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784A -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784A
KR20190057784A KR1020170155126A KR20170155126A KR20190057784A KR 20190057784 A KR20190057784 A KR 20190057784A KR 1020170155126 A KR1020170155126 A KR 1020170155126A KR 20170155126 A KR20170155126 A KR 20170155126A KR 20190057784 A KR20190057784 A KR 20190057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vatar
costume
user
garment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윤
강규욱
Original Assignee
(주)필링크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필링크아이 filed Critical (주)필링크아이
Priority to KR1020170155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7784A/ko
Publication of KR2019005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상 피팅 방법은 실세계의 사용자를 촬영한 사용자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체형에 상응하는 3차원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실세계의 의상을 촬영한 의상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아바타에 적용할 3차원의 의상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의상 객체의 형태를 상기 아바타에 상응하게 변형하여 상기 아바타에 적용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게 상기 아바타의 방향을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ETHOD FOR FITTING CLOTHES USING MIXED REALITY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생성된 아바타에 사용자가 실세계에서 카메라로 촬영한 의상을 피팅하여 보여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혼합현실(Mixed Reality)이란, 현실 세계(real world)와 가상 세계(virtual world)가 혼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혼합 현실은 현실을 기반으로 가상 정보를 부가하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과 가상 환경에 현실 정보를 부가하는 증강 가상(Augmented Virtuality)의 의미를 포함한다.
즉, 혼합현실은 완전한 가상 세계가 아닌 현실과 가상이 자연스럽게 연결된 스마트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가상 현실만 이용하는 것보다 풍부한 체험 경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보고 있는 현실의 영상에 3차원의 가상 영상을 오버랩하여 보여줌으로써 현실과 가상의 구분이 모호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혼합현실 기술을 활용한 것으로, 카메라로 촬영되고 있는 사용자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출력하면서 3D 의상을 오버레이하여 보여주는 의상 피팅 기술이 존재한다. 이러한 의상 피팅 기술은 키넥트 같은 모션 인식 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적하고, 추적된 움직임에 맞추어 3D 의상의 방향이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3D 의상을 착용하였을 경우의 모습을 제공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사용자의 모습에 오버레이된 3D 의상의 형태가 일괄적이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착용 모습을 제공하지 못하고, 오버레이할 3D 의상에 해당하는 실제 의상을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의상을 착용한 뒷모습을 확인할 수 없으며, 구현하는데 기술적으로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는 한계점도 존재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519123호, 2015년 5월 4일 등록(명칭: 키네틱 센서가 구비된 키오스크를 이용한 3D 의상 피팅 클라우드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아바타에 가상의 의류를 착용시키는 방법으로 보다 명확하고 자연스러운 의상 피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으로 인식한 의상을 사용자의 아바타에 적용시킴으로써 실물 의상을 확인함과 동시에 피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상을 입은 아바타의 모습을 회전하여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의 착용 핏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방법은 실세계의 사용자를 촬영한 사용자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체형에 상응하는 3차원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실세계의 의상을 촬영한 의상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아바타에 적용할 3차원의 의상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의상 객체의 형태를 상기 아바타에 상응하게 변형하여 상기 아바타에 적용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게 상기 아바타의 방향을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세계 사용자의 앞모습, 옆모습 및 뒷모습을 각각 촬영한 다중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의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의상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의상들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의상 객체들을 저장하는 객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의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어느 하나의 의상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아바타에 두 개 이상의 의상 객체들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의상 이미지가 입력된 순서에 상응하게 상기 두 개 이상의 의상 객체들을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의상 피팅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아바타에 적용된 의상 객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의상 객체의 형태는 상기 의상에 상응하는 사이즈, 상기 의상에 상응하는 색상 및 상기 아바타의 체형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실세계의 사용자를 촬영한 사용자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체형에 상응하는 3차원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실세계의 의상을 촬영한 의상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아바타에 적용할 3차원의 의상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의상 객체의 형태를 상기 아바타에 상응하게 변형하여 상기 아바타에 적용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게 상기 아바타의 방향을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 및 복수개의 의상들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의상 객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실세계 사용자의 앞모습, 옆모습 및 뒷모습을 각각 촬영한 다중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의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를 기반으로 상기 의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어느 하나의 의상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아바타에 두 개 이상의 의상 객체들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의상 이미지가 입력된 순서에 상응하게 상기 두 개 이상의 의상 객체들을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아바타에 적용된 의상 객체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의상 객체의 형태는 상기 의상에 상응하는 사이즈, 상기 의상에 상응하는 색상 및 상기 아바타의 체형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아바타에 가상의 의류를 착용시키는 방법으로 보다 명확하고 자연스러운 의상 피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으로 인식한 의상을 사용자의 아바타에 적용시킴으로써 실물 의상을 확인함과 동시에 피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상을 입은 아바타의 모습을 회전하여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의 착용 핏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상 피팅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을 반영하여 생성된 아바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의상 객체를 선택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도 6에서 선택된 의상 객체를 도 5에 도시된 아바타에 적용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아바타를 회전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아바타를 VR 기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시스템은 서버(110), 사용자 단말(120), 사용자(130) 및 의상(140)을 포함한다.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촬영된 사용자(130)의 이미지와 의상(140)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의상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로써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2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10)는 실세계의 사용자(130)를 촬영한 사용자 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130)의 체형에 상응하는 3차원의 아바타를 생성한다.
