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708A - 분리망 구조물 - Google Patents

분리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708A
KR20190061708A KR1020170160369A KR20170160369A KR20190061708A KR 20190061708 A KR20190061708 A KR 20190061708A KR 1020170160369 A KR1020170160369 A KR 1020170160369A KR 20170160369 A KR20170160369 A KR 20170160369A KR 20190061708 A KR20190061708 A KR 20190061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eparation
larvae
separating
br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2646B1 (ko
Inventor
송순철
Original Assignee
송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순철 filed Critical 송순철
Priority to KR1020170160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64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Abstract

본 발명은 사육하는 유충과 먹이와 같이, 곤충과 혼용된 혼용물질에서 곤충을 분리해 내는 분리망 구조물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갈색거저리 유충과 밀기울의 혼합 사육배양지에서 밀기울을 분리하는 과정에 사용되는 분리용 채반의 구조를 메쉬구조가 아니라 돌출형 입체 구조로 구현되는 분리홀부를 구비하여 갈색거저리 유충의 머리가 메쉬망 하부에 끼워지는 현상을 현저하게 일소할 수 있어 손쉽고 안전한 분리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망 구조물{Separation net for yellow mealworm beetle}
본 발명은 사육하는 유충과 먹이와 같이, 곤충과 혼용된 혼용물질에서 곤충을 분리해 내는 분리망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L., yellow mealworm beetle)는 전 세계에 분포하며 야생에서 보통 1년 1세대 경과 하지만 환경조건에 따라서 1년 2세대, 2년 1세대를 경과 하고, 실내 사육시 평균 1년 3~4세대 경과 하며 최대 6세대까지 사육할 수 있다(Liu et al., 2011). 밀웜이라고 불리는 갈색거저리 유충은 저장곡물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관리조건의 개선과 관리수준이 높아지면서 야생으로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Liu et al., 2011).
일반적인 딱정벌레목(Coleoptera) 유충은 3~5령을 경과하지만 불규칙적으로 영기를 경과하는 딱정벌레목은 갈색거저리를 포함하여 7과(Family) 21종(Species)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Esperk et al., 2007).
특히, 갈색거저리 유충은 12~24령 까지 매우 불규칙적으로 영기를 경과 하며, 건조 조건일 경우 평균 15령 이상을 경과 하고, 적정 습도(65~75%) 조건의 경우 12~14령을 경과 하나 평균적으로 13령을 경과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Connat et al., 1991; Ludwig, 1956; Ludwig and Fiore, 1960; Murray, 1968; Tyshchenko and Ba, 1986;Urs and Hopkins, 1973; Weaver and Mcfarlane, 1990).
거저리과 유충의 대부분은 애완용 새나 물고기 또는 고슴도치 등의 먹이로 쓰이며, 그 중에서도 갈색거저리 유충이 가장 많이 이용된다. 즉, 갈색거저리는 풍부한 지방, 단백질, 다양한 종류의 아미노산, 불포화지방산,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으며, 필수 아미노산 함량은 돼지고기, 양고기, 콩보다 높고, 쇠고기, 생선과 비슷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갈색거저리는 짧은 생활사와 강한 생존율 때문에 낮은 사료비로 사육이 가능하며, 사육시 평소에 거의 사용되지 않는 밀집과 오래된 배추 잎을 먹이원으로 쓸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국내에서는 10 여년 전부터 애완동물의 사료로서 많이 활용되었고, 곤충애호가들이나 동물원 등에서 사육하기 시작하면서, 최근 사료용 곤충으로서 여러가지 장점으로 인해 상업화를 목적으로 대량 증식하는 농가가 생겨나고 있다. 나아가 최근 이러한 갈색거저리는 갈색거저리 유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사료용 조성물 등으로 활발하게 그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다.
밀기울을 주식으로 하는 저작형의 구기를 가진 거저리과 유충의 경우, 밀기울과 알이 혼합된 형태로 사육이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알 - 유충 - 번데기 - 성충 단계를 거치며 식용으로 사용되는 유충(고소애/밀웜)은 3-4개월 동안 12회의 탈피를 하며 먹이원으로는 밀기울을 주성분으로 사육된다.
유충의 성장을 위해 투입된 먹이원을 3개월 이후 제품생산을 위해 유충과 먹이원과의 분리를 위한 분리 작업이 수행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도 1과 같은 이미지에서와 같이, 메쉬형 거름 채반(M)과 같은 구조물을 이용하여 먹이 잔여물을 채반으로 분리하고, 도 2의 이미지와 같이 채반 표면에 거저리 유충만을 남기는 방식으로 분리하는 전통적인 방법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채반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메쉬형 구조물을 가진 거름망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는 유충의 먹이인 밀기울이 메쉬 구조물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는 과정에서, 밀기울의 머리가 채반의 구멍으로 끼워지게 되는 사례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이는 유충의 머리가 분리되는 등으로 상품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되고 있다.
