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744A -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744A
KR20190062744A KR1020170161249A KR20170161249A KR20190062744A KR 20190062744 A KR20190062744 A KR 20190062744A KR 1020170161249 A KR1020170161249 A KR 1020170161249A KR 20170161249 A KR20170161249 A KR 20170161249A KR 20190062744 A KR20190062744 A KR 20190062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mote
controller
remote pow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성
이승현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61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2744A/ko
Publication of KR20190062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13/001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phys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장치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사용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고, 측정한 값을 외부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전송한 신호에 따라 외부장치에 전원 공급을 시작하거나 중단하거나 계속하는 원격 전원 제어기, 원격 전원 제어기에서 전송한 전력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원격 전원 제어기로 전원 공급 또는 전원 공급 중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원격 전원 제어기에서 사용하는 전력량을 확인하거나 원격 전원 제어기를 켜거나 끄도록 설정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POWER REMOTE CONTROL SYSTEM FOR INDUSTRIAL AND DOMESTIC USE}
본 발명은 외부장치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사용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고, 측정한 값을 외부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전송한 신호에 따라 외부장치에 전원 공급을 시작하거나 중단하거나 계속하는 원격 전원 제어기, 원격 전원 제어기에서 전송한 전력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원격 전원 제어기로 전원 공급 또는 전원 공급 중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원격 전원 제어기에서 사용한 전력량을 확인하거나 원격 전원 제어기를 켜거나 끄도록 설정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스마트시티(Smart City)사업이 부상하면서 스마트시티의 구성요소인 사물인터넷 제품이 비례하여 동반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 경제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스마트 시티 시장은 2012년 6,100억 달러에서 2020년 1조 5,600억 달러로 연평균 12.4% 성장이 전망되고 있다. 세계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는 2008년 20개에서 2012년 143개로 7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2025년까지 건립 예정인 세계적인 스마트 시티는 26곳에 달한다.
또한, 시장조사업체 Strategy Analytics(2014)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홈 시장은 2014년 480억 달러에서 2019년 1,115억 달러로 성장(연평균 19.8%)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에 따라, 선행기술인 등록 특허 제10-1266047호의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이나 현재 시장에 판매되고 '와트드림 스마트플러그', 'OnOff Zigbee', '스마트 플러그 줄리', '샤오미 스마트 플러그'와 같은 다양한 스마트 플러그가 제시되고 있지만, 스마트 플러그 하나당 한 개의 플러그만 연결 가능한 일구형으로 인접하고 있는 콘센트의 사용을 방해하거나 다수의 제품을 동시에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스마트플러그는 무선으로 이루어져 제어 방식이 편리하긴 하지만 공유기 수신이 불가능한 지역이나 위치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 제10-126604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 제10-107460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 제20-0459073호 일본특허 출원번호 : 제2756253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장치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사용되는 전력량을 측정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전송한 신호에 따라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원격 전원 제어기, 원격 전원 제어기에서 전송한 전력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원격 전원 제어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전력량을 확인하거나 원격 전원 제어기를 제어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접근이 어려운 CCTV, 통신 설비, 전기 설비 등 각종 시스템 오류로 재부팅이 필요할 때 현장에 접근하지 않고도 재부팅이 가능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더불어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누적된 사용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기별 시간별 전력 소비패턴을 분석하고 전력사용량을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정에서는 귀가 전 미리 가전제품을 작동시키거나, 사용 전력량 분석 알람을 통해 에너지 절약을 생활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은 외부장치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사용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고, 측정한 값을 외부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전송한 신호에 따라 외부장치에 전원 공급을 시작하거나 중단하거나 계속하는 원격 전원 제어기, 상기 원격 전원 제어기에서 전송한 전력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원격 전원 제어기로 전원 공급 또는 전원 공급 중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원격 전원 제어기에서 사용하는 전력량을 확인하거나 상기 원격 전원 제어기를 켜거나 끄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 전원 제어기는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입력부, 외부장치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플러그 콘센트, 상기 플러그 콘센트를 통해 사용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미터링부, 상기 미터링부에서 측정한 전력 값을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미터링 부에서 측정한 전력 값 및 상기 통신부에서 전송한 신호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거나 중단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원격 전원 제어기에서 전송한 전력 값을 수신하고 상기 원격 전원 제어기로 전원 공급 또는 전원 공급 중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에서 수신한 전력 값을 저장하는 전력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전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력 값을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해 시간대별, 월별, 연도별로 분석하여 예상 전력 소비량을 계산하는 딥러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PC 또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부장치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사용되는 전력량을 측정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전송한 신호에 따라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원격 전원 제어기, 원격 전원 제어기에서 전송한 전력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원격 전원 제어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전력량을 확인하거나 원격 전원 제어기를 제어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근이 어려운 CCTV, 통신 설비, 전기 설비 등 각종 시스템 오류로 재부팅이 필요할 때 현장에 접근하지 않고도 재부팅이 가능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누적된 사용 전력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기별 시간별 전력 소비패턴을 분석하고 전력사용량을 예측하는 효과가 있다.
