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562A - 지방산계 겔화제 및 공겔화제를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방산계 겔화제 및 공겔화제를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562A
KR20190058562A KR1020197011696A KR20197011696A KR20190058562A KR 20190058562 A KR20190058562 A KR 20190058562A KR 1020197011696 A KR1020197011696 A KR 1020197011696A KR 20197011696 A KR20197011696 A KR 20197011696A KR 20190058562 A KR20190058562 A KR 20190058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acid
oil
weight
gelling ag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요시 츠바타
치사토 마스모토
Original Assignee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20190058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56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5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1Anhydro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적어도 1종의 지방산계 겔화제; (b) 적어도 1종의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 및 (c) 적어도 1종의 오일을 포함하는, 케라틴 물질용, 예를 들어 피부용 고체 상태의 오일 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개선된 저장 안정성, 형태 안정성 및 도포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방산계 겔화제 및 공겔화제를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케라틴 물질용, 예를 들어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특히 지방산계 겔화제 및 공겔화제를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케라틴 물질용 고체 상태의 화장료 조성물,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은 일반적으로 매력적인 외관을 만들기 위해, 단점, 예를 들어 얼룩, 주름 및 모공을 숨기기 위해, 그리고 케라틴 물질을 UV 광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케라틴 물질, 예를 들어 피부에 스펀지 어플리케이터로 도포된다. 이들 고체 상태의 화장료 조성물은 주로 오일 및 충전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체 상태의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이들의 저장 안정성, 형태 안정성 및 도포성이 중요한 특성에 해당한다. 이들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겔화제 또는 응고제를 조성물 중에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겔화제 또는 응고제를 포함하는 고체 상태의 화장료에 관한 종래 기술 문헌이 몇몇 공개되어 있다.
JP-A-H04-91010호는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120 이하의 수산기값을 갖는 투명 액체 오일 성분 및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투명 고체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JP-A-H04-91011호는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120 이하의 수산기값을 갖는 투명 액체 오일 성분, 및 지방족 알코올의 올레산 에스테르, 올레일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구성 지방산의 60중량% 이상이 18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불포화 지방산인 트리글리세리드에서 선택되는 성분을 포함하는 투명 고체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JP-A-2000-143454호는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1종 이상의 탄화수소 오일 및 1종 이상의 실리콘 유도체를 포함하는 오일성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하지만, 개선된 특성을 갖는 고체 상태의 화장료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 안정성, 형태 안정성 및 도포성이 개선된, 케라틴 물질용, 예를 들어 피부용 고체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a) 적어도 1종의 지방산계 겔화제; (b) 적어도 1종의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 및 (c) 적어도 1종의 오일을 포함하는 오일 겔 조성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지방산계 겔화제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기 및 12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선형 지방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산계 겔화제는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다.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는 덱스트린 또는 이눌린과, 미리스트산, 올레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팔미트산 및 이소스테아르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방산과의 에스테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는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이다.
오일은 식물 또는 동물 유래의 오일, 합성 오일, 실리콘 오일, 탄화수소 오일, 지방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지방산계 겔화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 특히 2 내지 8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중량%, 특히 0.2 내지 5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a) 지방산계 겔화제 대 (b)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의 중량비는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일 수 있다.
오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적어도 30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탈크, 마이카, 합성 마이카 및 실리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무기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무기 충전제는 소수성으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적어도 1종의 유기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적어도 1종의 유기 UV 필터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지방산계 겔화제,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 및 오일을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케라틴 물질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라틴 물질용, 예를 들어 피부용 미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자는 지방산계 겔화제와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의 조합이 놀랍게도 피부용 오일계 화장료의 저장 안정성, 형태 안정성 및 도포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고,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라틴 물질, 바람직하게는 피부용 오일 겔 조성물은 (a) 적어도 1종의 지방산계 겔화제; (b) 적어도 1종의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 및 (c) 적어도 1종의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개선된 저장 안정성, 형태 안정성 및 도포성을 갖는 오일 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우수한 미용 효과를 갖는 케라틴성 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겔 조성물은 (a) 적어도 1종의 지방산계 겔화제, (b) 적어도 1종의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 및 (c) 적어도 1종의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겔 조성물은 고체 상태이다. 본 발명의 목적 상, "고체"라는 용어는 온도 25℃에서의 조성물의 상태를 특징짓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하의 조건에서 Texture Analyzer로 측정했을 때, 온도 25℃ 및 대기압(760mmHg)에서 10 초과, 바람직하게는 40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초과의 경도를 갖는다.
