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378A -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378A
KR20190060378A KR1020170158521A KR20170158521A KR20190060378A KR 20190060378 A KR20190060378 A KR 20190060378A KR 1020170158521 A KR1020170158521 A KR 1020170158521A KR 20170158521 A KR20170158521 A KR 20170158521A KR 20190060378 A KR20190060378 A KR 20190060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urea
cosmetic composition
weigh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3133B1 (ko
Inventor
김솔지
장동혁
신화영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158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1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60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함량의 우레아와 함께 트리아세틴, 알파-하이드록시산 및 알칼리 금속염을 특정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우레아의 포함에 따른 조성물의 pH 상승을 저감시켜 피부 자극을 줄이면서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igh-Content of Urea}
본 발명은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함량의 우레아와 함께 트리아세틴, 알파-하이드록시산 및 알칼리 금속염을 특정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우레아의 포함에 따른 조성물의 pH 상승을 저감시켜 피부 자극을 줄이면서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각질층(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은 죽은 세포들로 이루어진 피부의 최외곽층 부분을 일컫는 것으로, 건강한 피부는 약 28일을 주기로 노화된 각질이 떨어져 나가고 새로운 세포층이 생성되는 이른바 턴오버 작용을 반복한다. 그러나 노화, 스트레스, 자외선 및 공해 등의 피부의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 이러한 피부의 턴오버 기능이 둔화되면, 불필요한 각질이 제거되지 않고 쌓이게 되어 피부는 거칠고 두터워지며, 이에 따라 멜라닌 색소가 침착되어 피부색도 검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특히, 신체 부위 중 발꿈치나 팔꿈치의 피부는 압력 또는 마찰에 자주 노출되기 때문에 수분을 쉽게 빼앗기고 건조해져 다른 부위의 피부보다 과각질화가 일어나기 쉽다. 이러한 과각질화가 일어나는 비정상적인 각질형성세포의 증식, 분화 형태로 인하여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고 검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우레아(urea)는 피부에 안전하면서 피부 침투 효과 및 각질층의 수분보유 및 수분유지 능력을 촉진하고, 증가된 세포부활의 정상화, 만성습진을 억제하는 항균 효과, 피부에 함께 도포되는 다른 보습 성분의 침투를 촉진하는 등의 작용이 있는 물질로서 많은 기능성 화장품 제형에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인체의 각 기관과 체액에 분포되어 있어 인체에 무독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제약계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는 물질이다. 그러나 우레아는 제형화된 화장품에 특히 고함량으로 포함될 경우 물과 우레아의 반응에 의한 가수분해가 일어나, 이산화탄소와 암모니아가 발생하게 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pH가 상승하여 불안정한 제형으로 변하게 하고 화장품 용기가 부풀어 오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피부 상태 개선 효과가 우수한 우레아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시 조성물의 pH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수단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일본등록특허 제3820805호(2006년 6월 30일 등록)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면서 제형의 pH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수단을 찾고자 하였으며, 트리아세틴(triacetin; glyceryl triacetate), 알파-하이드록시산(alpha hydroxy acids, AHAs) 및 알칼리 금속염을 특정 비율로 조합하여 첨가하면, 제형의 pH를 장기간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트리아세틴으로부터 서서히 방출되는 아세틱애씨드(acetic acid)에 의한 피부 상태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면서 조성물의 pH를 안정화시키고, 가스 발생을 저감시키며, 우수한 피부 상태 개선 효과, 특히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 피부 자극 완화 효과 및 피부 염증 완화 효과를 발휘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레아, 트리아세틴, 알파-하이드록시산 및 알칼리 금속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우레아 및 트리아세틴을 4.0~12.5 : 0.3~4.