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055A -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055A
KR20190059055A KR1020170156608A KR20170156608A KR20190059055A KR 20190059055 A KR20190059055 A KR 20190059055A KR 1020170156608 A KR1020170156608 A KR 1020170156608A KR 20170156608 A KR20170156608 A KR 20170156608A KR 20190059055 A KR20190059055 A KR 20190059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ime
error
management subject
subjec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석현
서정연
이선영
경능현
Original Assignee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6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9055A/ko
Priority to PCT/KR2017/013405 priority patent/WO2019103180A1/ko
Publication of KR20190059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1Preprocessing measurements, e.g. data collection rate adjustment;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s; Time series or signal analysis, e.g. frequency analysis or wavelets; Trustworthiness of measurements; Indexes therefor; Measurements using easily measured parameters to estimate parameters difficult to measure; Virtual sensor creation; De-noising; Sensor fusion; Unconventional preprocessing inherently present in specific fault detection methods like PCA-based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072Detect faulty circuit, display on screen and replace it

Abstract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방법은, 관리 대상 장치로부터 텍스트 형식의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오류 기준과 상기 제1 데이터를 비교하여 오류 발생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의 오류 분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오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또는 상기 제1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체 시간 구간의 중간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데이터 변화 패턴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DATA VISUALIZ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리 대상 장치의 문제 발생 시점의 로그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로봇 및 기계 장치를 운용하는데 있어서 종래에는 로봇 및 기계 장치의 예상치 못한 오동작이나 시스템의 오류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오류 발생 시점의 동일 동작의 재현과 방대한 양의 시스템의 텍스트 로그 자체 분석을 필요로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분석 방식은 오동작이나 오류 등 문제 재현에 있어서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하고, 기타 환경적 제약을 수반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문제를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의 제공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관리 대상 장치에서 수집된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의 동작을 재현하고, 해당 시점의 로그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필요한 정보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방법은, 관리 대상 장치로부터 텍스트 형식의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오류 기준과 상기 제1 데이터를 비교하여 오류 발생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의 오류 분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오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또는 상기 제1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체 시간 구간의 중간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데이터 변화 패턴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서 생성되어 제1 시간 동안 누적된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에 관한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시간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 변화 패턴 및 상기 오류 발생 여부를 타임 라인 상에 표시할 수 있고, 세부 데이터 표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 상기 세부 데이터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타임 라인 상 또는 별도의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부 데이터 표시 요청은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로그 메시지(log message)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데이터에 복수의 오류 발생 시점이 존재하는 경우 최초 오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 변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재현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 재현 요청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을 이미지로 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은, 관리 대상 장치로부터 텍스트 형식의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오류 기준과 상기 제1 데이터를 비교하여 오류 발생 시점을 판단하는 동작 판단부 및 사용자로부터의 오류 분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오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또는 상기 제1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체 시간 구간의 중간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데이터 변화 패턴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시각화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서 생성되어 제1 시간 동안 누적된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에 관한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시간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화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 변화 패턴 및 상기 오류 발생 여부를 타임 라인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화부는 세부 데이터 표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 상기 세부 데이터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타임 라인 상 또는 별도의 영역에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세부 데이터 표시 요청은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로그 메시지(log message)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화부는 상기 제1 데이터에 복수의 오류 발생 시점이 존재하는 경우 최초 오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 변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재현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 