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832A -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832A
KR20190057832A KR1020170155222A KR20170155222A KR20190057832A KR 20190057832 A KR20190057832 A KR 20190057832A KR 1020170155222 A KR1020170155222 A KR 1020170155222A KR 20170155222 A KR20170155222 A KR 20170155222A KR 20190057832 A KR20190057832 A KR 20190057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joint
tie rod
inner ball
torqu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4897B1 (ko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일륭기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륭기공(주) filed Critical 일륭기공(주)
Priority to KR1020170155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8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for measuring force,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 G01L25/003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for measuring force,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for measuring torq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후로 회전되는 타이로드가 구비된 이너볼 조인트가 결합 되는 지그를 베이스 상부면에 형성하고, 상기 지그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전된 타이로드를 수직으로 세우는 이동부를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하며, 상기 이너볼 조인트가 수직으로 세워질 시 타이로드에 가해지는 토크를 측정하여 볼 하우징과 타이로드와의 결합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한 감지토크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토크를 비교하여 비 정상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표시 장치부로 구성하여, 상기 이널볼 조인트의 결합 하중 측정 시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수 작업으로 이너볼 조인트를 구성하고 있는 볼 하우징과 타이로드와의 결합 하중을 측정하지 않기 때문에 이너볼 조인트의 결합 하중을 검사하는 작업자의 스트레스 해소 및 품질 문제 발생으로 인한 품질 비용 증가가 발생 되는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너볼 조인트의 검사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리고 메이져 자동차 회사의 요구에 맞게 검사 수치를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어 이너볼 조인트의 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품의 추이 및 이너볼 조인트의 공정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 { Ball joint operating load test device }
본 발명은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되는 타이로드가 구비된 이너볼 조인트를 베이스 상부면에 형성된 지그에 수직으로 세워 결합하고, 상기 지그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베이스 후단으로 회전된 타이로드를 수직으로 세우는 이동부를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하며, 상기 이너볼 조인트가 수직으로 세워질 시 타이로드에 가해지는 토크를 측정하여 볼 하우징과 타이로드와의 결합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한 감지토크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토크를 비교하여 비 정상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표시 장치부로 구성하여, 상기 이널볼 조인트의 결합 하중 측정 시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수 작업으로 이너볼 조인트를 구성하고 있는 볼 하우징과 타이로드와의 결합 하중을 측정하지 않기 때문에 이너볼 조인트의 결합 하중을 검사하는 작업자의 스트레스 해소 및 품질 문제 발생으로 인한 품질 비용 증가가 발생 되는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너볼 조인트의 검사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리고 메이져 자동차 회사의 요구에 맞게 검사 수치를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어 이너볼 조인트의 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품의 추이 및 이너볼 조인트의 공정을 개선할 수 있고, 상기 타이로드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내면에는 타이로드의 감지하는 조인트 감지부를 제어부와 연결되게 설치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부를 비롯한 시스템을 작동시켜 이너볼 조인트의 결합 하중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상기 이너볼 조인트의 검사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량의 앞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차량의 조향장치에는 운전석에 배치되는 조향휠과 상기 조향휠에 연결된 조향축, 그리고, 조향축과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를 통해 연결되는 기어박스 및 조향축을 차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외부에 장착되는 조향컬럼 등이 구비된다.
한편, 조향장치에는 이너볼조인트부와 타이로드엔드부가 조립된 볼조인트 아세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상기 볼조인트 아세이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이너볼조인트부와 타이로드엔드부가 조립된 상태로 제공되게 된다.
이때, 이너볼조인트부와 타이로드엔드부가 조립된 볼조인트 아세이는 실차 장착에 있어서 그 길이가 매우 정교하게 세팅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조립 라인에서 이너볼조인트부와 타이로드엔드부의 결합길이는 매우 정교하게 제어되어야 한다.
