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620B1 - 생리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생리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620B1
KR102467620B1 KR1020220051831A KR20220051831A KR102467620B1 KR 102467620 B1 KR102467620 B1 KR 102467620B1 KR 1020220051831 A KR1020220051831 A KR 1020220051831A KR 20220051831 A KR20220051831 A KR 20220051831A KR 102467620 B1 KR102467620 B1 KR 102467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strual blood
menstrual
unit
treatment device
bloo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래
조현일
조현우
Original Assignee
조영래
조현일
조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래, 조현일, 조현우 filed Critical 조영래
Priority to KR1020220051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620B1/ko
Priority to PCT/KR2023/004522 priority patent/WO20232109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 A61F5/45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placed in the vagina, e.g. for catameni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with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2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irrigation ports 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Abstract

본원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링부;
상기 링부로부터 꼬깔모양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된 생리혈유도부;
상기 생리혈유도부로부터 원통형으로 구성된 생리혈저장부;
상기 생리혈저장부의 단부에는 마개부를 구성하여 상기 마개부를 여닫을 수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리처리장치{Menstrual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생리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성의 질 내부와 외부에서 안전하게 생리를 처리할 수 있는 생리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2349991(2022.01.10)로써 도 15에서 나타낸 것처럼, 생리컵은 본체(10) 및 손잡이부(20)를 포함하고, 손잡이부(20)는 본체(10)의 타단에 부착된다.
본체(10)는 일단에 구비된 개구부(11), 내측으로는 공간을 제공하고 타단으로 진행하면서 좁아지는 공간부 및 타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외면부를 포함한다.
또한, 개구부(11)에는 림(14)이 부착되며, 외면부에는 타공홀(15) 및 제1 원형 돌기부(16a) 내지 제3원형 돌기부(16c)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5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체(10)는 개구부(11)로부터 타단으로 진행하면서 좁아지는 공간부와 외경이 감소하는 외면부를 통해 종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의 형태는 질 내부에서 발생하는 생리혈을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종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20)는 복수의 돌출부(21, 22, …, 25)를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돌출부(21, 22, …,25) 사이의 이격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먼저, 림(14)은 질 내벽에 부착되어 생리컵이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생리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타공홀(15)은 림(14)의 직경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제1홀 및 타 측에 형성된 제2홀을 포함한다.
제1 원형 돌기부(16a)는 제2 원형돌기부(16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제2 원형 돌기부(16b)는 제3 원형 돌기부(16c)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원형 돌기부(16a)와 제2 원형돌기부(16b)의 간격이 제2 원형 돌기부(16b)와 제3 원형 돌기부(16c)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20)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결된 고리 형상이거나, 복수의 돌출부(21, 22, …, 25)를 포함하는 일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21, 22, 23)의 간격은 손잡이부(20)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때, 복수의 돌출부(21, 22, 23)는 사용자가 생리컵을 탈착할 경우에 사용자의 손과 마찰되는 지점을 증가시켜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2321799 (2021.11.03) 호의 기술은 배경기술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면16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경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 생리컵 부재(30)는, 상기 장착 어플리케이터 수단(40)과 긴밀하고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여성의 질 내부에 장착 시 질 내벽을 가압하면서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동시에 생리혈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리컵 부재(30)는, 입구 링부, 주머니부 (Pocket portion), 및 스트링부(String portion)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입구 링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링 형태를 가진다.
상기 입구 링부는, 탄성적으로 확장되어 소정 크기의 링 형태로 확장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면, 의료용 실리콘이나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며 하기에서 설명될 특징을 갖는 재질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입구 링부는,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형의 링 형태(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입구 링부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 폭을 링 중심 쪽으로 가압하여 도면에서와 같이 길게 변형시킬 수 있게 되고 해당 형태를 유지한 채 상기 장착 어플리케이터 수단(40)에 삽입 장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구 링부는, 여성의 질 내부에서 상기 장착 어플리케이터 수단(40)으로부터 분리된 후 탄성적으로 확장되어 자궁경부의 입구 측에서 질 벽을 가압하면서 질 벽에 밀착 접촉된다.
