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514A -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514A
KR20190056514A KR1020170153548A KR20170153548A KR20190056514A KR 20190056514 A KR20190056514 A KR 20190056514A KR 1020170153548 A KR1020170153548 A KR 1020170153548A KR 20170153548 A KR20170153548 A KR 20170153548A KR 20190056514 A KR20190056514 A KR 20190056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light
unit
moving object
sound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3610B1 (ko
Inventor
길민식
Original Assignee
길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민식 filed Critical 길민식
Priority to KR1020170153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6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0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reflection, colours or films with specific transparency or refle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9Multifaceted or polygonal mirrors, e.g. polygonal scanning mirrors; Fresnel mirr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3/00Electricity: power supply or regulation systems
    • Y10S323/906Solar cell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동물 또는 조류와 같은 이동 객체를 탐지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가변 음파 또는 광을 발생시켜 이동 객체를 퇴치하는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는 태양광을 반사시키면서 레이저 광의 분산이 가능한 반사 모듈(11);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 또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가변 음파 모듈(12); 정해진 방향으로 서로 다른 휘도 또는 발광 형태의 광을 발생시키는 가변 광 모듈(13); 태양광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모듈(14); 및 휴대용 전자기기(18) 또는 관리 서버(17)와 유무선 통신을 설정하여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중계 모듈(15)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음파 모듈(12)은 지향성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다수 개의 초음파 진동자로 이루어진 초음파 발생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An Apparatus for Eradicating a Moving Object Using a Structure of Generating a Variable Sound Wave and a Light}
본 발명은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동물 또는 조류와 같은 이동 객체를 탐지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가변 음파 또는 광을 발생시켜 이동 객체를 퇴치하는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야생 조류 또는 야생 동물의 퇴치를 위한 다양한 기술이 이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방조 망을 설치하거나 또는 울타리를 설치하는 방법을 비롯하여 경보 벨 또는 스피커를 통한 소리의 발생과 같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 또는 이와 유사한 센서에 의하여 동물을 탐지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086015호는 농가 및 경작지에 접근하는 야생 동물의 접근 방지 및 퇴치를 위해 유해 야생 동물의 접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빛을 조명하여 유해 동물의 접근을 방지하고 이를 퇴치하기 위한 조명을 이용한 야생 동물 퇴치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0-0010803호는 농작물의 경작지로 접근하는 야생동물을 감지하여 퇴치하는 야생동물 퇴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농작물 경작지로 접근하는 야생동물을 레이더 센서로 감지하여 천적소리와 섬광을 발생하여 농작물 경작지의 주변으로 근접하는 야생동물의 접근을 방지하는 야생동물 퇴치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 또는 공지 기술은 제한된 범위의 야생 동물의 퇴치에 적용되면서 다양한 접근 객체의 접근 방식에 적합한 퇴치 방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이동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이동 객체를 탐지하면서 이동 객체의 유형에 적합한 퇴치 방법이 적용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하여 탐지 모듈 또는 퇴치 모듈 사이에 IOT 기술 및 빅데이터 기술이 적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방식이 적용된 퇴치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086015호(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2015년07월27일 공개) 조명을 이용한 야생동물 퇴치기 선행기술 2: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0-0010803호(대한민국, 2010년11월03일 공개) 야생동물 퇴치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객체의 상태를 탐지하여 그에 적합한 접근 제한 수단을 작동시키면서 탐지 모듈 또는 접근 제한 수단 사이의 정보 교환에 의하여 능동 작동 기능을 가진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는 태양광을 반사시키면서 레이저 광의 분산이 가능한 반사 모듈;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 또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가변 음파 모듈; 정해진 방향으로 서로 다른 휘도 또는 발광 형태의 광을 발생시키는 가변 광 모듈; 태양광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모듈; 및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관리 서버와 유무선 통신을 