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659A - Mobile work table - Google Patents

Mobile work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659A
KR20190061659A KR1020170160271A KR20170160271A KR20190061659A KR 20190061659 A KR20190061659 A KR 20190061659A KR 1020170160271 A KR1020170160271 A KR 1020170160271A KR 20170160271 A KR20170160271 A KR 20170160271A KR 20190061659 A KR20190061659 A KR 20190061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ase
articulated robot
robot
actuator
work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2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9445B1 (en
Inventor
이경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에스이
Priority to KR1020170160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445B1/en
Publication of KR20190061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6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4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9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operating with a working support, e.g.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6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1Cylindrical coordinate type
    • B25J9/042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fluid
    • B25J9/144Linear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work table with a mounted articulated robot and controller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work and freely movable and rearrangeable on a process lin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noble type mobile work table, in which the articulated robot capable of performing work in various directions and at various angles is assembled with a moving base freely movable and rearrangeable on an automation process line, and a lift column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rticulated robot is mounted to further strengthen the functionality of the articulated robot, thereby being freely movable and rearrangeable at a site to be easily treated and managed, being capable of showing various and stable functions, and having a small volume and occupation space with mobility characteristics to be advantageous in designing a site layout.

Description

이동식 워크 테이블{MOBILE WORK TABLE}Movable work table {MOBILE WORK TABLE}

본 발명은 이동식 워크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관절 로봇과 컨트롤러를 탑재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공정 라인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 및 재배치가 가능한 이동식 워크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work t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vable work table capable of carrying out various operations by mounting a multi-joint robot and a controller, and freely moving and rearranging on a process line.

일반적으로 다관절 로봇(articulated robot)은 팔이 3개 이상의 회전 관절을 가지는 로봇으로서, 사람의 어깨, 팔, 팔꿈치, 손목의 관절을 본떠서 만든 산업용 로봇으로 사람이 하는 움직임과 비슷하게 움직일 수 있다.In general, articulated robots are robots with arms with three or more revolving joints, which are similar to the movements of human beings with industrial robots made of human shoulders, arms, elbows and wrist joints.

이러한 다관절 로봇은 행동이 빠르고 공간도 적게 차지하며 동작 범위도 넓어서 자동화 공장 생산설비의 조립 작업이나 도장(塗裝), 용접 등에 사용한다.These articulated robots are fast acting, have a small space, and have a wide operating range, so they are used for assembling, painting and welding of automation plant production facilities.

일 예로서, 한국 공개특허 10-2011-0028268호에는 반도체 웨이퍼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다관절 로봇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때의 다관절 로봇은 자외선 조사 유닛의 스윙 동작에 대응하여, 접착시트의 접착제층 면이 초점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웨이퍼를 변위시키는 역할을 한다. As one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28268 discloses a articulated robot as a moving means for displaceably supporting a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a semiconductor wafer, wherein the articulated robot includes a swing motion And serves to displace the wafer so that the adhesive layer side of the adhesive sheet does not deviate from the focus axis.

다른 예로서, 한국 공개특허 10-2008-0081197호에는 관절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는 다관절 로봇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때의 다관절 로봇은 유리 기판이나 반도체 웨이퍼 등의 얇은 판 형상의 피작업물을 스토커(stocker)에 출납하는 역할을 한다. 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8-0081197 discloses a articulated robot that is rotatably driven by a joint part, and the articulated robot at this time is a robot that can be used for a work such as a glass substrate or a semiconductor wafer, To the stocker.

또 다른 예로서, 한국 공개특허 10-1998-0005347호에는 반도체 제조용 물류를 반송시키는 라인 상에 설치되는 다관절 로봇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때의 다관절 로봇은 포트에 위치된 물류를 파지하여 공정설비로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역할을 한다. 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8-0005347 discloses a articulated robot mounted on a line for transporting goods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 this case, the articulated robot grasps the logistics located in the port,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기존의 산업용 다관절 로봇들은 자동화 공정 라인 상에 배치하여 각종 자재나 부품들을 픽업한 후에 이송시켜주거나 로딩 및 언로딩시켜주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고정된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관계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데 제약이 있고, 다양한 자동화 공정 라인에서 요구하는 모션 특성, 공간 점유율 등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측면에서 미흡한 점이 있다. In this way, the conventional industrial articulated robots are arranged on the automated process line to pick up various materials or parts and then transport them, or perform loading and unloading function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performing various tasks due to the execution of the tasks, and there is insufficient in terms of efficiently coping with the motion characteristics and space occupation required in various automation process lines.