이 때, 상기 입구 링부는, 자궁경부의 입구 측의 질 벽 형태에 대응하여 확장될 수 있도록 두께(T)를 부분적으로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구 링부는, 상기 생리컵 부재(30)가
여성의 질 내부에 삽입 장착되었을 때 자궁경부 입구 측의 두께(T)를 크게 형성하여 자궁경부 입구에서 질 벽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함과 동시에, 그 반대 측(외음부 측)의 두께(T)를 자궁경부 입구 측의 두께(T)보다 작게 형성하여 생리컵의 제거를 원활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주머니부(Pocket portion)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입구 링부로 유입되는 생리혈을 수용하도록 상기 입구 링부의 링 내부를 밀봉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주머니부는, 매우 얇은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주머니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Thermo Plastic Elastomer) 또는 라텍스(latex)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며 신축성 있는 얇은 두께로 제조될 수 있는 재질이라면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주머니부는, 종래의 생리컵과 달리 주머니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마구잡이로 구겨질 수 있게 형성되므로, 상기 장착 어플리케이터 수단(40)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링부(String portion)는, 상기 입구 링부에서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스트링부는, 상기 생리컵 부재(30)가 여성의 질 내부에 삽입 장착되었을 때, 그 단부가 외음부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생리컵 부재(30)를 사용 후 제거할 때 손가락을 질 내부로 넣지 않고 상기 스트링부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생리컵 부재(30)를 외부로 꺼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트링부는, 일 단부가 상기 입구 링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 단부는 자유단부가 되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인체에 무해한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링부는, 상기 타 단부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그립부(Grip portion)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트링부는, 사용자로 하여금 걸리적거리는 착용 불편감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생리컵 부재(30)가 여성의 질 내부에 삽입 장착되었을 때 외음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타 단부 측으로 갈수록 얇게 또는 가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 어플리케이터 수단(40)은, 상기 생리컵 부재(30)를 수용한 상태에서 여성의 질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생리컵 부재(30)를 밀어 분리시키면서 여성의 질 내부에 장착시키고 제거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 어플리케이터 수단(40)은, 어플리케이터 하우징(41), 및 어플리케이터 슬라이딩부재(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 어플리케이터 수단(40)은, 스토퍼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어플리케이터 하우징(41)은, 속이 빈 통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터 하우징(41)은, 개략 원형 링 또는 타원형 링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터 하우징(41)은, 일 단부에 수축 변형된 상기 생리컵 부재(30)가 장착되고, 타 단부에 상기 어플리케이터 슬라이딩 부재(43)가 끼워져 여성의 질 내부로 삽입되는 부재이다.
이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터 하우징(41)은, 상기 일 단부가 여성의 질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수록 끝단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타 단부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슬라이딩 부재(43)가 쉽게 끼워지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 하우징(41)은, 여성의 질 내부로 삽입 시 질 벽의 상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외면이 라운드지게 형성한다.
그러나 여전히 여성의 질내부는 축소되어있어서 좁은 질내부에서도 생리컵은 일정한 강도를 가지고 있어야만 형상을 갖추고 있어 생리혈을 저장할 공간이 있으므로 손잡이를 제외한 생리컵의 탄성이 있어야만 하므로 매우 불쾌한 기분을 느끼게 된다.