도 7은 차량의 핸들측과 휠축을 연결해주는 볼조인트 아세이(20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볼조인트 아세이(200)는 휠축에 연결되는 타이로드앤드부(210)와 핸들측에 연결되는 이너볼 조인트부(220)로 대별 구성된다.
상기 타이로드 앤드부(210)의 하측부에는 이너볼 조인트부(220)의 상측부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2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너볼 조인트부(220)의 상측에는 일정길이의 나사 결합부(233)가 형성되어 있고, 이너볼 조인트부(220)의 하측에는 이물질 침투 방지를 위한 벨로우즈(240)가 끼워져 결합 되며, 상기 벨로우즈(240)는 클램프(250)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나사 결합부(233)와 결합부(211)의 경계부위에는 너트(234)가 끼워져 조립되는데, 상기 너트(234)는 나사 결합부(233)의 풀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상기 타이로드 앤드부(210)에 결합 되는 이너볼 조인트(220)는 도 8과 같이 볼 하우징(230)과 상기 볼 하우징(230)의 내부로 끼워지는 볼 베어링(231)이 구비된 타이로드(232)로 구성되어, 상기 볼 하우징(230)의 내부에 타이로드(232)의 볼 하우징(231)을 삽입한 상태에서 코킹 작업으로 볼 하우징(230)에 타이로드(232)가 결합 된다.
따라서, 볼조인트 아세이(200)를 구성하고 있는 이너볼 조인트(220)의 볼 하우징(230)과 볼 베어링(231)의 결합 하중에 따라 이너볼 조인트(220)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또는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이 이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즉, 이너볼 조인트(220)를 구성하고 있는 볼 하우징(230)과 볼 베어링(231)이 유격 없이 견고하게 결합 시 회전되는 타이로드(232)에 의해 상기 볼 하우징(230)과 볼 베어링(231)의 마찰로 인해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이너볼 조인트(220)의 수명이 단축 되며,
이와 반대로 볼 하우징(230)과 볼 베어링(231)을 결합할 때 유격이 많이 발생 시 조향 휠의 회전력을 조향축으로 전달하지 못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이 이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볼 하우징(230)과 타이로드(232)에 구비된 볼 베어링(231)과의 결합 하중을 검사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의 문제점은 작업자가 타이로드(232)를 손으로 잡고 수 작업으로 검사하므로, 제품인 이너볼 조인트(220)의 검사에 따른 판단 오차가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수동으로 볼 하우징(230)과 타이로드(232)와의 결합 하중을 검사하기 때문에 자동차 메이져 회사의 요구에 맞는 데이터를 작성하여 저장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데이터를 작성하지 못하므로, 제품의 추이 및 이너볼 조인트의 공정을 개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생산된 이너볼 조인트(220)의 전수 검사를 작업자가 직접 수 작업으로 하므로, 작업자는 이너볼 조인트 결합 하중의 검사 작업으로 인해 스트레스 및 검사 시간이 증가되고, 이로 인하여 품질 비용인 전수 검사의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너볼 조인트가 결합 되는 지그를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하고, 상기 이너볼 조인트에 가해지는 토크에 의해 베이스 후단으로 회전된 타이로드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하며, 상기 지지부의 후면에는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된 이동레일을 따라 지그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베이스의 후단으로 회전된 타이로드를 수직으로 세우는 이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타이로드가 수직으로 세워질 때 가해지는 토크를 측정하여 이너볼 조인트를 구성하고 있는 볼 하우징과, 타이로드와의 결합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기준토크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로드셀로부터 입력되는 감지토크를 비교하여 비정상이라고 판단할 때에는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표시 장치부를 형성하므로, 상기 이너볼 조인트의 결합 하중을 검사하고자 할 때 종래와 같이 수동으로 볼 하우징과 타이로드와의 결합 하중을 측정하지 않기 때문에 이너볼 조인트의 결합 하중을 검사하는 작업자의 스트레스 해소 및 품질 문제 발생으로 인한 품질 비용 증가가 발생 되는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이너볼 조인트의 결합 하중을 측정 시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검사하므로, 