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000A -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 - Google Patents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000A
KR20190062000A KR1020170160949A KR20170160949A KR20190062000A KR 20190062000 A KR20190062000 A KR 20190062000A KR 1020170160949 A KR1020170160949 A KR 1020170160949A KR 20170160949 A KR20170160949 A KR 20170160949A KR 20190062000 A KR20190062000 A KR 20190062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core
insulation
integrated panel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구
김영곤
추용식
조형규
서성관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주) 에스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주) 에스와이씨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60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2000A/ko
Publication of KR20190062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with fibres or particles being present as additives in th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for securing layers together; for attaching the product to another member, e.g. to a support, or to another product, e.g. groove/tongue, interloc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2Elements
    • C04B22/04Metals, e.g. aluminium used as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6Oxides, Hydroxides
    • C04B22/062Oxides, Hydroxides of the alkali or alkaline-earth metals
    • C04B22/064Oxides, Hydroxides of the alkali or alkaline-earth metals of the alkaline-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containing anhydrite, e.g. Keene's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02Portland 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기능을 갖는 심재를 제철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슬래그를 시멘트와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저가원료 사용을 통한 경제성, 단열성능 향상 및 강도성능이 우수하게 발현되도록 하는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45~50wt%, 생석회 10wt%, 슬래그 30~35wt%, 무수석고 10wt%로 이뤄지는 100wt%의 출발원료에 알루미늄 분말을 외할로 0.6wt% 및 Pore Stabilizer 0.06 wt% 혼합하여 배합물을 조성하고, 혼합수 130wt%를 상기 배합물에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여 양생하고 건조하여, 일정 크기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심재와, ALC로 형성되어 심재의 양측면에 접착되는 내측 및 외측 구조용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Structure Pannel With Insulation Function Using Slag Mixed Type Calcium Silicated Inorganic Insulation}
본 발명은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기능을 갖는 심재를 제철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슬래그를 시멘트와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저가원료 사용을 통한 경제성, 단열성능 향상 및 강도성능이 우수하게 발현되도록 하는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LC(Autoclave Lightweight Concrete)는 공장에서 고온, 고압 하에서 무수한 기포를 갖도록 성형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일종으로서, 단열성, 내화성, 경량성, 조습성 등의 장점을 갖는 친환경 무기질계 내외장건축자재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ALC 패널을 건축물에 PC패널을 대체하여 사용하도록 하여 경량화할 수 있고 고층의 하중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종래의 ALC는 PC패널에 비하여 비중이 감소함에 따라 압축강도도 감소하여 건축물의 내력벽체 등 구조부재에 적용 시 강도성능을 확보하기 어려워 구조부재로서의 사용이 어려우며, 특히 단열성이 없어 단열성능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ALC패널의 내부에 심재를 구성하여 유기계 또는 무기계 단열성능을 확보하도록 하였으나, 기존 유기계 단열소재의 문제점인 화재 취약성과 무기 섬유계 단열소재의 수분 취약성이 발생하여, 칼슘실리케이트계 무기단열소재는 불연성 소재를 심재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압축강도 특성이 시공하기 적합한 단계에 이르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실용신안 등록 제0367930호 "구조용 각형 강관을 이용한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각각의 이음부가 용접으로 접합하여 내부가 빈 