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145A - 정수기의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145A
KR20190064145A KR1020170163487A KR20170163487A KR20190064145A KR 20190064145 A KR20190064145 A KR 20190064145A KR 1020170163487 A KR1020170163487 A KR 1020170163487A KR 20170163487 A KR20170163487 A KR 20170163487A KR 20190064145 A KR20190064145 A KR 20190064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housing
purified water
wate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택
김석규
Original Assignee
임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택 filed Critical 임진택
Priority to KR1020170163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4145A/ko
Publication of KR20190064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를 하우징으로 수용하여 증발기에 발생하는 냉기와 하우징으로 여과되어 공급되는 정수가 열교환되면서 냉수를 용이하게 생성함으로써,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발기를 하우징이 수용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세균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수기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수기의 냉각장치{Cooling device for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를 하우징으로 수용하여 증발기에 발생하는 냉기와 하우징으로 여과되어 공급되는 정수가 열교환되면서 냉수를 용이하게 생성함은 물론 증발기를 하우징이 수용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므로 세균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수기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물 등과 같은 물을 하나 이상의 필터로 정수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여과된 정수를 공급장치로, 정수를 냉각시켜 공급하는 냉수 발생부와 정수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온수 발생부 및 얼음을 만드는 제빙유니트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얼음을 이용하여 냉수를 제조하는 정수기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4613호에 얼음을 이용한 냉수 제조가 가능한 얼음 정수기가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제빙 유니트에서 생성되어 떨어지는 얼음이 냉수 탱크의 상단부에 잠겨진 아이스 그릴에 적재되고, 아이스 그릴에 적재된 얼음이 냉수 탱크에 저장된 정수와 열교화되면서 냉수 탱크의 정수가 냉각되어 냉수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7639호에 순간냉수 생성이 가능한 얼음 정수기가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제빙유닛에서 생성되어 얼음 수용부재에 얼음이 저장되면, 상기 얼음 상부에서 하부로 정수가 낙하되어 얼음과 열교환되면서 정수가 냉각되어 냉수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선행특허들은 제빙된 얼음과 정수가 열교화되어 냉수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없어 세균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급되는 얼음과 정수가 열교환되면서 냉수를 생성하므로 많은 양의 냉수를 생성하지 못해 냉각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얼음이 녹아 발생하는 물이 배출되지 않고 저장되어 있으므로 냉수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빙기능이 부가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46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763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를 하우징으로 수용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므로 세균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수기의 냉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냉기와 하우징으로 공급되는 정수가 열교환되면서 냉수를 생성함은 물론 하우징으로 공급되는 정수가 와류되어 이동하므로 증발기에 발생하는 냉기와 열교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입수되는 정수를 효과적으로 냉각시켜 냉수 사용 불편을 개선할 수 있는 정수기의 냉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빙기능이 부가되지 않음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수기의 냉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정수기의 냉각장치는,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수용하면서 생성된 냉수를 저장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정수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냉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냉수는 상기 공급부로 공급되는 정수와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냉기와 열교환되어 생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에 안착되어 증발기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상부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에 정수의 공급을 안내하도록 하부몸체의 통공에 장착되는 공급관이다.
