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468A - 수지제관 이음매 - Google Patents

수지제관 이음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468A
KR20190058468A KR1020197006614A KR20197006614A KR20190058468A KR 20190058468 A KR20190058468 A KR 20190058468A KR 1020197006614 A KR1020197006614 A KR 1020197006614A KR 20197006614 A KR20197006614 A KR 20197006614A KR 20190058468 A KR20190058468 A KR 20190058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inner ring
press
union nut
rad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3779B1 (ko
Inventor
마코토 후지이
마사키 미야모토
다츠야 후지이
도시히데 이이다
도모유키 고이케
신타로 마키하타
Original Assignee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95426A external-priority patent/JP67028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95427A external-priority patent/JP6711732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07035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2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16L47/041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the plastic pipe end being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5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 F16L19/02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the collars or flanges being obtained by deformation of the pip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16L19/043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with additional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 pressure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clamping ring and the threaded member or the connecting member

Abstract

접합된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의 내인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제관 이음매를 제공한다. 수지제관 이음매(1)는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를 삽입 가능한 통부(22)를 갖는 이음매 본체(11)와,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측에 압입될 수 있는 압입부(31)를 갖는 이너 링(12)과, 직경 방향에 관해 상기 압입부와의 사이에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를 사이에 두도록 상기 이음매 본체의 외주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연결부(46)를 갖는 유니온 너트(1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링과 상기 유니온 너트가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되고, 각각 분위기 온도의 변화에 수반하여 수축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상기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이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보다 0.05%이상 크게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수지제관 이음매
본 발명은 수지제관 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반도체 제조, 의료·의약품 제조, 식품 가공 및 화학공업 등의 기술 분야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수지제관 이음매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종류의 수지제관 이음매는 초순수 또는 약액 등의 유체를 유통시키기 위한 튜브를 별도의 튜브 또는 유체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에 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는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의 접합을 위해, 이음매 본체와, 이너 링과, 유니온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이너 링과 이것을 압입한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를 상기 이음매 본체에 삽입하고,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가 상기 이음매 본체로부터 인발되지 않도록 해당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를 상기 유니온 너트에 의해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는 그 사용시에 종종 열 사이클(구체예: 상온(25℃ 정도) →고온(200℃ 정도)→상온)을 부하받는다. 열 사이클 부하 후에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에 접합된 상기 튜브에 대해 예기치 못한 인발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튜브가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로부터 이간하도록 상기 이음매 본체로부터 인발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에 있어서의 상기 튜브의 내인발 성능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10-054489호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접합된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의 내인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제관 이음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를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튜브와 접합 가능한 수지제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를 삽입 가능한 통부를 갖는 이음매 본체와,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측에 압입될 수 있는 압입부로서,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측에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와 함께 상기 통부에 삽입될 수 있는 압입부를 갖는 이너 링과,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측을 상기 이음매 본체에 연결하도록, 상기 압입부가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와 함께 상기 통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직경 방향에 관해 상기 압입부와의 사이에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를 사이에 두도록 상기 이음매 본체의 외주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연결부를 갖는 유니온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이너 링과 상기 유니온 너트가 수지 재료를 이용해서 구성되고, 각각 분위기 온도의 변화에 따라 수축하는 성질을 갖고, 상기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이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보다 0.05%이상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튜브를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에 접합한 상태에서, 상기 이너 링 및 상기 유니온 너트가 유체로부터의 열 전달 등에 의해 가열된 후에 냉각된 경우(열 사이클을 부하받은 경우)에, 상기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를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비해 크게 직경 방향으로 수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가 상기 튜브와 접합한 경우에, 상기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의 내경의 수축량이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의 외경의 수축량보다 커지기 때문에, 상기 압입부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지지된 상기 튜브를, 직경 방향으로 상기 이음매 본체의 통부를 통해 중첩된 상기 연결부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유지하는 힘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로부터 상기 튜브를 인발하도록 상기 튜브에 대해 인발력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눌리는 상기 이음매 본체의 통부와 상기 튜브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에 있어서의 상기 튜브의 내인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이너 링과 상기 유니온 너트는 동일한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이너 링과 상기 유니온 너트는 서로 다른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유니온 너트는, 상기 압입부가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와 함께 상기 통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통부의 외주부에 대해 나사전진됨에 따라,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측을 그 직경 방향 외측에서 상기 압입부를 향해 압압 가능한 압압부를 갖고, 상기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이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이너 링 및 상기 유니온 너트가 유체로부터의 열 전달 등에 의해 가열된 후에 냉각된 경우, 상기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를 상기 연결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비해 크게 직경 방향으로 수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가 상기 튜브와 접합한 경우에, 상기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의 내경의 수축량이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의 외경의 수축량보다 커지기 때문에, 상기 압입부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지지된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측을 직경 방향으로 중첩된 상기 압압부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유지하는 힘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로부터 상기 튜브를 인발하기 위해, 상기 튜브에 대해 인발력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이음매 본체 외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와 상기 튜브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에 있어서의 상기 튜브의 내인발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합된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의 내인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제관 이음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수지제관 이음매와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의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각각에 있어서의 이너 링 및 유니온 너트의 일부 치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각각에 있어서의 이너 링 및 유니온 너트의 일부 치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 또는 도 3의 기재에 의거하여,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각각에 있어서의 이너 링 및 유니온 너트의 수축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각각에 있어서의 튜브의 내인발 성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수지제관 이음매와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의 접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각각에 있어서의 이너 링 및 유니온 너트의 일부 치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비교예 5,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의 각각에 있어서의 이너 링 및 유니온 너트의 일부 치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 또는 도 8의 기재에 의거하여,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의 각각에 있어서의 이너 링 및 유니온 너트의 수축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의 각각에 있어서의 튜브의 내인발 성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수지제관 이음매(1)는 반도체, 액정 또는 유기 EL의 제조 장치 등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는 상기 제조 장치 등에 있어서 사용될 때, 튜브(2)를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튜브, 또는 밸브 또는 펌프 등의 유체 기기와 연결시키기 위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2)와 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는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를 해당 수지제관 이음매(1)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튜브(2)와 접합 가능한 것이며, 이음매 본체(11)와, 이너 링(12)과, 유니온 너트(1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튜브(2)는 가요성을 갖는 대략 일정 내경의 원통형상의 것이며, 불소 수지 재료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축 방향 한쪽측은 도 1 중의 수지제관 이음매(1)에 있어서의 튜브(2)측을 가리키고, 축 방향 다른쪽측은 도 1 중의 수지제관 이음매(1)에 있어서의 이음매 본체(11)측을 가리킨다.
