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844A -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844A
KR20190059844A KR1020180140851A KR20180140851A KR20190059844A KR 20190059844 A KR20190059844 A KR 20190059844A KR 1020180140851 A KR1020180140851 A KR 1020180140851A KR 20180140851 A KR20180140851 A KR 20180140851A KR 20190059844 A KR20190059844 A KR 20190059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airbag
film
airbag cushion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훈 filed Critical 정재훈
Priority to KR1020180140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9844A/ko
Publication of KR20190059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 표면에 접착력을 갖는 물질을 구비하고 보행자가 차량에서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문턱을 구조적으로 형상화하여 차량에 충돌한 후 에어백 쿠션에 접촉한 보행자가 충돌 차량의 좌우나 후방으로 튕겨 떨어지지 않도록 보행자를 에어백 쿠션에 접착·고정시킬 수 있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보행자 충돌시 에어백쿠션 내부로 고압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 상면 과 하면의 일정 부분에 접착력을 갖는 물질을 도포 또는 결합시킨 에어백쿠션; 에어백 전개 전 에어백 하우징 내부에 에어백쿠션의 일부분이 서로 마주보게 접히거나 말려서 존재할 때 에어백쿠션의 서로 마주보는, 접착력을 갖는 부분들 간에 또는 접착력을 갖는 부분과 접착력을 갖지 않는 부분 간에 서로 접착하지 않도록 그 사이에 존재하는 접착방지막; 상기 인플레이터, 에어백쿠션 및 접착방지막을 수납하는 에어백 하우징; 및 에어백쿠션이 후드 상면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에어백 하우징의 출구 역할을 하는 후드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에어백쿠션은 에어백 전개로 부피가 최대 팽창되었을 때 후드의 좌·우측 가장자리 및 프런트 필라에 위치하게 되는 사이드쿠션부의 수직단면의 직경 또는 크기와 메인쿠션부의 후단부의 수직단면의 직경 또는 크기가 메인쿠션부의 전단부를 제외한 메인쿠션부의 나머지 부분의 수직단면의 직경 또는 크기보다 더 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VEHICULAR PEDESTRIAN-PROTECTING AIRBAG DEVICE WITH ADHESIVE STRENGTH AND THRESHOLD AGAINST FALLING}
본 발명은 접착력과 전도방지 문턱을 구비한 보행자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전면에 충돌한 보행자의 상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충돌시 후드와 윈드쉴드 글래스 및 프런트 필라를 덮을 수 있도록 전개되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자와 차량 전면이 1차 충돌하게 되면 충돌속도, 각도 등의 충돌 상황이나 보행자의 신장크기에 따라 2차적으로 보행자의 신체 일부가 후드에 충돌하고 머리 부위가 후드나 윈드쉴드 글래스, 프런트 필라에 충돌하여 2차 상해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2차 상해의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충돌시 후드의 후방을 들어올림으로써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고 윈드쉴드 글래스와 프런트 필라를 덮을 수 있는 에어백이 전개되어 머리 부위의 충격을 감소시키는 장치들이 개발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2차 상해를 경감시킨다 하더라도 충돌 후 상해를 입은 상태에서 충돌 차량의 좌우나 후방으로 튕겨 떨어져서 보행자의 머리가 도로에 또다시 충격을 받거나 지나가는 다른 차량에 또다시 충돌하는 3차 상해를 막을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남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에어백 쿠션 표면에 접착력을 갖는 물질을 구비하고 보행자가 차량에서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문턱을 구조적으로 형상화하여 차량에 충돌한 후 에어백 쿠션에 접촉한 보행자가 충돌 차량의 좌우나 후방으로 튕겨 떨어지지 않도록 보행자를 에어백 쿠션에 접착·고정시킬 수 있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보행자 충돌시 에어백쿠션 내부로 고압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 상면 과 하면의 일정 부분에 접착력을 갖는 물질을 도포 또는 결합시킨 에어백쿠션; 에어백 전개 전 에어백 하우징 내부에 에어백쿠션의 일부분이 서로 마주보게 접히거나 말려서 존재할 때 에어백쿠션의 서로 마주보는, 접착력을 갖는 부분들 간에 또는 접착력을 갖는 부분과 접착력을 갖지 않는 부분 간에 서로 접착하지 않도록 그 사이에 존재하는 접착방지막; 상기 인플레이터, 에어백쿠션 및 접착방지막을 수납하는 에어백 하우징; 및 에어백쿠션이 후드 상면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에어백 하우징의 출구 역할을 하는 후드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력을 갖는 물질은 감압식 접착제 또는 공기와 접촉하면 접착력이 활성화되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백쿠션은 하나 이상의 연결된 챔버로 이루어진 메인쿠션부와 하나 이상의 연결된 챔버로 이루어진 사이드쿠션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이드쿠션부는 메인쿠션부의 양측면에 위치하며 사이드쿠션부와 메인쿠션부는 내부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인플레이터가 공급하는 가스를 공유하는 구조를 가지며 사이드쿠션부의 길이방향 끝은 메인쿠션부의 후단부의 길이방향 끝과 동일선상에 있거나 메인쿠션부의 후단부의 길이방향 끝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전개되었을 때 후드와 윈드쉴드 글래스 및 프런트 필라의 일부분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백쿠션은 메인쿠션부와 사이드쿠션부 간의 경계부분으로서 에어백쿠션의 횡분할선 역할을 하는 사이드접이선을 가지며 사이드접이선과 직각에 가깝게 교차하면서 사이드쿠션부와 메인쿠션부를 포함하는 에어백쿠션 영역을 일정한 간격으로 종분할하는 여러개의 다단접이선을 가지며 에어백쿠션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는 사이드접이선과 다단접이선의 교차에 의해 분할되는 1개 이상의 메인쿠션부 분할단위와 1개 이상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및 다단접이선에 의해서면 종분할되는 1개 이상의 전체쿠션부 분할단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백쿠션은 에어백 전개 전 에어백 하우징 내부에 접혀서 존재할 때 접착방지막이 작용할 수 없는 서로 접히는 회전 축이 되는 부분으로서 사이드접이선 주변부분과 다단접이선 주변부분, 에어백쿠션이 최소 부피로 접히면서 수반되는 주름부분, 챔버의 경계부분, 에어백쿠션의 두 면이 서로 맞닿지 않고 홀로 노출된 에어백쿠션 부분에는 선택적으로 접착력을 갖는 물질이 도포 또는 결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백쿠션은 에어백 전개로 부피가 최대 팽창되었을 때 후드의 좌·우측 가장자리 및 프런트 필라에 위치하게 되는 사이드쿠션부의 수직단면의 직경 또는 크기가 메인쿠션부의 전단부를 제외한 메인쿠션부의 나머지 부분의 직경 또는 크기보다 더 큰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백쿠션은 에어백 전개로 부피가 최대 팽창되었을 때 메인쿠션부의 후단부의 수직단면의 직경 또는 크기가 메인쿠션부의 전단부를 