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417A -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 - Google Patents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417A
KR20190061417A KR1020170159792A KR20170159792A KR20190061417A KR 20190061417 A KR20190061417 A KR 20190061417A KR 1020170159792 A KR1020170159792 A KR 1020170159792A KR 20170159792 A KR20170159792 A KR 20170159792A KR 20190061417 A KR20190061417 A KR 20190061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viola
jelly
leaf extract
cellulos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6174B1 (ko
Inventor
임인숙
최문경
이광석
장영상
장윤혁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참한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참한식품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9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1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23L33/24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L. Graviola) 잎 추출물 및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JELLY COMPRISING GRAVIOLAR EXTRACT AND CELLULOSE}
본 발명은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L. Graviola) 잎 추출물 및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비스킷 등의 과자, 젤리, 떡 등의 간식류는 남녀노소가 모두 즐기는 식품임에도 불구하고, 건강에 도움이 되기보다는 단순한 간식에 지나지 못하였으며, 많이 섭취할 경우에는 비만 등의 부작용마저 초래하고 최근에는 트랜스지방함유 및 높은 당도로 인한 유해성 논란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간식류는 어린이와 노인층으로부터 소비가 주로 이루어지므로, 소비억제를 권장하기보다는 시급히 식품의 유해성을 지양하면서,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을 부가하여 제조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어린이와 노인층 외에도 현대인들은 과중한 업무, 과음, 과로, 불규칙한 식사, 운동부족, 스트레스, 공해 및 기타 외부 환경요인 등으로 인하여 인체의 면역력이 날로 저하되고 있으며, 건강을 지키기 위한 시간의 투자와 함께 경제적인 부분에서도 많은 지출을 하고 있다.
특히,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을 생각한 기능성이 첨가된 자연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천연 식품 고유의 영양분과 기능성을 유지시키면서도 첨가되는 설탕 및 색소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젤리는 과즙에 당과 겔화제를 혼합하여 성형 응고시킨 반 고체상 기호식품으로 펙틴, 한천, 젤라틴 등 다양한 겔화제에 따라 만들어 입안에서의 감촉이 좋아 기호도가 높고 씹기 쉽고 삼키기 쉬워 유아나 노인용 식품으로 적합하다. 식생활의 다양화와 고급화로 인해 디저트로서 다양한 젤리 신제품들이 선보이고 있으며, 기능성이 향상되고 당도를 감소시키고 기능성을 부여하여 영양학적으로 균형을 맞춘 젤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17102 호
본 발명의 목적은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L. Graviola) 잎 추출물 및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젤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L. Graviola) 잎 추출물 및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L. Graviola)'는 열대지방에 널리 자라는 식물로 나무높이는 6~7m이고, 잎은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가 7.5~15㎝이며 잎 끝은 뾰족하고 잎자루 부분은 쐐기모양이고 잎은 매끈하고 윤기가 나며 잎자루는 짧다. 상기 그라비올라는 상처치료, 해열, 설사, 이질, 기침, 천식, 기생충구제, 신경통, 간장질환, 당뇨병, 진정성분, 경련억제, 혈압강하, 항균작용 또는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은 그라비올라 잎을 1 시간 내지 6시간 동안 가압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압 추출은 고압멸균기(autoclave)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그라비올라 잎의 추출물, 상기 추출물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물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물의 조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물 자체 및 추출물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상기 그라비올라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상기 가압 추출 방법 외에도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냉침 추출,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추출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물, 저급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추출한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그라비올라 잎을 1 시간 내지 6시간 동안 가압 추출하여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얻었으며, 상기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FRAP 환원력 측정을 통해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가압추출 시간 4시간까지는 DPPH IC50 값이 가압추출 시간이 증가하더라도 유사하게 유지되다가 5시간 이후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표 5), FRAP 환원력은 가압 추출시간 3시간까지는 가압추출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다가 3시간 이후부터는 점차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6).