이 때, 사용자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120)에 구비된 카메라를 기반으로 촬영되어 서버로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130) 또는 의상(140)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과 서버(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3차원의 아바타는 서버(110)를 통해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120)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3차원의 아바타는 서버(110)에 구비된 메모리나 별도의 저장 모듈을 통해 사용자(130)의 식별자와 연동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130)가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서버(110)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130)와 연동되어 저장된 3차원의 아바타를 로딩하여 의상 피팅 서비스를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실세계 사용자(130)의 앞모습, 옆모습 및 뒷모습을 각각 촬영한 다중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의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130)의 앞, 뒤 및 양 옆뿐만 아니라 360도를 회전하면서 더 많은 사용자 이미지를 촬영하여 3차원 아바타를 생성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10)는 실세계의 의상(140)을 촬영한 의상 이미지를 기반으로 아바타에 적용할 3차원의 의상 객체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의상(14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상 피팅 시스템을 위해 매장에 진열된 실제 상품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사전에 의상(140)에 대한 3차원의 의상 객체를 생성하여 별도의 객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둘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의상(140)들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의상 객체들을 저장하는 객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의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어느 하나의 의상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상의 형태나 색상 또는 촬영된 의상 이미지에서 검출되는 의상의 식별 코드 등을 기반으로 복수개의 의상 객체들 중 어느 하나의 의상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다양한 의상 객체들 중 사용자(130)에 의해 촬영된 의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어느 하나의 의상 객체를 식별하는 방법은 이미지를 기반으로 객체를 식별하는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10)는 의상 객체의 형태를 아바타에 상응하게 변형하여 아바타에 적용한다.
이 때, 의상 객체의 형태는 의상에 상응하는 사이즈, 의상에 상응하는 색상 및 아바타의 체형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변형될 수 있다.
이 때, 아바타에 두 개 이상의 의상 객체들을 적용하는 경우, 의상 이미지가 입력된 순서에 상응하게 두 개 이상의 의상 객체들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130)가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서 의상(140)을 촬영한 순서대로 의상 객체를 선택하여 아바타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아바타에 적용된 의상 객체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130)가 사용자 단말(120)을 이용하여 실세계의 매장에 진열된 구두를 촬영하여 자신의 아바타에 적용시켰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130)가 다시 사용자 단말(120)을 이용하여 매장에 진열된 운동화를 촬영한다면, 이미 아바타에 적용된 구두를 운동화로 변경시켜서 디스플레이 해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130)가 사용자 단말(120)을 이용하여 구두와 운동화를 각각 촬영하였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두와 운동화에 각각 상응하는 의상 객체들을 띄워주고, 사용자(130)가 선택하여 아바타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게 아바타의 방향을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130)가 사용자 단말(120)의 화면을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아바타의 방향을 회전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때, 아바타가 회전하면서 의상 객체도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아바타가 의상(140)을 착용한 뒷모습이나 옆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상 피팅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상 피팅 방법은 실세계의 사용자를 촬영한 사용자 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체형에 상응하는 3차원의 아바타를 생성한다(S210).
