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1612A -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 - Google Patents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1612A
KR20070121612A KR1020070115131A KR20070115131A KR20070121612A KR 20070121612 A KR20070121612 A KR 20070121612A KR 1020070115131 A KR1020070115131 A KR 1020070115131A KR 20070115131 A KR20070115131 A KR 20070115131A KR 20070121612 A KR20070121612 A KR 20070121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freezing
air conditione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6030B1 (ko
Inventor
황길성
Original Assignee
황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1389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12161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황길성 filed Critical 황길성
Priority to KR1020070115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030B1/ko
Publication of KR20070121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물을 결빙시키는 냉동장치를 이용하여 전력이 남아도는 심야시간에 냉동장치의 내실에 물을 결빙시켜 두었다가, 공기를 공기관으로 흐르게 하면서 공기를 냉각시켜 냉기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적게 소요되며 적은 전력으로 장치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한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은 내실에 있는 물을 얼음(i)으로 냉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냉동장치, 상기 냉동장치의 내실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그릴(14), 상기 냉동장치의 내실에 상기 유입그릴(14)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며 외부면에 있는 물이 얼음(i)으로 냉동되는 공기관(40), 상기 공기관(40)을 통과하면서 냉각되어진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송풍기(50), 상기 냉동장치의 내실에 냉동시키기 위한 물을 주입시키는 물주입관(16), 그리고 상기 송풍기(50)에 의해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그릴(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냉동장치, 에어컨, 축냉동, 송풍기, 공기관, 물주입관