직육면체의 틀을 이루면서 다수의 투입홀(140)이 형성된 다수의 수직 강관(110) 및 다수의 수평강관(120)과, 다수의 상기 수직강관(110) 및 다수의 상기 수직강관(120)으로 이루어진 상기 직육면체 틀의 양측면 상에 부착되는 단열보드(130)와, 상기 투입홀(140)을 통하여 양측면이 상기 단열보드(130)로 마감된 상기 직육면체 틀 내부로 충진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각형 강관을 이용한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각형강관을 사용하여 중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단열성능 확보가 어렵고 제작비용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 등록 제0367930호 "구조용 각형 강관을 이용한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심재를 시멘트에 제철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슬래그를 시멘트와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초기강도 증진을 통한 시공성 확보와 저가원료 사용을 통한 경제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단열성능을 보강하면서도 강도성능이 우수하게 발현되도록 하는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45~50wt%, 생석회 10wt%, 슬래그 30~35wt%, 무수석고 10wt%로 이뤄지는 100wt%의 출발원료에 알루미늄 분말을 외할로 0.6wt% 및 Pore Stabilizer 0.06 wt% 혼합하여 배합물을 조성하고, 혼합수 130wt%를 상기 배합물에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여 양생하고 건조하여, 일정 크기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심재와, ALC로 형성되어 심재의 양측면에 접착되는 내측 및 외측 구조용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심재는 양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전체 폭방향으로 일정 형상의 전단홈이 복수개가 형성되고, 내측 및 외측 구조용 패널에는 전단홈에 대응하는 전단돌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단홈은 외측의 단면이 좁고 내측의 단면이 넓은 사다리꼴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단돌기은 이에 대응하는 형상의 사다리꼴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심재에서 슬래그는 24.3 wt%의 SiO2, 40.9 wt%의 CaO, 12.8 wt%의 Al2O3, 0.50 wt%의 Fe2O3, 4.0 wt%의 SO3, 6.69wt%의 MgO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심재에서 출발원료에 50.5 wt%의 SiO2와, 29.7 wt%의 CaO와, 1.80 wt%의 SO3를 추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은 심재를 시멘트에 제철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슬래그를 시멘트와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초기강도 증진을 통한 시공성 확보와 저가원료 사용을 통한 경제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단열성능을 보강하면서도 강도성능이 우수하게 발현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a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슬래그 시멘트 대체 함량 별 압축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a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은 일정 크기의 판재 형상의 심재(16)와, 심재(16)의 양측면에 접착되며 ALC로 형성되는 내측 및 외측 구조용 패널(12)(14)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의 심재(16)는 열기능을 갖는 심재를 제철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슬래그를 시멘트와 혼합하여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저가원료 사용을 통한 경제성, 단열성능 향상 및 강도성능이 우수하게 발현되도록 한다.
종래의 구조용 패널의 심재로 사용되는 무기단열소재는 시멘트, 무수석고, 생석회 등의 분체원료를 주원료로, 분체원료와 혼합수를 섞어 슬러리를 제조 후 Aluminum 분말을 혼합한다. Aluminum 분말은 칼슘실리케이트계 무기단열소재에서 발포제로 사용된다. 슬러리는 알칼리 성분의 수화반응으로 발포하게 된다. (식 1 참조) 이때 알루미늄 분말은 수화물 (Al(OH)3)로 변화하면서 생석회 또는 시멘트에서 생성되는 수산화칼슘(Ca(OH2)과 반응으로 수소가스가 발생한다.
2Al + 3Ca(OH)2 + 6H2O 3CaO + Al2O3 + 6H2O + 3H2
또는 2Al + Ca(OH)2 + 6H2O Ca(Al(OH)4)2 + 3H2 + 3H2 (식 1)
수소가스에 인해 발포하는 슬러리는 분체원료의 수화반응에서 발생하는 수화열로 발포와 동시에 경화가 진행된다. 경화된 발포체가 24시간동안 양생과정을 통해 탈형되면 칼슘실리케이트계 무기단열소재가 완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심재(16)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45~50wt%, 생석회 10wt%, 슬래그 30~35wt%, 무수석고 10wt%로 이뤄지는 100wt%의 출발원료에 알루미늄 분말을 외할로 0.6wt% 및 Pore Stabilizer 0.06 wt% 혼합하여 배합물을 조성하고, 혼합수 130wt%를 상기 배합물에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여 양생하고 건조하여, 일정 크기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
출발 원료 준비
본 발명의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에 사용되는 심재(16)의 제작을 위해, 출발 원료인 분말 원료로는 표 1과 같이,구성하였다.