재현 요청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을 이미지로 재현하는 동작 재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리 대상 장치에서 수집된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의 동작을 재현하고, 해당 시점의 로그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필요한 정보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 가능한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 가능한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은 기계 장치의 동작 분석을 위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기계 장치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 또는 컴퓨터에 연결되어, 사용자는 상기 기계 장치의 작동 상황 및/또는 상태를 실시간 및/또는 비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의 운용 SW는 상기 서버 또는 컴퓨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운용 SW에 의한 데이터 처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용 SW는 로거(Logger), 콜렉터(Collector) 및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기계 장치의 동작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 및/또는 백업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에 전달되거나, 또는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측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및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를 분석 및 시각화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구성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예로써 도시될 뿐, 도 1에 도시되는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되는 구성 중 일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새로운 구성이 추가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방법은, 제1 데이터 수신 단계(S10), 오류 발생 시점 판단 단계(S20) 및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제1 데이터 수신 단계(S10)에서는 관리 대상 장치로부터 텍스트 형식의 제1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관리 대상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관리되는 대상이 되는 장치를 의미하며,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기계 장치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기계 장치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 상기 관리 대상 장치가 상기 기계 장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 대상 장치는 생산 라인에 설치되어 제품을 생산하는 장치, 제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장치, 제품을 운반하는 장치 등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특정한 동작이 제어되고 각각의 동작이 디지털 값으로 표현되어 소정의 기록매체 또는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상기 관리 대상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의미하며,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를 다른 종류의 데이터와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뿐 상기 제1 데이터라는 용어 자체에 특정한 의미가 부여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대상 장치는 서로 독립되는 다양한 축(axis)을 갖는 로봇 팔(robot arm)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로봇 팔의 동작을 표현하는 다양한 형식의 수치 또는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수치 또는 값은 상기 로봇 팔에 구비되는 여러 축의 회전 각도, 회전 각속도, 원점(origin)에 대한 지시 방향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로봇 팔의 작동 온도, 상기 로봇 팔에 공급되는 전압 및/또는 전류의 크기 또한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다양한 형식의 수치 또는 값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데이터로부터 특정한 시간의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 상태가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서 생성되어 일정 시간 동안 누적된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계(S10)에서 수신되는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서 한 시간 동안 생성된 데이터가 누적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생성된 상기 제1 데이터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되고, 데이터 분석 및/또는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요청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데이터는 텍스트 형식일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에 관련된 방대한 양의 로그 데이터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로그 데이터에 대응하는 다양한 종류의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오류 발생 시점 판단 단계(S20)에서는 오류 기준과 상기 제1 데이터를 비교하여 오류 발생 시점을 판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 관한 다양한 형식의 수치 또는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원활한 구동을 위한 정상 동작 범위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로봇 팔의 회전 각속도, 회전 각도, 전류 및/또는 전압 각각에 대하여 정상 동작 범위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정상 동작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해당 동작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류 기준은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여러 종류의 데이터 모두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각각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가 함께 저장되며, 상기 단계(S20)에서는 상기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오류가 발생한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S30)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오류 분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오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또는 상기 제1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체 시간 구간의 중간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데이터 변화 패턴을 시각화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S30)에서는, 상기 단계(S20)에서 오류 발생 시점이 판단되면, 상기 오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데이터 변화 패턴을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 대해 저장된 상기 제1 데이터가 1시간 동안 생성된 경우, 데이터 생성 후 40분이 경과한 시점에 오류가 발생하였다면, 상기 단계(S30)에서는 1시간 동안의 전체 데이터 패턴 변화를 출력하지 않고, 40분이 경과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데이터 패턴 