이너볼 조인트의 검사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메이져 자동차 회사의 요구에 맞게 검사 수치를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어 이너볼 조인트의 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품의 추이 및 이너볼 조인트의 공정을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부의 내면에는 타이로드의 감지하는 조인트 감지부를 제어부와 연결되게 설치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부를 비롯한 시스템을 작동시켜 이너볼 조인트의 결합 하중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상기 이너볼 조인트의 검사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볼 하우징과, 그 볼 하우징에 결합 되는 타이로드로 구성한 이너볼 조인트를 포함하는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와;
회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이너볼 조인트가 수직으로 결합 되는 지그와;
가해지는 토크에 의해 베이스의 후단으로 회전된 타이로드를 지지하는 지지홈이 구비된 지지부와;
지지부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이동 레일과;
전면에는 지지부가 결합 되며, 이동 레일을 따라 지그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지지부에 지지 된 타이로드를 회전시켜 수직으로 세우는 이동부와;
그 타이로드에 가해지는 토크를 측정하여 볼 하우징과 타이로드와의 결합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타이로드에 가해지는 기준토크가 저장되는 메모리부가 구비되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토크와 로드셀에서 입력되는 감지토크를 비교하여 감지토크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결과가 비정상이라고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와 연결되는 표시 장치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이너볼 조인트가 결합 되는 지그를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하고, 상기 이너볼 조인트에 가해지는 토크에 의해 베이스 후단으로 회전된 타이로드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하며, 상기 지지부의 후면에는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된 이동레일을 따라 지그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베이스의 후단으로 회전된 타이로드를 수직으로 세우는 이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타이로드가 수직으로 세워질 때 가해지는 토크를 측정하여 이너볼 조인트를 구성하고 있는 볼 하우징과, 타이로드와의 결합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기준토크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로드셀로부터 입력되는 감지토크를 비교하여 비정상이라고 판단할 때에는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표시 장치부를 형성하므로, 상기 이너볼 조인트의 결합 하중을 검사하고자 할 때 종래와 같이 수동으로 볼 하우징과 타이로드와의 결합 하중을 측정하지 않기 때문에 이너볼 조인트의 결합 하중을 검사하는 작업자의 스트레스 해소 및 품질 문제 발생으로 인한 품질 비용 증가가 발생 되는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너볼 조인트의 결합 하중을 측정 시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검사하므로, 이너볼 조인트의 검사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메이져 자동차 회사의 요구에 맞게 검사 수치를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어 이너볼 조인트의 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품의 추이 및 이너볼 조인트의 공정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부의 내면에는 타이로드의 감지하는 조인트 감지부를 제어부와 연결되게 설치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부를 비롯한 시스템을 작동시켜 이너볼 조인트의 결합 하중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상기 이너볼 조인트의 검사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의 높이조절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그에 결합 되는 회전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구리스 도포 수단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의 블럭도.