이에 따라, 보다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그라비올라 잎을 1 시간 내지 4시간 동안 가압 추출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그라비올라 잎을 1 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가압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부산물'은 그라비올라 잎을 이용한 가압추출 후 남은 찌꺼기, 2차 산물을 말하며, 그라비올라 박(bark)으로도 불릴 수 있다. 이러한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부산물에는 다량의 셀룰로오스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단순 폐기되어 산업적인 활용이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 '셀룰로오스'는 대표적 식이섬유이며 섬유소라고도 한다. 식물의 세포막과 목질부를 이루는 주성분으로서 야채의 질긴 부분이며 자연계에 가장 많은 탄수화물이며, 2,800~10,000개의 포도당이 직선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셀룰로오스 등의 식이섬유는 체내로의 유해물질 흡수를 저해시키고, 배변 활동을 증대시키며 다이어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젤리는 이러한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셀룰로오스를 포함함으로써 건강 증진 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산업상 경제적인 효과까지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본 발명의 젤리는 저메톡실펙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젤리'는 과일을 그대로 혹은 물을 넣고 끓인 후 압착을 통해 즙을 짜내어 얻어진 펙틴액에 설탕을 넣어 조려서 젤화 시킨 식품이다. 냉각시켰을 때 응고될 정도로 농축하여 만들며, 완전한 젤리는 투명하여 반짝이는 듯한 광택을 가진다. 젤리로 응고시키기 위해서는 펙틴, 산, 당분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흔히 젤리의 겔화(gelation)에 이용되는 원료로서 당(sugar)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고메톡실펙틴(high methoxyl pectin)이 이용되어 왔다.
본 발명의 젤리는 고메톡실펙틴이 아닌 저메톡실펙틴(low methoxyl pectin)을 포함함으로써 저메톡실펙틴과 칼슘 이온(Ca2 +)의 가교결합을 형성 기전을 이용해 추가로 당(sugar)을 포함하지 않고도 젤리가 만들어지도록 하여, 저당화되어 열량이 감소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젤리는 일반 젤리보다 저당화된 '저당 젤리'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젤리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며, 특히 루틴(rutin, quercetin-3-O-rutinoside) 및/또는 캠페롤-3-오-루티노시드(kaempferol-3-O-rutinoside)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젤리에 포함되는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플라보놀 배당체를 분석한 결과, 루틴 및 캠퍼롤-3-O-루티노사이드의 함량이 가압추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5시간 동안 추출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4).
본 발명에서 '루틴(rutin, quercetin-3-O-rutinoside)'은 비타민 비타민 P (Bioflavonoid)의 대표적인 물질로 비타민 C의 산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며, '캠페롤-3-오-루티노시드(kaempferol-3-O-rutinoside)'는 지질의 산화를 방지하며, 항균, 암예방 및 주름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젤리는 생활 속 섭취를 통해 노화방지 등 각종 질환의 예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 젤리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를 제조한 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DPPH IC50 값이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표 8), FRAP 환원력은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표 9), 본 발명 젤리의 항산화 활성을 직접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a) 그라비올라 잎을 1시간 내지 6시간 동안 가압 추출하여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셀룰로오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젤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가압추출 시간 4시간까지는 DPPH IC50 값이 가압추출 시간이 증가하더라도 유사하게 유지되다가 5시간 이후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표 5), FRAP 환원력은 가압 추출시간 3시간까지는 가압추출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다가 3시간 이후부터는 점차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6).
이에 따라, 보다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그라비올라 잎을 1 시간 내지 4시간 동안 가압 추출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그라비올라 잎을 1 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가압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b) 단계는 저메톡실펙틴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고메톡실펙틴을 제외하고 저메톡실펙틴을 이용하여 젤리를 제조하였으며, 이러한 젤리는 과일 농축액을 함께 혼합하여 과일 젤리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과일 농축액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석류농축액을 가하여 석류젤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젤리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젤리는 루틴(rutin, quercetin-3-O-rutinoside) 및/또는 캠페롤-3-오-루티노시드(kaempferol-3-O-rutinoside)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젤리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젤리에 포함된 그라비올라 추출물은 루틴(rutin, quercetin-3-O-rutinoside) 및/또는 캠페롤-3-오-루티노시드(kaempferol-3-O-rutinoside)을 포함하며(도 4),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젤리의 항산화 활성을 직접적으로 확인하였다(표 8 및 표 9).