% SiO2 Al2O3 Fe2O3 CaO MgO SO3 분말도 (g/cm2)
OPC 11.8 5.86 2.83 59.7 4.02 3.55 8,600
Slag 24.3 12.8 0.50 40.9 6.69 4.02 6,300
Anhydrous gypsum 1.7 0.4 0.1 39.3 - 53.1 2,800
Lime stone 1.6 0.3 0.4 90.3 0.8 0.7 4,100
표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출발원료의 성분분석표이다.
본 발명에 사용한 출발원료 중 OPC는 동양 1종 보통 시멘트를 분쇄하여 분말도 8,600 g/cm2으로 조정하여 사용하며, Slag는 OO레미콘에서 슬래그시멘트 제조시 사용하는 슬래그로 6,300 g/cm2로 조정하여 분쇄하였다. 케미우스코리아社의 무수석고와 백광소재社 생석회를 사용하였다. 추가적으로, Pore Stabilizer(기포 안정제)는 Wacker社의 PDMS를 사용하였으며, 발포제인 AL 분말은 알코엔지니어링社의 Y250을 사용하였다.
No. 8,600
OPC
Slag Lime stone Anhydrous gypsum Water Pore
Stabilizer
Al
Powder
1 45 35 10 10 130 0.06 0.6
2 50 30
3 55 25
4 60 20
5 65 15
6 70 10
표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출발원료의 배합조건이다.
심재(16)로 사용되는 칼슘실리케이트계 무기단열소재는 슬러리화된 출발원료를 몰드에 타설 후 양생과정을 거쳐 탈형한다. 탈형시 슬러리가 탈형하기 적합한 경도에 맞게 발포한 슬러리의 빠른 초기강도발현 또한 중요하다. 슬래그는 초기강도보다 장기강도 발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분쇄를 통한 반응촉진을 위해 슬래그의 분말도를 6,300 g/cm2로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3종 슬러리의 분말도는 3,200 g/cm2로 모르타르에 혼입시 양생15일 이후 강도 발현한다. 슬래그 혼입형 칼슘실리케이트계 무기단열소재는 타설 후 24시간 후 슬러리의 경도는 기존 칼슐실리케이트계 무기단열소재보다 2배의 경도차이가 나타났다. (슬러리 혼입 20kgf, 기존시편 10kgf - ALC 슬러리 경도측정기 사용) 탈형 후 시편을 3일, 7일 15일 동안 온도 55 ~ 30℃ , 상대습도 60 ~ 75 %의 양생조건에서 양생 후 압축강도 비중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슬래그를 사용하는 칼슘실리케이트계 단열 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의 주원료인 OPC, 생석회, 석고를 분말원료로 사용하는 기존 칼슘실리케이트계 무기단열소재에 비해, OPC 대신에 슬래그를 일부 대체하는 칼슘실리케이트계 무기단열소재의 경우 비중, 열전도율 및 압축강도에 있어서 어떠한 특성을 알아보고, 슬래그 최적 배합비를 얻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한다.
기본 시편 제작
상기 표 2의 배합실험은 OPC를 슬래그와 일부함량을 대체하는 실험으로, 대체량에 따라 강도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목표이며, 추가적으로 열전도율과 비중을 0.045 W/mK, 0.13 g/cm3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열전도율 측정
열전도율(평판열류계법, HC-074, EKO社, Japan)KS L 9016 규격에 따라 상판 35℃, 하판 15℃에서 측정하였다. 열전도율의 단위는 두께 1m인 양면에 1K의 온도 차가 있을 때 그 판의 1m2를 통해서 1초 동안에 흐르는 열량을 줄(joule)로 측정한 값으로 W/mK로 표시된다. 열전도율 시편의 크기는 20㎝x20㎝x3㎝이다.
비중 측정
KS F 2701에 의해 측정에 맞는 조건의 시편을 100℃로 24시간 건조시켜, 시편의 부피와 무게를 측정하여 g/cm3의 단위로 나타낸다.
압축강도 측정
압축강도는 WooJin사의 만능재료시험기 WJ-100S을 이용하여 KS F 2701 규격에 따라 매초 9.8 N/의 재하속도로 측정하였다. 압축강도는 하중을 시험편의 원 단면적(㎠)으로 나눈 값(kgf/)으로 MPa환산하였다. 압축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100이상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킨 시편을 이용하였다.