본원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897208(2018.10.29)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848206(2018.05.24)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2321799(2021.11.03)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2349991(2022.01.10)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첫번 째 과제는 생리처리장치를 몸밖으로 빼내고자 할 경우에 생리처리장치가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생리혈이 주변에 비산할 염려에 대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두번 째 과제는 생리처리장치는 여성의 질내부에서도 일정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이물감의 불쾌한 감정에 대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세번 째 과제는 생리처리장치를 여성의 질내부로 삽입할 경우에 일정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생리처리장치 전체를 삽입하는데 따른 어려움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네번 째 과제는 생리기간 중에 질내부에 설치한 생리처리장치를 생리가 시작되기 전에 삽입한 후에 종료된 후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생리기간 중에 반복하여 삽입과 제거를 반복하는 불편함의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섯번 째 과제는 생리처리시 생리혈저장부에 흡수부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외부처리부를 이용하여 생리혈을 처리할 때에는 흡수부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이물감을 더욱 방지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여섯번 째 과제는 생리혈이 외부처리부로 흘러 나올 수 있도록 구성하면 생리하는 동안 특히 밤을 지내는 동안에도 패드 등의 부피가 큰 용품을 사용하지 않을 수있어 환경오염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곱번째 과제는 생리처리장치를 별도의 장착어플리케이터 없이도 용이하게 질내부로 삽입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링부;
상기 링부로부터 꼬깔모양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된 생리혈유도부;
상기 생리혈유도부로부터 원통형으로 구성된 생리혈저장부;
상기 링부는 개방되고 상기 생리혈저장부의 단부에는 폐쇄되도록 하며, 손잡이부를 가진 생리처리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생리혈유도부 및 상기 생리혈저장부는 부드러운 실리콘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생리혈유도부와 인접하는 상기 생리혈저장부 부분의 직경보다 상기 손잡이부 인접부의 상기 생리혈저장부의 직경을 더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생리혈유도부와 인접하는 상기 생리혈저장부 부분의 직경보다 상기 손잡이부 인접부의 상기 생리혈저장부의 직경을 더 작게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는 막대형 또는 고리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생리혈저장부에 삽입하는 탈착가능한 흡수부를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링부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하기와 같이 구성한다.
링부;
상기 링부로부터 원통형으로 구성된 제1생리혈저장부;
상기 링부는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생리혈저장부의 단부에는 마개부를 구성하여 상기 마개부를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생리처리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생리혈저장부는 상기 링부로부터 꼬깔모양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된 생리혈유도부와
상기 생리혈유도부로부터 원통형으로 구성된 생리혈저장부에서 생리혈저장부의 상부 즉 링부위측은 탄성강도를 더 있게 하고 마개부 쪽으로는 아주 부드러운 재질의 실리콘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생리혈유도부 및 상기 마개부는 상기 생리혈저장부보다 탄성강도가 더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생리혈저장부에 삽입하는 탈착가능한 흡수부를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링부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개부를 열고 상기 제1생리혈저장부에 흡수부를 넣거나 뺄 수 있도록 하여 생리기간 중에 반복하여 상기 흡수부를 교환할 수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개부에 봉지형태의 외부처리부를 연결하여 생리혈이 상기 외부처리부로 흘러 나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부처리부에 교체가능한 흡수부를 사용하여 생리혈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첫번 째 효과는 생리처리장치를 몸밖으로 빼내고자 할 경우에 생리처리장치는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생리혈이 주변에 비산할 염려가 없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두번 째 효과는 생리처리장치는 여성의 질내부에서도 일정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이것으로 인한 이물감의 불쾌한 감정을 해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세번 째 효과는 생리처리장치를 여성의 질내부로 삽입할 경우에 매우용이하고 불편함을 해결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네번 째 효과는 생리기간 중에 질내부에 설치하는 생리처리장치를 생리가 시작되기 전에 삽입하고 생리가 종료된 후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생리기간중에 삽입과 제거를 반복하는 불편함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생리처리장치의 삽입과 제거의 주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다섯 번째 효과는 생리처리시 생리혈저장부에 흡수부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처리부를 이용하여 생리혈을 외부에서 처리할 때에는 흡수부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이물감을 더욱 방지할 수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여섯 번째 효과는 생리혈이 용량이 큰 외부처리부로 흘러 나올 수 있도록 구성하면 생리기간 중 특히 밤을 지내는 동안에도 패드 등의 부피가 큰 용품을 사용하지 않을 수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일곱번째 효과는 외부처리부 형태의 속옷을 착용하여도 불편함이 없는 형태로 흡수부를 구성하고 또한 흡수부를 필요할 때마다 교체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여덟번째 효과는 생리처리장치를 별도의 장착어플리케이터 없이도 용이하게 질내부로 삽입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1 및 도4는 생리처리장치의 외형을 보이는 도이다.