한국 공개특허 10-2011-002826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28268 한국 공개특허 10-2008-008119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81197 한국 공개특허 10-1998-000534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8-0005347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다양한 방향과 각도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관절 로봇과 자동화 공정 라인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 및 배치가 가능한 무빙 베이스를 조합하는 한편, 다관절 로봇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리프트 칼럼을 탑재하여 다관절 로봇의 기능성을 한층 강화시킨 새로운 형태의 이동식 워크 테이블을 구현함으로써, 현장에서 자유로운 이동 및 배치가 가능하여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하고, 다양한 기능과 안정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이동 특성과 함께 부피가 작고 공간을 많이 점유하지 않아 현장 레이아웃 설계에 유리한 점이 있는 이동식 워크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joint robot capable of performing operations in various directions and angles and a moving base capable of freely moving and placing on an automated process line, The new type of movable worktable that enhances the functionality of the articulated robot is equipped with lift column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robot, making it possible to freely move and place on the field, making it easy to handle and manag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able work table in which the volume is small and the space is not occupied so much that it is advantageous in the layout layout desig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동식 워크 테이블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vable work tabl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상기 이동식 워크 테이블은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바퀴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 박스형의 무빙 베이스와, 상기 무빙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관절 로봇과, 상기 무빙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로봇 등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와, 상기 무빙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다관절 로봇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리프트 칼럼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movable work table includes a box-shaped moving base capable of freely moving using a plurality of wheels mount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 multi-joint robo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ase, and a robot, And a lift column installed inside the moving base for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multi-joint robot.

여기서, 상기 리프트 칼럼은 무빙 베이스의 내부 일측에 수직 자세로 설치되면서 로드를 통해 다관절 로봇을 받치고 있는 로봇 어댑터의 저면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둘레에 수직자세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무빙 베이스의 상판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부시에 끼워져 슬라이드됨과 더불어 상단을 통해 로봇 어댑터의 저면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lift column includes an actuator connect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robot adapter supporting the articulated robot through a rod in a vertical posture on one side of the moving base, and an actuator connected to the actuator, And a plurality of guide bars that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bushes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of the robot adapter and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obot adapter through upper ends thereof.

이러한 리프트 칼럼은 액추에이터 및 가이드 바의 상단부분 둘레를 감싸는 자세로 배치됨과 더불어 로드 어댑터의 저면과 상판의 윗면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액추에이터의 상승 및 하강 작동 시에 신축되면서 액추에이터 및 가이드 바의 상단부분 둘레를 마감하는 벨로우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ift column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upper portion of the actuator and the guide bar, a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od adapt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When the actuator is lifted and lowered, The bellows may further include a bellows to terminate the perimeter.

그리고, 상기 이동식 워크 테이블은 무빙 베이스의 전면판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다관절 로봇측으로 제공되는 에어를 단속함과 더불어 다관절 로봇 비상 정지 시에 내부 배관라인에 남아있는 잔류 에어압력을 강제로 제거할 수 있으며, 외부 배관라인과 내부 배관 라인에 각각 연결되면서 서로 연통되는 구조의 에어 유니트와 개폐 밸브, 그리고 개폐 밸브를 강제로 오픈시킬 수 있는 수동 노브로 구성되는 잔압 제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ovable work table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ront plate of the moving base to intercept the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articulated robot and to remove the residual air pressure remaining in the internal piping line during the emergency stop of the articulated robot And may further include a residual pressure removing device composed of an air unit having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iping line and the internal piping line and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 on-off valve, and a passive knob capable of forcibly opening the on- .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무빙 베이스에는 전면판의 오픈 부위를 통해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각종 공구류를 보관할 수 있는 서랍이 설치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moving base may be provided with a drawer capable of storing and retrieving various tools through an open portion of a front plate.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동식 워크 테이블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movable work tabl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여러 방향과 각도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관절 로봇과 이동 및 배치가 자유로운 무빙 베이스를 조합한 새로운 이동식 워크 테이블을 적용함으로써, 자동화 공정 라인에서 자유롭게 이동 및 배치가 가능함과 더불어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하고, 각 공정 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By applying a new movable worktable that combines a multi-joint robot that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in various directions and angles and a moving base with free movement and placement, it is possible to freely move and place in an automated process line, It is easy to manage and the efficiency of each process operation can be improved.

2) 무빙 베이스에 탑재되어 있는 리프트 칼럼을 이용하여 다관절 로봇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다관절 로봇의 기능성과 성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 By applying a method of fre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rticulated robot using the lift column mounted on the moving base, the functionality and performance of the articulated robot can be further improved.

3) 이동식 워크 테이블의 부피가 작고 공간 점유율이 낮아 현장 레이아웃 설계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3) Since the movable worktable has a small volume and a low space occupancy rate, it has an advantageous effect on the layout design of the site.

4) 이동식 워크 테이블의 비상 정지 시 배관에 잔류하고 있는 에어 압력을 배출시킬 수 있는 잔압제거 유니트를 적용함으로써, 다관절 로봇의 세팅 및 취급이 간편하고, 따라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4) By applying the residual pressure relief unit that can discharge the air pressure remaining in the piping during emergency stop of the movable worktable, the setting and handling of the articulated robot is simple,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is improved have.

