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704Y1 - 생리컵 삽입 보조기 - Google Patents

생리컵 삽입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704Y1
KR200486704Y1 KR2020170006232U KR20170006232U KR200486704Y1 KR 200486704 Y1 KR200486704 Y1 KR 200486704Y1 KR 2020170006232 U KR2020170006232 U KR 2020170006232U KR 20170006232 U KR20170006232 U KR 20170006232U KR 200486704 Y1 KR200486704 Y1 KR 200486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b
cup
vagina
dist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학
Original Assignee
송영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학 filed Critical 송영학
Priority to KR2020170006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7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7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 A61F5/45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placed in the vagina, e.g. for catameni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리컵 삽입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성의 질내부에서 배출되는 분비물을 수용하는 생리컵을 삽입시키는 생리컵 삽입 보조기에 있어서, 일측의 지름이 선단부 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생리컵의 일측을 접어서 수용하는 관 형상의 메인바디부 및 상기 메인바디부에 삽입되어 직선 왕복 이동하는 관 형상의 서브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부의 선단부가 질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서브바디부로 상기 생리컵의 후단부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생리컵은 상기 메인바디부의 선단부를 통해 토출되어 텐션작용으로 질내부에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컵 삽입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리컵 삽입 보조기{INSERTION TYPE PHYSIOLOGICAL CUP INSERTION AIDS}
본 고안은 생리컵 삽입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성의 질내부에서 배출되는 분비물을 수용하는 생리컵을 메인바디부의 선단부 내측에 삽입시키고, 서브바디브로 생리컵의 후단부를 밀어냄으로써, 메인바디부의 선단부를 통해 생리컵이 토출되는 생리컵 삽입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여성들이 사용하고 있는 생리대와 탐 폰은 그 재질이 화학 약품 종이, 흡수지 부직포, 비닐로서,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회성이며 이들의 포장재 역시 비닐, 즉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엄청난 쓰레기의 양이 나오며 그로 인하여 쓰레기 처리 비용과 처리 중에 나타나는 공해와 하수구와 변기의 막힘이 원인이 되어 심각한 수질 오염을 일으키고, 게다가 제품의 비싼 가격으로 인하여 가계의 큰 경제적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소비자 조사에 의하면 사용 여성의 60% 이상이 생리 혈이 새는 경험으로 수면 시, 운동, 수영, 등산 등의 옥외 활동 시 누출의 염려를 하고 있고, 건간의 측면에서 여성의 질은 질 내에 죽은 세포나 박테리아를 자동으로 씻어내는 기능이 있어 항상 청결을 유지해야 하므로, 충분한 수분이 공급되어야 함에도 기존 생리대와 탐 폰은 생리 혈을 저장하지 않고 흡수하므로, 질 내 수분 공급 기능을 저하하므로 질의 청결을 유지하기 힘들기에 비위생적이다. 이로 인해 개인에 따라서 알레르기 증상을 호소하며, 심지어 탐 폰의 사용은 자칫 생명까지 앗아가는 매우 심각한 독성 쇼크 증후군(toxi shock syndrome)을 갖고 있다.
