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926A -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926A
KR20190062926A KR1020170161611A KR20170161611A KR20190062926A KR 20190062926 A KR20190062926 A KR 20190062926A KR 1020170161611 A KR1020170161611 A KR 1020170161611A KR 20170161611 A KR20170161611 A KR 20170161611A KR 20190062926 A KR20190062926 A KR 20190062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water
guide passag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657B1 (ko
Inventor
이형민
한남천
Original Assignee
티엠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엠시(주) filed Critical 티엠시(주)
Priority to KR1020170161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6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2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24F2003/1628
    • F24F2003/166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3L,13R)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4b)를 구비한 케이스(10); 상기 공기 흡입구(13L,13R)의 선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흡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20L,20R); 상기 케이스(10) 내부 중앙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자외선 램프(31)와, 표면에 광촉매 물질이 코팅되어 상기 자외선 램프(3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과 광촉매반응에 의해 케이스(10) 내부의 공기에 함유된 세균, 냄새발생 물질을 제거하는 광촉매판(35,35a)으로 이루어진 살균부;를 포함하고, 하부가 상기 케이스(10)의 물통 결합부(14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물(W)을 저장하여 저장된 물(W)에서 자연증발되는 습기를 개방부(43a,44a)를 통하여 배출하는 물통(40); 및 상기 케이스(10)의 공기 배출구(14b)와 연통되는 통기공(46)을 구비하고, 상기 물통(40)의 물에서 자연 증발하여 상기 개방부(43a,44a)를 통하여 배출되는 습기를 상기 상측 개방부(44a)를 통하여 강제로 배출시키도록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통기공(46)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물통(40)의 개방부(43a,44a) 쪽으로 증속 유도하는 배출공기 안내통로(42);를 포함하는 가습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AN AIR CLEANER HAVING HUMID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실내에 설치되어 차량의 내부,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 및 살균 처리한 후, 여과 및 살균 처리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배출하고, 동시에 여과 및 살균처리된 공기를 배출하고, 동시에 물통에서 증발하는 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는 입자상 또는 가스상 오염물질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실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현재 다양한 종류의 공기 청정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의 일예로서 아래 특허문헌1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1에 개시된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통상적으로 흡입 공기에 포함된 입자형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공기 정화율(공기 청정기의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외형 크기가 필연적으로 커지므로, 설치 장소에 제한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차량 내부와 같은 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흡입공기중에 함유된 냄새, 세균등을 제거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 내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 내부에 광촉매 살균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공기 청정기 역시 외형이 커져 설치 장소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공기 청정기는 공기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능뿐이고, 실내의 습도를 유지시켜주는 가습기의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아서, 별도의 가습기를 공기 청정기와 함께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KR 10-1795938 B1 KR 10-1386404 B1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여, 공기의 정화 효율을 높이면서 외형 크기도 컴팩트하게 줄여서 좁은 실내, 차량 내부에 설치할 수 있고, 살균기능을 갖추어 실내 공기의 정화능력을 높일 수 있으며,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에서 인체에 유익한 '피톤치드' 성분을 발산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재생하는 음악을 블루투스 방식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 공기 청정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를 구비한 케이스;
상기 공기 흡입구의 선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흡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케이스 내부 중앙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자외선 램프와, 표면에 광촉매 물질이 코팅되어 상기 자외선 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과 광촉매반응에 의해 케이스 내부의 공기에 함유된 세균, 냄새발생 물질을 제거하는 광촉매판으로 이루어진 살균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하부가 상기 케이스의 물통 결합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물을 저장하여 저장된 물에서 자연증발되는 습기를 상부 개방부를 통하여 배출하는 물통; 및