이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젤리가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면서도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젤리는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L. Graviola) 잎 추출물 및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여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고, 저당화한 것으로서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가공 부산물이 재활용 없이 버려지는 산업적인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나아가 기존의 고메톡실펙틴이 아닌 저메톡실펙틴을 포함함으로써 추가로 당(sugar)을 더하지 않아 당분이 고함량 포함되지 않도록 하여 열량 감소 및 건강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그라비올라 잎 추출 후 가공 부산물로부터 셀룰로오스를 제조하는 과정을 모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360nm에서 측정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의 3개 주요 피크(peak) 각각에 대한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추출 시간에 따른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플라보놀 배당체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그라비올라 잎 가공부산물 유래 셀룰로오스의 표면 구조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a: x200, b: x800, c: x5000).
도 6은 그라비올라 잎 가공부산물 유래 셀룰로오스의 X-선 회절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셀룰로오스 표준물질과 그라비올라 유래 셀룰로오스의 FT-IR 스펙트럼 회절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제조
그라비올라 잎 10 g에 증류수 1,000 mL를 넣고, 121℃ 고압멸균기(autoclave)에서 1~6시간 동안 가압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상온에서 식힌 후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추출이 완료된 잎과 추출액을 분리하였고, 추출이 끝난 잎은 50℃ 드라이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저장하였고, 필터를 통과한 추출액은 진공회전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해 50℃ 드라이 오븐에서 24시간 건조하여 180 메쉬(mesh) 표준체망을 통과시켜 냉동보관하며 시료로 사용하였다.
제조예 2.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 부산물로부터 셀룰로오스의 제조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제조 후 폐기되던 추출 가공 부산물로부터 셀룰로오스를 제조하였다. 추출물 제조 후 50℃ 드라이오븐에 건조한 추출 가공 부산물을 믹서를 이용해 분쇄하여 2% 수산화나트륨에 1:20 (w/v) 비율로 침지시켜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교반 하였다. 가열을 마친 샘플은 상온에서 냉각시킨 후 10배의 증류수로 세척한 뒤, 구연산을 이용해 중화시켜 50℃ 드라이오븐에서 건조하여 상온에서 보관하며 시료로 사용하였다.
제조예 3.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 부산물로부터 제조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의 제조
젤리 전체 중량대비 저메톡실펙틴 1% 및 카라기난 0.7%에 정제수 34%를 가하여 상온에서 20분간 교반한 후, 80℃에서 20분간 가열·교반하며 저메톡실펙틴과 카라기난을 정제수에 충분히 용해하였다. 이후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0.1 내지 0.5%에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 부산물 유래 셀룰로오스 0.7%,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0.7%, 석류농축액 9.1 내지 9.5%, 올리고당 2.0%, 소르비톨 2.0%, 효소처리스테비아 0.03%, 올리고당 2.0%, 정제수 49.2% 및 염화칼슘 0.0001%를 배합해 첨가하여 100℃에서 40분간 가열·교반하고, 90℃로 온도를 낮추어 안식향산나트륨 0.06% 및 소르빈산칼륨 0.04%를 첨가하여 20분간 혼합한 후 4℃로 냉각하여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였다.
각각의 샘플은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첨가 비율을 달리하였으며,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0.1%를 포함하는 실시예 1,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0.3%를 포함하는 실시예 2 및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0.5%를 포함하는 실시예 3의 젤리를 제조하였다.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은 플라보놀배당체 함량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인 5시간 추출물을 적용하였다.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과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 부산물로부터 제조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의 배합비율은 아래 표 1에 나타나 바와 같다(w/w%).