가정에서는 귀가 전 미리 가전제품을 작동시키거나, 사용 전력량 분석 알람을 통해 에너지 절약을 생활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 전면, 후면 및 함체 내부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Energy Measurement IC를 이용한 실시간 에너지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Energy Measurement IC에 적용하는 MSP430AFE2xx 칩의 블록도이다.
도 6을 VANGO 에너지 측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측정을 위한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에에 따른 산업용 에너지 측정을 위한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아날로그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기의 통신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기 Main MCU의 회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기 전원 제어부의 회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 에너지 소비 패턴 분석 기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각 구성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은 원격 전원 제어기(10), 데이터 클라우드 서버(20), 스마트폰(30)을 포함한다.
원격 전원 제어기(10)는 외부장치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사용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고, 측정한 값을 외부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전송한 신호에 따라 외부장치에 전원 공급을 시작하거나 중단한다. 신호 송수신은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하거나 LAN을 이용한다. 원격전원 제어기에 연결되는 외부장치는,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에어컨, 냉장고, TV, 세탁기, 컴퓨터, 전기밥솥 등이 되고,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실험 장비, 공장설비 등이 된다. 원격 전원 제어기(10)에서 측정하여 서버(20)에 전송하는 전력정보는 순시전력(W), 누적 전력량(Wh), 전압(Vrms), 전류(Irms), 역률(PF)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데이터 클라우드 서버(20)는 원격 전원 제어기에서 전송한 전력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원격 전원 제어기로 전원 공급 또는 전원 공급 중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한다.
스마트폰(30)은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데이터 클라우드 서버(20)에 접속하여 원격 전원 제어기(10)에서 사용한 전력량을 확인하거나 원격 전원 제어기를 끄거나 켤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격 전원 제어기(10)에 연결된 기기의 ON/OFF를 예약하거나, 기기 가동시간을 설정하거나, 주별 On/Off 스케줄을 설정하거나 실시간 및 누적 소비전력량을 조회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아날로그 타이머를 이용한 전원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산업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수동으로 타이머를 설정하고 On/Off를 제어할 수 있는 아날로그 타이머를 원격 전원 제어기(10)에 더 포함하여 작업자가 휴대폰을 소지하기 어려운 경우 수동으로 원격 전원 제어기(10)의 전원 공급 및 공급시간을 조절한다.
도 1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서 스마트폰(30)을 이용해 서버에 접속하여 전력량을 확인하고, 원격 전원 제어기(10)를 제어했지만 다른 실시 예에서는 PC나 태블릿을 사용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다른 장치의 사용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 전면, 후면 및 내부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원격 전원 제어기는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부(1), 원격 전원 제어기를 켜거나 끄는 On/Off 스위치(2), 외부장치의 플러그와 연결되어 외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콘센트(3), LAN 연결을 위한 LAN 포트(4), PC의 주변 장치 및 모뎀을 직렬로 연결하는 RS-232포트(5), 네트워크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텍스트 LCD(6), 수동으로 각 콘센트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콘센트별On/Off 스위치(7), 각 콘센트의 전원 공급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등(8)을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원격 제어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 전원 제어기는 220V(가정용), 또는 380V(산업용) 전원을 공급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미터링부(Energy Metering IC : EMIC), 미터링부에서 측정한 전력 값을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WiFi), 미터링 부에서 측정한 전력 값 및 상기 통신부에서 전송한 신호에 따라 SSR(Solid State Relay)을 이용해 회로를 개폐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중단하는 전원제어부(MCU)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Energy Measurement IC를 이용한 실시간 에너지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 TI(Texas Instruments)사의 MSP430AFE2xx를 Energy Metering IC로 사용한다. 도 5는 도 3의 Energy Measurement IC에 적용하는 MSP430AFE2xx 칩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MSP430AFE2xx는 차등 PGA(Programmable Gain Amplifier)입력 24 Bit Sigma-Delta A/D 컨버터 3개를 이용한 3 채널 소비 전력 측정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측정을 위한 시스템의 도면으로 단상(1-Phase) 에너지 측정IC를 이용해 1개의 전압 채널, 2개의 전류 채널로 총 3개의 아날로그 입력을 지원한다. MCU와 UART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3채널의 독립적인 ADC(Analog-Digital Converter)를 가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에에 따른 산업용 에너지 측정을 위한 시스템의 도면이다. 삼상(3-Phase)에너지 측정 IC를 이용한다. 실시간 클록(Real Time Clock), 플래시 메모리, LCD드라이버, 8채널의 독립적인 overdamping ADC를 가진다. 또한, UART 인터페이스와 IR 통신을 지원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기의 통신 회로도이다. 도 11을 보면 좌측 상단에는 RS-232통신부 회로도, 좌측 하단에는 RS-485 통신부 회로도, 우측에는 LAN 통신부 회로도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는 클라우드 서버는, 원격 전원 제어기(10)에서 전송한 전력 값을 수신하고 원격 전원 제어기(10)로 전원 공급 또는 전원 공급 중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하는 송수신부(21), 송수신부(21)에서 수신한 전력 값을 저장하는 전력 데이터베이스(22) 및 전력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된 전력 값을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해 시간대별, 월별, 연도별로 분석하여 예상 전력 소비량을 계산하는 딥러닝부(23)를 포함한다. 딥러닝부(23)에서 분석한 데이터를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API처리부(24)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데이터베이스(25)를 더 포함한다.
서버는 스마트폰 또는 PC에서 On/Off 명령 및 타이머 설정에 의한 각 포트의 On/Off 명령을 수신하여 원격 전원 제어기에 전송하여 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원격 전원 제어기에서 측정한 전력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실시간 소비 전력량, 기간별 소비 전력량, 회원가입을 통해 회원별, 예를 들어 가정별, 또는 회사별 소비전력량을 분석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더불어, 전력량 데이터를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에너지 소비 패턴을 분석하고 에너지 예상 소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변형 및 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원격 전원 제어기
20 : 데이터 클라우드 서버
30 : 스마트폰

