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408A -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408A
KR20190062408A KR1020197008519A KR20197008519A KR20190062408A KR 20190062408 A KR20190062408 A KR 20190062408A KR 1020197008519 A KR1020197008519 A KR 1020197008519A KR 20197008519 A KR20197008519 A KR 20197008519A KR 20190062408 A KR20190062408 A KR 20190062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proxy
stream
broadcast
bs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9001B1 (ko
Inventor
야스아키 야마기시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62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2Arrangements for resource management
    • H04H20/423Transmitter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3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plur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2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layers, e.g. base layer and one or more enhancement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4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g. by modifying time stamps or remapping the packet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보다 유연하게, 넓은 대역폭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신 장치가, 물리층보다도 상위인 상위층을 통해 전송되는 전송 정보에,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배신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으로서, 배신 구성 정보에 따른 배신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림을 처리함으로써, 더 넓은 대역폭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다. 본 기술은, 예를 들어 가정 내 LAN이나 케이블 오퍼레이터의 헤드 엔드, 모바일망의 기지국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FW 프록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본 기술은,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다 유연하게, 넓은 대역폭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상 디지털 방송에서는, RF 채널의 대역폭으로서, 예를 들어 6㎒ 등의 대역폭이 할당된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화상 부호화 방식의 하나로로서, 스케일러블 부호화(계층 부호화)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여기서, 스케일러블 부호화(SVC: Scalable Video Coding)란, 기본 품질과 고품질로 사용되는 스트림을 전송하는 베이스 레이어와, 고품질만으로 사용되는 스트림을 전송하는 인핸스 레이어를 계층적으로 부호화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6-076957호 공보
ATSC Candidate Standard: Physical Layer Protocol(A/322)
그런데, 예를 들어 지상 디지털 방송에서, 스케일러블 부호화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등의 광대역 서비스를 실현하고자 하는 경우에, 당해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이, 1개의 RF 채널의 대역폭의 대역 내에 들어가지 않는 것이 상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넓은 대역폭을 필요로 하는 스트림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방식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보다 유연하게, 넓은 대역폭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안이 요청되고 있었다.
본 기술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다 유연하게, 넓은 대역폭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는,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스트림을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트림은, 물리층보다도 상위인 상위층을 통해서 전송되는 전송 정보에,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배신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배신 구성 정보에 따른 배신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스트림을 처리하는 수신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술한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이 수신되고, 상기 스트림이 처리된다. 또한, 상기 스트림은, 물리층보다도 상위인 상위층을 통해서 전송되는 전송 정보에,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배신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배신 구성 정보에 따른 배신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스트림이 처리된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송신 장치는, 물리층보다도 상위인 상위층을 통해서 전송되는 전송 정보로서,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배신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송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송신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술한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물리층보다도 상위인 상위층을 통해서 전송되는 전송 정보로서,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배신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송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이 송신된다.
본 기술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의하면, 보다 유연하게, 넓은 대역폭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마스터·프록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슬레이브·프록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방송 서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기술의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단일 방송 서비스가,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쳐 배신되는 경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서비스 1의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서비스 2의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S-TSID 메타데이터의 포맷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시간대 T1-T2에 있어서의 배신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서비스 1의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서비스 2의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서비스 3의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시간대 T2-T3에 있어서의 배신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각 방송 서비스에서 공통인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ROUTE 세션 간의 우선도를 정의한 경우에 있어서의 배신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서비스 2의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S-TSID 메타데이터의 포맷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튜너와 방송 서비스의 매핑 관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11의 배신 구성에 있어서의 SLT 메타데이터와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1의 배신 구성에 있어서의 SLT 메타데이터와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11의 배신 구성에 있어서의 SLT 메타데이터와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15의 배신 구성에 있어서의 SLT 메타데이터와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15의 배신 구성에 있어서의 SLT 메타데이터와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15의 배신 구성에 있어서의 SLT 메타데이터와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SLT 메타데이터 또는 S-TSID 메타데이터의 갱신이 검지된 경우에 있어서의 서비스 담당 범위의 할당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8은, 도 11의 배신 구성에 있어서의 매핑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15의 배신 구성에 있어서의 매핑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15의 배신 구성에 있어서의 매핑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30의 배신 구성에 있어서의 SLT 메타데이터와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세그먼트 리퀘스트의 리다이렉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3은, 송신측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4는, 제1 배신 구성의 경우인 ESG 서비스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제1 배신 구성의 경우인 XML 프래그먼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제1 배신 구성의 경우인 XML 인스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제2 배신 구성의 경우인 ESG 서비스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제2 배신 구성의 경우인 XML 프래그먼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제2 배신 구성의 경우인 ESG 서비스의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제3 배신 구성의 경우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제3 배신 구성의 경우인 XML 프래그먼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제3 배신 구성의 경우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은, 제3 배신 구성의 경우인 XML 프래그먼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는, 제3 배신 구성의 경우인 ESG 서비스의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5는, ESG의 스케줄 프래그먼트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은, ESG의 스케줄 프래그먼트의 스키마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은, ESG의 스케줄 프래그먼트의 XML 인스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은, 제3 배신 구성의 경우인 XML 인스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는, 제3 배신 구성의 경우인 ESG 서비스의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은, 전송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은, 컴퓨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기로 한다.
1. 시스템의 구성
2. 본 기술의 개요
3. 유스케이스
4. ROUTE 세션 간의 우선도
5. 튜너와 방송 서비스의 매핑 관리
6. ESG에 의한 엔드 유저로의 통지
7. 변형예
8. 컴퓨터의 구성
<1. 시스템의 구성>
(전송 시스템의 구성예)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가 논리적으로 집합한 것을 말한다.
도 1에 있어서, 전송 시스템(1)은, FW 프록시 장치(10-1 내지 10-N)(N: 1 이상의 정수), 클라이언트 장치(20-1 내지 20-M)(M: 1 이상의 정수), 및 방송 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송 시스템(1)에 있어서, FW 프록시 장치(10-1 내지 10-N)와, 클라이언트 장치(20-1 내지 20-M)는, 엔드 유저 주택(2)에 구축된 가정 내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로 접속되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FW 프록시 장치(10-1)는, 네트워크(30)에 접속된 디바이스와, 방송 서버(40)나 송신소(50) 등을 포함하는 방송 전송로(60)의 사이에 설치되고, 포워드 프록시(Forward Proxy)로서의 기능(게이트웨이 기능)을 갖고 있다. FW 프록시 장치(10-1)는, 포워드 프록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용 서버나, 텔레비전 수상기나 셋톱 박스(STB: Set Top Box), 네트워크 스토리지, 게임기 등으로 구성된다.
FW 프록시 장치(10-1)는, 송신소(50)를 통해 방송 서버(4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방송파를 수신하고, 방송파로부터 얻어지는 콘텐츠의 스트림을, 네트워크(3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20-1 내지 20-M) 중 어느 것으로 송신(전송)한다.
FW 프록시 장치(10-2 내지 10-N)는, FW 프록시 장치(10-1)와 마찬가지로, 전용의 서버나 텔레비전 수상기 등으로 구성되고, 포워드 프록시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FW 프록시 장치(10-2 내지 10-N)는, 방송 서버(40)로부터의 방송파로부터 얻어지는 콘텐츠의 스트림을, 네트워크(3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20-1 내지 20-M) 중 어느 것으로 송신(전송)한다.
여기서, 상세는 후술하지만, 네트워크(30)에 접속되는 FW 프록시 장치(10-1 내지 10-N)에 있어서는, 어느 FW 프록시 장치(10)가, 마스터 프록시로서 기능하고, 그 이외의 FW 프록시 장치(10)가, 슬레이브 프록시로서 기능하는 마스터·슬레이브 관계를 갖고 있다. 그리고, FW 프록시 장치(10-1 내지 10-N)가, 마스터·슬레이브 관계를 가짐으로써, 마스터 프록시가 가동하는 FW 프록시 장치(10)에 의해, 각 FW 프록시 장치(10)에 대해서,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가 할당된다.
또한, FW 프록시 장치(10-1 내지 10-N)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순히 FW 프록시 장치(10)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마스터 프록시로서의 기능을 갖는 FW 프록시 장치(10)를, 마스터·프록시 장치(10M)라고 칭하는 한편, 슬레이브 프록시로서의 기능을 갖는 FW 프록시 장치(10)를,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라고 칭하여 구별한다.
또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의 상세한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의 상세한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와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FW 프록시 장치(10)라고 칭하기로 한다. 즉, FW 프록시 장치(10)는, 마스터·프록시 장치(10M) 또는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 중 어느 하나로 된다.
클라이언트 장치(20-1)는, 네트워크(30)를 통해 FW 프록시 장치(10-1 내지 10-N) 중 어느 것으로부터 송신(전송)되어 오는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수신기다. 즉, 클라이언트 장치(20-1)는, 엔드 유저의 조작 등에 따라서, FW 프록시 장치(10-1 내지 10-N) 중 어느 것을 통하여, 방송 경유로 배신되는 콘텐츠를 재생(또는 기록)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20-1)는, 텔레비전 수상기나 셋톱 박스, 퍼스널 컴퓨터, 게임기 등의 고정 수신기, 혹은 스마트폰이나 휴대 전화기, 태블릿형 컴퓨터 등의 모바일 수신기로서 구성된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20-1)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 등의 웨어러블 컴퓨터여도 된다.
클라이언트 장치(20-2 내지 20-M)는, 클라이언트 장치(20-1)와 마찬가지로,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고정 수신기 또는 모바일 수신기 등으로 구성되고, FW 프록시 장치(10-1 내지 10-N) 중 어느 것을 통하여, 방송 경유로 배신되는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재생(또는 기록)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클라이언트 장치(20-1 내지 20-M)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순히 클라이언트 장치(20)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20)의 상세한 구성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방송 서버(40)는, 예를 들어 방송국 등의 방송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버이며, 송신소(50)에 설치되는 송출 설비와, 전용선 등의 소정의 회선을 통해 접속된다. 또한, 방송 서버(40)의 상세한 구성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방송 서버(40)는, 프로그램이나 CM 등의 콘텐츠의 파일(데이터)이나 제어 정보(시그널링)를 처리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전송 데이터를, 전용선을 통해 송신소(50) 내의 송출 설비에 송신한다. 그리고, 송신소(50) 내의 송출 설비는, 방송 서버(40)로부터의 전송 데이터에 대해서, 필요한 처리(변조 처리 등)를 실시함으로써, 그 결과 얻어지는 방송파가, 방송 전송로(60)를 통해 엔드 유저 주택(2) 내의 FW 프록시 장치(10)에 의해 수신된다.
또한, 도 1의 전송 시스템에서는, FW 프록시 장치(10)와 클라이언트 장치(20)가, 엔드 유저 주택(2) 내에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FW 프록시 장치(10)는, 엔드 유저 주택(2) 내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케이블 오퍼레이터의 헤드 엔드나, 모바일망의 기지국 등에 설치되도록 하여, 보다 광범위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FW 프록시 장치(10)가, 케이블 오퍼레이터의 헤드 엔드에 설치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20)는, 동일한 엔드 유저 가정이 아니라, 케이블 텔레비전의 서비스를 계약하고 있는 각 엔드 유저 가정에 설치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FW 프록시 장치(10)가, 모바일망의 기지국에 설치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20)는, 모바일 서비스를 계약하고 있는 엔드 유저가, 옥내 또는 옥외에서 소지하고 있는 디바이스(모바일 수신기)로 된다.
또한, FW 프록시 장치(10)나 클라이언트 장치(20)는,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 기기여도 된다. 또한, 도 1의 전송 시스템(1)에 있어서, 네트워크(30)에 접속되는 디바이스나 서버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통신은, 무선 통신 및 유선 통신은 물론, 무선 통신과 유선 통신이 혼재된 통신, 즉, 어떤 구간에서는 무선 통신이 행해지고, 다른 구간에서는 유선 통신이 행해지는 것이어도 된다.
(마스터·프록시 장치의 구성)
도 2는, 도 1의 FW 프록시 장치(10) 중,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는, 처리부(100), 튜너(101), 통신 I/F(102), 및 기억부(103)로 구성된다.
처리부(10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된다. 처리부(100)는, 각종 연산 처리나, 각 부의 동작 제어 등의 처리를 행한다.
튜너(10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파에 대해서, 필요한 처리(복조 처리 등)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다중화 스트림을, 처리부(100)에 공급한다. 처리부(100)는, 튜너(101)로부터 공급되는 다중화 스트림을 처리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콘텐츠의 스트림을, 통신 I/F(102)에 공급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1개의 튜너(101)만이 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복수의 튜너가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통신 I/F(102)는,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 I/F(102)는, 네트워크(3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부(100)에 공급한다. 또한, 통신 I/F(102)는, 처리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콘텐츠의 스트림을, 네트워크(30)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송신한다.
기억부(103)는, 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등으로 구성된다. 기억부(103)는, 처리부(10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처리부(100)는, 마스터 프록시(111), UPnP/SSDP 서버(112), 및 SLS 처리계(113)를 포함한다.
마스터 프록시(111)는,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서 가동하는 서비스로서,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에서 가동하는 슬레이브 프록시에 대한 마스터 프록시로서 기능한다.
마스터 프록시(111)는, 자신(마스터 프록시)이나 슬레이브 프록시에 대해서,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를 할당하는 처리를 행한다. 마스터 프록시(111)는, 자신이 할당한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에 따라서, 담당 범위의 방송 서비스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마스터 프록시(111)는,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의 리퀘스트를, 대상의 방송 서비스를 담당하는 슬레이브 프록시에 통지한다. 또한, 마스터 프록시(111)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의 상세는, 도 27 및 도 32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UPnP/SSDP 서버(112)는,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서 가동하는 서비스이다.
UPnP/SSDP 서버(112)는, 마스터 프록시(111)와, 네트워크(30)에 접속되는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에서 가동하는 슬레이브 프록시 사이의 마스터·슬레이브 관계를 확립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UPnP/SSDP 서버(112)는, 마스터 프록시(111)와, 네트워크(30)에 접속되는 클라이언트 장치(20)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SLS 처리계(113)는, 방송 경유로 취득되는 제어 정보인 SLS(Service Layer Signaling)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SLS 처리계(113)에 의해 SLS가 처리됨으로써, 다중화 스트림으로부터, 원하는 콘텐츠의 스트림(담당 범위의 방송 서비스에 의해 배신되는 콘텐츠의 스트림)이 얻어진다. 또한, SLS의 상세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마스터·프록시 장치(10M)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슬레이브·프록시 장치의 구성)
도 3은, 도 1의 FW 프록시 장치(10) 중,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는, 처리부(150), 튜너(151), 통신 I/F(152), 및 기억부(153)로 구성된다. 또한, 튜너(151) 내지 기억부(153)는, 도 2의 튜너(101) 내지 기억부(103)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복수의 튜너가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처리부(150)는, 예를 들어 CPU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된다. 처리부(150)는, 각종 연산 처리나, 각 부의 동작 제어 등의 처리를 행한다.
처리부(150)는, 슬레이브 프록시(161) 및 SLS 처리계(162)를 포함한다.
슬레이브 프록시(161)는,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에서 가동하는 서비스이며,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서 가동하는 마스터 프록시(111)에 대한 슬레이브 프록시로서 기능한다.
슬레이브 프록시(161)는, 마스터 프록시(111)에 의해 할당된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에 따라서, 담당 범위의 방송 서비스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슬레이브 프록시(161)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의 상세는, 도 27 및 도 32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SLS 처리계(162)는, 방송 경유로 취득되는 제어 정보인 SLS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SLS 처리계(162)에 의해 SLS가 처리됨으로써, 다중화 스트림으로부터, 원하는 콘텐츠의 스트림(담당 범위의 방송 서비스에서 배신되는 콘텐츠의 스트림)이 얻어진다. 또한, SLS의 상세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클라이언트 장치의 구성)
도 4는, 도 1의 클라이언트 장치(2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장치(20)는 처리부(200), 통신 I/F(201), 표시부(202), 및 스피커(203)로 구성된다.
처리부(200)는, 예를 들어 CPU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된다. 처리부(200)는 각종 연산 처리나, 각 부의 동작 제어 등의 처리를 행한다.
통신 I/F(201)는,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 I/F(201)는, 처리부(20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네트워크(30)에 접속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 대해서, 원하는 방송 서비스에서 배신되는 콘텐츠를 요구한다. 또한, 통신 I/F(201)는, 네트워크(30)를 통해 마스터·프록시 장치(10M) 또는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로부터 송신(전송)되어 오는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고, 처리부(200)에 공급한다.
처리부(200)는, 통신 I/F(201)로부터 공급되는 콘텐츠의 스트림을 처리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데이터 중,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부(202)에 공급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203)에 공급한다.
표시부(202)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등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된다. 표시부(202)는, 처리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스피커(203)는, 처리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표시부(202)가, 터치 패널의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터치 패널에 대한 엔드 유저의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가 처리부(200)에 공급되고, 처리부(200)는, 당해 조작 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또한,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물리적인 버튼 등의 입력부를 마련하여, 당해 입력부에 대한 엔드 유저의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가, 처리부(200)에 공급되도록 해도 된다.