원료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0.00 0.10 0.30 0.50
그라비올라 추출 가공 부산물 유래 셀룰로오스 0.07 0.70 0.70 0.70
석류농축액 10.15 10.05 9.85 9.65
저메톡실펙틴 1.02 1.02 1.02 1.02
염화칼슘 0.0001 0.0001 0.0001 0.0001
카라기난 0.68 0.68 0.68 0.68
정제수 83.25 83.25 83.25 83.25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0.68 0.68 0.68 0.68
소르비톨 2.03 2.03 2.03 2.03
효소처리스테비아 0.03 0.03 0.03 0.03
올리고당 2.03 2.03 2.03 2.03
안식향산나트륨 0.04 0.04 0.04 0.04
소르빈산칼륨 0.03 0.03 0.03 0.03
합계 100 100 100 100
실험예 1.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가압추출 시간에 따른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기능성 성분인 총 폴리페놀 함량(total polyphenol content)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폴린-데니스(Folin-Denis)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제조예 1에서 가압추출 시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1 mg/mL로 희석한 후, 1,5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시료 0.5 mL에 1 N 폴린(Folin) 용액 0.5 mL를 가하고 3분간 정치시켰다. 이후 10% 탄산나트륨(Na2CO3)용액 1.5 mL를 가하여 암실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대신 증류수를 넣어 측정하였으며, 갈산(gallic acid)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시료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갈산에 대한 상당량(gallic acid quivalent; mg GAE/g)으로 계산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oreno(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000).)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예 1에서 가압추출 시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1 mg/mL 농도로 희석한 후, 1,5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시료 250 μL에 증류수 125 μL와 5% 아질산나트륨(NaNO2) 75 μL를 가한 후 실온에서 6분간 방치하고, 10% 염화알루미늄(AlCl3) 150 μL를 가하고 암소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4% 수산화나트륨(NaOH) 500 μL와 증류수 275 μL를 첨가한 후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대신 증류수를 넣어 측정하였으며, 퀘르세틴(quercetin)을 표준물질로 하여 그 결과를 퀘르세틴에 대한 상당량(quercetin equivalent; mg QE/g)으로 계산하였다.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 3시간 추출물에서 72.0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시간 이후부터 감소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시간까지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후 감소하였다(표 2).
가압추출시간(h) 총 폴리페놀 함량(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 QE/g)
1 69.99±2.49a 30.08±0.21c
2 70.69±1.57a 38.59±1.27b
3 72.03±1.52a 41.42±0.21ab
4 69.75±0.24a 46.34±0.42a
5 63.77±0.77b 38.59±3.80b
6 62.40±0.54b 37.84±3.59b
*a,b,c: 윗첨자로 표시된 a,b,c가 서로 다른 군 간에는 통계적 유의성(p<0.05)이 있음을 의미함
실험예 2.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플라보놀 배당체(( flavonol glycoside) 정성 분석
HPLC-DAD-MS 시스템을 통해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플라보놀 배당체 정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HPLC-DAD-MS의 분석 조건은 아래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LC-MS 분석은 양이온 모드(positive ion mode)를 이용하였으며 분자량 확인을 위하여 질량 범위(mass range)를 100-1000 질량 대 전하비(mass to charge; m/z)까지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시료는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에 메탄올을 용매로 이용해0.1g/mL농도로 제조하여 3분간 볼텍싱(vortexing) 한 후, 30분간 음파 분쇄(sonication) 하고 1,5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1
LC-MS 시스템을 이용하여 360nm에서 측정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은 도2 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은 3개의 주요 피크를 나타냈다. 각각의 피크에 대한 질량 스펙트럼(Mass spectrum)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전체 이온 크로마토그램의 피크들에 대해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과 표준물질의 질량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피크 1(peak 1)에서는 루틴(rutin, quercetin-3-O-rutinoside)이 확인되었으며, 피크2(peak 2)와 피크 3(peak 3)에서는 캠페롤-3-오-루티노시드(kaempferol-3-O-rutinoside)가 확인되었다. 극성(polarity)은 양이온 모드를 선택하여 분석을 진행하였고, 얻어진 질량 분석에서 분자량은 스펙트럼 상에서 [M+H]+ 형태로 분석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에는 루틴(rutin, quercetin-3-O-rutinoside) 및 캠페롤-3-오-루티노시드(kaempferol-3-O-rutinoside)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플라보놀 배당체(( flavonol glycoside) 정량 분석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플라보놀 배당체의 함량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1에서 가압추출 시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메탄올을 용매로 이용해0.1g/mL농도로 제조하여 3분간 볼텍싱 한 후, 30분간 음파 분쇄하고 1,5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HPLC 분석 조건은 아래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ure pat00002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통한 분석 결과, 루틴 및 캠퍼롤-3-O-루티노사이드의 함량이 가압추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5시간 동안 추출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루틴: 3.39 mg/g, 캠퍼롤-3-O-루티노사이드: 6.78 mg/g(도 4).
