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571A - 경작기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경작기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571A
KR20190063571A KR1020170162462A KR20170162462A KR20190063571A KR 20190063571 A KR20190063571 A KR 20190063571A KR 1020170162462 A KR1020170162462 A KR 1020170162462A KR 20170162462 A KR20170162462 A KR 20170162462A KR 20190063571 A KR20190063571 A KR 20190063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hydraulic
cylinder body
pressure plat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혁
Original Assignee
박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혁 filed Critical 박기혁
Priority to KR1020170162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3571A/ko
Publication of KR20190063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20Special adjusting means for tools of ploughs drawn by, or mounted on tractors working on hillsides or slo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00Ploughs with fixed plough-shares
    • A01B3/24Tractor-drawn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00Ploughs with fixed plough-shares
    • A01B3/36Ploughs mounted on 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작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랙터용 쟁기, 양련쟁기, 이랑쟁기, 배토기, 심토파쇄기 등의 경작기가 경작지를 경작할 때 돌이나 암석 등의 장애물로 인하여 과부하 발생시 충격을 완화시켜 파손 방지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며, 아울러 매우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조가 가능한 경작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에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랙터 연결부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땅을 경작하는 경작부와, 상기 경작부를 메인 프레임으로부터의 회전을 탄성지지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경작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몸체의 내측으로 가압판이 고정된 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판은 외경이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그 외경과 실린더 몸체의 내경 사이에 이격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로드에 고정되는 후단 가압판; 상기 후단 가압판의 전방부위에 위치하여 상기 로드에 고정되는 간격 유지판;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경과 기밀을 유지하도록 외경이 형성되고, 다수의 관통된 유압이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 유지판의 전방부위에서 상기 로드에 고정되는 전단 가압판;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경작기의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cultivator}
본 발명은 경작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랙터용 쟁기, 양련쟁기, 이랑쟁기, 배토기, 심토파쇄기 등의 경작기가 경작지를 경작할 때 돌이나 암석 등의 장애물로 인하여 과부하 발생시 충격을 완화시켜 파손 방지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며, 아울러 매우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조가 가능한 경작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경작기 중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쟁기를 예를 들어 종래의 기술과 본 발명의 기술을 설명하지만, 이는 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쟁기는 작물을 재배할 목적으로 우마 등의 가축이나 기계 등을 이용하여 흙을 파서 일구고 뒤집어 엎어 두둑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
종래의 트랙터용 쟁기장치는 트랙터의 크기나 마력에 따라 복수의 쟁기부를 구비한 다련 쟁기장치로 이루어진다. 보통 트랙터용 쟁기장치는 쟁기부가 3 내지 8개까지 복수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의 쟁기부가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지그재그로 설치되거나 견인 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종래의 트랙터용 쟁기장치의 작업시 쟁기 작업을 진행할 때, 흙속에 파묻힌 암석에 쟁기부가 충돌하는 돌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쟁기부가 단순히 메인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암석으로 인한 충격력을 그대로 전달 받아 쟁기부가 파손되거나 형상이 변형되어 이랑의 형태를 무너뜨리거나 장치 전체의 고장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본 출원인이 등록한 등록특허 제10-1623386호에서는 경작기의 안전장치를 제안하였으며, 이는 도2에서와 같이 "전방에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랙터 연결부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땅을 경작하는 경작부와, 상기 경작부를 메인 프레임으로부터의 회전을 탄성지지하는 구동 실린더로 구성된 경작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실린더는 전단에 가압판이 형성된 로드가 삽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1유압공;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제2유압공;
상기 제1유압공과 제2유압공을 연결하는 유압라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유압공은 몸체로부터 로드가 신장되었을 때 가압판의 후방부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2유압공은 로드가 압축되었을 때 가압판의 전방부위에 각각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도1에서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은 전방에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랙터 연결부를 구비한다.
경작부(200) 즉, 쟁기부(200)는 실질적으로 쟁기 작업, 즉 흙을 파서 일구고 뒤집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설치된다.
쟁기부(200)는 메인 프레임(100)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보습 및 볏으로 구성된다.
