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552A -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 Google Patents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552A
KR20190059552A KR1020170157257A KR20170157257A KR20190059552A KR 20190059552 A KR20190059552 A KR 20190059552A KR 1020170157257 A KR1020170157257 A KR 1020170157257A KR 20170157257 A KR20170157257 A KR 20170157257A KR 20190059552 A KR20190059552 A KR 20190059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keyset
elastic body
column tub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3454B1 (ko
Inventor
김응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7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4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9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 B62D7/224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acting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the steering gear, e.g. on the steering colum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 F16F7/1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plastics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가 개시된다. 상기 스티어링 컬럼 구조는 스티어링 컬럼 튜브, 상기 스티어링 컬럼 튜브의 외측면을 감싸는 키셋 클램프, 상기 외측면과 키셋 클램프 사이에 압입되어 다이나믹 댐퍼 기능을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Steering column structure having dynamic damper}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휠의 진동 저감을 위해서 다이내믹 댐퍼 기능을 하는 별물의 댐퍼를 스티어링 휠 혹은 운전석 에어백 내부에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 방식으로는 2가지 타입이 있다.
이중 스티어링 휠 내부에 다이내믹 댐퍼를 구성하는 경우, 별도의 매스를 지지하는 탄성 재질(고무 등)의 물성을 조절하여 차량 공진 주파수에 맞게 튜닝해야 한다. 따라서, 스티어링 휠 내부에 장착 공간 확보 제약 등으로 충분한 매스를 확보하기 어려워 효과가 낮고 중량 및/또는 원가 상승이 과대하게 발생한다. 즉, 스티어링 휠 내부 패키지 상 매스(Mass) 중량을 최대 약 350g 수준으로만 설정 가능하다. 따라서, 댐핑 효과가 감소한다.
이와 달리, 운전석 에어백의 인플레이터를 매스로 활용(댐프터 인플레이터)하는 경우, 인플레이터를 지지하는 탄성 재질 (고무 등)의 물성을 조절하여 차량 공진 주파수에 맞게 튜닝해야 한다. 따라서, 인플레이터를 매스로 활용하여 중량 상승 측면에서 유리하나 에어백 전개시 고무 찢어짐 등에 의한 가스 손실, 에어백 사이즈 증대로 인한 디자인 자유도 저하, 재료비 과도 상승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1.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0-0022352호 2.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0670955호(등록일자: 2007.01.11)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스티어링 컬럼에 장착되는 키셋을 다이나믹 댐퍼의 매스로 활용하여 스티어링 휠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스티어링 컬럼에 장착되는 키셋을 다이나믹 댐퍼의 매스로 활용하여 스티어링 휠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스티어링 컬럼 구조는,
스티어링 컬럼 튜브;
상기 스티어링 컬럼 튜브의 외측면을 감싸는 키셋 클램프; 및
상기 외측면과 키셋 클램프 사이에 압입되어 다이나믹 댐퍼 기능을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컬럼 구조는, 상기 탄성체와 상기 키셋 크램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체의 외측면을 감싸는 아우터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는 제 1 마운팅 볼트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컬럼 튜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마운팅 볼트는 공진시 미리 설정되는 진폭이상의 갭을 확보하기 위해 2단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단 볼트는 나사산부와 무나사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측면에 접착된 후 상기 스티어링 컬럼 튜브의 외측면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마운팅 볼트와 체결되어 키락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보스부가 상기 스티어링 컬럼 튜브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의 물성치를 조정하여 주파수가 튜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고무, 스폰지, 스티로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중공 원통 형상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셋 클램프는 제 2 마운팅 볼트에 의해 키셋과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이내믹 댐퍼 추가에 따른 재료비 중량 상승 최소화가 가능하다. 즉, 스티어링 휠 장착 타입 대비 중량 250g, 재료비 약 1500원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중량 약 700g 수준인 키셋을 다이내믹 댐퍼 매스(Mass)로 활용함으로써 스티어링 휠 장착 타입대비 약 6dB 수준의 진동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스티어링 휠/운전석 에어백에 별도의 장착 패키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디자인 자유도가 높고 차량 패키지에 유리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컬럼 구조를 A-A축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특정 부분(201)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컬럼 구조를 B-B축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탄성체(22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티어링 컬럼 구조(100)는, 스티어링 컬럼 튜브(110), 상기 스티어링 컬럼 튜브(110)의 외측면을 감싸는 키셋(120) 및 키셋 클램프(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티어링 컬럼 튜브(110)는 스티어링 컬럼 샤프트를 감싸는 파이프로 키셋 매칭 홀이 구성된다.