이러한 독성 쇼크 증후군은 주로 젊은 여성에게 산발적으로 예기치 않게 발생하며, 가끔 치사를 일으키는 증후군이다. 이는 대부분 월경 중에 탐폰을 사용하였을 때, 나타나는데 흡수력이 좋은 탐폰일수록 위험성이 커진다. 이와 같은 원인이 되는 독소의 특징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탐 폰을 사용했을 때 독특한 독소가 나오는 포도상구균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독성 쇼크 증후군의 증상은 독감과 혼돈하기 쉬운데, 갑작스런 고열, 구토와 설사, 어지러움, 허약, 기절, 발진, 근육의 통증, 목의 통증, 극심한 피로, 혈압이 갑자기 내려가는 등의 증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3524호(등록일: 2010.07.27.)인 '삽입형 생리 컵'을 살펴보면 컵 형상의 본체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그 내경이 작아지며, 컵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손잡이가 형성되어 컵을 여성의 질 내에 삽입하여 배출되는 생리 혈을 담는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리 컵은 여성의 질 내로 삽입시키기 위해, 한손으로 일측을 접은 상태로 잡아야 하고, 다른 손으로 손잡이를 잡아야 하는 불편함과 질 내의 민감한 부분에 대한 위생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973524호(2010.07.27.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성의 질내부에서 배출되는 분비물을 수용하는 생리컵을 메인바디부의 선단부 내측에 삽입시키고, 서브바디브로 생리컵의 후단부를 밀어냄으로써, 메인바디부의 선단부를 통해 생리컵이 토출되는 새로운 구조의 생리컵 삽입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성의 질내부에서 배출되는 분비물을 수용하는 생리컵을 삽입시키는 생리컵 삽입 보조기에 있어서,
일측의 지름이 선단부 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생리컵의 일측을 접어서 수용하는 관 형상의 메인바디부 및
상기 메인바디부에 삽입되어 직선 왕복 이동하는 관 형상의 서브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부의 선단부가 질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서브바디부로 상기 생리컵의 후단부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생리컵은 상기 메인바디부의 선단부를 통해 토출되어 텐션작용으로 질내부에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컵 삽입 보조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부는
내부가 관통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메인몸체, 상기 메인몸체의 후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메인플랜지, 상기 메인몸체의 후단부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몸체는 외주면에 전체길이의 후단부로부터 1/3 지점에 눈금이 표시되어 상기 눈금이 질의 외부에 근접하게 위치시킴에 따라, 상기 메인몸체의 선단부가 자궁경부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서브바디부는 내부가 관통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서브몸체, 상기 서브몸체의 후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서브플랜지 및 상기 서브몸체의 선단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몸체는 상기 메인몸체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단턱이 상기 스토퍼에 걸림으로써, 상기 서브몸체가 상기 메인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부는 내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는 회전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서브바디부는 외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 홈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회전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를 이용한 삽입방법에 있어서, 메인바디부 및 서브바디부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메인바디부의 내측 선단부에 생리컵의 일측을 접어서 삽입시키는 배치단계,
상기 메인바디부를 질 내부로 삽입시키는 제1 삽입단계,
상기 메인바디부의 후단부에 상기 서브바디부를 삽입시키는 제2 삽입단계,
상기 서브바디부를 밀어서 상기 생리컵의 후단부를 메인바디부의 선단부로부터 토출시키는 토출단계 및
상기 메인바디부를 질내부로부터 배출 분리시키는 분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에 있어서,
여성의 질내부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수용하는 생리컵을 삽입시키는 생리컵 삽입 보조기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생리컵의 일측을 접어서 수용하는 관 형상의 메인바디부 및
상기 메인바디부에 삽입되어 직선 왕복 이동하는 관 형상의 서브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바디브는 상기 생리컵의 후단부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메인바디부의 선단부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생리컵이 텐션작용으로 질내부에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는 메인바디부의 선단에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여성의 질내부로 삽입이 용이하여, 삽입시 발생되는 통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는 생리컵의 일측을 접어서 메인바디부의 선단부에 배치하여 서브바디부로 생리컵의 후단부를 밀어냄에 따라, 메인바디부의 선단부를 통해 토출되는 생리컵이 텐션작용으로 질내부에서 펼쳐지도록 하여 분비물이 생리컵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손가락을 사용할 때 보다 세균감염의 노출을 감소시켜 위생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의 메인바디부 및 서브바디부는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함으로써, 일회용 쓰레기 배출이 없으므로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비용절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의 서브바디부는 내부가 관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바디부 내부에서 직선 왕복 이동하여 생리컵을 질내부로 이동시키더라도, 압축공기가 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 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의 메인바디부는 외주면에 전체길이의 후단부로부터 1/3 지점에 눈금이 표시되어 상기 몸체의 선단부가 자궁경부와 근접하게 