-peptide complex has a skin permeability (based on 24 hours of the experiment) of at least 0.01 mg / ml using a Franz diffusion cell.
KR1020170163754A 2017-11-30 2017-11-30 Development of new peptide derivative for cosmetic material with enhanced skin permeability KR1020352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754A KR102035275B1 (en) 2017-11-30 2017-11-30 Development of new peptide derivative for cosmetic material with enhanced skin perme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754A KR102035275B1 (en) 2017-11-30 2017-11-30 Development of new peptide derivative for cosmetic material with enhanced skin perme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307A true KR20190064307A (en) 2019-06-10
KR102035275B1 KR102035275B1 (en) 2019-11-18

Family

ID=6684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754A KR102035275B1 (en) 2017-11-30 2017-11-30 Development of new peptide derivative for cosmetic material with enhanced skin perme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27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219A1 (en) 2019-05-28 2020-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Lithium secondary batte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429B1 (en) * 2005-12-26 2007-03-28 주식회사 화진화장품 Fabrication method for skin fuctional peptide combined oleic acid
KR20100031862A (en) * 2008-09-16 2010-03-25 (주)마임 Novel palmitoyltripeptide and anti-wrinkl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429B1 (en) * 2005-12-26 2007-03-28 주식회사 화진화장품 Fabrication method for skin fuctional peptide combined oleic acid
KR20100031862A (en) * 2008-09-16 2010-03-25 (주)마임 Novel palmitoyltripeptide and anti-wrinkl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it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ECKY LEE, CISION PRWeb, 2010. 04., [ONLINE] *
Wang Y 등, J Cosmet Laser Ther., 2013. 08., Vol. 15, No. 4, pp. 237-241 *
최정윤 등, 한국유화학회, 2014, 제31권, 제1호, pp. 120-12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219A1 (en) 2019-05-28 2020-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Lithium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275B1 (en) 201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6704B2 (en) Compounds useful for the treatment and/or care of the skin, hair, nails and/or mucous membranes
EP2537867B1 (en) Modified hyaluronic acid and/or salt thereof,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cosmetic comprising same
KR101198918B1 (en) WNT10 Derived Peptides and Uses Thereof
KR101393397B1 (en) Transdermal delivery system of dermatological active ingredients using cellular transduction peptides
JP2004501974A (en) Use of the extract of the fungus Grifola flondosa
US10532018B2 (en) Method of whitening skin using tranexamic acid-peptide having skin whitening activity
CN109715217B (en) Minoxidil and peptide conjugates
KR102035275B1 (en) Development of new peptide derivative for cosmetic material with enhanced skin permeability
JP3172753B2 (en) Biological hyaluronic acid synthesis promoter
KR102475100B1 (en) Preparing method of highly functional peptide derived from keratinocyte protein
US20230365643A1 (en) Peptide, and cosmetic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102160566B1 (en) Conjugate of minoxidil and peptide
KR101719354B1 (en) Peptides Having Growth Factor Activity and Uses Thereof
KR101962801B1 (en) Niacinamide-Peptide Fusions With the Effect of Reducing Skin Wrinkles and Skin Cell Regeneration And Using Thereof
US20240043471A1 (en) Preparing method of highly functional peptide derived from keratinocyte protein
JP3595592B2 (en) Cosmetics
EP3366273A1 (en) Moisturizer and cosmetic containing same
KR102016658B1 (en) Conjugate of salicylic acid and peptide
FR2767690A1 (en) USES OF EXTRACTS FROM THE RHOEO DISCOLOR PLANT IN THE FIELD OF COSMETICS AND PHARMACY, ESPECIALLY DERMATOLOGY
KR20220110218A (en) Peptides and compositions for cosmetic and pharmaceutical use
KR20230078893A (en) Preparing method of peptide with improved heat and enzymatic hydrolysis stability and cosmetic composition using the same
KR20240032203A (en) Complex peptide for whitening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WO2024047646A1 (en) Liposome-containing cosmetic compositions
KR20230164937A (en) Novel whitening peptide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R101155152B1 (en) Growth Factor?Derived Peptides and Us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