이 때, 사용자 이미지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 또는 의상이 진열된 매장에 설치된 별도의 촬영 단말을 통해 촬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은 매장에 설치된 촬영 단말(310)을 통해 사용자(320)를 촬영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사용자 단말(410)을 통해 사용자(420)를 촬영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촬영 단말(310)이나 사용자 단말(410)은 아바타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사용자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화면상에 출력되는 사용자 객체(311, 411)의 모습을 가이드 할 수 있는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이나 촬영 단말을 통해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로 전송되어 아바타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상 피팅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직접 사용자 이미지를 기반으로 아바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3차원의 아바타는 사용자의 체형에 상응하게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들에 대해 아바타(510~550)도 다양한 체형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실세계 사용자의 앞모습, 옆모습 및 뒷모습을 각각 촬영한 다중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의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중 이미지를 기반으로 3차원의 아바타를 생성함으로써 아바타가 의상을 피팅하였을 경우에 핏(fit) 감을 360도에 상응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상 피팅 방법은, 앞모습, 뒷모습 그리고 양 옆모습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면서 촬영한 다중 사용자 이미지를 활용하여 아바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상 피팅 방법은 실세계의 의상을 촬영한 의상 이미지를 기반으로 아바타에 적용할 3차원의 의상 객체를 선택한다(S220).
이 때, 실세계의 의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상 피팅 서비스를 위해 매장에 진열된 의상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실세계의 의상에 대한 의상 객체는 사전에 미리 생성되어 별도의 객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의상들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의상 객체들을 저장하는 객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의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어느 하나의 의상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610)로 실세계의 의상(620)을 촬영하여 의상 이미지(611)를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 서버에서는 전송된 의상 이미지(611)에 매칭되는 의상 객체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선택된 3차원의 의상 객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촬영한 의상에 대한 의상 객체가 제대로 선택되었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이 때, 의상은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모든 의류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의, 하의, 내의와 같은 의류뿐만 아니라 모자, 안경, 귀걸이, 목걸이, 신발, 가방 등의 잡화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상 피팅 방법은 의상 객체의 형태를 아바타에 상응하게 변형하여 아바타에 적용한다(S230).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3차원의 아바타(510)에 도 6에 도시된 의상(620)에 상응하는 3차원의 의상 객체를 적용하면 도 7과 같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 때, 의상 객체의 형태는 의상에 상응하는 사이즈, 의상에 상응하는 색상 및 아바타의 체형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바타의 체형에 비해 작은 사이즈의 의상에 상응하는 의상 객체가 선택된 경우, 실제로 체형이 큰 사람이 작은 사이즈의 의상을 입었을 때와 같은 형태로 의상의 형태를 변형하여 아바타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아바타에 두 개 이상의 의상 객체들을 적용하는 경우, 의상 이미지가 입력된 순서에 상응하게 두 개 이상의 의상 객체들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티셔츠를 촬영한 이후에 코트를 촬영하였다고 가정한다면, 아바타에는 티셔츠를 먼저 적용한 뒤 코트를 적용함으로써 마치 티셔츠와 코트를 코디하여 입은 것처럼 보여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상 피팅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게 아바타의 방향을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한다(S240).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의상 객체가 적용된 아바타를 디스플레이해주면서 동시에 아바타의 방향을 회전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하여 아바타의 방향을 회전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의상 객체가 적용된 아바타의 뒷모습을 보여줄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모습은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모습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상 피팅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아바타에 적용된 의상 객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한 복수개의 의상들에 대한 복수개의 의상 객체들을 별도의 객체 창에 출력해 주고, 사용자가 객체 창에서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의상 객체로 변경하여 적용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모든 변경을 마친 이후에 변경이 완료됨을 입력하는 경우, 아바타에 적용되지 않은 나머지 의상 객체들은 서버로 반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상 피팅 방법은 상술한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별도의 저장 모듈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의상 피팅 방법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쉽고 자연스럽게 의상 피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물 의상을 확인하면서 동시에 피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의상을 입은 아바타의 모습을 회전하여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의 착용 핏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아바타를 VR 기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바타는 사용자 단말 이외에도 VR 기기(1010)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VR 기기(1010)와 사용자 단말을 연동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서 제어된 결과화면이 VR 기기(101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통신부(1110), 프로세서(1120) 및 메모리(1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상 피팅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10)는 사용자의 체형에 상응하는 3차원의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이미지 및 3차원의 의상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의상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의상 객체가 적용된 아바타를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20)는 실세계의 사용자를 촬영한 사용자 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체형에 상응하는 3차원의 아바타를 생성한다.