위치시키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생리컵이 메인바디부에 수용된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응용에 따라 메인바디부 및 서브바디부에 회전 홈부 및 회전 돌기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생리컵이 메인바디부에 수용된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응용에 따라 메인바디부 및 서브바디부에 회전 홈부 및 회전 돌기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선단부'는 메인바디부의 일측이 질입구로 향하는 방향을 지시한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후단부'는 상기 선단부의 반대방향으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을 지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생리컵이 메인바디부에 수용된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10)는 메인바디부(100) 및 서브바디부(2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10)는 여성의 질내부에서 배출되는 분비물을 수용하는 생리컵을 삽입시키는 생리컵 삽입 보조기에 있어서, 일측의 지름이 선단부 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부(101)가 형성되고, 내부에 생리컵(C)의 일측을 접어서 수용하는 관 형상의 메인바디부(100) 및 메인바디부에 삽입되어 직선 왕복 이동하는 관 형상의 서브바디부(200)를 포함하고, 메인바디부(100)의 선단부가 질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서브바디부(200)로 생리컵(C)의 후단부를 밀어냄으로써, 생리컵(C)은 메인바디부(100)의 선단부를 통해 토출되어 텐션작용으로 질내부에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생리컵(C)은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되는 용기형상이며, 선단부에서 후단부 방향으로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생리컵(C)은 경도가 약하게 제작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생리컵(C)의 외주면 일측을 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생리컵(C)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질내부에 삽입 시, 질내부에서 배출되는 분비불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생리컵(C)은 후단부 외주면에 고리가 형성되어 질내부에 위치하는 생리컵(C)의 고리를 잡고 잡아당기면서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생리컵(C)은 후술하는 메인바디부(100)에 수용되도록 일측을 접는 경우, C자형을 이루도록 접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생리컵(C)은 여기 명세서에 도시된 형상이외에,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생리컵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구조에 맞는 생리컵을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메인바디부(100)는 일측의 지름이 선단부 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부(101)가 형성되고, 내부에 생리컵(C)의 일측을 접어서 수용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메인바디부(100)는 메인몸체(110), 메인플랜지(120) 및 스토퍼(130)를 포함한다.
메인몸체(110)는 내부가 관통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메인몸체(110)는 여성의 신체구조에 따라 길이가 다르게 제작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국내 성인여성을 고려하여 9cm 내지 12cm 정도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메인몸체(110)는 선단부 내측에 생리컵(C)의 일측이 접혀진 상태로 수용되어, 메인몸체(110)의 직경만으로 생리컵(C)을 질내부로 삽입시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메인몸체(110)는 전술한 테이퍼부(101)가 선단부에 형성된다.
테이퍼부(101)는 메인몸체(110)가 질내부로 삽입 시, 사용자의 거부감을 줄이고, 질내에서 자궁경부에 근접한 부분까지 천천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메인몸체(110)는 선단부의 재질이 경도 및 강도가 구부러지지 않는 정도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메인몸체(110)의 선단부가 경도 및 강도가 약하게 제조되는 경우, 질내부로 삽입 시 구부러지거나 메인몸체(110)의 선단부 내부에 수용되어 일측이 접힌 생리컵이 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질내부로 삽입을 원활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메인몸체(110)는 수분 흡수가 적어 세균 번식 위험이 낮은 TP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메인몸체(110)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메인플랜지(120)는 메인몸체(110)의 후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사용자가 메인몸체(110)를 잡고 질 내부로 삽입 시, 위생을 고려하여 잡을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
스토퍼(130)는 메인몸체(110)의 후단부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며, 서브바디부(200)의 외주면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정도에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메인몸체(110)는 외주면에 전체길이의 후단부로부터 1/3 지점에 눈금(140)이 표시되어 눈금(140) 질의 외부에 근접하게 위치시킴에 따라, 메인몸체(110)의 선단부가 자궁경부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는 눈금이 1/3 지점에 표시되어 있으나, 외주면 전체 길이를 따라 눈금이 표시 또는 눈금 표시가 없는 상태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서브바디부(200)는 메인바디부(100)에 삽입되어 직선 왕복 이동하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있다. 이를 위해, 서브바디부(200)는 서브몸체(210), 서브플랜지(220) 및 단턱(230)을 포함한다.
서브몸체(210)는 경도 및 강도가 강하게 제작되어, 구부러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서브몸체(210)는 내부가 관통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서브몸체(210)는 메인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며, 메인몸체(1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메인몸체(110) 내부에 수용된 생리컵(C)을 밀어내는 용도로 쓰인다.