도2 및 도5는 생리처리장치의 내부에 흡수부를 삽입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3 및 도6은 생리처리장치를 여성의 질내부로 삽입하기 위하여 링부를 일자로 접은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7은 흡수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8은 생리처리장치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도9는 생리혈저장부의 구성을 보이는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10은 생리혈저장부의 구성을 보이는 도로써 도8과는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11 내지 도14b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이다.
도15 및 도16은 배경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면1 내지 도면 10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링부(110)를 구성한다.
상기 링부(110)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자궁의 입구부분에서 펼쳐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링부(110)로부터 꼬깔모양으로 좁아지도록 생리혈유도부(120)를 구성한다.
생리혈유도부(120)는 형상을 유지할 정도의 탄성을 가진 꼬깔모양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되어있고 자궁입구의 후방에는 인체적으로 약간의 공간부가 있어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은 꼬깔모양으로 좁아짐으로 생리처리장치(100)를 여성의 질 내부로 삽입하여도 불쾌감을 갖지 않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생리혈유도부(120)로부터 부드러운 재질의 실리콘으로 구성된 원통형의로 생리혈저장부(130)를 가진다.
상기 생리혈저장부(130)의 단부에는 손잡이부(140)를 부착한 생리처리장치(100)를 구성한다.
상기 생리혈저장부(130)에 삽입하는 탈착가능한 흡수부(200)를 더 구성한다.
이럴경우에 생리혈저장부(130)의 구성은 매우 얇고 탄성이 좋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 평상시에 좁아져 있는 여성의 질내부에 삽입된 생리처리장치의 생리혈저장부(130)와의 접촉되는 여성의 질부분은 매우 친화적이고 최대한도로 이물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생리혈유도부(120) 및 상기 생리혈저장부(130)는 매우 부드러운 실리콘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인체친화적인 물질은 어느 것이나 상관없는 것이다.
배경기술에서는 별도로 생리혈을 보관하기 위하여 실리콘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상당한 경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런 경우에는 상당한 경도를 가지고 있는 생리처리장치는 좁은 질내부에 삽입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질내부로 생리처리장치를 삽입하기 위하여는 장착 어플리케이터 수단이 별도로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생리혈저장부(130)를 현저하게 얇거나 부드러움이 있도록 구성하여 질내부로 삽입이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한 것이다.
생리혈저장부(13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한 흡수부(200)는 질내부로 삽입하는데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한 것이다.
생리혈저장부(130)의 외부 즉 질내부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매우 부드러운 재질의 실리콘이나 인체에 무해한 재질의 일라스터머 등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도3 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이 있어야 하는 부분은 링부(110)만 구성하면 되는 것이어서 질내부로 생리처리장치(100)를 삽입할 때에도 매우 부드럽게 일자형상으로 삽입이 되고 흡수부(200)로 인하여 형상이 유지되는 생리혈저장부(130)로 인하여 링부(110)를 먼저 질내부로 삽입하고 링부(110)를 질내부로 삽입한 후에는 손잡이부(140,150) 또는 흡수부(200)를 장착한 생리혈저장부(130)를 잡고 질내부의 자궁입구 쪽으로 생리처리장치(100)를 밀어넣어 링부(110)를 자궁입구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탄성이 있는 생리처리장치(100)이어도 흡수부(200)에서 이미 생리혈이 흡수된 상태로 구성되어 생리처리장치(100)를 질내부로부터 이격시켜도 생리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흡수부(200)를 이격시켜서 버리는 것으로 환경친화적인 것이다.
흡수부(200)는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구성한다.