실험예 4.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4-1. DPPH 라디칼 소거활성(radical scavenging activity) 측정
상기 제조예 1에서 가압추출 시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전자 공여능은 2,2-디페닐-1-피크릴하이드라질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Sigma))을 이용하여 라디칼 소거활성(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에 메탄올을 가하여 각각 0.1 g/mL로 희석한 후, 1,5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 0.2 mL에 0.2 mM DPPH 0.6 mL를 가하고 암실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대신 메탄올을 넣어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하기의 식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Figure pat00003
그 결과,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DPPH IC50 값이 가압추출 시간 4시간까지는 가압추출 시간이 증가하더라도 유사하게 유지되다가 5시간 이후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5). 이로부터 본 발명 내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이 가압추출 시간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압추출 시간(h) DPPH IC50 (mg/ml)
1 0.22±0.00b
2 0.23±0.02b
3 0.23±0.00b
4 0.23±0.01b
5 0.27±0.00a
6 0.27±0.02a
*a,b: 윗첨자로 표시된 a,b가 서로 다른 군 간에는 통계적 유의성(p<0.05)이 있음을 의미함
4-2. FRAP 환원력(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측정
상기 제조예 1에서 가압추출 시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FRAP는 Benzie IF et al.(「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 Anal Biochem. (1996) Jul 15;239(1):70-6.)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아세테이트 버퍼(Acetate buffer (300 mM, pH 3.6))와 40 mM 염산(HCl)에 용해한 10 mM 2,4,6-트리스(2-피리딜)-s-트리아진(2,4,6-tris(2-pyridyl)-s-triazine(TPTZ)), 20 mM 염화철(iron chloride)을 각각 10:1:1 비율로 혼합하여 37°C에서 방치하여 FRAP 반응액(reagent)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에서 가압추출 시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각각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0.1 g/mL 농도로 제조하여 1,5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층액 0.15 mL에 FRAP 반응액 2.85 mL를 가하고 37°C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59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대신 증류수를 넣어 측정하였다.
그 결과,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FRAP 환원력은 가압 추출시간 3시간까지는 가압추출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다가 3시간 이후부터는 점차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6). 이로부터 본 발명 내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이 가압추출 시간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압추출 시간(h) FRAP (mM FeSO4·7H2O/mg)
1 0.26±0.01bc
2 0.27±0.00a
3 0.27±0.00a
4 0.26±0.00ab
5 0.25±0.01c
6 0.23±0.00d
*a,b,c,d: 윗첨자로 표시된 a,b,c,d가 서로 다른 군 간에는 통계적 유의성(p<0.05)이 있음을 의미함
실험예 5.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부산물로부터 제조된 셀룰로오스의 표면구조분석( SEM )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부산물로부터 추출한 물질의 형태와 표면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180 μm 표준체망에 통과시킨 샘플을 금-팔라듐(gold-palladium)으로 진공상태에서 코팅시킨 후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4700 Hitachi Co., Tokyo, Japan)을 이용하여 각각 200, 800, 5000 배율로 관찰하였다.
표면 구조 분석 결과, 섬유상의 셀룰로오스 외에 다른 물질이 관찰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 부산물로부터 셀룰로오스의 분리가 잘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실험예 6. 그라비올라 잎 가공부산물로부터 제조된 셀룰로오스의 X선 회절도 분석
그라비올라 잎 가공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셀룰로오스의 X-선 회절도는 X선 분석기(D8 Advance Bruker, Germany)를 이용하여 조건은 2θ, 5-50˚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X-선 회절도 결과 비교 분석을 위한 표준물질로 셀룰로오스 미세결정, 20~200 μm (Daejung Chem, Korea)를 사용하였다.
X-선 회절도 측정 결과, 셀룰로오스 표준물질과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부산물로부터 얻은 셀룰로오스에서 모두 14.3˚, 16.4˚, 22.6˚에서 셀룰로오스의 특징적인 피크가 나타나, 그라비올라 잎 가공부산물로부터 셀룰로오스의 분리가 잘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도 6).