변화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오류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의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 상태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 데이터를 모두 분석해야 하는 어려움을 해소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S20)에서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오류 발생 시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1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체 시간 구간의 중간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데이터 변화 패턴을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1시간 동안의 데이터에 오류가 존재하지 않으면, 데이터 생성 후 30분이 경과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데이터 변화 패턴이 시각화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S30)에서는 상기 제1 데이터에 복수의 오류 발생 시점이 존재하는 경우, 최초 오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 변화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 바(Time Bar)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되는 타임 바는 2017년 4월 21일 16시 09초부터 16시 15분 17.908초까지의 데이터 변화 패턴을 나타내며, 상기 타임 바의 16시 01분부터 16시 02분까지 구간에 오류(error)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6시 01분 30초 근처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16시 01분 이전에 경고(warning)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상기 오류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시점의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6시 01분과 16시 02분 사이의 구간의 특정 시점(16시 01분 33.417초)에 포인터(pointer)가 존재하는데, 상기 포인터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며 상기 포인터가 놓인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데이터가 시각화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는 이후의 도면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3은 상기 제1 데이터에 오류 발생 시점이 존재하는 경우의 데이터 변화 패턴의 시각화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상기 제1 데이터에 오류 발생 시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시간 구간인 16시 09초부터 16시 15분 17.908초 사이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데이터 변화 패턴이 출력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상태(Status)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며,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컨디션(Condition), 패턴(Pattern), 로그(Log) 및 설정(Configuration)을 확인할 수 있는 각각의 탭(tap)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타임 바에 존재하는 포인터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도 4의 표를 참조하면, 상기 포인터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포인터에 대응하는 정확한 시간에 획득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장 근접한 시간에 획득된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의 왼쪽에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상태가 시각화되어 출력되는데 상기 포인터에 대응하는 시간의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상태가 별도의 선(line)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컨디션(Condition) 탭이 선택되면,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 공급되는 전압, 전류 및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 온도가 그래프로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 포함되는 여러 부위(part), 예컨대, 베이스(base), 숄더(shoulder), 엘보우(elbow) 등에 대응하는 전압, 전류 및 온도가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선(실선, 파선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패턴(Pattern) 탭이 선택된 경우의 데이터 시각화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 로그와 그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오류(error), 경고(warning), 정보(information) 및 디버그(debug) 등의 데이터 패턴이 출력된다.
상기 오류, 경고, 정보 및 디버그에 대응하는 패턴은 각각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서로 다른 도형 등으로 표시될 수 있고, 예컨대, 상기 제1 데이터 중 program_end 는 16시 01분 10초를 전후하여 경고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고, 다른 데이터 즉, program_repeat, program_resuem 등에 대해서도 오류, 경고 등이 발생하였는지 여부, 또한 그에 대응하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로그(Log) 탭이 선택된 경우의 데이터 시각화 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데이터 중 오류(error)가 발생한 데이터만 확인하기 위하여 Error 에 대응하는 체크 박스(check box)가 선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데이터 각각은 모듈(Module)로 지칭될 수 있으며, 도 7에서는 오류가 발생한 모듈에 한하여 보다 구체적인 내용이 표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마지막으로, 도 8은 설정(Configuration) 탭이 선택된 경우의 데이터 시각화 예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타임 바의 포인터에 대응하는 시점의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설정 값이 출력된다.
상태(Status) 탭부터 설정(Configuration) 탭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탭을 통해 제공되는 시각화 데이터는 상기 포인터에 연동되어 상기 포인터에 대응하는 시점의 값을 나타내며, 상기 시각화 데이터는 모두 텍스트 형식의 상기 제1 데이터로부터 변형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와 관련된 로그 메시지(log message)를 포함할 수 있고, 도 3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복수의 탭(tap)들은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에 상응하는 세부 데이터 표시 요청에 따라 관련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여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는 그 양이 방대하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모두 확인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텍스트 데이터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를 파악하기 사실상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한 눈에 문제를 파악하고, 문제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시점의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 상태, 설정 값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방법은, 동작 재현 단계(S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동작 재현 단계(S40)에서는 동작 재현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 재현 요청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을 이미지로 재현한다.