서브플랜지(220)는 서브몸체(210)의 후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사용자가 서브몸체(210)를 잡고 메인몸체(110)의 내부로 삽입 시, 위생을 고려하여 잡을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
단턱(230)은 서브몸체(210)의 선단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브몸체(210)는 메인몸체(110)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이동하는 경우, 단턱(230)이 스토퍼(130)에 걸림으로써, 서브몸체(210)가 메인몸체(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생리컵(C)은 메인바디부(100)에 수용되도록 일측을 접는 경우, C자형을 이루도록 접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응용에 따라 메인바디부 및 서브바디부에 회전 홈부 및 회전 돌기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응용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10)는 메인바디부 및 서부바디부에 회전 홈부 및 회전 돌기부를 더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 생략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바디부(100')는 내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는 회전 홈부(110')가 형성된다.
회전 홈부(110')는 후술하는 회전 돌기부(210')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서브바디부(200')가 메인바디부(100')의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서브바디부(200')는 외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홈부(1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회전 돌기부(210')가 형성된다.
즉, 회전 돌기부(210')는 서브바디부(200')가 메인바디부(100')의 내부로 삽입되기 위해, 서브바디부(200')의 후단부에 형성된 서브플랜지(220)를 잡고 돌리면 회전 홈부(110')를 따라 맞물려지면서 서브바디부(200')가 메인바디부(100')의 내측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회전 홈부(110') 및 회전 돌기부(210')는 나선의 간격이 메인바디부(100')의 내측에서 서브바디부(200')가 길이방향을 축으로 한 바퀴 회전하는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바디부(100")는 내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부(110")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홈부(110")는 후술하는 슬라이딩 돌기(210")가 삽입되어 서브바디부(200")가 메인바디부(100")의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서브바디부(200")는 외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홈부(1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돌기(210")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돌기(210")는 서브바디부(200")가 메인바디부(100")의 내측으로 진입시, 슬라이딩 홈부(110")를 통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각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의 생리컵 삽입 보조기를 이용한 삽입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생리컵 삽입 보조기(10)는 메인바디부 및 서브바디부를 세척하는 세척단계(S100), 세척된 메인바디부의 내측 선단부에 생리컵의 일측을 접어서 삽입시키는 배치단계(S200), 메인바디부를 질 내부로 삽입시키는 제1 삽입단계(S300), 메인바디부의 후단부에 서브바디부를 삽입시키는 제2 삽입단계(S400), 서브바디부를 밀어서 생리컵의 후단부를 메인바디부의 선단부로부터 토출시키는 토출단계(S500) 및 메인바디부를 질 내부로부터 배출 분리시키는 분리단계(S600)를 포함한다.
세척단계(S100)는 메인바디부(100, 100') 및 서브바디부(200, 200')를 인체에 무해한 세척제로 제척하여 건조하는 과정을 통해 세척 및 건조를 실행한다.
배치단계(S100)는 생리컵(C)의 외주면 일측을 'C'자 형상으로 접어서 메인바디부(100, 100')의 선단부 내측에 배치시킨다. 이때, 생리컵(C)은 깨끗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며, 질 내부에서 배출되는 분비물이 생리컵(C)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개방된 부분이 메인바디부(100, 100')의 선단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제1 삽입단계(S300)는 메인바디부(100, 100')의 후단부에 형성된 메인플랜지(120)를 잡고 메인바디부(100, 100')의 선단부를 질 내부로 천천히 밀어 넣는다. 이때, 통증이 발생될 수 있으니 무리하게 삽입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삽입단계(S400)는 메인바디부(100, 100')의 후단부에 서브바디부(200, 200')를 삽입시키는 것으로, 서브플랜지(220)를 잡고 천천히 삽입시킨다.
토출단계(S500)는 생리컵(C)을 질내부에 배치시키는 것으로, 메인바디부(100, 100')의 내측에 삽입된 서브바디부(200, 200')를 밀어서 생리컵(C)의 후단부를 밀어낸다. 이때, 서브바디부(200, 200')는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생리컵(C)을 밀면서 형성되는 압축공기는 서브바디부(200, 200')의 내부를 통해 배출된다. 이로 인해, 압축공기에 의한 통증은 최소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생리컵(C)은 서브바디부(200, 200')에 의해 메인바디부(100, 100')로부터 토출되어 텐션작용에 의하여 펼쳐지며 자궁경부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다음, 메인플랜지(120)를 잡고 메인바디부(100, 100')를 질내부 이동시킨다. 이때, 메인바디부(100, 100')의 선단부는 생리컵(C)의 후단부를 자궁경부에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분리단계(S600)는 메인바디부(100, 100')를 질내부로부터 배출시키는 것으로, 메인플랜지(120)를 잡고 천천히 빼내어 질내부로부터 분리시키도록 한다.