도 3은 이러한 채반구조물의 평면 개념도로, 갈색거저리 유충은 머리(H)가 몸통(M)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머리 부분을 채반의 구멍(a1)으로 들이미는 습성이 있으며, 채반의 거름 동작에서 쉽게 머리부분이 구멍에 끼워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바, 채반작업이 어려워지게 되는 한편, 대량생산을 위한 자동화 작업에도 이를 도입하기가 어려워진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4189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갈색거저리 유충과 밀기울의 혼합 사육배양지에서 밀기울을 분리하는 과정에 사용되는 분리용 채반의 구조를 메쉬구조가 아니라 돌출형 입체 구조로 구현하여 갈색거저리 유충의 머리가 메쉬망 하부에 끼워지는 현상을 현저하게 일소할 수 있어 손쉽고 안전한 분리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하며, 갈색거저리 유충의 훼손이 매우 적게 되는바, 고속 분리를 위해 자동화시스템에 도입이 가능하게 하는 분리망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일면(111)과 상기 일면(111)에 대향하는 타면(112)을 구비하는 분리망 몸체(110); 및 상기 분리망 몸체(10)의 상기 일면(111) 및 상기 타면(112)을 관통하는 분리홀부(120);가 다수 마련되며, 상기 분리홀부(120)는 상기 타면(112)의 하부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1홀(121)과 상기 일면(111)의 표면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2홀(122)이 구비되며, 상기 제1홀(121)의 상부방향을 커버하는 구조의 덮개패턴(140)이 마련되는, 분리망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1홀(121)과 상기 제2혈(122)는 상호 연통하는 구조로 구현되며, 상기 제1홀(121)의 직경(d1)이 상기 제2홀(122)의 직경(d2) 보다 크게 구현되는, 분리망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술한 구조에서의 상기 덮개패턴(140)은 상기 제1홀(121)의 일단부(121a)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홀의 타단부(121b)와는 이격되는 구조로 구현되는, 분리망구조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패턴(140)은 외표면이 곡률을 가지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상기 분리망 구조물은 상기 제1홀(121)의 직경(d1)은 1mm~3mm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갈색거저리 유충과 밀기울의 혼합 사육배양지에서 밀기울을 분리하는 과정에 사용되는 분리용 채반의 구조를 메쉬구조가 아니라 돌출형 입체 구조로 구현되는 분리홀부를 구비하여 갈색거저리 유충의 머리가 메쉬망 하부에 끼워지는 현상을 현저하게 일소할 수 있어 손쉽고 안전한 분리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돌출형 입체구조의 분리홀부를 구비하는 분리채반은 갈색거저리 유충의 훼손이 매우 적게 되는바, 고속 분리를 위해 자동화시스템에 도입이 가능하게 되어, 유충과 먹이의 분리작업의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구현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갈색거저리 유충의 분리 방법을 도시한 이미지 이다.
도 3은 종래의 갈색거지리 유충의 분리방법의 문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갈색거저리 유충을 분리하는 분리망 구조물의 요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망 구조물(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의 평면개념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서 분리홀부의 구조룰 도시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일면(111)과 상기 일면(111)에 대향하는 타면(112)을 구비하는 분리망 몸체(110) 및 상기 분리망 몸체(10)의 상기 일면(111) 및 상기 타면(112)을 관통하는 분리홀부(120)가 다수 마련되며, 상기 분리홀부(120)는 상기 타면(112)의 하부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1홀(121)과 상기 일면(111)의 표면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2홀(122)이 구비되며, 상기 제1홀(121)의 상부방향을 커버하는 구조의 덮개패턴(130)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가느다란 철선이나 플라스틱 선형 구조물의 교차구조로 이루어지는 메쉬구조의 망 구조물이 아니라, 개구부가 상하로 연통되지 않고 연통되는 방향이 상호 상이한 방향으로 구현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분리홀부(120)은 도 5의 구조와 같이, 상기 타면(112)의 하부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1홀(121)과 상기 일면(111)의 표면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2홀(122)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1홀(121)은 하부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이와 연통하는 반대편 개구부인 제2홀(122)는 상부 방향이 아니라 분리망 몸체(110)의 표면방향을 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홀부(120)는 상기 제1홀(121)의 직경(d1)이 상기 제2홀(122)의 직경(d2) 보다 크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밀기울과 유충의 혼합물을 넣고 흔들며 밀기울을 분리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제2홀과 제1홀을 경유하여 손쉽게 밀기울은 분리되지만, 제1홀(121)의 경우 홀의 직경이 작아서 유충이 머리를 끼울수 없게 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직경으로는 상기 제1홀(121)의 직경(d1)은 1mm~3mm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갈색거저리 유충의 경우, 유충의 상품화 단계에 접어든 애벌레(고소애/밀웜)의 경우 몸통의 두께가 5~7mm정도이며, 유충의 머리는 3~4mm가 대부분의 사이즈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유충이 빠져 나갈 수 없는 제1홀의 높이(d2)를 3mm 이하로 구현하는 경우, 유충은 채반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하고 밀기울(먹이원)의 경우 밀의 도정 