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피부 보습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pH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스 발생 저감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특정 비율의 우레아, 트리아세틴, 알파-하이드록시산 및 알칼리 금속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이산화탄소와 암모니아 가스의 생성을 저해하고,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pH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며, 우레아 및 트리아세틴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아세틱애씨드에 의한 우수한 피부 상태 개선 효과, 특히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 피부 자극 완화 효과 및 피부 염증 완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조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조성물의 pH 변화 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조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도포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 수분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조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조성물의 가스 생성량의 변화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튜브 무게의 변화량으로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부피, 시간(기간), 농도, 함량, 면적, 온도 등을 표현하는데 사용된 용어 "약"은 해당 수치 또는 수치 범위에서 최대 10%의 허용오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특정 비율의 트리아세틴, 알파-하이드록시산인 락틱애씨드 및 알칼리 금속염인 소듐-락테이트의 혼합물과 함께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pH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하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9중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락틱애씨드 및 소듐-락테이트를 중량 기준으로 0.5:2.5의 조합비로 포함하고, 트리아세틴을 적절 함량으로 포함시킬 경우 시간 경과에 따른 조성물의 pH 상승폭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비교예 1~3의 조성물에 비해 조성물 중 트리아세틴의 함량을 증가시킨 실시예 1의 조성물, 즉 우레아 대 트리아세틴의 중량비가 9:3인 조성물은 조성물의 pH를 pH 4.0~6.5으로 12주간 유지시켜 조성물의 pH 변화 폭이 가장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시험예 1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특정 비율의 트리아세틴, 락틱애씨드 및 소듐-락테이트의 혼합물과 함께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보습력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하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락틱애씨드 및 소듐-락테이트를 중량 기준으로 0.5:2.5의 조합비로 포함하고, 트리아세틴을 적절 함량으로 포함시킨 약 9중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검자의 피부에 도포하면, 피부 수분의 손실량(피검자 군의 평균 피부 수분 손실량 값)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비교예 1~3의 조성물에 비해 조성물 중 트리아세틴의 함량을 증가시킨 실시예 1의 조성물, 즉 우레아 대 트리아세틴의 중량비가 9:3인 조성물은 피부 도포 후 8시간이 경과된 시점에서도 피부 수분량을 약 48%로 유지시켜 피부 보습 개선 효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시험예 2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특정 비율의 트리아세틴, 락틱애씨드 및 소듐-락테이트의 혼합물과 함께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가스 생성 저감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락틱애씨드 및 소듐-락테이트를 중량 기준으로 0.5:2.5의 조합비로 포함하고, 트리아세틴을 적절 함량으로 포함시킨 약 9중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조성물의 원료로부터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및/또는 암모니아와 같은 가스의 생성량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비교예 1~3의 조성물에 비해 조성물 중 트리아세틴의 함량을 증가시킨 실시예 1의 조성물, 즉 우레아 대 트리아세틴의 중량비가 9:3인 조성물은 12주가 경과된 시점에서도 가스 생성량의 저감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시험예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우레아, 트리아세틴, 알파-하이드록시산 및 알칼리 금속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우레아 및 트리아세틴을 4.0~12.5 : 0.3~4.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우레아는 피부에 존재하는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ng Factor, NMF)의 일종으로, 수분과 결합하여 피부에서 수분이 건조되는 것을 억제한다. 우레아는 독성이 없고,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으며, 무색 및 무향의 특성을 가진다. 우레아가 화장료 조성물(화장품 제형)에 포함되는 경우 시간이 지나면 수분과의 접촉 또는 온도 변화로 인해 분해되어 암모니아로 변하게 되는데, 염기성인 암모니아는 조성물의 pH를 높여 조성물의 안정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우레아와 트리아세틴은 4.0~12.5 : 0.3~4.5, 바람직하게는 8.0~12.4 : 0.6~4.2, 더 바람직하게는 8.5~12.1 : 1.0~4.1, 가장 바람직하게는 8.8~10.0 : 2.0~4.0의 중량비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우레아는 조성물에 고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우레아의 함량은 화장품 안전에 관한 규칙에 의거한 사용 제한량을 고려하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12.5중량%, 바람직하게는 8.0~12.4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8.5~12.1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8.8~10.0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우레아의 