5) 다관절 로봇의 컨트롤을 위한 제어 플랫폼 및 모션 컨트롤 알고리즘을 탑재함과 더불어 다양한 통신기술을 접목시켜 각종 자동화 설비 및 주변기기와 쉽게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5) It is equipped with control platform and motion control algorithm for control of articulated robots,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interface with various automation equipment and peripherals by combining various communication technologies.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워크 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워크 테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워크 테이블에서 리프트 칼럼의 상승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워크 테이블에서 잔압제거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1 to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ovable work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ovable work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ft operation state of a lift column in a movable work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sidual pressure removing unit in a movable work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워크 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워크 테이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S. 1 to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ovable work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movable work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식 워크 테이블은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바퀴(10)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 박스형의 무빙 베이스(11)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7, the movable work table includes a box-shaped moving base 11 which can freely move using a plurality of wheels 1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무빙 베이스(11)는 전면판(16)과 후면판(19), 양쪽의 측면판(20a,20b), 그리고 상판(15)과 바닥판(21)의 조립식으로 이루어진 박스형 구조물로 이루어지게 되며, 그 내부 공간에는 컨트롤 박스(13), 리프트 칼럼(14) 등이 설치된다.The moving base 11 is formed of a box-like structure made up of a front plate 16 and a rear plate 19, side plates 20a and 20b on both sides, and an upper plate 15 and a bottom plate 21 A control box 13, a lift column 14, and the like ar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특히, 상기 무빙 베이스(11)의 저면, 즉 바닥판(21)에는 복수 개의 바퀴(10), 예를 들면 3개의 바퀴(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무빙 베이스(11)는 각종 공정 라인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 및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Particularly, the bottom of the moving base 11, that is, the bottom plate 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10, for example, three wheels 10, So that it is possible to move and arrange it freely.

이러한 무빙 베이스(11)의 바닥판(21)에는 각 모서리 부위에 4개 정도의 스톱퍼(22)가 설치되며, 이때의 스톱퍼(22)는 나사 조작을 통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무빙 베이스(11)를 원하는 곳에 위치시킨 후 바닥의 기울기에 맞게 무빙 베이스(11)의 높낮이를 조절한 다음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bottom plate 21 of the moving base 11 is provided with about four stoppers 22 at each corner thereof. The stopper 22 at this time is of a type that can adjust its height by screwing, It is possible to use the moving base 11 in a state where the moving base 11 is positioned at a desired position and then the height of the moving base 11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floor and then fixed.

이때의 상기 무빙 베이스(11)의 상판(15)에는 사각의 로드 홀(23)이 형성되는 동시에 로드 홀(23)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바 홀(24)이 형성되며, 이때의 로드 홀(23)과 바 홀(24)은 다관절 로봇측으로 연결되는 액추에이터(14b)의 로드와 가이드 바(14d)를 각각 관통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a square rod hole 23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15 of the moving base 11 and a plurality of bar holes 24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d hole 23. At this time, 23 and the bar hole 24 can be used to penetrate the rod of the actuator 14b connected to the articulated robot side and the guide bar 14d, respectively.

이와 더불어, 상기 무빙 베이스(11)의 전면판(16)에는 윗쪽 2곳에 서랍 홀(25)과 포트 홀(26)이 형성되는 동시에 아래쪽에 일측의 배관 홀(27)을 가지는 사각의 홈부(28)가 각각 형성된다. In addition, a drawer hole 25 and a port hole 26 are formed in the upper two places on the front plate 16 of the moving base 11, and a rectangular groove 28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서랍 홀(25)과 포트 홀(26)은 각각 서랍(18)을 수납 및 인출시키는 용도와 유틸리티 컨트롤 박스(13b)의 각종 포트(29)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되고, 상기 홈부(28) 내에는 잔압제거 유니트(17)가 설치될 수 있게 된다. The drawer hole 25 and the port hole 26 can be used for storing and withdrawing the drawer 18 and for exposing various ports 29 of the utility control box 13b to the outside , And a residual pressure removing unit (17) can be installed in the groove (28).

그리고, 상기 무빙 베이스(11)의 전면판(16)에는 리프트 칼럼(14)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29)가 설치되며, 이때의 스위치(29)는 상승 및 하강 조작이 가능한 셀렉트 스위치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 switch 29 for operating the operation of the lift column 14 is provided on the front plate 16 of the moving base 11. The switch 29 is a select switch type ≪ / RTI >

예를 들면, 상기 스위치(29)의 윗부분을 누르게 되면 액추에이터(14b)의 로드가 상승하게 됨과 더불어 아랫부분을 누르게 되면 액추에이터(14b)의 로드가 하강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upper part of the switch 29 is pressed, the rod of the actuator 14b is raised and, when the lower part is pressed, the rod of the actuator 14b is lowered.

여기서, 상기 스위치(29)의 경우 윗부분 또는 아랫부분을 계속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상승 또는 하강 작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또 손을 떼는 시점에서 상승 및 하강 작동이 멈추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 / down operation is continuously performed while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switch 29 is continuously depressed, and the up and down operation is stopped at the time of releasing the hand.

한편, 상기 무빙 베이스(11)에는 전면판(16)과 양쪽 측면판(20a,20b)에 각각 손잡이(30)가 설치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손잡이(30)를 잡고 손쉽게 무빙 베이스(11)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A grip 30 is provided on the front plate 16 and both side plates 20a and 20b of the moving base 11 so that the operator can grip the grip 30 and easily move the moving base 11 .

또한, 상기 이동식 워크 테이블은 무빙 베이스(11)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관절 로봇(12)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ovable work table includes a articulated robot 12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ase 11.