예컨대,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고, 타임 바 상의 특정 위치에 포인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동작 재현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이 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작을 재현하기 위한 시간 구간은 오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데이터 변화 패턴이 출력되는 시간 구간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동작 재현을 위한 시간 구간이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단계(S40)에서 제공되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 대한 동작 재현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 오류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의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100)은 데이터 수신부(10), 동작 판단부(20) 및 시각화부(3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10)는 관리 대상 장치로부터 텍스트 형식의 제1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관리 대상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관리되는 대상이 되는 장치를 의미하며,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기계 장치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기계 장치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 상기 관리 대상 장치가 상기 기계 장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 대상 장치는 생산 라인에 설치되어 제품을 생산하는 장치, 제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장치, 제품을 운반하는 장치 등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특정한 동작이 제어되고 각각의 동작이 디지털 값으로 표현되어 소정의 기록매체 또는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상기 관리 대상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의미하며,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를 다른 종류의 데이터와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뿐 상기 제1 데이터라는 용어 자체에 특정한 의미가 부여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대상 장치는 서로 독립되는 다양한 축(axis)을 갖는 로봇 팔(robot arm)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로봇 팔의 동작을 표현하는 다양한 형식의 수치 또는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수치 또는 값은 상기 로봇 팔에 구비되는 여러 축의 회전 각도, 회전 각속도, 원점(origin)에 대한 지시 방향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로봇 팔의 작동 온도, 상기 로봇 팔에 공급되는 전압 및/또는 전류의 크기 또한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다양한 형식의 수치 또는 값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데이터로부터 특정한 시간의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 상태가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서 생성되어 일정 시간 동안 누적된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수신부(10)가 수신하는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서 한 시간 동안 생성된 데이터가 누적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생성된 상기 제1 데이터는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되고, 데이터 분석 및/또는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요청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데이터는 텍스트 형식일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에 관련된 방대한 양의 로그 데이터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로그 데이터에 대응하는 다양한 종류의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동작 판단부(20)는 오류 기준과 상기 제1 데이터를 비교하여 오류 발생 시점을 판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 관한 다양한 형식의 수치 또는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원활한 구동을 위한 정상 동작 범위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로봇 팔의 회전 각속도, 회전 각도, 전류 및/또는 전압 각각에 대하여 정상 동작 범위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정상 동작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해당 동작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류 기준은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여러 종류의 데이터 모두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는 각각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가 함께 저장되며, 동작 판단부(20)는 상기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오류가 발생한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시각화부(30)는 사용자로부터의 오류 분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오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또는 상기 제1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체 시간 구간의 중간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데이터 변화 패턴을 시각화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시각화부(30)는, 동작 판단부(20)에서 오류 발생 시점이 판단되면, 상기 오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데이터 변화 패턴을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 대해 저장된 상기 제1 데이터가 1시간 동안 생성된 경우, 데이터 생성 후 40분이 경과한 시점에 오류가 발생하였다면, 시각화부(30)는 1시간 동안의 전체 데이터 패턴 변화를 출력하지 않고, 40분이 경과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데이터 패턴 변화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오류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의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 상태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 데이터를 모두 분석해야 하는 어려움을 해소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동작 판단부(20)에서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오류 발생 시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1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체 시간 구간의 중간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데이터 변화 패턴을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1시간 동안의 데이터에 오류가 존재하지 않으면, 데이터 생성 후 30분이 경과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데이터 변화 패턴이 시각화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200)은 동작 재현부(40)를 더 포함한다. 동작 재현부(40)는 동작 재현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 재현 요청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을 이미지로 재현한다.
예컨대,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3차원 이미지를 제공하고, 타임 바 상의 특정 위치에 포인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동작 재현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이 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작을 재현하기 위한 시간 구간은 오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데이터 변화 패턴이 출력되는 시간 구간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동작 재현을 위한 시간 구간이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동작 재현부(40)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 대한 동작 재현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 오류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의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10: 데이터 수신부
20: 동작 판단부
30: 시각화부
40: 동작 재현부

Claims (17)

  1. 관리 대상 장치로부터 텍스트 형식의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오류 기준과 상기 제1 데이터를 비교하여 오류 발생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의 오류 분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오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또는 상기 제1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체 시간 구간의 중간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데이터 변화 패턴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시각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서 생성되어 제1 시간 동안 누적된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저장되는 데이터 시각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에 관한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시간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는 데이터 시각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 변화 패턴 및 상기 오류 발생 여부를 타임 라인 상에 표시하는 데이터 시각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세부 데이터 표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 상기 세부 데이터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타임 라인 상 또는 별도의 영역에 표시하는 데이터 시각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 데이터 표시 요청은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로그 메시지(log message)에 대응하는 데이터 시각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데이터에 복수의 오류 발생 시점이 존재하는 경우 최초 오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 변화 패턴을 출력하는 데이터 시각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동작 재현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 재현 요청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을 이미지로 재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시각화 방법.