처리부(200)는, 애플리케이션(211) 및 브라우저(212)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211) 및 브라우저(212)에 의해, 렌더러 기능이 제공된다.
애플리케이션(211)은, 네트워크(30)에 접속되는 클라이언트 장치(20)가,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서 가동하는 마스터 프록시(111)와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211)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의 상세는, 도 3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브라우저(212)는, 통신 I/F(201)로부터 공급되는 콘텐츠의 스트림으로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 또는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에 의해 방송 경유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콘텐츠를 재생한다.
또한, 브라우저(212)는, DASH 플레이어로서의 기능을 갖지만, 그 상세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브라우저(212)로 행해지는 처리의 상세는, 도 3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클라이언트 장치(20)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방송 서버의 구성예)
도 5는, 도 1의 방송 서버(4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방송 서버(40)는, 컴포넌트 처리부(401), 제어 정보 생성부(402), ESG 생성부(403), 멀티플렉서(404), 데이터 처리부(405), 및 송신부(406)로 구성된다.
컴포넌트 처리부(401)는,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컴포넌트의 스트림을, 멀티플렉서(404)에 공급한다.
여기서, 컴포넌트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데이터이며, 이들 데이터에 대해서, 소정의 부호화 방식(예를 들어, 스케일러블 부호화(계층 부호화) 등)에 준거한 부호화 처리 등의 처리가 행해진다.
제어 정보 생성부(402)는, 콘텐츠의 선국이나 재생 등의 상위층의 처리에서 사용되는 제어 정보(상위층의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멀티플렉서(404)에 공급한다. 또한, 이 상위층의 제어 정보에는, LLS(Low Level Signaling)나 SLS(Service Layer Signaling) 등의 시그널링이 포함되지만, 그 상세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위층이란, 물리층보다도 상위인 계층을 의미한다.
ESG 생성부(403)는, ESG(Electronic Service Guide) 정보를 생성하고, 멀티플렉서(404)에 공급한다. 또한, ESG 서비스는, 휴대 전화의 규격 책정을 행하는 조직인 OMA(Open Mobile Alliance)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전자 프로그램표)이며, 그 상세는, 도 6이나 도 45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멀티플렉서(404)는, 컴포넌트 처리부(401)로부터 공급되는 컴포넌트의 스트림과, 제어 정보 생성부(402)로부터 공급되는 상위층의 제어 정보의 스트림과, ESG 생성부(403)로부터 공급되는 ESG 정보의 스트림을 다중화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다중화 스트림을, 데이터 처리부(405)에 공급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시각 정보 등의 다른 스트림이 다중화되도록 해도 된다.
데이터 처리부(405)는, 멀티플렉서(404)로부터 공급되는 다중화 스트림을 처리하여, 소정의 형식의 패킷(프레임)을 생성하고, 전송 데이터로서, 송신부(406)에 공급한다.
송신부(406)는, 데이터 처리부(405)로부터 공급되는 전송 데이터를, 전용선을 통해 송신소(50) 내의 송출 설비에 송신한다.
방송 서버(40)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본 기술의 프로토콜 스택)
도 6은, 본 기술의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지털 방송의 전송 방식으로서, 현 상황에서는, MPEG2-TS(Transport Stream) 방식이 널리 보급되어 있지만, 금후에는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IP(Internet Protocol) 패킷을 디지털 방송에 사용한 IP 전송 방식이 보급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차세대 지상파 방송 규격의 하나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3.0에 있어서도, IP 전송 방식을 채용하여, 보다 고도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본 기술에 있어서도, ATSC 3.0 등과 마찬가지로, IP 전송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가장 하위의 계층은, 물리층(Physical Layer)으로 된다. ATSC 3.0 등의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에서는, 일 방향의 방송을 이용한 전송으로 한정되지 않고, 일부의 데이터를, 쌍방향의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가 있지만, 방송(Broadcast)을 이용하는 경우, 그 물리층은, 서비스(채널)를 위해서 할당된 방송파의 주파수 대역 등이 대응하게 된다.
물리층(Physical Layer)의 상위의 계층은, 데이터 링크층(Data Link Layer)으로 된다. 또한, 데이터 링크층의 상위의 계층은, IP(Internet Protocol)층과 UDP(User Datagram Protocol)층으로 된다. IP층과 UDP층은, 통신의 계층 모델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층과 트랜스포트층에 상당하는 층이며, IP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에 의해, IP 패킷과 UDP 패킷이 특정된다.
여기서, ATSC 3.0에서는, 제어 정보(시그널링)로서, LLS(Low Level Signaling)와 SLS(Service Layer Signaling)를 사용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LLS는, SLS보다도 하위의 층에서 전송되는 제어 정보이다. SLS는, 서비스 단위의 제어 정보이다. 즉, ATSC 3.0에서는, 트랜스포트층의 제어 정보가, LLS와 SLS의 2계층에서 전송된다.
LLS에는, SLT(Service List Table) 등의 메타데이터가 포함된다. SLT 메타데이터는, 방송 서비스(채널)의 선국에 필요한 정보 등, 방송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스트림이나 방송 서비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본 정보를 포함한다. 이 SLT 메타데이터는, UDP 패킷을 포함하는 IP 패킷인 UDP/IP 패킷에 포함해서 전송된다. 단, SLT 메타데이터를 저장한 UDP/IP 패킷은, 특별한 IP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로 전송되게 된다.
IP층과 UDP층에 인접하는 상위의 계층은, ROUTE(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로 된다. ROUTE는, 스트리밍 파일 전송용 프로토콜로서,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를 확장한 것이다.
이 ROUTE 세션에 의해, 방송 서비스마다, SLS의 파일(Signaling)이나, NRT(Non Real Time) 콘텐츠의 파일(NRT), DASH 세그먼트 파일(DASH) 등이 전송된다.
여기서, SLS는, 서비스 레벨의 제어 정보이며, 대상의 방송 서비스에 속하는 컴포넌트의 탐색과 선택에 필요한 정보나 속성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SLS는,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S-TSID(Service-based Transport Session Instance Description),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등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USBD 메타데이터는, 다른 메타데이터의 취득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S-TSID 메타데이터는, LSID(LCT Session Instance Description)를 ATSC 3.0용으로 확장한 것으로서, ROUTE 프로토콜의 제어 정보이다. 또한, S-TSID 메타데이터는, ROUTE 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EFDT(Extended FDT)를 특정할 수 있다. EFDT는, FLUTE에서 도입되어 있는 FDT(File Delivery Table)를 확장한 것으로서, 전송용 제어 정보이다.
MPD 메타데이터는, MPEG-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에 준거한 스트리밍 배신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비디오나 오디오 파일의 제어 정보이다.
여기서, MPEG-DASH는, OTT-V(Over The Top Video)에 따른 스트리밍 배신 규격으로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베이스로 한 스트리밍 프로토콜을 사용한 어댑티브 스트리밍 배신에 관한 규격이다.
이 MPEG-DASH의 규격에서는, 비디오나 오디오의 파일의 제어 정보인 메타데이터를 기술하기 위한 매니페스트 파일과, 동화상의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파일 포맷이 규정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전자의 매니페스트 파일이,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라고 칭해지고, 후자의 파일 포맷은 세그먼트 포맷이라고도 칭해진다.
또한, 트랜스포트·프로토콜로서, ROUTE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트리밍의 파일 포맷으로서, MP4 파일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MP4 파일 포맷은, ISO/IEC 14496-12로 규정되어 있는 ISO BMFF(ISO Base Media File Format)의 파생 포맷이다.
ROUTE 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세그먼트는, 이니셜라이제이션 세그먼트(IS: Initialization Segment)와, 미디어 세그먼트(MS: Media Segment)로 구성된다. 이니셜라이제이션 세그먼트는, 데이터 압축 방식 등의 초기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미디어 세그먼트는,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의 스트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즉, 이 미디어 세그먼트가, DASH 세그먼트(DASH 세그먼트 파일)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서비스 컴포넌트(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스트림 데이터는, ISO BMFF의 규격에 준한 DASH 세그먼트 단위로, RO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게 된다.
또한, NRT 콘텐츠는, 수신기의 스토리지에 일단 축적된 후에 재생이 행해지는 콘텐츠이다. 또한,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나 전자 서비스 가이드(ESG: Electronic Service Guide)의 파일 등, NRT 콘텐츠 이외의 파일을, ROUTE 세션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LLS로서의 SLT 메타데이터나, SLS로서의 USBD, S-TSID, MPD 등의 메타데이터는, 예를 들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마크업 언어에 의해 기술된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로 할 수 있다.
한편, 쌍방향의 통신(Broadband)을 이용하는 경우, 그 물리층(Physical Layer)의 상위의 계층은, 데이터 링크층(Data Link Layer)으로 된다. 또한, 데이터 링크층의 상위의 계층은, 네트워크층에 상당하는 IP층으로 된다. IP층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은, 트랜스포트층에 상당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층으로 되고, 또한, TCP층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은, 애플리케이션층에 상당하는 HTTP층으로 된다.
즉, 이들 계층에 의해, 인터넷 등의 통신 회선 상에서 가동하는 TCP/IP 등의 프로토콜이 실장된다.
HTTP층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 중, 일부의 계층은, 제어 정보(Signaling)와, NRT 콘텐츠(NRT)로 된다. 이 제어 정보로서는, 상술한 ROUTE 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 등, 모든 제어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NRT 콘텐츠는, 통신 경유로 취득되는 콘텐츠로서,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다.
HTTP층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 중, 상술한 계층 이외의 다른 계층은, DASH 세그먼트(DASH)로 된다. 즉, 쌍방향의 통신계의 스트리밍 배신에서는, VOD(Video On Demand)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서비스 컴포넌트(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스트림 데이터가, ISO BMFF의 규격에 준한 DASH 세그먼트 단위로 전송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기술의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에 있어서는, 일 방향의 방송계의 계층과, 쌍방향의 통신계의 계층의 일부가 공통의 프로토콜로 되어, 일 방향의 방송과 쌍방향의 통신을 통해, 콘텐츠를 구성하는 서비스 컴포넌트의 스트림 데이터를, ISO BMFF의 규격에 준한 DASH 세그먼트 단위로 전송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일 방향의 방송계의 스트리밍 배신과, 쌍방향의 통신계의 스트리밍 배신의 양쪽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위의 계층 프로토콜이 공통화되어 있기 때문에, 각 장치에서의 실장의 부담이나 처리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의 전송 시스템(1)에서는, 송신측에, 방송계의 방송 서버(40)가 설치되고, 일 방향의 방송계의 스트리밍 배신에만 대응한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도 6의 프로토콜 스택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기술은, 쌍방향의 통신계의 스트리밍 배신에도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쌍방향의 통신계의 스트리밍 배신에 대응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5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2. 본 기술의 개요>
그런데, ATSC 3.0 등의 방송 방식에서는, RF 채널의 대역폭(Broadcast Stream)으로서, 6㎒ 등의 대역폭이 할당되지만, 넓은 대역폭의 스트리밍 서비스나 파일 배신 서비스(예를 들어, 스케일러블 부호화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등, 이 대역 내에 들어가지 않는 광대역 서비스를, 동적으로 스케줄로서 제공하는 운용이 상정된다.
그 때문에,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안이 요청되고 있지만, 현 상황에서는, 그러한 요청에 부응하기 위한 기술 방식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 기술에서는, 단일의 방송 서비스(광대역 서비스)가,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쳐 배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배신 구성 정보'라고 함)를, SLS의 하나인 S-TSID 메타데이터, 또는 ESG 정보 등의 상위층을 통해서 전송되는 정보(이하, '전송 정보'라고 함)에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유연하게,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전송 시스템(1)에 있어서, 복수의 FW 프록시 장치(10)가 설치되는 환경에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 의해, 각 FW 프록시 장치(10)에 대한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이하, '서비스 담당 범위'라고 함)를 할당할 때에, S-TSID 메타데이터 등의 전송 정보에 포함되는 배신 구성 정보가 참조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쳐 배신되는 방송 서비스에 관한 서비스 담당 범위를, FW 프록시 장치(10)에 대해서, 적절하게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결과로서, 보다 유연하게, 스케일러블 부호화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등의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꾸어 말하면, 도 1의 전송 시스템(1)에 있어서, 동적으로 스케줄되는 광대역 서비스를, 복수의 FW 프록시 장치(10)에서 종단하고, 네트워크(30) 상의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제공할 경우에 필요한, FW 프록시 장치(10) 사이의 역할 분담 프로토콜을 실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의 전송 시스템(1)에 있어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는,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 DASH 세그먼트의 리퀘스트를 받은 경우, 당해 리퀘스트의 방송 서비스를 담당하는 FW 프록시 장치(10)에 리다이렉션을 행한다. 그리고, 리다이렉션을 받은 FW 프록시 장치(10)는, 할당된 방송 서비스의 범위 내에서, 방송 경유로 배신되는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고, 네트워크(30)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송신하게 된다.
(배신 구성의 예)
도 7은, 단일의 방송 서비스가,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쳐 배신되는 경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을 식별하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id: BroadcastStreamID)로서, bsid=bsid-1을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roadcastStream-1)은, 2개의 ROUTE 세션(RouteSession-1-1, RouteSession-1-2)으로 구성된다. 또한, bsid=bsid-2를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roadcastStream-2)은, 1개의 ROUTE 세션(RouteSession-2-1)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ROUTE 세션 1-1(RouteSession-1-1)은, 1개의 독립된 방송 서비스인 서비스 1(Service-1)을 전송하는 데 비하여, ROUTE 세션 1-2(RouteSession-1-2)와 ROUTE 세션 2-1(RouteSession-2-1)은, 2개의 ROUTE 세션을 통해 1개의 독립한 방송 서비스인 서비스 2(Service-2)를 전송한다.
단, 방송 서비스를 식별하는 서비스 ID(ServiceId)로서, 서비스 1은, ServiceId=svc-1을 갖고, 서비스 2는, ServiceId=svc-2를 갖고 있다.
ROUTE 세션 1-1은, SLS를 운반하는 LCT 세션(LctSession-1-1-0-SLS(tsi=0))과, 오디오나 비디오의 스트림을 운반하는 LCT 세션(LctSession-1-1-1-AV(tsi= tsi-av-1-1))으로 구성된다.
ROUTE 세션 1-2는, SLS를 운반하는 LCT 세션(LctSession-1-2-0-SLS(tsi=0))과, 오디오나 비디오의 스트림을 운반하는 LCT 세션(LctSession-1-2-1-AV(tsi= tsi-av-2-1))으로 구성된다.
ROUTE 세션 2-1은, SLS를 운반하는 LCT 세션(LctSession-2-1-0-SLS(tsi=0))과, 오디오나 비디오의 스트림을 운반하는 LCT 세션(LctSession-2-1-1-AV(tsi= tsi-av-2-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의 ROUTE 세션 1-2와,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의 ROUTE 세션 2-1에서는, LCT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서비스 2의 SLS로서, 동일한 SLS-svc-2가 운반된다. 한편,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의 ROUTE 세션 1-1에서는, LCT 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1의 SLS로서, SLS-svc-2와는 다른 SLS-svc-1이 운반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한 배신 구성 중, SLS로서의 S-TSID 메타데이터를 예시하면, 도 8 및 도 9에 나타내게 된다.
도 8은, 서비스 1에 관한 SLS(SLS-svc-1)의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XML 형식의 S-TSID 메타데이터에는, 루트 요소로서의 S-TSID 요소의 serviceId 속성으로서, serviceId=svc-1이 기술된다. 또한, S-TSID 요소의 관리하의 RS 요소의 dIpAddr 속성으로서, dIpAddr=dIpAddr-svc-1, 또한 RS 요소의 관리하의 LS 요소의 tsi 속성으로서, tsi= tsi-av-1-1이 기술된다.
도 9는, 서비스 2에 관한 SLS(SLS-svc-2)의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XML 형식의 S-TSID 메타데이터에는, 도 8과 마찬가지로, S-TSID 요소와 그 관리하의 RS 요소와 LS 요소가 기술되어 있지만, RS 요소에, bsid 속성이 추가되어 있다. 즉, 상단의 RS 요소에는, bsid 속성으로서, bsid=bsid-1이 기술되고, 하단의 RS 요소에는, bsid 속성으로서, bsid=bsid-2가 기술되어 있다.
이들 RS 요소의 bsid 속성의 값에 의해, 단일의 방송 서비스(서비스 2)가, 2개의 ROUTE 세션으로 구성되며, 한쪽의 ROUTE 세션이, bsid=bsid-1을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을 통해 전송되고, 다른 쪽의 ROUTE 세션이, bsid=bsid-2를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한 배신 구성의 예에서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과,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 중 어느 경우에서도, 동일한 시그널링 프래그먼트인 SLS-svc-2(도 9)가 운반되게 된다. 또한, 서비스 1과 서비스 2의 양쪽이, 하나의 방송 사업자의 방송 서버(40)로부터 제공되는 경우도 있으면, 그들 방송 서비스마다, 서로 다른 방송 사업자의 방송 서버(40)로부터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S-TSID의 구조)
도 10은, XML 형식의 S-TSID 메타데이터의 포맷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있어서, 루트 요소의 S-TSID 요소에는, serviceId 속성을 배치할 수 있다. serviceId 속성에는, 서비스 ID가 지정된다.