도 5는 표 2의 조건으로 배합한 슬래그 시멘트 대체 함량 별 압축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a는 양생 후 측정한 결과로 도 5a에서와 같이, 압축강도와 비중은 KS F 2701에 따라 측정하였다. No. 1 ~ No. 6의 배합조건에 따라 슬래그가 줄어들수록 압축강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비중은 양생 3일 0.21g/cm3, 7일 0.18g/cm3 15일 0.15 g/cm3로 기건양생에 따라 다소 건조되면서 비중은 낮아졌으나, 압축강도는 양생일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No. 2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50wt%, 슬래그 305wt%dls 조건에서 15일 압축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5b는 80℃ 24hr 건조 후 측정한 슬래그 시멘트 대체함량 별 압축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도 5a와 동일하게 제작 및 양생되었지만 양생기간에 따른 비중을 0.13 g/cm3 으로 동일하게 건조시켜 압축강도를 측정해 보았다. 건조시 건조수축으로 크랙발생을 유념하여 30℃부터 5시간마다 10℃씩 올려 80℃까지 올려 80℃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비중은 0.13 g/cm3로 낮아졌으나 모든 시편에 건조수축으로 인한 크랙들이 확인되었다. 크랙의 유무와 정도는 시편마다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시편에 따른 압축강도의 재현성이 떨어졌지만 No. 1 배합조건에서 No. 6 배합조건으로 변화에 따라 압축강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No. 1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45wt%, 슬래그 35wt%의 조건에서 15일 압축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는 8,600 g/cm2의 OPC와 6,300 g/cm2의 슬래그 등 표 1의 출발원료를 사용한다.
배합조건은 OPC 50 wt%, 슬래그 30 wt%, 생석회 10 wt%, 무수석고 10 wt%를 혼합수 130 wt%와 전동드릴로 3분간 혼합하여 1차 슬러리를 제조 후, Pore Stabilizer를 0.06wt%(분체대비 외할) 혼입하여 2차 혼합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Al 분말 0.6wt%(분체대비 외할) 혼입하여 3차 혼합을 진행하면 슬래그 혼입형 칼슘실케이트계 무기단열소재의 슬러리가 완성된다.
완성된 슬러리는 몰드에 타설하고 25 ~ 30℃ , 60 ~ 75%의 상대습도를 유지시키면 1시간 이내 Al분말이 발포 및 경화된다. 24시간동안 제작조건에서 양생 후 탈형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맞게 사용한다.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심재(16)는 평판형상으로 평판형상의 내측 및 외측 구조용 패널(12)(14)이 양측면에 접착된다. 접착은 공지의 다양한 접착제(18)를 이용하여 접착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심재(16)와 내측 및 외측 구조용 패널(12)(14)의 접합시에 접합면을 늘력주며 전단결합면의 보강을 위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심재(16)는 양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전체 폭방향으로 일정 형상의 전단홈(161)이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고, 내측 및 외측 구조용 패널(12)(14)에는 전단홈(161)에 대응하는 전단돌기(121)(141)이 형성되도록 하여, 전단홈(161)이 전단돌기(121)(141)에 끼워져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전단홈(161)은 외측의 단면이 좁고 내측의 단면이 넓은 사다리꼴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단돌기(121)(141)은 이에 대응하는 형상의 사다리꼴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결합강도를 높이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은 심재를 시멘트에 제철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슬래그를 시멘트와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초기강도 증진을 통한 시공성 확보와 저가원료 사용을 통한 경제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단열성능을 보강하면서도 강도성능이 우수하게 발현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
12 : 내측 구조용 패널
14 : 외측 구조용 패널
16 : 심재
121, 141 : 전단돌기
161 : 전단홈

Claims (5)

  1.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 45~50wt%, 생석회 10wt%, 슬래그 30~35wt%, 무수석고 10wt%로 이뤄지는 100wt%의 출발원료에 알루미늄 분말을 외할로 0.6wt% 및 Pore Stabilizer 0.06 wt% 혼합하여 배합물을 조성하고, 혼합수 130wt%를 상기 배합물에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여 양생하고 건조하여, 일정 크기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심재(16)와,