도면9와 도면10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생리혈유도부(120)와 인접하는 상기 생리혈저장부(130) 부분의 직경보다 상기 손잡이부 인접부의 상기 생리혈저장부(130)의 직경은 인체의 질부위의 형태에 따라서 크게 혹은 작게하여 이에 맞게 흡수부(200)의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황에 따라서 생리혈흡수부의 크기조절이 가능할 수 있거나 삽입시 이물감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흡수부(200)는 형상을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억지끼움맞춤으로 구성하여 삽입할 때와 이탈시킬 때에 약간의 힘이 가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면 1 내지 3은 상기 손잡이부(140)를 막대형으로 구성한 것이다.
도4 내지 도6은 상기 손잡이부(150)를 고리형상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11 내지 도14b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1에서 인체의 구조 및 이에 삽입되는 생리처리장치(100)를 보이는 도이다.
여성의 자궁내부에 해당하는 자궁강(440)과 연결되어있는 난소(450) 및 나팔관(460)이 도시되어있다.
여성의 자궁강(440)의 입구에 해당하는 자궁입구(410)와 자궁입구(410)와 인접한 질내벽(420)사이에는 공간부가 있어 생리처리장치(100)가 삽입되어 안착할 수 있는 것이다.
자궁입구(410)의 후방부위가 해부학적으로 넓게 구성되어있어서 링부(110)가 자궁입구(410)부위를 잡아주게 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생리처리장치(100)는 사용자의 손으로 링부(110)를 일자형으로 만들어 질입구(430)에서 삽입되기 시작하여 질내벽(420)을 거쳐 자궁입구(410)의 방향으로 삽입한다.
자궁입구(410)에 도달한 생리처리장치(100)는 자궁입구의 공간부에서 일자형으로 삽입된 링부가 탄성에 의하여 생리처리장치(100)의 입구의 중앙부위에 자궁입구(410)가 안착되도록 펼쳐지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어 생리처리장치(100)의 입구가 자궁입구(410)를 완전하게 감싸게 되어 자궁입구(410)로 부터 흘러나오는 생리혈을 온전하게 생리처리장치(100)가 받아낼 수 있는 것이다.
흡수부(200)에 흡수부끈(215)이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생리혈저장부에 삽입된 흡수부를 이탈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12는 생리처리장치(100)의 마개부(160)로부터 흡수부(200)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흡수부(200)를 삽입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13은 생리처리장치(100)의 마개부(160)에 외부처리부(300)를 연결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14a는 생리처리장치(100)의 링부(110)를 제외한 부분은 경도가 낮은 부드러운 실리콘을 사용하여 착용시 부담감을 줄이도록 구성한 것이다.
균질의 제1생리혈저장부(170)를 보이는 도이다.
도14b는 생리처리장치(100)의 생리혈유도부(120)에 생리혈저장부(130)보다 경도가 높은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생리혈유도부(120)도 생리혈저장부(130)로 기능을 하는 것이다.
경도가 있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인하여 꼬깔모양으로 구성된 생리혈유도부(120)로 인하여 자궁입구(410)에서 링부(110)가 보다 잘 안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링부(110)로부터 꼬깔모양으로 좁아지도록 생리혈유도부(120)를 구성한다.
상기 생리혈유도부(120)로부터 원통형으로 생리혈저장부(130)를 구성한다.
상기 생리혈저장부(130)의 단부에는 마개부(160)를 구성하여 마개부(160)를 여닫을 수있도록 생리처리장치(100)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생리혈유도부(120) 및 상기 마개부(160)는 상기 생리혈저장부(130)보다 탄성강도가 더 있도록 구성하여 마개부(160)를 용이하게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생리혈유도부(120)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링부(110)와 마개부(160)를 제외한 생리처리장치(100)의 모든 부위를 경도를 낮추어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착용자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생리혈저장부(170)로 구성하였다.