과정에서 나오는 껍질과 유충의 먹고 남은 밀기울을 효과적으로 아래로 떨어지게 하여 유충과 먹이원(밀기울)과의 분리를 쉽고 간편하며 효율성이 극대화 되도록 하여 작업환경 및 작업공정을 원활하게 이루어 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도 5의 구조와 같이 채반 구조물에서 분리대상이 되는 밀기울이 최초로 진입하는 홀의 방향의 분리망의 표면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제2홀(122)이 구현되게 되는바, 통상 좌우로 흔들며 혼합물이 좌우 이동을 하는 과정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밀기울만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분리홀부(120)의 구조를 구현하는 구성으로서, 덮개패턴(130)을 구현하게 되는데, 상기 덮개패턴(130)은 상기 제1홀(121)의 일단부(121a)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홀의 타단부(121b)와는 이격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연장되는 방향은 타단부(121b)에서 이루어져, 상기 일단부(121)과 이격되는 구조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제2홀의 개구부의 방향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방향으로 모두 한방향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개별적인 제2홀(122)의 방향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구현되거나,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홀(1220이 배치되거나 랜덤하게 배치되는 구성으로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홀(122)의 배치방향이 모두 통일되게 한쪽방향으로만 구현되는 경우는 좌우로 흔드는 작업에 용이하며, 자동화공정에 본 분리망 구조물이 장착되어 자동으로 흔들리는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분리방의 좌우, 상하로 흔들리는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랜덤한 제2홀의 배치 방향으로 구현하는 것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 및 도 7과 같이, 덮개패턴(150)의 외표면에 곡률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좌우 진동이나 상하 진동에 의해 분리대상물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거저리 유충이 덮개패턴과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사람이 손으로 흔드는 경우라면 도 5의 구조로도 분리홀부를 구현할 수 있으나, 자동화기계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덮개패턴에 곡률을 주어 거저리가 충돌하는 경우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분리망몸체나 덮개패턴의 경우 일체형 구조로 구현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평면도와 같이 스테인레스나 합성수지 재질의 분리망몸체에 슬릿패턴을 구현한 이후, 아래에서 위로 슬릿패턴을 밀어 올려 임의대로 덮개부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제품화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임의 가공이 가능한 구조의 제품은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작업에 적용이 가능하게 하며, 유충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제2홀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큰 범용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5 구조를 기반으로 분리망 구조를 구현한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전까지는 제1홀의 구조를 분리망몸체의 표면의 한방향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효율적인 분리구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2홀의 구조는 도 8과 같이 3개 면이 개구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분리망 몸체 표면 방향으로 도 5에서 제1단부(121a)를 제외한 3개 부분이 개구된 제2홀로 구현하는 경우, 먹이울과 같은 물질의 배출 효율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 경우에도 분리홀부의 배치 구조나 제1홀부의 방향의 배치에 대한 다양한 배치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실시예라고 할 것이다.
도 9는 도 8의 횡방향 수직단면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8과 같은 분리망 구조물에 테부리부를 형성하여 채반구조로 구현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10: 분리망 몸체
111: 일면
112: 타면
120: 분리홀부
121:제1홀
122: 제2홀
130, 140, 150: 덮개패턴

Claims (5)

  1. 일면(111)과 상기 일면(111)에 대향하는 타면(112)을 구비하는 분리망 몸체(110); 및
    상기 분리망 몸체(10)의 상기 일면(111) 및 상기 타면(112)을 관통하는 분리홀부(120);가 다수 마련되며,
    상기 분리홀부(120)는 상기 타면(112)의 하부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1홀(121)과 상기 일면(111)의 표면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2홀(122)이 구비되며,
    상기 제1홀(121)의 상부방향을 커버하는 구조의 덮개패턴(130)이 마련되는,
    분리망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홀(121)과 상기 제2혈(122)는 상호 연통하는 구조로 구현되며,
    상기 제1홀(121)의 직경(d1)이 상기 제2홀(122)의 직경(d2) 보다 크게 구현되는,
    분리망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패턴(130)은 상기 제1홀(121)의 일단부(121a)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홀의 타단부(121b)와는 이격되는 구조로 구현되는,
    분리망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덮개패턴(130)은 외표면이 곡률을 가지는 구조로 구현되는,
    분리망 구조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121)의 직경(d1)은 1mm~3mm로 구현되는,
    분리망 구조물.