상기 이음매 본체(11)는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를 삽입 가능한 통부(후술하는 외통부(22))를 갖고 있다. 상기 이음매 본체(11)는 또, 유체용 유로(16)를 갖고 있다. 상기 유체용 유로(16)는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가 상기 외통부(22)(그 받이구부(15))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튜브(2)의 유체용 유로(7)와 연통하도록 상기 이음매 본체(11)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음매 본체(11)는 소정의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음매 본체(11)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불소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이 불소 수지 재료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PFA(퍼플루오르 알콕시 불소 수지), PTFE(폴리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 또는 ETFE(에틸렌·4불화 에틸렌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 본체(11)는 본체 통부(21)와, 상기 외통부(22)와, 내통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 통부(21)는 원통형상 부분을 가지며, 상기 튜브(2)의 유체용 유로(7)와 연통 가능한 제 1 유체용 유로(24)를 갖고 있다. 상기 제 1 유체용 유로(24)는 대략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유체용 유로(16)의 일부를 이루도록 상기 본체 통부(21)의 내부에 축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상기 외통부(22)는 상기 유니온 너트(13)와 나사결합 가능한 나사결합 부분을 가지며, 상기 받이구부(15)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 통부(21)의 축 방향 한쪽측 단부에서 그 축 방향 한쪽에 동축적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통부(2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받이구부(15)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나사결합 부분은 수나사부(25)로서, 상기 외통부(22)의 외주부에 축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상기 내통부(23)는 상기 외통부(22)의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내통부(23)는 돌출 단부(26)를 갖고 있으며, 이 돌출 단부(26)가 상기 외통부(22)에 구비된 돌출 단부(27)보다 상기 본체 통부(21)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 통부(21)의 축 방향 한쪽측 단부에서 상기 외통부(22)와 동일 방향(상기 본체 통부(21)의 축 방향 한쪽)에 동축적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통부(23)는 상기 본체 통부(21)의 내경과 대략 동일 치수의 내경을 가지며, 또한, 상기 외통부(2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2)의 유체용 유로(7)와 연통 가능한 제 2 유체용 유로(28)를 갖고 있다. 상기 제 2 유체용 유로(28)는 대략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유체용 유로(24)와 함께 상기 유체용 유로(16)를 이루도록 해당 제 1 유체용 유로(24)에 동축적으로 연이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음매 본체(11)는 또한 축 방향 한쪽에 개구하도록 상기 본체 통부(21)와 상기 외통부(22)와 상기 내통부(23)에 둘러싸여 형성된 홈부(2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홈부(29)는 상기 이너 링(12)의 축 방향 다른쪽측 단부(후술하는 끼워 넣음부(36))를 압입 가능하도록, 상기 내통부(23)의 외주면의 전체둘레를 따라 연장하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이너 링(12)은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측에 압입될 수 있는 압입부(31)를 갖고 있다. 상기 압입부(31)은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측에 그 개구 부분(8)으로부터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와 함께 상기 외통부(22)의 받이구부(15)(상기 이음매 본체(1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너 링(12)은 상기 압입부(31)에 부가하여, 상기 이음매 본체(11)의 받이구부(15)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32)를 갖고 있다. 상기 삽입부(32)는 감합부(35)와, 상기 끼워 넣음부(36)와, 접촉부(3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너 링(12)은 또한 상기 튜브(2)의 유체용 유로(7)와 상기 이음매 본체(11)의 유체용 유로(16)를 연통시킬 수 있는 유체용 유로(38)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압입부(31)는 그 외주 형상이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상기 압입부(31)가 압입되는 것에 의해 직경확대된 부분)의 내주 형상과 동일 형상(원통형상)의 것이며, 상기 이너 링(12)의 축 방향 한쪽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입부(31)는 상기 튜브(2)의 내경(직경확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내경이며, 이하 동일)과 대략 동일 치수의 내경을 가지며, 상기 유체용 유로(38)의 축 방향 한쪽측 부분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용 유로(38)는 대략 원형 단면을 갖고 있다.
상기 압입부(31)는 또, 상기 튜브(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측을 직경확대시키도록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측의 내주면과 전체둘레에 걸쳐 압접하면서,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측에 상기 개구 부분(8)으로부터 압입되고,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에 대해 소정의 압입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입부(31)는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측에 압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에 대한 압입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이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와 함께 해당 압입부(31)의 축 방향 다른쪽측으로부터 상기 외통부(22)의 받이구부(15)(상기 이음매 본체(11)의 내부)에 삽입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압입부(31)는 상기 외통부(22)의 받이구부(15)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를 상기 외통부(22)의 사이에 둔다. 즉, 상기 압입부(31)가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전체 둘레 및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압접하는 동시에, 상기 외통부(22)가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에 그 전체 둘레 및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접한다.