상기 케이스의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통기공을 구비하고, 상기 물통의 상부 개방부를 통하여 증발되는 물통의 습기를 강제로 배출하도록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물통의 상부 개방부 쪽으로 유도하는 배출공기 안내통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케이스는 높이가 가로폭과 세로폭보다 작은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 흡입구는 케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측벽에 각각 1개씩 구비되며,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 측벽에서 타측 측벽을 향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배출공기 안내통로가 물통의 측벽 둘레를 따라 상기 물통의 하부 바닥에서부터 측벽 상단까지 연장되게 구비된 측편 제1안내통로와, 상기 측편 제1안내통로의 유로 단면적보다 좁은 유로 단면적를 가지고, 입구는 상기 측편 제1안내통로의 출구와 연통되고 출구는 상기 물통의 상부 개방부의 둘레를 따라 개방된 상측 제2안내통로로 이루어져, 배출공기가 상기 물통의 상부 개방부를 둘레를 통과하여 배출될 때 유속이 증가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물통이 물을 저장하는 구역을 한정하는 내측벽과, 상기 내측벽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내측벽과의 사이에 상기 측편 제1안내통로를 형성하는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 중앙에는 상기 상부 개방부를 형성하는 내측 캡과, 상기 외측벽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저면은 상기 내측 캡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상측 제2안내통로를 형성하는 외측 캡을 구비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상측 제2안내통로의 바닥면을 이루는 상기 내측 캡은 외측면에 다수의 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측 제2안내통로를 통과하는 배출공기를 상기 상부 개방부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케이스가 피톤치드를 방출하는 편백나무로 만들어진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휴대형 통신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는 블루투스 스피커가 구비된 것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실내 공기를 여과 및 살균처리하여 정화시키는 동시에 실내에 적절한 습기를 방출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정화는 물론 습도를 유지시킬 수 있어, 쾌적하고 깨끗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한대의 장치로써 2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장치의 케이스를 납작한 직사각통으로 구성하여 좁은 설치공간에 제한 없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이동통신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작동하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구비하여 별도의 오디오 재생장치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청정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X1-X1"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X2-X2"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물통을 제거한 후의 케이스 상판을 평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물통의 내부캡과 저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내부 캡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물통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100)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좌측 측벽(12L)과 우측 측벽(12R)에 결합된 필터부(20L,20R);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브라켓(32L,32R)으로 지지된 자외선 램프(31)와, 자외선 램프(31)의 측편과 상측에 각각 구비된 광촉매판(35,35a)으로 이루어져, 케이스(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광촉매 반응으로 살균처리하는 살균부; 및 상기 케이스(10)의 상측 측벽(14)에 형성된 물통 결합부(14a)에 결합되어 내부의 물(W)이 자연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물통(40);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측벽, 후방 측벽, 좌측 측벽(12L), 우측 측벽(12R), 바닥 측벽(11), 및 상측 측벽(14)을 구비한 직사각통의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는 바람직하게는 높이가 가로폭과 세로폭 치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치수로 이루어져 납작한 직사각통의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높이가 낮은 협소한 공간, 예컨대 차량 내부 또는 테이블 또는 책상 위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는 피톤치드가 방출되도록 편백나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좌측 측벽(12L)과 우측 측벽(12R)에는 각각 공기 흡입구(13L,13R)가 형성되고, 각 공기 흡입구(13L,13R)에는 필터부(20L,20R)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팬모터(도시생략함)에 의해 케이스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한다.
상기 각 필터부(20L,20R)는 상기 좌우측 측벽의 공기 흡입구(13L,13R)에 각각 결합되는 필터 하우징과, 필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부재(21L,21R), 필터 하우징의 선단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다수의 통공(23L,23R)이 형성된 필터 하우징 캡(22L,22R)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상측 측벽(14)에는 물통 결합부(14a)가 구비되고, 상기 물통 결합부(14)의 바닥에는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살균부에서 살균처리된 공기를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공기 배출구(14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물통 결합부(14a)에 결합되는 물통(40)은, 물을 저장하는 구역을 한정하는 내측벽(41a)과, 상기 내측벽(41a)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벽(41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내측벽(41a)과의 사이에 측편 제1안내통로(42a)를 형성하는 외측벽(41b)과, 상기 내측벽(41a)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 중앙에는 상기 개방부(43a,44a)를 형성하는 내측 캡(43)과, 상기 외측벽(41b)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저면은 상기 내측 캡(43)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상측 제2안내통로(42b)를 형성하는 외측 캡(44)을 구비한다. 상기 물통(40)은 측벽 둘레를 따라, 상기 측벽 제1안내통로(42a)와 제2안내통로(42b)로 이루어진 배출공기 안내통로(42)를 형성한다.
이러한 물통(40)이 케이스(10)의 물통 결합부(14a)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물통(40)의 측편 제1안내통로(42a)는 바닥의 통기공(46)을 통하여 케이스의 공기 배출구(14b)와 연통된다.
또한, 제2안내통로(42b)는 상기 측편 제1안내통로(42a)의 유로 단면적보다 좁은 유로 단면적을 가지고, 한쪽 선단은 상기 측편 제1안내통로(42a)의 출구와 연통되고 다른쪽 선단은 상기 물통(40)의 개방부(43a,44a)의 둘레를 따라 개방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기가 상기 물통(40)의 개방부(43a,44a)를 둘레를 통과하여 배출될 때 제2안내통로(42b)의 유로 단면적 감소에 의해 배출공기의 유속을 증가시켜, 상기 물통(40)의 물에서 자연 증발하여 상기 개방부(43a,44a)를 통하여 배출되는 습기를 상기 상측 개방부(44a)를 통하여 강제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상측 제2안내통로(42b)의 바닥면을 이루는 상기 내측 캡(43)의 외측면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홈(v)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측 제2안내통로(42b)를 통과하는 배출공기를 상기 개방부(43a,44a)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유도한다.