또한, S-TSID 요소에는, 1개 또는 복수의 ROUTE 세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RS 요소가 배치된다. RS 요소는 sIpAddr 속성, dIpAddr 속성, dport 속성, bsid 속성, 및 LS 요소를 배치할 수 있다.
sIpAddr 속성에는, ROUTE 세션의 송신원 IP 어드레스(source IP address)가 지정된다. dIpAddr 속성에는, ROUTE 세션의 송신처 IP 어드레스(destination IP address)가 지정된다. dport 속성에는, ROUTE 세션의 포트 번호가 지정된다.
bsid 속성에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id)를 지정할 수 있다. 이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로서는, 친(親) 요소로 되는 RS 요소에 대응한 ROUTE 세션으로서, 광대역 서비스(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쳐 배신되는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ROUTE 세션을 전송하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가 지정된다.
LS 요소에는, LCT 채널에 관한 정보가 기술된다. 또한, LS 요소는, LCT 채널마다, 1개 또는 복수 배치할 수 있다. LS 요소는, tsi 속성, bw 속성, startTime 속성, endTime 속성, SrcFlow 요소, 및 RepairFlow 요소를 배치할 수 있다.
tsi 속성에는, TSI의 값이 지정된다. bw 속성에는, 최대 대역폭이 지정된다. startTime 속성과 endTime 속성에는,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이 지정된다.
SrcFlow 요소에는, Source Flow에 관한 정보가 지정된다. RepairFlow 요소에는, Repair Flow에 관한 정보가 지정된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Use」의 항목이지만, "0..1"이 지정된 경우에는, 그 요소 또는 속성을 지정할지 여부는 임의이다. 또한, 「Use」의 항목으로서, "1..N"이 지정된 경우에는, 그 요소 또는 속성은, 1 이상 지정되고, "1"이 지정된 경우에는 그 요소 또는 속성은 반드시 1개만 지정된다.
또한, 「Data Type」의 항목이지만, "unsignedShort"나 "unsignedInt"가 지정된 경우, 그 요소 또는 속성의 값이, 정수형임을 나타내고, "string"이 지정된 경우에는, 그 요소 또는 속성의 값이, 문자열형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Data Type」의 항목으로서, "dateTime"이 지정된 경우에는, 그 요소 또는 속성이, 특정한 일시를 표시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S-TSID 메타데이터의 포맷은 일례로서, 예를 들어 XML 형식 이외의 다른 텍스트 형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S-TSID 메타데이터는, 텍스트 형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바이너리 형식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기술에서는, 전송 정보인 S-TSID 메타데이터에, 배신 구성 정보로서, RS 요소의 bsid 속성에, 광대역 서비스(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쳐 배신되는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ROUTE 세션을 전송하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id)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유연하게,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유스케이스>
다음으로, 시간대마다 방송 서비스와, 그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ROUTE 세션의 관계가 변화하는 경우의 유스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유스케이스에서는, 어떤 시간축에서, 시각 T1, T2, T3이 순서대로 경과할 경우에, 시간대 T1-T2와, 시간대 T2-T3에 있어서의 배신의 구성을 설명한다.
(시간대 T1-T2의 배신 구성)
도 11은, 시간대 T1-T2에 있어서의 배신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서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의 ROUTE 세션 1-1(dIpAddr-svc-1)을 통해, 서비스 1(svc-1)을 전송한다. 이 ROUTE 세션 1-1의 LCT 세션에서는, 서비스 1의 SLS(SLS-svc-1)와, 서비스 1의 오디오나 비디오(AV)의 스트림이 전송된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의 ROUTE 세션 1-2(dIpAddr-svc-2)와,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ROUTE 세션 2-1(dIpAddr-svc-2)을 통해, 서비스 2(svc-2)를 전송한다. 즉, 시간대 T1-T2에 있어서의 배신의 구성에 있어서, 서비스 2는, 2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에 걸쳐 배신된다.
ROUTE 세션 1-2의 LCT 세션에서는, 서비스 2의 SLS(SLS-svc-2)와, 서비스 2의 오디오나 비디오(AV)의 스트림이 전송된다. 한편, ROUTE 세션 2-1의 LCT 세션에서는, 서비스 2의 SLS(SLS-svc-2)와, 서비스 2의 오디오나 비디오(AV)의 스트림이 전송된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3(bsid-3)의 ROUTE 세션 3-1(dIpAddr-svc-3)을 통해, 서비스 3(svc-3)을 전송한다. ROUTE 세션 3-1의 LCT 세션에서는, 서비스 3의 SLS(SLS-svc-3)와, 서비스 3의 오디오나 비디오(AV)의 스트림이 전송된다.
여기서, 도 12 내지 도 14에는, 도 11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에 있어서의 각 방송 서비스의 SLS에 포함되는 S-TSID 메타데이터의 예가 나타나 있다.
도 12는, 서비스 1의 SLS(SLS-svc-1)의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S-TSID 메타데이터에 있어서는, 서비스 1(svc-1)이, 1개의 ROUTE 세션(dIpAddr-svc-1)으로 구성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서비스 2의 SLS(SLS-svc-2)의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S-TSID 메타데이터에 있어서는, 서비스 2(svc-2)가, 2개의 ROUTE 세션(dIpAddr-svc-2)으로 구성되며, 한쪽의 ROUTE 세션이, bsid=bsid-1을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을 통해 전송되고, 다른 쪽의 ROUTE 세션이, bsid=bsid-2를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를 통해 전송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서비스 3의 SLS(SLS-svc-3)의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S-TSID 메타데이터에 있어서는, 서비스 3(svc-3)이, 1개의 ROUTE 세션으로 구성됨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시간대 T1-T2에 있어서의 배신의 구성에서는, 3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 bsid-3) 중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과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ROUTE 세션(dIpAddr-svc-2)를 통해, 서비스 2(svc-2)가 전송되고, 당해 서비스 2(svc-2)는, 2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에 걸쳐 배신되어 있다. 또한, 이 서비스 2(svc-2)가, 2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에 걸친 배신의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은, 서비스 2의 SLS(SLS-svc-2)의 S-TSID 메타데이터에 의해 통지할 수 있다.
(시간대 T2-T3의 배신 구성)
도 15는, 시간대 T2-T3에 있어서의 배신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있어서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의 ROUTE 세션 1-1(dIpAddr-svc-1)과,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ROUTE 세션 2-1(dIpAddr-svc-1)과,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3(bsid-3)의 ROUTE 세션 3-1(dIpAddr-svc-1)을 통해, 서비스 1(svc-1)을 전송한다. 즉, 시간대 T2-T3에 있어서의 배신의 구성에 있어서, 서비스 1은, 3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 bsid-3)에 걸쳐 배신된다.
ROUTE 세션 1-1의 LCT 세션에서는, 서비스 1의 SLS(SLS-svc-1)와, 서비스 1의 오디오나 비디오(AV)의 스트림이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ROUTE 세션 2-1과 ROUTE 세션 3-1의 LCT 세션에서는, 서비스 1의 SLS(SLS-svc-1)와, 서비스 1의 오디오나 비디오(AV)의 스트림이 전송된다.
여기서, 도 16에는, 도 15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에 있어서의 서비스 1의 SLS에 포함되는 S-TSID 메타데이터의 예가 나타나 있다. 즉, 도 15의 배신 구성에서는, 3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 bsid-3)에 걸쳐, 서비스 1(svc-1)이 배신되므로, SLS(SLS-svc-1)의 S-TSID 메타데이터는, 3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서 공통으로 된다.
도 16의 S-TSID 메타데이터에 있어서는, 서비스 1(svc-1)이, 3개의 ROUTE 세션(dIpAddr-svc-1)으로 구성되고, 첫 번째의 ROUTE 세션 1-1(dIpAddr-svc-1)이, bsid=bsid-1을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을 통해 전송됨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또한, 두 번째의 ROUTE 세션 2-1(dIpAddr-svc-1)이, bsid=bsid-2를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를 통해 전송되고, 세 번째의 ROUTE 세션 3-1(dIpAddr-svc-1)이, bsid=bsid-3을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3을 통해 전송됨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시간대 T2-T3에 있어서의 배신의 구성에서는, 3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 bsid-3)의 각 ROUTE 세션(dIpAddr-svc-1)을 통해, 서비스 1(svc-1)이 전송되고, 당해 서비스 1(svc-1)은, 3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쳐 배신되어 있다. 또한, 이 서비스 1(svc-1)이, 3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친 배신의 구성으로 되어 있음은, 서비스 1의 SLS(SLS-svc-1)의 S-TSID 메타데이터에 의해 통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시간대 T1-T2와 시간대 T2-T3의 배신의 구성으로서, 시간대 T1-T2에 있어서는, 2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의 ROUTE 세션을 통해, 서비스 2(svc-2)가 전송되지만, 그 후, 시간대 T2-T3이 되면, 3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 bsid-3)의 ROUTE 세션을 통해, 서비스 1(svc-1)이 전송되게 되고, 시간대마다 배신의 구성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시간대마다 변화하는 배신의 구성은, SLS의 S-TSID 메타데이터의 내용을 갱신함으로써, 통지할 수 있다.
<4. ROUTE 세션 간의 우선도>
다음으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의 ROUTE 세션 간에, 우선도(중요도)를 정의할 경우에 있어서의 S-TSID 메타데이터의 확장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ROUTE 세션 간에, 우선도를 정의하는 운용을 행하는 케이스로서는, 예를 들어 스케일러블 부호화(계층 부호화)가 적용된 광대역 서비스 등이 상정된다. 여기서, 상세는 후술하지만, 스케일러블 부호화(SVC)는, 기본 품질과 고품질에서 사용되는 스트림(최저한 필요한 스트림)을 전송하는 베이스 레이어와, 고품질에서만 사용되는 스트림(부가적인 스트림)을 전송하는 인핸스 레이어를 계층적으로 부호화하는 기술이다.
(우선도를 정의한 경우의 배신 구성)
도 17은, ROUTE 세션 간의 우선도를 정의한 경우에 있어서의 배신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있어서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의 ROUTE 세션 1-1(dIpAddr-svc-1)에서, 서비스 1(svc-1)을 전송한다. 이 ROUTE 세션 1-1의 LCT 세션에서는, 서비스 1의 SLS(SLS-svc-1)와, 서비스 1의 오디오나 비디오(AV)의 스트림이 전송된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의 ROUTE 세션 1-2(dIpAddr-svc-2)와,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ROUTE 세션 2-1(dIpAddr-svc-2)을 통해, 서비스 2(svc-2)를 전송한다. 즉, 도 17의 배신 구성에 있어서, 서비스 2는, 2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에 걸쳐 배신된다.
ROUTE 세션 1-2의 LCT 세션에서는, 서비스 2의 SLS(SLS-svc-2)와, 서비스 2의 오디오나 비디오(AV)의 스트림이 전송된다. 한편, ROUTE 세션 2-1의 LCT 세션에서는, 서비스 2의 SLS(SLS-svc-2)와, 서비스 2의 오디오나 비디오(AV)의 스트림이 전송된다.
여기서, 도 17의 배신 구성에, 스케일러블 부호화를 적용하며,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ROUTE 세션 2-1(dIpAddr-svc-2)에서는, 베이스 레이어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의 ROUTE 세션 1-2(dIpAddr-svc-2)에서는, 인핸스 레이어의 스트림을 전송하는 배신 구성으로 한 경우를 상정한다.
베이스 레이어의 스트림은, 예를 들어 통상의 프레임 레이트 60fps로, HD(High Definition) 화질의 스트림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인핸스 레이어의 스트림은, 예를 들어 베이스 레이어의 스트림에 기초하여, 그 배의 프레임 레이트 120fps로, 4K(UHD:Ultra High Definition) 화질의 스트림으로서 표시 가능하게 하는 스트림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측의 FW 프록시 장치(10)는, 예를 들어 튜너가 1개이며, 한 번에 1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밖에 처리할 수 없는 환경 등,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만 수신할 수 있는 환경의 경우에는, 베이스 레이어의 스트림만을 처리하여, 네트워크(3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20)에 대해서, HD 화질(기본 품질)의 영상을 표시시킨다.
한편, 수신측의 FW 프록시 장치(10)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와 동시에,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도 수신 가능한 환경의 경우에는, 베이스 레이어의 스트림과 함께, 인핸스 레이어의 스트림도 처리하고, 네트워크(3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20)에 대해서, 4K 화질(고품질)의 영상을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클라이언트 장치(20)에서는, 인핸스 레이어에 대응 가능한 환경에서는, 베이스 레이어만의 환경보다도, 보다 고화질의 영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18에는, 도 17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에 있어서의 서비스 2의 SLS에 포함되는 S-TSID 메타데이터의 예가 나타나 있다. 즉, 도 17의 배신 구성에서는, 2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에 걸쳐서, 서비스 2(svc-2)가 배신되므로, SLS(SLS-svc-2)의 S-TSID 메타데이터는, ROUTE 세션 1-2와 ROUTE 세션 2-1에서 공통으로 된다.
도 18의 S-TSID 메타데이터에 있어서는, 서비스 2(svc-2)가, 2개의 ROUTE 세션(dIpAddr-svc-2)으로 구성되며, 첫 번째의 ROUTE 세션 1-2(dIpAddr-svc-2)가, bsid=bsid-1을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을 통해 전송되고, 두 번째의 ROUTE 세션 2-1(dIpAddr-svc-2)이, bsid=bsid-2를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를 통해 전송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8의 S-TSID 메타데이터에 있어서, S-TSID 요소의 관리하의 각 RS 요소에는, priority 속성이 추가되어 있다. 이 priority 속성에 의해, 베이스 레이어와 인핸스 레이어의 차이로 발생하는 ROUTE 세션 간의 우선도(중요도)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의 S-TSID 메타데이터에서는, ROUTE 세션 1-2에 대해서, RS 요소의 priority 속성으로서, priority=low(우선도: 저)가 지정되는 한편, ROUTE 세션 2-1에 대해서, RS 요소의 priority 속성으로서, priority=high(우선도: 고)가 지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7의 배신 구성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의 ROUTE 세션 1-2보다도,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ROUTE 세션 2-1의 쪽이, 보다 우선도(중요도)가 높은 ROUTE 세션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도 17의 배신 구성에 있어서는, 스케일러블 부호화를 적용한 광대역 서비스인 서비스 2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ROUTE 세션 2-1은, 최저한 필요한 스트림이나 NRT 파일이 전송되는 ROUTE 세션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의 ROUTE 세션 1-2는, 있으면 보다 좋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부가적인) 스트림이 전송되는 ROUTE 세션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S-TSID 메타데이터의 S-TSID 요소의 관리하의 RS 요소에, priority 속성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쳐 배신되는 방송 서비스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친 모든 ROUTE 세션이 필수적이라고 해석하게 된다.
(우선도에 대응한 S-TSID의 구조)
도 19는, ROUTE 세션 간의 우선도에 대응한 XML 형식의 S-TSID 메타데이터의 포맷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의 S-TSID 메타데이터의 포맷은, 도 10에 도시한 S-TSID 메타데이터의 포맷과 비교하여, S-TSID 요소의 관리하의 RS 요소에, sIpAddr 속성, dIpAddr 속성, dport 속성, bsid 속성, 및 LS 요소 외에, priority 속성을 배치 가능한 점이 상이하다.
priority 속성에는, ROUTE 세션 간의 우선도(중요도)가 지정된다. 이 priority 속성의 값으로서는, 예를 들어 high와 low나, 1 내지 5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정수값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S-TSID 메타데이터의 포맷은 일례로서, 예를 들어 XML 형식 이외의 다른 텍스트 형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S-TSID 메타데이터는, 텍스트 형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바이너리 형식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예를 들어 스케일러블 부호화가 적용된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의 ROUTE 세션 간에, 우선도(중요도)를 정의함으로써, 베이스 레이어와 인핸스 레이어의 차이로 발생하는 ROUTE 세션 간의 우선도(중요도)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세션 간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도 정보로서, S-TSID 메타데이터의 S-TSID 요소의 관리하의 RS 요소에, priority 속성을 배치함으로써 우선도가 지정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 priority 속성의 값으로, 명시적으로 우선도를 지정하지 않는 경우라도, 예를 들어 S-TSID 메타데이터에 있어서의 ROUTE 세션의 배치순을 우선도 순서대로 배치한다는 규칙을, 운용 규칙으로 함으로써, 우선도가 지정되도록 해도 된다.
즉, 이와 같은 운용 규칙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상술한 도 18의 S-TSID 메타데이터에 있어서, 보다 우선도가 높은 ROUTE 세션 2-1의 RS 요소가, 보다 우선도가 낮은 ROUTE 세션 1-2의 RS 요소보다도 먼저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S-TSID 메타데이터의 S-TSID 요소의 관리하의 RS 요소에, priority 속성을 배치할 필요는 없다.
