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140A -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140A
KR20190061140A KR1020170159178A KR20170159178A KR20190061140A KR 20190061140 A KR20190061140 A KR 20190061140A KR 1020170159178 A KR1020170159178 A KR 1020170159178A KR 20170159178 A KR20170159178 A KR 20170159178A KR 20190061140 A KR20190061140 A KR 20190061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information
checking
collecting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8347B1 (ko
Inventor
김도헌
Original Assignee
김도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헌 filed Critical 김도헌
Priority to KR1020170159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34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 A61B5/208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adapted to determine urine quantity, e.g. flow,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52Load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주기 및 소변색 및 소변량을 자동적으로 확인 및 수집하여 간병인 및 의료진에게 제공하는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은, 소변관 및 소변통을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정보를 수집 및 저장 및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변주기확인센서를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횟수 및 주기를 확인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소변주기확인단계;와, 소변색확인센서를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색상을 확인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소변색확인단계;와,소변량확인센서를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양을 확인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소변량확인단계;와, 소변주기확인단계 및 소변색확인단계 및 소변량확인단계에서 수집된 소변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서버 및 단말기로 전송시키는 소변정보전송단계;와, 서버에 전송된 소변 정보를 저장하여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시키는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화단계;와, 소변정보전송단계에서 단말기에 전송된 소변 정보를 실시간으로 단말기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화단계에서 서버에 구축된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소변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Method for gathering and servicing state data of urine}
본 발명은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주기 및 소변색 및 소변량을 자동적으로 확인 및 수집하여 간병인 및 의료진에게 제공하는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6371호'에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6371호'는 드롭 센서와 수위 센서를 이용해서 유량 변화량를 측정하여 소변 배출량을 측정하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6371호'는 다양한 소변에 관한 정보 중 소변 배출량만을 측정하고, 소변 배출량 정보를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장치를 통해서만 정보 확인이 가능하고, 소변 배출량 정보를 단발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시간에 따른 종합적인 소변 배출량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637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변주기 및 소변색 및 소변량을 자동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변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간병인 및 의료진에게 제공시킬 수 있는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간병인 및 의료진에게 제공시킬 수 있는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은, 소변관 및 소변통을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정보를 수집 및 저장 및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변주기확인센서를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횟수 및 주기를 확인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소변주기확인단계;와, 소변색확인센서를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색상을 확인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소변색확인단계;와,소변량확인센서를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양을 확인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소변량확인단계;와, 소변주기확인단계 및 소변색확인단계 및 소변량확인단계에서 수집된 소변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서버 및 단말기로 전송시키는 소변정보전송단계;와, 서버에 전송된 소변 정보를 저장하여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시키는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화단계;와, 소변정보전송단계에서 단말기에 전송된 소변 정보를 실시간으로 단말기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화단계에서 서버에 구축된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소변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주기확인센서는, 소변관에 설치된 동작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색확인센서는,소변색확인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량확인센서는, 소변통에 설치된 로드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주기확인센서 및 소변색확인센서는, 소변관에 설치된 비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정보전송단계의 무선통신은,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주기확인단계 및 소변량확인단계는 상호 보완적으로 시행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주기확인단계 및 소변색확인단계는 상호 보완적으로 시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는, 소변주기 및 소변색 및 소변량을 자동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는, 소변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간병인 및 의료진에게 제공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는, 소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간병인 및 의료진에게 제공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주기확인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량확인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주기확인센서 및 소변색확인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은, 소변관(11) 및 소변통(12)을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정보를 수집 및 저장 및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변주기확인센서를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횟수 및 주기를 확인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소변주기확인단계(S100)와, 소변색확인센서를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색상을 확인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소변색확인단계(S200)와, 소변량확인센서를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양을 확인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소변량확인단계(S300)와, 소변주기확인단계 및 소변색확인단계 및 소변량확인단계에서 수집된 소변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서버(300) 및 단말기(200)로 전송시키는 소변정보전송단계(S400)와, 서버(300)에 전송된 소변 정보를 저장하여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시키는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화단계(S500)와, 소변정보전송단계에서 단말기(200)에 전송된 소변 정보를 실시간으로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화단계에서 서버(300)에 구축된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를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소변정보제공단계(S6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정보전송단계의 무선통신은, 블루투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은, 소변주기확인단계(S100)와 소변색확인단계(S200)와 소변량확인단계(S300)를 통해 소변주기 및 소변색 및 소변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소변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소변정보를 통합적으로 간병인 및 의료진에 제공할 수 있다.