상기 공급관은 정수가 직선으로 공급되도록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공급관은 정수가 와류되어 공급되도록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공급관은 정수가 와류되어 공급되도록 단부가 대향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를 하우징이 수용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세균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를 하우징으로 수용하여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냉기와 하우징으로 여과되어 공급되는 정수가 열교환되면서 냉수를 생성함으로써,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으로 공급되는 정수가 와류되어 이동하므로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냉기와의 열교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정수의 초기 냉각 시간 및 냉수의 재냉각 시간을 단축시켜 냉각시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입수되는 정수를 효과적으로 냉각시켜 많은 양의 냉수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냉수 사용 불편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빙기능이 부가되지 않음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정수기의 냉각장치 일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정수기의 냉각장치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정수기의 냉각장치 일실시예의 설치상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정수기의 냉각장치 일실시예의 공급관에 따른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정수기의 냉각장치 다른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정수기의 냉각장치 다른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정수기의 냉각장치 다른실시예의 설치상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정수기의 냉각장치 다른실시예의 공급관에 따른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정수기의 냉각장치 일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정수기의 냉각장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정수기의 냉각장치(100)는, 정수를 냉수로 전환시키는 냉각장치로, 증발기(110), 하우징(120), 공급부(130), 배출관(140)을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110)는 통상의 냉동 사이클에 포함된 증발기로, 저온저압의 액체 냉매가 순환되면서 냉기를 발생하는 구성이며, 정수와의 열교환 면적을 넓히도록 코일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증발기(110)를 수용하면서 생성된 냉수를 보관하는 구성으로, 하부몸체(121), 상부몸체(12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몸체(121)는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증발기(110)의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하단부에 관통되어 공급관(131)이 장착되는 통공(121a)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122)는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증발기(110)의 상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상부몸체(121)(122)를 결합하는 결합부(1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23)는 상기 하부몸체(121)와 상부몸체(122) 중 어느 하나의 몸체에 돌출된 결합돌기(123a)와, 다른 하나의 몸체에 요입된 결합홈(123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상부몸체(121)(122)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냉수의 보냉시간을 늘리도록 하는 단열재(1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130)은 상기 하우징(120)에 정수의 공급을 안내하도록 하부몸체의 통공에 장착되는 공급관(131)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급관(131)은 하부몸체(121)의 통공(121a)에 정수가 직선으로 공급되도록 수직으로 형성되거나, 와류되어 공급되도록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단부가 대향되어 형성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관(140)은 상기 하우징(120)에 생성된 냉수를 배출하는 구성으로, 하우징(120)의 상부몸체(122)에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정수기의 냉각장치(100) 제작 및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증발기(110)의 상단부에 배출관(140)이 설치된 상부몸체(122)를 장착하여 증발기(110)의 단부가 상부몸체(122)의 내부를 통해 결합공(미도시)에 결합되도록 하는데, 상기 증발기(110)는 상부몸체(122) 내부에 편심되어 설치될 수 있으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몸체(121)의 통공(121a)에 공급관(131)을 설치한 후, 상기 공급관(131)이 설치된 하부몸체(121)를 증발기(110)의 상단부를 수용한 상부몸체(12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밀착된 부분을 용접으로 고정한다.
상기 하부몸체(121)를 상부몸체(122)에 용접으로 고정할 때, 하·상부몸체(121)(122)를 결합부(123)로 결합할 수도 있는데, 상기 결합부(123)는 하·상부몸체(121)(122) 중 어느 하나의 몸체에 형성된 결합돌기(123a)를 다른 하나의 몸체에 형성된 결합홈(123b)에 결합하면서 하부몸체(121)와 상부몸체(122)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한 후, 유동을 방지하면서 밀착된 부분을 용접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하·상부몸체(121)(122)가 고정되면, 상기 공급관(131)과 배출관(140)이 돌출되도록 단열재(124)로 상기 하·상부몸체(121)(122)를 감싸면서 본 발명 냉각장치(100)의 제작이 완료되고, 상기 냉각장치(100)를 정수기에 설치한 후, 증발기(110)는 통상의 냉동 사이클과 연결하고, 상기 공급관(131)은 수도관과 연결하며, 상기 배출관(140)은 정수기의 꼭지와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관(131)의 선단에는 수도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면, 통상의 냉동 사이클이 작동하는데, 상기 냉동 사이클(10)은 압축기(11)가 작동하여 고온고압의 가스를 중온고압의 액체냉매로 열교환하기 위한 응축기(12)와, 상기 응축기에서 열교환된 중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전환시키는 모세관(13)과, 상기 모세관을 거친 저온저압의 액체냉매가 순환되는 증발기(110)를 포함하고, 냉매가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및 증발기를 순환하면서 냉각되도록 작동한다.
