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554A - 누설 전류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 Google Patents

누설 전류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554A
KR20190056554A KR1020170153619A KR20170153619A KR20190056554A KR 20190056554 A KR20190056554 A KR 20190056554A KR 1020170153619 A KR1020170153619 A KR 1020170153619A KR 20170153619 A KR20170153619 A KR 20170153619A KR 20190056554 A KR20190056554 A KR 20190056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node
battery
vehicl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4362B1 (ko
Inventor
이재원
이명석
우동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3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362B1/ko
Priority to US16/046,303 priority patent/US10960767B2/en
Publication of KR20190056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4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 Y02T10/70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누설 전류 제거 장치는, 차량의 차체 접지에 연결된 제1노드 및 외부 전원의 제2접지에 연결된 제2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누설 감지 저항, 및 상기 제1 및 제2노드 사이에 상기 누설 감지 저항과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노드 사이의 전위차를 해소하는 전압 플로워(voltage flower)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설 전류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LEAKAGE CURRENT CANCELLATION APPARATUS AND VEHICLE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누설 전류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CO2 규제 등 환경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친환경 차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회사들은 하이브리드(Hybrid) 차량이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lug-in Hybrid) 차량뿐만 아니라, 순수 전기 차량 또는 수소 차량에 대해 연구 및 제품 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친환경 차량에는 다양한 에너지원으로부터 얻어지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이를 차량의 구동력으로 제공하기 위해 고전압 배터리가 적용된다. 차량에 적용되는 고전압 배터리는 차량에 장착된 상태로 차량 탑재형 충전기(On Board Charger, OBC)를 통해 충전이 진행된다.
통상적으로, OBC는 내부에 절연 변압기를 탑재하여 차량과 충전용 AC 전원을 분리한다. 절연 변압기를 이용한 차량과 AC 전원 간의 분리는 누설 전류의 발생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충전 동작을 가능하게 하나, 절연 변압기의 추가로 인해 OBC의 사이즈, 무게 및 단가 상승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량 내 탑재되는 배터리의 충전 시 누설 전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누설 전류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설 전류 제거 장치는, 차량의 차체 접지에 연결된 제1노드 및 외부 전원의 제2접지에 연결된 제2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누설 감지 저항, 및 상기 제1 및 제2노드 사이에 상기 누설 감지 저항과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노드 사이의 전위차를 해소하는 전압 플로워(voltage flow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설 전류 제거 장치는, 상기 제2노드의 전위를 기준 전위로 하는 전원을 상기 전압 플로워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는 절연 전원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플로워는, 상기 제1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단자, 상기 제2노드에 연결되는 비반전 입력 단자, 및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반전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오피앰프(OP-AM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차량의 제1배터리와 외부 전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압을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 장치, 상기 차량의 차체 접지에 연결된 제1노드 및 상기 외부 전원의 제2접지에 연결된 제2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누설 감지 저항, 및 상기 제1 및 제2노드 사이에 상기 누설 감지 저항과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노드 사이의 전위차를 해소하는 전압 플로워(voltage flow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시스템은, 제2배터리, 및 상기 제2배터리로부터, 상기 제2노드의 전위를 기준 전위로 하는 절연 전원을 공급하는 절연 전원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연 전원은 상기 전압 플로워의 동작 전원일 수 있다.
상기 차량 시스템에서, 상기 전압 플로워는, 상기 제1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단자, 상기 제2노드에 연결되는 비반전 입력 단자, 및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반전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오피앰프(OP-A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배터리의 양극 단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차체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시스템은, 상기 전력 변환 장치의 출력 단자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차체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캐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원으로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안, 외부 전원으로 누설되는 누설 전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안정적인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차량 내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경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누설 전류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누설 전류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전체 차량 시스템에서의 누설 전류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차량 내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경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차량 내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경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시스템(20)은 EVSE(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ICCB(In Cable Control Box) 등 차량 외부의 전원 공급 시스템으로, 차량(10)에 탑재된 배터리(11)의 충전용 전원을 제공한다.
차량(10) 내 배터리(11)의 충전을 차량 탑재형 충전기(On Board Charger, OBC)와 전원 공급 시스템(20)이 연결되는 경우, 차량(10)의 차체(chassis) 즉, 차체 접지(GNDv)는 전원 공급 시스템(20)의 접지(GNDs, 이하 '계통 접지'라 명명하여 사용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OBC의 전력 변환 장치(12)는 입력 단자들(In1, In2)을 통해 전원 공급 시스템(20)으로부터 교류(AC) 전압을 입력 받고, 이를 직류(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단자(Out1, Out2)로 출력한다. 전력 변환 장치(1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Vout)은 배터리(11)의 충전 전압으로 공급된다.