도 7은 볼 조인트 아세이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볼 하우징에 볼 베어링이 구비된 타이로드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볼 하우징(230)과, 그 볼 하우징(230)에 결합 되는 타이로드(232)로 구성한 이너볼 조인트(220)를 포함하는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10)와;
회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이너볼 조인트(220)가 수직으로 결합 되는 지그(20)와;
가해지는 토크에 의해 베이스(10)의 후단으로 회전된 타이로드(232)를 지지하는 지지홈(101)이 구비된 지지부(100)와;
지지부(100)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베이스(1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이동 레일(70)과;
전면에는 지지부(100)가 결합 되며, 이동 레일(70)을 따라 지그(20)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지지부(100)에 지지 된 타이로드(232)를 회전시켜 수직으로 세우는 이동부(80)와;
그 타이로드(232)에 가해지는 토크(t2)를 측정하여 볼 하우징(230)과 타이로드(232)와의 결합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110)과;
타이로드(232)에 가해지는 기준토크(t1)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21)가 구비되며, 상기 메모리부(121)에 저장된 기준 토크(t1)와 로드셀(110)에서 입력되는 감지토크(t2)를 비교하여 감지토크(t2)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결과가 비정상이라고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20)와;
제어부(120)와 연결되는 표시 장치부(1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 장치부(140)는, 로드셀(110)에서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표시하는 표시부(140)와;
제어부(120)에서 입력되는 비정상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15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타이로드(232)의 높이에 따라 지지부(100)의 설치 높이를 가변하는 높이조절수단(50)을 베이스(10)의 상부면에 더 설치 구성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50) 상부면에 이동레일(70)과 이동부(80)를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100)에 지지 되는 타이로드(232)를 감지하는 조인트 감지부(160)를 지지홈(101) 내면에 제어부(120)와 연결되게 설치하고,
제어부(120)는 조인트 감지부(160)에서 타이로드(232)가 감지되면 소정시간 지연 후 이동부(80)를 비롯한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이너볼 조인트(220)를 구성하고 있는 볼 하우징(230)과, 상기 볼 하우징(230)에 결합 된 볼 베어링(231)이 구비된 타이로드(232)와의 결합 하중 검사를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검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이너볼 조인트(220)의 결합 하중을 검사하는 검사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베이스(10)의 상부면에 이너볼 조인트(220)를 수직으로 세워 결합할 수 있는 지그(20)가 도 1과 같이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한다.
상기 지그(20)의 하부에는 메모리부(121)에 저장된 기준토크(t1)와, 로드셀(110)로부터 유입되는 감지토크(t2)를 비교하여 제어부(120)가 정상으로 판단 시 상기 지그(2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0)을 설치하고, 회전수단(30)으로 인해 회전되는 지그(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이너볼 조인트(220)의 외주면으로 구리스를 도포하는 구리스 도포수단을 상기 지지부(100)의 측면에 도 5와 같이 형성한다.
상기 회전수단(30)은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베이스(10)의 저면 중앙에 전,후진 되는 실린더 로드(41)가 구비된 회전 실린더(40)를 설치하고, 실린더 로드(41)의 끝단에는 기어부(42)를 형성한다.
그리고 기어부(42)와 맞물리는 랙기어(43)를 지그(20)의 하부에 형성한다.
따라서, 회전 실린더(40)에 출몰 작동되는 실린더 로드(41)에 의해 기어부(42)가 전,후진 되면서 지그(20)를 정역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구리스 도포수단은 지지부(100)의 일면에 유출홀(170)을 형성하고, 상기 유출홀(170)에 결합 되는 구리스 공급관(172)을 니플(171)로 결합한다.
이때, 구리스는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공급관(172)과 연결된 별도의 구리스 공급펌프의 작동으로 인해 작동됨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지그(20)에 수직으로 결합 된 이너볼 조인트(220)는 가해지는 토크에 의해 베이스(10)의 후단으로 기울어지게 회전된 타이로드(232)를 지지하는 지지부(100)를 설치하는 데, 상기 지지부(100)는 높이조절수단(50)에 설치 구성하여 지그(20)에 결합 된 타이로드(232)의 높이에 맞게 지지부(100)의 설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50)은 도 2와 같이 베이스(10)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다수의 가이드봉(60)을 설치하고, 가이드봉(60)에 관통되게 이동 플레이트(61)를 설치한다.
그리고 이동 플레이트(61)의 후단 중앙에는 나사산(62a)이 구비된 회전축(62)을 관통되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62)에 나사 결합 되는 브라켓(64)을 상기 이동 플레이트(61)의 저면에 결합한다.