<5. 튜너와 방송 서비스의 매핑 관리>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동시에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쳐 배신되는 방송 서비스가 있는 경우에는, 1개의 디바이스 위에 실장된 복수의 튜너에 의해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도 있으면, 1개의 튜너만 실장한 복수의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도 있다.
복수의 디바이스에 걸치는 경우에는, 그들 튜너 제어계끼리가, 최신의 SLS(S-TSID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시에 수신 처리가 필요한 방송 서비스를 적절히 선택 제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유스케이스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시간대 T1-T2의 배신 구성에서는, 서비스 2가, 2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에 걸쳐 배신되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과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1)를 동시에 수신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15에 도시한 시간대 T2-T3의 배신 구성에서는, 서비스 1이, 3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 bsid-3)에 걸쳐 배신되기 때문에, 그들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 bsid-3)을 동시에 수신할 필요가 있다.
본 기술에서는, 이들 튜너와, 각 튜너가 수신할 방송 서비스의 할당 제어로서의 매핑 관리를, UPnP(Universal Plug and Play)나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 등을 이용한 FW 프록시 장치(10) 사이의 메시징을 이용함으로써 실현한다.
또한, UPnP는, 디바이스를 접속하는 것만으로, 대상의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이다. 또한, SSDP는, UPnP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하나로,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의 탐색이나 응답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네트워크(30)에 접속된 복수의 FW 프록시 장치(10)의 사이에, 마스터·슬레이브 관계를 갖게 하여, 마스터·프록시 장치(10M)가, 각 FW 프록시 장치(10)에 대해서,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의 세그먼트 요구를, 적절하게 리다이렉션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FW 프록시 장치(10) 사이의 마스터·슬레이브 관계는, FW 프록시 장치(10)가 네트워크(30)에 추가될 때마다, 수동으로 설정해도 되거나, 혹은 FW 프록시 장치(10)끼리가, 예를 들어 각자의 능력 속성(처리 능력이나 스토리지 능력 등) 등에 따른 네고시에이션을 행함으로써 결정해도 된다.
마스터로 된 FW 프록시 장치(10)(마스터·프록시 장치(10M))는, 예를 들어UPnP의 SSDP 등에서 서비스 담당 범위를 조정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공개하고, 그 API를 통하여, 슬레이브가 된 FW 프록시 장치(10)(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에, 서비스 담당 범위를 할당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각FW 프록시 장치(10)에 서비스 담당 범위를 할당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하, '프록시-서비스 담당 범위 데이터베이스'라고 함)가 생성되고, FW 프록시 장치(10)마다, 서비스 담당 범위가 할당된다.
마스터·프록시 장치(10M)는,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의 세그먼트 요구 또는 애플리케이션 취득의 리퀘스트를 접수한 경우, 프록시-서비스 담당 범위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대상의 FW 프록시 장치(10)에, 적절하게 리다이렉션을 행한다. 그리고, 리다이렉션을 받은 각 FW 프록시 장치(10)는, 할당된 서비스 담당 범위 내에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을 취득한다.
단,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 있어서, 프록시-서비스 담당 범위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때, 최신의 SLT 메타데이터 또는 S-TSID 메타데이터를 파싱하여, 어떤 방송 서비스가, 복수의 ROUTE 세션으로 이루어지고, 그들 ROUTE 세션이 서로 다른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으로부터 제공되는 것이 검지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프록시-서비스 담당 범위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한다.
즉,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서는, 광대역 서비스 등의 방송 서비스가, 동시에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쳐 배신되는 경우에, 동시에 수신해야만 하는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이, 서로 다른 FW 프록시 장치(10)(튜너)에 분산되도록, 프록시-서비스 담당 범위 데이터베이스가 구성된다. 즉, 각 FW 프록시 장치(10)에서는, 1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만 받을 수 있는 튜너가 실장되어 있는 것이라 가정하여, 그들 튜너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의 동시 병행 수신 처리가 가능하도록, 프록시-서비스 담당 범위 데이터베이스가 구성된다.
이상의 처리의 흐름을 정리하면, 도 20의 흐름도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즉, 우선, 마스터·프록시 장치(10M) 또는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는, SLT 메타데이터 또는 S-TSID 메타데이터의 갱신에 의해 통지되는, 서로 다른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친 방송 서비스의 출현(또는 구성의 갱신)을 검지한다(S1).
다음으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는,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와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의 담당 서비스 담당 범위를 결정한다(S2). 여기에서는, 동시에 수신해야만 하는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이, 서로 다른 FW 프록시 장치(10)에 분산되도록, 프록시-서비스 담당 범위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는,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의 리퀘스트를 접수한 경우, 프록시-서비스 담당 범위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대상의 FW 프록시 장치(10)에 대해서, 리다이렉션을 행한다(S3). 이에 의해, 리다이렉션을 받은 각 FW 프록시 장치(10)에서는, 할당된 서비스 담당 범위 내에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을 취득하여, 네트워크(30)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송신하게 된다.
또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서는, 서로 다른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친 방송 서비스가 출현할 때마다, 동일한 네트워크(30) 내에서 가동하는 동일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를 공유하는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군의 각각이 담당하는 서비스 담당 범위의 재설정이 행해지고, 프록시-서비스 담당 범위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된다. 이에 의해, 동일한 방송 서비스가 배신되는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이 동시에 처리 가능하도록, 각각의 FW 프록시 장치(10)의 담당 범위가 할당된다.
여기서, SLT 메타데이터 또는 S-TSID 메타데이터의 갱신이 발생하고,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친 방송 서비스가 출현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FW 프록시 장치(10)의 서비스 담당 범위의 변경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배신 구성의 갱신이 발생하는 SLT 메타데이터 또는 S-TSID 메타데이터는, 공유되는 방송 서비스가 배신되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이 배신 구성의 변경을 검지한 FW 프록시 장치(10)가, 프록시-서비스 담당 범위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의 트리거를 걸 수 있게 된다.
이하의 예에서는, 2개의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10S-1, 10S-2)]에서는, 이미 서비스 담당 범위가 할당되어 있으며,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2)에 있어서, 수신 중인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으로부터 얻어지는 SLT 메타데이터 또는 S-TSID 메타데이터의 갱신이 검지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 배신 구성의 갱신의 검지는, 복수의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설명의 사정상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2)에서만, 배신 구성의 갱신이 검지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예에서도, 상술한 유스케이스와 마찬가지로, 어떤 시간축에서, 시각 T1, T2, T3이 순서대로 경과하는 경우에, 시간대 T1-T2와, 시간대 T2-T3에 있어서의 배신의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즉, 시간대 T1-T2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으로 되고, 시간대 T2-T3에서는, 도 15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으로 된다.
(시간대 T1-T2에 있어서의 BS-1의 구성)
도 21은, 시간대 T1-T2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에 흐르는 SLT 메타데이터와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의 SLT 메타데이터는, bsid 속성으로서, bsid=bsid-1이 지정되고, 서비스 루프 내에는, 2개의 방송 서비스가 배치된다.
SLT 메타데이터에 있어서, 2개의 방송 서비스 중, 한쪽의 방송 서비스가, 서비스 ID로서, serviceId=svc-1이 지정되는 서비스 1이며, BroadcastSvcSignaling 요소의 slsDestinationIpAddress 속성으로서, dIpAddr-svc-1인 서비스 1의 SLS(SLS-svc-1)의 송신처 IP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이 서비스 1의 SLS(SLS-svc-1)로서 전송되는 S-TSID 메타데이터는, 서비스 1(svc-1)이, 1개의 ROUTE 세션(dIpAddr-svc-1)으로 구성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SLT 메타데이터에 있어서, 2개의 방송 서비스 중, 다른 쪽의 방송 서비스가, 서비스 ID로서, serviceId=svc-2가 지정되는 서비스 2이며, BroadcastSvcSignaling 요소의 slsDestinationIpAddress 속성으로서, dIpAddr-svc-2인 서비스 2의 SLS(SLS-svc-2)의 송신처 IP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이 서비스 2의 SLS(SLS-svc-2)로서 전송되는 S-TSID 메타데이터는, 서비스 2(svc-2)가, 2개의 ROUTE 세션(dIpAddr-svc-2)으로 구성되며, 한쪽의 ROUTE 세션이, bsid=bsid-1을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을 통해 전송되고, 다른 쪽의 ROUTE 세션이, bsid=bsid-2를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을 통해 전송됨을 나타내고 있다.
(시간대 T1-T2에 있어서의 BS-2의 구성)
도 22는, 시간대 T1-T2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에 흐르는 SLT 메타데이터와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SLT 메타데이터는, bsid 속성으로서, bsid=bsid-2가 지정되고, 서비스 루프 내에는, 단일 방송 서비스가 배치된다. 이 방송 서비스는, 서비스 ID로서, serviceId=svc-2가 지정되는 서비스 2이며, dIpAddr-svc-2인 서비스 2의 SLS(SLS-svc-2)의 송신처 IP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이 서비스 2의 SLS(SLS-svc-2)로서 전송되는 S-TSID 메타데이터는, 서비스 2(svc-2)가, 2개의 ROUTE 세션(dIpAddr-svc-2)으로 구성되며, 한쪽의 ROUTE 세션이, bsid=bsid-1을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을 통해 전송되고, 다른 쪽의 ROUTE 세션이, bsid=bsid-2를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를 통해 전송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1과 도 22의 서비스 2의 SLS(SLS-svc-2)의 내용은, 공통의 내용으로 된다.
(시간대 T1-T2에 있어서의 BS-3의 구성)
도 23은, 시간대 T1-T2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3(bsid-3)에 흐르는 SLT 메타데이터와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3(bsid-3)의 SLT 메타데이터는, bsid 속성으로서, bsid=bsid-3이 지정되고, 서비스 루프 내에는, 단일 방송 서비스가 배치된다. 이 방송 서비스는, 서비스 ID로서, serviceId=svc-3이 지정되는 서비스 3이며, dIpAddr-svc-3인 서비스 3의 SLS(SLS-svc-3)의 송신처 IP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이 서비스 3의 SLS(SLS-svc-3)로서 전송되는 S-TSID 메타데이터는, 서비스 3(svc-3)이, 1개의 ROUTE 세션으로 구성됨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도 11에 도시한 시간대 T1-T2에 있어서의 배신의 구성에서의 각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 bsid-3)에 흐르는 SLT 메타데이터와 S-TSID 메타데이터의 내용을 예시하였다. 다음으로,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도 15에 도시한 시간대 T2-T3에 있어서의 배신의 구성에서의 각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 bsid-3)에 흐르는 SLT 메타데이터와 S-TSID 메타데이터의 내용을 예시한다.
(시간대 T2-T3에 있어서의 BS-1의 구성)
도 24는, 시간대 T2-T3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에 흐르는 SLT 메타데이터와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의 SLT 메타데이터는, bsid 속성으로서, bsid=bsid-1이 지정되고, 서비스 루프 내에는, 단일 방송 서비스가 배치된다. 이 방송 서비스는, 서비스 ID로서, serviceId=svc-1이 지정되는 서비스 1이며, BroadcastSvcSignaling 요소의 slsDestinationIpAddress 속성으로서, dIpAddr-svc-1인 서비스 1의 SLS(SLS-svc-1)의 송신처 IP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이 서비스 1의 SLS(SLS-svc-1)로서 전송되는 S-TSID 메타데이터는, 서비스 1(svc-1)이, 3개의 ROUTE 세션(dIpAddr-svc-1)으로 구성됨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24의 S-TSID 메타데이터에 있어서는, 첫 번째 ROUTE 세션 1-1(dIpAddr-svc-1)이, bsid=bsid-1을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또한, 두 번째의 ROUTE 세션 2-1(dIpAddr-svc-1)이, bsid=bsid-2를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를 통해 전송되고, 세 번째 ROUTE 세션 3-1(dIpAddr-svc-1)이, bsid=bsid-3을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3을 통해 전송됨을 나타내고 있다.
(시간대 T2-T3에 있어서의 BS-2의 구성)
도 25는, 시간대 T2-T3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에 흐르는 SLT 메타데이터와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SLT 메타데이터는, bsid 속성으로서, bsid=bsid-2가 지정되고, 서비스 루프 내에는, 단일 방송 서비스가 배치된다. 이 방송 서비스는, 서비스 ID로서, serviceId=svc-1이 지정되는 서비스 1이며, dIpAddr-svc-1인 서비스 1의 SLS(SLS-svc-1)의 송신처 IP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이 서비스 1의 SLS(SLS-svc-1)로서 전송되는 S-TSID 메타데이터는, 서비스 1(svc-1)이, 3개의 ROUTE 세션(dIpAddr-svc-1)으로 구성됨을 나타내고 있다. 도 25의 서비스 1의 SLS(SLS-svc-1)의 내용은, 도 24의 서비스 1의 SLS(SLS-svc-1)의 내용과 공통의 내용으로 되고, 서비스 1을 구성하는 3개의 ROUTE 세션이,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 bsid-3)으로 구성됨을 나타내고 있다.
(시간대 T2-T3에 있어서의 BS-3의 구성)
도 26은, 시간대 T2-T3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3(bsid-3)에 흐르는 SLT 메타데이터와 S-TSID 메타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에 있어서, SLT 메타데이터는, bsid 속성으로서, bsid=bsid-3이 지정되고, 서비스 루프 내에는, 단일 방송 서비스가 배치된다. 이 방송 서비스는, 서비스 ID로서, serviceId=svc-1이 지정되는 서비스 1이며, dIpAddr-svc-1인 서비스 1의 SLS(SLS-svc-1)의 송신처 IP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이 서비스 1의 SLS(SLS-svc-1)로서 전송되는 S-TSID 메타데이터는, 서비스 1(svc-1)이, 3개의 ROUTE 세션으로 구성됨을 나타내고 있다. 도 26의 서비스 1의 SLS(SLS-svc-1)의 내용은, 도 24 및 도 25의 서비스 1의 SLS(SLS-svc-1)의 내용과 공통의 내용으로 되고, 서비스 1을 구성하는 3개의 ROUTE 세션이,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 bsid-3)으로 구성됨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도 11에 도시한 시간대 T1-T2에 있어서의 배신의 구성과, 도 15에 도시한 시간대 T2-T3에 있어서의 배신의 구성에서는, 시간대마다 배신의 구성이 변화하고 있지만, 그것에 수반하여, SLT 메타데이터와 S-TSID 메타데이터가 갱신되고, 그 내용이 변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간대 T1-T2와 시간대 T2-T3에서, 배신의 구성이 변화하면, SLT 메타데이터와 S-TSID 메타데이터의 내용은,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한 내용으로부터,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한 내용으로 갱신되게 된다.
그리고 , 예를 들어 네트워크(30)에 접속된 FW 프록시 장치(10) 중,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2)가, 이 SLT 메타데이터 또는 S-TSID 메타데이터의 갱신을 검지하였음을,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 통지함으로써,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서는, 그 통지를 트리거로서, 프록시-서비스 담당 범위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게 된다.
(SLT 또는 S-TSID의 갱신 시의 서비스 담당 범위의 할당 처리)
다음으로, 도 2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SLT 메타데이터 또는 S-TSID 메타데이터의 갱신이 검지된 경우에 있어서의 서비스 담당 범위의 할당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단, 도 27의 설명에서는,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와,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1, 10S-2)의 사이에서, 마스터·슬레이브 관계가 성립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슬레이브 프록시(161)로서,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1)에서 가동하는 것을, 슬레이브 프록시(161-1)(도면 중에서는 「슬레이브 프록시 1」이라고 약기함)라고 칭하는 한편,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2)에서 가동하는 것을, 슬레이브 프록시(161-2)(도면 중에서는 「슬레이브 프록시 2」라고 약기함)라고 칭하여, 구별하기로 한다.
또한, 도 27에 있어서, 스텝 S101 내지 S106의 처리는,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 의해 실행된다. 한편, 스텝 S111 내지 S114의 처리는,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1)에 의해 실행되고, 스텝 S121 내지 S126의 처리는,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2)에 의해 실행된다.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2)에 있어서, SLT 메타데이터 또는 S-TSID 메타데이터의 갱신이 검지되면(S121), 스텝 S122에 있어서, 슬레이브 프록시(161-2)는, 마스터 프록시(111)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서, 통신 I/F(152)를 통해 네트워크(30)에 접속된 디바이스에 대해서, 존재 확인용 메시지를, 멀티캐스트로 송신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와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2)의 사이에서는, 마스터·슬레이브 관계가 성립되어 있기 때문에,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2)에서는, 마스터·프록시 장치(10M)는 기지이지만, 굳이 모르는 것처럼 행동함으로써,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2)가 네트워크(30)에 신규로 추가되는 경우와, 동일한 처리 시퀀스로 할 수 있다.
스텝 S101, S102에 있어서, 마스터 프록시(111)는, 멀티캐스트로 송신되어 오는 메시지에 따라서, 설정 관리 API를 생성하고, 네트워크(30)를 통해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1)와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2)에 통지(재통지)한다.
스텝 S123에 있어서, 슬레이브 프록시(161-2)는,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으로부터의 통지에 따라서, 튜너(151)를 제어하여, 방송 서비스의 스캔을 행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튜너(151)에 의해 초기 스캔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LLS로서 전송되는 SLT 메타데이터 등으로부터,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2)에 의해 수신 가능한 방송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스캔 결과가 얻어진다.