상기 압입부(31)는 또한 팽출 부분(39)을 갖고 있다. 상기 팽출 부분(39)은 상기 압입부(31)가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측에 압입된 경우에, 이들 양자 사이에 있어서의 시일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고, 또한, 상기 튜브(2)의 빠짐방지를 도모하기 위한 환상 볼록부이며, 상기 압입부(31)의 축 방향 한쪽측에 있어서 상기 이너 링(12)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팽출 부분(39)은 그 정상부(직경 방향 외측의 최단부)를 사이에 두고 축 방향 한쪽 및 다른쪽의 각각에 면하도록 배치된 테이퍼형상의 제 1 외주면 및 제 2 외주면을 포함하는 단면 볼록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팽출 부분(39)의 제 2 외주면은 상기 외통부(22)에의 상기 압입부(31)의 삽입시에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 중의 축 방향 한쪽측 부분을 상기 외통부(22)와의 사이에 둘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32)는 상기 압입부(31)가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측에 압입된 경우에, 상기 튜브(2) 밖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부(32)는 통형상의 것이며, 상기 이너 링(12)의 축 방향 다른쪽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32)는 상기 압입부(31)의 내경과 대략 동일 치수의 내경을 가지며, 상기 유체용 유로(38)의 축 방향 다른쪽측 부분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32)는 대략 상기 압입부(3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압입부(31)가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와 함께 상기 외통부(22)의 받이구부(15)에 삽입될 때, 상기 외통부(22)에 그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전체 둘레 및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접하도록, 상기 압입부(31)보다 먼저 상기 외통부(22)의 받이구부(15)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32)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35)는 통형상의 것이며, 상기 압입부(31)의 축 방향 다른쪽측 단부에 동축적으로 연이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감합부(35)는 상기 압입부(31)의 내경 및 상기 튜브(2)의 내경의 각각과 대략 동일 치수의 내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체용 유로(38)의 축 방향 다른쪽측 부분의 일부를 이루는 유체 유로를 갖고 있다.
상기 감합부(35)는 상기 압입부(31)(상기 팽출 부분(39)의 정상부 부근 제외)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삽입부(32)가 상기 외통부(22)의 받이구부(15)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외통부(22)에 그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근접, 당접 또는 압접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감합부(35)는 그 전체 둘레 및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외통부(22)와 근접, 당접 또는 압접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끼워 넣음부(36)는 상기 이음매 본체(11)의 홈부(29)에 압입 가능한 통형상의 것이며, 상기 감합부(35)에서 축 방향 다른쪽에 동축적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끼워 넣음부(36)는 상기 이음매 본체(11)의 내통부(23)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내경을 갖고, 또한, 상기 감합부(35)에 대해 대략 동일 또는 약간 큰 외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워 넣음부(36)는 상기 삽입부(32)가 상기 외통부(22)의 받이구부(15)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홈부(29)에 압입되어, 상기 내통부(23)와의 사이에 제 1 시일 영역(41)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통부(23)에 그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압접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워 넣음부(36)는 그 전체 둘레 및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내통부(23)와 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끼워 넣음부(36)는 상기 외통부(22)에 그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당접 또는 압접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도, 상기 끼워 넣음부(36)는 그 전체 둘레및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외통부(22)와 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37)는 통형상의 것이며, 상기 끼워 넣음부(36)의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37)는 상기 이너 링(12)의 축 방향에 관해, 해당 접촉부(37)의 돌출 단부(43)가 상기 끼워 넣음부(36)의 돌출 단부(44)보다 상기 감합부(35)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감합부(35)에서 상기 끼워 넣음부(36)와 동일 방향(상기 감합부(35)의 축 방향 다른쪽)에 동축적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37)는 상기 감합부(35)의 내경 및 상기 이음매 본체(11)의 내통부(23)의 각각의 내경과 대략 동일 치수의 내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37)는 상기 끼워 넣음부(36)의 축 방향 한쪽측 부분과의 사이에 상기 내통부(23)의 돌출 단부(26)측을 사이에 둘 수 있도록, 상기 끼워 넣음부(36)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37)는 상기 끼워 넣음부(36)가 상기 홈부(29)에 압입되었을 때, 그 압입에 의한 상기 내통부(23)의 직경 방향 안쪽으로의 변형 이동을 규제하면서, 상기 내통부(23)와의 사이에 제 2 시일 영역(42)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통부(23)에 그 축 방향 한쪽측으로부터 압접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37)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내통부(23)와 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유니온 너트(13)는 연결부(46)를 갖고 있다. 상기 연결부(46)는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측을 상기 이음매 본체(11)에 연결하도록, 상기 압입부(31)가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와 함께 상기 받이구부(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직경 방향에 관해 상기 압입부(31)와의 사이에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를 사이에 두도록 상기 이음매 본체(11)의 외주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 너트(13)는 연결부(46)에 부가하여, 압압부(4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니온 너트(13)는 또, 상기 튜브(2)를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구멍을 축부에 갖고, 상기 관통구멍에 상기 튜브(2)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상기 튜브(2)에 대해 그 긴쪽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2)에 헐겁게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46)는 상기 관통구멍의 일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이음매 본체(11)의 외통부(22)의 나사결합 부분(상기 수나사부(25))과 나사결합 가능한 나사결합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46)는 통형상의 것이며,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축 방향 다른쪽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46)의 나사결합 부분은 암나사부(49)로서, 상기 이음매 본체(11)의 외통부(22)의 나사결합 부분과 대응하도록, 상기 연결부(46)의 내주부에 축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46)는 상기 암나사부(49)가 상기 이음매 본체(11)의 외통부(22)에 있어서의 상기 수나사부(25)에 대해 나사결합된 후에 축 방향 다른쪽으로 나사전진되었을 때, 상기 외통부(22)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포위하여, 상기 외통부(22) 및 이것에 상기 이너 링(12)의 압입부(31)와 함께 삽입된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를 상기 압입부(31)와의 사이에 둔다.
이 때, 상기 연결부(46)는 상기 외통부(22)에 대해 상기 암나사부(49)가 상기 외통부(22)에 있어서의 상기 수나사부(25)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나사결합한 나사결합 영역의 전체 둘레에 걸쳐 접하고, 상기 외통부(22)의 받이구부(15)에 삽입된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에 대해 상기 나사결합 영역의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외통부(22)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한다.