상기 다관절 로봇(12)은 3개 이상의 회전 관절을 가지는 암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X축, Y축, Z축, θ방향 등 다양한 방향과 각도로 동작이 가능한 로봇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e articulated robot 12 includes an arm having three or more rotating joints, and can be configured as a robot capable of operating in various directions and angles, such as X-axis, Y-axis, Z-axis,

이러한 다관절 로봇(12)의 하단 로봇 베이스(31)는 리프트 칼럼(14)의 상면에 체결 구조로 결합되며, 이때의 다관절 로봇(12)은 리프트 칼럼(14)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The lower robot base 31 of the articulated robot 12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 column 14 and the articulated robot 12 is supported by the lift column 14 do.

이러한 다관절 로봇(12)에는 픽 앤 플레이스 동작을 위한 그립퍼(미도시) 등이 부착될 수 있으며, 이때의 그립퍼 등은 컨트롤 박스(13)측으로부터 전원이나 에어 등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A gripper (not shown) or the like for pick and place operation can be attached to the articulated robot 12, and the gripper or the like can receive power or air from the control box 13 side.

여기서, 상기 다관절 로봇(12)은 공지의 다관절 로봇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작동 특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 since the articulated robot 12 can be a known articulated robot, its detailed oper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또한, 상기 이동식 워크 테이블은 무빙 베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어 로봇 등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13)를 포함한다. The movable work table includes a control box 13 installed inside the moving base 11 for controlling the robot or the like.

상기 컨트롤 박스(13)는 로봇 제어를 위한 로봇 컨트롤 박스(13a)와 각종 편의 기능 제공을 위한 유틸리티 컨트롤 박스(13b)와 리프트 칼럼(14)의 제어를 위한 리프트 칼럼 컨트롤러(13c)로 구성된다.The control box 13 includes a robot control box 13a for controlling the robot and a utility control box 13b for providing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and a lift column controller 13c for controlling the lift column 14. [

이러한 로봇 컨트롤 박스(13a)에는 다관절 로봇(12)의 제어를 위한 각종 제어 플랫폼(미도시), 모션 컨트롤 알고리즘, 로봇 모션 컨트롤을 위한 프로그램 등이 탑재된다.Various control platforms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articulated robot 12, a motion control algorithm, a program for robotic motion control, and the like are mounted on the robot control box 13a.

여기서, 상기 로봇 컨트롤 박스(13a)의 출력 제어에 통해 다관절 로봇(12)을 컨트롤하는 방법 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Here, a method of controlling the articulated robot 12 through the output control of the robot control box 13a and the like can be adopted without being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ethod commonly known in the art.

그리고, 상기 유틸리티 컨트롤 박스(13b)에는 이동식 워크 테이블측에 속해 있는 각종 전장부품에 전원(DC 24V)을 공급하는 SMPS(미도시), 그립퍼 등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진공발생기(미도시) 및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 등이 탑재된다. The utility control box 13b is provided with a vacuum generator (not shown) as means for supplying air to an SMPS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DC 24V) to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belonging to the movable work table, And a solenoid valve (not shown).

특히, 상기 유틸리티 컨트롤 박스(13b)의 전면에는 다수 개의 포트(32)가 설치되며, 이때의 포트(32)들은 무빙 베이스(11)의 전면판(16)에 형성되어 있는 포트 홀(27)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므로서, 이곳에 커플러, 어댑터, 잭, 피팅 등을 연결하여 이들에게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A plurality of ports 32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tility control box 13b and the ports 32 are connected to the port holes 27 formed on the front plate 16 of the moving base 11 And thus it can be used to supply couplers, adapters, jacks, fittings, and the like to supply air thereto.

그리고, 상기 유틸리티 컨트롤 박스(13b)의 측면부 일측에는 에어 인렛 포트(36)가 설치되며, 이때의 에어 인렛 포트(36)는 후술하는 잔압제거 유니트(17)측과 에어 배관(미도시)으로 연결되므로서, 잔압제거 유니트(17)측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유틸리티 컨트롤 박스(13b)측에 제공될 수 있게 된다. An air inlet port 36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ide of the utility control box 13b and the air inlet port 36 is connected to the residual pressure eliminating unit 17 side to be described later by an air pipe So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residual pressure elimination unit 17 side can be supplied to the utility control box 13b side.

이와 같은 컨트롤 박스(13)의 로봇 컨트롤 박스(13a)와 유틸리티 컨트롤 박스(13b), 그리고 리프트 칼럼 컨트롤러(13c)는 무빙 베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는 3단 프레임 구조의 테이블(33)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robot control box 13a, the utility control box 13b and the lift column controller 13c of the control box 13 are connected to a table 33 of a three-stage frame structure provided inside the moving base 11 And is mounted in a supported structure.

예를 들면, 상기 로봇 컨트롤 박스(13a)는 테이블(33)의 아래쪽 3단 선반에 얹혀져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유틸리티 컨트롤 박스(13b)와 리프트 칼럼 컨트롤러(13c)는 테이블(33)의 중간 2단 선반에 얹혀져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the robot control box 13a can be installed on the lower three-tier shelves of the table 33, and the utility control box 13b and the lift column controller 13c can be installed on the table 33 on the second intermediate stage shelf.

한편, 상기 테이블(33)의 윗쪽 1단 선반에는 서랍(18)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의 서랍(18)은 무빙 베이스(11)의 전면판(16)에 형성되어 있는 서랍 홀(25)을 통해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A drawer 18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first stage shelf of the table 33. The drawer 18 may be a drawer hole 25 formed in the front plate 16 of the moving base 11,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received and drawn out.