구동 실린더(300)는 쟁기부(200)에 1:1 대응되도록 설치되고, 이러한 구동 실린더(300)는 유압을 이용한 유압실린더이며, 쟁기부(200)의 상하 회전시 이에 연동하여 직선 왕복운동하는 복동 실린더이다.
이러한 실린더(300)의 로드(311) 단부는 쟁기부(200)의 상측에서 회전결합부(21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실린더(300)의 후단은 결합부(110)에 의해 메인프레임(10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동 실린더(300)는 도2에서와 같이 실린더 몸체(351)의 일측에 로드(356)가 결합되고, 그 로드(356)의 전단에는 가압판(357)이 형성되며, 후단은 쟁기부(200)의 회전결합부(210)에 결합되기 위한 핀 조립부(3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351)의 로드(356)가 삽입되는 일측에는 제1유압공(354)이 형성되며, 이러한 제1유압공(354)은 로드(356)가 신장되었을 때 가압판(357)의 후측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몸체(351)의 타측에는 제2유압공(3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유압공(354)과 제2유압공(352) 사이에는 금속관 형태의 유압라인(353)이 연결된다.
따라서, 경작부(200)가 장애물에 의해 상측을 회전할 때 로드(356)가 압축되어 가압판(357)의 전방부위의 유압이 제2유압공(352)을 통해 제1유압공(354)으로 유입된다.
이때, 가압판(357)의 전방부위의 유압과 후방부위의 유압은 동일하게 되지만, 가압판(357)의 후면부위에 작용하는 압력은 로드(356)의 굵기만큼 압력이 가해지는 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가압판(357)의 전면부위가 후면부위보다 더 큰 압력을 받게 되어 로드(356)가 신장되는 힘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쟁기부(200)가 장애물을 회피한 후에는 가압판(357)의 전면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로드(356)가 신장되므로, 쟁기부(200)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가압판(357)의 유압은 유압라인(353)을 통해 제2유입공(352)으로 유입된다.
쟁기부(200)가 장애물에 걸리지 않는 평상시의 경작 작업시에는 가압판(357)의 전면부위에 작용하는 압력이 후면부위에 작용하는 압력보다 크게 되어 쟁기부(200)는 쉽게 들어올려지지 않게 되므로 땅이 고르게 경작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쟁기부(200)가 장애물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할 때 로드(356)가 압축되고, 가압판(357)의 전방부위의 유압이 유압라인(353)을 통해 가압판(357)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장애물의 순간적인 충격에 의해 가압판(357)의 전방부위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급속히 증가하게 되면, 구경이 좁은 유압라인(353)을 통해 충분히 유압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큰 압력이 대하여 완전장치로서의 작용을 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실린더 몸체(400)는 물론 유압라인(400), 그리고 각 용접부위 등이 손상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경작 작업이 중단됨으로써 시간과 비용의 손실이 매우 크게 되고, 그만큼 생산수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 제10-1623386호
(경작기의 안전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로드가 압축될 때 가압판을 통하여 가압판의 전방 및 후방으로 유압의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충실한 완충장치의 역할은 물론 실린더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경작기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작기의 안전장치는,
전방에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랙터 연결부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땅을 경작하는 경작부와, 상기 경작부를 메인 프레임으로부터의 회전을 탄성지지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경작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몸체의 내측으로 가압판이 고정된 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판은
외경이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그 외경과 실린더 몸체의 내경 사이에 이격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로드에 고정되는 후단 가압판;
상기 후단 가압판의 전방부위에 위치하여 상기 로드에 고정되는 간격 유지판;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경과 기밀을 유지하도록 외경이 형성되고, 다수의 관통된 유압이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 유지판의 전방부위에서 상기 로드에 고정되는 전단 가압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1유압공;
상기 실린더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제2유압공;
상기 제1유압공과 제2유압공을 연결하는 유압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유압공은 실린더 몸체로부터 로드가 신장되었을 때 가압판의 후방부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2유압공은 로드가 압축되었을 때 가압판의 전방부위에 각각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물에 의해 로드가 압축될 때 발생하는 과도한 압력이 가압판을 통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실린더와 유압라인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지속적인 작업기의 작업이 가능하여 생산 수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경작기의 예를 보인 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경작기의 안전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경작기의 안전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로드와 가압판의 분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보인 도.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를 보인 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경작기의 안전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4는 로드와 가압판의 분해도이다.