이 때, 사용자 이미지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 또는 의상이 진열된 매장에 설치된 별도의 촬영 단말을 통해 촬영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4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이나 촬영 단말을 통해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는 서버로 전송되어 아바타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직접 사용자 이미지를 기반으로 아바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3차원의 아바타는 사용자의 체형에 상응하게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들에 대해 아바타(510~550)도 다양한 체형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실세계 사용자의 앞모습, 옆모습 및 뒷모습을 각각 촬영한 다중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의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중 이미지를 기반으로 3차원의 아바타를 생성함으로써 아바타가 의상을 피팅하였을 경우에 핏(fit) 감을 360도에 상응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사용자의 앞모습, 뒷모습 그리고 양 옆모습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면서 촬영한 다중 사용자 이미지를 활용하여 아바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120)는 실세계의 의상을 촬영한 의상 이미지를 기반으로 아바타에 적용할 3차원의 의상 객체를 선택한다.
이 때, 실세계의 의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상 피팅 서비스를 위해 매장에 진열된 의상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실세계의 의상에 대한 의상 객체는 사전에 미리 생성되어 메모리 또는 별도의 객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 또는 별도의 객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의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어느 하나의 의상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610)로 실세계의 의상(620)을 촬영하여 의상 이미지(611)를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 서버에서는 전송된 의상 이미지(611)에 매칭되는 의상 객체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선택된 3차원의 의상 객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촬영한 의상에 대한 의상 객체가 제대로 선택되었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이 때, 의상은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모든 의류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의, 하의, 내의와 같은 의류뿐만 아니라 모자, 안경, 귀걸이, 목걸이, 신발, 가방 등의 잡화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20)는 의상 객체의 형태를 아바타에 상응하게 변형하여 아바타에 적용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3차원의 아바타(510)에 도 6에 도시된 의상(620)에 상응하는 3차원의 의상 객체를 적용하면 도 7과 같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 때, 의상 객체의 형태는 의상에 상응하는 사이즈, 의상에 상응하는 색상 및 아바타의 체형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바타의 체형에 비해 작은 사이즈의 의상에 상응하는 의상 객체가 선택된 경우, 실제로 체형이 큰 사람이 작은 사이즈의 의상을 입었을 때와 같은 형태로 의상의 형태를 변형하여 아바타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아바타에 두 개 이상의 의상 객체들을 적용하는 경우, 의상 이미지가 입력된 순서에 상응하게 두 개 이상의 의상 객체들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티셔츠를 촬영한 이후에 코트를 촬영하였다고 가정한다면, 아바타에는 티셔츠를 먼저 적용한 뒤 코트를 적용함으로써 마치 티셔츠와 코트를 코디하여 입은 것처럼 보여줄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게 아바타의 방향을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의상 객체가 적용된 아바타를 디스플레이해주면서 동시에 아바타의 방향을 회전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하여 아바타의 방향을 회전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의상 객체가 적용된 아바타의 뒷모습을 보여줄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모습은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모습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아바타에 적용된 의상 객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한 복수개의 의상들에 대한 복수개의 의상 객체들을 별도의 객체 창에 출력해 주고, 사용자가 객체 창에서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의상 객체로 변경하여 적용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모든 변경을 마친 이후에 변경이 완료됨을 입력하는 경우, 아바타에 적용되지 않은 나머지 의상 객체들은 서버로 반환될 수도 있다.