이러한 서랍(18)은 공구, 각종 디바이스 등 이동식 워크 테이블 운용에 필요한 각종 작업공구를 넣어두고 필요 시에 꺼내어 쓰는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Such a drawer 18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putting various working tool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a movable work table such as a tool and various devices, and taking it out when necessary.

또한, 상기 이동식 워크 테이블은 무빙 베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어 다관절 로봇(12)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리프트 칼럼(14)을 포함한다. The movable work table is provided inside the moving base 11 and includes a lift column 14 as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rticulated robot 12.

상기 리프트 칼럼(14)은 실린더 타입 등과 같은 액추에이터(14b)의 동력을 이용하여 다관절 로봇(12)의 높이를 공정 라인의 작업 여건이나 환경에 맞게 적절히 조절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lift column 14 functions to appropriately adjust the height of the articulated robot 12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 of the process line by using the power of the actuator 14b such as a cylinder type.

여기서, 상기 리프트 칼럼(14), 즉 실질적으로 승하강 작동을 주도하는 액추에이터(14b)는 컨트롤 박스(13)의 로봇 컨트롤 박스(13a)측이나 리프트 칼럼 컨트롤러(13c)측에 의한 출력 제어를 받아 작동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lift column 14, that is, the actuator 14b that drives the substantially up-and-down movement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robot control box 13a side or the lift column controller 13c side of the control box 13 It becomes possible to operate.

이를 위하여, 상기 무빙 베이스(11)의 내부 뒷쪽, 예를 들면 앞쪽으로 설치되어 테이블(33)의 바로 뒷쪽에는 수직의 포스트(34)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포스트(34)의 상단부에는 액추에이터(14b)가 체결 구조에 의해 수직 설치된다. For this, a vertical post 34 is provided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moving base 11, for example, on the front side of the table 33, and an upper end of the post 34 is provided with an actuator 14b are vertically installed by the fastening structure.

즉, 상기 액추에이터(14b)는 포스트(34)에 의해 지지되면서 로드(14f)를 윗쪽으로 한 수직 자세로 설치한다.That is, the actuator 14b is supported by the posts 34, and the rod 14f is installed in a vertically upward position.

이러한 액추에이터(14b)의 로드(14f)는 다관절 로봇(12)의 로봇 베이스(31)를 받치고 있는 원판형 판체 형태의 로드 어댑터(14a)의 저면에 체결구조로 연결된다. The rod 14f of the actuator 14b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od-shaped plate-like rod adapter 14a supporting the robot base 31 of the articulated robot 12 with a fastening structure.

이때, 상기 액추에이터(14b)의 로드(14f)는 무빙 베이스(11)의 상판(15)에 있는 로드 홀(23)을 관통한 후에 로드 어댑터(14a)의 저면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rod 14f of the actuator 14b can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od adapter 14a after passing through the rod hole 23 in the upper plate 15 of the moving base 11.

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14b)의 작동 시 로드 어댑터(14a) 및 로봇 베이스(31)를 포함하는 다관절 로봇(12) 전체가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그 높이가 가변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actuator 14b operates, the entire articulated robot 12 including the rod adapter 14a and the robot base 31 can be raised or lowered, and the height thereof can be varied.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압, 유압, 전기 등을 동력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4b)가 정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 로드(14f)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로드 어댑터(14a) 및 로봇 베이스(31)를 포함하는 다관절 로봇(12) 전체가 위로 상승할 수 있게 되고, 액추에이터(14b)가 역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 로드(14f)가 하강하게 되면서 로드 어댑터(14a) 및 로봇 베이스(31)를 포함하는 다관절 로봇(12) 전체가 아래로 하강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when the actuator 14b, which is powered by pneumatic, hydraulic, electric or the like, is actu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rod 14f is raised, The entire articulated robot 12 including the robot base 31 can be lifted up and when the actuator 14b is oper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rod 14f descends and the rod adapter 14a and the robot base 14b The entire articulated robot 12 including the robot 31 can be lowered downward.

그리고, 상기 다관절 로봇(12)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을 안내하기 위한 수단으로 복수 개의 가이드 바(14d)가 마련된다.A plurality of guide bars 14d are provided as means for guiding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of the articulated robot 12.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바(14d)는 액추에이터(14b)의 둘레에 수직자세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무빙 베이스(11)의 상판(15)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가이드 부시(14c)에 끼워져 상하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The plurality of guide bars 14d are arranged in a vertical posture on the periphery of the actuator 14b so that the guide bars 14d are fitted to the respective guide bushes 14c provided on the upper plate 15 of the moving base 11, Respectively.

이렇게 설치되는 가이드 바(14d)의 상단부는 무빙 베이스(11)의 상판(15)에 형성되어 있는 바 홀(24)을 관통한 후에 로드 어댑터(14a)의 저면에 체결구조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The upper end of the guide bar 14d thus installed can pass through the bar hole 24 formed in the upper plate 15 of the moving base 11 and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od adapter 14a with a fastening structure.

여기서, 상기 가이드 바(14d)는 액추에이터(14b)의 둘레를 따라 90°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guide bars 14d are preferably arrang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actuator 14b.