KR1020170160369A 2017-11-28 2017-11-28 분리망 구조물 KR102072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369A KR102072646B1 (ko) 2017-11-28 2017-11-28 분리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369A KR102072646B1 (ko) 2017-11-28 2017-11-28 분리망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708A true KR20190061708A (ko) 2019-06-05
KR102072646B1 KR102072646B1 (ko) 2020-02-03

Family

ID=6684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369A KR102072646B1 (ko) 2017-11-28 2017-11-28 분리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6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7869B2 (ja) * 1998-04-21 2007-02-07 株式会社タイガーカワシマ 石抜き機
JP4441241B2 (ja) * 2003-11-20 2010-03-31 株式会社明治ゴム化成 大型プラスチック成型品の切断装置及び大型プラスチック成型品のリサイクル装置
KR20110103560A (ko) * 2010-03-15 2011-09-21 홍성표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
WO2012069464A1 (fr) * 2010-11-22 2012-05-31 Sa Comet Traitements Dispositif et procede d'egouttage-rincage de matieres granulaires solides, riches en particules filiformes (i.e. des cables metalliques)
KR101641894B1 (ko) 2014-07-24 2016-07-22 서달근 갈색거저리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7869B2 (ja) * 1998-04-21 2007-02-07 株式会社タイガーカワシマ 石抜き機
JP4441241B2 (ja) * 2003-11-20 2010-03-31 株式会社明治ゴム化成 大型プラスチック成型品の切断装置及び大型プラスチック成型品のリサイクル装置
KR20110103560A (ko) * 2010-03-15 2011-09-21 홍성표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
WO2012069464A1 (fr) * 2010-11-22 2012-05-31 Sa Comet Traitements Dispositif et procede d'egouttage-rincage de matieres granulaires solides, riches en particules filiformes (i.e. des cables metalliques)
KR101641894B1 (ko) 2014-07-24 2016-07-22 서달근 갈색거저리 수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646B1 (ko) 202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ompson Interaction and coevolution
Axtell Poultry integrated pest management: status and future
Bargen et al. Prey finding by larvae and adult females of Episyrphus balteatus
Anderson Advances in insect rearing for research and pest management
Schütz et al. Giant males or dwarf females: what determines the extreme sexual size dimorphism in Lamprologus callipterus?
Li et al. Parental and predatory behaviour of Scytodes sp., an araneophagic spitting spider (Araneae: Scytodidae) from the Philippines
Vangansbeke et al. Establishment of Amblyseius swirskii in greenhouse crops using food supplements
Ulhaq et al. Effect of different artificial diets on the biology of adult green lacewing (Chrysoperla carnea Stephens)
CN109169531B (zh) 适于大豆食心虫防治的黏虫赤眼蜂驯化繁育方法及防治应用
Nomikou et al. Phytoseiid predator of whitefly feeds on plant tissue
Seko et al. Effect of supplementary food containing Artemia salina on the development and survival of flightless Harmonia axyridis in greenhouses
Brockmann Alternative reproductive tactics in insects
Dumont et al. Evidence of genetic basis of zoophagy and nymphal developmental time in isogroup lines of the zoophytophagous mullein bug, Campylomma verbasci
Alghamdi et al.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Chrysoperla carnea (Neuroptera: Chrysopidae) fed on a natural and an alternative prey
Sahayaraj et al. Artificial rearing of reduviid predators for pest management
Durán Prieto et al. Predation by Macrolophus pygmaeus (Hemiptera: Miridae) on Acyrthosiphon pisum (Hemiptera: Aphididae): Influence of prey age/size and predator’s intraspecific interactions
Sarwar Food habits or preferences and protecting or encouraging of native ladybugs (Coleoptera: Coccinellidae)
KR20190061708A (ko) 분리망 구조물
Momen et al. Fungi as food source for the generalist predator Neoseiulus barkeri (Hughes)(Acari: Phytoseiidae)
BE1029373B1 (nl) Methoden voor de toediening van heilzame voedingsstoffen aan ongewervelde dieren door een micro-organisme met een tekort aan antinutriënten
CN107810930A (zh) 一种日本刀角瓢虫的饲养方法
BE1026685B1 (nl) Mijtensamenstelling en werkwijze voor het kweken van mijten
CN111374096A (zh) 一种用于蜡螟幼虫食料偏好性选择的装置及应用
Ponsonby et al. Maximum feeding potential of larvae and adults ofthe scale insect predator, Chilocorus nigrituswith a new method of estimating food intake
Daane et al. Predaceous insects for insect and mite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