메모리(1130)는 복수개의 의상들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의상 객체들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130)는 상술한 의상 피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서버를 이용하면 사용자에게 쉽고 자연스럽게 의상 피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물 의상을 확인하면서 동시에 피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의상을 입은 아바타의 모습을 회전하여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의 착용 핏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0: 서버 120, 410, 610: 사용자 단말
130, 320, 420: 사용자 140, 620: 의상
310: 촬영 단말 311, 411: 사용자 객체
510~550: 아바타 611: 의상 객체
1010: VR 기기 1110: 통신부
1120: 프로세서 1130: 메모리

Claims (12)

  1. 실세계의 사용자를 촬영한 사용자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체형에 상응하는 3차원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실세계의 의상을 촬영한 의상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아바타에 적용할 3차원의 의상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의상 객체의 형태를 상기 아바타에 상응하게 변형하여 상기 아바타에 적용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게 상기 아바타의 방향을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세계 사용자의 앞모습, 옆모습 및 뒷모습을 각각 촬영한 다중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의상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의상들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의상 객체들을 저장하는 객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의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어느 하나의 의상 객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아바타에 두 개 이상의 의상 객체들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의상 이미지가 입력된 순서에 상응하게 상기 두 개 이상의 의상 객체들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상 피팅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아바타에 적용된 의상 객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상 객체의 형태는
    상기 의상에 상응하는 사이즈, 상기 의상에 상응하는 색상 및 상기 아바타의 체형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방법.
  7. 실세계의 사용자를 촬영한 사용자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체형에 상응하는 3차원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실세계의 의상을 촬영한 의상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아바타에 적용할 3차원의 의상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의상 객체의 형태를 상기 아바타에 상응하게 변형하여 상기 아바타에 적용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게 상기 아바타의 방향을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 및
    복수개의 의상들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의상 객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세계 사용자의 앞모습, 옆모습 및 뒷모습을 각각 촬영한 다중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를 기반으로 상기 의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어느 하나의 의상 객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아바타에 두 개 이상의 의상 객체들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의상 이미지가 입력된 순서에 상응하게 상기 두 개 이상의 의상 객체들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아바타에 적용된 의상 객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의상 객체의 형태는
    상기 의상에 상응하는 사이즈, 상기 의상에 상응하는 색상 및 상기 아바타의 체형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70155126A 2017-11-20 2017-11-20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57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126A KR20190057784A (ko) 2017-11-20 2017-11-20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126A KR20190057784A (ko) 2017-11-20 2017-11-20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784A true KR20190057784A (ko) 2019-05-29

Family

ID=6667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126A KR20190057784A (ko) 2017-11-20 2017-11-20 혼합현실을 이용한 의상 피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778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123B1 (ko) 2013-12-03 2015-05-15 주식회사 글로브포인트 키네틱 센서가 구비된 키오스크를 이용한 3d 의상 피팅 클라우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123B1 (ko) 2013-12-03 2015-05-15 주식회사 글로브포인트 키네틱 센서가 구비된 키오스크를 이용한 3d 의상 피팅 클라우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6199B2 (e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based manipulation of multi-layered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s
US10176636B1 (en) Augmented reality fashion
CN108304063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CN108351522A (zh) 注视方向映射
US20110234591A1 (en) Personalized Apparel and Accessories Inventory and Display
CN110378990B (zh) 增强现实场景展现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70195664A1 (en) Three-dimensional viewing angle select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8052665A1 (e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based manipulation of multi-layered multi-view interactive digital media representations
CN109952759A (zh) 用于具有hmd的视频会议的改进的方法和系统
KR20140108128A (ko)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9598796A (zh) 将真实场景与虚拟物体进行3d融合显示的方法和装置
JP2014509758A (ja) リアルタイムの仮想反射
US11128984B1 (en) Content presentation and layering across multiple devices
KR20140082610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전시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CN102196280A (zh) 方法、客户端设备和服务器
CN109901710A (zh) 媒体文件的处理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202103045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CN111833458A (zh) 图像显示方法及装置、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640200B (zh) 一种ar场景特效生成的方法及装置
US20160320833A1 (en) Location-based system for shar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CN111538405A (zh) 信息处理方法及终端、非临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226187A (zh) 通过镜子与用户交互的系统和方法
CN110291577A (zh) 用于改进的增强现实体验的配对的局部和全局用户界面
KR20140130638A (ko) 실사 영상 기반의 스마트 피팅장치 및 그 방법
EP4070286A1 (en)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systems and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