함량이 4.0중량% 미만이면 피부의 보습 효과, 세균, 진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항생 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미비하고, 우레아의 함량이 12.5중량%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도와 사용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트리아세틴은 제형 중 우레아의 사용시 화장료 조성물(화장품 제형)의 pH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우레아와 트리아세틴의 반응에 의하여 아세틱애씨드가 발생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아세틱애씨드의 경우 피부 트러블 효과는 뛰어나지만, 이를 직접 피부에 도포 시 강한 산성으로 인하여 피부에 자극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우레아와 트리아세틴의 반응에 의할 경우, 서서히 아세틱애씨드가 생성되므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우레아의 물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암모니아로 인한 pH의 상승이 산성 물질인 아세틱애씨드의 생성으로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트리아세틴의 함량은 화장품 안전에 관한 규칙에 의거한 사용 제한량을 고려하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3~4.5중량%, 바람직하게는 0.6~4.2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4.1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0~4.0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트리아세틴의 함량이 0.3중량% 미만이면 피부의 보습 효과, 세균, 진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항생 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4.5중량%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도와 사용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금속염은 알파-하이드록시산의 낮은 산도(pH 2.0~3.0)를 pH 4.0~5.0 수준으로 중화시키기 위한 산도 조절제로서 첨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알파-하이드록시산인 락틱애씨드의 pH를 농도별로 측정한 결과, pH가 2.0~3.0의 범위 내에서 변화하며, 상기 pH 2.0~3.0인 락틱애씨드에 알칼리 금속염인 소듐-락테이트를 특정 비율로 첨가한 경우, 특히 락틱애씨드/소듐-락테이트, 즉 소듐-락테이트에 대한 락틱애씨드의 비율이 중량 기준으로, 0.01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이 되도록 혼합했을 경우에는 pH가 4.0~5.0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소듐-락테이트 대 락틱애씨드의 혼합 중량비가 2.0~3.0 : 0.1~1.0, 바람직하게는 2.5 : 0.5가 되도록 소듐-락테이트 및 락틱애씨드의 혼합물을 트리아세틴 및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시킴으로써, 고함량의 우레아에 의한 조성물 내 pH 상승 효과가 강하(저감)된 우레아, 트리아세틴, 락틱애씨드 및 소듐-락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알파-하이드록시산과 알칼리 금속염의 혼합물은 조성물의 pH를 pH 4.0~6.5, 바람직하게는 pH 4.0~5.0으로 유지하고, 시간이 지나 우레아가 암모니아로 변하여 pH가 상승되더라도 조성물의 pH가 pH 4.0~8.0, 바람직하게는 pH 4.0~7.0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아, 상기 조성물의 pH를 적절하게 유지(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알파-하이드록시산과 알칼리 금속염의 혼합물은 조성물의 pH를 pH 4.0~8.0, 바람직하게는 pH 4.0~7.0으로 유지하는 데 유효한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파-하이드록시산과 알칼리 금속염의 혼합물은 알파-하이드록시산과 알칼리 금속염을 0.1~1.9 : 1.5~3.9, 바람직하게는 0.2~1.7 : 1.7~3.7, 더 바람직하게는 0.3~1.5 : 1.9~3.5, 가장 바람직하게는 0.4~1.0 : 2.0~3.0의 중량비로 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알파-하이드록시산은 화장품 안전에 관한 규칙에 의거한 사용 제한량을 고려하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9중량%, 바람직하게는 0.2~1.7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3~1.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4~1.0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알파-하이드록시산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피부의 보습 효과, 세균, 진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항생 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미비하고, 알파-하이드록시산의 함량이 1.9중량%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도와 사용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알칼리 금속염은 화장품 안전에 관한 규칙에 의거한 사용 제한량을 고려하여,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3.9중량%, 바람직하게는 1.7~3.7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9~3.