Claims (3)

  1. 외부장치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사용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고, 측정한 값을 외부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전송한 신호에 따라 외부장치에 전원 공급을 시작하거나 중단하거나 계속하는 원격 전원 제어기;
    상기 원격 전원 제어기에서 전송한 전력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원격 전원 제어기로 전원 공급 또는 전원 공급 중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원격 전원 제어기에서 사용하는 전력량을 확인하거나 상기 원격 전원 제어기를 켜거나 끄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전원 제어기는,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입력부; 외부장치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플러그 콘센트; 상기 플러그 콘센트를 통해 사용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미터링부; 상기 미터링부에서 측정한 전력 값을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미터링 부에서 측정한 전력 값 및 상기 통신부에서 전송한 신호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거나 중단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 전원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원격 전원 제어기에서 전송한 전력 값을 수신하고 상기 원격 전원 제어기로 전원 공급 또는 전원 공급 중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에서 수신한 전력 값을 저장하는 전력 데이터베이스;
    상기 전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력 값을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해 시간대별, 월별, 년도별로 분석하여 예상 전력 소비량을 계산하는 딥러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KR1020170161249A 2017-11-29 2017-11-29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KR201900627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249A KR20190062744A (ko) 2017-11-29 2017-11-29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249A KR20190062744A (ko) 2017-11-29 2017-11-29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744A true KR20190062744A (ko) 2019-06-07

Family

ID=66849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249A KR20190062744A (ko) 2017-11-29 2017-11-29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274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603B1 (ko) 2009-09-15 2011-10-17 (주)넥스챌 원격 제어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0459073Y1 (ko) 2009-10-12 2012-03-23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콘센트 장치
KR101266047B1 (ko) 2011-11-02 2013-05-21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603B1 (ko) 2009-09-15 2011-10-17 (주)넥스챌 원격 제어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0459073Y1 (ko) 2009-10-12 2012-03-23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콘센트 장치
KR101266047B1 (ko) 2011-11-02 2013-05-21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7712B2 (e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to upgrade and control an existing circuit breaker panel
KR10113653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 측정 시스템
Kusriyanto et al. Smart home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based arduino mega 2560
US9705330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usage
US8281162B2 (en) Electrical power management device
CN103792425B (zh) 基于无线网络的电量测量系统及节电方法
CN203339424U (zh) 无线智能能耗计
KR20160047015A (ko)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CN204597127U (zh) 紧凑式插座
KR101645647B1 (ko) 실시간 다중통신용 스마트 분전반 제어기
CN104931774A (zh) 一种电器电量监控系统及监控方法
Kumaresan et al. Smart home: energy measurement and analysis
JP6811418B2 (ja) 報知システム、報知内容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06701B1 (ko) 복수의 콘센트 입력구를 구비한 전력절감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기기
KR20190062744A (ko) 가정용 및 산업용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US10126336B2 (en) Energy usage device and energy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KR101645648B1 (ko) 통신 및 분기 확장이 용이한 통합 스마트 분전반 제어기
CN108896854A (zh) 电源插头式一体化物联电力参数监测装置
KR20170085818A (ko)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204556135U (zh) 一种基于cc2530的无线测温系统
CN209264843U (zh) 电源插头式一体化物联电力参数监测装置
KR101155076B1 (ko) 스마트 전력 측정을 이용한 스마트 에너지 서버 및 그 전력 관리 방법
JP2007329781A (ja) 監視装置
CN104577538A (zh) 基于zigbee无线通信的插座,紧凑式插座
KR20110132844A (ko) 실시간 전력 측정 장치를 이용한 전력 사용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38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717

Effective date: 2020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