    ALC로 형성되어 심재(16)의 양측면에 접착되는 내측 및 외측 구조용 패널(12)(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심재(16)는 양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전체 폭방향으로 일정 형상의 전단홈(161)이 복수개가 형성되고,
    내측 및 외측 구조용 패널(12)(14)에는 전단홈(161)에 대응하는 전단돌기(121)(1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전단홈(161)은 외측의 단면이 좁고 내측의 단면이 넓은 사다리꼴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단돌기(121)(141)은 이에 대응하는 형상의 사다리꼴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심재(16)에서 슬래그는 24.3 wt%의 SiO2, 40.9 wt%의 CaO, 12.8 wt%의 Al2O3, 0.50 wt%의 Fe2O3, 4.0 wt%의 SO3, 6.69wt%의 MgO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심재(16)에서 출발원료에 50.5 wt%의 SiO2와, 29.7 wt%의 CaO와, 1.80 wt%의 SO3를 추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
KR1020170160949A 2017-11-28 2017-11-28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 KR20190062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949A KR20190062000A (ko) 2017-11-28 2017-11-28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949A KR20190062000A (ko) 2017-11-28 2017-11-28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000A true KR20190062000A (ko) 2019-06-05

Family

ID=6684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949A KR20190062000A (ko) 2017-11-28 2017-11-28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20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930B1 (en) 2001-12-26 2003-01-15 Lucky Day Information & Comm C Current inducing switc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930B1 (en) 2001-12-26 2003-01-15 Lucky Day Information & Comm C Current inducing swi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811B1 (ko) 내화성 및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가진 무기질 발포 모르타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기질 발포 모르타르의 보수공법
US20130280518A1 (en) Building material and building system element as well as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CN101139188A (zh) 一种节能保温砌筑砂浆及其制备方法
KR100975644B1 (ko) 흑연발포폴리스티렌 비드를 사용한 경량콘크리트 패널
CN103276826A (zh) 无机复合a级不燃保温板及其制备方法
KR101814653B1 (ko) 단열 방음용 초경량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3754B1 (ko) 건축용 고강도 내화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81753B1 (ko) 균열 자기치유 기능이 구비된 콘크리트 미세 균열보수용 균열크리너
KR20100003920A (ko) 고강도 발포유리 및 그 제조방법
CN100535351C (zh) 球硅复合建筑保温材料及其制造方法
KR101172820B1 (ko) Eps 코팅 경량골재를 이용한 난연성 경량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
WO2008020561A1 (fr) Procédé destiné à produire de la mousse de ciment magnésien durcie, mousse durcie obtenue par ce procédé, et objet moulé comprenant l'objet durci
KR102034611B1 (ko) 방수형 기포콘크리트 블록의 습식 제조방법
KR100813152B1 (ko) 단열 및 내화성능이 향상된 흑연발포폴리스티렌 비드를사용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9437802B (zh) 一种硫铝酸盐水泥装配式一体化内墙及其制备方法
US9284725B2 (en) Stable compositions for use as building and construction materials
CN109403537B (zh) 一种火山渣混凝土复合自保温砌块
KR20190062000A (ko) 슬래그 혼입형 무기단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패널
KR20180030372A (ko) 플라이애쉬와 팽창암석을 사용한 고강도 불연성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9957197B1 (en) Porous geopolymers
KR102136467B1 (ko) 슬래그 혼입 및 연결 유닛을 이용한 단열기능 일체형 구조용 패널
KR102158500B1 (ko) 바텀애시 골재와 기포를 이용한 저탄소 단열 콘크리트
US20230111461A1 (en) Mineral binder
KR102091308B1 (ko) 복합단열패널의 횡력보강 시공방법
KR100957674B1 (ko) 건축용 경량 복합 재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