소변정보전송단계(S400)를 통해 간병인 및 의료진은 단말기(200)를 통해 실시간으로 환자의 소변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화단계(S500)에서는 소변정보가 저장되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환자의 소변 상태가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다. 소변정보제공단계(S600)는 단말기(200)를 통해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소변정보제공단계(S600)에서 간병인 및 의료진에 제공될 수 있는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은 시간에 따른 소변 상태의 변화를 가시적으로 표현한 그래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에 소변 정보 외 환자의 의료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시간에 따른 환자의 용태와 관련하여 시간에 따른 소변 상태의 변화가 디스플레이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주기확인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주기확인센서는, 소변관에 설치된 동작감지센서(101)를 포함한다.
동작감지센서(101)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소변관 내의 물체의 온동을 감지하여 소변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량확인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량확인센서는, 소변통에 설치된 로드셀(102)을 포함한다.
로드셀(102)은 소변통 및 소변통에 저장되는 소변의 무게의 변화를 측정한다. 최초 측정 시의 무게를 최후 측정 시의 무게에서 빼면 저장된 소변의 양을 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주기확인센서 및 소변색확인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주기확인센서 및 소변색확인센서는, 소변관에 설치된 비전감지센서(103)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색확인센서는, 소변색확인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전감지센서(103)는 영상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는데, 소변관의 영상을 통해 소변관 내의 물체의 온동을 감지하여 소변주기를 확인할 수 있고, 소변관의 영상에 포함된 소변관 내의 색의 변화를 감지하여 소변색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소변관 내의 색의 변화를 감지하여 소변주기 및 소변색을 동시에 확인하는 방법이 시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주기확인단계 및 소변량확인단계는 상호 보완적으로 시행된다.
소변주기확인센서의 감지와 소변량확인센서의 감지가 동시에 이루어질 때 배뇨가 시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소변주기확인센서의 감지 이후에 소변량확인센서에 감지되는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는 방법이 시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의 소변주기확인단계 및 소변색확인단계는 상호 보완적으로 시행된다.
소변주기확인센서의 감지와 소변주기확인센서의 감지가 동시에 이루어질 때 배뇨가 시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소변주기확인센서의 감지 이후에 소변주기확인센서에 감지되는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는 방법이 시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은, 소변관 및 소변통을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정보를 수집 및 저장 및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변주기확인센서를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횟수 및 주기를 확인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소변주기확인단계;와, 소변색확인센서를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색상을 확인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소변색확인단계;와,소변량확인센서를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양을 확인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소변량확인단계;와, 소변주기확인단계 및 소변색확인단계 및 소변량확인단계에서 수집된 소변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서버 및 단말기로 전송시키는 소변정보전송단계;와, 서버에 전송된 소변 정보를 저장하여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시키는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화단계;와, 소변정보전송단계에서 단말기에 전송된 소변 정보를 실시간으로 단말기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화단계에서 서버에 구축된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소변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소변주기 및 소변색 및 소변량을 포함하는 소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간병인 및 의료진에게 제공시킬 수 있는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소변관
12...소변통
101...동작감지센서
102...로드셀
103...비전감지센서
200...단말기
300...서버

Claims (7)

  1. 소변관 및 소변통을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정보를 수집 및 저장 및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변주기확인센서를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횟수 및 주기를 확인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소변주기확인단계;와,
    소변색확인센서를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색상을 확인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소변색확인단계;와,
    소변량확인센서를 통해 배뇨되는 소변의 양을 확인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소변량확인단계;와,
    상기 소변주기확인단계 및 상기 소변색확인단계 및 상기 소변량확인단계에서 수집된 소변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서버 및 단말기로 전송시키는 소변정보전송단계;와,
    상기 서버에 전송된 상기 소변 정보를 저장하여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시키는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화단계;와,