도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실린더 몸체(400)의 일측에 로드(410)가 결합되고, 그 로드(410)의 전단에는 가압판(450)이 형성되며, 후단은 도1에서와 같이 경작부(200)의 회전결합부(210)에 결합되기 위한 핀 조립부(4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400)의 로드(410)가 삽입되는 일측에는 제1유압공(420)이 형성되며, 이러한 제1유압공(420)은 로드(410)가 신장되었을 때 가압판(450)의 후측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몸체(400)의 타측에는 제2유압공(4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유압공(420)과 제2유압공(430) 사이에는 금속관 또는 호스 형태의 유압라인(440)이 연결된다.
따라서, 경작부(200)가 장애물에 의해 상측을 회전할 때 로드(410)가 압축되어 가압판(450)의 전방부위의 유압이 제2유압공(430)을 통해 제1유압공(420)으로 유입된다.
이때, 가압판(450)의 전방부위의 유압과 후방부위의 유압은 동일하게 되지만, 가압판(450)의 후면부위에 작용하는 압력은 로드(410)의 굵기만큼 압력이 가해지는 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가압판(450)의 전면부위가 후면부위보다 더 큰 압력을 받게 되어 로드(410)가 신장되는 힘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경작부(200)가 장애물을 회피한 후에는 가압판(450)의 전면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로드(410)가 신장되므로, 경작부(200)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가압판(450)의 유압은 유압라인(440)을 통해 제2유압공(430)으로 유입된다.
경작부(200)가 장애물에 걸리지 않는 평상시의 경작 작업시에는 가압판(450)의 전면부위에 작용하는 압력이 후면부위에 작용하는 압력보다 크게 되어 경작부(200)는 쉽게 들어올려지지 않게 되므로 땅이 고르게 경작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압판(450)은 후단가압판(451), 간격유지판(452), 그리고 전단가압판(453)이 순차적으로 로드(410)에 장착되는데, 도4에서와 같이 로드 전단부위는 상기 후단가압판(451), 간격유지판(452), 그리고 전단가압판(453)이 끼워져 고정되기 위한 장착부(4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부(411)는 로드(410)의 후단 두께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어서, 로드(410)의 후단과 장착부(411)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그 장착부(411)의 전단부위에는 나사산 형태의 체결부(4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단가압판(451)은 실린더 몸체(40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판 형태로서, 그 중심부에는 상기 장착부(411)에 기밀하게 끼워지기 위한 관통공(45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단가압판(451)의 전방부위에는 상기 후단가압판(451)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간격유지판(452)이 장착부(411)에 삽입되는데, 그 중심부에는 상기 장착부(411)에 기밀하게 끼워지기 위한 관통공(45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간격유지판(452)은 적어도 상기 후단가압판(451)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판(452)의 전방부위에는 그 외경이 실린더 몸체(400)의 내경에 기밀하게 접촉되는 전단가압판(453)이 장착되는데, 원판 형태로서, 그 중심부에는 상기 장착부(411)에 기밀하게 끼워지기 위한 관통공(45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453-1)의 주변을 따라서 복수의 유압이동공(45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유압이동공(454)은 상기 간격유지판(452)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가압판(450)의 전방부위와 후방부위로 유압이 자유스럽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실린더 몸체(400)의 내경에 기밀하게 접촉됨으로써 로드(4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후단가압판(451), 간격유지판(452), 전단가압판(435)이 로드(410)에 장착되면, 너트(456)가 체결부(412)에 체결됨으로써 이들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 몸체(400)의 타측 외측으로는 핀 조립부(413)가 형성되어 메인프레임(100)에 형성된 결합부(110)에 핀 결합됨으로써 메인프레임(10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경작부(200)가 장애물을 만나 상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로드(410)가 압축되면서 가압판(450) 전방부위의 압력이 크게 증가하게 되고, 그 압력은 유압라인(440)을 통하여 가압판(450)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유압이 공유된다.