상기 압압부(47)는 상기 압입부(31)가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와 함께 상기 받이구부(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46)가 상기 외통부(22)에 있어서의 상기 수나사부(25)에 대해 나사 전진됨에 따라,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측을, 그 축 방향 한쪽측에서 상기 이음매 본체(11)를 향해 압압하는 동시에, 그 직경 방향 외측에서 상기 압입부(31)를 향해 압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압부(47)는 통형상의 것이며,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축 방향 한쪽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압부(47)는 그 내주부가 상기 연결부(46)의 내주부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46)에 동축적으로 연이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압압부(47)는 상기 연결부(46)의 내경보다 작고 또한 상기 튜브(2)의 외경에 대해 약간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멍의 잔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압압부(47)는 상기 연결부(46)가 상기 외통부(22) 및 이것에 상기 이너 링(12)의 압입부(31)와 함께 삽입된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를 상기 압입부(31)와의 사이에 둘 때, 상기 외통부(22) 밖이고 그 축 방향 한쪽에 배치되며,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측을 상기 압입부(31)와의 사이에 둘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압압부(47)는 그 내주부의 축 방향 다른쪽측에 마련된 각부(48)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46)가 상기 외통부(22)에 있어서의 상기 수나사부(25)에 대해 나사전진되었을 때,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측을, 그 축 방향 한쪽측에서 상기 각부(48)에 의해 상기 이음매 본체(11)를 향해 압압하는 동시에, 그 직경 방향 외측에서 상기 각부(48)에 의해 상기 압입부(31)를 향해 압압하여, 환언하면 상기 압입부(31)와의 사이에 두어 유지(협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부(48)는 상기 연결부(46)가 상기 외통부(22)에 있어서의 상기 수나사부(25)에 대해 나사전진되는 것에 의해, 즉 상기 이음매 본체(11)에 대한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체결이 진행되는 것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팽출 부분(39)에 의한 상기 튜브(2)의 직경확대 부분(상기 제 1 외주면을 따르는 부분)에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쐐기를 박아 넣도록 해당 튜브(2)의 직경확대 부분을 압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에 상기 튜브(2)를 접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우선, 상기 유니온 너트(13)를 상기 튜브(2)에 헐겁게 끼운다. 다음에, 상기 이너 링(12)을 상기 튜브(2)와 연결시키도록, 그 긴쪽 방향 일단부(5)에 상기 개구 부분(8)으로부터 상기 압입부(31)를, 상기 팽출 부분(39)에 의한 상기 튜브(2)의 직경확대를 실행하면서 동축적으로 압입한다.
그리고, 상기 외통부(22)의 받이구부(15)(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의 내부)에, 상기 튜브(2) 밖에 있는 상기 이너 링(12)의 삽입부(32)를 삽입하고, 계속해서 상기 압입부(31) 및 이것을 압입한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5)를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연결부(46)를 상기 외통부(22)에 있어서의 상기 수나사부(25)에 나사결합시켜, 상기 이음매 본체(11)를 향해 소정 위치까지 나사전진시킨다.
이 나사전진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시일력이 직경 방향에 작용하는 상기 제 1 시일 영역(41)이 형성되도록 상기 끼워 넣음부(36)를 상기 홈부(29)에 압입할 수 있고, 또한, 시일력이 축 방향에 작용하는 상기 제 2 시일 영역(42)이 형성되도록 상기 접촉부(37)를 상기 내통부(23)에 압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체결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에 있어서는 상기 이너 링(12)과 상기 유니온 너트(13)가 동일한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각각 분위기 온도의 변화에 수반하여 수축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연결부(46)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이 상기 이너 링(12)의 압입부(31)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보다 0.05%이상 크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이너 링(12) 및 상기 유니온 너트(13)는 각각 소정의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너 링(12) 및 상기 유니온 너트(13)는 각각 본 실시형태와 같이 불소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이 불소 수지 재료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PFA 또는 PTFE를 들 수 있다.
상기 이너 링(12)은 분위기 온도(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 온도 포함)가 상온(약 25℃) 부근에서 소정값 상승하는 것에 의해 가열되고, 그 상태에서 분위기 온도가 상기 상온 부근까지 하강하는 것에 의해 냉각되는 것이며, 이러한 온도 변동이 처음 발생한 경우에 상기 압입부(31)를 당초에 비해 직경 방향으로 수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니온 너트(13)는 분위기 온도(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 온도 포함)가 상온 부근에서 소정값 상승하는 것에 의해 가열되고, 그 상태에서 분위기 온도가 상기 상온 부근까지 하강하는 것에 의해 냉각되는 것이며, 이러한 온도 변동이 처음 발생한 경우에 상기 연결부(46)를 당초에 비해 직경 방향으로 수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수축시에,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연결부(46)가 상기 이너 링(12)의 압입부(31)보다 크게 직경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압압부(47)도, 온도 변동이 발생한 경우에, 당초에 비해 직경 방향으로 수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너 링(12)과 상기 유니온 너트(13)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상기 유니온 너트(13) 및 상기 이너 링(12)의 각각의 제작시에 있어서의 열 처리의 유무에 따라, 상기 이너 링(12)의 압입부(31)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과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연결부(46)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 사이에 소정 범위의 차를 초래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열 처리는 예를 들면, 상기 이너 링(12) 또는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제작시에 성형된 성형물로부터 내부 왜곡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그 성형물에 대해 소정 온도로 소정 시간(예를 들면, 재질 PFA 또는 PTFE의 경우에는 약 200℃ 내지 약 250℃의 범위내에서 약 180분간, 재질이 ETFE의 경우에는 약 120℃ 내지 약 140℃의 범위내에서 약 180분간) 가열을 실시하는 처리(어닐 처리)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이너 링(12)의 압입부(31)에 대해서는 온도 변동 후의 수축률이 대략 제로로 되도록(거의 수축하지 않도록) 열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연결부(46)(더 나아가서는 상기 압압부(47))에 대해서는 온도 변동 후의 수축률이 상기 이너 링(12)의 압입부(31)에 비해 커지도록 열 처리를 실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이너 링(12)의 압입부(31)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과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연결부(46)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 사이에 소정 범위의 차를 초래하는 수단으로서는 상기 열 처리의 유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이너 링(12) 및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각각의 성형 조건을 적절히 조정하는 수단을 채용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사출 성형의 경우, 성형시의 사출 압력, 유지 압력, 사출 속도, 금형 온도 등의 성형 조건이 다르면, 성형품의 특성(잔류 응력, 밀도 등)이 다른 경우가 있으며, 성형품의 수축률에도 차가 생길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이너 링(12)과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사이에서 성형 조건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양자의 수축률에 유의한 차(0.05%이상의 차)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경우가 있다. 