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14b)의 작동에 의해 로드 어댑터(14a) 및 로봇 베이스(31)를 포함하는 다관절 로봇(12) 전체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 가이드 바(14d)에 의한 승하강 안내를 받게 되므로서, 정확한 상승 또는 하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entire articulated robot 12 including the rod adapter 14a and the robot base 31 is raised or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14b, the upward and downward guidance by the guide bar 14d So that an accurate ascending or descen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특히, 승하강 작동 부위의 외부 노출 방지 및 이물질 침입 방지 등을 위한 수단으로 플렉시블한 주름관 형태의 벨로우즈(14e)가 마련된다.In particular, a bellows 14e in the form of a flexible bell-tube is provided as means for preventing external exposure of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part and for preventing intrusion of foreign matter.

이를 위하여, 상기 벨로우즈(14e)는 플랙시블한 원형 주름관 형태로서, 액추에이터(14b) 및 가이드 바(14d)의 상단부분 둘레를 감싸는 자세로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되는 벨로우즈(14e)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로드 어댑터(14a)의 저면과 상판(15)의 윗면 사이에 연결 설치된다. The bellows 14e is in the form of a flexible circular bellows and is disposed in a posture to wrap around the upper ends of the actuator 14b and the guide bar 14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ellows 14e, Are respectively connect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d adapter 14a and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15. [

이때, 상기 벨로우즈(14e)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스틸 소재의 원형 링(14g)이 각각 부착되며, 이에 따라 벨로우즈(14e)는 원형 링(14g)을 이용하여 로드 어댑터측과 상판측에 체결구조로 연결 설치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ellows 14e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round rings 14g made of steel, so that the bellows 14e is fastened to the rod adapter side and the upper plate side using a circular ring 14g Connection can be established.

따라서, 상기 벨로우즈(14e)는 액추에이터(14a)의 상승 및 하강 작동 시에 신축되면서 액추에이터(14b) 및 가이드 바(14d)의 상단부분 둘레를 마감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bellows 14e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dur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actuator 14a to close the upper ends of the actuator 14b and the guide bar 14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워크 테이블에서 잔압제거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sidual pressure removing unit in a movable work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잔압제거 유니트(17)는 다관절 로봇(12)에 취부되는 각종 디바이스, 예를 들면 그립퍼 등과 같은 디바이스측에 에어를 공급하고 또 에어를 차단하며 또 잔류 에어를 강제 배기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9, the residual pressure removing unit 17 supplies air to various devices such as a gripper or the like attached to the articulated robot 12, blocks the air, So that it can be forcedly exhausted.

이를 위하여, 상기 잔압제거 유니트(17)는 에어 배관(미도시)을 통해 서로 직결되어 일체식 구조를 이루는 에어 유니트(17a)와 개폐 밸브(17b)를 포함하며, 무빙 베이스(11)의 전면판(16)에 있는 홈부(28) 내에 위치되면서 브라켓(35)을 통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residual pressure removing unit 17 includes an air unit 17a and an on-off valve 17b which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air pipe (not shown) And is supported by the bracket 35 while being positioned in the groove 28 in the base 16.

상기 에어 유니트(17a)는 일종의 에어 레귤레이터로서 에어 속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를 제거하는 역할과 에어 압력을 감압하는 역할 등을 하게 된다. The air unit 17a serves as a kind of air regulator for removing moisture contained in air and for reducing air pressure.

상기 개폐 밸브(17b)는 일종의 첵 밸브로서, 컨트롤 박스(13)의 유틸리티 컨트롤 박스(13b)측으로 공급되는 에어를 일방향으로만 단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on / off valve 17b is a kind of check valve, and functions to intermit the air supplied to the utility control box 13b of the control box 13 only in one direction.

즉, 상기 개폐 밸브(17b)는 유입구(17d)측에서 배출구(17e)측으로 에어를 상시 흐르게 하고, 배출구(17e)측에서 유입구(17d)측으로 역류하는 에어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at is, the on-off valve 17b functions to flow the air at the inlet 17d side toward the outlet 17e at all times and to block the air flowing backward from the outlet 17e to the inlet 17d.

그리고, 상기 에어 유니트(17a)에는 외부의 콤프레서(미도시) 등으로부터 연장되는 호스(미도시)와 연결되는 유입구(17d)가 형성되는 동시에 유틸리티 컨트롤 박스(13b)에 있는 에어 블록(36)측과 에어 배관을 매개로 연결되는 배출구(17e)가 형성된다. An inlet 17d connected to a hose (not shown) extending from an external compressor (not shown) or the like is formed in the air unit 17a and an air inlet 17d connected to an air block 36 side And an outlet 17e connected through an air pipe are formed.

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17d)를 통해 도입되는 에어가 에어 유니트(17a) 및 개폐 밸브(17b)를 경유한 후에 배출구(17e)를 통해 유틸리티 컨트롤 박스(13b)측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7d can be supplied to the utility control box 13b through the outlet 17e after passing through the air unit 17a and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17b.

이때, 상기 유입구(17d)로부터 연장되는 에어 배관은 홈부(28)에 형성되어 있는 배관 홀(27)을 통해 무빙 베이스(11)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air pipe extending from the inlet 17d can enter the inside of the moving base 11 through the pipe hole 27 formed in the groove 28.