이때, 장애물에 의한 순간적인 충격에 의해 가압판(450)의 전방부위에 큰 압력이 걸리게 되면 유압라인(440)을 통하여 가압판(450)의 후방으로 아직 이동하지 못한 압력은 전단가압판(435)의 유압이동공(454), 간격유지판(452), 후단가압판(451)과 실린더 몸체(400)의 내경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455)를 통하여 가압판(450)의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유압이 분산되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로드(410)의 순간적인 압축에 의해 가해지는 큰 압력도 분산시켜 이동시킴으로써 완충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가압판(450)과 외부의 유압라인(440)을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유압라인(440)을 제거하여 가압판(450) 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후단가압판(451)의 외경, 간격유지판(452)의 두께, 전단가압판(453)의 유압이동공(454)의 크기와 갯수를 변경함으로써 장애물에 의한 외부의 큰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여 경작부(200)를 완충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경작부(200)가 장애물을 회피하여 하강하는 경우에는 로드(410)가 신장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가압판(450)이 후퇴하게 되는데, 이때, 가압판(450)에는 후방부위로(450)로부터의 압력이 작용하여 가압판(450)을 통하여 유압이 전방부위로 이동하게 되며, 유압라인(440)을 사용하는 경우에 그 유압라인(440)을 통해서도 유압이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로드(410)에 전단가압판(453)만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유압이동공(454)을 통해 유압이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후단가압판(451)만을 사용하여 이격부(455)를 통해 유압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보인 도로서, 실린더 몸체(400)의 후방부위가 더 연장되어 후방공간부(401)가 형성되고, 그 후방공간부(401)와 몸체(400) 사이에는 기밀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이동가압판(460)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가압판(460)은 후방공간부(401)에 구비된 탄성체(47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데, 상기 탄성체(470)는 코일 스프링 또는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로드(410)의 압축에 의해 가압판(450)이 전진하게 되면, 가압판(450)의 전방부위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 증가된 압력은 이동가압판(460)에 가해짐으로써 이동가압판(460)이 후방공간부(401)쪽으로 이동하면서 가압판(450) 전방부위의 과도한 압력을 해소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도 유압라인(440)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유압의 공유를 위하여, 제1유압공(420)은 로드(410)가 최대로 신장되었을 때 가압판(450)의 후방부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2유압공(430)은 로드(410)가 최대로 압축되었을 때 가압판(450)의 전방부위와 이동가압판(46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후방공간부(401)의 후단에는 공기구멍(40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후방공간부(401)는 대기압만 작용하므로, 이동가압판(460)의 이동에 의해 후방공간부(401)에는 압력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다만 탄성체(470)의 탄성지지력만을 이동가압판(460)이 받게 되므로, 이러한 탄성체(470)의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가압판(450)의 전방부위에 형성된 압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압판(450)의 구조는 일실시 예에서와 같이 후단가압판(451), 간격유지판(452), 전단가압판(453)으로 구성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로서, 다른 실시 예에서와 같이 후단가압판(451), 간격유지판(452), 전단가압판(453)으로 구성된 가압판(450) 대신에 몸체(400)의 내경과 가압판(457)의 외경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 구조로서, 이 또한 후방공간부(401), 이동가압판(460), 탄성체(470)의 구조를 갖는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400 : 몸체
401 : 후방공간부
410 : 로드
412,413 : 핀 조립부
420 : 제1유압공
430 : 제2유압공
440 : 유압라인
450 : 가압판
451 : 후단가압판
452 : 간격유지판
453 : 전단가압판
454 : 유압이동공
455 : 이격부
460 : 이동가압판
470 : 탄성체

Claims (7)

  1. 전방에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랙터 연결부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땅을 경작하는 경작부와, 상기 경작부를 메인 프레임으로부터의 회전을 탄성지지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경작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몸체의 내측으로 가압판이 고정된 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판은
    외경이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그 외경과 실린더 몸체의 내경 사이에 이격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로드에 고정되는 후단 가압판;
    상기 후단 가압판의 전방부위에 위치하여 상기 로드에 고정되는 간격 유지판;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경과 기밀을 유지하도록 외경이 형성되고, 다수의 관통된 유압이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 유지판의 전방부위에서 상기 로드에 고정되는 전단 가압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기의 안전장치.