설정하여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중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음파 모듈은 지향성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다수 개의 초음파 진동자로 이루어진 초음파 발생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반사 모듈은 태양광 반사 유닛; 및 태양광 반사 유닛을 통하여 분산되는 레이저 유닛을 포함하고, 레이저 유닛의 레이저 광 분산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초음파 또는 음파는 가청 음파를 포함하는 저주파대와 고주파대의 신호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반사 모듈은 외부 면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반사시키고, 내부 또는 외부로 유도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시키는 다수의 반사면을 가진 광유도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는 작동 환경에 기초하여 접근하는 이동 객체에 적합한 접근 제한 수단이 작동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객체 퇴치 장치는 작동 모듈 사이의 정보 교환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객체 퇴치 장치는 야생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는 것에 의하여 조류 인플루엔자의 감염을 방지하면서 자체 전력 공급 수단에 의하여 지역에 제한이 없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객체 퇴치 장치는 조류, 야생 멧돼지, 오소리 또는 이와 유사한 이동 객체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고, 발생되는 음파 또는 광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이동 객체의 접근이 효율적으로 제한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객체 퇴치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객체 퇴치 장치에 적용된 다양한 반사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객체 퇴치 장치에 적용되는 가변 음파 발생 제어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객체 퇴치 장치에 적용되는 가변 광 발생 제어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객체 퇴치 장치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10)는 태양광을 반사시키면서 레이저 광의 분산이 가능한 반사 모듈(11);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 또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가변 음파 모듈(12); 정해진 방향으로 서로 다른 휘도 또는 발광 형태의 광을 발생시키는 가변 광 모듈(13); 태양광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모듈(14); 및 휴대용 전자기기(18) 또는 관리 서버(17)와 유무선 통신을 설정하여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중계 모듈(15)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음파 모듈(12)은 지향성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다수 개의 초음파 진동자로 이루어진 초음파 발생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초음파 또는 음파는 가청 음파를 포함하는 저주파대와 고주파대의 신호가 될 수 있다.
이동 객체는 이동성을 가진 임의의 야생 또는 사육 동물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야생의 다양한 조류, 야생 멧돼지, 고라니 또는 이와 유사한 동물을 포함한다. 이동 객체 퇴치 장치는 이동성 객체의 종류, 이동 방향 또는 객체의 특징과 같은 것을 탐지하고, 이와 함께 주변 상황을 탐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탐지된 이동 객체 정보 및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퇴치 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다.
반사 모듈(11)은 태양광을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태양광을 공중으로 또는 지상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반사 모듈(11)은 태양광을 정해진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가진 태양광 반사 유닛(111); 태양광 반사 유닛(111)을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회전 조절 블록(112); 회전 조절 블록(112)의 수평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평 위치 부재(113); 수평 위치 부재(113)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회전 브래킷(114); 회전 조절 블록(112)에 설치되어 태양광 반사 유닛(111)의 외부 또는 내부로 레이저 광을 발산하는 레이저 유닛(115); 및 영상, 초음파, 마이크로웨이브, 레이더 센서, 온도, 습도 또는 이와 유사한 이동 객체 또는 환경 상황의 탐지를 위한 탐지 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조절 블록(112)에 의하여 태양광 반사 유닛(111)이 회전되어 태양광의 반사 방향의 결정될 수 있다. 태양광 반사 유닛(111)은 전력 공급에 의하여 회전되거나, 예를 들어 바람에 의하여 회전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수평 위치 부재(113)는 회전 조절 블록(112)의 수평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회전 조절 블록(112)은 예를 들어 수평 위치 부재(113)의 회전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수평 위치 부재(113)가 회전 브래킷(114)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 조절 블록(112)의 회전 및 수평 위치 부재(113)의 회전에 의하여 태양의 위치 또는 이동 객체의 탐지 방향에 대하여 최적의 위치에 태양광 반사 유닛(111)이 위치하도록 한다.
레이저 유닛(115)은 태양광 반사 유닛(111)의 내부로 레이저를 방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태양광 반사 유닛(111)의 내부로 유도된 레이저 광은 태양광 반사 유닛(11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투과가 되거나, 태양광 반사 유닛(111)에서 반사가 되어 아래쪽으로 또는 측면으로 유도될 수 있다. 레이저 유닛(115)은 방출 방향이 조절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세기 또는 파장을 가진 레이저를 발생시킬 수 있다.