이때, 슬레이브 프록시(161-1)가 가동하는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1)에서는, 마스터·프록시 장치(10M)로부터의 통지에 따라서, 방송 서비스의 재스캔이 행해지고, 서비스 스캔 결과가 얻어진다(S111). 또한, 마스터 프록시(111)가 가동하는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 있어서도, 방송 서비스의 재스캔이 행해지고, 서비스 스캔 결과가 얻어진다(S103).
단,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2)가 서비스 스캔을 행하는 타이밍에,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와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1)에 의한 서비스 스캔을 행할지 여부는, 임의이다.
슬레이브 프록시(161-2)는, 방송 서비스의 스캔(S123)이 종료되었을 때, 마스터 프록시(111)에 대해서, 당해 서비스 스캔 결과의 통지와, 서비스 담당 범위의 요구를 행한다(S124, S125).
마찬가지로, 슬레이브 프록시(161-1)는, 방송 서비스의 스캔(S111)이 종료되었을 때, 마스터 프록시(111)에 대해서, 당해 서비스 스캔 결과의 통지와, 서비스 담당 범위의 요구를 행한다(S112, S113).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1, 10S-2)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스캔 결과와 서비스 담당 범위 리퀘스트는,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 의해 수신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마스터 프록시(111)는, 서비스 스캔 결과에 기초하여, 서비스 담당 범위를 결정한다.
여기에서는, 서비스 스캔 결과로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 자신의 서비스 스캔 결과, 기존의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1)의 서비스 스캔 결과, 및 신규의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2)의 서비스 스캔 결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마스터 프록시(111)에서는, 이들 서비스 스캔 결과를 이용하여, 배신 구성 정보나 우선도 정보에 따라서, 각 FW 프록시 장치(10)의 서비스 담당 범위를 결정한다.
단, 배신 구성 정보는, 예를 들어 최신의 SLT 메타데이터나 S-TSID 메타데이터의 파싱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단일의 방송 서비스(광대역 서비스 등)가,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쳐 배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우선도 정보는, 예를 들어 최신의 S-TSID 메타데이터의 파싱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ROUTE 세션 간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광대역 서비스 등의 방송 서비스가,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쳐 배신되는 경우에 있어서, 동시에 수신할 필요가 있는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이, 서로 다른 FW 프록시 장치(10)(튜너)에 분산되도록, 각 FW 프록시 장치(10)(마스터 프록시(111)나 슬레이브 프록시(161-1, 161-2))와, 서비스 담당 범위를 대응지은 프록시-서비스 담당 범위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고, 기억부(103)에 기억된다.
또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서는, 프록시-서비스 담당 범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때, S-TSID 메타데이터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배신 구성 정보나 우선도 정보 외에, 미리 정해진 각종 폴리시(규칙)를 가미하여, FW 프록시 장치(10)에 대해서, 서비스 담당 범위가 할당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폴리시로서는, 예를 들어 복수의 FW 프록시 장치(10)에 대해서, 대상의 에어리어 내에서 수신 가능한 전체 방송 서비스를 기계적으로 할당하거나, 혹은, 엔드 유저의 시청 이력을 고려하여, 액세스 빈도가 높은 방송 서비스군이 우선적으로 부하 분산되도록 할당할 수 있다. 나아가, 방송 서비스(채널)의 재핑의 고속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동시에 수신 가능한 방송 서비스군을 통합하는 등, 다양한 규칙을 선택할 수 있다.
스텝 S105에 있어서, 마스터 프록시(111)는, 슬레이브 프록시(161-1)와 슬레이브 프록시(161-2)에 대해서, 스텝 S104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서비스 담당 범위를 통지한다.
슬레이브 프록시(161-2)가 가동하는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2)에서는,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으로부터의 서비스 담당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튜너(151)를 제어하여, 자신의 담당 범위의 방송 서비스의 튜닝 준비가 행해진다(S126).
마찬가지로, 슬레이브 프록시(161-2)가 가동하는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1)에 있어서도, 마스터·프록시 장치(10M)로부터의 서비스 담당 범위 정보에 따른 자신의 담당 범위의 방송 서비스의 튜닝 준비가 행해진다(S114). 또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 있어서도, 자신의 담당 범위의 방송 서비스의 튜닝 준비가 행해진다(S106).
이와 같이 하여, 네트워크(30)에 접속된 각 FW 프록시 장치(10)에서는, 자신의 담당 범위의 방송 서비스의 튜닝 준비가 완료하여,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의 DASH 세그먼트의 리퀘스트에 대해서, 네트워크(30) 내의 적절한 FW 프록시 장치(10)가 대응하게 된다.
여기서, 도 28 내지 도 31에는, 서비스 담당 범위의 할당의 보다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예에서도, 상술한 유스케이스와 마찬가지로, 어떤 시간축에서, 시각 T1, T2, T3이 순서대로 경과할 경우에, 시간대 T1-T2와, 시간대 T2-T3에 있어서의 배신의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즉, 시간대 T1-T2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으로 되고, 시간대 T2-T3에서는, 도 15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으로 된다.
(시간대 T1-T2에 있어서의 서비스 담당 범위의 할당)
도 28은, 시간대 T1-T2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 bsid-3)과 FW 프록시 장치(10)의 매핑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에는, 도 11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 서비스 스캔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네트워크(30)에 접속된 FW 프록시 장치(10)로 수신 가능한 방송 서비스로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의 서비스 1(svc-1) 및 서비스 2.1(svc-2)과,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서비스 2.2(svc-2)와,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3(bsid-3)의 서비스 3(svc-3)이 스캔되어 있다.
또한, 서비스 2.1과 서비스 2.2는,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에 걸쳐 배신되는 동일한 서비스 2(svc-2)이다.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서 가동하는 마스터 프록시(111)는, 이들 서비스 스캔 결과에 기초하여, 마스터 프록시(111)와 슬레이브 프록시(161)가 담당하는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를 결정한다.
여기서, 도 28의 예에서는, 스캔된 방송 서비스 중, 서비스 1과 서비스 2.1이, 마스터 프록시(111)의 서비스 담당 범위에 할당되고, 서비스 2.2가, 슬레이브 프록시(161-1)의 서비스 담당 범위에 할당되며, 서비스 3이, 슬레이브 프록시(161-2)의 서비스 담당 범위에 할당되어 있다.
즉, 도 28의 예에서는, 서비스 2(svc-2)가,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과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에 걸쳐 배신되며, 또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와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1)의 동시 가동이 항상 보증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서비스 2(svc-2) 중 서비스 2.1이,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서 가동하는 마스터 프록시(111)에 할당되고, 서비스 2.2가,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1)에서 가동하는 슬레이브 프록시(161-1)에 할당된다.
또한,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2)는, 예를 들어 전원이 끊길 가능성이 있는 등, 항상 동시 가동이 보증되지 않는 FW 프록시 장치(10)이기 때문에, 단독의 방송 서비스로서 제공되는 서비스 3은,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2)에서 가동하는 슬레이브 프록시(161-2)에 할당된다.
(시간대 T2-T3에 있어서의 서비스 담당 범위의 할당)
도 29는, 시간대 T2-T3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 bsid-3)과 FW 프록시 장치(10)의 매핑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에는, 도 15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 서비스 스캔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네트워크(30)에 접속된 FW 프록시 장치(10)로 수신 가능한 방송 서비스로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의 서비스 1.1(svc-1)과,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서비스 1.2(svc-1)와,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3(bsid-3)의 서비스 1.3(svc-1)이 스캔되어 있다.
또한, 서비스 1.1과, 서비스 1.2와, 서비스 1.3은,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 bsid-3)에 걸쳐 배신되는 동일한 서비스 1(svc-1)이다.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서 가동하는 마스터 프록시(111)는, 이들 서비스 스캔 결과에 기초하여, 마스터 프록시(111)와 슬레이브 프록시(161)가 담당하는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를 결정한다.
여기서, 도 29의 예에서는, 스캔된 방송 서비스 중, 서비스 1.1이, 마스터 프록시(111)의 서비스 담당 범위에 할당되고, 서비스 1.2가, 슬레이브 프록시(161-1)의 서비스 담당 범위에 할당되며, 서비스 1.3이, 슬레이브 프록시(161-2)의 서비스 담당 범위에 할당되어 있다.
즉, 도 29의 예에서는, 서비스 1(svc-1)이, 3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 bsid-3)에 걸쳐 배신되며, 또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와,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1, 10S-2)의 동시 가동이 항상 보증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서비스 1(svc-1) 중 서비스 1.1이,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서 가동하는 마스터 프록시(111)에 할당되고, 서비스 1.2가,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1)에서 가동하는 슬레이브 프록시(161-1)에 할당되고, 서비스 1.3이,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2)에서 가동하는 슬레이브 프록시(161-2)에 할당된다.
(프록시 수의 제한과 우선도 지정이 있는 경우의 시간대 T2-T3에 있어서의 서비스 담당 범위의 할당)
도 30은, 동시 수신 가능한 FW 프록시 장치(10)의 수에 제한이 있으며, 또한, ROUTE 세션 간에 서로 다른 우선도 지정이 있는 경우에, 시간대 T2-T3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 bsid-3)과 FW 프록시 장치(10)의 매핑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에는, 도 15에 도시한 배신의 구성 서비스 스캔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네트워크(30)에 접속된 FW 프록시 장치(10)로 수신 가능한 방송 서비스로서, 도 29와 마찬가지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의 서비스 1.1(svc-1)과,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서비스 1.2(svc-1)와,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3(bsid-3)의 서비스 1.3(svc-1)이 스캔되어 있다.
또한, 서비스 1.1과, 서비스 1.2와, 서비스 1.3은,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 bsid-3)에 걸쳐 배신되는 동일한 서비스 1(svc-1)이며, 예를 들어 서비스 1.1은, 베이스 레이어의 스트림을 전송하는 ROUTE 세션을 포함하고, 서비스 1.2와 서비스 1.3은, 인핸스 레이어의 스트림을 전송하는 ROUTE 세션을 포함하고 있다.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서 가동하는 마스터 프록시(111)는, 이들 서비스 스캔 결과에 기초하여, 마스터 프록시(111)와 슬레이브 프록시(161)가 담당하는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를 결정한다.
여기서, 도 30의 예에서는, 네트워크(30)에,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와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1)만이 접속되고, 동시 수신 가능한 FW 프록시 장치(10)의 수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ROUTE 세션 간의 우선도에 따라서, 마스터 프록시(111)와 슬레이브 프록시(161)가 담당하는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가 결정된다.
즉, 도 30의 예에서는, 서비스 1(svc-1)이, 3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 bsid-3)에 걸쳐 배신되어 있지만, 1개의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와, 1개의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1)의 구성이기 때문에, 모든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을 수신할 수 없다.
한편,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와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1)는, 동시 가동이 항상 보증되어 있다. 또한, 이때,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S-TSID 메타데이터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과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3(bsid-3)의 ROUTE 세션에는, priority=high인 우선도가 지정되는 한편,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ROUTE 세션에는, priority=low인 우선도가 지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마스터 프록시(111)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 3과 비교하여,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ROUTE 세션의 우선도가 낮기 때문에, FW 프록시 장치(10)가 2개라는 구성에서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 3(의 서비스 1.1과 서비스 1.3)을 우선적으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서 가동하는 마스터 프록시(111)와,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1)에서 가동하는 슬레이브 프록시(161)에 할당한다. 즉, ROUTE 세션 간의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에 대해서는, 동시 수신 처리를 행하는 슬레이브 프록시(161)가 할당되지 않는다.
또한, 마스터 프록시(111)는, 네트워크(3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 서비스 1.2의 세그먼트 리퀘스트를 받는 경우, 항상, 서비스 1.2의 수신 처리를 보증할 수는 없기 때문에, 예를 들어 당해 세그먼트를, 통신 경유로 취득하게 된다. 이 통신 경유에서의 배신에 대응한 구성은, 도 50에 나타내고 있다. 또한, 통신 경유에서의 배신을 수신하는 것은, 마스터 프록시(111)가 가동하는 마스터·프록시 장치(10M)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나 클라이언트 장치(20) 자신이 수신해도 된다.
이상, SLT 메타데이터 또는 S-TSID 메타데이터의 갱신이 검지된 경우에서의 서비스 담당 범위의 할당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세그먼트 리퀘스트의 리다이렉션 처리)
다음으로, 도 3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세그먼트 리퀘스트의 리다이렉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32의 설명에서는,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와, 1개의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가 존재하는 네트워크(30)에 대해서, 클라이언트 장치(20)가 접속하고, 당해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의해, 방송 경유로 배신되는 콘텐츠의 재생이 지시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즉, 도 32의 세그먼트 리퀘스트의 리다이렉션의 처리는,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 서비스 담당 범위의 할당 처리의 후에 행해지는 처리이다. 단,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32의 설명에서는,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가 1개만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도 32에 있어서, 스텝 S141 내지 S145의 처리는,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의해 실행된다. 한편, 스텝 S142, S151 내지 S152의 처리는,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 의해 실행되고, 스텝 S161 내지 S164의 처리는,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에 의해 실행된다.
도 32에 있어서는, 클라이언트 장치(20)가, 네트워크(30)에 접속되면 (S141), 당해 클라이언트 장치(20)와,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의 사이에서, 마스터 프록시 설정 처리가 행해진다(S142). 이 마스터 프록시 설정 처리에서는, 클라이언트 장치(20)와,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서 가동하는 마스터 프록시(111) 사이의 접속이 확립된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20)가,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서 가동하는 마스터 프록시(111)를 발견·접속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WPAD(Web Proxy Auto Discovery)를 사용하는 방법 등, 몇 가지 방법이 상정되지만, 그들 방법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 접속이 확립되게 된다.
스텝 S143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211)은, 마스터 프록시(111)에 대해서, 서비스-MPD 테이블을 요구한다.
스텝 S143의 처리에서,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MPD 테이블의 리퀘스트는, 네트워크(30)를 통해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 의해 수신된다.
스텝 S151에 있어서, 마스터 프록시(111)는,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 수신된 테이블의 리퀘스트에 따라서, 서비스-MPD 테이블을 생성하고, 리스폰스로서, 네트워크(30)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응답한다.
여기서, 서비스-MPD 테이블은, 방송 서비스와 MPD 메타데이터를 대응지은 테이블이다. 서비스-MPD 테이블은, SLS로부터 생성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서비스-MPD 테이블이 마스터 프록시(111)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서비스-MPD 테이블은, SLS 처리계(113)에 의해 생성되도록 해도 된다.
스텝 S151의 처리에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MPD 테이블은, 네트워크(30)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의해 수신된다.
스텝 S144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211)은, 마스터·프록시 장치(10M)로부터 수신된 서비스-MPD 테이블을 참조하여, 원하는 방송 서비스에 대응한 MPD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마스터 프록시(111)에 대해서 DASH 세그먼트를 요구한다.
스텝 S144의 처리에서,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의해 송신되는 DASH 세그먼트의 리퀘스트는, 네트워크(30)를 통해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 의해 수신된다.
스텝 S152에 있어서, 마스터 프록시(111)는,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 수신된 DASH 세그먼트의 리퀘스트에 대한 슬레이브 프록시(161)에 대한 배당을, 프록시-서비스 담당 범위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른 리다이렉션을 행한다.
이에 의해, 마스터 프록시(111)에 의해, 클라이언트 장치(20)(의 애플리케이션(211))로부터의 DASH 세그먼트의 리퀘스트가, 적절한 슬레이브 프록시(161)에 대해서, 리다이렉션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리다이렉션되는 DASH 세그먼트의 리퀘스트가, 마스터 프록시(111)로부터 슬레이브 프록시(161)에 대해서 직접 통지되는 것으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도 32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터 프록시(111)로부터 클라이언트 장치(20)를 경유하여, 말하자면 간접적으로, 슬레이브 프록시(161)에 통지된다.
스텝 S152의 처리에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 의해 리다이렉션된 DASH 세그먼트의 리퀘스트는, 적절하다고 판단된 슬레이브 프록시(161)가 가동되어 있는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에 의해 수신된다.
스텝 S162에 있어서, 슬레이브 프록시(161)는, 사전 서비스 튜닝을 행하고 있는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에 있어서는, 리소스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담당 범위의 방송 서비스에 대하여, 사전에 서비스 튜닝을 행할 수 있다(S161).
여기에서는, 스텝 S161의 처리에서, 리소스에 여유가 없고, 사전 서비스 튜닝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162의 판정 처리에서, 「아니오」라고 판정되고, 처리는, 스텝 S163으로 진행된다.
스텝 S163에 있어서, 슬레이브 프록시(161)는, 마스터·프록시 장치(10M)로부터 수신된 DASH 세그먼트의 리퀘스트에 기초하여, 튜너(151)를 제어하여, 방송 서비스의 튜닝을 행한다. 이에 의해, DASH 세그먼트의 리퀘스트에 따른 DASH 세그먼트 파일이, 방송 서버(40)로부터 방송 경유로 취득된다.