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0~3.0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알칼리 금속염의 함량이 1.5중량% 미만이면 피부의 보습 효과, 세균, 진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항생 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미비하고, 알칼리 금속염의 함량이 3.9중량%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도와 사용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파-하이드록시산은 바람직하게는 락틱애씨드(lactic acid), 글리콜릭산(glycolic acid), 또는 락틱애씨드와 글리콜릭산의 혼합물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락틱애씨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금속염은 바람직하게는 소듐-락테이트(sodium lactate), 소듐-글리코레이트(sodium glycolate), 또는 소듐-락테이트와 소듐-글리코레이트의 혼합물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소듐-락테이트일 수 있으나, 락테이트(락트산) 또는 글리코레이트(글리콜산)와 결합하는 양이온은 나트륨 외에도 칼륨, 징크, 칼슘, 마그네슘, 아연, 구리, 망간, 붕소, 또는 암모늄 등으로 대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우레아로 인한 조성물 내 pH의 상승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우레아로 인한 가스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가스는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또는 이산화탄소와 암모니아의 혼합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보습력 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자극 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피부 자극 완화는 상기 트리아세틴으로부터 생성되는 아세틱애씨드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염증 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피부 염증 완화는 상기 트리아세틴으로부터 생성되는 아세틱애씨드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세균, 진균 또는 바이러스에 대한 피부의 항생력 증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피부의 항생력 증진은 트리아세틴으로부터 생성되는 아세틱애씨드의 항균활성 또는 항바이러스 활성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보습제(폴리올 등), 오일, 왁스, 점도 조절제, 점증제, pH 조정제, 지방,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습윤화제,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Polyol)'은 다가(多價) 알코올, 즉 2개 이상의 수산기(-OH)를 가진 지방족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수산기를 2개 가진 것을 글리콜 또는 디올(diol)이라고 하고, 수산기를 3개 가진 것을 글리세롤이라 하며, 수산기를 4개 가진 것을 펜타에리트리톨이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은 솔비톨(sorbit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glycerol), 프로판디올(propanediol), 에틸헥산디올(ethyl hexanediol), 1,2-헥산디올(1,2-hexanediol), 피이지/피피지/폴리부틸렌글리콜-8/5/3글리세린(peg/ppg/polybutylene glycol-8/5/3 glycerin) 및 펜틸렌글리콜(pentylene glycol)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에틸헥산디올, 프로판디올, 1,3-부틸렌글리콜, 솔비톨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올은 1~2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며, 상기 폴리올 성분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 유화력 및 보습력이 떨어지고, 상기 폴리올 성분의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감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탄화수소계 오일, 고급 지방산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및 글리세라이드계 오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일은 예컨대, 스쿠알란(squalane), 폴리부텐(Polybutene), 폴리이소부텐(Polyisobutene), 폴리데센(Polydecene)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등에서 선택되는 탄화수소계 오일;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2-옥틸도데칸올 및 이소세틸알코올 등에서 선택되는 고급 지방산계 오일;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세틸옥틸 헥사노에이트,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데실코코에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및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에스테르계 오일; 및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등에서 선택되는 글리세라이드계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10중량% 포함되며,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하면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각종 화장품 제품의 제조가 어렵다.