상기 증발기(110)는 저온저압의 액체냉매에 의해 냉각되는데, 냉각되는 증발기(110) 표면에 얼음이 생성될 수 있고, 증발기(110)에서 발생하는 냉기 또는 증발기(110) 표면에 생성된 얼음과 수도전의 물이 여과된 후, 공급관(131)을 경유하여 하우징(120) 내부로 공급되는 정수가 열교환되면서 냉수가 생성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110)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정수와의 열교환 면적을 넓힘으로 냉수를 원활하게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수가 하우징(120)에 의해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므로 세균에 의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와 같이, 상기 공급관(131)은 상기 하부몸체(121)의 통공(121a)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하우징(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다시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와류를 발생시키면서 증발기(110)의 냉기 또는 얼음과 정수를 열교환시켜 냉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상기 공급관(131)은 상기 하부몸체(121)의 통공(121a)에 단부가 경사지게 장착되어 하우징(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와류를 발생시키면서 증발기(110)의 냉기 또는 얼음과 정수를 열교환시켜 냉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상기 공급관(131)을 상기 하부몸체(121)의 통공(121a)에 양단부가 대향된 'Y'자 형상으로 장착되어 하우징(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와류를 발생시키면서 증발기(110)의 냉기 또는 얼음과 정수를 열교환시켜 냉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상기 하부몸체(121)의 통공(121a)에 장착되는 공급관(131)의 상단부에 양측으로 공급부재(131')를 대향하게 형성하여 하우징(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다시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와류를 발생시키면서 증발기(110)의 냉기 또는 얼음과 정수를 열교환시켜 냉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생성된 냉수는 배출관(140)과 연결된 꼭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하고, 배출된 양만큼 공급관(131)으로 정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할수 있는 것이다.
상기 냉수가 배출관(140)으로 과다하게 배출되어도 공급관(131)으로 공급되는 정수의 초기 냉각 시간 및 하우징(120)에 저장된 냉수의 재냉각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냉수 사용의 불편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상부몸체(121)(122)를 단열재(124)로 감싸 수용하므로 냉수의 보냉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많은 양의 냉수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120)으로 공급되는 정수가 냉수로 변환되도록 증발기(110)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증발기(110) 표면에 얼음이 생성될 때, 부피팽창에 따른 압력은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하우징(120) 내부의 냉수를 일정량 배출하는 별도의 부재를 구성하여 하우징(120) 내부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 생성된 냉수는 배출관(140)과 연결된 꼭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하고, 배출된 양만큼 공급관(131)으로 정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정수기의 냉각장치(100)는,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정수를 냉수로 전환시키는 냉각장치로, 증발기(110), 하우징(120), 공급부(130'), 배출관(140)을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110)는 통상의 냉동 사이클에 포함된 증발기로, 저온저압의 액체 냉매가 순환되면서 냉기를 발생하는 구성이며, 정수와의 열교환 면적을 넓히도록 코일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증발기(110)를 수용하면서 생성된 냉수를 보관하는 구성으로, 하부몸체(121), 상부몸체(12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몸체(121)는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증발기(110)의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하단부에 관통되어 공급관(133)이 장착되는 통공(121a)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122)는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증발기(110)의 상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상부몸체(121)(122)를 결합하는 결합부(1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23)는 상기 하부몸체(121)와 상부몸체(122) 중 어느 하나의 몸체에 돌출된 결합돌기(123a)와, 다른 하나의 몸체에 요입된 결합홈(123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상부몸체(121)(122)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냉수의 보냉시간을 늘리도록 하는 단열재(1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130')는 상기 하우징(120) 내부로 정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구성으로, 공급안내부재(132), 공급관(133)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안내부재(132)는 정수공급관(132')으로 공급되는 정수를 공급관(133)으로 안내하는 구성으로, 내부가 요입되어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공급안내부재(132) 내부에 정수공급관(132')이 장착되는 통공(132a)이 관통된다.