상기 회전축(62)의 상단에는 회전축(62)을 회전시키는 손잡이(63)를 설치 구성한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손잡이(63)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축(62)은 회전되면서 이동 플레이트(61)를 도 2의 (b)와 같이 하부로 이동시키며 이로 인하여 타이로드(232)의 높이에 맞게 지지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를 전,후진 이동시키는 이동 레일(70), 이동부(80), 및 로드셀(110)로 높이조절수단(50)이 이동 플레이트(61)에 설치됨을 밝히는 바이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 및 효과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10)의 상부면에 결합 된 한 쌍의 지그(20)에 도 1과 같이 볼 하우징(230)과 그 볼 하우징(230)에 타이로드(232)가 결합 되어 이루어진 이너볼 조인트(220)를 수직으로 세워 결합한다.
상기 이너볼 조인트(220)가 결합 되면, 높이조절수단(50)을 구성하고 있는 손잡이(63)을 회전시켜 이동 플레이트(61)의 상부면에 설치된 이동부(80)와 그 이동부(80)의 전면에 설치된 지지부(100)의 높이를 지그(20)에 수직으로 결합 된 타이로드(232)의 높이에 맞게 조절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50)에 의해 지지부(100)의 높이가 조절되면 작업자는 이너볼 조인트(220)를 구성하고 있는 타이로드(232)에 토크를 가하여 베이스(10)의 후단인 지지부(100)의 지지홈(101)으로 도 3의 (b)와 같이 기울어지게 한다.
가해지는 토크에 의해 상기 타이로드(232)가 지지홈(101) 내측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지지홈(101)의 내부에 설치된 조인트 감지부(160)는 상기 지지홈(101)으로 끼워진 타이로드(232)를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감지신호를 발송한다.
상기 지지부(100)에 끼워진 타이로드(232)를 감지하는 상기 조인트 감지부(160)는 근접센서 또는 금속 감지 센서 등으로 이루어짐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조인트 감지부(160)로부터 감지신호가 제어부(120)로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이동부(80)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상기 지그(20)가 설치된 방향으로 도 3의 (b)와 같이 타이로드(232)가 지지된 지지부(100)를 이동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소정시간 지난 후 이동부(80)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보내는 데, 상기 제어부(120)가 소정 시간 지난 후 이동부(80)를 이동시키는 것은 타이로드(232)에 토크를 가하는 작업자의 손이 상기 타이로드(232)로부터 떨어지는 시간을 주기 위해서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이동부(8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이동부(80)가 이동함에 따라 타이로드(232)가 끼워진 지지부(100)는 지그(20)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타이로드(232)를 수직으로 세운다
상기 이동부(80)에 의해 타이로드(232)가 수직으로 세워짐과 동시에 로드셀(110)은 타이로드(232)에 가해지는 토크를 감지하고, 그 로드셀(110)에서 감지된 감지토크(t2)를 상기 제어부(120)로 발송한다.
상기 제어부(120)로 감지토크(t2)를 발송하는 로드셀(110)은 이동부(80)의 하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로드셀(110)에서 감지된 감지토크(t2)는 표시 장치부(130)를 구성하고 있는 표시부(140)로 유입되고, 표시부(1440)는 로드셀(110)에서 감지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숫자로 나타낸다.
상기 표시부(140)에 디지털 신호인 숫자로 표시됨과 동시에 감지토크(t2)가 유입된 제어부(120)는 메모리부(t1)에 저장된 기준토크(t1)와 비교하여 검사하므로, 이너볼 조인트(220)의 결합 하중을 검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가 메모리부(121)에 저장된 기준토크(t1)와 로드셀(11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토크(t2)를 비교하여 비 정상으로 판단 시 상기 제어부(120)는 경보부(150)로 제어 신호를 보내어 알람(151)을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램프(152)가 On 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너볼 조인트(220)의 결합 하중을 검사하는 장치를 Off 시켜 작업자가 불량이 된 이너볼 조인트를 검사 장치로부터 분리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20)가 메모리부(121)에 저장된 기준토크(t1)와 로드셀(110)로부터 입력된 감지토크(t2)를 비교하여 정상으로 판단 시 상기 제어부(120)는 회전수단(30)을 구성하고 있는 회전 실린더(40)로 제어 신호를 보내어 실린더 로드(41)를 출몰 작동한다.