제외한 메인쿠션부의 나머지 부분의 수직단면의 직경 또는 크기보다 더 큰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백쿠션의 전단부에는 에어백 전개 후에도 에어백쿠션을 에어백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에어백쿠션 결합부가 있으며 에어백 전개와 더불어 후드의 일부분을 이루는 후드개폐부가 개방됨으로써 후드와 팽창된 에어백쿠션 전단부의 하면 간의 표면 접촉에 있어서 개방된 에어백 하우징의 내부공간만큼 후드 표면에 오목한 부분이 생기며 이 부분에 접촉하게 되는 에어백쿠션의 전단부 일부의 하면은 에어백 팽창 상태의 모양이 후드 표면의 오목한 부분을 채울 수 있는 볼록한 모양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방지막은 에어백쿠션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이 쉽게 접착되지 않고 접촉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물성을 갖는 재질이거나 그런 물성을 부여할 수 있는 물질을 도포한 재질이면서 롤 형상으로 말려진 상태를 본연의 형상으로 가지며 외력을 가해서 판상으로 펼치더라도 본래의 롤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을 갖는 롤형 접착방지막; 에어백쿠션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이 쉽게 접착되지 않고 접촉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물성을 갖는 재질이거나 그런 물성을 부여할 수 있는 물질을 도포한 재질이면서 판상으로 펼쳐진 상태를 본연의 형상으로 가지면서 특별한 복원력을 갖지 않는 평면형 접착방지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형 접착방지막은 4변 중 한 변의 부근에 에어백쿠션의 일부분과 결합하는 접착방지막 결합부가 있으며 접착방지막 결합부의 반대쪽 한 변의 끝에는 원통 모양으로 말려서 고정되어 있는 관형태의 원통부가 있으며 접착방지막 결합부쪽으로 롤 형상으로 말려진 모양이 본연의 형상이며 접착방지막 결합부를 에어백쿠션의 일부분에 결합하고 롤형 접착방지막의 원통부를 외력을 가하여 접착방지막 결합부 반대쪽으로 펼치고 에어백쿠션의 다른 면을 마주보게 접어서 포개면 롤형 접착방지막의 복원력이 억제되어 본래의 롤 형상으로 돌아가지 못한 상태에서 에어백 하우징에 수납되며 인플레이터가 공급하는 가스로 에어백쿠션이 팽창되어 에어백쿠션의 서로 마주보게 접혀진 부분이 펼쳐지면 펼쳐져 있던 원통부가 롤형 접착방지막 자체의 복원력의 작용으로 접착방지막 결합부쪽으로 롤 형상의 본연의 형상으로 다시 말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형 접착방지막은 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과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을 포함하며 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에는 에어백쿠션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을 수 있는 전체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 메인쿠션부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메인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 1개의 사이드쿠션부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을 수 있는 사이드쿠션부 1면 롤형 접착방지막; 양측의 사이드쿠션부를 메인쿠션부쪽으로 각각 180도씩 접었을 때 양측의 사이드쿠션부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동시에 덮을 수 있는 사이드쿠션부 2면 롤형 접착방지막을 포함하며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에는 1개의 메인쿠션부 분할단위의 상면 또는 하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메인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 1개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의 상면 또는 하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 1개의 전체쿠션부 분할단위의 상면 또는 하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전체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백 하우징은 후드 하면에 결합되며 방열 및 방냉 재질이 후드개폐부의 하면 및 에어백 하우징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백 하우징은 후드의 좌·우측 하면에 각각의 독립된 좌측 에어백 하우징과 우측 에어백 하우징을 포함하며 각각의 좌·우측 에어백 하우징에는 각각의 인플레이터, 에어백쿠션, 접착방지막이 수납되어 있는 방식을 구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후드개폐부는 에어백 하우징의 바로 위에 해당하는 후드의 일정부분으로서 다른 후드 부분과 독립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드개폐부는 그 전단부를 회전 축으로 상방 90도 이하의 어떤 특정 각도 이하의 범위 내에서만 회동가능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백쿠션과 접착방지막은 사이드쿠션부 상면 또는 하면 각각의 분할단위 또는 메인쿠션부 상면 또는 하면 각각의 분할단위 또는 전체쿠션부 상면 또는 하면 각각의 분할단위의 가장자리 4변 중 한 변 부근에 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 또는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의 가장자리 4변 중 한 변 부근의 접착방지막 결합부가 결합되거나; 양측 사이드쿠션부의 각각의 사이드쿠션부 상면 또는 하면 분할단위 중 최후단부 분할단위 각각의 가장자리 4변 중 각각의 한 변에 1개의 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의 가장자리 4변 중 한 변의 두 곳 이상에 위치한 2개 이상의 접착방지막 결합부가 각각 결합되거나; 사이드쿠션부 상면 또는 하면 각각의 분할단위 또는 메인쿠션부 상면 또는 하면 각각의 분할단위 또는 전체쿠션부 상면 또는 하면 각각의 분할단위의 가장자리 4변 중 한 변 이상의 부근에 평면형 접착방지막의 가장자리 4변 중 한 변 이상의 부근의 1개 이상의 접착방지막 결합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백쿠션과 접착방지막은 메인쿠션부와 사이드쿠션부가 사이드접이선을 회전 축으로 접착방지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접힌 상태에서 에어백쿠션 전체가 후단부 쪽부터 전단부 쪽으로 여러 개의 다단접이선을 회전 축으로 순차적으로, 상방 또는 하방 한 방향으로 180도씩 롤 형태로 접착방지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접혀서 에어백 하우징에 수납되거나 또는 상방과 하방 한 번씩 번갈아가며 180도씩 지그재그 형태로 접착방지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접혀서 에어백 하우징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의 2015년 교통사고 통계를 보면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4621명 중 보행자 사망자수는 1795명으로서 보행자 사망자수가 38.8%를 차지한다. 이는 보행자가 차량 전면에 충돌하는 1차 상해뿐 아니라 그 후 차량의 후드, 프런트 필라, 윈드쉴드 글래스에 충돌하는 2차 상해, 그리고 그 후 도로상에 떨어지면서 받는 충격 및 지나가는 다른 차량에 의한 3차 상해로 인해 사망에 이르는 사고가 빈번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는 보행자와 차량 전면이 충돌했을 때 보행자의 머리 부분이 주로 충돌하는 윈드쉴드 글래스와 프런트 필라뿐 아니라 머리 이외의 신체부분이 충돌하여 보행자가 튕겨 나가게 되는 반작용을 제공하는 후드 부분도 함께 덮을 수 있는 에어백쿠션이 전개되므로 후드의 후방을 들어올리는 별도의 추가적인 장치 없이도 보행자의 2차 상해 및 충돌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행자가 충돌하는 후드 부분 등의 차량 손상도 막을 수 있다.