·제품: TA. XT plus, Stable Microsystems사
·모바일: P/3
·시험 속도: 1.0mm/sec
·거리: 2mm
·트리거 힘(Trigger force): 2.0g
(지방산계 겔화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a) 적어도 1종의 지방산계 겔화제를 포함한다. 2종 이상의 (a) 지방산계 겔화제를 조합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종류의 지방산계 겔화제 또는 상이한 종류의 지방산계 겔화제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a) 지방산계 겔화제는 지방산, 지방산의 에스테르, 지방산의 아미드 및 이들의 조합인 겔화제를 포함한다. 지방산계 겔화제 중에 사용되는 지방산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기 및 12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선형 지방산, 특히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일 수 있다. 따라서, (a) 지방산계 겔화제는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의 에스테르, 또는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의 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a) 지방산계 겔화제는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메틸에스테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에틸에스테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릴에스테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벤질에스테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아미드,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의 이소프로필아미드,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의 부틸아미드,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의 벤질아미드,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의 페닐아미드,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의 t-부틸아미드,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의 시클로헥실아미드,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의 1-아다만틸아미드,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의 2-아다만틸아미드,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의 디이소프로필아미드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a) 지방산계 겔화제는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a) 지방산계 겔화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특히 2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a) 지방산계 겔화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2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특히 8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a) 지방산계 겔화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 특히 2 내지 8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b) 적어도 1종의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2종 이상의 (b)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를 조합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종류의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상이한 종류의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b)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는 공겔화제로서 (a) 지방산계 겔화제와 함께 조성물 중에 사용된다.
(b)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 중의 다당은 덱스트린 및 이눌린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b)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 중의 지방산은 선형 또는 분지형인 포화 또는 불포화 C10∼C24, 바람직하게는 C12∼C20인 지방산, 예를 들면 미리스트산, 올레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팔미트산 및 이소스테아르산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b)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는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 덱스트린 스테아레이트, 덱스트린 올레이트, 덱스트린 이소팔미테이트,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2-에틸헥사노에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스테아레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옥타노에이트 및 이눌린 스테아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b)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특히 0.2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b)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중량% 이하, 특히 5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b)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중량%, 특히 0.2 내지 5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b)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는 (a) 지방산계 겔화제의 양보다 적은 양으로 조성물 중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a) 지방산계 겔화제 및 (b)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를, (a) 지방산계 겔화제의 (b)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에 대한 중량비가 1 내지 30:1,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1,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1로 포함한다.
(오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c) 적어도 1종의 오일을 포함한다. 2종 이상의 (c) 오일을 조합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종류의 오일 또는 상이한 종류의 오일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오일"이란, 실온(25℃), 대기압(760mmHg) 하에서 액체 또는 페이스트(비고체)의 형태인 지방 화합물 또는 지방 물질을 의미한다. 오일로서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단독 또는 이들을 조합해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오일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일 수 있다.
(c) 오일은 비극성 오일, 예를 들어 탄화수소 오일 또는 실리콘 오일 등; 극성 오일, 예를 들어 식물성 오일 혹은 동물성 오일 및 에스테르 오일 또는 에테르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c) 오일은 식물 또는 동물 유래의 오일, 합성 오일, 실리콘 오일, 탄화수소 오일 및 지방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식물성 오일의 예시로서, 예를 들면 아마씨 오일, 동백 오일, 마카다미아넛 오일, 옥수수 오일, 밍크 오일,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산다화 오일, 피마자 오일, 홍화씨 오일, 호호바 오일, 해바라기 오일, 아몬드 오일, 유채씨 오일, 참기름, 대두 오일, 땅콩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동물성 오일의 예시로서, 예를 들면 스쿠알렌 및 스쿠알란을 언급할 수 있다.
합성 오일의 예시로서, 알칸 오일, 예를 들어 이소도데칸 및 이소헥사데칸, 에스테르 오일, 에테르 오일 및 인공 트리글리세리드를 언급할 수 있다.
에스테르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포화 또는 불포화인 선형 또는 분지형 C1∼C26 지방족 모노산 또는 다가산과, 포화 또는 불포화인 선형 또는 분지형 C1∼C26 지방족 모노알코올 또는 다가알코올과의 액체 에스테르이며, 이 에스테르의 탄소 원자의 총수는 10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알코올의 에스테르에 관해, 본 발명의 에스테르가 유도되는 알코올 및 산 중 적어도 하나는 분지형이다.