후술하는 상기 이너 링(12)의 압입부(31)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과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압압부(47)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 사이에 소정 범위의 차를 초래하는 수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연결부(46)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과 상기 이너 링(12)의 압입부(31)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의 차는 약 0.05% 내지 약 10%의 범위내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양자의 수축률의 차는 약 0.05% 내지 약 5%의 범위내의 값으로 설정된다. 후술하는 상기 이너 링(12)의 압입부(31)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과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압압부(47)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의 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튜브(2)를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에 접합한 상태에서, 상기 이너 링(12) 및 상기 유니온 너트(13)가 유체로부터의 열 전달 등에 의해 가열된 후에 냉각된 경우(열 사이클을 부하받은 경우)에,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연결부(46)를 상기 이너 링(12)의 압입부(31)에 비해 크게 직경 방향으로 수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가 상기 튜브(2)와 접합한 경우에,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연결부(46)의 내경의 수축량이 상기 이너 링(12)의 압입부(31)의 외경의 수축량보다 커지기 때문에, 상기 압입부(31)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지지된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를, 직경 방향으로 상기 외통부(22)를 통해 중첩된 상기 연결부(46)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유지(협지)하는 힘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로부터 상기 튜브(2)를 인발하도록 상기 튜브(2)에 대해 인발력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연결부(46)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눌리는 상기 외통부(22)와 상기 튜브(2)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에 있어서의 상기 튜브(2)의 내인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유니온 너트(13)가 상기 압압부(47)를 갖고,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압압부(47)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이 상기 이너 링(12)의 압입부(31)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46)와 마찬가지로,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상기 압압부(47)의 내경의 직경 수축량이 상기 이너 링(12)의 압입부(31)의 외경의 직경 수축량보다 커지기 때문에,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측을 상기 압압부(47)(더욱 구체적으로는 각부(48))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유지(협지)하는 힘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로부터 상기 튜브(2)를 인발하기 위해, 상기 튜브에 대해 인발력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이음매 본체(11) 밖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 너트(13)의 압압부(47)와 상기 튜브(2)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에 있어서의 상기 튜브(2)의 내인발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작용 효과는 튜브의 내인발 성능에 대한 비교 실험을 실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비교 실험에 있어서는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준비하는 동시에,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또한 이너 링 및 유니온 너트에 관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른 수축률의 차를 갖는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비교예 4를 준비하였다.
다음에,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분위기 온도를 상온에서 약 200℃까지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각각을 약 200℃에서 1시간 가열하였다. 그 후, 분위기 온도를 약 200℃에서 상온까지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비교예 4를 각각 자연 냉각하였다.
또한, 이 가열 및 자연 냉각은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비교예 4가 각각 튜브와 접합되기 전의 상태(각각의 이너 링 및 유니온 너트가 서로 분리되고 또한 이음매 본체로부터도 분리된 상태)에서,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각각에 대해 실시하였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 관해 각각, 온도 변동(가열)의 전후에, 이너 링의 압입부의 외경 치수와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의 내경 치수 및 압압부의 내경 치수를 측정하고, 압입부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 연결부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 및, 압압부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이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갖는 수축률의 차를 산출하였다. 또,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이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갖는 수축률의 차를 산출하였다.
여기서, 실시예 1은 PFA제의 이너 링과 PFA제의 유니온 너트를 구비하는 것이다. 실시예 1에 있어서, 이너 링은 가열 전후에, 압입부가 수축하지 않도록 제작하고 있다. 유니온 너트는 가열 전후에, 연결부의 직경 방향이 수축하고, 또한, 압압부가 수축하도록 제작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0.50% 상회하는 차를 갖게 하고 있다. 또,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0.11% 상회하는 차를 갖게 하고 있다.
실시예 2는 PTFE제의 이너 링과 PTFE제의 유니온 너트를 구비하는 것이다. 실시예 2에 있어서, 이너 링은 가열 전후에 압입부가 수축하지 않도록 제작하고 있다. 유니온 너트는 열 가열 전후에 연결부가 수축하고, 또한, 압압부가 수축하도록 제작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0.07% 상회하는 차를 갖게 하고 있다. 상기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0.05% 상회하는 차를 갖게 하고 있다.
비교예 1은 PFA제의 이너 링과 PFA제의 유니온 너트를 구비하는 것이다. 비교예 1에 있어서, 이너 링은 가열 전후에, 압입부가 수축하지 않도록 제작하고 있다. 유니온 너트는 열 가열 전후에, 연결부가 수축하지 않고, 또한 압압부가 수축하지 않도록 제작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을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동일하게 하고 있다. 상기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을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동일하게 하고 있다.
비교예 2는 PFA제의 이너 링과 PFA제의 유니온 너트를 구비하는 것이다. 비교예 2에 있어서, 이너 링은 가열 전후에 압입부가 수축하도록 제작하고 있다. 유니온 너트는 가열 전후에, 연결부가 수축하고, 또한 압압부가 수축하도록 제작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0.04% 하회하는 차를 갖게 하고 있다. 상기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0.43% 하회하는 차를 갖게 하고 있다.
비교예 3은 PTFE제의 이너 링과 PTFE제의 유니온 너트를 구비하는 것이다. 비교예 3에 있어서, 이너 링은 가열 전후에 압입부가 수축하지 않도록 제작하고 있다. 유니온 너트는 가열 전후에, 연결부가 수축하지 않고, 또한 압압부가 수축하지 않도록 제작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을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동일하게 하고 있다. 상기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을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동일하게 하고 있다.
비교예 4는 PTFE제의 이너 링과 PTFE제의 유니온 너트를 구비한다. 비교예 4에 있어서, 이너 링은 가열 전후에 압입부가 수축하도록 제작하고 있다. 유니온 너트는 이너 링과 마찬가지로, 가열 전후에, 연결부가 수축하고, 또한 압압부가 수축하도록 제작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0.02% 상회하는 차를 갖게 하고 있다. 상기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을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동일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각각에 대해, 이너 링 및 유니온 너트를 대응하는 이음매 본체에 조립하도록 PFA제의 튜브를 접합한 후에, 열 사이클(상온→고온(약 200℃)→상온)을 부하하였다. 그리고, 열 사이클을 부하하는 전후에, 튜브의 내인발 저항비를 측정하였다.