  2. 전방에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랙터 연결부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땅을 경작하는 경작부와, 상기 경작부를 메인 프레임으로부터의 회전을 탄성지지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경작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몸체의 내측으로 가압판이 고정된 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판은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경과 기밀을 유지하도록 외경이 형성되고, 다수의 관통된 유압이동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기의 안전장치.
  3. 전방에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랙터 연결부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땅을 경작하는 경작부와, 상기 경작부를 메인 프레임으로부터의 회전을 탄성지지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경작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몸체의 내측으로 가압판이 고정된 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판은 그 외경이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그 외경과 실린더 몸체의 내경 사이에 이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기의 안전장치.
  4. 전방에 트랙터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랙터 연결부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땅을 경작하는 경작부와, 상기 경작부를 메인 프레임으로부터의 회전을 탄성지지하는 실린더로 구성된 경작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가압판이 고정된 로드;
    상기 몸체는 후방으로 더 연장된 후방공간부;
    상기 후방공간부와 몸체의 내측 사이를 기밀하게 구획하며,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가압판;
    상기 후방공간부에서 상기 이동가압판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기의 안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은
    외경이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그 외경과 실린더 몸체의 내경 사이에 이격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로드에 고정되는 후단 가압판;
    상기 후단 가압판의 전방부위에 위치하여 상기 로드에 고정되는 간격 유지판;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경과 기밀을 유지하도록 외경이 형성되고, 다수의 관통된 유압이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 유지판의 전방부위에서 상기 로드에 고정되는 전단 가압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기의 안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1유압공;
    상기 실린더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제2유압공;
    상기 제1유압공과 제2유압공을 연결하는 유압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유압공은 로드가 신장되었을 때 가압판의 후방부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2유압공은 로드가 압축되었을 때 가압판과 이동가압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기의 안전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1유압공;
    상기 실린더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제2유압공;
    상기 제1유압공과 제2유압공을 연결하는 유압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유압공은 실린더 몸체로부터 로드가 신장되었을 때 가압판의 후방부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2유압공은 로드가 압축되었을 때 가압판의 전방부위에 각각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기의 안전장치.
KR1020170162462A 2017-11-30 2017-11-30 경작기의 안전장치 KR201900635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462A KR20190063571A (ko) 2017-11-30 2017-11-30 경작기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462A KR20190063571A (ko) 2017-11-30 2017-11-30 경작기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571A true KR20190063571A (ko) 2019-06-10

Family

ID=6684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462A KR20190063571A (ko) 2017-11-30 2017-11-30 경작기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35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017A (ko) * 2019-06-20 2020-12-30 박기혁 경작기의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017A (ko) * 2019-06-20 2020-12-30 박기혁 경작기의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0804B2 (en) Angle adjustable coulter wheel assembly
EP2759187B1 (en) Drawbar apparatus for coupling an earth-working tool to a frame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US9609797B2 (en) Agricultural implement with pivoting tool frame
US20140224513A1 (en) Row treating unit for agriculture implement
CN106612632B (zh) 单梁双置自激振动的深松装置
KR101623386B1 (ko) 경작기의 안전장치
US10375874B2 (en) Dual rate sweep load on field cultivator shank assembly
KR20190063571A (ko) 경작기의 안전장치
KR101310088B1 (ko) 트랙터용 경작기의 안전장치
US20130062083A1 (en) Agricultural implement drawbar mechanism
KR102044835B1 (ko) 경작기의 안전장치
KR20190078732A (ko) 경작기의 안전장치
KR20190069007A (ko) 경작기의 안전장치
KR20190118381A (ko) 경작기의 안전장치
KR102665567B1 (ko) 견인부하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KR102368551B1 (ko) 경작기의 안전장치
KR20210010011A (ko) 유압식 충격 흡수장치
US2771018A (en) Spring mounted tool shank
CA2800457C (en) Frame section pivot limited device
CA2712334C (en) Depth control system
KR102368548B1 (ko) 경작기의 안전장치
JP6049507B2 (ja) 圃場作業機
KR20190138348A (ko) 경작기의 안전장치
KR200296621Y1 (ko) 쟁기틀의 보습 심경압 조절장치
EP1768481A1 (en) Clutch arrangement between an implement and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