제1생리혈저장부(170)는 생리혈유도부(120)와 생리혈저장부(130)의 형태로 구성하여도 되고 단순히 제1생리혈저장부(170)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제1생리혈저장부(170)의 단어는 생리혈유도부(120)와 생리혈저장부(130)보다 상위적 개념의 단어이다.
상기 생리혈저장부(130) 또는 제1생리혈저장부(170)에 삽입하는 탈착가능한 흡수부(200)를 더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링부(110)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하되,링부(110)에서 연결되는 생리혈유도부(120)는 약간의 탄성강도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탄성강도가 없는 것도 무방하다.
도면14a는 링부(110)와 마개부(160)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 경도가 낮은 부드러운 실리콘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상기 마개부(160)를 열고 상기 생리혈저장부(130)에 흡수부(200)를 넣거나 뺄 수 있도록 하여 생리처리장치를 그대로 두고 생리기간 중에 반복하여 상기 흡수부(200)를 마개부(160)를 통하여 교환할 수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편리한 장점이 있다.
흡수부(200)없이 생리처리장치(100)에 구성된 생리혈저장부(130) 또는 제1생리혈저장부(170)에서 생리혈을 처리할 수도 있다.
생리혈저장부(130), 제1생리혈저장부(170)는 실리콘 재질이어도 경도가 낮은(부드러운)재질을 사용하여 인체에 거부감이 없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시로 흡수부(200)의 교체가 가능하다. 생리기간 동안에 질내벽(420)에 설치한 생리처리장치(100)를 생리가 종료된 후에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생리기간 중에 질내부에 설치한 생리처리장치(100)를 생리가 시작되기 전에 삽입한 후에 생리가 종료된 후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생리기간 중에 반복하여 삽입과 제거를 반복하는 불편함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생리처리시 생리혈저장부(130) 또는 제1생리혈저장부(170)에 흡수부(200)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처리부(300)를 이용하여 생리혈을 처리할 때에는 흡수부(200)가 생리혈저장부에 삽입되지 않음으로 질내부를 통과하는 생리처리장치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이물감을 더욱 방지할 수있는 것이다.
질내벽(420)에 접촉하는 생리처리장치(100)의 외부면에 항염증성 질내 감염방지물을 코팅처리하면 장시간 삽입된 상태에서도 질내벽에 염증을 방지할 수있는 것이다.
실리콘은 인체에 무해한 것이어서 실리콘의 재질만으로도 족할 수있다.
생리처리장치(100)는 링부(110), 생리혈유도부(120),생리혈저장부(130) 및 마개부 (160)모두 실리콘으로 구성하되 실리콘의 경도를 서로 다른 것으로 상이하 게 하여 사용시에 이물감으로 인한 거부감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리혈유도부(120)와 생리혈저장부(130)의 구분없이 실리콘의 경도를 낮게 구성하여 매우부드러운 구성인 제1생리혈저장부(170)을 통하여 흡수부(200)의 삽입에도 불구하고 이물감을 더욱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마개부(160)를 열고 용량이 충분한 외부처리부(300)를 연결하여 생리혈이 외부처리부(300)로 흘러 나올 수 있도록 구성하면 생리하는 동안 특히 밤을 지내는 동안에도 흡수부(210)의 교체 또는 대형패드 등을 사용하지 않을 수있어 불편감의 해소와 과도한 폐기물의 배출을 하지 않을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생리양이 많지 않으면 흡수부를 사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편안하지만 양이 많으면 생리혈을 외부처리부에 모아서 버리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흡수부(200,210)는 외부처리부(300),제1생리혈저장부(170) 및 생리혈저장부(130)의 형상에 맞추어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부처리부(300)의 내부에 흡수부(210)를 교체 삽입한다면 생리혈의 양이 많아도 외부로 누설없이 안전하게 생리혈을 처리할 수 있다.