여기에서의 튜브의 내인발 저항비는 0회 내지 5회의 열 사이클 후마다의 튜브의 내인발 저항값을 측정하고, 열 사이클 전(즉, 열 사이클 회수가 O회인 경우)의 내인발 저항값과 비교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열 사이클 후의 튜브의 내인발 저항을 열 사이클 전의 튜브의 내인발 저항으로 나눈 것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측정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대해서는 튜브의 내인발 저항비가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 비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열 사이클을 반복 부하받은 경우에도, 튜브의 내인발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수지제관 이음매(101)는 이너 링(112)과 유니온 너트(113)가 서로 다른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되고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와 다르다. 이 차이점을 제외하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01)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므로,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01)에 대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01)에 있어서는 상기 이너 링(112)과 상기 유니온 너트(113)가 서로 다른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각각 분위기 온도의 변화에 수반하여 수축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유니온 너트(113)의 연결부(46)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이 상기 이너 링(112)의 압입부(31)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보다 0.05%이상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유니온 너트(113)에는 상기 이너 링(112)에 이용되는 수지 재료에 비해, 성형 후의 수축률이 커지는 수지 재료가 이용된다.
여기서, 서로 다른 수지 재료는 수지명이 다른 것 뿐만 아니라, 수지명은 동일해도 그 수지 그레이드가 다른 것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즉, 수지 그레이드가 다르면, 분자 구조, 분자량, 결정화도 등이 다른 것에 기인하여, 성형시의 MFR(용융 유동성), 성형 후의 플럭스 라이프(굴곡 내성) 등이 다른 경우가 있어, 성형품의 수축률에 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이너 링(112)과 상기 유니온 너트(113) 사이에서, 서로 다른 수지 그레이드의 수지 재료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양자의 수축률에 유의한 차(0.05%이상의 차)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상기 이너 링(112) 및 상기 유니온 너트(113)는 각각 소정의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너 링(112) 및 상기 유니온 너트(113)는 각각 본 실시형태와 같이 불소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이 불소 수지 재료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PFA, PTFE, 또는 ETFE를 들 수 있다.
상기 이너 링(112)은 분위기 온도(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01)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 온도 포함)가 상온(약 25℃) 부근에서 소정값 상승하는 것에 의해 가열되고, 그 상태에서 분위기 온도가 상기 상온 부근까지 하강하는 것에 의해 냉각되는 것이며, 이러한 온도 변동이 처음 발생한 경우에 상기 압입부(31)를 당초에 비해 직경 방향으로 수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니온 너트(113)는 분위기 온도(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01)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 온도 포함)가 상온 부근에서 소정값 상승하는 것에 의해 가열되고, 그 상태에서 분위기 온도가 상기 상온 부근까지 하강하는 것에 의해 냉각되는 것이며, 이러한 온도 변동이 처음 발생한 경우에 상기 연결부(46)를 당초에 비해 직경 방향으로 수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너 링(112) 및 상기 유니온 너트(113)는 각각 상기 압입부(31) 및 상기 연결부(46)를 포함시켜, 가열시(분위기 온도의 변화에 의해 소정량의 열을 부여받았을 때)에 열 부여 전과 비교하여 팽창하고, 그 후의 냉각시(분위기 온도의 변화에 의해 열을 빼앗겼을 때)에 당초(처음의 열 부여 전)보다 수축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그 수축시에, 상기 유니온 너트(113)의 연결부(46)가 상기 이너 링(112)의 압입부(31)보다 크게 직경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이너 링(112)과 상기 유니온 너트(113)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용하는 수지 재료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너 링(112)의 압입부(31)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과 상기 유니온 너트(113)의 연결부(46)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 사이에 소정 범위의 차를 초래할 수 있지만, 열 처리의 유무나 성형 조건의 조정 등에 의해서, 양자의 수축률의 차가 더욱 커지도록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너 링(112)에 대해서만, 온도 변동 후의 수축률이 대략 제로로 되도록(거의 수축하지 않도록) 열 처리를 실시하고, 양자의 수축률의 차가 더욱 커지도록 해도 좋다. 후술하는 상기 이너 링(112)의 압입부(31)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과 상기 유니온 너트(113)의 압압부(47)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 사이에 소정 범위의 차를 초래하는 수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에서의 열 처리는 예를 들면, 상기 이너 링(112)의 제작시에 성형된 성형물에서 내부 왜곡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그 성형물에 대해 소정 온도에서 소정 시간(예를 들면, 재질이 PFA 또는 PTFE의 경우에는 약 200℃ 내지 약 250℃의 범위내에서 약 180분간, 재질이 ETFE의 경우에는 약 120℃ 내지 약 140℃의 범위내에서 약 180분간) 가열을 실시하는 처리(어닐 처리)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 너트(113)의 연결부(46)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과 상기 이너 링(112)의 압입부(31)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의 차는 약 0.05% 내지 약 10%의 범위내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양자의 수축률의 차는 약 0.05% 내지 약 5%의 범위내의 값으로 설정된다. 후술하는 상기 이너 링(112)의 압입부(31)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과 상기 유니온 너트(113)의 압압부(47)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의 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튜브(2)를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01)에 접합한 상태에서, 상기 이너 링(112) 및 상기 유니온 너트(113)가 유체로부터의 열 전달 등에 의해 가열된 후에 냉각된 경우(열 사이클을 부하받은 경우)에, 상기 유니온 너트(113)의 연결부(46)를 상기 이너 링(112)의 압입부(31)에 비해 크게 직경 방향으로 수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01)가 상기 튜브(2)와 접합한 경우에, 상기 유니온 너트(113)의 연결부(46)의 내경의 직경 수축량이 상기 이너 링(112)의 압입부(31)의 외경의 직경 수축량보다 커지기 때문에, 상기 압입부(31)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지지된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를, 직경 방향으로 상기 외통부(22)를 통해 중첩된 상기 연결부(46)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유지(협지)하는 힘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01)에서 상기 튜브(2)를 인발하도록 상기 튜브(2)에 대해 인발력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유니온 너트(113)의 연결부(46)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눌리는 상기 외통부(22)와 상기 튜브(2)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01)에 있어서의 상기 튜브(2)의 내인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유니온 너트(113)가 상기 압압부(47)를 갖고, 상기 유니온 너트(113)의 압압부(47)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이 상기 이너 링(112)의 압입부(31)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46)와 마찬가지로, 상기 유니온 너트(113)의 상기 압압부(47)의 내경의 직경 수축량이 상기 이너 링(112)의 압입부(31)의 외경의 직경 수축량보다 커지기 때문에, 상기 튜브(2)의 긴쪽 방향 일단부(5)측을 상기 압압부(47)(더욱 구체적으로는 각부(48))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유지(협지)하는 힘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01)에서 상기 튜브(2)를 인발하기 위해, 상기 튜브에 대해 인발력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이음매 본체(11) 밖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 너트(113)의 압압부(47)와 상기 튜브(2)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01)에 있어서의 상기 튜브(2)의 내인발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작용 효과는 튜브의 내인발 성능에 대한 비교 실험을 실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비교 실험에 있어서는 우선,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실시예 3 및 실시예 4를 준비하는 동시에, 상기 수지제관 이음매(101)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또한 이너 링 및 유니온 너트에 관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와는 다른 수축률의 차를 갖는 비교예 5,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을 준비하였다.