또한 남아 있는 충돌에너지의 반작용에 의해 보행자가 차량의 좌우나 후방으로 튕겨 떨어지지 않도록 에어백쿠션의 상·하면 표면에 접착력을 갖는 물질을 도포 또는 결합하여 에어백쿠션의 상면에 충돌하는 보행자를 에어백쿠션에 접착·고정시키고 에어백의 하면은 차체에 접착·고정 시켜줄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력으로 보행자의 튕김현상이 약화되었다 하더라도 남아있는 충돌에너지가 클 경우 보행자가 차량 좌우나 후방으로 굴러 떨어질 수 있으므로 에어백 전개로 부피가 최대 팽창되었을 때 후드의 좌·우측 가장자리 및 프런트 필라에 위치하게 되는 사이드쿠션부와 메인쿠션부의 후단부의 수직단면의 직경 또는 크기를 다른 부분의 직경 또는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보행자가 차량 좌우나 후방으로 굴러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문턱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도 불구하고 보행자가 차량 및 에어백에서 이탈하더라도 최대한 충돌차량과 근접한 위치에 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충돌차량과 일정거리를 두고 지나가는 좌·우측의 다른 차량에 의한 3차 상해의 발생확률 및 상해 정도를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작동되어 에어백쿠션 하면이 차체에 접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의 A부분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3은 도1의 B부분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4는 도1의 C부분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롤형 접착방지막의 사시도 및 수직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B부분이 에어백 하우징에 수납되기 위해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을 펼쳐서 에어백쿠션을 접었다가 에어백이 팽창함에 따라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이 접착방지막 결합부쪽으로 롤 형상으로 말리며 에어백 전개가 완료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좌우 대칭되는 반쪽만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과 접착방지막이 에어백 하우징에 수납되기 위해 지그재그 형태로 접히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과 접착방지막이 에어백 하우징에 수납되기 위해 롤 형태로 접히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작동되어 에어백쿠션 하면이 차체에 접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의 에어백쿠션(100)이 펼쳐져 있는 범위를 보면 보행자와 차량 전면이 1차 충돌한 후 2차적으로 보행자의 머리 부분이 주로 충돌하는 윈드쉴드 글래스(W)와 프런트 필라(F) 부분뿐 아니라 머리 이외의 신체부분이 충돌함에 따라 보행자가 튕겨 나가게 되는 반작용을 제공하는 후드(H)의 많은 부분을 에어백쿠션(100)으로 덮어 주게 되므로 후드(H)의 후방을 들어올리는 별도의 추가적인 장치 없이도 보행자의 2차 상해 및 충돌에너지 까지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행자가 충돌하는 후드(H) 등의 차량손상도 막을 수 있다.
또한 에어백쿠션(100)으로 충격을 완화시킨다 하더라도 남아있는 충돌에너지의 반작용에 의해 보행자가 차량의 좌우로 튕겨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1,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의 상·하면에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을 도포 또는 결합하여 에어백쿠션(100)의 상면에 충돌하는 보행자를 에어백쿠션(100)에 접착·고정시키고 에어백쿠션(100)의 하면도 차체에 접착·고정시켜 줄 수 있다. 도 3의 메인쿠션부(110)의 하면은 후드(H) 표면에 접착되어 있지 않은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보행자가 메인쿠션부(110)에 충돌하면 보행자의 하중에 의해 메인쿠션부(110)의 하면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이 후드(H)의 표면에 닿아서 접착·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에어백쿠션(100)의 충격흡수작용과 표면의 접착력으로 보행자의 튕김현상이 약화되었다 하더라도 남아있는 충돌에너지가 클 경우 보행자가 차량 좌우로 굴러 떨어질 수 있으므로 도 1의 B부분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 전개로 부피가 최대 팽창되었을 때 후드(H)의 좌·우측 가장자리 및 프런트 필라(F)에 위치하게 되는 양측 사이드쿠션부(111)의 수직단면의 직경 또는 크기를 메인쿠션부(110)의 수직단면의 직경 또는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보행자가 차량의 좌우로 굴러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문턱 역할을 할 수 있다.
비록 이러한 장치들에도 불구하고 보행자가 차량 및 에어백쿠션(100)에서 이탈하더라도 최대한 충돌차량과 근접한 위치에 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충돌차량과 일정간격을 두고 지나가는 좌·우측의 다른 차량에 의한 3차 상해의 발생확률 및 상해 정도를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졸음운전 등 기타의 이유로 보행자 충돌상황을 즉시 인지하지 못하고 차량운행속도를 줄이지 않고 보행자와 충돌하거나 고속으로 충돌할 경우 보행자가 충돌 후 차량 후방 쪽으로 이동되는 힘이 강하게 작용하여 보행자가 충돌 후 차량의 후방에 떨어져 뒤따르는 다른 차량에 3차 상해를 당할 수 있으므로 도 1의 C부분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 전개로 부피가 최대 팽창되었을 때 메인쿠션부(110)의 후단부의 수직단면의 직경 또는 크기를 메인쿠션부(110)의 전단부를 제외한 메인쿠션부(110)의 나머지 부분의 수직단면의 직경 또는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보행자가 충돌 후 차량 후방 쪽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문턱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수직단면도로서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의 전단부의 하면에는 에어백쿠션(100) 전개 후에도 에어백쿠션(100)을 에어백 하우징(30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에어백쿠션 결합부(140)가 있으며 또한 도 1에 도시된 에어백쿠션(100) 상면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이 도2,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의 하면에도 도포 또는 결합되어 에어백쿠션(100)이 전개된 후에 보행자가 충돌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위의 펼쳐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해준다.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후드개폐부(400)의 하면도 에어백쿠션(100) 전단부 상면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과 접착하여 이러한 기능을 돕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 전개와 더불어 후드(H)의 일부분을 이루는 후드개폐부(400)가 개방됨에 따라 후드(H)와 팽창된 에어백쿠션(100) 전단부의 하면 간의 표면 접촉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에어백 하우징(300)의 내부공간만큼 후드(H) 표면에 오목한 부분이 생기며 이 부분에 접촉하게 되는 에어백쿠션(100)의 전단부 일부의 하면은 에어백 팽창 상태의 모양이 이러한 오목한 부분을 채울 수 있는 볼록한 모양을 갖도록 함으로써 이 부분도 보행자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접착방지막(200)은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으로서 양측 사이드쿠션부(111)의 각각의 측면 가장자리에 접착방지막 결합부(230)로 결합되어 에어백이 팽창되어 전개되면 펼쳐졌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이 자체 복원력에 의해 양측 사이드쿠션부(111)의 각각의 측면 가장자리의 접착방지막 결합부(230) 쪽으로 롤 형상으로 말려서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에어백쿠션(100)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이 접착방지막(200)의 방해없이 온전히 노출되어 보행자가 에어백쿠션(100)에 충돌하면 에어백쿠션(100)의 상면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이 보행자를 접착·고정시키며 하면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은 차량 표면과 접착·고정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방냉 재질(310)이 후드개폐부(400) 하면 및 에어백 하우징(300)의 외표면에 결합되어 차량 내부와 외부의 열기와 냉기로부터 에어백 하우징(300) 내부에 수납된 부속품들을 보호해 준다.