키셋(120)은 다이내믹 댐퍼의 매스 역할을 수행하며, 키셋 클램프(130)와 함께 스티어링 컬럼 튜브(110)를 감싸며 서로 체결된다.
키셋 클램프(130)는 키셋(120)과 함께 스티어링 컬럼 튜브(110)를 감싸며 서로 체결되는 구조물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컬럼 구조를 A-A축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탄성체(220)가 스티어링 컬럼 튜브(110)의 외측면과 키셋 클램프(130) 사이에 압입되어 다이나믹 댐퍼 기능을 한다. 이 탄성체(220)와 키셋 크램프(130) 사이에 아우터 케이스(210)가 설치되어 상기 탄성체(220)의 외측면을 감싼다.
아우터 케이스(210)는 아우터 케이스 마운팅 볼트(230)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컬럼 튜브(110)에 고정된다. 아우터 케이스(210)는 키셋(120)과 키셋 클램프(130)의 체결시 탄성체(220)가 변형되어 튜닝된 물성치가 변화되는 것을 막는 부품이다. 특히, 아우터 케이스(210)에 구성된 볼트 홀을 통해 아우터 케이스 마운팅 볼트(230)가 스티어링 컬럼 튜브(110)의 보스부(211)에 체결되어 키락 강도를 확보한다. 즉, 스티어링 컬럼 튜브(110)의 표면상에 보스부(211)가 형성된다.
탄성체(22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210)의 내측면에 접착된 후 상기 스티어링 컬럼 튜브(110)의 외측면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탄성체(220)의 물성치를 조정하여 주파수가 튜닝될 수 있다. 탄성체(220)의 재질로는 고무, 스폰지, 스티로폴 등을 들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 마운팅 볼트(230)는 이단 형상의 볼트가 된다. 따라서, 완체결 상태에서 아우터 케이스(210)와 소정의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이 간극은 키셋(120)의 공진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키락 강도 평가 조건 등에서는 아우터 케이스 마운팅 볼트(230)에 아우터 케이스(210)가 걸려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특정 부분(201)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아우터 케이스 마운팅 볼트(230)는 공진시 미리 설정되는 진폭이상의 갭을 확보하기 위해 2단 볼트가 된다. 즉, 아우터 케이스 마운팅 볼트(230)는 나사상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부(320)와 나사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간극 확보를 위한 무나사산부(330)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는 나사산부, 그 위는 무나사산 단차부로 구성되어 최대 토크로 체결시에도 아우터 케이스(210)와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아우터 케이스(210)는 키셋(120)의 공진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변부품과 최대 진동폭이상의 간극 필요하다.
물론, 아우터 케이스 마운팅 볼트(230)가 스티어링 컬럼 튜브(110)의 보스부(211)에 체결되기 위해 아우터 케이스(210)에 케이스 홀(311)이 형성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컬럼 구조를 B-B축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키셋 클램프(130)는 키셋 마운팅 볼트(440)에 의해 키셋(120)과 조립된다. 물론, 이때 아우터 케이스(210)의 외부에 키셋(120)과 키셋 클램프(130)가 키셋 마운팅 볼트(440)에 의해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컬럼 튜브(110), 탄성체(220), 아우터 케이스(210)의 경우 개구면이 존재할 수도 있고, 완전한 원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탄성체(220)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성체(220)는 중공 원통 형상에 관통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관통홀(510)을 통해 키셋(120)의 락바(Lock-bar)가 관통할 수 있다.