전원 공급 시스템(20)이 비대칭형 단상 전원인 경우, 전력 변환 장치(12)로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공통 모드(common mode) 성분(Vgcm) 및 차동 모드(Differential mode) 성분(Vgdm)으로 표현하면, 입력 단자 In1의 전위는 Vgcm + Vgdm/2로 표현되고, 나머지 입력 단자 In2의 전위는 Vgcm - Vgdm/2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전력 변환 장치(12)의 출력 단자들(Out1, Out2) 간의 전위차는 Vout으로 일정하나, 전원 공급 시스템(20)과 비 절연 상태로 연결되어 있어, 출력 단자 Out2의 전위는 Vgcm이고, 나머지 출력 단자 Out1의 전위는 Vgcm + Vout 이 된다.
이에 따라, 전력 변환 장치(12)의 출력 단자들(Out1, Out2)에 연결된 캐패시터들(C1, C2)의 양단에는 Vgcm 만큼의 공통 모드 성분의 전압이 인가되고, AC 전원의 주파수를 가지는 Vgcm로 인해 캐패시터들(C1, C2)을 통해 누설 전류가 흐르게 된다.
통상적으로, 전원 공급 시스템(20)은 차량(10)에서 발생하는 누설 전류(Ileak)를 감지하기 위해 누설(Leakage) 감지 센서(21)를 구비한다. 그리고, 누설 감지 센서(21)를 통해 누설 전류가 감지되면 차량(10) 내 배터리(11)로 공급되는 충전 전류의 흐름을 차단한다. 따라서, 누설 전류(Ileak)의 발생은 차량(10) 내 배터리(11)의 충전이 불가능한 상황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안정적인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차량 내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누설 전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누설 전류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에 따른 누설 전류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누설 전류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주 배터리(110), 충전 장치(120) 및 누설 전류 제거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주 배터리(110)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서, 차량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고전압 배터리일 수 있다.
충전 장치(120)는 전원 공급 시스템(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주 배터리(110)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력 변환 장치(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장치(120)는 전력 변환 장치(121)의 각 출력 단자(Out1, Out2)와 차체 접지(GNDv)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캐패시터들(C1, C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장치(120)는 차량 내 OBC에 탑재될 수 있다.
전력 변환 장치(121)는 주 배터리(110)와 전원 공급 시스템(20) 사이에 연결되며, 전원 공급 시스템(20)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주 배터리(110)의 충전용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주 배터리(110)로 공급할 수 있다.
누설 전류 제거 장치(130)는 차량 시스템으로부터 전원 공급 시스템(20)으로 누설되는 전류를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누설 감지 저항(R), 보조 배터리(131), 절연 전원 공급 장치(132), 및 전압 플로워(voltage flower, 133)를 포함할 수 있다.
누설 감지 저항(R)은 차량 시스템으로부터 전원 공급 시스템(20)으로 누설되는 전류(Ileak)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누설 감지 저항(R)은 어느 하나의 단자가 차체 접지(GNDv)에 연결되고, 나머지 단자가 누설 감지 센서(21)를 통해 전원 공급 시스템(20)의 계통 접지(GNDs)에 연결되어, 본 문서에서는, 누설 감지 저항(R)의 양 단자에 대응하는 노드들을 각각 제1노드(NA) 및 제2노드(NB)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보조 배터리(131)는 후술하는 전압 플로워(133)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보조 배터리(131)는 출력 단자 중 어느 하나가 차체 접지(GNDv)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체 접지(GNDv)를 기준 전위로 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절연 전원 공급 장치(132)는 보조 배터리(131)의 출력 전압을 공급받고, 이와 절연된 절연 전원을 전압 플로워(133)의 동작 전원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절연 전원 공급 장치(132)에 의해 제공되는 절연 전원은, 차체 접지(GNDv)가 아닌 제2노드(NB)의 전위가 기준 전위가 된다. 따라서, 전압 플로워(133)는 제2노드(NB)의 전위를 기준 전위로 하는 동작 전압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전압 플로워(133)는 제1 및 제2노드(NA, NB) 사이에 누설 감지 저항(R)과 병렬 연결되는 오피앰프(OP-AMP)를 포함하며, 누설 감지 저항(R)을 통해 전원 공급 시스템(20)의 계통 접지(GNDs)로 흐르는 누설 전류(Ileak)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압 플로워(133)를 구성하는 OP-AMP는 비반전 입력 단자가 절연 전원 공급 장치(132)의 기준 전위 즉, 제2노드(NB)에 연결되고, 반전 입력 단자가 OP-AMP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며, 출력 단자는 제1노드(NA)에 연결된다. 전압 플로워(133)는 증폭 이득이 1인 비반전 증폭기로 동작하여, 입력 전압(제2노드(NB)의 전압)을 출력 전압(제1노드(NA)의 전압)으로 그대로 출력하는 버퍼(Buffer)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시스템(20)이 비대칭 단상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비대칭 단상 전원의 공통 모드 성분인 Vgcm에 의해, 캐패시터 C2로 흐르는 누설 전류(Ileak)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누설 전류(Ileak)는 누설 감지 저항(R)을 통해 전원 공급 시스템(20)으로 흘러, 누설 감지 저항(R)의 양 단 사이 즉, 제1 및 제2노드(NA, NB) 사이에 전위차(Ileak×R)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전압 플로워(133)는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이 동일한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전압 플로워(133)의 출력단과 입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노드(NA, NB) 사이의 전위차가 해소되며, 이로 인해 누설 감지 저항(R)을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전압 플로워(133)는 누설 전류(Ileak)와 동일한 크기의 반대 방향 전류(Ireverse)를 발생시킴으로써, 누설 전류(Ileak)를 상쇄시켜 누설 감지 저항(R)을 흐르는 전류를 0으로 수렴시킨다.