모노산과 모노알코올과의 모노에스테르 중에서는 에틸 팔미테이트,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알킬 미리스테이트,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또는 에틸 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2-에틸헥실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및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C4∼C22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트리카르복실산과 C1∼C22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및 모노카르복실산, 디카르복실산 또는 트리카르복실산과 비당 C4∼C26의 디히드록시알코올, 트리히드록시 알코올, 테트라히드록시알코올 또는 펜타히드록시 알코올과의 에스테르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언급할 수 있는 것은, 디에틸 세바케이트, 이소프로필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비스(2-에틸헥실) 세바케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n-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비스(2-에틸헥실) 아디페이트, 디이소스테아릴 아디페이트, 비스(2-에틸헥실) 말레이트, 트리이소프로필 시트레이트, 트리이소세틸 시트레이트, 트리이소스테아릴 시트레이트, 글리세릴 트리락테이트,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트리옥틸도데실 시트레이트, 트리올레일 시트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이소노나노에이트이다.
에스테르 오일로서 C6∼C30, 바람직하게는 C12∼C22의 지방산 당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당"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알코올 관능기를 포함하고, 알데히드 관능기 또는 케톤 관능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적어도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산소 함유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에 유의한다. 이들 당은 단당, 올리고당, 또는 다당일 수 있다.
언급할 수 있는 적합한 당의 예시는, 수크로오스(또는 자당),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리보오스, 푸코오스, 말토오스, 과당, 만노오스, 아라비노오스, 자일로오스 및 락토오스 및 이들의 유도체, 특히 알킬 유도체, 예를 들어 메틸 유도체, 예를 들면 메틸글루코오스를 포함한다.
지방산의 당에스테르는 상기 당과, 선형 또는 분지형인 포화 또는 불포화 C6∼C30, 바람직하게는 C12∼C22의 지방산과의 에스테르 또는 에스테르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특히 선택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불포화인 경우, 공액 또는 비공액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다.
이 변형 형태에 따른 에스테르는 또한,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 테트라에스테르 및 폴리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들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올레이트, 라우레이트, 팔미테이트, 미리스트테이트, 베헤네이트, 코코에이트, 스테아레이트, 리놀레이트, 리놀레네이트, 카프레이트 및 아라키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예를 들어 특히 올레오팔미테이트, 올레오스테아레이트 및 팔미토스테아레이트 혼합 에스테르, 및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특히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또는 메틸글루코오스 모노올레이트 혹은 디올레이트;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또는 메틸글루코오스 스테아레이트;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또는 메틸글루코오스 베헤네이트;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또는 메틸글루코오스 올레오팔미테이트;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또는 메틸글루코오스 리놀레이트;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또는 메틸글루코오스 리놀레네이트; 및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또는 메틸글루코오스 올레오스테아레이트가 사용된다.
언급할 수 있는 예시는 Amerchol사의 Glucate® DO의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제품이며, 이는 메틸글루코오스 디올레이트이다.
바람직한 에스테르 오일의 예시로서 예를 들면,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2-에틸헥실 헥사노에이트, 에틸 라우레이트, 세틸 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 옥타노에이트,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미리스틸 프로피오네이트, 2-에틸헥실 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 옥타노에이트, 2-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메틸 팔미테이트, 에틸 필미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이소프로필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헥실 라우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데실 올레이트,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 숙시네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인공 트리글리세리드의 예시로서 예를 들면, 카프릴 카프릴릴 글리세리드, 글리세릴 트리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릴 트리팔미테이트, 글리세릴 트리리놀레네이트, 글리세릴 트리라우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레이트/카프릴레이트) 및 글리세릴 트리(카프레이트/카프릴레이트/리놀레네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실리콘 오일의 예시로서 예를 들면, 선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예를 들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및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등; 고리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예를 들어 시클로헥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및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오일은 액체 폴리디알킬실록산, 특히 적어도 하나의 아릴기를 포함하는 액체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및 액체 폴리오르가노실록산에서 선택된다.
이들 실리콘 오일은 또한 유기 변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유기 변성 실리콘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실리콘 오일이며, 그 구조 중에 탄화수소계기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유기 관능기를 포함한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Walter Noll의 "Chemistry and Technology of Silicones"(1968), Academic Press에 더욱 자세히 정의되어 있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휘발성이거나 비휘발성일 수 있다.
실리콘이 휘발성인 경우, 보다 상세하게는, 60℃ 내지 260℃ 사이의 끓는점을 갖는 것에서 선택된다.
비휘발성 폴리디알킬실록산이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비휘발성 실리콘은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디알킬실록산에서 선택되고, 그 중에서도 트리메틸실릴 말단기를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주로 언급할 수 있다.