상기 왁스는 오조케라이트, 밀납, 칸델릴라납, 세레신, 카르나우바납, 파라핀왁스, 몬탄왁스, 제펜왁스, 라이스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합성왁스, 폴라에칠렌 왁스, 다종의 실리콘 왁스 등 화장품에 적절한 모든 왁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제형의 안정도와 사용감을 고려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0중량%, 바람직하게는 5~15중량%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도 조절제는 피부에서의 긴장감, 밀착감 및 팽팽한 느낌의 효과를 더욱 높이는 작용으로 화장료의 점도를 높여 도포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도 조절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펙틴, 알긴산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폴리 아크릴산, 알킬 아크릴산-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잔탄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증제는 점도를 증가시키는 물질을 의미하며, 그 중에서도 오일 점증제는 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점증제를 의미한다. 상기 오일 점증제는 수크로오스 에스터류, 알킬 로지네이트류, 덱스트린 에스터, 또는 폴리글리세릴 에스터류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 점증제는 다이머 디리노레일 하이드로게네이티드 로지네이트(dimer dilinoleyl hydrogenated rosinate), 피토스테릴/이소스테릴/세틸/스테아릴/벤힐 다이머 디리놀레이트(pytosteryl/isosteary/cetyl/stearyl/behenyl dimer dilinoleate), 폴리글리세릴-10-도데카베헤네이트(polyglyceryl-10-dodecabehenate), 수크로오스 올레이트(sucrose oleate), 수크로오스 테트라스테아레이트 트리아세테이트(sucrose tetrastearate triacetate), 글리세릴/폴리글리세릴-6-이소스테아레이트/베헤네이트 에스터(glyceryl/polyglyceryl-6-isostearate/behenate esters),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에틸헥사노에이트(dextrin palmitate/ethylhexanoate),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dextrin myristate), 글리세릴 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glyceryl behenate/eicosadioate), 및 하이드로게네이티드 로진(hydrogenated ros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올의 끈적이는 사용감을 개선하고 제형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적으로 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체는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카, 탈크, 마이카, 실리콘 파우더, 티타늄 옥사이드, 티타늄 디옥사이드, 징크 옥사이드, 틴 옥사이드, 크로뮴 옥사이드, 카올린, 알루미나, 규산 바륨, 황산 바륨, 탄산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및 산화철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체로 HDI/트리메틸올 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HDI/Trimethylol hexyllactone crosspolymer) 및 실리카의 혼합물을 사용하면, 폴리올의 끈적이는 사용감의 개선 및 제형의 안정성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상기 HDI/트리메틸올 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HDI/Trimethylol hexyllactone crosspolymer) 및 실리카의 혼합물은 99:1 내지 95:5, 더욱 바람직하게는 99:1 내지 97:3, 가장 바람직하게는 98:2의 중량비(HDI/트리메틸올 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실리카)로 혼합된 분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50중량%, 바람직하게는 15~4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5~3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체가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사용감 개선 및 제형 안정화 효과가 미약하며, 50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제형 제조 시 유동성 저하와 제형의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일어날 뿐만 아니라 피부 당김 등의 사용감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PEG계 계면활성제 또는 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화제 중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는 금속이온과 결합하여 이들이 촉매작용을 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역할로서, 화장품 제조 시 사용되는 성분과 제조공정에서 혼입될 가능성이 높은 금속 이온의 활성을 차단하여 화장품의 품질저하, 산패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유효 성분들의 효과적인 피부 흡수를 돕는 촉진제의 역할을 한다. 상기 디소듐이디티에이는 화장료 조성물 내 0.01~0.5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에 유용한 기능성을 부과하기 위해, 글리세린 등의 보습 성분, 항산화제 등의 항산화/항노화 성분, 티로시나아제 억제제, 각질 재생 촉진제 등의 미백 성분, 자외선 차단제 등의 보호 성분, 히알루론산,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상처 치유 성분, 소염제 등의 함염 성분 등을 적절 함량으로 포함하여 피부에 대한 보습, 항노화, 미백, 보호, 상처 치유 등의 기능이 부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에센스, 스프레이 타입, 미스트, 겔, 선크림,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컨실러, 립스틱, 립글로스, 립라이너, 파우더, 투웨이케익, 프라이머, 팩트, 파우더, 아이새도우, 블러셔, 아이라이너, 아이 마스카라, 로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및 클렌징 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크림 제형의 유화 및 안정화를 위해서는 계면활성제가 사용되고, 크림 제형의 안정화를 위해 점증제도 함께 첨가되는데, 점증제(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등)는 산성에 약하여, 낮은 pH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락틱애씨드 및 우레아와 함께 포함되는 