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602A - 삽입형 생리컵 - Google Patents

삽입형 생리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602A
KR20190056602A KR1020170153714A KR20170153714A KR20190056602A KR 20190056602 A KR20190056602 A KR 20190056602A KR 1020170153714 A KR1020170153714 A KR 1020170153714A KR 20170153714 A KR20170153714 A KR 20170153714A KR 20190056602 A KR20190056602 A KR 20190056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insertion portion
sanitary
menstrual
natural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영
Original Assignee
안정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오 filed Critical 안정오
Priority to KR1020170153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6602A/ko
Publication of KR20190056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 A61F5/45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placed in the vagina, e.g. for catameni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7Closure means other tha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venting or deodorant means, e.g. filters ; having antiseptic means, e.g. bacterial b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형 생리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성 질 내에 삽입되어 배출된 생리 혈을 담는 삽입형 생리 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삽입형 생리컵{SANITARY CUP}
본 발명은 삽입형 생리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성 질 내에 삽입되어 배출된 생리 혈을 담는 삽입형 생리 컵에 관한 것이다.
여성들이 사용하고 있는 생리대와 탐 폰은 그 재질이 화학 약품 종이, 흡수지 부직포, 비닐이며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회성이고 이들의 포장재 역시 비닐,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엄청난 쓰레기의 양이 나오며 그로 인하여 쓰레기 처리 비용과 처리 중에 나타나는 공해와 하수구와 변기의 막힘이 원인이 되어 심각한 수질 오염을 일으키고 게다가 제품의 비싼 가격으로 인하여 가계의 큰 경제적 부담 또한 되고있다.
소비자 조사에 의하면 사용 여성의 60% 이상이 생리 혈이 새는 경험으로 수면시, 운동, 수영, 등산 등의 옥외 활동 시 누출의 염려를 하고 있고 건강의 측면에서 여성의 질은 질 내에 죽은 세포나 박테리아를 자동으로 씻어내는 기능이 있어 항상 청결을 유지해야 하므로 충분한 수분이 공급되어야 함에도 기존 생리대와 탐 폰은 생리 혈을 저장하지 않고 흡수하므로 질 내 수분 공급 기능을 저하하므로 질의 청결을 유지하기 힘들기에 비위생적이므로 이로 인해 개인에 따라서 알레르기 증상을 호소하며 심지어 탐 폰의 사용은 자칫 생명까지 앗아가는 매우 심각한 독성 쇼크 증후군을 갖고 있다.
독성 쇼크 증후군은 주로 젊은 여성에게 산발적으로 예기치 않게 발생하며 가끔 치사를 일으키는 증후군이다. 이는 대부분 월경 중에 탐 폰을 사용하였을 때 나타나는데 흡수력이 좋은 탐 폰일수록 위험성이 커진다. 원인이 되는 독소의 특징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탐 폰을 사용했을 때 독특한 독소가 나오는 포도상구균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독성 쇼크 증후군의 증상은 독감과 혼돈하기 쉬운데 갑작스런 고열, 구토와 설사, 어지러움, 허약, 기절, 발진, 근육의 통증, 목의 통증, 극심한 피로, 혈압이 갑자기 내려가는 등의 증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성 질 내에 삽입되어 배출되는 생리 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독성 쇼크 증후군 발생을 예방하고 배출된 생리 혈이 여성 질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질 내 삽입형 생리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내경이 커지는 컵 형상을 가져 여성의 생리시 여성 질 내에 삽입되어 속이 빈 내부에 생리 혈을 담아 저장하는 저장 영역을 형성하도록 컵 형상의 삽입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컵 형상 삽입부(10) 본체의 상부 외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10)의 상부에 병입구 형태의 손잡이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 형상 삽입부(10) 본체의 저장 영역을 상부 및 하부 저장 영역으로 구분하도록 상기 컵 형상 삽입부(10) 본체의 벽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여 여성 질로부터 배출된 생리 혈을 상부 저장 영역으로 안내하고 상부 저장 영역에 담긴 생리 혈이 여성 질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삽입부(10)의 하단 외주부에 날개부(30)가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부(20)의 상단에 마개(40)가 연결부(22)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리컵은 질 내에 삽입하여 직접 생리혈을 담아내는 기술적 특징이 있기에 질 건강을 위해 필요한 질 내 수분을 파괴하지 않으므로 항상 청결 상태를 유지해 준다. 또한 여성의 생리 기간 동안 90 내지 120 ㎖ 정도의 생리혈이 나오는데 본 발명의 생리컵은 30 ㎖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하루 한 번만 컵을 비워주어도 되며, 질 내 삽입형이므로 생리혈이 누출할 염려로부터 벗어날 수 있기에 잠자는 동안이나 운동, 수영, 등산 등과 같은 격렬한 옥외 활동에도 안심하고 편리하다. 