100: 스티어링 컬럼 구조
110: 스티어링 컬럼 튜브
120: 키셋
130: 키셋 클램프
220: 탄성체

Claims (11)

  1. 스티어링 컬럼 튜브;
    상기 스티어링 컬럼 튜브의 외측면을 감싸는 키셋 클램프; 및
    상기 외측면과 키셋 클램프 사이에 압입되어 다이나믹 댐퍼 기능을 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와 상기 키셋 크램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체의 외측면을 감싸는 아우터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는 제 1 마운팅 볼트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컬럼 튜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운팅 볼트는 공진시 미리 설정되는 진폭이상의 갭을 확보하기 위해 2단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단 볼트는 나사산부와 무나사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측면에 접착된 후 상기 스티어링 컬럼 튜브의 외측면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운팅 볼트와 체결되어 키락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보스부가 상기 스티어링 컬럼 튜브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물성치를 조정하여 주파수가 튜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고무, 스폰지, 스티로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중공 원통 형상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셋 클램프는 제 2 마운팅 볼트에 의해 키셋과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KR1020170157257A 2017-11-23 2017-11-23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KR102383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257A KR102383454B1 (ko) 2017-11-23 2017-11-23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257A KR102383454B1 (ko) 2017-11-23 2017-11-23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552A true KR20190059552A (ko) 2019-05-31
KR102383454B1 KR102383454B1 (ko) 2022-04-06

Family

ID=6665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257A KR102383454B1 (ko) 2017-11-23 2017-11-23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45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955B1 (ko) 2005-10-18 2007-01-17 주식회사 건화 트렐러보그 스티어링 휠 댐퍼
KR20100022352A (ko) 2008-08-19 2010-03-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칼럼의 댐퍼시스템
JP2014139450A (ja) * 2013-01-21 2014-07-31 Nok Corp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
KR20150049813A (ko) * 2013-10-31 2015-05-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
KR20160115363A (ko) * 2015-03-27 2016-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드라이브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KR20170065223A (ko) * 2015-12-03 2017-06-13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20170072538A (ko) * 2015-12-17 2017-06-2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다이나믹 댐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955B1 (ko) 2005-10-18 2007-01-17 주식회사 건화 트렐러보그 스티어링 휠 댐퍼
KR20100022352A (ko) 2008-08-19 2010-03-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칼럼의 댐퍼시스템
JP2014139450A (ja) * 2013-01-21 2014-07-31 Nok Corp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
KR20150049813A (ko) * 2013-10-31 2015-05-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
KR20160115363A (ko) * 2015-03-27 2016-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드라이브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KR20170065223A (ko) * 2015-12-03 2017-06-13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20170072538A (ko) * 2015-12-17 2017-06-2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다이나믹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454B1 (ko) 202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1472B2 (en) Coupling device for the attachment of an airbag module to a vehicle steering wheel in an oscillatory manner
KR102621534B1 (ko) 주파수 동조 댐퍼 및 그 댐퍼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법
US6464247B1 (en) Steering wheel with an airbag module
US11125296B2 (en) Vibration damper
US20050133325A1 (en) Dynamic damper
CN110541909A (zh) 用于车辆的动态阻尼器
KR102487792B1 (ko) 스티어링 시스템용 기어박스의 마운팅부시
US10876574B2 (en) Shaft bearing
JP6532367B2 (ja) ブラケット付き筒形防振装置
US20070145228A1 (en) Bracket fixing structure
US20050212274A1 (en) Air-bag module with floating gas generator diffuser
US20100187733A1 (en) Anti-vibration device
US6352250B1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US11118647B2 (en) Vibration damper
JP2008202609A (ja) 制振装置
US11180192B2 (en) Vibration absorber ring and airbag module with such a vibration absorber ring
US8641089B2 (en) Airbag module for a vehicle steering wheel
US20220204080A1 (en) Vibration Damper System for a Steering Wheel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EP3653466B1 (en) Vehicular steering wheel
KR20190059552A (ko) 다이내믹 댐퍼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구조
JP2009243503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101997363B1 (ko) 댐퍼 유동 강건화 조립 구조
CN205273604U (zh) 转向油壶总成及汽车的转向系统
JP2002031181A (ja) 油圧緩衝器のダストカバー取付構造
US20190048956A1 (en) Vibration dam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