다음에,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의 분위기 온도를 상온에서 약 200℃까지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각각을 약 200℃에서 1시간 가열하였다. 그 후, 분위기 온도를 약 200℃에서 상온까지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을 각각 자연 냉각하였다.
또한, 이 가열 및 자연 냉각은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이 각각 튜브와 접합되기 전의 상태(각각의 이너 링 및 유니온 너트가 서로 분리되고 또한 이음매 본체로부터도 분리된 상태)에서,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의 각각에 대해 실시하였다.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및, 비교예 7에 관해 각각, 온도 변동(가열) 전후에, 이너 링의 압입부의 외경 치수와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의 내경 치수 및 압압부의 내경 치수를 측정하고, 압입부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 연결부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 및, 압압부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이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갖는 수축률의 차를 산출하였다. 또,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이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갖는 수축률의 차를 산출하였다.
여기서, 실시예 3은 PTFE제의 이너 링과 PFA제의 유니온 너트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0.45% 상회하는 차를 갖게 하고 있다. 또,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0.06% 상회하는 차를 갖게 하고 있다.
실시예 4는 PTFE제의 이너 링과 ETFE제의 유니온 너트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0.34% 상회하는 차를 갖게 하고 있다. 상기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0.06% 상회하는 차를 갖게 하고 있다.
비교예 5는 PFA제의 이너 링과 PFA제의 유니온 너트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0.04% 하회하는 차를 갖게 하고 있다. 상기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0.44% 하회하는 차를 갖게 하고 있다.
비교예 6은 ETFE제의 이너 링과 ETFE제의 유니온 너트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0.02% 하회하는 차를 갖게 하고 있다. 상기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0.30% 하회하는 차를 갖게 하고 있다.
비교예 7은 PTFE제의 이너 링과 PTFE제의 유니온 너트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0.02% 상회하는 차를 갖게 하고 있다. 상기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을,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에 대해 동일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및, 비교예 7의 각각에 대해, 이너 링 및 유니온 너트를 대응하는 이음매 본체에 조립하도록 PFA제의 튜브를 접합한 후에, 열 사이클(상온→고온(약 200℃)→상온)을 부하하였다. 그리고, 열 사이클을 부하하는 전후에, 튜브의 내인발 저항비를 측정하였다.
여기에서의 튜브의 내인발 저항비는 0회 내지 5회의 열 사이클 후마다의 튜브의 내인발 저항값을 측정하고, 열 사이클 전(즉, 열 사이클 회수가 O회인 경우)의 내인발 저항값과 비교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열 사이클 후의 튜브의 내인발 저항을 열 사이클 전의 튜브의 내인발 저항으로 나눈 것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측정 결과로부터,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 대해서는 튜브의 내인발 저항비가 비교예 5, 비교예 6 및, 비교예 7에 비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열 사이클을 반복 부하받은 경우에도, 튜브의 내인발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또한, 상술한 교시를 고려하면, 본 발명의 대부분의 변경 형태 및 변형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첨부의 특허청구의 범위내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이외의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1; 수지제관 이음매 2; 튜브
5;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 11; 이음매 본체
12; 이너 링 13; 유니온 너트
22; 외통부(통부) 31; 압입부
46; 연결부 47; 압압부
101; 수지제관 이음매 112; 이너 링
113; 유니온 너트

Claims (4)

  1.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를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튜브와 접합 가능한 수지제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를 삽입 가능한 통부를 갖는 이음매 본체와,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측에 압입될 수 있는 압입부로서,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측에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와 함께 상기 통부에 삽입될 수 있는 압입부를 갖는 이너 링과,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측을 상기 이음매 본체에 연결하도록, 상기 압입부가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와 함께 상기 통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직경 방향에 관해 상기 압입부와의 사이에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를 사이에 두도록 상기 이음매 본체의 외주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연결부를 갖는 유니온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이너 링과 상기 유니온 너트가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되고, 각각 분위기 온도의 변화에 수반해서 수축하는 성질을 갖고,
    상기 유니온 너트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이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보다 0.05%이상 크게 설정되어 있는 수지제관 이음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링과 상기 유니온 너트는 동일한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수지제관 이음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링과 상기 유니온 너트는 서로 다른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수지제관 이음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 너트는,
    상기 압입부가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와 함께 상기 통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통부의 외주부에 대해 나사전진됨에 따라,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일단부측을 그 직경 방향 외측에서 상기 압입부를 향해 압압 가능한 압압부를 갖고,
    상기 유니온 너트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이 상기 이너 링의 압입부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수축률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수지제관 이음매.