이에 따라, 결과 적으로 전원 공급 시스템(20)으로 누설 전류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안정적인 충전 동작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누설 전류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전체 차량 시스템에서의 누설 전류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100)에서는 충전 장치(120) 외에도 다양한 고전압 장치(140, 150)가 주 배터리(1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충전 장치(120)의 출력단 즉, 전력 변환 장치(121)의 출력단은 주 배터리(110) 외에도 다양한 고전압 장치(140, 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 BMS 등이 전력 변환 장치(121)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전압 장치(140, 150)들도 차체 접지(GNDv)를 통해 전원 공급 시스템(20)과 비 절연 상태로 연결되며, 충전 회로(120)와 함께 차량 시스템(100)에서 전원 공급 시스템(20)으로 누설되는 누설 전류(Ileak1, Ileak2, Ileak3)를 발생시킬 수 있다.
충전 회로(120) 및 고전압 장치들(140, 150)에 의해 발생한 누설 전류들(Ileak1, Ileak2, Ileak3)은, 합쳐진 상태(Ileak (total))로 차체 접지(GNDv)와 전원 공급 시스템(20)의 계통 접지(GNDs) 사이에 연결된 누설 감지 저항(R)을 흐르게 되며, 이는 누설 전류 제거 장치(130)에 의해 발생한 반대 방향 전류(Ireverse)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원 공급 시스템(20)이 연결되어 차량 내 배터리(110)를 충전하는 동안, 전원 공급 시스템(20)으로 누설되는 누설 전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안정적인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_ROM, DVD_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공정 환경이나 장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20: 전원 공급 시스템
100: 차량 시스템
110: 주 배터리
120: 충전 장치
121: 전력 변환 장치
130: 누설 전류 제거 장치
131: 보조 배터리
132: 절연 전원 공급 장치
133: 전압 플로워
140, 150: 고전압 장치
R: 누설 감지 저항
C1, C2: 캐패시터

Claims (8)

  1. 차량의 차체 접지에 연결된 제1노드 및 외부 전원의 제2접지에 연결된 제2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누설 감지 저항, 및
    상기 제1 및 제2노드 사이에 상기 누설 감지 저항과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노드 사이의 전위차를 해소하는 전압 플로워(voltage flower)를 포함하는 누설 전류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드의 전위를 기준 전위로 하는 전원을 상기 전압 플로워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는 절연 전원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하는 누설 전류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플로워는, 상기 제1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단자, 상기 제2노드에 연결되는 비반전 입력 단자, 및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반전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오피앰프(OP-AMP)를 포함하는 누설 전류 제거 장치.