도 4는 도 1의 C부분의 수직단면도로서 인플레이터(I)의 가스 분출구가 에어백쿠션(100)의 전단부에 결합되며 가스 분출 방향이 윈드쉴드 글래스(W) 쪽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에어백 하우징(300) 내에 부피를 최소화하여 접혀서 수납되어 있던 에어백쿠션(100)이 에어백 하우징(300) 쪽에서 윈드쉴드 글래스(W) 쪽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에어백 전개와 더불어 후드개폐부(400)는 그 전단부를 회전 축으로 상방 90도 이내의 특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동되어 에어백쿠션(100)이 윈드쉴드 글래스(W) 쪽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이와 같이 후드개폐부(400)는 에어백쿠션(100)이 에어백 하우징(300) 외부로 나가는 출구를 제공한다. 에어백 전개로 후드개폐부(400)가 열린 후 후드개폐부(400)의 하면은 에어백쿠션(100) 전단부의 상면의 일부분에 도포 또는 결합되어 있는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에 접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 전단부 하면의 에어백쿠션 결합부(140) 및 에어백쿠션(100) 하면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과 더불어 에어백쿠션(100)이 전개된 후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5는 롤형 접착방지막(201)의 사시도 및 수직단면도로서 도 5의 (a)는 롤형 접착방지막(201)이 본연의 형상인 롤 형상으로 말려진 모습의 사시도이며, 도 5의 (b)는 원통부(240)에 별도의 도구를 끼워서 접착방지막 결합부(230)의 반대편 쪽으로 외력을 가해 펼쳐 놓은 모습의 사시도이며, 도 5의 (c)는 (a)의 수직단면도이며, 도 5의 (d)는 (b)의 수직단면도이다. 원통부(240)는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외력을 가해 펼칠 때 용이하도록 관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원통부(240)를 외력을 가해 펼쳤을 때 원통부(240)의 양 끝에 위치하는 에어백쿠션(100)의 표면에 고리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물를 결합시켜 두면 원통부(240) 양 끝에 그 고리를 끼워서 롤형 접착방지막(201)이 판상으로 펼쳐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접착방지막 결합부(230)는 에어백쿠션(100)의 필요한 부위에 초음파(고주파) 융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키는 부위를 말한다. 롤형 접착방지막(201)은 에어백쿠션(100)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에 쉽게 접착되지 않고 접촉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물성을 갖는 재질(예를 들어 표면마찰력이 영에 가까운 재질)이거나 그런 물성을 부여할 수 있는 물질을 도포 또는 결합한 재질이면서 도 5의 (a)와 같이 롤 형상으로 말려진 상태를 본연의 형상으로 가지며 도 5의 (b)와 같이 외력을 가해서 판상으로 펼치더라도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도 5의 (a)와 같이 본래의 롤 형상으로 돌아가는 복원력을 갖고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B부분이 에어백 하우징(300)에 수납되기 위해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을 펼쳐서 에어백쿠션을 접었다가 에어백이 팽창함에 따라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이 접착방지막 결합부(230) 쪽으로 롤 형상으로 말리며 에어백 전개가 완료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좌우 대칭되는 반쪽만 도시되어 있다. 에어백쿠션(100)은 접거나 말아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에어백 하우징(300)에 수납되는데 에어백쿠션(100)의 일부분들이 서로 맞닿아서 접히거나 말리면 에어백쿠션(100) 표면에 도포 또는 결합되어 있는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로 인해 에어백쿠션(100) 일부분들이 서로 접착되어 에어백쿠션(100)이 팽창하여 전개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 6의 (a), (b), (c) 과정처럼 사이드쿠션부(111)와 메인쿠션부(110)가 서로 맞닿지 않도록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을 그 사이에 펼쳐두고 사이드쿠션부(111)를 메인쿠션부(110) 쪽으로 접으면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사이드쿠션부(111)와 메인쿠션부(110)가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에 의해 서로 접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7의 (d), (e), (f) 과정처럼 에어백이 팽창하면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누르고 있던 에어백쿠션(100) 부분이 부풀어 오르면서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을 누르는 단면이 줄어들게 되고 그만큼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의 원통부(240) 쪽부터 다시 롤 형상으로 말리기 시작하여 에어백쿠션(100)의 접혔던 부분이 더 이상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을 누르지 않게 되면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은 접착방지막 결합부(230) 쪽으로 롤 형상으로 말려서 에어백쿠션(100)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이 보행자와 차량 표면에 접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도 8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100)과 접착방지막(200)이 에어백 하우징(300)에 수납되기 위해 지그재그 형태로 접히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100)과 접착방지막(200)이 에어백 하우징(300)에 수납되기 위해 롤 형태로 접히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와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에어백쿠션(100)은 하나 이상의 연결된 챔버로 이루어진 메인쿠션부(110)와 하나 이상의 연결된 챔버로 이루어진 사이드쿠션부(111)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이드쿠션부(111)는 메인쿠션부(110)의 양 측면에 위치하며 사이드쿠션부(111)와 메인쿠션부(110)는 내부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인플레이터(I)가 공급하는 가스를 공유하는 구조를 가지며 사이드쿠션부(111)의 길이방향 끝은 메인쿠션부(110)의 길이방향 끝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전개된 모양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H)와 윈드쉴드 글래스(W) 및 프런트 필라(F)의 일부분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을 갖고 있다.