한편, 휴대형 통신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무선통신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에는 블루투스 스피커(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작동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팬모터(도시생략)를 켜면 케이스(10)의 외측의 실내 공기는 케이스(10)의 좌우측 측벽의 필터 하우징 캡(22L,22R)에 형성된 통공(32L,32R)를 통하여 흡입되어 필터부재(21L,21R)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여과된 후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된 여과된 공기는 자외선 램프(31)와 광촉매판(35,35a)의 광촉매 반응에 의해 살균처리된다. 살균 처리된 공기는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상측 측벽(14)의 물통 결합부(14a)의 바닥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14b)와 통기공(46)을 차례로 통과한 후, 물통의 측편 제1안내통로(42a)와 상측 제2안내통로(42b)를 거쳐 물통(40)의 외측 캡(44)의 개방부(44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외측 캡(44)의 개방부(44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여과 및 살균 처리된 공기는 물통(40)의 개방부(43a)을 통하여 증발 배출되는 습기를 실어 실내로 강제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실내 공기를 케이스 내부로 강제 흡입하여 여과 및 살균 처리한 후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다시 케이스의 외부(실내)로 배출하고, 그 도중에 물통의 물에서 증발하는 습기를 실어서 실내로 강제 배출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적절한 습도를 유지시킨다.
100: 본 발명의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10: 케이스 11: 바닥 측벽
12L: 케이스의 좌측 측벽 12R: 케이스의 우측 측벽
14: 상측 측벽 14a : 물통 결합부
14b : 공기 배출구 20L: 좌측 필터부
20R: 우측 필터부 21L,21R : 필터부재
22L,22R: 필터 하우징 캡 23L,23R: 통공
32L,32R: 브라켓 31: 자외선 램프
35,35a : 광촉매판 W: 물
40: 물통 41a: 내측벽
41b: 외측벽 42: 배출공기 안내통로
42a: 측편 제1안내통로 42b: 제2안내통로
43: 내측 캡 43a,44a: 개방부
44: 외측 캡 46: 통기공
V: 홈 60: 블루투스 스피커

Claims (7)

  1.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3L,13R)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4b)를 구비한 케이스(10);
    상기 공기 흡입구(13L,13R)의 선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흡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20L,20R);
    상기 케이스(10) 내부 중앙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자외선 램프(31)와, 표면에 광촉매 물질이 코팅되어 상기 자외선 램프(3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과 광촉매반응에 의해 케이스(10) 내부의 공기에 함유된 세균, 냄새발생 물질을 제거하는 광촉매판(35,35a)으로 이루어진 살균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100)에 있어서,
    하부가 상기 케이스(10)의 물통 결합부(14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물(W)을 저장하여 저장된 물(W)에서 자연증발되는 습기를 개방부(43a,44a)를 통하여 배출하는 물통(40); 및
    상기 케이스(10)의 공기 배출구(14b)와 연통되는 통기공(46)을 구비하고, 상기 물통(40)의 물에서 자연 증발하여 상기 개방부(43a,44a)를 통하여 배출되는 습기를 상기 상측 개방부(44a)를 통하여 강제로 배출시키도록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통기공(46)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물통(40)의 개방부(43a,44a) 쪽으로 증속 유도하는 배출공기 안내통로(4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높이가 가로폭과 세로폭보다 작은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 흡입구(13L,13R)는 케이스(1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측벽(12L,12R)에 각각 1개씩 구비되며, 상기 자외선 램프(31)는 상기 케이스(10)의 일측 측벽에서 타측 측벽을 향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기 안내통로(42)는 물통(40)의 측벽 둘레를 따라 상기 물통(40)의 하부 바닥에서부터 측벽 상단까지 연장되게 구비된 측편 제1안내통로(42a)와, 상기 측편 제1안내통로(42a)의 유로 단면적보다 좁은 유로 단면적을 가지고, 한쪽 선단은 상기 측편 제1안내통로(42a)의 출구와 연통되고 다른쪽 선단은 상기 물통(40)의 개방부(43a,44a)의 둘레를 따라 개방된 상측 제2안내통로(42b)로 이루어지고, 배출공기가 상기 물통(40)의 개방부(43a,44a)를 둘레를 통과하여 배출될 때 제2안내통로(42b)의 유로 단면적 감소에 의해 배출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40)은 물을 저장하는 구역을 한정하는 내측벽(41a)과, 상기 내측벽(41a)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벽(41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내측벽(41a)과의 사이에 상기 측편 제1안내통로(42a)를 형성하는 외측벽(41b)과, 상기 내측벽(41a)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 중앙에는 상기 개방부(43a,44a)를 형성하는 내측 캡(43)과, 상기 외측벽(41b)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저면은 상기 내측 캡(43)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상측 