또한 일회성이 아닌 반 영구적으로 사용하기에 경제적이고 일회용 쓰레기 배출이 없으므로 자연 환경 보전에 앞장설 수 있다. 생리대나 탐 폰과 같은 형태의 제품 사용으로 발생하는 각종 알레르기와 생리혈을 장시간 과다 흡수 및 장시간 착용으로 인한 포도상 구균의 독소 생산 변형체에 의해 발생하는 치명적인 병인 독성 쇼크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다. 컵 내부에 상부 및 하부 저장 영역으로 구분하도록 날개부가 형성되어 여성 질로부터 배출된 생리혈이 유입되면 개방되어 생리혈을 하부 저장 영역으로 안내하고 하부 저장 영역에 담긴 생리혈이 여성질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리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생리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생리컵을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범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내경이 커지는 컵 형상을 가져 여성의 생리시 여성 질 내에 삽입되어 속이 빈 내부에 생리 혈을 담아 저장하는 저장 영역을 형성하도록 컵 형상의 삽입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컵 형상 삽입부(10) 본체의 상부 외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10)의 상부에 병입구 형태의 손잡이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 형상 삽입부(10) 본체의 저장 영역을 상부 및 하부 저장 영역으로 구분하도록 상기 컵 형상 삽입부(10) 본체의 벽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여 여성 질로부터 배출된 생리 혈을 상부 저장 영역으로 안내하고 상부 저장 영역에 담긴 생리 혈이 여성 질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삽입부(10)의 하단 외주부에 날개부(30)가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부(20)의 상단에 마개(40)가 연결부(22)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리컵은 삽입부의 외면에 상하 방향으로 상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쪽 외주면에 하부돌기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쪽 외주면에 좌우돌기부(14)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리컵은 삽입부 본체의 하부돌기부(16) 윗쪽 및 손잡이부가 천연 고무 또는 실리콘에 은분말 또는 케르마늄 분말을 0.02 내지 0,05 중량%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삽입부 본체의 하부돌기부(16) 아래쪽이 천연 고무 또는 실리콘에 마그네슘 분말을 0.05 내지 0,08 중량%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리컵은 날개부가 탄성 생분해 천연고무 또는 탄성 실리콘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은 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내경이 커지는 컵 형상을 가져 여성의 생리시 여성 질 내에 삽입되어 속이 빈 내부에 생리 혈을 담아 저장하는 저장 영역을 형성하도록 컵 형상의 삽입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컵 형상 삽입부(10) 본체의 상부 외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10)의 상부에 병입구 형태의 손잡이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 형상 삽입부(10) 본체의 저장 영역을 상부 및 하부 저장 영역으로 구분하도록 상기 컵 형상 삽입부(10) 본체의 벽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여 여성 질로부터 배출된 생리 혈을 상부 저장 영역으로 안내하고 상부 저장 영역에 담긴 생리 혈이 여성 질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삽입부(10)의 하단 외주부에 날개부(30)가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부(20)의 상단에 마개(40)가 연결부(22)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어 여성 질 내에 삽입되어 배출되는 생리 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독성 쇼크 증후군 발생을 예방하고 배출된 생리 혈이 여성 질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생리컵은 삽입부의 외면에 상하 방향으로 상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쪽 외주면에 하부돌기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쪽 외주면에 좌우돌기부(14)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여성 질 내에 삽입되어 배출되는 생리 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독성 쇼크 증후군 발생을 예방하고 배출된 생리 혈이 여성 질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생리컵은 삽입부 본체의 하부돌기부(16) 윗쪽 및 손잡이부가 천연 고무 또는 실리콘에 은분말 또는 케르마늄 분말을 0.02 내지 0,05 중량%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삽입부 본체의 하부돌기부(16) 아래쪽이 천연 고무 또는 실리콘에 마그네슘 분말을 0.05 내지 0,08 중량%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어 여성 질 내에 삽입되어 배출되는 생리 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독성 쇼크 증후군 발생을 예방하고 배출된 생리 혈이 여성 질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생리컵은 날개부가 탄성 생분해 천연고무 또는 탄성 실리콘에 의해 제조되어 여성 질 내에 삽입되어 배출되는 생리 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독성 쇼크 증후군 발생을 예방하고 배출된 생리 혈이 여성 질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삽입부 20: 손잡이부