이들 폴리디알킬실록산 중에서는, 비한정적으로 이하의 시판 제품을 주로 언급할 수 있다:
- Rhodia사에 의해 판매되는 Silbione® 오일의 47 및 70 047 시리즈 또는 Mirasil® 오일, 예를 들면 오일 70 047 V 500 000;
- Rhodia사에 의해 판매되는 Mirasil® 시리즈의 오일;
- Dow Corning사의 200 시리즈의 오일, 예를 들어 60,000mm2/s의 점도를 갖는 DC200; 및
- General Electric사의 Viscasil® 오일 및 General Electric사의 SF 시리즈의 특정 오일(SF 96, SF 18).
디메티코놀(CTFA)의 명칭으로 알려져 있는, 디메틸실라놀 말단기를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 예를 들어 Rhodia사의 48 시리즈의 오일을 또한 언급할 수 있다.
아릴기를 갖는 실리콘 중에서는, 폴리디아릴실록산, 특히 폴리디페닐실록산 및 폴리알킬아릴실록산, 예를 들어 페닐실리콘 오일을 언급할 수 있다.
언급할 수 있는 예시는 이하의 명칭으로 판매되는 제품을 포함한다:
- Rhodia사의 Silbione® 오일의 70 641 시리즈;
- Rhodia사의 Rhodorsil® 70 633 및 763 시리즈의 오일;
- Dow Corning사의 Dow Corning 556 Cosmetic Grade Fluid 오일;
- Bayer사의 PK시리즈의 실리콘, 예를 들어 PK20 제품;
- General Electric사의 SF시리즈의 특정 오일, 예를 들어 SF 1023, SF 1154, SF 1250 및 SF 1265.
페닐실리콘 오일로서 페닐 트리메티콘이 바람직하다.
유기 변성 액체 실리콘은 특히 폴리에틸렌옥시기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옥시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신에츠사에 의해 제안되는 실리콘 KF-6017 및 Union Carbide사의 오일 Silwet® L722 및 L77을 언급할 수 있다.
탄화수소 오일은 이하에서 선택될 수 있다:
- 선형 또는 분지형, 임의로 고리형인, C6∼C16 저급 알칸. 언급할 수 있는 예시는 헥산, 운데칸, 도데칸, 트리데칸 및 이소파라핀, 예를 들면 이소헥사데칸, 이소도데칸 및 이소데칸을 포함한다; 및
- 16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예를 들어 액체 파라핀, 액체 페트롤리움 젤리, 폴리데센 및 수소첨가 폴리이소부텐, 예를 들어 Parleam® 및 스쿠알란.
탄화수소 오일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예를 들면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예를 들어 이소헥사데칸, 이소도데칸, 스쿠알란, 무기 오일(예를 들면, 액체 파라핀), 파라핀, 바셀린 또는 페트롤라툼 및 나프탈렌 등; 수소첨가 폴리이소부텐, 이소에이코산 및 데센/부텐 코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지방 알코올에 있어서의 "지방"이라는 용어는 비교적 다수의 탄소 원자가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4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6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코올이 지방 알코올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지방 알코올은 포화이거나 불포화일 수 있다. 지방 알코올은 선형이거나 분지형일 수 있다.
지방 알코올은 R-OH 구조를 가질 수 있고, R은 4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6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및 불포화의 선형 및 분지형 라디칼에서 선택된다. 적어도 한 구체예에서, R은 C12∼C20 알킬기 및 C12∼C20 알케닐기에서 선택될 수 있다. R은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기로 치환될 수 있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지방 알코올의 예시로서, 라우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운데실레닐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올레일 알코올, 리놀레일 알코올, 팔미톨레일 알코올, 아라키도닐 알코올, 에루실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지방 알코올은 포화 지방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방 알코올은 직쇄상 또는 분지형인 포화 또는 불포화 C6∼C30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직쇄상 또는 분지형인 포화 C6∼C30 알코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쇄상 또는 분지형인 포화 C12∼C20 알코올에서 선택될 수 있다.