상기 실린더 로드(41)가 출몰 작동함에 따라 기어부(42)는 전,후진 되면서 상기 기어부(42)와 맞물린 랙기어(43)를 회전시켜 이너볼 조인트(220)가 수직으로 세워진 지그(20)를 정역 회전한다.
상기 지그(20)가 정역 회전과 동시에 구리스 도포수단에 의해 지지부(100)의 측면에 형성된 유출홀(170)을 통해 지지부(100)이 내부로 구리스가 토출되면서 타이로드(232)의 외주면에 그리스를 도포한다.
이와 같이 이너볼 조인트(220)의 결합 하중을 종래와 같이 수동으로 검사하지 않고 검사 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검사하므로, 이너볼 조인트의 결합 하중을 검사하는 작업자의 스트레스 해소 및 품질 문제 발생으로 인한 품질 비용 증가가 발생 되는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너볼 조인트의 결합 하중을 측정 시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검사하므로, 이너볼 조인트의 검사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메이져 자동차 회사의 요구에 맞게 검사 수치를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어 이너볼 조인트의 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품의 추이 및 이너볼 조인트의 공정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부의 내면에는 타이로드의 감지하는 조인트 감지부를 제어부와 연결되게 설치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부를 비롯한 시스템을 작동시켜 이너볼 조인트의 결합 하중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상기 이너볼 조인트의 검사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0: 베이스, 20: 지그,
30: 회전수단, 40: 회전 실린더,
41: 실린더 로드, 42: 기어부,
43: 랙 기어, 50: 높이조절수단,
60: 가이드 봉, 61: 이동 플레이트,
62: 회전축, 62a: 나사산,
63: 손잡이, 64: 브라켓,
70: 이동 레일, 80: 이동부,
90: 실린더 로드, 100: 지지부,
101: 지지홈, 110: 로드셀,
120: 제어부, 121: 메모리부,
130: 표시 장치부, 140: 표시부,
150: 경보부, 151: 알람,
152: 램프, 160: 조인트 감지부,
170: 유출홀, 171: 니플,
172: 공급관, 200: 볼 조인트,
210: 타이로드 앤드부, 211: 결합부,
220: 이너볼 조인트, 230: 볼 하우징,
231: 볼 베어링, 232: 타이로드,
233: 나사 결합부, 234: 너트,
240: 벨로우즈, 250: 클램프,

Claims (4)

  1. 볼 하우징(230)과, 그 볼 하우징(230)에 결합 되는 타이로드(232)로 구성한 이너볼 조인트(220)를 포함하는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10)와;
    회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이너볼 조인트(220)가 수직으로 결합 되는 지그(20)와;
    가해지는 토크에 의해 베이스(10)의 후단으로 회전된 타이로드(232)를 지지하는 지지홈(101)이 구비된 지지부(100)와;
    지지부(100)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베이스(1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이동 레일(70)과;
    전면에는 지지부(100)가 결합 되며, 이동 레일(70)을 따라 지그(20)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지지부(100)에 지지 된 타이로드(232)를 회전시켜 수직으로 세우는 이동부(80)와;
    그 타이로드(232)에 가해지는 토크(t2)를 측정하여 볼 하우징(230)과 타이로드(232)와의 결합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110)과;
    타이로드(232)에 가해지는 기준토크(t1)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21)가 구비되며, 상기 메모리부(121)에 저장된 기준 토크(t1)와 로드셀(110)에서 입력되는 감지토크(t2)를 비교하여 감지토크(t2)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결과가 비정상이라고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20)와;
    제어부(120)와 연결되는 표시 장치부(1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부(140)는,
    로드셀(110)에서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표시하는 표시부(140)와;
    제어부(120)에서 입력되는 비정상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15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