실험예 7. 그라비올라 추출 가공부산물로부 터 제조된 셀룰로오스의 FT-IR 분석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부산물로부터 제조된 셀룰로오스의 구조분석을 위해 푸리에 변환 분광기(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FT-IR), Perkin-Elmer Co, Ltd., Massachusettes, USA)를 이용하였으며, KBr-tablets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사용하였고, 4,000-500 cm-1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그라비올라 추출 가공 부산물로부터 제조된 셀룰로오스와 셀룰로오스 표준물질의 FT-IR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특징적인 스펙트럼으로 3,600-2,995 cm-1 파수(wavenumber) 영역에서 강한 수소 결합에 의한 OH 뻗침 진동(stretching vibration)을 나타내었으며, 표준물질과 그라비올라 유래 셀룰로오스에서는 각각 3,369 cm-1, 3,410 cm-1, 3,418 cm-1에서 분자간 수소결합에 의한 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스펙트럼에서 2,900 cm-1은 CH 뻗침(stretching)을 나타내며, 1,430 cm-1은 CH2 굽힘(bending), 1,165 cm-1은 1,165 cm-1은 C-O-C 뻗침 진동 결합(stretching vibration bonding), 897 cm-1은 셀룰로오스의 베타-글루코시딕 결합(β-glucosidic linkage)을 나타낸다(도 7).
실험예 8.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 부산물로부터 제조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한 젤리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예 3을 통해 제조한 젤리의 pH는 제조 직후 뜨거운 상태에서 pH 미터기(Testo 206, Germany)로 측정하였으며, 당도(Soluble solids, ˚Brix)는 굴절당도계(ATAGO poket refractometer, Tokyo, Japan)를 이용해 제조 직후 뜨거운 상태의 젤리를 샘플스테이지에 올리고, 상온까지 식힌 후 측정하였다. 젤리의 색도는 색차계(Lovibond LC100, Tintometer Ltd, Eng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샘플 이화학적 특성 색상
pH 당도(˚Brix) L(백색도) a(적색도) B(황색도)
비교예 3.51±0.02c 14.2±0.0a 18.7±0.1a 19.1±0.0a 16.7±0.1a
실시예1 3.52±0.01c 14.2±0.1a 17.1±0.0b 18.0±0.0b 14.5±0.0b
실시예 2 3.63±0.00b 14.2±0.1a 14.5±0.1c 14.8±0.1c 10.9±0.1c
실시예 3 3.67±0.02a 14.3±0.0a 12.5±0.1d 12.2±0.1d 8.3±0.0d
*a,b,c,d: 윗첨자로 표시된 a,b,c,d가 서로 다른 군 간에는 통계적 유의성(p<0.05)이 있음을 의미함
상기 특성 분석 결과, pH는 첨가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당도는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첨가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첨가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이 증가할수록 백색도, 적색도 및 황색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증가시키더라도 당도가 유지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의 젤리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맛이 유지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예 9.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그라비올라 가공 부산물로부터 제조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의 항산화 활성 측정
9-1. 젤리의 항산화 물질 추출
젤리 2.5 g에 80% 메탄올 10 mL를 가하여 1시간동안 교반한 후, 3,5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해 상층액을 분리한다. 분리하고 난 젤리에 다시 70% 아세톤을 가하여 1시간동안 교반한 후, 3,5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상층액을 메탄올 추출물과 합쳐 증류수를 이용해 25 mL로 정용(0.1 g/mL)하였다.
9-2. DPPH 라디칼 소거활성(radical scavenging activity) 측정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젤리의 전자 공여능은 2,2-디페닐-1-피크릴하이드라질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Sigma))을 이용하여 라디칼 소거활성(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상기 실험예 9-1에서 추출한 항산화물질 0.2 mL에 0.2 mM DPPH 0.6 mL를 가하고 암소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대신 메탄올을 넣어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 젤리의 DPPH IC50 값이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로부터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젤리의 항산화 활성을 직접적으로 확인하였다(표 8).