"포화 지방 알코올"이라는 용어는 장쇄의 지방족 포화 탄소 사슬을 갖는 알코올을 의미한다. 포화 지방 알코올은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인 포화 C6∼C30 지방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 또는 분지형인 포화 C6∼C30 지방 알코올 중에서, 선형 또는 분지형인 포화 C12∼C20 지방 알코올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인 포화 C16∼C20 지방 알코올을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분지형 C16∼C20 지방 알코올을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포화 지방 알코올의 예시로서 라우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운데실레닐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예를 들면, 세테아릴 알코올) 및 베헤닐 알코올을 포화 지방 알코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에 사용되는 지방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세틸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오일은 탄화수소 오일, 에스테르 오일, 실리콘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구체예에서, 오일은 무기 오일, 옥틸 도데칸올, 페트롤라툼, 이소도데칸, 페닐실리콘 오일, 수소첨가 폴리이소부텐,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디메티콘, 시클로헥사실록산, C20∼C22 알코올, 세틸 팔미테이트, 올레일 알코올, 세틸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오일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오일상을 형성할 수 있다.
(c) 오일상은 유기 UV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c) 오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적어도 30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c) 오일의 양의 상한은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99중량%, 바람직하게는 9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 특히 70중량%이다.
(다른 성분)
·충전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유기 충전제 및/또는 무기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제"라는 용어는 조성물이 제조되는 온도에 관계없이 조성물의 매체에 불용성인 무색 또는 백색의 무기 또는 합성의, 임의의 형상인 입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충전제는 결정형(예를 들면, 층형, 입방체형, 육방정계형, 사방정계형 등)에 관계없이 임의의 형상, 혈소판형, 구형, 또는 긴타원형일 수 있다.
무기 충전제로서 탈크, 마이카, 실리카,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트리메틸실록시규산, 카올린, 벤톤, 탄산칼슘, 탄산수소마그네슘, 수산화인회석, 질화붕소, 형광금운모, 견운모, 소성 탈크, 소성 마이카, 소성 견운모, 합성 마이카, 라우로일리신, 금속 비누, 옥시염화 비스무트, 황산바륨, 탄산마그네슘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고, 이들은 임의로 친수성 처리 또는 소수성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무기 충전제는 예를 들면, 실리콘으로 소수성으로 표면 처리된다.
유기 충전제로서 (메타)아크릴 분말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분말,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말;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분말;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분말, 폴리아미드 분말, 폴리-β-알라닌 분말 및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분말, 라우로일리신, 전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폴리머 분말, 예를 들면 (알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중공 폴리머 마이크로스피어, 8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유기 카르복실산에서 유도된 금속 비누, 예를 들면 아연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리튬 스테아레이트, 아연 라우레이트,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 실리콘 수지 마이크로 비즈, 폴리우레탄 분말, 카나우바 마이크로 왁스, 합성 마이크로 왁스, 카나우바 왁스와 폴리에틸렌 왁스의 혼합물로 형성되는 마이크로 왁스, 카나우바 왁스와 합성 왁스의 혼합물로 형성되는 마이크로 왁스 및 폴리에틸렌 마이크로 왁스를 언급할 수 있다.
충전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중량%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5중량% 내지 4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40중량%의 범위의 함유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유기 UV 필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바람직하게는 "친유성 UV 필터"라고도 불리는 1종 이상의 유기 UV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기 UV 필터는 고체 유기 UV 필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유기 UV 필터는 고체 유기 UV 필터 만으로 구성되고, 액체 유기 UV 필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액체"라는 용어는 25℃ 및 대기압(760mmHg)에서의 액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기 UV 필터는 트리아진 화합물, 파라-아미노벤조산 화합물, 살리실산 화합물, 계피산 화합물, 예를 들어 메톡시계피산 에틸헥실, 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예를 들어 옥토크릴렌, 벤질리덴캄퍼 화합물, 페닐벤즈이미다졸 화합물, 이미다졸린 화합물, 벤잘말로네이트 화합물 및 메로시아닌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UV 필터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중량%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내지 10중량%의 범위 함유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착색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안료, 수용성 또는 지용성 염료, 진주 광택제 및 광휘성 플레이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는 1종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조성물은 착색제로서 안료를 포함한다.
"안료"라는 용어는 수성 용액에 불용성인 백색 또는 유색의 무기 또는 유기 입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안료로서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또는 산화세륨, 또한 산화아연, 산화철 또는 산화크롬, 페릭블루, 망간 바이올렛, 울트라마린블루 및 크롬 수화물을 언급할 수 있다.