상기 공급관(133)은 상기 정수를 하우징(120)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부몸체(121)의 통공(121a)에 정수가 직선으로 공급되도록 수직으로 형성되거나, 와류되어 공급되도록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단부가 대향되어 형성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관(140)은 상기 하우징(120)에 생성된 냉수를 배출하는 구성으로, 하우징(120)의 상부몸체(122)에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정수기의 냉각장치(100')의 제작 및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0과 같이,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증발기(110)의 상단부에 배출관(140)의 설치된 상부몸체(122)를 장착하여 증발기(110)의 단부가 상부몸체(122)의 내부를 통해 결합공(미도시)에 결합되도록 하는데, 상기 증발기(110)는 상부몸체(122) 내부에 편심되어 설치될 수 있으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몸체(121)의 통공(121a)에 공급부(130')의 공급관(133)을 설치한 후, 상기 공급관(133)이 설치된 하부몸체(121)를 증발기(110)의 상단부를 수용한 상부몸체(12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밀착된 부분을 용접으로 고정한다.
상기 하부몸체(121)를 상부몸체(122)에 용접으로 고정할 때, 하·상부몸체(121)(122)를 결합부(123)로 결합할 수도 있는데, 상기 결합부(123)는 하·상부몸체(121)(122) 중 어느 하나의 몸체에 형성된 결합돌기(123a)를 다른 하나의 몸체에 형성된 결합홈(123b)에 결합하면서 하부몸체(121)와 상부몸체(122)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한 후, 유동을 방지하면서 밀착된 부분을 용접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하부몸체(121)의 하단부를 정수공급관(132')이 통공(132a)에 장착된 공급안내부재(132)를 하부몸체(121)의 하단부에 용접으로 고정하는데, 상기 공급안내부재(132)는 하부몸체(121)에 관통된 통공(121a)을 수용하여야 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상·하부몸체(122)(121) 및 하부몸체(121)와 공급안내부재(132)가 고정되면, 상기 정수공급관(132')과 배출관(140)이 돌출되도록 단열재(124)로 상·하부몸체(122)(121) 및 공급안내부재(132)를 감싸면서 다른 실시예의 냉각장치(100')의 제작이 완료되고, 상기 냉각장치(100')를 정수기에 설치한 후, 증발기(110)는 통상의 냉동 사이클과 연결하고, 상기 정수공급관(132')은 수도관과 연결하며, 상기 배출관(140)은 정수기의 꼭지와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정수공급관(132')의 선단에는 수도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면, 통상의 냉동 사이클이 작동하는데, 상기 냉동 사이클(10)은 압축기(11)가 작동하여 고온고압의 가스를 중온고압의 액체냉매로 열교환하기 위한 응축기(12)와, 상기 응축기에서 열교환된 중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전환시키는 모세관(13)과, 상기 모세관을 거친 저온저압의 액체냉매가 순환되는 증발기(110)를 포함하고, 냉매가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및 증발기를 순환하면서 냉각되도록 작동한다.
상기 증발기(110)는 저온저압의 액체냉매에 의해 냉각되는데, 냉각되는 증발기(110) 표면에 얼음이 생성될 수 있고, 증발기(110)에서 발생하는 냉기 또는 증발기(110) 표면에 생성된 얼음과 수도전의 물이 여과된 후, 정수공급관(132')과 공급안내부재(132)의 공간을 통해 공급관(133)을 경유하여 하우징(120) 내부로 공급되는 정수가 열교환되면서 냉수가 생성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110)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정수와의 열교환 면적을 넓힘으로 냉수를 원활하게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수가 하우징(120)에 의해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므로 세균에 의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1과 같이, 상기 공급관(133)은 상기 하부몸체(121)의 통공(121a)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하우징(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다시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와류를 발생시키면서 증발기(110)의 냉기 또는 얼음과 정수를 열교환시켜 냉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상기 공급관(133)은 상기 하부몸체(121)의 통공(121a)에 단부가 경사지게 장착되어 하우징(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와류를 발생시키면서 증발기(110)의 냉기 또는 얼음과 정수를 열교환시켜 냉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3과 같이, 상기 공급관(133)을 상기 하부몸체(121)의 통공(121a)에 양단부가 대향된 'Y'자 형상으로 장착되어 하우징(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와류를 발생시키면서 증발기(110)의 냉기 또는 얼음과 정수를 열교환시켜 냉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생성된 냉수는 배출관(140)과 연결된 꼭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하고, 배출된 양만큼 공급관(131)으로 정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냉수가 배출관(140)으로 과다하게 배출되어도 정수공급관(132')으로 공급되는 정수의 초기 냉각 시간 및 하우징(120)에 저장된 냉수의 재냉각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냉수 사용의 불편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상부몸체(121)(122)를 단열재(124)로 감싸 수용하므로 냉수의 보냉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많은 양의 냉수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120)으로 공급되는 정수가 냉수로 변환되도록 증발기(110)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증발기(110) 표면에 얼음이 생성될 때, 부피팽창에 따른 압력은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하우징(120) 내부의 냉수를 일정량 배출하는 별도의 부재를 구성하여 하우징(120) 내부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냉각장치 110: 증발기