만약 교체할 흡수부가 부족할 경우에는 외부처리부에서 흡수부 없이 생리혈을 처리하거나 외부처리부를 탈착한 후 마개부에서 바로 생리혈을 처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외부처리부(300)은 질외부의 해부형태를 참고하여 평평하게 구성하여 속옷 등의 착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생리처리장치 110:링부 120:생리혈유도부 130:생리혈저장부
140,150:손잡이부 160:마개부 170:제1생리혈저장부 200,210:흡수부
215:흡수부끈
300:외부처리부 410:자궁입구 420:질내벽 430:질입구 440: 자궁강
450:난소 460:나팔관

Claims (16)

  1. 링부와
    상기 링부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링부로부터 꼬깔모양으로 좁아지도록 생리혈유도부를 구성하되,
    자궁입구의 후방에는 인체적으로 공간부가 있어 탄성을 가진 상기 생리혈유도부는 꼬깔모양의 구성으로 인하여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생리혈유도부로부터 원통형으로 생리혈저장부를 구성하되,
    상기 생리혈저장부의 구성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함으로 평상시에 좁아져 있는 여성의 질내부에서 상기 생리혈저장부와의 접촉되는 여성의 질부분은 이물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링부는 개방되고 상기 생리혈저장부의 단부에는 폐쇄되도록 하며, 손잡이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혈유도부와 인접하는 상기 생리혈저장부 부분의 직경보다 상기 손잡이부 인접부의 상기 생리혈저장부의 직경을 더 크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혈유도부와 인접하는 상기 생리혈저장부 부분의 직경보다 상기 손잡이부 인접부의 상기 생리혈저장부의 직경을 더 작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막대형 또는 고리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혈저장부에 삽입하는 탈착가능한 흡수부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처리장치.
  7. 삭제
  8. 삭제
  9. 링부와
    상기 링부로부터 원통형으로 구성된 제1생리혈저장부와
    상기 제1생리혈저장부는 상기 링부로부터 꼬깔모양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된 생리혈유도부와
    상기 생리혈유도부로부터 원통형으로 구성된 생리혈저장부로 구분하여 구성하되,
    상기 생리혈유도부는 탄성을 가진 꼬깔모양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되어있고,
    꼬깔모양으로 좁아짐으로 여성의 질 내부로 삽입하여도 불쾌감을 갖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며,
    상기 링부는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생리혈저장부의 단부에는 마개부를 구성하여 상기 마개부를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생리기간 중에 질내부에 삽입하되, 생리가 시작되기 전에 삽입하여 생리가 종료된 후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생리기간 중에 반복하여 삽입과 제거를 반복하는 불편함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혈유도부 및 상기 마개부는 상기 생리혈저장부보다 탄성강도가 더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생리혈저장부의 부드러운 재질로 인하여 사용자의 거부감을 줄일 수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처리장치.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혈저장부에 삽입하는 탈착가능한 흡수부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처리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처리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를 열고 상기 생리혈저장부에 흡수부를 넣거나 뺄 수 있도록 하여 생리기간 중에 반복하여 상기 흡수부를 교환할 수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처리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에 봉지형태의 외부처리부를 연결하여 생리혈이 상기 외부처리부로 흘러 나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생리혈을 외부에서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마개부를 열고 용량이 충분한 상기 외부처리부를 연결하여 생리혈이 상기 외부처리부로 흘러 나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생리하는 밤을 지내는 동안에도 흡수부의 교체 또는 대형패드 등을 사용하지 않을 수있어 불편감의 해소와 과도한 폐기물의 배출을 하지 않을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처리부에 교체가능한 생리혈 흡수부를 이용하여 생리혈을 처리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외부처리부의 내부에 상기 생리혈 흡수부를 교체 삽입하면 생리혈의 양이 많아도 외부로 누설없이 안전하게 생리혈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처리장치.