착색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중량%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내지 7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5중량%의 범위의 함유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첨가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고, 화장료 용도에 허용되는 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폴리머; 천연 또는 합성 증점제; 다른 겔화제; 동물 또는 식물 유래의 천연 추출물; 왁스; 화장료로서 허용되는 소수성 유기 용매; 펩타이드 및 그 유도체; 단백질 가수분해물; 방부제; 살균제; 무기 UV 필터; 비타민 또는 프로비타민; 향료; 안정화제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첨가제의 양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30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케라틴 물질용 화장료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피부 화장용 메이크업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컴팩트 분말, 특히 분말형 파운데이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무수이거나,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3중량% 미만의 물, 바람직하게는 1중량% 미만의 물을 함유한다. "무수"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에 물이 의도적으로 첨가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성물에 사용되는 다양한 화합물 중에는 물이 미량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을 특히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a) 적어도 1종의 지방산계 겔화제, (b) 적어도 1종의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 및 (c) 적어도 1종의 오일을 혼합하여 균질한 오일 혼합물을 제조함으로써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성분 중 적어도 하나가 실온에서 고체인 경우, 그 성분이 용해될 때까지 가열할 수 있다. 임의로, 분말 성분, 예를 들어 충전제 및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오일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해 균질하게 한다. 이 경우, 첨가되는 분말 성분을 사전에 혼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용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케라틴 물질용, 예를 들어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케라틴 물질, 예를 들어 피부, 두피 및/또는 입술,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도포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매력적인 외관을 만들기 위해, 단점, 예를 들어 얼룩, 주름 및 모공을 숨기기 위해, 그리고 케라틴 물질을 UV 광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케라틴 물질, 예를 들어 피부에 스펀지 어플리케이터로 도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피부, 바람직하게는 얼굴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용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피부, 바람직하게는 얼굴 피부를 메이크업 및/또는 케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성물은 어플리케이터, 예를 들어 스펀지, 퍼프 또는 브러쉬로 분말을 문질러 픽업할 수 있다. 이어서, 어플리케이터를 피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조성물은 어플리케이터에서 피부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리브인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하도록 의도된다. "리브인(leave-in)"이라는 용어는 도포 후 즉시 씻어내거나 제거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은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는 지방산계 겔화제와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의 조합이 놀랍게도 피부용 오일 겔 화장료의 저장 안정성, 형태 안정성 및 도포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오일계 화장료 조성물용 지방산계 겔화제와 겔화제로서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의 조합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은 표 1에 나타나 있고, 이들을 이하의 제조 프로토콜에 따라 제조했다. 표 1 중, 모든 성분은 활성 원재료로서의 "중량부"에 기초한다.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은 THAI KAWAKEN CO., LTD에서 입수하고,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상품명: RHEOPEARL KL2)는 CHIBA FLOUR MILLING사에서 입수했다.
Figure pct00001
[제조 프로토콜]
1) 실리콘으로 표면 처리된 견운모,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말(실시예 3), 실리콘으로 표면 처리된 실리카, 실리콘으로 표면 처리된 TiO2 및 산화철을 칭량하고 믹서(Hanil 믹서)에 넣어, 분말 혼합물을 제조한다.
2) 수소첨가 폴리이소부텐 또는 페닐실리콘,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실시예 1 내지 3), 폴리에틸렌(비교예 3), 수소첨가 피마자 오일(비교예 4), 메톡시계피산 에틸헥실 및 옥토크릴렌을 칭량하고 유리 비커에 넣어 고체 상태의 성분이 용해될 때까지 약 70℃ 내지 80℃로 가열하고, 이어서 이들을 혼합하여 균질한 오일 혼합물을 얻는다.
3) 분말 혼합물을 오일 혼합물에 첨가하고 수작업으로 압설자로 블렌드한다.
4) 단계 3)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Speed Mixer에서 3,000rpm으로 4분간 혼합한다.
5) 단계 4)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재가열하고, 그 일부를 금속 접시에 붓고, 이어서 이를 전기 프레스기로 프레스하여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각각의 고체 조성물 시험 시료를 얻는다.
[평가]
(저장 안정성)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각각의 시험 조성물을 다음에 나타내는 12시간 사이클에 따라 온도를 제어한 오븐에서 1개월 동안 저장했다. 이어서, 조성물을 그 외관, 향기 및 경도에 대해 평가했다. 저장 안정성을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사이클(1사이클=12시간)〉
·시료를 40℃에서 -5℃까지 3시간 동안 냉각
·시료를 -5℃에서 3시간 동안 유지
·시료를 -5℃에서 40℃까지 3시간 동안 가열
·시료를 40℃에서 3시간 동안 유지
〈기준〉
양호: 조성물은 제조 직후 초기의 외관, 향기 및 경도를 유지했다
불량: 외관, 향기 및 경도 중 하나 이상이 악화되었다
(형태 안정성)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각각의 시험 조성물을 분말 파운데이션의 도포 관례에 따라 분말형 파운데이션 조성물용 어플리케이터로서 표준의 스펀지 재료로 픽업했다. 픽업 동작 중 어플리케이터에서의 전단 응력에 의한 조성물의 형상 변화를 관찰하여, 형태 안정성을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양호: 조성물은 전단 응력 후 그 형상을 유지했다
보통: 전단 응력에 의해 형상의 변화가 약간 있었지만, 조성물은 여전히 그 사용성을 유지했다
불량: 조성물의 형상은 전단 응력에 의해 깨졌다
(도포성)
어플리케이터로 픽업한 시험 조성물을 얼굴 피부에 도포했다. 도포성을 다음 기준으로 평가했다.