  4. 차량의 제1배터리와 외부 전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압을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 장치,
    상기 차량의 차체 접지에 연결된 제1노드 및 상기 외부 전원의 제2접지에 연결된 제2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누설 감지 저항, 및
    상기 제1 및 제2노드 사이에 상기 누설 감지 저항과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노드 사이의 전위차를 해소하는 전압 플로워(voltage flower)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제2배터리, 및
    상기 제2배터리로부터, 상기 제2노드의 전위를 기준 전위로 하는 절연 전원을 공급하는 절연 전원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연 전원은 상기 전압 플로워의 동작 전원인 차량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플로워는, 상기 제1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단자, 상기 제2노드에 연결되는 비반전 입력 단자, 및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반전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오피앰프(OP-AMP)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터리의 양극 단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차체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량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 장치의 출력 단자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차체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KR1020170153619A 2017-11-17 2017-11-17 누설 전류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KR102474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619A KR102474362B1 (ko) 2017-11-17 2017-11-17 누설 전류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US16/046,303 US10960767B2 (en) 2017-11-17 2018-07-26 Leakage current cancellation device and vehicle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619A KR102474362B1 (ko) 2017-11-17 2017-11-17 누설 전류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554A true KR20190056554A (ko) 2019-05-27
KR102474362B1 KR102474362B1 (ko) 2022-12-05

Family

ID=66534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619A KR102474362B1 (ko) 2017-11-17 2017-11-17 누설 전류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60767B2 (ko)
KR (1) KR102474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885A1 (ko) * 2019-10-29 2021-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누전 검출 장치, 누전 검출 방법 및 전기 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2524B (zh) * 2019-11-20 2020-02-18 新誉轨道交通科技有限公司 电池组绝缘检测系统、电池组系统及工作方法
DE102020130148A1 (de) 2020-11-16 2022-05-1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ignalerzeugungsvor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4573A (ko) * 2007-09-04 2009-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의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00019976A (ko) * 2008-08-11 2010-0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장치 및 배터리 팩
US20120019194A1 (en) * 2010-07-20 2012-01-26 Tesla Motors Inc. Leakage current reduction in combined motor drive and energy storage recharge system
JP2014112086A (ja) * 2008-09-01 2014-06-19 Lg Chem Ltd バッテリーのリーク電流感知装置及び方法、並びに前記装置を含むバッテリー駆動装置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9287B1 (en) * 2000-01-24 2001-05-08 Michael T. Ferris Battery charger
US6690140B2 (en) * 2001-08-30 2004-02-10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Vehicle electrical system
FI118656B (fi) * 2006-05-05 2008-01-31 Finnish Electric Vehicle Techn Menetelmä ja laitteisto akkukennojen hoitamiseksi
US20130187468A1 (en) * 2012-01-24 2013-07-25 Google Inc.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ontrol in distributed power architecture
US9356567B2 (en) * 2013-03-08 2016-05-31 Invensense, Inc. Integrated audio amplification circuit with multi-functional external terminals
FR3025606B1 (fr) * 2014-09-10 2016-09-2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pour la mesure de coura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4573A (ko) * 2007-09-04 2009-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의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00019976A (ko) * 2008-08-11 2010-0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장치 및 배터리 팩
JP2014112086A (ja) * 2008-09-01 2014-06-19 Lg Chem Ltd バッテリーのリーク電流感知装置及び方法、並びに前記装置を含むバッテリー駆動装置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US20120019194A1 (en) * 2010-07-20 2012-01-26 Tesla Motors Inc. Leakage current reduction in combined motor drive and energy storage recharge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885A1 (ko) * 2019-10-29 2021-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누전 검출 장치, 누전 검출 방법 및 전기 차량
US11762022B2 (en) 2019-10-29 2023-09-19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ic leakage detection apparatus, electric leakage detection method, and electric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60767B2 (en) 2021-03-30
US20190152324A1 (en) 2019-05-23
KR102474362B1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4362B1 (ko) 누설 전류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CN108377666B (zh) 电力转换装置
JP6372761B2 (ja) 充電装置および車両
EP2574494A2 (en) Automotive power source apparatus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power source apparatus
US9170292B2 (en) Insulation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thereof
CN112513651A (zh) 用于检测绝缘故障的方法
CN107521357B (zh) 无线充电系统的线圈对准
KR20140041621A (ko) 절연물의 결함을 검출하는 디바이스
US11228238B2 (en) Charg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low-frequency leakage current
US20180226919A1 (en) Arc detection apparatus
CN104685773A (zh) 用于电压变换的装置以及具有所述装置的车载电网
Han et al. Hybrid common-mode EMI filter design for electric vehicle traction inverters
Zhan et al. Combining electric vehicle battery charging and battery cell equalisation in one circuit
KR100860712B1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 전압 측정회로 및측정방법
JP2015511476A (ja) 自動車の高周波数漏洩電流を補償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227190B1 (ko) 전기자동차용 탑재형 충전장치
JP2014060893A (ja) 充電装置
JP5731552B2 (ja) 高電圧システムを備える自動車用の変換器装置、および対応する変換器装置を備える高電圧システムの操作方法
US11167656B2 (en) Charging system capable of reducing leakage current
KR101655200B1 (ko)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이의 충전 방법
CN115843412A (zh) 用于减少共模漏电流的转换器调制
CN103199598A (zh) 具有非局部接地回路的车辆接口
JP2020141494A (ja) 電動自動車の電源装置
Tachikawa et al. Bi-Directional wireless power transfer for vehicle-to-grid: demonstr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KR20160046416A (ko) 노이즈 보상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