KR1020220051831A 2022-04-27 2022-04-27 생리처리장치 KR102467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831A KR102467620B1 (ko) 2022-04-27 2022-04-27 생리처리장치
PCT/KR2023/004522 WO2023210996A1 (ko) 2022-04-27 2023-04-04 생리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831A KR102467620B1 (ko) 2022-04-27 2022-04-27 생리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620B1 true KR102467620B1 (ko) 2022-11-17

Family

ID=8423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831A KR102467620B1 (ko) 2022-04-27 2022-04-27 생리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7620B1 (ko)
WO (1) WO20232109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0996A1 (ko) * 2022-04-27 2023-11-02 조영래 생리처리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34555A (en) * 1925-02-16 1927-07-05 William S Peloubet Catamenial sack and womb support
JPH09108261A (ja) * 1995-10-17 1997-04-28 Oji Paper Co Ltd 衛生生理用品
US5827248A (en) * 1993-11-18 1998-10-27 The Keeper Co., Inc. Menstrual cup
KR101848206B1 (ko) 2017-06-29 2018-05-2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위생적인 착용과 혈처리가 가능한 생리컵 세트
KR101897208B1 (ko) 2017-08-04 2018-10-29 홍석준 밸브 생리컵
KR101915316B1 (ko) * 2017-10-24 2018-11-06 박노돈 삽입형 생리 컵
KR20190105743A (ko) * 2018-03-06 2019-09-18 박미려 생리혈 수집장치
KR102321799B1 (ko) 2019-07-31 2021-11-03 임지원 생리컵 키트
KR102349991B1 (ko) 2021-06-29 2022-01-10 황문택 생리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677A (ko) * 2004-12-06 2006-06-12 김봄 삽입 생리 용품
KR102467620B1 (ko) * 2022-04-27 2022-11-17 조영래 생리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34555A (en) * 1925-02-16 1927-07-05 William S Peloubet Catamenial sack and womb support
US5827248A (en) * 1993-11-18 1998-10-27 The Keeper Co., Inc. Menstrual cup
JPH09108261A (ja) * 1995-10-17 1997-04-28 Oji Paper Co Ltd 衛生生理用品
KR101848206B1 (ko) 2017-06-29 2018-05-2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위생적인 착용과 혈처리가 가능한 생리컵 세트
KR101897208B1 (ko) 2017-08-04 2018-10-29 홍석준 밸브 생리컵
KR101915316B1 (ko) * 2017-10-24 2018-11-06 박노돈 삽입형 생리 컵
KR20190105743A (ko) * 2018-03-06 2019-09-18 박미려 생리혈 수집장치
KR102321799B1 (ko) 2019-07-31 2021-11-03 임지원 생리컵 키트
KR102349991B1 (ko) 2021-06-29 2022-01-10 황문택 생리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0996A1 (ko) * 2022-04-27 2023-11-02 조영래 생리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0996A1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7310B1 (ja) 月経用カップ
CA2201791C (en) Feminine hygiene device
US9387133B2 (en) Sanitary product for a human vagina
US6063064A (en) Incontinence appliance
US11382788B2 (en) Female urination aid
WO2022071676A1 (ko) 생리혈 저장 및 배출 가능한 반영구 생리대
EP2459118B1 (en) Urinary incontinence device
KR20160109503A (ko) 삽입형 생리 컵
WO1991008779A2 (en) Feminine hygiene device
JP2012110742A (ja) 生理用品
KR102467620B1 (ko) 생리처리장치
US5562599A (en) Urethral damming device
JP5216817B2 (ja) 生理用品
US2915065A (en) Surgical device
KR200486704Y1 (ko) 생리컵 삽입 보조기
KR102321799B1 (ko) 생리컵 키트
KR102277994B1 (ko) 생리컵 키트
KR101968423B1 (ko) 흡수체를 포함하는 생리 컵
KR102268427B1 (ko) 삽입 및 제거가 용이한 밀봉형 생리컵
KR101561497B1 (ko) 노약자용 건강 기저귀
KR102083431B1 (ko) 형상 복원 부재를 이용한 생리컵
WO2021248130A1 (en) Menstrual disc with release mechanism
US6149635A (en) Incontinence appliance
KR102073381B1 (ko) 생리 마개
US20230285180A1 (en) Anatomical menstrual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