도 8의 (a)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에는 메인쿠션부(110)와 사이드쿠션부(111) 간의 경계 부분으로서 에어백쿠션(100)의 횡분할선 역할을 하는 2개의 사이드접이선(120)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사이드접이선(120)과 직각에 가깝게 교차하면서 사이드쿠션부(111)와 메인쿠션부(110)를 포함하는 전체 에어백쿠션(100) 영역을 일정한 간격으로 종분할하는 6개의 다단접이선(121)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에어백쿠션(100)의 상면과 하면 각각은 사이드접이선(120)과 다단접이선(121)의 교차에 의해 구분되는 여러 개의 메인쿠션부 분할단위(130)와 여러 개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131)로 구분하여 영역을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도면 전체에 걸쳐 도시되어 있는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은 감압식 접착제 또는 공기와 접촉하면 접착력이 활성화되는 물질을 사용하여 에어백쿠션(100)의 상면과 하면의 일정 부분에 도포 또는 결합시킨다.
도 8,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을 에어백 하우징(300)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 접을 때 접착방지막(200)이 작용할 수 없는 서로 접히는 회전 축이 되는 부분으로서 사이드접이선(120) 주변 부분과 다단접이선(121) 주변 부분, 챔버의 경계부분(103), 에어백쿠션(100)의 두 면이 서로 맞닿지 않고 홀로 노출된 에어백쿠션(100) 부분 및 도 6의 (c)에 도시된 에어백쿠션(100)이 최소 부피로 접히면서 수반되는 주름부분(102)에는 선택적으로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을 도포 또는 결합시키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로 인해 에어백쿠션(100) 일부분들이 서로 접착되는 것을 접착방지막(200)을 통해 막을 수 있는 부분에만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을 도포 또는 결합시켜야 하므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은 마치 섬처럼 서로 분리되어 분포되어 있으며 도 10의 (a)의 경우는 2개의 사이드쿠션부 1면 롤형 접착방지막(212)과 1개의 메인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211)이 다단접이선(121) 주변 부분까지 덮어서 롤 형태로 접히기 때문에 도 8의 (a)보다 다단접이선(121) 주변 부분만큼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이 더 넓게 분포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롤형 접착방지막(201)은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으로서 양측 사이드쿠션부(111)의 상면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131) 중 각각 6개, 양측 합쳐서 12개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131)의 좌·우측 최외곽 가장자리 부근에 각각의 총 12개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의 접착방지막 결합부(2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양측 사이드쿠션부(111)의 하면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131) 중 각각 3개, 양측 합쳐서 6개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131)의 좌·우측 최외곽 가장자리 부근에 각각의 총 6개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의 접착방지막 결합부(2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들 롤형 접착방지막(201)은 롤 형상으로 말려진 본연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
도 8의 (b)를 보면 양측 사이드쿠션부(111)의 상면의 총 12개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 중 10개의 원통부(240)가 각각의 접착방지막 결합부(230)의 반대쪽으로 외력에 의해 펼쳐진 모양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도 9의 (c)처럼 양측 사이드쿠션부(111)를 사이드접이선(120)을 회전 축으로 상방 180도씩 메인쿠션부(110) 쪽으로 접으면 메인쿠션부(110) 절반 씩과 양측 사이드쿠션부(111) 각각이 총 10개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접히게 된다. 이때 총 10개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은 복원력이 억제되어 판상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도 9의 (d)처럼 양측 사이드쿠션부(111)의 하면의 총 6개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의 각각의 원통부(240)를 각각의 접착방지막 결합부(230) 반대쪽으로 외력을 가해서 펼치고 앞서 펼치지 않고 남겨둔 양측 사이드쿠션부(111) 상면의 1개씩의 총 2개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2)을 마저 펼친다. 도 9의 (e)는 상기의 상태에서 에어백쿠션(100) 전체의 후단부 쪽부터 전단부 쪽으로 6개의 다단접이선(121)을 회전 축으로 순차적으로 하방과 상방 한번 씩 번갈아가며 180도씩 지그재그 형태로 접착방지막(2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접힌 모양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이 에어백 하우징(300)에 수납되기 위해 지그재그 형태로 접힌 상태에서 에어백쿠션(100)의 두 면이 맞닿지 않고 홀로 노출된 부분에는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이 도포 또는 결합되어 있지 않으며 이 부분은 양측 사이드쿠션부(111) 최후단부의 각각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131)의 하면 및 메인쿠션부(110) 전단부의 메인쿠션부 분할단위(130)의 하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도 8의 (a)에 도시된 전체 에어백쿠션(100)의 하면을 보면 양측 사이드쿠션부(111) 최후단부의 각각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131) 및 메인쿠션부(110) 전단부의 1개의 메인쿠션부 분할단위(130)에는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이 도포 또는 결합되어 있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전체 에어백쿠션(100)의 하면 중 양측 사이드쿠션부(111)의 하면은 이처럼 최후단부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131)와 메인쿠션부(110) 전단부의 1개의 메인쿠션부 분할단위(130)를 제외하고는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이 도포 또는 결합되어 있어서 에어백쿠션(100) 하면이 차량 표면에 접착·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전체 에어백쿠션(100)의 하면 중 메인쿠션부(110)의 하면은 그 일부에만 메인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1)을 결합시키거나 도 8의 (a)에 도시된 하면과 같이 2개의 평면형 접착방지막(202)만 결합시켜서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이 도포 또는 결합된 부분이 전체 에어백쿠션(100)의 상면보다 적을 수 있다.