한편, 상술한 스텝 S161의 처리에서, 리소스에 여유가 있고, 사전 서비스 튜닝이 행해지고 있던 경우에는, 방송 서버(40)로부터 방송 경유로 얻어지는, 담당 범위의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은 전개 완료이므로, 스텝 S163의 처리는 스킵된다. 이 경우, 전개 완료의 스트림으로부터, DASH 세그먼트의 리퀘스트에 따른 DASH 세그먼트 파일이 취득된다.
DASH 세그먼트 파일이 취득되면, 처리는 스텝 S164로 진행된다. 스텝 S164에 있어서, 슬레이브 프록시(161)는, 방송 서버(40)로부터 수신된 DASH 세그먼트 파일을, 통신 I/F(102)를 통해 네트워크(3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응답한다.
스텝 S164의 처리에서,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에 의해 송신(전송)되는 DASH 세그먼트 파일은, 네트워크(30)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의해 수신된다.
클라이언트 장치(20)에서는, 브라우저(212)에 의해,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로부터 수신된 DASH 세그먼트 파일이 재생된다(S145). 이에 의해,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있어서는, 방송 경유로 배신된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가 재생되게 된다.
이상, 세그먼트 리퀘스트의 리다이렉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송신측의 처리)
다음으로, 도 3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송신측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스텝 S201에 있어서, 컴포넌트 처리부(401)는,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데이터에 대해서, 스케일러블 부호화 등의 부호화 처리 등이 행해진다.
스텝 S202에 있어서, 제어 정보 생성부(402)는, 상위층의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에서는, 상위층의 제어 정보로서, LLS나 SLS 등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방송 서비스가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쳐 배신되는 경우에는, 배신 구성 정보나 우선도 정보 등의 정보가, SLS의 S-TSID 메타데이터에 포함된다.
스텝 S203에 있어서, ESG 생성부(403)는, ESG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방송 서비스가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쳐 배신되는 경우에는, 배신 구성 정보가, ESG 정보의 스케줄 프래그먼트에 포함된다. 또한, ESG 정보의 상세는, 도 34 내지 도 4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 S204에 있어서, 멀티플렉서(404)는, 스텝 S201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컴포넌트의 스트림과, 스텝 S202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상위층의 제어 정보의 스트림과, 스텝 S203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ESG 정보의 스트림을 다중화한다. 또한, 스텝 S204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405)는, 다중화의 결과 얻어지는 다중화 스트림을 처리하여, 소정의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전송 데이터를 생성한다.
스텝 S205에 있어서, 송신부(406)는, 스텝 S204의 처리에서 얻어지는 전송 데이터를, 전용선을 통하여, 송신소(50)의 송출 설비에 송신한다. 그리고, 송신소(50) 내의 송출 설비는, 방송 서버(40)로부터의 전송 데이터에 대해서 필요한 처리(변조 처리 등)를 실시함으로써, 그 결과 얻어지는 방송 신호가 송신된다.
이상, 송신측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6. ESG에 의한 엔드 유저에 대한 통지>
그런데,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친 단일의 방송 서비스의 존재는, SLS에 의해 통지되지만(시그널되지만), SLS는, 당해 서비스가 개시되기 직전에 배신되기 때문애, 예를 들어 수분 전, 수 시간 전, 혹은 수 시간 전에, 수신측에서, 이러한 방송 서비스의 존재를 알 수 없다. 이 사전 주지를 위해서, ESG(Electronic Service Guide)가 있다.
예를 들어, ATSC 3.0에 있어서의 ESG는, 하나의 서비스로서 제공되게 되어 있으며, 당해 ESG 서비스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SLT 메타데이터의 서비스 엔트리 중에서, 서비스 카테고리가, ESG 서비스로 되는 것을 찾음으로써 취득한다. 또한, SLT 메타데이터의 상세는, 하기 비특허문헌 2의 「Table 6.2 SLT XML Format」에 기술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2: ATSC Candidate Standard: Signaling, Delivery, Synchronization, and Error Protection(A/331)
1) 제1 배신 구성의 경우인 ESG 서비스의 구성
우선, 제1 배신 구성의 경우인 ESG 서비스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1 배신 구성에서는, 독립된 2개의 방송 서비스(Service-1, Service-2)의 ROUTE 세션(RouteSession-1-1, RouteSession-1-2)이,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로 전송되는 구성으로 된다.
(제1 배신 구성의 ESG 서비스의 구성예)
도 34는, 제1 배신 구성의 경우인 ESG 서비스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로서, bsid=bsid-1을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은, 3개의 ROUTE 세션(RouteSession-1-1, RouteSession-1-2, RouteSession-1-esg)으로 이루어진다. 2개의 방송 서비스(Service-1, Service-2)는, ROUTE 세션 1-1(dIpAddr-svc-1)과 ROUTE 세션 1-2(dIpAddr-svc-2)로 각각 운반되고, 각각의 방송 서비스(svc-1, svc-2)는, 시간 방향으로, 복수의 프로그램(Content)으로 이루어진다.
도 34에 있어서는, 도면 중의 좌측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을 시간의 방향으로 했을 때, 서비스 1(svc-1)에서는, 시각 t1 내지 시각 t2의 사이에는, 콘텐츠 1-1(cnt-1-1)이 배신되고, 시각 t2 이후에는, 콘텐츠 1-2(cnt-1-2)가 배신된다. 또한, 서비스 2(svc-2)에서는, 시각 t1 내지 시각 t2의 사이에는, 콘텐츠 2-1(cnt-2-1)이 배신되고, 시각 t2 이후에는 콘텐츠 2-2(cnt-2-2)가 배신된다.
이들 각 방송 서비스의 프로그램 편성은, 그들 방송 서비스와 동일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의 ROUTE 세션 1-esg(dIpAddr-svc-esg-1)로 전송되는 ESG 서비스(svc-esg-1)에 의해, 수신측에 통지된다. 이 ESG 서비스에서는, 복수의 ESG XML 프래그먼트 파일이, 말하자면 캐러셀(Carousel)에 의한 전송과 같이 전송된다.
여기서, ESG 서비스의 각 XML 프래그먼트는, 서비스(Service), 콘텐츠(Content), 및 스케줄(Schedule) 등의 기술하는 대상의 내용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갖고 있다. ESG 서비스의 ROUTE 세션 1-esg(dIpAddr-svc-esg-1)의 LCT 세션에는, 서비스, 콘텐츠, 및 스케줄의 XML 프래그먼트가, ESG 정보로서, 당해 서비스(프로그램)가 배신되는 수일 내지 수주일 전에 배신된다.
여기에서는, 다음 XML 프래그먼트가 ESG 정보에 포함된다. 즉, 제1 배신 구성의 경우, 서비스 1(Service-1), 서비스 2(Service-2), 콘텐츠 1-1(Content-1-1), 콘텐츠 1-2(Content-1-2), 콘텐츠 2-1(Content-2-1), 콘텐츠 2-2(Content-2-2), 스케줄 1-1(Schedule-1-1), 스케줄 1-2(Schedule-1-2), 스케줄 2-1(Schedule-2-1), 및 스케줄 2-2(Schedule-2-2)의 XML 프래그먼트가, ESG 정보로서 배신된다.
(XML 프래그먼트의 관계)
도 35는, 제1 배신 구성의 경우인 서비스, 콘텐츠, 및 스케줄의 XML 프래그먼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의 상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ServiceFragment-1.xml에는, 서비스명 등의 Service-1의 속성이 기술된다.
ContentFragment-1-1.xml에는, 프로그램명 등의 Content-1-1의 속성이 기술된다. 또한, ContentFragment-1-2.xml에는, 프로그램명 등의 Content-1-2의 속성이 기술된다. 또한, Content-1-1과 Content-1-2의 XML 프래그먼트는, Service-1의 XML 프래그먼트에 관련지어진다.
ScheduleFragment-1-1.xml에는, Content-1-1의 개시 시각 t1 등의 Schedule-1-1의 스케줄 속성이 기술된다. 또한, ScheduleFragment-1-2.xml에는, Content-1-2의 개시 시각 t2 등의 Schedule-1-2의 스케줄 속성이 기술된다.
또한, Schedule-1-1과 Schedule-1-2의 XML 프래그먼트는, Service-1의 XML 프래그먼트에 관련지어진다. 또한, Schedule-1-1의 XML 프래그먼트는, Content-1-1의 XML 프래그먼트에 관련지어지고, Schedule-1-2의 XML 프래그먼트는, Content-1-2의 XML 프래그먼트에 관련지어진다.
여기서, 도 36에는, ServiceFragment-1, ContentFragment-1-1/-1-2, ScheduleFragment-1-1/-1-2의 XML 인스턴스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ServiceFragment-1.xml에는, Service 요소의 Name 요소에 의해, 서비스명으로서, Service-1이 지정되어 있다.
ContentFragment-1-1.xml에는, Content 요소의 Name 요소에 의해, 프로그램명으로서, Content-1-1이 지정된다. 또한, ContentFragment-1-2.xml에는, Content 요소의 Name 요소에 의해, 프로그램명으로서, Content-1-2가 지정된다.
또한, ContentFragment-1-1.xml과, ContentFragment-1-2.xml에서는, ServiceReference 요소의 idRef 속성의 값이, ServiceFragment-1.xml의 Service 요소의 id 속성의 값과 관련지어져 있다.
ScheduleFragment-1-1.xml에는, PresentationWindow 요소의 startTime 속성과 endTime 속성에 의해, Content-1-1의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이 지정된다. 이 예에서는, startTime 속성에 의해, Content-1-1의 개시 시각 t1로서, "2016-02-17T12:00:00+00:00"이 지정되고, endTime 속성에 의해, Content-1-1의 종료 시각 t2로서, "2016-02-17T12:30:00+00:00"이 지정된다.
ScheduleFragment-1-2.xml에는, PresentationWindow 요소의 startTime 속성과 endTime 속성에 의해, Content-1-2의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이 지정된다. 이 예에서는, startTime 속성에 의해, Content-1-2의 개시 시각 t2로서, "2016-02-17T12:30:00+00:00"이 지정되고, endTime 속성에 의해, Content-1-2의 종료 시각으로서, "2016-02-17T12:45:00+00:00"이 지정된다.
또한, ScheduleFragment-1-1.xml과, ScheduleFragment-1-2.xml에서는, ServiceReference 요소의 idRef 속성의 값이, ServiceFragment-1.xml의 Service 요소의 id 속성의 값과 관련지어져 있다. 또한, ScheduleFragment-1-1.xml에서는, ContentReference 요소의 idRef 속성의 값이, ContentFragment-1-1.xml의 Content 요소의 id 속성의 값과 관련지어져 있다. 또한, ScheduleFragment-1-2.xml에서는, ContentReference 요소의 idRef 속성의 값이, ContentFragment-1-2.xml의 Content 요소의 id 속성의 값과 관련지어져 있다.
도 35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도 35의 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ServiceFragment-2.xml에는, 서비스명 등의 Service-2의 속성이 기술된다.
ContentFragment-2-1.xml에는, 프로그램명 등의 Content-2-1의 속성이 기술된다. 또한, ContentFragment-2-2.xml에는, 프로그램명 등의 Content-2-2의 속성이 기술된다. 또한, Content-2-1과 Content-2-2의 XML 프래그먼트는, Service-2의 XML 프래그먼트에 관련지어진다.
ScheduleFragment-2-1.xml에는, Content-2-1의 개시 시각 t1 등의 Schedule-2-1의 스케줄 속성이 기술된다. 또한,ScheduleFragment-2-2.xml에는, Content-2-2의 개시 시각 t2 등의 Schedule-2-2의 스케줄 속성이 기술된다.
또한, Schedule-2-1과 Schedule-2-2의 XML 프래그먼트는, Service-2의 XML 프래그먼트에 관련지어진다. 또한, Schedule-2-1의 XML 프래그먼트는, Content-2-1의 XML 프래그먼트에 관련지어지고, Schedule-2-2의 XML 프래그먼트는, Content-2-2의 XML 프래그먼트에 관련지어진다.
이상, 제1 배신 구성의 경우인 ESG 서비스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2) 제2 배신 구성의 경우인 ESG 서비스의 구성
다음으로, 제2 배신 구성의 경우인 ESG 서비스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2 배신 구성에서는, 상술한 제1 배신 구성에 병행하여,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 중에서, 1개의 방송 서비스(Service-3)가 전송되는 구성으로 된다.
(제2 배신 구성의 ESG 서비스의 구성예)
도 37은, 제2 배신 구성의 경우인 ESG 서비스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로서, bsid=bsid-2를 갖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는, 2개의 ROUTE 세션(RouteSession-2-1, RouteSession-2-esg)으로 이루어진다. 단일의 방송 서비스(Service-3)는, ROUTE 세션 2-1(dIpAddr-svc-3)로 운반되고, 그 서비스 3(svc-3)은, 시간의 방향으로, 복수의 프로그램(Content)으로 이루어진다.
도 37에 있어서는, 도면 중의 좌측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을 시간 방향으로 했을 때, 서비스 3(svc-3)에서는, 시각 t1 내지 시각 t2의 사이에는, 콘텐츠 3-1(cnt-3-1)이 배신되고, 시각 t2 이후에는, 콘텐츠 3-2(cnt-3-2)가 배신된다. 이 서비스 3(svc-3)의 프로그램 편성은, 상술한 서비스 1, 2(svc-1, 2)와 마찬가지로, 서비스 3과 동일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ROUTE 세션 2-esg(dIpAddr-svc-esg-2)로 전송되는 ESG 서비스(svc-esg-2)에 의해, 수신측에 통지된다.
ESG 서비스의 ROUTE 세션 2-esg(dIpAddr-svc-esg-2)의 LCT 세션에는, 서비스, 콘텐츠 및 스케줄의 XML 프래그먼트가, ESG 정보로서, 당해 서비스(프로그램)가 배신되는 수일 내지 수주일 전에 배신된다.
여기에서는, 다음 XML 프래그먼트가 ESG 정보에 포함된다. 즉, 제2 배신 구성의 경우, 서비스 3(Service-3), 콘텐츠 3-1(Content-3-1), 콘텐츠 3-2(Content-3-2), 스케줄 3-1(Schedule-3-1) 및 스케줄 3-2(Schedule-3-2)의 XML 프래그먼트가, ESG 정보로서 배신된다.
(XML 프래그먼트의 관계)
도 38은, 제2 배신 구성의 경우인 서비스, 콘텐츠, 및 스케줄의 XML 프래그먼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ServiceFragment-3.xml에는, 서비스명 등의 Service-3의 속성이 기술된다.
ContentFragment-3-1.xml에는, 프로그램명 등의Content-3-1의 속성이 기술된다. 또한, ContentFragment-3-2.xml에는, 프로그램명 등의 Content-3-2의 속성이 기술된다. 또한, Content-3-1과 Content-3-2의 XML 프래그먼트는, Service-3의 XML 프래그먼트에 관련지어진다.
ScheduleFragment-3-1.xml에는, Content-3-1의 개시 시각 t1 등의 Schedule-3-1의 스케줄 속성이 기술된다. 또한, ScheduleFragment-3-2.xml에는, Content-3-2의 개시 시각 t2 등의 Schedule-3-2의 스케줄 속성이 기술된다.
또한, Schedule-3-1과 Schedule-3-2의 XML 프래그먼트는, Service-3의 XML 프래그먼트에 관련지어진다. 또한, Schedule-3-1의 XML 프래그먼트는, Content-3-1의 XML 프래그먼트에 관련지어지고, Schedule-3-2의 XML 프래그먼트는, Content-3-2의 XML 프래그먼트에 관련지어진다.
(ESG 서비스의 화면예)
도 39는, 제2 배신 구성의 경우인 ESG 서비스의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의 ESG 서비스의 화면은,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 2(bsid-1, bsid-2)를 수신 가능한 FW 프록시 장치(10)와 동일한 네트워크(3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예이다.
즉, 제2 배신 구성에서는, 제1 배신 구성과 마찬가지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을 통해, 서비스 1, 2(svc-1, svc-2)가 배신되고, 또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을 통해, 서비스 3(svc-3)이 배신된다. 따라서, 수신측에서는, 2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을 수신 가능하면, 3개의 방송 서비스(svc-1, svc-2, svc-3)의 프로그램 편성에 관한 정보가, 시계열로 표시되게 된다.
도 39에 있어서는, 서비스 1(svc-1), 서비스 2(svc-2), 서비스 3(svc-3)의 서비스명에 대응하여, 시간대마다, 각 방송 서비스를 통해 배신되는 프로그램이 표시된다.
서비스 1에서는, 시간대 t1-t2에, 콘텐츠 1-1(cnt-1-1)이 배신되고, 시간대 t2 이후에, 콘텐츠 1-2(cnt-1-2)가 배신된다. 또한, 서비스 2에서는, 시간대 t1-t2에, 콘텐츠 2-1(cnt-2-1)이 배신되고, 시간대 t2 이후에, 콘텐츠 2-2(cnt-2-2)가 배신된다. 또한, 서비스 3에서는, 시간대 t1-t2에, 콘텐츠 3-1(cnt-3-1)이 배신되고, 시간대 t2 이후에, 콘텐츠 3-2(cnt-3-2)가 배신된다.