  3.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타이로드(232)의 높이에 따라 지지부(100)의 설치 높이를 가변하는 높이조절수단(50)을 베이스(10)의 상부면에 더 설치 구성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50) 상부면에 이동레일(70)과 이동부(80)를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
  4.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지지부(100)에 지지 되는 타이로드(232)를 감지하는 조인트 감지부(160)를 지지홈(101) 내면에 제어부(120)와 연결되게 설치하고,
    제어부(120)는 조인트 감지부(160)에서 타이로드(232)가 감지되면 소정시간 지연 후 이동부(80)를 비롯한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
KR1020170155222A 2017-11-21 2017-11-21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 KR102004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222A KR102004897B1 (ko) 2017-11-21 2017-11-21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222A KR102004897B1 (ko) 2017-11-21 2017-11-21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832A true KR20190057832A (ko) 2019-05-29
KR102004897B1 KR102004897B1 (ko) 2019-10-17

Family

ID=6667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222A KR102004897B1 (ko) 2017-11-21 2017-11-21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51235A (zh) * 2023-11-09 2024-01-26 北京华航无线电测量研究所 一种拉杆万向节的摩擦力矩测试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769B1 (ko) * 2021-08-31 2023-06-14 (주)아이엘케이 타이로드 엔드 검사용 치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220Y1 (ko) * 2001-02-27 2001-09-26 최호융 볼 조인트의 회전 토크 시험장치에 있어서 클램프의 이송장치
KR20070081291A (ko) * 2006-02-10 2007-08-16 주식회사 만도 슬라이딩포스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220Y1 (ko) * 2001-02-27 2001-09-26 최호융 볼 조인트의 회전 토크 시험장치에 있어서 클램프의 이송장치
KR20070081291A (ko) * 2006-02-10 2007-08-16 주식회사 만도 슬라이딩포스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51235A (zh) * 2023-11-09 2024-01-26 北京华航无线电测量研究所 一种拉杆万向节的摩擦力矩测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897B1 (ko)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296B1 (ko) 카울 크로스 바아 내구성 검증 시험장치
JP4856696B2 (ja) 油圧ねじボルト締め付け装置および該装置により大型スクリューを締め付ける方法。
KR101240990B1 (ko) 차량용 토잉 너트 검사장치
CN109297690B (zh) 一种车轮螺栓紧固质量验证系统、方法及设备
KR20190057832A (ko) 볼 조인트 작동 하중 검사 장치
US4283830A (en) Method and apparatus of monitoring the screwing home of a threaded element by a power tool
CN103471863A (zh) 一种可调式汽车转向系统模态试验台
KR20210026413A (ko) 조향 장치용 레버 장치의 검사 장치
CN212658236U (zh) 一种曲轴相位检测仪
KR101637188B1 (ko) 회전체용 측정센서 검사장치
CN111337269A (zh) 轮速信号测试及故障模拟试验台
KR101523058B1 (ko) 자동차 부품 불량 검출장치
US11422077B2 (en) Device for testing durability of cowl crossbar
JP2007111798A (ja) トルク機器
JP4394983B2 (ja) 増締トルク用測定器の検定器
KR101743431B1 (ko) 정확한 데이터 산출이 가능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성된 저항 용접기
KR102192816B1 (ko) 툴링핀의 마모도 측정장치
KR102267138B1 (ko) 범퍼용 시험장치
CN211553311U (zh) 轮速信号测试及故障模拟试验台
CN210269454U (zh) 一种卧式螺栓轴力-扭矩微变化试验机
JP2015009253A (ja) 溶接ボルト検査ユニット及び溶接ボルト検査装置
KR20170064262A (ko) 너트 검사장치
JP5101466B2 (ja) チップ角度測定方法及びチップ角度測定装置
JP2011131331A (ja) 締結部材の締め付けトルク検査方法及び締め付けトルク検査システム
CN116697866B (zh) 一种桥壳固定盘止口和轴头轴承安装外圆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