다른 실시에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생리컵 삽입 보조기(10')는 메인바디부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 생략될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생리컵이 메인바디부에 수용된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10')는 메인바디부(300) 및 서브바디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리컵 삽입 보조기(10')는 여성의 질내부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수용하는 생리컵(C)을 삽입시키는 생리컵 삽입 보조기에 있어서, 내부에 생리컵(C)의 일측을 접어서 수용하는 관 형상의 메인바디부(300) 및 메인바디부에 삽입되어 직선 왕복 이동하는 관 형상의 서브바디부(400)를 포함하고, 서브바디브(400)는 생리컵(C)의 후단부를 밀어냄으로써, 메인바디부(300)의 선단부를 통해 토출되는 생리컵(C)이 텐션작용으로 질내부에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바디부(300)는 생리컵(C)의 일측을 접어서 수용하는 관 형상으로, 그 직경이 동일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메인바디부(300)는 질내부로 삽입 시 발생되는 통증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선단부에 몰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메인바디부(300)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브바디부(400)는 메인바디부(300)에 삽입되어 직선 왕복 이동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 서브바디부(300)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컵(C)은 메인바디부(300)의 선단부 내부에 수용되기 위해, 일측을 '7'자 형상으로 접는다. 이는, 메인바디부(300)의 내부에서 움직이거나 이탈되지 않는 방식이며, 서브바디부(400)로 생리컵(C)을 미는 경우, 메인바디부(300)의 선단부와 간섭이 최소화되어 질내부로 토출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응용에 따라 메인바디부 및 서브바디부에 회전 홈부 및 회전 돌기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메인바디부(300)는 내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는 회전 홈부(110')가 형성된다.
회전 홈부(110')는 후술하는 회전 돌기부(210')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서브바디부(400)가 메인바디부(300)의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서브바디부(400)는 외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홈부(1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회전 돌기부(210')가 형성된다.
즉, 회전 돌기부(210')는 서브바디부(400)가 메인바디부(300)의 내부로 삽입되기 위해, 서브바디부(400)의 후단부에 형성된 서브플랜지(220)를 잡고 돌리면 회전 홈부(110')를 따라 맞물려지면서 서브바디부(400)가 메인바디부(300)의 내측 선단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비록,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인바디부(300)는 내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서브바디부는 외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홈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10' : 생리컵 삽입 보조기
100, 100', 100", 300 : 메인바디부
101 : 테이퍼부
110 : 메인몸체
110' : 회전 홈부
110" : 슬라이딩 홈부
120 : 메인플랜지
130 : 스토퍼
140 : 눈금
200, 200', 200", 400 : 서브바디부
210, 서브몸체
210' : 회전 돌기부
210" : 슬라이딩 돌기부
220 : 서브플랜지
230 : 단턱

Claims (9)

  1. 여성의 질내부에서 배출되는 분비물을 수용하는 생리컵을 삽입시키는 생리컵 삽입 보조기에 있어서,
    일측의 지름이 선단부 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생리컵의 일측을 접어서 수용하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부가 형성된 메인바디부; 및
    상기 메인바디부에 삽입되어 직선 왕복 이동하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홈부와 대응하여 돌출되는 슬라이딩 돌기부가 형성된 서브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부의 선단부가 질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서브바디부로 상기 생리컵의 후단부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생리컵은 상기 메인바디부의 선단부를 통해 토출되어 텐션작용으로 질내부에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컵 삽입 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부는
    내부가 관통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메인몸체;
    상기 메인몸체의 후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메인플랜지;
    상기 메인몸체의 후단부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몸체는 외주면에 전체길이의 후단부로부터 1/3 지점에 눈금이 표시되어 상기 눈금이 질의 외부에 근접하게 위치시킴에 따라, 상기 메인몸체의 선단부가 자궁경부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컵 삽입 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바디부는
    내부가 관통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서브몸체;
    상기 서브몸체의 후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서브플랜지; 및