또한, 도 39에 나타낸 ESG 서비스의 화면의 표시예는, 일례이며, 다른 표시 형태로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콘텐츠마다, 콘텐츠명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 타입이나 개요 등의 다양한 속성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상, 제2 배신 구성의 경우인 ESG 서비스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3) 제3 배신 구성의 경우인 ESG 서비스의 구성
다음으로, 제3 배신 구성의 경우인 ESG 서비스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3 배신 구성에서는, 상술한 제2 배신 구성에서, 시각 t2로부터 개시되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의 서비스 2(svc-2)의 콘텐츠 2-2(cnt-2-2)를 배신하는 데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서비스 3(svc-3)의 콘텐츠 3-2(cnt-3-2)에 할당되어 있던 대역을 동시에 이용하여 배신하는 구성으로 된다. 그리고, 이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에서는, 서비스 2(svc-2)의 콘텐츠 2-2(cnt-2-2)로서, 부가적인 스트림만이 배신되는 것으로 한다.
(제3 배신 구성의 경우인 BS-1의 구성예)
도 40은, 제3 배신 구성인 경우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은, 3개의 ROUTE 세션(RouteSession-1-1, RouteSession-1-2, RouteSession-1-esg)를 통해, 서비스 1(svc-1)과, 서비스 2(svc-2)와, ESG 서비스(svc-esg-1)를 배신하고 있다.
도 40에 있어서는, 시간의 방향을, 도면 중의 좌측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했을 때, 서비스 1(svc-1)에서는, 콘텐츠 1-1(cnt-1-1)과, 콘텐츠 1-2(cnt-1-2)가 순차 배신된다. 또한, 서비스 2(svc-2)에서는, 콘텐츠 2-1(cnt-2-1)과, 콘텐츠 2-2(cnt-2-2)가 순차 배신된다. 또한, ESG 서비스(svc-esg-1)에서는, 서비스 1, 2에 관한 서비스(Service), 콘텐츠(Content), 및 스케줄(Schedule)의 XML 프래그먼트가, 당해 서비스(프로그램)가 배신되는 수일 내지 수주일 전에 배신된다.
(XML 프래그먼트의 관계)
도 41은, 제3 배신 구성의 경우인 서비스, 콘텐츠, 및 스케줄의 XML 프래그먼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의 상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비스 1(svc-1)에 관한 ServiceFragment-1과, ContentFragment-1-1, ContentFragment-1-2, ScheduleFragment-1-1, ScheduleFragment-1-2는 관련지어지고, 서비스 1의 프로그램 편성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 41의 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비스 2(svc-2)에 관한 ServiceFragment-2와, ContentFragment-2-1, ContentFragment-2-2, ScheduleFragment-2-1, ScheduleFragment-2-2는, 관련지어지고, 서비스 2의 프로그램 편성을 구성하고 있다.
(제3 배신 구성의 경우인 BS-2의 구성예)
도 42는, 제3 배신 구성의 경우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는, 2개의 ROUTE 세션(RouteSession-2-1, RouteSession-2-esg)로 구성되고, 서비스 3(svc-3) 또는 서비스 2(svc-2)와, ESG 서비스(svc-esg-2)를 배신하고 있다.
도 42에 있어서는, 시간의 방향을, 도면 중의 좌측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했을 때, 서비스 3(svc-3) 또는 서비스 2(svc-2)에서는, 콘텐츠 3-1(cnt-3-1)과, 콘텐츠 2-2(cnt-2-2)가 순차 배신된다. 또한, ESG 서비스(svc-esg-2)에서는, 서비스 3 또는 서비스 2에 관한 서비스(Service), 콘텐츠(Content), 및 스케줄(Schedule)의 XML 프래그먼트가, 당해 서비스(프로그램)가 배신되는 수일 내지 수주일 전에 배신된다.
(XML 프래그먼트의 관계)
도 43은, 제3 배신 구성의 경우인 서비스, 콘텐츠, 및 스케줄의 XML 프래그먼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의 상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비스 2(svc-2)에 관한 ServiceFragment-2와, ContentFragment-2-2, ScheduleFragment-2-2는, 관련지어지고, 시각 t2를 경과한 후에 배신되는 서비스 2의 프로그램 편성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 43의 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비스 3(svc-3)에 관한 ServiceFragment-3과, ContentFragment-3-1, ScheduleFragment-3-1은, 관련지어지고, 시각 t2를 경과하기 전에 배신되는 서비스 3의 프로그램 편성을 구성하고 있다.
(ESG 서비스의 화면예)
도 44는, 제3 배신 구성의 경우인 ESG 서비스의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의 ESG 서비스의 화면은,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 2(bsid-1, bsid-2)를 수신 가능한 FW 프록시 장치(10)와 동일한 네트워크(3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예이다.
즉, 제3 배신 구성에서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을 통해, 서비스 1, 2(svc-1, svc-2)이 배신되고,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를 통해, 서비스 3(svc-3)또는 서비스 2(svc-2)가 배신된다. 따라서, 수신측에서는, 2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sid-1, bsid-2)을 수신 가능하면, 3개의 방송 서비스(svc-1, svc-2, svc-3)의 프로그램 편성에 관한 정보가, 시계열로 표시되게 된다.
도 44에 있어서는, 도 39의 화면예와 마찬가지로, 서비스 1(svc-1), 서비스 2(svc-2), 서비스 3(svc-3)의 서비스명에 대응하고, 시간대마다, 각 서비스에서 배신되는 프로그램이 표시된다.
서비스 1에서는, 시간대 t1-t2에, 콘텐츠 1-1(cnt-1-1)이 배신되고, 시간대 t2 이후에, 콘텐츠 1-2(cnt-1-2)가 배신된다. 서비스 2에서는, 시간대 t1-t2에, 콘텐츠 2-1(cnt-2-1)이 배신되고, 시간대 t2 이후에, 콘텐츠 2-2(cnt-2-2)가 배신된다.
서비스 3에서는, 시간대 t1-t2에, 콘텐츠 3-1(cnt-3-1)이 배신되지만, 시간대 t2 이후에는, 콘텐츠의 배신은 행해지지 않는다. 즉, 제3 배신 구성에서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서비스 3(svc-3)의 콘텐츠 3-2(cnt-3-2)에 할당되어 있던 대역을 이용하여, 서비스 2(svc-2)의 콘텐츠 2-2(cnt-2-2)의 부가적인 스트림을 배신하기 위해서, 시간대 t2 이후에 있어서는, 서비스 3의 배신은 정지하고, 서비스 1과 서비스 2만이 배신되게 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제3 배신 구성에서, 서비스 2(svc-2)의 콘텐츠 2-2(cnt-2-2)에 대해서, 스케일러블 부호화를 적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의 ROUTE 세션(RouteSession-1-1)에서는, 베이스 레이어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의 ROUTE 세션(RouteSession-2-1)에서는, 인핸스 레이어의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케일러블 부호화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등과 같은 광대역 서비스여도, 동적으로 스케줄하여 배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ESG 정보의 확장)
여기서, 수신측의 FW 프록시 장치(10)에서, 복수의 튜너를 준비할 수 있는 경우에, 상술한 서비스 2(svc-2)의 콘텐츠 2-2(cnt-2-2)가 배신되기 전에, 복수의 튜너를 가동시켜 두고, 콘텐츠 2-2(cnt-2-2)가 배신되면, FW 프록시 장치(10)에서는, 즉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 2(bsid-1, bsid-2)를 동시에 수신하고, 패킷을 놓치지 않고, 콘텐츠 2-2(cnt-2-2)를 재생하고 싶다(녹화하고 싶다)는 제안이 요청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현 상황의 기술에서는,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친 프로그램이라는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방식은 없으며, 그와 같은 기술 방식의 확립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현행의 ESG의 사양에서는, 그와 같은 통지를 행할 수 없기 때문에(하기 비특허문헌 3 참조), 본 기술에서는, 현행의 ESG를 확장하여,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친 프로그램이라는 취지를 통지할 수 있도록 하여, FW 프록시 장치(10)로 사전 가동 준비가 가능하도록 한다.
비특허문헌 3: ATSC Candidate Standard: Service Announcement(A/332)
즉, 본 기술에서는, 상술한 SLS(의 S-TSID 메타데이터)뿐만 아니라, ESG 정보에 의해서도,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친 방송 서비스의 존재를 통지 할 수 있도록 하여, FW 프록시 장치(10)에 있어서, 복수의 튜너를 시청 예약 프로그램의 방송 시각에 가동 예약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을 동시에 2개밖에 수신할 수 없는 환경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 2(bsid-1, bsid-2)에 걸쳐 배신되는 서비스 2(svc-2)의 콘텐츠 2-2(cnt-2-2)를 시청 예약(녹화 예약)하고 있는 경우에, 그에 병행하여, 동시각에 배신되는 별도의 방송 서비스의 콘텐츠도 시청 예약(녹화 예약)하고자 했을 때,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전자의 방송 서비스의 수신을 위해서는, 2개의 튜너가 동시에 필요해지기 때문에, 전자의 방송 서비스와 후자의 방송 서비스의 어느 쪽을 우선할지 우선도 부여를 재촉할 필요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기술에서는,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친 방송 서비스(프로그램)라는 취지를 통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ESG의 스케줄 프래그먼트(ScheduleFragment)에, 당해 스케줄 프래그먼트가 기술하는 대상의 서비스나, 콘텐츠가 배신되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id)를 참조하는 요소(배신 구성 정보)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ESG 정보의 구성)
상술한 바와 같이, ESG(Electronic Service Guide)는, OMA(Open Mobile Alliance)에 의해 그 사양이 책정되어 있으며, 본 기술의 ESG 정보도, OMA-ESG에 준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ESG는, 각각의 목적을 갖는 프래그먼트로 구성되며,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어드미니스트레이티브(Administrative),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코어(Core), 및 액세스(Access)로 이루어지는 4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코어는, 서비스 그 자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그룹이다. 코어의 그룹은, 서비스(Service), 스케줄(Schedule), 및 콘텐츠(Content)로 구성된다. 서비스는, 채널·서비스의 내용, 및 관련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 스케줄은, 콘텐츠의 배신 스케줄, 및 관련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 콘텐츠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콘텐츠의 내용, 및 관련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
도 45에는, ESG의 스케줄 프래그먼트(ScheduleFragment)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6에는, ESG의 스케줄 프래그먼트의 스키마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ESG 정보에서는, ESG의 스케줄(Schedule)을 확장하여, PrivateExt 요소에, bsidReference 요소를 추가한다. 이 bsidReference 요소에는, 방송 서비스가, 복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에 걸쳐 배신되는 경우에, 대상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를 지정할 수 있다.
도 47은, ESG의 스케줄 프래그먼트의 XML 인스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에 있어서는, 스케줄(Schedule)의 PrivateExt 요소의 bsidReference 요소에, "xxxx"와 "yyyy"의 2개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id)가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id)를, 서비스(Service)나 콘텐츠(Content)의 프래그먼트를 참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제3 배신 구성의 경우에, 서비스 2(svc-2)에 관련된 ESG의 프래그먼트를 도시하면,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즉, 도 48은, ServiceFragment-2, ContentFragment-2-1/-2-2, ScheduleFragment-2-1/-2-2의 XML 인스턴스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ServiceFragment-2.xml에는, Service 요소의 Name 요소에 의해, 서비스명으로서, Service-2가 지정되어 있다.
ContentFragment-2-1.xml에는, Content 요소의 Name 요소에 의해, 프로그램명으로서, Content-2-1이 지정된다. 또한, ContentFragment-2-2.xml에는, Content 요소의 Name 요소에 의해, 프로그램명으로서, Content-2-2가 지정된다.
또한, ContentFragment-2-1.xml과, ContentFragment-2-2.xml에서는, ServiceReference 요소의 idRef 속성의 값이, ServiceFragment-2.xml의 Service 요소의 id 속성의 값과 관련지어져 있다.
ScheduleFragment-2-1.xml에는, PresentationWindow 요소의 startTime 속성과 endTime 속성에 의해, Content-2-1의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이 지정된다. 이 예에서는, startTime 속성에 의해, Content-2-1의 개시 시각 t1로서, "2016-02-17T12:00:00+00:00"이 지정되고, endTime 속성에 의해, Content-2-1의 종료 시각 t2로서, "2016-02-17T12:30:00+00:00"이 지정된다.
ScheduleFragment-2-2.xml에는, PresentationWindow 요소의 startTime 속성과 endTime 속성에 의해, Content-2-2의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이 지정된다. 이 예에서는, startTime 속성에 의해, Content-2-2의 개시 시각 t2로서, "2016-02-17T12:30:00+00:00"이 지정되고, endTime 속성에 의해, Content-2-2의 종료 시각으로서, "2016-02-17T12:45:00+00:00"이 지정된다.
여기서, ScheduleFragment-2-2.xml에는, PrivateExt 요소의 bsidReference 요소로서, "BroadcastStream-1"과, "BroadcastStream-2"인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id)가 지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서비스 2(svc-2)의 콘텐츠 2-2(cnt-2-2)가,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bsid-1)과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2(bsid-2)에 걸쳐 배신되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또한, ScheduleFragment-2-1.xml과, ScheduleFragment-2-2.xml에서는, ServiceReference 요소의 idRef 속성의 값이, ServiceFragment-2.xml의 Service 요소의 id 속성의 값과 관련지어져 있다. 또한, ScheduleFragment-2-1.xml에서는, ContentReference 요소의 idRef 속성의 값이, ContentFragment-2-1.xml의 Content 요소의 id 속성의 값과 관련지어져 있다. 또한, ScheduleFragment-2-2.xml에서는, ContentReference 요소의 idRef 속성의 값이, ContentFragment-2-2.xml의 Content 요소의 id 속성의 값과 관련지어져 있다.
(ESG 서비스의 화면예)
도 49는, 제3 배신 구성의 경우인 ESG 서비스의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의 ESG 서비스의 화면에서는, 도 44의 ESG 서비스의 화면과 비교하여, 시각 t2 이후의 시간대에 배신되는 서비스 2(svc-2)의 콘텐츠 2-2(cnt-2-2)가,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1, 2(bsid-1, bsid-2)에 걸쳐 배신되기 때문에, 스케줄 프래그먼트(ScheduleFragment-2-2)의 bsidReference 요소의 값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튜너 2대 필수」등의 주의를 재촉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있는 점이 상이하다.
이와 같은 표시를 행함으로써, 엔드 유저에 대해서, 콘텐츠 2-2(cnt-2-2)의 시청에는, 동시에 가동 가능한 복수의 튜너가 필요함을 사전에 통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동시에 가동 가능한 튜너수에 제한이 있는 환경에 있어서, 엔드 유저가, 복수의 튜너가 전제로 되는 프로그램의 시청 예약을 시도한 경우 등에, 본 기술의 ESG 정보를 이용하여, 엔드 유저에 대한 우선도 부여를 재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7. 변형예>
(통신 경유의 배신)
상술한 도 1의 전송 시스템(1)에 있어서는, 콘텐츠의 스트림이, 방송 전송로(60)를 통해 방송 경유로 배신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콘텐츠의 스트림은, 인터넷 등의 통신 전송로를 통해 통신 경유로 배신되도록 해도 된다.
도 50에는, 전송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0의 전송 시스템(6)에 있어서는, 도 1의 전송 시스템(1)과 비교하여, 송신측에, 방송계의 방송 서버(40) 외에도, 통신계의 통신 서버(70)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FW 프록시 장치(10)는, 방송 전송로(60)를 통해 송신되는 방송파를 수신하는 수신 기능과 함께, 인터넷(80)에 접속 가능한 통신 기능(통신 I/F(도시생략))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FW 프록시 장치(10)는, 인터넷(80)을 통해 통신 서버(70)와 서로 접속되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FW 프록시 장치(10)는, 네트워크(3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의 리퀘스트를, 인터넷(80)에 접속된 통신 서버(70)에 송신한다. 또한, FW 프록시 장치(10)는, 인터넷(80)를 통해 통신 서버(7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고, 네트워크(3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송신(전송)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30)에 접속되는 FW 프록시 장치(10-1 내지 10-N)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FW 프록시 장치(10)가, 마스터 프록시로서 기능하고, 그 이외의 FW 프록시 장치(10)가, 슬레이브 프록시로서 기능하는 마스터·슬레이브 관계를 갖고 있다. 그리고, FW 프록시 장치(10-1 내지 10-N)가, 마스터·슬레이브 관계를 가짐으로써, 마스터 프록시(111)가 가동하는 마스터·프록시 장치(10M)에 의해, 각 FW 프록시 장치(10)에 대해서,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가 할당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에 의해, 네트워크(3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20)는, 엔드 유저의 조작 등에 따라서, FW 프록시 장치(10)(마스터·프록시 장치(10M), 또는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를 통하여, 방송 경유 또는 통신 경유로 배신되는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통신 서버(70)는, 예를 들어 방송국 등의 방송 사업자나 기타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버로서, 인터넷(80)에 접속된다.
통신 서버(70)는, FW 프록시 장치(10)로부터의 리퀘스트에 따라서, 프로그램이나 CM 등의 콘텐츠의 파일이나 제어 정보를 처리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데이터를, 인터넷(80)을 통해 송신(스트리밍 배신)한다.