    상기 소변정보전송단계에서 상기 단말기에 전송된 상기 소변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상기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화단계에서 상기 서버에 구축된 상기 소변정보데이터베이스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소변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주기확인센서는,
    상기 소변관에 설치된 동작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색확인센서는,
    소변색확인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량확인센서는,
    상기 소변통에 설치된 로드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주기확인센서 및 상기 소변색확인센서는,
    상기 소변관에 설치된 비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정보전송단계의 상기 무선통신은,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주기확인단계 및 상기 소변량확인단계는,
    상호 보완적으로 시행되고,
    상기 소변주기확인단계 및 상기 소변색확인단계는,
    상호 보완적으로 시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KR1020170159178A 2017-11-27 2017-11-27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KR102158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178A KR102158347B1 (ko) 2017-11-27 2017-11-27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178A KR102158347B1 (ko) 2017-11-27 2017-11-27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140A true KR20190061140A (ko) 2019-06-05
KR102158347B1 KR102158347B1 (ko) 2020-09-21

Family

ID=6684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178A KR102158347B1 (ko) 2017-11-27 2017-11-27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3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635A1 (ko) * 2019-09-23 2021-04-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KR20220077990A (ko) * 2020-12-02 2022-06-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뇨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뇨 감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371B1 (ko) 2009-02-16 2011-02-18 김상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30048471A (ko) * 2011-11-02 2013-05-10 (주)휴비딕 긴급진단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40525A (ko) * 2012-09-26 2014-04-03 서희식 소변기
KR20160108980A (ko) * 2015-03-09 2016-09-21 주식회사 신코 휴대 가능한 배뇨 정보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371B1 (ko) 2009-02-16 2011-02-18 김상화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30048471A (ko) * 2011-11-02 2013-05-10 (주)휴비딕 긴급진단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40525A (ko) * 2012-09-26 2014-04-03 서희식 소변기
KR20160108980A (ko) * 2015-03-09 2016-09-21 주식회사 신코 휴대 가능한 배뇨 정보 측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635A1 (ko) * 2019-09-23 2021-04-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액 배출량 측정 장치
KR20220077990A (ko) * 2020-12-02 2022-06-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뇨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뇨 감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347B1 (ko) 202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7393A (zh) 尿称重设备
KR100810075B1 (ko) 소변량 측정센서를 사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US9913608B2 (en) Incontinence monitoring and assessment
JP2021533865A (ja) 自動尿量測定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WO2004014228A1 (ja) データ測定装置、ヘルスケアデータ取得システムおよびヘルスケアデータ取得方法
US202300409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ltrasonically Monitoring Urine Output
JP2006231032A (ja) 排尿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90061140A (ko)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CN107024580A (zh) 体液引流检测系统及体液引流检测方法
CN201469284U (zh) 一种尿液测量装置
JP2007152037A (ja) 測定システム、情報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015642A (ja) 生体情報取得システム、健康管理サーバーおよびシステム
JP2007140775A (ja) 測定器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健康管理システム
CN212084232U (zh) 体温智能感知信息管理设备
CN114902045A (zh) 信息处理装置、方法、程序及系统、以及终端程序
WO2020054486A1 (ja) 計測装置及び計測システム
KR100735474B1 (ko) 건강 측정 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108266A (ko)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
JP7072799B2 (ja) 管理システム及び計測装置
JP5249792B2 (ja) 健康管理装置及び健康管理プログラム
CN114760922A (zh) 排尿量测量装置、排尿量管理系统、排尿量测量方法以及程序
CN220649736U (zh) 监控人体排出液体的排液即时监控系统
KR101656510B1 (ko)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CN205338974U (zh) 便携式排尿记录仪
JP2020119442A (ja) 排尿日誌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