  9. 관리 대상 장치로부터 텍스트 형식의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오류 기준과 상기 제1 데이터를 비교하여 오류 발생 시점을 판단하는 동작 판단부; 및
    사용자로부터의 오류 분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오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또는 상기 제1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체 시간 구간의 중간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데이터 변화 패턴을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시각화부;
    를 포함하는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에서 생성되어 제1 시간 동안 누적된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저장되는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에 관한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시간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는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 변화 패턴 및 상기 오류 발생 여부를 타임 라인 상에 표시하는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부는 세부 데이터 표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 상기 세부 데이터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타임 라인 상 또는 별도의 영역에 표시하는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 데이터 표시 요청은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로그 메시지(log message)에 대응하는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부는 상기 제1 데이터에 복수의 오류 발생 시점이 존재하는 경우 최초 오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 변화 패턴을 출력하는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동작 재현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동작 재현 요청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관리 대상 장치의 동작을 이미지로 재현하는 동작 재현부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156608A 2017-11-22 2017-11-22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90059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608A KR20190059055A (ko) 2017-11-22 2017-11-22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CT/KR2017/013405 WO2019103180A1 (ko) 2017-11-22 2017-11-23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608A KR20190059055A (ko) 2017-11-22 2017-11-22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055A true KR20190059055A (ko) 2019-05-30

Family

ID=6663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608A KR20190059055A (ko) 2017-11-22 2017-11-22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59055A (ko)
WO (1) WO201910318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2647A (ja) * 2003-12-22 2005-07-07 Nec Corp 機器の異常検知装置
JP5468837B2 (ja) * 2009-07-30 2014-04-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異常検出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410442B1 (ko) * 2012-09-14 2014-06-20 주식회사 더존정보보호서비스 사용자 행위분석 기반 디지털 포렌식 감사 시스템
KR101539234B1 (ko) * 2013-07-26 2015-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진단 장치의 오류 이벤트 처리 방법, 장치 및 의료 정보 제공 방법, 장치
WO2016075915A1 (ja) * 2014-11-10 2016-05-19 日本電気株式会社 ログ分析システム、ログ分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180A8 (ko) 2020-08-06
WO2019103180A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3483B2 (en) Rule builder in a process control network
US78269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system monitoring and predictive analysis
WO2017210917A1 (en) Integrated testing mechanism for industrial process control and automation systems
US20190310311A1 (en) Flexible and scalable monitoring systems for industrial machines
US201801221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dustrial asset alarms in a virtual environment
JP2004505364A (ja) 工業技術的プロセスの遠隔診断方法
KR101873311B1 (ko) 현장의 이상 발생 여부를 판정하는 클라우드형 품질관리시스템
CN113508349B (zh) 用于具有混合现实和机器学习技术的qcs扫描架的360°辅助
EP25925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isplay of multiple errors on a human-machine interface
KR20190059055A (ko)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9779610B2 (en) Automated loop check for smart junction boxes
US20140195679A1 (en)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WO202017256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aintaining visual consistency
EP3591483B1 (en) Method, device and positioning system for positioning a sensor
Scheffer et al. Augmented reality for IT/OT failures in maintenance operations of digitized trains: Current status, research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US201600921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processing and/or production installation
JP2017173882A (ja) プラント運転監視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ラント運転監視制御方法
JP6410705B2 (ja) 障害予兆検出システムおよび障害予兆検出方法
EP4174604A1 (en) Event visualization for asset condition monitoring
Acebo et al. Remote Condition Monitoring and Control for Maintenance Activities in Coordinate Measurement Machine: A Data-Driven Approach for the Metrology Engineering Industry
CN113369306B (zh) 一种冷剪自动切钢控制方法
EP4170446A1 (en) Industrial asset management
US20220113347A1 (en) Monitoring systems for industrial machines having dynamically adjustable computational units
EP4105846A1 (en) Verification component for verify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model
Koehler et al. Trace induction for complete manufacturing process model disco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