또한, 방송 서버(40)나 통신 서버(70)는,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등을 배신하도록 해도 된다. 즉, 전송 시스템(6)에 있어서는, 애플리케이션이 방송 경유 또는 통신 경유로 배신되고, FW 프록시 장치(10)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의해 수신된다.
또한, 전송 시스템(1)(도 1)과, 전송 시스템(6)(도 50)에 있어서는, FW 프록시 장치(10)에 의해, 적어도 방송 경유로 배신되는 콘텐츠의 스트림이 처리되는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송신측에, 통신계의 통신 서버(70)만을 설치하고, FW 프록시 장치(10)에서는, 통신 경유로 배신되는 콘텐츠의 스트림만이 처리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20)는, 통신 경유로 배신되는 콘텐츠만을 재생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네트워크(30)에 접속된 FW 프록시 장치(10) 중, 1개의 FW 프록시 장치(10)가, 마스터·프록시 장치(10M)로서 기능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복수의 FW 프록시 장치(10)가, 마스터·프록시 장치(10M)로서 기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마스터·프록시 장치(10M)나 슬레이브·프록시 장치(10S)는, 도 2나 도 3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콘텐츠의 재생 기능은 갖고 있지 않지만, 클라이언트 장치(20)와 마찬가지로, 방송 경유 또는 통신 경유로 배신되는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혹은 녹화할 수 있다.
(다른 방송 규격에의 적용)
상술한 설명으로서는, 디지털 방송의 규격으로서, 미국 등에서 채용되고 있는 방식인 ATSC(특히, ATSC 3.0)를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일본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ISDB(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나, 유럽의 각국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등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IP 전송 방식이 채용되는 ATSC 3.0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IP 전송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MPEG2-TS(Transport Stream) 방식 등의 다른 방식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의 규격으로서는, 지상파 방송 외에, 방송 위성(BS: Broadcasting Satellite)이나 통신 위성(CS: Communications Satellite) 등을 이용한 위성방송이나, 케이블 텔레비전(CATV: Common Antenna TeleVision) 등의 유선방송 등의 규격에 적용할 수 있다.
(그 밖의 변형예)
상술한 제어 정보(시그널링) 등의 명칭은 일례로서, 다른 명칭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단, 이들 명칭의 차이는, 형식적인 차이이며, 대상의 제어 정보나 패킷 등의 실질적인 내용이 상이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는, USD(User Service Description)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NRT(Non Real Time)는, LCC(Locally Cached Content) 등이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DASH 플레이어는, 예를 들어 HTML5(HyperText Markup Language 5) 등의 마크업 언어나 JavaScript(등록상표) 등의 스크립트 언어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 외에, 예를 들어 Java(등록상표)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애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한정되지 않고, 소위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오퍼레이팅 시스템(OS: Operating System) 환경 등에서 실행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어떠한 정보를 명시적으로 표시할 뿐만 아니라, 비표시에서(백그라운드에서) 동작되도록 해도 된다(엔드 유저에게 인식되지 않고 기동하도록 해도 됨). 또한, 콘텐츠는, 동화상이나 음악 외에, 예를 들어 전자 서적이나 게임, 광고 등, 모든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8. 컴퓨터의 구성>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도 51은,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컴퓨터(1000)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1001), ROM(Read Only Memory)(1002), RAM(Random Access Memory)(1003)은, 버스(10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10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에는 입력부(1006), 출력부(1007), 기록부(1008), 통신부(1009), 및 드라이브(1010)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1006)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1007)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기록부(1008)는 하드디스크나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009)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다. 드라이브(1010)는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1011)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1000)에서는, CPU(1001)가 ROM(1002)이나 기록부(1008)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 및 버스(1004)를 통해 RAM(1003)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컴퓨터(1000)(CPU(10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서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1011)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1000)에서는,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1011)를 드라이브(1010)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를 통해 기록부(10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통신부(1009)에서 수신하고, 기록부(10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그 밖에, 프로그램은, ROM(1002)이나 기록부(1008)에, 미리 인스톨해 둘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서 행하는 처리는, 반드시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를 따라서 시계열로 행해질 필요는 없다. 즉,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서 행하는 처리는,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어, 병렬 처리 혹은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분산 처리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스트림을 처리하는 처리부
를 구비하며,
상기 스트림은, 물리층보다도 상위인 상위층을 통해서 전송되는 전송 정보에,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배신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배신 구성 정보에 따른 배신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스트림을 처리하는, 수신 장치.
(2)
상기 처리부는,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하는 프록시로서, 슬레이브 프록시에 대한 마스터 프록시로서 기능하고,
각 프록시에 대해서, 상기 배신 구성 정보에 따른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를 결정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수신 장치.
(3)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배신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항상 동시 가동이 보증되어 있는 프록시에 대해서,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로 하여,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는 방송 서비스를 할당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수신 장치.
(4)
상기 전송 정보는, 상위층의 제어 정보이며,
상기 처리부는, 각 프록시에 대해서, 상기 상위층의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배신 구성 정보에 따른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를 결정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수신 장치.
(5)
상기 상위층의 제어 정보는, 세션 간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각 프록시에 대해서, 상기 상위층의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배신 구성 정보와 상기 우선도 정보에 따른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를 결정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수신 장치.
(6)
상기 배신 구성 정보가 나타내는 배신 구성으로서,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는 방송 서비스를 배신할 때 최저한 필요한 스트림을 전송하는 제1 세션과, 당해 방송 서비스를 배신할 때 부가적인 스트림을 전송하는 제2 세션을 포함하고,
상기 우선도 정보는, 상기 제1 세션의 우선도를, 상기 제2 세션의 우선도보다도 높아지도록 하는, 상기 (5)에 기재된 수신 장치.
(7)
상기 처리부는, 상기 상위층의 제어 정보의 배신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각 프록시에 대해서, 상기 배신 구성 정보에 따른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를 결정하는, 상기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신 장치.
(8)
상기 전송 정보는, 상기 전송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이 배신되는 것보다도, 소정의 기간만큼 먼저 배신되는, 상기 (2)에 기재된 수신 장치.
(9)
상기 전송 정보는, 전자 프로그램표에 관한 정보인, 상기 (8)에 기재된 수신 장치.
(10)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전송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는 방송 서비스의 배신을 통지하는, 상기 (8) 또는 (9)에 기재된 수신 장치.
(11)
상기 슬레이브 프록시가 가동하는 다른 수신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상에 1개 또는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부는,
각 프록시와,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를 대응지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방송 서비스의 리퀘스트를 받은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당해 방송 서비스를 담당하는 프록시에 대해서, 당해 방송 서비스의 리퀘스트가 리다이렉션되도록 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수신 장치.
(12)
상기 상위층의 제어 정보는, 방송 서비스마다 배신되는 제어 정보이며,
상기 배신 구성 정보는, 파일 전송용 프로토콜의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4)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신 장치.
(13)
상기 소정의 주파수 대역은, RF 채널마다 할당되는 대역폭인,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신 장치.
(14)
수신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물리층보다도 상위인 상위층을 통해서 전송되는 전송 정보에,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배신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으로서, 상기 배신 구성 정보에 따른 배신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스트림을 처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5)
물리층보다도 상위인 상위층을 통해서 전송되는 전송 정보로서,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배신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송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16)
상기 전송 정보는, 상기 상위층의 제어 정보인, 상기 (15)에 기재된 송신 장치.
(17)
상기 상위층의 제어 정보는, 세션 간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16)에 기재된 송신 장치.
(18)
상기 상위층의 제어 정보는, 방송 서비스마다 배신되는 제어 정보이며,
상기 배신 구성 정보는, 파일 전송용의 프로토콜의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16) 또는 (17)에 기재된 송신 장치.
(19)
상기 전송 정보는, 전자 프로그램표에 관한 정보인, 상기 (15)에 기재된 송신 장치.
(20)
송신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가,
물리층보다도 상위인 상위층을 통해 전송되는 전송 정보로서,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배신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송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을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 6: 전송 시스템
10-1 내지 10-M, 10: FW 프록시 장치
10M: 마스터·프록시 장치
10S: 슬레이브·프록시 장치
20-1 내지 20-M, 20: 클라이언트 장치
30: 네트워크
40: 방송 서버
50: 송신소
60: 방송 전송로
70: 통신 서버
80: 인터넷
100: 처리부
101: 튜너
102: 통신 I/F
103: 기억부
111: 마스터 프록시
112: UPnP/SSDP 서버
113: SLS 처리계
150: 처리부
151: 튜너
152: 통신 I/F
153: 기억부
161: 슬레이브 프록시
162: SLS 처리계
200: 처리부
201: 통신 I/F
202: 표시부
203: 스피커
211: 애플리케이션
212: 브라우저
401: 컴포넌트 처리부
402: 제어 정보 생성부
403: ESG 생성부
404: 멀티플렉서
405: 데이터 처리부
406: 송신부
1000: 컴퓨터
1001: CPU

Claims (20)

  1.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스트림을 처리하는 처리부
    를 구비하며,
    상기 스트림은, 물리층보다도 상위인 상위층을 통해 전송되는 전송 정보에,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배신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배신 구성 정보에 따른 배신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스트림을 처리하는,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에 송신하는 프록시로서, 슬레이브 프록시에 대한 마스터 프록시로서 기능하고,
    각 프록시에 대해서, 상기 배신 구성 정보에 따른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를 결정하는,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배신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항상 동시 가동이 보증되어 있는 프록시에 대해서,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로서,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는 방송 서비스를 할당하는, 수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정보는, 상위층의 제어 정보이며,
    상기 처리부는, 각 프록시에 대해서, 상기 상위층의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배신 구성 정보에 따른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를 결정하는, 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층의 제어 정보는, 세션 간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각 프록시에 대해서, 상기 상위층의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배신 구성 정보와 상기 우선도 정보에 따른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를 결정하는, 수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신 구성 정보가 나타내는 배신 구성으로서,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는 방송 서비스를 배신할 때 최저한 필요한 스트림을 전송하는 제1 세션과, 당해 방송 서비스를 배신할 때 부가적인 스트림을 전송하는 제2 세션을 포함하고,
    상기 우선도 정보는, 상기 제1 세션의 우선도를, 상기 제2 세션의 우선도보다도 높아지도록 하는, 수신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상위층의 제어 정보의 배신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각 프록시에 대해서, 상기 배신 구성 정보에 따른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를 결정하는, 수신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정보는, 상기 전송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이 배신되는 것보다도, 소정의 기간만큼 먼저 배신되는, 수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정보는, 전자 프로그램표에 관한 정보인, 수신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전송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는 방송 서비스의 배신을 통지하는, 수신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프록시가 가동하는 다른 수신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상에 1개 또는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부는,
    각 프록시와, 방송 서비스의 담당 범위를 대응지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방송 서비스의 리퀘스트를 받은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당해 방송 서비스를 담당하는 프록시에 대해서, 당해 방송 서비스의 리퀘스트가 리다이렉션되도록 하는, 수신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층의 제어 정보는, 방송 서비스마다 배신되는 제어 정보이며,
    상기 배신 구성 정보는, 파일 전송용 프로토콜의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수신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파수 대역은, RF 채널마다 할당되는 대역폭인, 수신 장치.
  14. 수신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물리층보다도 상위인 상위층을 통해 전송되는 전송 정보에,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배신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으로서, 상기 배신 구성 정보에 따른 배신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스트림을 처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5. 물리층보다도 상위인 상위층을 통해 전송되는 전송 정보로서,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배신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송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정보는, 상기 상위층의 제어 정보인, 송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층의 제어 정보는, 세션 간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우선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송신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층의 제어 정보는, 방송 서비스마다 배신되는 제어 정보이며,
    상기 배신 구성 정보는, 파일 전송용 프로토콜의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송신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정보는, 전자 프로그램표에 관한 정보인, 송신 장치.
  20. 송신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가,
    물리층보다도 상위인 상위층을 통해 전송되는 전송 정보로서, 방송 서비스의 스트림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 배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배신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송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을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197008519A 2016-10-04 2017-09-20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479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96107 2016-10-04
JPJP-P-2016-196107 2016-10-04
PCT/JP2017/033798 WO2018066355A1 (ja) 2016-10-04 2017-09-20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408A true KR20190062408A (ko) 2019-06-05
KR102479001B1 KR102479001B1 (ko) 2022-12-20

Family

ID=6183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519A KR102479001B1 (ko) 2016-10-04 2017-09-20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805028B2 (ko)
EP (1) EP3525472A4 (ko)
JP (1) JPWO2018066355A1 (ko)
KR (1) KR102479001B1 (ko)
CN (1) CN109792556B (ko)
CA (1) CA3038028A1 (ko)
MX (1) MX2019002898A (ko)
WO (1) WO20180663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2556B (zh) * 2016-10-04 2021-12-24 索尼公司 接收装置、发送装置和数据处理方法
US10891100B2 (en) * 2018-04-11 2021-01-12 Matthew Coh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accessing real-time audio and associated metadata
US11303956B2 (en) 2019-09-11 2022-04-1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net protocol tuning
US11297387B2 (en) * 2019-09-24 2022-04-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video recording of internet protocol con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612A (ko) * 2004-12-06 2006-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KR20110111335A (ko) * 2010-04-02 2011-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 컨텐트와 3차원 컨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컨텐트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디지털 방송 컨텐트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JP2016076957A (ja) 2015-11-30 2016-05-12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WO2016112157A1 (en) * 2015-01-08 2016-07-14 Qualcomm Incorporated Session description information for over-the-air broadcast media data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5856B2 (ja) * 2003-03-28 2007-06-2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レイアウトの定められた文書のダイジェストを作成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サー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312413A (ja) * 2003-04-08 2004-11-04 Sony Corp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635440B2 (en) * 2007-12-13 2014-01-21 Microsoft Corporation Proxy with layer 3 security
US9191692B2 (en) 2010-06-02 2015-11-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ggregated tuner scheduling
US8819170B2 (en) * 2011-07-14 2014-08-26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Communication protocols
CN105393548A (zh) * 2013-04-16 2016-03-09 Lg电子株式会社 广播发射设备、广播接收设备、操作广播发射设备的方法和操作广播接收设备的方法
JP2015073245A (ja) * 2013-10-04 2015-04-16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KR101877154B1 (ko) * 2014-04-09 2018-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WO2016076654A1 (ko) * 2014-11-13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US10637595B2 (en) * 2015-03-01 2020-04-2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WO2016140486A1 (ko) * 2015-03-02 2016-09-09 엘지전자(주)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0454985B2 (en) * 2015-03-04 2019-10-22 Qualcomm Incorporated File format based streaming with dash formats based on LCT
WO2016144072A1 (ko) * 2015-03-08 2016-09-15 엘지전자(주)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6144031A1 (ko) * 2015-03-11 2016-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US10012719B2 (en) * 2015-07-31 2018-07-03 At&T Mobility Ii Llc E911 locating by nearby proxy device location
US10505028B2 (en) * 2015-09-16 2019-12-10 Fuji Electric Co., Lt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shoulder por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WO2017164595A1 (ko) * 2016-03-21 2017-09-28 엘지전자(주)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0645454B2 (en) * 2016-06-22 2020-05-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ynamic multi-mode ser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US10834153B2 (en) * 2016-08-24 2020-11-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level signaling of SEI tracks for media data streaming
CN109792556B (zh) * 2016-10-04 2021-12-24 索尼公司 接收装置、发送装置和数据处理方法
US10352641B2 (en) * 2017-04-21 2019-07-16 Caveman, Llc Gun barrel thermal indicator
US20190238950A1 (en) * 2018-01-31 2019-08-01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conditional advertisement inser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612A (ko) * 2004-12-06 2006-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KR20110111335A (ko) * 2010-04-02 2011-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 컨텐트와 3차원 컨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컨텐트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디지털 방송 컨텐트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WO2016112157A1 (en) * 2015-01-08 2016-07-14 Qualcomm Incorporated Session description information for over-the-air broadcast media data
JP2016076957A (ja) 2015-11-30 2016-05-12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TSC Candidate Standard: Physical Layer Protocol(A/3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05028B2 (en) 2020-10-13
US20190207691A1 (en) 2019-07-04
CN109792556A (zh) 2019-05-21
CN109792556B (zh) 2021-12-24
US11374670B2 (en) 2022-06-28
KR102479001B1 (ko) 2022-12-20
CA3038028A1 (en) 2018-04-12
EP3525472A1 (en) 2019-08-14
EP3525472A4 (en) 2019-08-14
WO2018066355A1 (ja) 2018-04-12
US20210044367A1 (en) 2021-02-11
JPWO2018066355A1 (ja) 2019-07-25
MX2019002898A (es)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7040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 broadcast
JP7327572B2 (ja) 受信方法、及び、送信方法
US11374670B2 (en)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102443060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KR101880466B1 (ko)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US11863807B2 (en)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KR102558781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03612A (ko)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45869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JPWO2017141701A1 (ja)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WO2018021015A1 (ja)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WO2018180572A1 (ja) 情報処理装置、受信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WO2018074265A1 (ja)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