샘플 DPPH IC50 (mg/ml)
비교예 9.78±0.23a
실시예 1 9.56±0.06ab
실시예 2 9.31±0.28b
실시예 3 8.85±0.18c
*a,b,c: 윗첨자로 표시된 a,b,c가 서로 다른 군 간에는 통계적 유의성(p<0.05)이 있음을 의미함
9-3. FRAP 환원력(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측정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젤리의 FRAP는 Benzie IF et al.(「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 Anal Biochem. (1996) Jul 15;239(1):70-6.)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아세테이트 버퍼(Acetate buffer (300 mM, pH 3.6))와 40 mM 염산(HCl)에 용해한 10 mM 2,4,6-트리스(2-피리딜)-s-트리아진(2,4,6-tris(2-pyridyl)-s-triazine(TPTZ)), 20 mM 염화철(iron chloride)을 각각 10:1:1 비율로 혼합하여 37°C에서 방치하여 FRAP 반응액(reagent)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험예 9-1에서 추출한 항산화물질 0.15 mL에 FRAP 반응액 2.85 mL를 가하고 37°C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59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대신 증류수를 넣어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 젤리의 FRAP 환원력은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로부터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젤리의 항산화 활성을 직접적으로 확인하였다(표 9).
샘플 FRAP(mM FeSO4·7H2O/mg)
비교예 0.23±0.00b
실시예 1 0.24±0.00b
실시예 2 0.24±0.00b
실시예 3 0.25±0.00a
*a,b,c: 윗첨자로 표시된 a,b,c가 서로 다른 군 간에는 통계적 유의성(p<0.05)이 있음을 의미함
실험예 10.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그라비올라 가공 부산물로부터 제조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의 관능검사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젤리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소비자검사를 통해 외관(색), 전반적 맛, 전반적 향, 전반적 조직감, 전반적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으로는 일반 소비자 40명을 대상으로 9점 척도법을 사용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샘플 외관(색) 전반적 맛 전반적 향 전반적 조직감 전반적 기호도
비교예 6.74±1.29a 5.42±1.85a 5.38±1.43a 5.14±1.59a 5.56±1.36ab
실시예 1 6.28±1.31ab 5.62±1.66a 5.60±1.32a 5.38±1.52a 5.72±1.31a
실시예 2 5.60±1.36b 5.46±1.73a 5.52±1.34a 5.44±1.54a 5.90±1.30a
실시예 3 4.68±1.17c 4.98±1.80a 5.26±1.31a 5.10±1.67a 5.04±1.32b
*a,b,c: 윗첨자로 표시된 a,b,c가 서로 다른 군 간에는 통계적 유의성(p<0.05)이 있음을 의미함
상기 검사결과와 같이, 색에 대한 기호도는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 대비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이 포함된 실시예 1 내지 3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나, 색에 대한 기호도 점수가 모두 4.5 점 이상으로 나타난 바,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함유량이 증가하더라도 보통 이상의 색 기호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반적인 맛, 향 및 조직감에 있어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이 0.1%(w/w), 0.3%(w/w) 포함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증가된 것을 나타내었으며,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함량이 다소 높은 실시예 3(0.5%(w/w))의 경우에도 보통 이상의 기호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전반적 기호도에 있어서도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기호도는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증가되었으며, 실시예 2의 경우에도 5 점 이상으로 평균 이상의 기호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의 저당 젤리는 젤리 제조시 당의 첨가가 필수적이지 않은 저메톡실펙틴과 칼슘 이온을 이용한 겔화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저당화와 열량 감소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포함하여 소비자 기호도가 유지되면서도 항산화 활성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여 종래 즙, 환 등의 형태 외에도 젤리 형태의 식품도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저당 젤리는 버려지는 가공 부산물로부터 추출 및 제조한 셀룰로오스를 첨가하였는 바, 별도의 식이섬유 보충제를 섭취하지 않더라도 필요로 되는 식이섬유를 보충할 수 있어 섭취 편이성을 증진시켰을 뿐 아니라 가공 부산물이 재활용 없이 버려지는 산업적인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L. Graviola) 잎 추출물 및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은 그라비올라 잎을 1 시간 내지 6시간 동안 가압 추출한 것인, 젤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젤리는 저메톡실펙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젤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젤리는 루틴(rutin, quercetin-3-O-rutinoside) 또는 캠페롤-3-오-루티노시드(kaempferol-3-O-rutinoside)을 포함하는 것인, 젤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젤리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인, 젤리.
  6. a) 그라비올라 잎을 1시간 내지 6시간 동안 가압 추출하여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그라비올라 잎 추출 가공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셀룰로오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젤리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저메톡실펙틴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인, 젤리 제조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젤리.