제2안내통로(42b)를 형성하는 외측 캡(4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제2안내통로(42b)의 바닥면을 이루는 상기 내측 캡(43)의 외측면에는, 상기 상측 제2안내통로(42b)를 통과하는 배출공기를 상기 개방부(43a,44a)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유도하도록, 다수의 홈(v)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피톤치드를 방출하는 편백나무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휴대형 통신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무선통신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에는 블루투스 스피커(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KR1020170161611A 2017-11-29 2017-11-29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KR102047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611A KR102047657B1 (ko) 2017-11-29 2017-11-29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611A KR102047657B1 (ko) 2017-11-29 2017-11-29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926A true KR20190062926A (ko) 2019-06-07
KR102047657B1 KR102047657B1 (ko) 2019-12-02

Family

ID=6684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611A KR102047657B1 (ko) 2017-11-29 2017-11-29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6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9509A (zh) * 2020-12-01 2021-03-23 温州企案信息科技有限公司 具有滤网板的纳米光触媒消毒空气净化装置
KR20210062329A (ko) * 2019-11-21 2021-05-31 서용호 가습기능이 있는 공기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608B1 (ko) * 2020-04-16 2020-09-28 나영선 공기 살균 정화 장치
KR102382882B1 (ko) 2021-07-19 2022-04-08 이비티 주식회사 공기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5526A (ko) * 2010-06-11 2011-12-19 정철규 천장형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
KR20120113379A (ko) * 2011-04-05 2012-10-15 주식회사 지엔지 공기 살균이 가능한 청정기
KR101386404B1 (ko) 2013-10-08 2014-04-17 (주)구츠 타원관 형상의 광촉매모듈 및 이온클러스터 발생모듈을 갖는 공기살균정화장치
KR20170079985A (ko) * 2015-12-31 2017-07-10 (주)이컴정보기술 가습 겸용 공기 정화 장치
KR20170120923A (ko) * 2016-04-22 2017-11-01 장대규 다기능 공기청정기
KR101795938B1 (ko) 2016-06-15 2017-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5526A (ko) * 2010-06-11 2011-12-19 정철규 천장형 공기정화 및 살균장치
KR20120113379A (ko) * 2011-04-05 2012-10-15 주식회사 지엔지 공기 살균이 가능한 청정기
KR101386404B1 (ko) 2013-10-08 2014-04-17 (주)구츠 타원관 형상의 광촉매모듈 및 이온클러스터 발생모듈을 갖는 공기살균정화장치
KR20170079985A (ko) * 2015-12-31 2017-07-10 (주)이컴정보기술 가습 겸용 공기 정화 장치
KR20170120923A (ko) * 2016-04-22 2017-11-01 장대규 다기능 공기청정기
KR101795938B1 (ko) 2016-06-15 2017-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329A (ko) * 2019-11-21 2021-05-31 서용호 가습기능이 있는 공기청정기
CN112539509A (zh) * 2020-12-01 2021-03-23 温州企案信息科技有限公司 具有滤网板的纳米光触媒消毒空气净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657B1 (ko) 201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2926A (ko) 가습기능을 겸비한 공기 청정기
KR102163950B1 (ko) 지그재그유로를 이용한 광촉매 접촉효율 향상된 공기탈취 살균기
US20100293907A1 (en) Air purifier
KR20200039863A (ko) 정화효율성을 향상시킨 공기정화장치
JP2013078540A (ja) フィルタ及び空気清浄機
KR20190126977A (ko) 이동식 부스용 공기정화장치
KR102527926B1 (ko) 광촉매 메디아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US6736885B2 (en) Refrigerator air filtration system
KR20190119861A (ko) 고온 및 저온 냉각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KR20210142252A (ko) 복합살균식 공기 살균기
KR20090082576A (ko) 공기 청정기
CN102725004A (zh) 用于与消毒剂蒸汽发生器一起使用的装置
KR20160026347A (ko) 공기 청정기
CN210638208U (zh) 医院中药房用空气净化消毒处理装置
KR20140008129A (ko) 공부방 공기청정 스탠드
KR20180056988A (ko) 공기청정기
JP3115357U (ja) 加湿装置
JP2007040571A (ja) 加湿装置
EA004732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енерации воздуха в закрытом помещении
KR100805670B1 (ko) 공기청정기
KR100665926B1 (ko) 차량용 실내 공기청정기
KR200330036Y1 (ko) 공기청정기
KR200353621Y1 (ko) 공기 살균수단이 구비된 공기 청정기
JP2007040570A (ja) 空気調節装置
CN2624905Y (zh) 空气消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