도 1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0의 (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롤형 접착방지막(201)은 1개의 메인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211)과 2개의 사이드쿠션부 1면 롤형 접착방지막(212)으로서 메인쿠션부(110) 상면의 후단부 최외각 가장자리 부근에 1개의 메인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211)의 접착방지막 결합부(2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양측 사이드쿠션부(111) 하면의 후단부 최외곽 가장자리 부근에 각각의 사이드쿠션부 1면 롤형 접착방지막(212)의 접착방지막 결합부(230)가 결합되어 있다. 이들 롤형 접착방지막(201)은 롤 형상으로 말려진 본연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 이 부분에서 또 다른 실시예를 생각한다면 1개의 메인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211)과 2개의 사이드쿠션부 1면 롤형 접착방지막(212) 각각의 접착방지막 결합부(230)는 도 10과 달리 각각의 쿠션부의 전단부 최외곽 가장자리 부근에 결합하더라도 접착방지막(200)의 기능을 발휘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이다. 다시 도 10의 (b)를 보면 메인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211)의 원통부(240)가 접착방지막 결합부(230)의 반대쪽으로 외력에 의해 펼쳐진 모양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도 10의 (c)처럼 양측 사이드쿠션부(111)를 사이드접이선(120)을 회전 축으로 상방 180도씩 메인쿠션부(110) 쪽으로 접으면 메인쿠션부(110) 절반 씩과 양측 사이드쿠션부(111) 각각이 메인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21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접히게 된다. 이때 메인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211)은 복원력이 억제되어 판상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0의 (d)처럼 양측 사이드쿠션부(111) 하면의 각각의 사이드쿠션부 1면 롤형 접착방지막(212)의 각각의 원통부(240)를 각각의 접착방지막 결합부(230) 반대쪽으로 외력을 가해서 펼친다. 도 10의 (e)는 상기의 상태에서 에어백쿠션(100) 전체의 후단부 쪽부터 전단부 쪽으로 6개의 다단접이선(121)을 회전 축으로 순차적으로 상방 한 방향으로 180도씩 롤 형태로 접착방지막(2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접힌 모양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이 에어백 하우징(300)에 수납되기 위해 롤 형태로 접힌 상태에서 에어백쿠션(100)의 두 면이 서로 맞닿지 않고 홀로 노출된 부분에는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이 도포 또는 결합되어 있지 않으며 이 부분은 메인쿠션부(110) 전단부 및 중반부의 3개의 메인쿠션부 분할단위(130)의 하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도 10의 (a)에 도시된 전체 에어백쿠션(100)의 하면을 보면 메인쿠션부(110) 전단부 및 중반부의 하면 3개의 메인쿠션부 분할단위(130)에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이 도포 또는 결합되어 있지 않음을 볼 수 있다.
도 9의 (e)와 도 10의 (e)는 에어백 하우징(300)에 수납되어 있는 에어백쿠션(100)과 접착방지막(200)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도 볼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에어백 팽창으로 에어백쿠션(100)이 전개되면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펼쳐져 있던 롤형 접착방지막(201)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각각의 원통부(240)가 각각의 접착방지막 결합부(230) 쪽으로 다시 말리게 되는데 제1실시예에서는 도 8의 (a)처럼 에어백쿠션(10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그리고 제2실시예에서는 도 10의 (a)처럼 에어백쿠션(100)의 후단부 가장자리에 다시 롤 형상으로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에어백쿠션(100)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이 롤형 접착방지막(201)의 방해없이 온전히 노출되어 보행자가 에어백쿠션(100)에 충돌하면 에어백쿠션(100)의 상면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이 보행자를 접착·고정 시키며 하면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101)은 차량 표면과 접착·고정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내지 제7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100)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100)과 달리 도 11 내지 도 15의 에어백쿠션(100)의 메인쿠션부(110)의 후단부의 끝은 양측 사이드쿠션부(111)의 후단부의 끝과 동일 선상에 있으며 이로 인해 에어백 전개 후 윈드쉴드 글래스(W)를 보다 넓게 덮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에어백 전개 후 차량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가리는 단점이 있다.
도 11에 도시된 에어백쿠션(100)과 접착방지막(200)도 도 8및 도 9에 도시하고 설명한 과정을 통해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그재그 형태로 접혀서 에어백 하우징(300)에 수납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에어백쿠션(100)과 접착방지막(200)도 도 10에 도시하고 설명한 과정을 통해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롤 형태로 접혀서 에어백 하우징(300)에 수납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접착방지막(200)은 전체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214)으로서 에어백쿠션(100) 상면의 후단부 최외곽 가장자리에 위치한 1개의 전체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214)을 펼친 후 바로 6개의 다단접이선(121)을 회전 축으로 후단부 쪽부터 순차적으로 롤 형태로 접혀서 에어백 하우징(300)에 수납될 수 있으며 도 14에 도시된 접착방지막(200)은 전체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3)으로서 에어백쿠션(100) 상면과 하면의 좌측면 최외곽 가장자리에 위치한 각각의 전체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223)을 각각의 전체쿠션부 분할단위(132) 영역에 펼친 후 바로 6개의 다단접이선(121)을 회전 축으로 후단부 쪽부터 순차적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접혀서 에어백 하우징(300)에 수납될 수 있으며 도 13과 도 14의 각각의 실시예는 도 17의 후드개폐부(4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접착방지막(200)은 메인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211)과 사이드쿠션부 2면 롤형 접착방지막(213)으로서 에어백쿠션(100) 상면의 후단부 최외곽 가장자리에 나란히 함께 결합된 실시예이며 메인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211)을 먼저 펼친 후 양측 사이드쿠션부(111) 각각을 사이드접이선(120)을 회전 축으로 메인쿠션부(110) 쪽으로 180도씩 접고 난 후 그 다음 사이드쿠션부 2면 롤형 접착방지막(213)을 펼친 후 6개의 다단접이선(121)을 회전 축으로 후단부 쪽부터 순차적으로 롤 형태로 접혀서 에어백 하우징(300)에 수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면의 성격상 접착방지막(200)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달리 에어백 장치가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하우징(300)을 설치할 엔진룸의 공간이 부족하여 에어백 하우징(300)의 크기를 반으로 나누어 엔진룸의 두 곳의 공간에 분산하여 설치하는 것이 요구될 경우 그에 따라 2개의 에어백 하우징(300)에 대응하여 2개의 후드개폐부(400)를 통해 2개의 에어백쿠션(100)이 전개되는 방식으로 구현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면의 성격상 접착방지막(200)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8과 도 9 및 도 10에 각각 도시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경우 에어백쿠션(100)이 에어백 하우징(300)에 수납되기 위해 폭방향의 크기를 반으로 줄이기 위해 양측 사이드쿠션부(111)를 사이드접이선(120)을 회전 축으로 접는 과정을 거친 후 길이방향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다단접이서(121)을 회전 축으로 지그재그 형태나 롤 형태로 접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2단계에 걸친 접는 과정으로 인해 에어백이 전개되는데 다소 시간이 걸린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달리 도 17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100)은 보다 짧은 시간에 에어백 전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단계의 접는 과정 중 폭방향의 크기를 반으로 줄이는 단계 없이 길이방향의 크기만 줄여서 지그재그 형태나 롤 형태로 접어서 수납할 수 있도록 에어백 하우징(300) 및 그에 대응하는 후드개폐부(400)의 폭방향 크기가 에어백쿠션(100) 전체의 폭방향 크기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구현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H : 후드 W : 윈드쉴드 글래스 F : 프런트 필라