특히, 상기 잔압제거 유니트(17)는 공정 라인의 비상 정지 시나 다관절 로봇(12)의 비상 정지 시에 그립퍼, 에어 배관 등에 남아 있는 에어를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수동 노브(17c)를 포함한다. Particularly, the residual pressure removing unit 17 is provided with a manual knob 17c as means for forcibly discharging the air remaining in the gripper, air piping, etc. during emergency stop of the process line or emergency stop of the articulated robot 12 .

이러한 수동 노브(17c)는 개폐 밸브(17b)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개폐 밸브(17b)의 밸브체(미도시)와 연동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The passive knob 17c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 closing valve 17b, and can be structur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valve body (not shown) of the opening / closing valve 17b.

이에 따라, 비상 정지 시에 작업자가 수동 노브(17c)를 조작하여 개폐 밸브(17b)를 강제 오픈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그립퍼, 에어 배관 등에 잔존하는 에어를 밖으로 빼내어 줌으로써 그립퍼 등의 작동 멈춤 상태를 수작업으로 쉽게 해제하여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ly, in the emergency stop,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manual knob 17c to forcibly open the on-off valve 17b. As a result, the air remaining in the gripper or the air pipe is pulled out to release the operation stop state of the gripper or the lik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released easily by manual operation and follow-up measures can be taken.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관절 로봇과 이동 및 배치가 가능한 무빙 베이스를 조합한 형태의 이동식 워크 테이블을 제공함으로써, 자동화 공정 라인 등과 같은 현장에서 자유롭게 이동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다관절 로봇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리프트 칼럼을 적용함으로써, 다관절 로봇의 기능성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기능성과 안정된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특성을 가지면서 사이즈가 소형이면서 점유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등 현장 레이아웃 설계 시에 유리한 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movable work table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the articulated robot and the moving base capable of movement and placement, it is possible to freely move the work table, In particular, by applying a lift column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rticulated robot, it is possible to secure various functions and stable performance such as enhancement of the functionality of the articulated robot, It is advantageous in designing a site layout such that it is small in size but does not occupy much occupied space.

10 : 바퀴
11 : 무빙 베이스
12 : 다관절 로봇
13 : 컨트롤 박스
13a : 로봇 컨트롤 박스 13b : 유틸리티 컨트롤 박스
13c : 리프트 칼럼 컨트롤러
14 : 리프트 칼럼
14a : 로드 어댑터 14b : 액추에이터
14c : 가이드 부시 14d : 가이드 바
14e : 벨로우즈 14f : 로드
14g : 원형 링
15 : 상판
16 : 전면판
17 : 잔압제거 유니트
17a : 에어 유니트 17b : 개폐 밸브
17c : 수동 노브 17d : 유입구
17e : 배출구
18 : 서랍
19 : 후면판
20a,20b : 측면판
21 : 바닥판
22 : 스톱퍼
23 : 로드 홀
24 : 바 홀
25 : 서랍 홀
26 : 포트 홀
27 : 배관 홀
28 : 홈부
29 : 스위치
30 : 손잡이
31 : 로봇 베이스
32 : 포트
33 : 테이블
34 : 포스트
35 : 브라켓
36 : 에어 인렛 포트
10: Wheel
11: Moving base
12: Multi-joint robot
13: Control box
13a: Robot control box 13b: Utility control box
13c: Lift column controller
14: Lift column
14a: Load adapter 14b: Actuator
14c: guide bush 14d: guide bar
14e: Bellows 14f: Rod
14g: Round ring
15: Top plate
16: front plate
17: Residual pressure removing unit
17a: air unit 17b: opening / closing valve
17c: manual knob 17d: inlet
17e:
18: Drawer
19: Back plate
20a, 20b: side plates
21: bottom plate
22: Stopper
23: Road hole
24: Bar hole
25: Drawer hole
26: Port hole
27: Piping hole
28: Groove
29: Switch
30: Handle
31: Robot base
32: Port
33: Table
34: Post
35: Bracket
36: Air inlet port