    상기 서브몸체의 선단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몸체는 상기 메인몸체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단턱이 상기 스토퍼에 걸림으로써, 상기 서브몸체가 상기 메인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컵 삽입 보조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20170006232U 2017-12-04 2017-12-04 생리컵 삽입 보조기 KR200486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232U KR200486704Y1 (ko) 2017-12-04 2017-12-04 생리컵 삽입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232U KR200486704Y1 (ko) 2017-12-04 2017-12-04 생리컵 삽입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704Y1 true KR200486704Y1 (ko) 2018-07-20

Family

ID=6304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232U KR200486704Y1 (ko) 2017-12-04 2017-12-04 생리컵 삽입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7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431B1 (ko) 2018-12-21 2020-03-02 양태양 형상 복원 부재를 이용한 생리컵
KR20210042630A (ko) * 2019-10-10 2021-04-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리컵과 생리컵 삽입 어플리케이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9549A (en) * 1975-06-17 1976-12-28 Poncy Richard P Catamenial tampon having fluid transmissive and resilient outer sheath
US4891042A (en) * 1988-05-06 1990-01-02 Playtex Family Products, Inc. Portable tampon applicator
WO2005004775A1 (en) * 2003-07-02 2005-01-20 Birchbob International Sa Applicator for objects such as tampons
US20050245938A1 (en) * 2004-04-28 2005-11-03 Kochan Jeffrey P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ally invasive repair of intervertebral discs and articular joints
EP1704841A1 (en) * 2005-03-25 2006-09-27 Georgia-Pacific France A tampon applicator assembly
KR100973524B1 (ko) 2009-07-27 2010-08-02 (주)그린실리콘 삽입형 생리 컵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9549A (en) * 1975-06-17 1976-12-28 Poncy Richard P Catamenial tampon having fluid transmissive and resilient outer sheath
US4891042A (en) * 1988-05-06 1990-01-02 Playtex Family Products, Inc. Portable tampon applicator
WO2005004775A1 (en) * 2003-07-02 2005-01-20 Birchbob International Sa Applicator for objects such as tampons
US20050245938A1 (en) * 2004-04-28 2005-11-03 Kochan Jeffrey P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ally invasive repair of intervertebral discs and articular joints
EP1704841A1 (en) * 2005-03-25 2006-09-27 Georgia-Pacific France A tampon applicator assembly
EP1704841B1 (en) * 2005-03-25 2008-09-17 Georgia-Pacific France A tampon applicator assembly
KR100973524B1 (ko) 2009-07-27 2010-08-02 (주)그린실리콘 삽입형 생리 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431B1 (ko) 2018-12-21 2020-03-02 양태양 형상 복원 부재를 이용한 생리컵
KR20210042630A (ko) * 2019-10-10 2021-04-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리컵과 생리컵 삽입 어플리케이터
KR102331755B1 (ko) * 2019-10-10 2021-11-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리컵과 생리컵 삽입 어플리케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524B1 (ko) 삽입형 생리 컵
US6168609B1 (en) Catamenial collector and methods of use
US8795248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nstrual blood collection
CA2147779C (en) Tampon applicator having an improved pleated tip
EP0504301B1 (en) Method of collecting vaginal discharge
CA1277884C (en) Collection of human body discharge
US7211061B1 (en) Vaginal cleansing swab
JP5037499B2 (ja) 生理用品
US11382788B2 (en) Female urination aid
EP3773369B1 (en) Intravaginal device
KR200486704Y1 (ko) 생리컵 삽입 보조기
CA2143083A1 (en) Tampon applicator having a semi-spherically shaped pleated tip
CN114650798A (zh) 月经杯
JP7061782B2 (ja) 生理用具
MXPA06006618A (es) Producto sanitario.
JP5216817B2 (ja) 生理用品
WO2002038089A1 (en) An apparatus for aiding a woman in urinating in a standing position
US3298369A (en) Menstrual device
KR102321799B1 (ko) 생리컵 키트
KR102467620B1 (ko) 생리처리장치
KR102277994B1 (ko) 생리컵 키트
KR101561497B1 (ko) 노약자용 건강 기저귀
US20220280140A1 (en) Personal hygiene swabs
WO2002080827A1 (en) Menstrual fluid collection device
JP2023528318A (ja) 挿入物用の配備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