KR1020197006614A 2016-10-03 2017-06-15 수지제관 이음매 KR102193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35456A KR102263288B1 (ko) 2016-10-03 2017-06-15 수지제관 이음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95426 2016-10-03
JPJP-P-2016-195427 2016-10-03
JP2016195426A JP6702838B2 (ja) 2016-10-03 2016-10-03 樹脂製管継手
JP2016195427A JP6711732B2 (ja) 2016-10-03 2016-10-03 樹脂製管継手
PCT/JP2017/022142 WO2018066178A1 (ja) 2016-10-03 2017-06-15 樹脂製管継手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767A Division KR20200013107A (ko) 2016-10-03 2017-06-15 수지제관 이음매
KR1020207002768A Division KR20200013108A (ko) 2016-10-03 2017-06-15 수지제관 이음매
KR1020207035456A Division KR102263288B1 (ko) 2016-10-03 2017-06-15 수지제관 이음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468A true KR20190058468A (ko) 2019-05-29
KR102193779B1 KR102193779B1 (ko) 2020-12-21

Family

ID=6183210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614A KR102193779B1 (ko) 2016-10-03 2017-06-15 수지제관 이음매
KR1020207002768A KR20200013108A (ko) 2016-10-03 2017-06-15 수지제관 이음매
KR1020207002767A KR20200013107A (ko) 2016-10-03 2017-06-15 수지제관 이음매
KR1020207035456A KR102263288B1 (ko) 2016-10-03 2017-06-15 수지제관 이음매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768A KR20200013108A (ko) 2016-10-03 2017-06-15 수지제관 이음매
KR1020207002767A KR20200013107A (ko) 2016-10-03 2017-06-15 수지제관 이음매
KR1020207035456A KR102263288B1 (ko) 2016-10-03 2017-06-15 수지제관 이음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41717B2 (ko)
EP (1) EP3521678B1 (ko)
KR (4) KR102193779B1 (ko)
CN (1) CN109661533B (ko)
TW (2) TWI713767B (ko)
WO (1) WO20180661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318899U (zh) * 2019-05-17 2020-04-14 杭州科百特过滤器材有限公司 一种密封导管接头
KR102436126B1 (ko) * 2021-10-29 2022-08-25 주식회사 에코시스템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배관 연결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10034A1 (de) * 1983-03-19 1984-09-20 kabelmetal electro GmbH, 3000 Hannover Anordnung zum verbinden von leitungsrohren
JPS60175983U (ja) * 1984-05-01 1985-11-21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配管用継手
JPS61179481U (ko) * 1985-04-26 1986-11-08
JPH1054489A (ja) 1996-08-09 1998-02-24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樹脂製管継手
WO2016052223A1 (ja) * 2014-09-30 2016-04-07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9784Y1 (ko) * 1969-05-12 1974-03-08
JPS499784A (ko) 1972-05-29 1974-01-28
US4848804A (en) * 1987-04-03 1989-07-18 Cajon Company Dielectric coupling
JPH0452556Y2 (ko) * 1988-10-26 1992-12-10
US5388871A (en) * 1992-05-22 1995-02-14 Kakizaki Manufacturing Co., Ltd. Fittings with box nuts
US5498036A (en) * 1994-09-09 1996-03-12 Furon Company Dual containment fitting
JP3148857B2 (ja) * 1997-11-10 2001-03-26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
JP2949576B2 (ja) * 1998-02-02 1999-09-13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
JP4289706B2 (ja) * 1998-11-06 2009-07-01 東邦化成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
JP3118589B2 (ja) 1999-03-29 2000-12-18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
JP2002317886A (ja) * 2001-04-20 2002-10-31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樹脂製管継手
US6991266B2 (en) * 2001-04-20 2006-01-31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Pipe joint made of resin
EP1438157B1 (en) * 2001-10-22 2011-04-2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Linearly-actuated cryo-fluid connection (lacc) for manufacturing machines
JP2006308000A (ja) * 2005-04-28 2006-11-09 Miraial Kk 樹脂製管継手ユニット
FR2942515B1 (fr) * 2009-02-24 2015-07-03 Saint Gobain Ct Recherches Dispositif d'assemblage.
JP5758640B2 (ja) * 2011-02-04 2015-08-05 株式会社フロウエル チューブ継手
CN202158184U (zh) * 2011-06-20 2012-03-07 海门市黄海机械密封件厂 Pom密封件
JP5871855B2 (ja) 2013-05-08 2016-03-01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インナーリング
JP5986953B2 (ja) * 2013-05-08 2016-09-06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管接続装置
JP2014219052A (ja) 2013-05-08 2014-11-20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管接続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10034A1 (de) * 1983-03-19 1984-09-20 kabelmetal electro GmbH, 3000 Hannover Anordnung zum verbinden von leitungsrohren
JPS60175983U (ja) * 1984-05-01 1985-11-21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配管用継手
JPS61179481U (ko) * 1985-04-26 1986-11-08
JPH1054489A (ja) 1996-08-09 1998-02-24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樹脂製管継手
WO2016052223A1 (ja) * 2014-09-30 2016-04-07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6178A1 (ja) 2018-04-12
TW201814194A (zh) 2018-04-16
KR102263288B1 (ko) 2021-06-09
CN109661533B (zh) 2021-02-05
US20190257458A1 (en) 2019-08-22
KR102193779B1 (ko) 2020-12-21
CN109661533A (zh) 2019-04-19
KR20200013107A (ko) 2020-02-05
EP3521678A1 (en) 2019-08-07
EP3521678A4 (en) 2020-07-22
KR20200140945A (ko) 2020-12-16
TWI759977B (zh) 2022-04-01
EP3521678B1 (en) 2022-12-28
TW202120848A (zh) 2021-06-01
US11441717B2 (en) 2022-09-13
TWI713767B (zh) 2020-12-21
KR20200013108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8468A (ko) 수지제관 이음매
KR20190062389A (ko) 수지제관 이음매
JP6715996B2 (ja) 樹脂製管継手
JP6702838B2 (ja) 樹脂製管継手
JP6755365B2 (ja) 樹脂製管継手
JP6711732B2 (ja) 樹脂製管継手
JP6719623B2 (ja) 樹脂製管継手
JP6696874B2 (ja) 樹脂製管継手
JP6702839B2 (ja) 樹脂製管継手
JP6755366B2 (ja) 樹脂製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