양호: 조성물을 피부에 펴기 쉽고, 종래의 파운데이션 제품과 유사한 방법으로 도포하는 것이 가능했다
불량: 피부에 도포하기 어려웠다
이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지방산계 겔화제와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와의 조합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조성물은 양호한 저장 안정성, 양호한 형태 안정성 및 양호한 도포성을 나타냈다.
반면에, 지방산계 겔화제 및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조성물은 열악한 형태 안정성 또는 도포성을 나타냈다. 상세하게는, 오일로서 수소첨가 이소부텐을 포함하는 비교예 1에 따른 조성물은 불량한 형태 안정성을 나타냈다. 오일로서 페닐실리콘을 포함하는 비교예 2에 따른 조성물은 사용 가능한 형태 안정성을 나타냈지만, 실용적인 도포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발명의 겔화제와 공겔화제의 조합 대신에 겔화제로서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비교예 3에 따른 조성물은 불량한 저장 안정성 및 도포성을 나타냈다. 본 발명의 겔화제와 공겔화제의 조합 대신에 겔화제로서 수소첨가 피마자 오일을 포함하는 비교예 4에 따른 조성물은 불량한 도포성을 나타냈다.
(관능 시험)
실시예 3에 따른 조성물을 피부용 화장료로서의 그 성능에 대해 종래의 분말 파운데이션용 평가 및 시험과 동일하게 관능 패널 평가 및 기기 계측에 의한 사용 시험으로 평가했다.
실시예 3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에 빛나는 우수한 외관을 부여하고, 장시간 지속성 및 오일 조정의 점에서 바람직한 매트 효과를 나타냈다.
이들 평가 결과는 본 발명이 개선된 저장 안정성, 형태 안정성 및 도포성을 갖는 오일 겔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때문에, 큰 이점을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원하는 미용효과, 예를 들면 빛나는 외관 및 매트 효과를 케라틴성 물질에 부여하는 것을 제공한다.

Claims (15)

  1. (a) 적어도 1종의 지방산계 겔화제;
    (b) 적어도 1종의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 및
    (c) 적어도 1종의 오일
    을 포함하는 오일 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계 겔화제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기 및 12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선형 지방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오일 겔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계 겔화제는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인 오일 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는 덱스트린 또는 이눌린과, 미리스트산, 올레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팔미트산 및 이소스테아르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방산과의 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오일 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는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인 오일 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식물 또는 동물 유래의 오일, 합성 오일, 실리콘 오일, 탄화수소 오일, 지방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오일 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계 겔화제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 특히 2 내지 8중량%의 범위인 오일 겔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중량%, 특히 0.2 내지 5중량%의 범위인 오일 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지방산계 겔화제 대 상기 (b)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의 중량비는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인 오일 겔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의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적어도 30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중량%인 오일 겔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수성으로 표면 처리될 수 있는 탈크, 마이카, 합성 마이카 및 실리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무기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오일 겔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유기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오일 겔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유기 UV 필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오일 겔 조성물.
  14. 상기 지방산계 겔화제, 상기 다당 지방산 에스테르 및 상기 오일을 혼합함으로써,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오일 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5. 피부와 같은 케라틴 물질에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오일 겔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라틴 물질용 미용 방법.