Description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An air conditioner using accumulation of freezing energy}
본 발명은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결빙시키는 냉동장치를 이용하여 전력이 남아도는 심야시간에 냉동장치의 내실에 물을 결빙시켜 두었다가, 더운 낮에 냉동장치의 내실을 공기가 통과하게 하면서 그 과정에서 공기를 냉각시켜 냉기가 발생되게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적게 소요되며 아울러 적은 전력으로 장치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한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여름에 필요로 하게 되는 찬바람의 원리는 예를 들어 병원에 가서 주사를 맞을 때 소독하는 과정에서 시원함을 느낄 수 있는데, 그것은 알콜이라고 하는 성분이 주위의 열과 함께 쉽게 증발하기 때문에 시원함을 느끼게 된다.
바로 에어컨도 이런 원리에 의해서 알콜보다 더 증발력이 강한 프레온 가스를 이용하여 주위의 열을 빼앗아 증발하기 때문에 에어컨에서 실내 온도보다 낮은 찬바람이 나오게 된다.
이때, 실내에서 빼앗은 열을 밖으로 배출해야 하기 때문에 실외기를 환기가 잘되는 곳에 설치하게 된다. 작동 원리로서, 에어컨을 가동하면 실내기에서 찬바람이 나오고 실외기에서는 따뜻한 바람이 나오게 된다. 즉,에어컨은 실내의 열을 모두 흡수하여 밖으로 버리는 기계이기 때문이다.
에어컨의 프레온 가스가 액체상태에서 배관을 따라 실내기로 순환하면서 실내기의 내부 냉각핀에서 증발하여 기체로 될 때 열을 흡수하여 결국 주위를 차갑게 만들게 된다. 차가워진 주위를 냉각핀 안쪽에서 송풍기펜이 가동되면서 찬바람이 나오게 된다.
실내기에서 증발하여 기체로 된 프레온 가스는 실외기의 압축기와 응축기에 의해 액체 상태로 다시 순환하게 된다. 냉동사이클은 압축,응축,팽창,증발과정으로 나누어지며 이들 각각의 과정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증발기의 4가지 주요한 기기가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에어컨은 급속 냉각작용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큰 용량의 압축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등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전력이 비싼 낮 시간 동안에 운용하여야 하므로 작동하는 동안 전력소비량도 많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전력이 적게 소비되는 심야시간에 냉동장치의 내실에 물을 결빙시켜 두었다가 이 얼음의 냉기를 이용하여 차갑고 시원한 바람이 발생되게 하여 제조 및 운용비용을 저렴하게 하는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은 내실에 있는 물을 얼음으로 냉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냉동장치, 상기 냉동장치의 내실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그릴, 상기 냉동장치의 내실에 상기 유입그릴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며 외부면에 있는 물이 얼음으로 냉동되는 공기관, 상기 공기관을 통과하면서 냉각되어진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송풍기, 상기 냉동장치의 내실에 냉동시키기 위한 물을 주입시키는 물주입관, 그리고 상기 송풍기에 의해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은 또한 상기 냉동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본체 내실의 열을 전도 받아 상기 압축기에서 오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그리고 상기 증발기에서 오는 냉매를 응축시키고 압축기로 보내는 응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은 또한 상기 공기관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는 유입부의 입구에 여과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은 일반적인 에어컨의 구조와는 달리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전력이 적게 소비되는 심야시간의 전기를 이용하여 냉동장치의 내실에 주입된 물을 결빙시켜 두었다가 이 결빙된 얼음의 냉기에 의하여 차고 시원한 공기를 발생하게 함으로써 제조 및 운용비용이 저렴하게 되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에어컨은 작은 공간을 단시간 동안 시원하게 하는데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A-A 선으로 절단한 본 발명의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의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은 냉동장치, 유입그릴(14), 공기관(40), 송풍기(50), 유출그릴(13), 물주입관(16)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동장치는 물을 얼음으로 냉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직육면체로 된 본체(10) 내실에 수용되어 있는 물에 대한 냉동작용을 위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1), 본체(10) 내실의 열을 전도 받아 상기 압축기(21)에서 오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22), 그리고 상기 증발기(22)에서 오는 냉매를 응축시키고 압축기(21)로 보내는 응축기(23)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각각 단열재인 우레탄 폼(12)을 내장하여 단열효과를 발휘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10)의 내실에는 상기 유입그릴(14)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이동되면서 냉기가 발생되도록 공기관(40)이 설치된다.
공기관(40) 내에서 발생되는 찬공기는 상부에 설치된 송풍기(50)의 흡입력에 의하여 공기관(40)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유출그릴(1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본체(10)의 밑면에는 받침구(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기관(40)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등의 합성수지를 자바리식으로 구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합성섬유를 이용한 자바라, 또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를 이용할 수 있다.
압축기(21)는 기계실(20)에 설치되어 있으며, 증발기(22)는 본체(10)의 내통 바깥에 감겨져 있고, 증발기(22)와 연결되어 있는 응축기(23)는 기계실(20)에 설치되어 있다.
압축기(21)와 증발기(22) 사이에는 증발기 유입관(22a)이 연결되어 있고 응축기(23)와 압축기(21) 사이에는 응축기 유출관(23a)이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압축기(21), 증발기(22), 응축기(23) 등은 설치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실에는 상기 물주입관(16)을 통하여 주입된 물이 수용되게 되 며 상기 냉동장치에 의해서 상기 물을 얼음으로 냉동시킬 수 있게 된다.
유입그릴(14)은 상기 냉동장치의 내실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기능을 하고, 유출그릴(13)은 상기 냉동장치의 내실에 설치된 공기관(40)을 통과하면서 냉각되어진 공기를 유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유입그릴(14)의 내측에 공기유입실(30)이 형성되어 있고 공기관(40)의 하단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수직방향의 통로인 유입부(41)의 하부에는 여과기(31)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50)는 송풍기 설치실(36)에 설치되어 있고 공기관(40)의 유출부(42), 냉기실(18) 및 송풍기 유입부(51)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기를 흡입하여 유출 그릴(13)을 통하여 외부로 내보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물주입관(16)의 코크(17)를 열어서 물이 본체(10)의 내실로 주입되도록 물을 주입하여 내실에 물이 적절히 차게 되면 다시 코크(17)를 잠가 놓는다.
냉동장치는 새벽과 같은 심야에 값싼 전력을 이용하여 본체(10) 내실에 들어 있는 물을 결빙시켜 놓는다. 결빙작용을 할 때 신속하게 결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작은 용량의 압축기(21)를 이용하여 충분한 시간을 갖고 물을 결빙시킨다.
이와 같이 결빙된 얼음(i)은 별도의 냉동작용을 하지 않아도 장시간 동안 결빙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단시간 동안에 냉방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 약 장시간 냉방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약간의 냉동작용을 하여야 한다.
냉동작용은 일반적인 원리를 이용하는데, 냉매를 압축기(21), 증발기(22), 응축기(23)를 순환시키면서 증발기(22)에서 본체(10)의 내실의 열기를 빼앗음으로써 냉동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의 내실에 수용된 물이 결빙상태를 유지하고 송풍기 설치실(36)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기(50)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유입그릴(14)로부터 공기가 공기관(40)으로 유입되면, 상기 공기가 공기관(40)을 통하여 상측으로 흘러 냉각되어서 발생된 찬공기가 송풍기 유입부(51), 송풍기 설치실(36) 및 유출그릴(13)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본 발명의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은 전력비용이 저렴한 심야 새벽시간에 물을 결빙시켜 놓았다가 24시간 가까이 냉방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에어컨은 물을 급속하게 결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적은 용량의 압축기(21)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또한 내실은 단열재인 우레탄 폼(12)의 단열작용으로 보냉상태가 유지되어 한번의 결빙상태가 장시간 가까이 지속되므로 한번 결빙으로 냉방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은 제조 및 운용비용이 저렴하게 되어 매우 경제적이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A-A 선으로 절단한 본 발명의 축냉동을 이용한 에어컨의 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O : 본체 11 : 받침구
12 : 단열재 13 : 유출그릴
14 : 유입그릴 16 : 물주입관
20 : 기계실 21 : 압축기
22 : 증발기 23 : 응축기
30 : 공기유입실 36 : 송풍기 설치실
40 : 공기관 41 : 유입부
42 : 유출부 50 : 송풍기
51 : 송풍기 유입부