Claims (5)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바퀴(10)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 박스형의 무빙 베이스(11);
상기 무빙 베이스(11)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관절 로봇(12);
상기 무빙 베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어 로봇 등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13);
상기 무빙 베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어 다관절 로봇(12)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리프트 칼럼(1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워크 테이블.
A box-type moving base 11 capable of freely moving using a plurality of wheels 10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 joint articulated robot (12)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ase (11);
A control box 13 installed inside the moving base 11 for controlling the robot or the like;
A lift column 14 installed inside the moving base 11 and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articulated robot 12;
Wherein the movable work table compri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칼럼(14)은 무빙 베이스(11)의 내부 일측에 수직 자세로 설치되면서 로드를 통해 다관절 로봇(12)을 받치고 있는 로봇 어댑터(14a)의 저면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14b)와, 상기 액추에이터(14b)의 둘레에 수직자세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무빙 베이스(11)의 상판(15)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부시(14c)에 끼워져 슬라이드됨과 더불어 상단을 통해 로봇 어댑터(14a)의 저면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바(14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워크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 column 14 includes an actuator 14b installed in a vertical position on one side of the moving base 11 and connect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robot adapter 14a supporting the articulated robot 12 via a rod, Is arranged on the periphery of the actuator 14b in a vertical posture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bush 14c provided on the upper plate 15 of the moving base 11 and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robot adapter 14a via the upper end And a plurality of guide bars (14d) arranged on the movable tab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칼럼(14)은 액추에이터(14b) 및 가이드 바(14d)의 상단부분 둘레를 감싸는 자세로 배치됨과 더불어 로드 어댑터(14a)의 저면과 상판(15)의 윗면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액추에이터(14a)의 상승 및 하강 작동 시에 신축되면서 액추에이터(14b) 및 가이드 바(14d)의 상단부분 둘레를 마감하는 벨로우즈(14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워크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2,
The lift column 14 is disposed so as to wrap around the upper ends of the actuators 14b and the guide bars 14d a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od adapter 14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5, Further comprising a bellows (14e) for closing an upper end portion of the actuator (14b) and the guide bar (14d) while being expanded or contracted during a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actuator (14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빙 베이스(11)의 전면판(16)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다관절 로봇측으로 제공되는 에어를 단속함과 더불어 다관절 로봇 비상 정지 시에 내부 배관라인에 남아있는 잔류 에어압력을 강제로 제거할 수 있으며, 외부 배관라인과 내부 배관 라인에 각각 연결되면서 서로 연통되는 구조의 에어 유니트(17a)와 개폐 밸브(17b), 그리고 개폐 밸브(17b)를 강제로 오픈시킬 수 있는 수동 노브(17c)로 구성되는 잔압 제거장치(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워크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16) of the moving base (11)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articulated robot side, and forcibly removing the residual air pressure remaining in the internal piping line during the emergency stop of the articulated robot And has an air unit 17a, an on-off valve 17b, and a passive knob 17c for forcibly opening the on-off valve 17b, which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piping line and the internal piping line, And a residual pressure removing device (17) configured to remove the residual pressure of the workpie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빙 베이스(11)에는 전면판(16)의 오픈 부위를 통해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각종 공구류를 보관할 수 있는 서랍(18)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워크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ing base (11) is provided with a drawer (18) which is installed in the moving base (11) through a opened portion of the front plate (16) and is capable of storing and retrieving various tools.
KR1020170160271A 2017-11-28 2017-11-28 Mobile work table KR1020594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271A KR102059445B1 (en) 2017-11-28 2017-11-28 Mobile work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271A KR102059445B1 (en) 2017-11-28 2017-11-28 Mobile work 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659A true KR20190061659A (en) 2019-06-05
KR102059445B1 KR102059445B1 (en) 2019-12-27

Family

ID=6684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271A KR102059445B1 (en) 2017-11-28 2017-11-28 Mobile work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44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8362A (en) * 1991-09-04 1993-03-09 Suzuki Motor Corp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wheel hub
KR980005347A (en) 1996-06-28 1998-03-30 김광호 Logistics conveying device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KR980009017A (en) * 1996-07-25 1998-04-30 양재신 Spare tire loading device
KR20080081197A (en) 2006-07-11 2008-09-08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Multijoint robot
KR20110028268A (en) 2008-06-12 2011-03-17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Light applying device and light applying method
KR101236757B1 (en) * 2011-08-26 2013-02-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Cover supporting device and robot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8362A (en) * 1991-09-04 1993-03-09 Suzuki Motor Corp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wheel hub
KR980005347A (en) 1996-06-28 1998-03-30 김광호 Logistics conveying device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KR980009017A (en) * 1996-07-25 1998-04-30 양재신 Spare tire loading device
KR20080081197A (en) 2006-07-11 2008-09-08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Multijoint robot
KR20110028268A (en) 2008-06-12 2011-03-17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Light applying device and light applying method
KR101236757B1 (en) * 2011-08-26 2013-02-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Cover supporting device and robot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445B1 (en) 201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36879A1 (en) Handling large, heavy workpieces using coordinated gantry robots
JP4063781B2 (en) Transport device
TWI434798B (en) Substrate container storage system
KR102115219B1 (en) Construction robot for ceiling
TW201811515A (en) Manufacturing system, construction method of manufacturing system, end effector, robot, and robot operating method
CA2597189C (en) Modular robotic workpiece holder and method for using same
KR20190103260A (en) Carrying system and its driving method
WO2003080288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ssembly
CN106061689B (en) Manipulator, robot and workpiece method of operating
KR102059445B1 (en) Mobile work table
JP2018171704A (en) Gripping device, and apparatus for loading/unloading slab material comprising gripping device
KR20220031295A (en) Turnover apparatus with lifting arm
KR20220050428A (en) Safety lift for high work
CN209831628U (en) Human-machine cooperation robot
WO2003088350A1 (en) Closed container conveying system
EP3626389B1 (en) Device for the movement of pieces in a machine tool
KR20210138292A (en) Selective operation type universal transfer apparatus of adsorption and clamping according to object
CN218464877U (en) Rectilinear servo motor manipulator snatchs loading attachment
JPS61109682A (en) Method of handling heavy material
CN204748635U (en) Industrial robot is with multi -functional clamping hand claw
US11198215B1 (en) Robotic arm
KR102448078B1 (en) Servo sliding unit and panel transporting apparatus using thereof
KR20020061336A (en) Drill for table
CN211238156U (en) Plasm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CN217225598U (en) Steel sheet transport manip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