  9. 제8항에 있어서,
    젤리는 루틴(rutin, quercetin-3-O-rutinoside) 또는 캠페롤-3-오-루티노시드(kaempferol-3-O-rutinoside)을 포함하는 것인, 젤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젤리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인, 젤리.
KR1020170159792A 2017-11-28 2017-11-28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 KR101986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792A KR101986174B1 (ko) 2017-11-28 2017-11-28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792A KR101986174B1 (ko) 2017-11-28 2017-11-28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417A true KR20190061417A (ko) 2019-06-05
KR101986174B1 KR101986174B1 (ko) 2019-06-07

Family

ID=6684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792A KR101986174B1 (ko) 2017-11-28 2017-11-28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1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371A (ko) 2021-02-26 2022-09-02 농업회사법인(주)울림나무 그라비올라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2048A (ja) * 2006-12-13 2008-06-26 Yamazaki Baking Co Ltd ジャム類の製造方法
KR20160117102A (ko) 2015-03-31 2016-10-10 정찬영 그라비올라 추출물이 함유된 주식용 식품
KR20160130106A (ko) * 2015-05-01 2016-11-10 안지영 그라비아올라 가공제법
KR20170049209A (ko) * 2015-10-28 2017-05-1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브로콜리 또는 배추가 첨가됨으로써 항산화능이 강화된 그라비올라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2048A (ja) * 2006-12-13 2008-06-26 Yamazaki Baking Co Ltd ジャム類の製造方法
KR20160117102A (ko) 2015-03-31 2016-10-10 정찬영 그라비올라 추출물이 함유된 주식용 식품
KR20160130106A (ko) * 2015-05-01 2016-11-10 안지영 그라비아올라 가공제법
KR20170049209A (ko) * 2015-10-28 2017-05-1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브로콜리 또는 배추가 첨가됨으로써 항산화능이 강화된 그라비올라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kistan Journal of Nutrition 14(5), pp.259-262, 201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174B1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ok et al. Current trends of tropical fruit waste utilization
Patel et al. Physicochemical, scavenging and anti-proliferative analyses of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syllium (Plantago ovata Forssk) husk and seeds
Chen et al. Chemical modification, antioxidant and α-amylase inhibitory activities of corn silk polysaccharides
Deng et al. Chemical composition of dietary fiber and polyphenols of five different varieties of wine grape pomace skins
Zhu et al. Insights into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polysaccharides sequentially extracted from onion (Allium cepa L.)
Yang et al. Structural characterisation of polysaccharides purified from longan (Dimocarpus longan Lour.) fruit pericarp
Ma et al. Chemical mod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from mushroom Inonotus obliquus
Álvarez-Viñas et al. Influence of molecular weight on the properties of Sargassum muticum fucoidan
Ji et al.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polysaccharides sequentially extracted from Amana edulis
WO2006090935A1 (ja) アセロラ果実由来ペクチンおよびその用途
Noorbakhsh et al. Date (Phoenix dactylifera L.) polysaccharides: A review on Chemical structure and nutritional properties
KR101986174B1 (ko)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젤리
KR100676869B1 (ko) 상황버섯 및 가공인삼을 이용하여 다량의 Rg3와 Rg5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다류의 제조방법
CN111296782A (zh) 一种火龙果全果粉及其制备方法
Nguyen et al. Characteristics of edible jelly enriched with antioxidant and calcium-rich fractions of dandelion leaf polysaccharide extracts
Mann et al. Value addition scenario of arid foods of desert area and evaluation of their nutritional and phytochemical potential
KR101676292B1 (ko) 다시마, 오크라 및 참마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6466B1 (ko) 녹차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배즙의 제조방법
KR101986173B1 (ko)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잼
KR102283497B1 (ko) 항산화능이 우수한 스틱형 젤리
Ying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of nine selected culinary spices from China
CN103087119B (zh) 一种亚麻脑苷酯类化合物及其提取分离方法
KR20210089345A (ko) 복령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05795B1 (ko) 꾸지뽕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Buera et al. Ibero‐American Network as a Collaborative Strategy to Provide Tools for the Development of Phytopharmaceuticals and Nutraceutic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