경우 점증제의 활성이 떨어져 제형의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크림 제형으로 제형화되는 경우에는, 점증제를 첨가하지 않고 계면활성제와 지방알코올(fatty alcohol)만으로도 점증 효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크림 제형보다는 계면활성제와 점증제의 함량이 적은 가용화 제형으로 제형화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고도 고경도의 안정화가 가능한 액정(liquid crystal) 제형으로도 제형화가 가능하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Oil in Water. O/W emulsion) 또는 유중수형(Water in Oil. W/O emulsion)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중유형의 유화방법으로 제조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제조예 1]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조성물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구성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우레아 9 9 9 9
트리아세틴 0 1 2 3
락틱애씨드 0.5 0.5 0.5 0.5
소듐-락테이트 2.5 2.5 2.5 2.5
폴리올 15 15 15 15
계면활성제 및 왁스 8 8 8 8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점증제 1 1 1 1
오일 10 10 10 10
방부제 0.2 0.2 0.2 0.2
향료 0.3 0.3 0.3 0.3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Oil in Water. O/W)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습제(폴리올 등), 점증제, 정제수 등을 포함하는 수상부와 오일 등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각각 80℃로 가온시켜 용해시켰다. 그 다음, 가온된 상태에서 유상부를 수상부에 첨가하고, 3500~4500rpm의 속도로 6분간 교반하면서 유화시켜, 안정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시험예 1] 특정 비율의 트리아세틴 , 락틱애씨드 및 소듐- 락테이트의 혼합물과 함께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pH 변화 양상 조사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조성물로 유화를 진행하고, 실시예 1 및 비교예 1~3 각각의 조성물을 상온에서 1, 3, 6, 9 및 12주간 방치(incubation)한 다음, 각각의 조성물의 pH를 pH 미터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9중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락틱애씨드 및 소듐-락테이트를 중량 기준으로 0.5:2.5의 조합비로 포함하고, 트리아세틴을 적절 함량으로 포함시킬 경우 시간 경과에 따른 조성물의 pH 상승폭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비교예 1~3의 조성물에 비해 조성물 중 트리아세틴의 함량을 증가시킨 실시예 1의 조성물, 즉 우레아 대 트리아세틴의 중량비가 9:3인 조성물은 조성물의 pH를 pH 4.0~6.5으로 12주간 유지시켜 조성물의 pH 변화 폭이 가장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시험예 2] 특정 비율의 트리아세틴 , 락틱애씨드 및 소듐- 락테이트의 혼합물과 함께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보습력 개선 효능 평가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조성물로 유화를 진행하고, 상기 조성물의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를 20명의 피검자 군을 대상으로 TEWL(Transepidermal waterloss) 측정법을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의 손실 여부로 확인하였다(Idson, J. Soc . Cosmet . Chem ., 29:573-580, 1978 참조).
그 결과, 하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락틱애씨드 및 소듐-락테이트를 중량 기준으로 0.5:2.5의 조합비로 포함하고, 트리아세틴을 적절 함량으로 포함시킨 약 9중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검자의 피부에 도포하면, 피부 수분의 손실량(피검자 군의 평균 피부 수분 손실량 값)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비교예 1~3의 조성물에 비해 조성물 중 트리아세틴의 함량을 증가시킨 실시예 1의 조성물, 즉 우레아 대 트리아세틴의 중량비가 9:3인 조성물은 피부 도포 후 8시간이 경과된 시점에서도 피부 수분량을 약 48%로 유지시켜 피부 보습 개선 효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시험예 3] 특정 비율의 트리아세틴 , 락틱애씨드 및 소듐- 락테이트의 혼합물과 함께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가스 생성 저감 효능 평가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조성물로 유화를 진행하고, 상기 조성물의 원료로부터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및/또는 암모니아와 같은 가스의 생성 여부를 튜브 공용기 시스템으로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 1 및 비교예 1~3 각각의 조성물을 튜브 공용기(무게: 약 7.5g)에 약 20g의 용량으로 채운 다음, 상기 각각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튜브 공용기의 무게를 측량하였다(무게: 약 27.5g). 그다음,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튜브 공용기를 상온에서 12주간 방치한 다음, 다시 무게를 측량하였다.
튜브 공용기에 포함된 조성물로부터 가스가 발생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튜브 공용기의 전체 무게가 증가하므로 무게 변화량으로 조성물 유래 가스 생성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방치 전·후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튜브 공용기의 무게를 측량하여 가스 발생으로 인해 변화된 무게 값을 계산할 수 있다.