I : 인플레이터 100 : 에어백쿠션
200 : 접착방지막 300 : 에어백 하우징
400 : 후드개폐부 101 : 접착력을 갖는 물질
102 : 주름부분 103 : 챔버의 경계부분
110 : 메인쿠션부 111 : 사이드쿠션부
120 : 사이드접이선 121 : 다단접이선
130 : 메인쿠션부 분할단위 131 :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132 : 전체쿠션부 분할단위 140 : 에어백쿠션 결합부
201 : 롤형 접착방지막 202 : 평면형 접착방지막
210 : 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
211 : 메인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
212 : 사이드쿠션부 1면 롤형 접착방지막
213 : 사이드쿠션부 2면 롤형 접착방지막
214 : 전체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
220 :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
221 : 메인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
222 :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
223 : 전체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 230 : 접착방지막 결합부
240 : 원통부 310 : 방열·방냉 재질

Claims (17)

  1. 보행자 충돌시 에어백쿠션 내부로 고압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 상면 과 하면의 일정 부분에 접착력을 갖는 물질을 도포 또는 결합시킨 에어백쿠션; 에어백 전개 전 에어백 하우징 내부에 에어백쿠션의 일부분이 서로 마주보게 접히거나 말려서 존재할 때 에어백쿠션의 서로 마주보는, 접착력을 갖는 부분들 간에 또는 접착력을 갖는 부분과 접착력을 갖지 않는 부분 간에 서로 접착하지 않도록 그 사이에 존재하는 접착방지막; 상기 인플레이터, 에어백쿠션 및 접착방지막을 수납하는 에어백 하우징; 및 에어백쿠션이 후드 상면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에어백 하우징의 출구 역할을 하는 후드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접착력을 갖는 물질은 감압식 접착제 또는 공기와 접촉하면 접착력이 활성화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은 하나 이상의 연결된 챔버로 이루어진 메인쿠션부와 하나 이상의 연결된 챔버로 이루어진 사이드쿠션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이드쿠션부는 메인쿠션부의 양측면에 위치하며 사이드쿠션부와 메인쿠션부는 내부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인플레이터가 공급하는 가스를 공유하는 구조를 가지며 사이드쿠션부의 길이방향 끝은 메인쿠션부의 후단부의 길이방향 끝과 동일선상에 있거나 메인쿠션부의 후단부의 길이방향 끝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전개되었을 때 후드와 윈드쉴드 글래스 및 프런트 필라의 일부분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은 메인쿠션부와 사이드쿠션부 간의 경계부분으로서 에어백쿠션의 횡분할선 역할을 하는 사이드접이선;을 가지며 사이드접이선과 직각에 가깝게 교차하면서 사이드쿠션부와 메인쿠션부를 포함하는 에어백쿠션 영역을 일정한 간격으로 종분할하는 여러 개의 다단접이선;을 가지며 에어백쿠션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는 사이드접이선과 다단접이선의 교차에 의해 분할되는 1개 이상의 메인쿠션부 분할단위;와 1개 이상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및 다단접이선에 의해서만 종분할되는 1개 이상의 전체쿠션부 분할단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은 에어백 전개 전 에어백 하우징 내부에 접혀서 존재할 때 접착방지막이 작용할 수 없는 서로 접히는 회전 축이 되는 부분으로서 사이드접이선 주변부분과 다단접이선 주변부분, 에어백쿠션이 최소 부피로 접히면서 수반되는 주름부분, 챔버의 경계부분, 에어백쿠션의 두 면이 서로 맞닿지 않고 홀로 노출된 에어백쿠션 부분에는 선택적으로 접착력을 갖는 물질이 도포 또는 결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은 에어백 전개로 부피가 최대 팽창되었을 때 후드의 좌·우측 가장자리 및 프런트 필라에 위치하게 되는 사이드쿠션부의 수직단면의 직경 또는 크기가 메인쿠션부의 전단부를 제외한 메인쿠션부의 나머지 부분의 직경 또는 크기보다 더 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7. 제 1항 및 제 6항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은 에어백 전개로 부피가 최대 팽창되었을 때 메인쿠션부의 후단부의 수직단면의 직경 또는 크기가 메인쿠션부의 전단부를 제외한 메인쿠션부의 나머지 부분의 수직단면의 직경 또는 크기보다 더 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의 전단부에는 에어백 전개 후에도 에어백쿠션을 에어백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에어백쿠션 결합부가 있으며 에어백 전개와 더불어 후드의 일부분을 이루는 후드개폐부가 개방됨으로써 후드와 팽창된 에어백쿠션 전단부의 하면 간의 표면 접촉에 있어서 개방된 에어백 하우징의 내부공간만큼 후드 표면에 오목한 부분이 생기며 이 부분에 접촉하게 되는 에어백쿠션의 전단부 일부의 하면은 에어백 팽창 상태의 모양이 후드 표면의 오목한 부분을 채울 수 있는 볼록한 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접착방지막은 에어백쿠션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이 쉽게 접착되지 않고 접촉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물성을 갖는 재질이거나 그런 물성을 부여할 수 있는 물질을 도포 또는 결합한 재질이면서 롤 형상으로 말려진 상태를 본연의 형상으로 가지며 외력을 가해서 판상으로 펼치더라도 본래의 롤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을 갖는 롤형 접착방지막; 에어백쿠션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이 쉽게 접착되지 않고 접촉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물성을 갖는 재질이거나 그런 물성을 부여할 수 있는 물질을 도포한 재질이면서 판상으로 펼쳐진 상태를 본연의 형상으로 가지면서 특별한 복원력을 갖지 않는 평면형 접착방지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롤형 접착방지막은 4변 중 한 변의 부근에 에어백쿠션의 일부분과 결합하는 접착방지막 결합부가 있으며 접착방지막 결합부의 반대쪽 한 변의 끝에는 원통 모양으로 말려서 고정되어 있는 관형태의 원통부가 있으며 접착방지막 결합부쪽으로 롤 형상으로 말려진 모양이 본연의 형상이며 접착방지막 결합부를 에어백쿠션의 일부분에 결합하고 롤형 접착방지막의 원통부를 외력을 가하여 접착방지막 결합부 반대쪽으로 펼치고 에어백쿠션의 다른 면을 마주보게 접어서 포개면 롤형 접착방지막의 복원력이 억제되어 본래의 롤 형상으로 돌아가지 못한 상태에서 에어백 하우징에 수납되며 인플레이터가 공급하는 가스로 에어백쿠션이 팽창되어 에어백쿠션의 서로 마주보게 접혀진 부분이 펼쳐지면 펼쳐져 있던 원통부가 롤형 접착방지막 자체의 복원력의 작용으로 접착방지막 결합부쪽으로 롤 형상의 본연의 형상으로 다시 말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11. 