120: 하우징 130: 공급관
140: 배출관

Claims (5)

  1.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수용하면서 생성된 냉수를 저장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정수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냉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냉수는 상기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정수와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냉기와 열교환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냉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를 수용하면서 하단부에 공급관이 장착되는 통공이 관통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에 안착되어 증발기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냉각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에 정수의 공급을 안내하도록 하부몸체의 통공에 장착되는 공급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냉각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정수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정수를 공급관으로 안내하는 공급안내부재와;
    상기 공급안내부재로 공급되는 정수를 하우징으로 안내하도록 하부몸체의 통공에 장착되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냉각장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하부몸체의 통공에 정수가 직선으로 공급되도록 수직으로 형성되거나, 와류되어 공급되도록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단부가 대향되어 형성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냉각장치.
KR1020170163487A 2017-11-30 2017-11-30 정수기의 냉각장치 KR20190064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487A KR20190064145A (ko) 2017-11-30 2017-11-30 정수기의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487A KR20190064145A (ko) 2017-11-30 2017-11-30 정수기의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145A true KR20190064145A (ko) 2019-06-10

Family

ID=6684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487A KR20190064145A (ko) 2017-11-30 2017-11-30 정수기의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414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613B1 (ko) 2006-12-26 2008-03-18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얼음을 이용한 냉수 제조가 가능한 얼음 정수기
KR101647639B1 (ko) 2009-09-30 2016-08-11 코웨이 주식회사 순간냉수 생성이 가능한 얼음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613B1 (ko) 2006-12-26 2008-03-18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얼음을 이용한 냉수 제조가 가능한 얼음 정수기
KR101647639B1 (ko) 2009-09-30 2016-08-11 코웨이 주식회사 순간냉수 생성이 가능한 얼음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90630A (zh) 冰箱
EP2787310B1 (en) Beverage cooling device and beverage supply system using cooling device
KR101916878B1 (ko) 냉수생성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
KR101916879B1 (ko) 냉수생성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
CN109997007A (zh) 净水器的控制方法
JP5636871B2 (ja) 冷凍装置
US20120017627A1 (en)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KR20150016158A (ko) 기능수 공급 장치
KR20190064145A (ko) 정수기의 냉각장치
KR101209205B1 (ko) 음료 냉각장치
KR101365876B1 (ko) 와인 냉각장치
CN106595218B (zh) 冷却装置
KR20120119518A (ko) 순간냉각기
KR200489423Y1 (ko) 액상 음료 과냉각 장치
KR20070121612A (ko)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
JP2005098581A (ja) 冷凍回路及び冷凍回路を用いた冷却装置
KR200493302Y1 (ko) 액상 음료 과냉각 장치
KR100618154B1 (ko) 정수기의 순간냉각 장치
CN219147343U (zh) 饮水机及其换热器
KR101287610B1 (ko) 냉이온수기의 냉각유닛
JP4245534B2 (ja) 冷蔵庫
KR20100085259A (ko) 김치냉장고
KR200298026Y1 (ko) 냉온수기용 증발기 구조
CN217764045U (zh) 一种啤酒机的制冷机构
KR20110012904A (ko) 다목적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