그 결과, 하기 표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락틱애씨드 및 소듐-락테이트를 중량 기준으로 0.5:2.5의 조합비로 포함하고, 트리아세틴을 적절 함량으로 포함시킨 약 9중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조성물의 원료로부터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및/또는 암모니아와 같은 가스의 생성량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비교예 1~3의 조성물에 비해 조성물 중 트리아세틴의 함량을 증가시킨 실시예 1의 조성물, 즉 우레아 대 트리아세틴의 중량비가 9:3인 조성물은 12주가 경과된 시점에서도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튜브 공용기의 무게 변화량이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스 생성량의 저감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3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튜브 용기의 무게(단위: g)
방치 전 12주간 방치 후 무게 변화량
비교예 1 27.49 27.88 0.39
비교예 2 27.51 27.75 0.24
비교예 3 27.48 27.61 0.13
실시예 1 27.50 27.53 0.03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우레아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발생되는 pH 상승을 트리아세틴, 락틱애씨드 및 소듐-락테이트의 특정 조합을 통해 저감시켜 조성물의 pH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피부 보습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조성물의 장기간 보관에 따른 이산화탄소와 암모니아 가스의 생성량을 감소시켜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의 사용감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우레아, 트리아세틴, 알파-하이드록시산 및 알칼리 금속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우레아 및 트리아세틴을 4.0~12.5 : 0.3~4.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12.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세틴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3~4.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하이드록시산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9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금속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3.9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알파-하이드록시산 및 알칼리 금속염을 0.1~1.9 : 1.5~3.9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우레아 및 트리아세틴을 8.8~10.0 : 2.0~4.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pH는 pH 4.0~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하이드록시산은 락틱애씨드, 글리콜릭산, 또는 락틱애씨드와 글리콜릭산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금속염은 소듐-락테이트, 소듐-글리코레이트, 또는 소듐-락테이트와 소듐-글리코레이트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우레아로 인한 조성물 내 pH의 상승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우레아로 인한 가스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보습력 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자극 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염증 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58521A 2017-11-24 2017-11-24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63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521A KR102463133B1 (ko) 2017-11-24 2017-11-24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521A KR102463133B1 (ko) 2017-11-24 2017-11-24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378A true KR20190060378A (ko) 2019-06-03
KR102463133B1 KR102463133B1 (ko) 2022-11-04

Family

ID=6684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521A KR102463133B1 (ko) 2017-11-24 2017-11-24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1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5285A (zh) * 2019-12-05 2020-02-07 植物医生(广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保湿护肤尿素体系及其应用
WO2023009080A1 (en) * 2021-07-29 2023-02-02 Kurtulmus Mehmet Serhan Anti-viral, anti-bacterial herbal medicine to prevent the transmission and spread of diseases transmitted by respiratory tract and surface contac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0805B2 (ja) 1999-07-08 2006-09-13 株式会社ノエビア 皮膚外用剤
KR20170038581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Aha, 우레아,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각질 연화용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0805B2 (ja) 1999-07-08 2006-09-13 株式会社ノエビア 皮膚外用剤
KR20170038581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Aha, 우레아,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각질 연화용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5285A (zh) * 2019-12-05 2020-02-07 植物医生(广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保湿护肤尿素体系及其应用
WO2023009080A1 (en) * 2021-07-29 2023-02-02 Kurtulmus Mehmet Serhan Anti-viral, anti-bacterial herbal medicine to prevent the transmission and spread of diseases transmitted by respiratory tract and surface cont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133B1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8246A (e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ontaining a low-molecular-weight betaine
TWI432218B (zh) Skin external use
KR101979217B1 (ko) 유중수형 고형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52026B1 (ko) 피부외용제
EP3409264B1 (en) Alpha-gel formation composition, external skin care composition using alpha-gel formation composition, and alpha-gel composition using alpha-gel formation composition
KR101466650B1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02056852A1 (fr) Produits cosmetiques
KR102043485B1 (ko)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JP2006282632A (ja) 固形状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JP2005060234A (ja) 皮膚外用剤
KR102463133B1 (ko)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BR112021011123A2 (pt) Composição, uso da mesma, processo cosmético para o cuidado de um material de queratina, notavelmente a pele, e mais particularmente a pele do rosto e processo para tornar a pele do rosto opaca e/ou para reduzir o seu brilho
KR101460777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5281133A (ja) 皮膚外用剤
JPS6075405A (ja) 固形粉末化粧料
JP2006321769A (ja) 高含水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H11199426A (ja) 化粧料
JP6865522B2 (ja) 水中油型紫外線防御化粧料
JPS6075406A (ja) 固形粉末化粧料
KR102175467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11199425A (ja) 化粧料
JP2003306410A (ja) 粉末含有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7278553B2 (ja) ルテインのブルーライトカット能増強剤および、化粧品組成物
KR102484476B1 (ko)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