제 4항 및 제 9항에 있어서 롤형 접착방지막은 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과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을 포함하며 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에는 에어백쿠션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을 수 있는 전체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 메인쿠션부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메인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 1개의 사이드쿠션부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을 수 있는 사이드쿠션부 1면 롤형 접착방지막; 양측의 사이드쿠션부를 메인쿠션부쪽으로 각각 180도씩 접었을 때 양측의 사이드쿠션부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동시에 덮을 수 있는 사이드쿠션부 2면 롤형 접착방지막을 포함하며,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에는 1개의 메인쿠션부 분할단위의 상면 또는 하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메인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 1개의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의 상면 또는 하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사이드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 1개의 전체쿠션부 분할단위의 상면 또는 하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전체쿠션부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에어백 하우징은 후드 하면에 결합되며 방열 및 방냉 재질이 후드개폐부의 하면 및 에어백 하우징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에어백 하우징은 후드의 좌·우측 하면에 각각의 독립된 좌측 에어백 하우징과 우측 에어백 하우징을 포함하며 각각의 좌·우측 에어백 하우징에는 각각의 인플레이터, 에어백쿠션, 접착방지막이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14. 제 1항 및 제 12항에 있어서 후드개폐부는 에어백 하우징의 바로 위에 해당하는 후드의 일정부분으로서 다른 후드 부분과 독립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15. 제 1항 및 제 14항에 있어서 후드개폐부는 그 전단부를 회전 축으로 상방 90도 이하의 어떤 특정 각도 이하의 범위 내에서만 회동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16. 제 1항, 제 4항, 제 10항 및 제 11항에 있어서 에어백쿠션과 접착방지막은 사이드쿠션부 상면 또는하면 각각의 분할단위 또는 메인쿠션부 상면 또는 하면 각각의 분할단위 또는 전체쿠션부 상면 또는 하면 각각의 분할단위의 가장자리 4변 중 한 변 부근에 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 또는 분할단위 롤형 접착방지막의 가장자리 4변 중 한 변 부근의 접착방지막 결합부가 결합되거나; 양측 사이드쿠션부의 각각의 사이드쿠션부 상면 또는 하면 분할단위 중 최후단부 분할단위 각각의 가장자리 4변 중 각각의 한 변에 1개의 쿠션부 롤형 접착방지막의 가장자리 4변 중 한 변의 두 곳 이상에 위치한 2개 이상의 접착방지막 결합부가 각각 결합되거나; 사이드쿠션부 상면 또는 하면 각각의 분할단위 또는 메인쿠션부 상면 또는 하면 각각의 분할단위 또는 전체쿠션부 상면 또는 하면 각각의 분할단위의 가장자리 4변 중 한 변 이상의 부근에 평면형 접착방지막의 가장자리 4변 중 한 변 이상의 부근의 1개 이상의 접착방지막 결합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17. 제 1항 및 제 4항에 있어서 에어백쿠션과 접착방지막은 메인쿠션부와 사이드쿠션부가 사이드접이선을 회전 축으로 접착방지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접힌 상태에서 에어백쿠션 전체가 후단부 쪽부터 전단부 쪽으로 여러 개의 다단접이선을 회전 축으로 순차적으로, 상방 또는 하방 한 방향으로 180도씩 롤 형태로 접착방지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접혀서 에어백 하우징에 수납되거나 또는 상방과 하방 한 번씩 번갈아가며 180도씩 지그재그 형태로 접착방지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접혀서 에어백 하우징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KR1020180140851A 2018-11-15 2018-11-15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KR20190059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851A KR20190059844A (ko) 2018-11-15 2018-11-15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851A KR20190059844A (ko) 2018-11-15 2018-11-15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314 Division 2018-03-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844A true KR20190059844A (ko) 2019-05-31

Family

ID=6665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851A KR20190059844A (ko) 2018-11-15 2018-11-15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98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3727A1 (ja) * 2020-11-27 2022-06-0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11766990B1 (en) 2022-05-12 2023-09-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ood assembly including pedestrian airbag
US12017603B2 (en) 2020-09-25 2024-06-25 Subaru Corporation Exterior protection apparatus for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17603B2 (en) 2020-09-25 2024-06-25 Subaru Corporation Exterior protection apparatus for vehicle
WO2022113727A1 (ja) * 2020-11-27 2022-06-0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11766990B1 (en) 2022-05-12 2023-09-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ood assembly including pedestrian airba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2444B2 (ja) 個別膨張式二段クッションエアバッグ
US7073619B2 (en) Vehicle frontal airbag system
JP6219491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ためのトップテザー
EP2310234B1 (de) Fahrzeugsitzanordnung und gassack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m schützen eines fahrzeuginsassen
JP5342213B2 (ja)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9266494B2 (en) Fold over design for small overlap
US7992892B2 (en) Inflatable ramp for inflatable curtain side impact restraint
KR20190059844A (ko) 접착력과 낙하방지 문턱을 구비한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EP2072348B1 (en) Knee airbag and method of folding the same
EP3321139B1 (en) A pedestrian airbag arrangement
AU2014385973B2 (en) Pedestrian protecting air-bag device
US8544879B1 (en) Active bolster with stepped bladder spacing
US20170197578A1 (en) Multi-flap vents for inflatable chambers
US7377547B2 (en) Method for storing a side curtain air bag
KR20200086353A (ko) 아코디언형 골반 절첩부를 갖는 측면 에어백
WO2016085630A1 (en) Knee airbag deployable from a side panel
KR101647445B1 (ko) 차량용 에어백
CN108778848A (zh) 带内部扩散器的侧部安全气囊
JP2024522999A (ja) 展開支援ラッパーを備えた前面エアバッグシステム
EP1541426B1 (en) Crash protection device and its method
EP1986895B1 (en) Bumper air bag
US9067566B1 (en) Active bolster for pedestrian protection
JP2006282166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CN218141417U (zh) 气囊
WO2012124548A1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