KR1020197011696A 2016-11-01 2017-10-17 지방산계 겔화제 및 공겔화제를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85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14234A JP6968528B2 (ja) 2016-11-01 2016-11-01 脂肪酸系ゲル化剤及び共ゲル化剤を含む固体化粧用組成物
JPJP-P-2016-214234 2016-11-01
PCT/JP2017/038097 WO2018084005A1 (en) 2016-11-01 2017-10-17 A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fatty acid-based gelling agent and a co-gelling ag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562A true KR20190058562A (ko) 2019-05-29

Family

ID=60331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696A KR20190058562A (ko) 2016-11-01 2017-10-17 지방산계 겔화제 및 공겔화제를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97806B2 (ko)
EP (1) EP3535027A1 (ko)
JP (1) JP6968528B2 (ko)
KR (1) KR20190058562A (ko)
CN (1) CN109862940A (ko)
WO (1) WO201808400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2320B2 (ja) 1990-08-07 1999-08-30 鐘紡株式会社 透明固形化粧料
JPH0491010A (ja) 1990-08-07 1992-03-24 Kanebo Ltd 透明固形化粧料
JPH0913074A (ja) 1995-06-30 1997-01-14 Lion Corp 油ゲル化剤組成物
US5744130A (en) * 1996-12-20 1998-04-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tiperspirant gel-solid stick compositions substantially free of select polar solvents
US6171601B1 (en) * 1996-12-20 2001-0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residue antiperspirant gel-solid stick compositions
JP2000143454A (ja) 1998-11-05 2000-05-23 Shiseido Co Ltd 油性毛髪化粧料
JP3657148B2 (ja) * 1999-07-28 2005-06-08 株式会社資生堂 透明化粧料
AU2001233691A1 (en) * 2000-01-14 2001-07-24 Unilever Plc Antiperspirant compositions
JP2002003340A (ja) * 2000-06-20 2002-01-09 Pola Chem Ind Inc ツヤの良いオイルゲル化粧料
GB0016937D0 (en) * 2000-07-10 2000-08-30 Unilever Plc Antiperspirant compositions
WO2002047624A1 (en) 2000-12-12 2002-06-20 L'oreal Sa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polymer and at least one gelling agen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4174994B2 (ja) * 2001-02-13 2008-11-05 味の素株式会社 油性基剤のゲル化剤
US20020159961A1 (en) * 2001-02-13 2002-10-31 Ajinomoto Co. Inc. Gelling agent for oil
JP2002302412A (ja) * 2001-03-30 2002-10-18 Shiseido Co Ltd 発色液体組成物
EP1287816B1 (en) * 2001-03-30 2010-08-04 Shiseido Co., Ltd. Cosmetic preparation and method for using a color-developing composition as a cosmetic preparation
JP4704603B2 (ja) 2001-05-21 2011-06-15 株式会社コーセー 油性化粧料
CN1787798A (zh) * 2003-05-13 2006-06-14 日清奥利友集团株式会社 油性化妆品
CN102149364B (zh) * 2008-09-12 2013-08-28 日清奥利友集团株式会社 透明凝胶化妆材料及胶凝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62940A (zh) 2019-06-07
EP3535027A1 (en) 2019-09-11
JP6968528B2 (ja) 2021-11-17
US20190269581A1 (en) 2019-09-05
WO2018084005A1 (en) 2018-05-11
JP2018087145A (ja) 2018-06-07
US11197806B2 (en) 202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352B1 (ko) 유성 메이크업 화장료
KR101815024B1 (ko) 수분 보급용 스틱형상 화장료
JP5547181B2 (ja) 再塗布可能なマスカラ組成物
JP7233896B2 (ja) 2種のポリグリセリル脂肪酸エステルを含む組成物
JPH11310511A (ja) 分枝の炭素数24から28の脂肪アルコ―ルまたは酸エステルを含有する局所組成物
KR20110130451A (ko) 마스카라 조성물 및 속눈썹을 처리하는 방법
JP6030347B2 (ja) 水中油型睫用化粧料
KR20120046207A (ko) 고형 분말 화장료
US20090291056A1 (en) Aqueous Based Cosmetic Compositions With Clear Or Translucent Non-Amidated Structuring Agent
KR101880020B1 (ko) 케라틴 섬유를 위한 혼합가능한 다기능성 제품 및 방법
CA2515214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phenyl silicones
TW201733563A (zh) 水性化妝料組合物
JP2005263701A (ja) 睫用化粧料
JP2021102558A (ja) 球状疎水性シリカエアロゲル及びエステル油を含むw/o型エマルションの形態の化粧用組成物
JP5947065B2 (ja) 油性睫用化粧料
KR20190057356A (ko) 지방산계 겔화제 및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조성물
JP6954756B2 (ja) 油性睫用化粧料
CA2945994A1 (en) Volumizing mascara compositions
KR20190058562A (ko) 지방산계 겔화제 및 공겔화제를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조성물
JP2016523808A (ja) 長期耐久性化粧用組成物
JP2014136704A (ja) 化粧料
WO2020027076A1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WO2021177326A1 (en) Composition suitable for eyelashes
JP2021138658A (ja) 睫毛に好適な組成物
KR20230138038A (ko) 2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