Claims (4)

  1. 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내경이 커지는 컵 형상을 가져 여성의 생리시 여성 질 내에 삽입되어 속이 빈 내부에 생리 혈을 담아 저장하는 저장 영역을 형성하도록 컵 형상의 삽입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컵 형상 삽입부(10) 본체의 상부 외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10)의 상부에 병입구 형태의 손잡이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 형상 삽입부(10) 본체의 저장 영역을 상부 및 하부 저장 영역으로 구분하도록 상기 컵 형상 삽입부(10) 본체의 벽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여 여성 질로부터 배출된 생리 혈을 상부 저장 영역으로 안내하고 상부 저장 영역에 담긴 생리 혈이 여성 질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삽입부(10)의 하단 외주부에 날개부(30)가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부(20)의 상단에 마개(40)가 연결부(22)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컵은 삽입부의 외면에 상하 방향으로 상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쪽 외주면에 하부돌기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쪽 외주면에 좌우돌기부(14)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컵은 삽입부 본체의 하부돌기부(16) 윗쪽 및 손잡이부가 천연 고무 또는 실리콘에 은분말 또는 케르마늄 분말을 0.02 내지 0,05 중량%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삽입부 본체의 하부돌기부(16) 아래쪽이 천연 고무 또는 실리콘에 마그네슘 분말을 0.05 내지 0,08 중량%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컵은 날개부가 탄성 생분해 천연고무 또는 탄성 실리콘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생리컵.


KR1020170153714A 2017-11-17 2017-11-17 삽입형 생리컵 KR20190056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714A KR20190056602A (ko) 2017-11-17 2017-11-17 삽입형 생리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714A KR20190056602A (ko) 2017-11-17 2017-11-17 삽입형 생리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602A true KR20190056602A (ko) 2019-05-27

Family

ID=66679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714A KR20190056602A (ko) 2017-11-17 2017-11-17 삽입형 생리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66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062A (ko) * 2019-11-25 2021-06-02 이지수 생리컵
EP4042988A4 (en) * 2019-11-25 2023-10-18 Jisoo Lee MENSTRUAL CU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062A (ko) * 2019-11-25 2021-06-02 이지수 생리컵
EP4042988A4 (en) * 2019-11-25 2023-10-18 Jisoo Lee MENSTRUAL CU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524B1 (ko) 삽입형 생리 컵
US7144391B1 (en) Feminine hygiene kit
RU2294186C2 (ru) Интерлабиальная прокладка, содержащая язычок (варианты)
CN103391760B (zh) 具有带有多个支柱的支承部的阴道塞具
US20110046571A1 (en) Absorbing and Saturation Detection Pad and Methods Thereof
RU2013114213A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безводным косметическим средством
CN103391761A (zh) 具有包括多个可折合区的支承部的阴道塞具
WO2020008470A1 (en) A wearable device for body fluid discharge
KR20190056602A (ko) 삽입형 생리컵
US11911243B2 (en) Cervical pad
KR200486704Y1 (ko) 생리컵 삽입 보조기
KR101740003B1 (ko) 주머니를 구비한 생리대
WO2002080827A1 (en) Menstrual fluid collection device
KR20090104426A (ko) 체액흡수용 위생밴드
KR101968423B1 (ko) 흡수체를 포함하는 생리 컵
KR101726672B1 (ko) 친환경 체내 삽입형 생리대
KR20010064584A (ko) 일회용 기저귀
KR20030081219A (ko) 여성 질 내 삽입 형 생리 컵
KR20200066153A (ko) 흡수성 위생 용품
KR20190089315A (ko) 친환경 유기농 생리대
CN205339311U (zh) 一种新型带网卫生棉条
KR200397657Y1 (ko) 생리대
KR200297923Y1 (ko) 위생용 패드
KR101901534B1 (ko) 착용이나 꺼낼 때 착용이 용이하면서 생리혈이 새는 것을 방지한 일회용 생리컵
KR20200022892A (ko) 생리혈 배출이 용이한 삽입형 생리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