Claims (3)

  1. 내실에 있는 물을 얼음(i)으로 냉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냉동장치,
    상기 냉동장치의 내실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그릴(14),
    상기 냉동장치의 내실에 상기 유입그릴(14)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며 외부면에 있는 물이 얼음(i)으로 냉동되는 공기관(40),
    상기 공기관(40)을 통과하면서 냉각되어진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송풍기(50),
    상기 냉동장치의 내실에 냉동시키기 위한 물을 주입시키는 물주입관(16), 그리고
    상기 송풍기(50)에 의해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그릴(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1), 본체(10) 내실의 열을 전도 받아 상기 압축기(21)에서 오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22), 그리고 상기 증발기(22)에서 오는 냉매를 응축시키고 압축기(21)로 보내는 응축기(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관(40)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는 유입부(41)의 입 구에 여과기(3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
KR1020070115131A 2007-11-12 2007-11-12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 KR100856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131A KR100856030B1 (ko) 2007-11-12 2007-11-12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131A KR100856030B1 (ko) 2007-11-12 2007-11-12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612A true KR20070121612A (ko) 2007-12-27
KR100856030B1 KR100856030B1 (ko) 2008-09-03

Family

ID=3913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131A KR100856030B1 (ko) 2007-11-12 2007-11-12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0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185B1 (ko) * 2008-03-10 2012-05-15 차찬열 실외기 없는 냉.온풍 에어컨
WO2016085040A1 (ko) * 2014-11-28 2016-06-02 박재홍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디셔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330B1 (ko) 2018-10-16 2019-02-12 이병선 빙축형 에어컨
KR20200084245A (ko) 2019-01-02 2020-07-10 (주)창현 냉각부를 구비한 에어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5368A (en) * 1990-02-07 1991-04-09 Calmac Manufacturing Corporation Coolness storage air conditioner appliance
KR19980011574U (ko) * 1996-08-21 1998-05-25 오성택 얼음 에어컨
KR100418441B1 (ko) * 2001-05-11 2004-02-14 권영선 실외기 일체형 축열식 냉방장치
KR100733870B1 (ko) * 2006-02-22 2007-07-02 주식회사 성일 냉풍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185B1 (ko) * 2008-03-10 2012-05-15 차찬열 실외기 없는 냉.온풍 에어컨
WO2016085040A1 (ko) * 2014-11-28 2016-06-02 박재홍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디셔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030B1 (ko)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3109A (en) Energy efficient domestic refrigeration system
US6931863B2 (en) Stirling refrigerator
KR101145185B1 (ko) 실외기 없는 냉.온풍 에어컨
CN102353205B (zh) 一种制冷设备
JP6687384B2 (ja) 冷蔵庫
US20070214823A1 (en) Heat exchanging device for refrigerator
CN103453710B (zh) 墙中冰箱及其控温方法
CN102297556B (zh) 冰箱
KR100856030B1 (ko) 축냉동 에너지를 이용한 에어컨
KR200377788Y1 (ko) 음용수 냉각장치
KR101330936B1 (ko) 냉장고
JP2004324902A (ja) 冷凍冷蔵庫
KR20040097582A (ko) 냉방용 축냉식 공기냉각기
KR20200084238A (ko) 냉동고와 에어컨을 결합시킨 실외기 없는 냉방시스템
KR100964360B1 (ko) 빙축열 냉방시스템 및 방법
JP2004333092A (ja) 冷凍冷蔵庫
KR100377618B1 (ko)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냉장고
KR200399136Y1 (ko) 액체냉매 대기 방출을 통한 냉동·냉장고
JP2005098605A (ja) 冷蔵庫
KR101188909B1 (ko) 빙축열 에어컨장치
US5791154A (en) Energy transfer system for refrigeration components
CN219889920U (zh) 用于冰箱的防凝露组件和冰箱
KR200460589Y1 (ko) 직냉식 와인 냉장고
JP2008045847A (ja) 冷蔵庫
KR100287719B1 (ko) 공기조화기의 혼합식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