탐지 모듈(116)은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동 객체를 탐지하거나 또는 환경 상황을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지 모듈(116)은 영상 획득 유닛,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더 센서에 의하여 이동 객체를 탐지하거나, 온도; 습도; 태양광의 입사 방향; 날씨; 환경 조도 또는 이와 유사한 환경 상황을 탐지할 수 있다. 탐지된 정보가 제어 모듈로 전송될 수 있고, 제어 모듈은 탐지 모듈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퇴치 수단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탐지 모듈(116)은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동 객체 또는 환경 상황에 대한 정보를 탐지하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변 음파 모듈(12)은 미리 결정된 소리 신호 또는 미리 결정된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고, 다양한 소리 신호 또는 지향성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다수 개의 초음파 진동자로 이루어진 초음파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 신호 또는 초음파의 전송 방향의 결정될 수 있고, 지향성 스피커 또는 다수 개의 진동자의 지향성 배치에 의하여 방향성이 조절될 수 있다. 가변 음파 모듈(12)은 신호 발생 유닛(121); 및 한쪽 끝에 신호 발생 유닛(121)을 고정시키면서 다른 끝이 회전 브래킷(123)에 고정된 회전 조절 블록(122)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발생 유닛(121)은 예를 들어 유니버설 조인트 또는 전방향성 조인트에 의하여 회전 조인트에 의하여 회전 조절 블록(1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지상 또는 공중으로 소리 신호 또는 초음파가 전송될 수 있다. 회전 조절 블록(122)은 회전 브래킷(123)의 회전에 의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가변 광 모듈(13)은 반사 모듈(11) 또는 가변 음파 모듈(12)과 마찬가지로 수직 고정 부재(P)에 회전 브래킷(12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가변 광 모듈(13)은 다양한 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 광 발생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발생시키는 서로 다른 종류의 광 발생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적외선 발생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광 모듈(13)은 정해진 방향으로 광을 전송하여 이동 객체를 이동을 유도하거나, 이동 객체를 놀라게 하거나 또는 야간 탐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가변 광 모듈(13)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광을 펄스 형태로 순차로 발생시키거나, 정해진 방향으로 조명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야간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야간 영상 탐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각각의 광 발생 소자의 앞쪽에 미리 결정된 초점이 형성된 초점 형성 렌즈가 설치되어 광전송 위치 또는 조명 영역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동 객체 퇴치 장치(10)는 다양한 퇴치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각의 퇴치 수단 또는 탐지 모듈이 작동은 수직 고정 부재(P)의 아래쪽에 결합된 제어 박스(19)에 설치된 제어 모듈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제어 박스(19)는 제어 기능을 가지면서 전력 공급 조절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전반 또는 전력 공급 수단이 제어 박스(19)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력 공급이 요구되는 다양한 부품 또는 소자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동 객체 퇴치 장치(10)에 대한 전력 공급은 외부 전원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예를 들어 태양광 모듈(14)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배터리와 같은 이동 전력 공급 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 모듈(11); 가변 음파 모듈(12); 가변 광 모듈(13) 또는 중계 모듈(15)은 지면에 고정된 수직 고정 부재(P)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다른 적절한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태양광 모듈(14)은 수직 고정 부재(P)의 가장 위쪽에 배치되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14)의 작동은 제어 박스(19)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자체적인 제어 수단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듈(11, 12, 13, 14)의 시간에 따른 작동 상황 또는 탐지 정보가 저장 모듈(16)에 저장되어 분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 모듈(16)에 저장된 작동 정보 또는 탐지 정보는 주기적으로 또는 접근에 의하여 관리 서버(17)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모듈(11, 12, 13, 14)의 실시간 작동 정보가 중계 모듈(15)에 의하여 관리 서버(17) 및 휴대용 전자기기(18)로 전송될 수 있다. 중계 모듈(15)은 실시간으로 미리 결정된 관련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18)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계 모듈(15)은 모든 실시간 정보를 관리 서버(17)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17)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18)는 중계 모듈(15)을 통하여 각각의 모듈(11, 12, 13, 14)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각각의 모듈(11, 12, 13, 14)의 작동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결정된 위험 상황이 발생되면, 제어 모듈은 중계 모듈(15)을 통하여 휴대용 전자기기(18)로 위험 상황을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18)는 필요에 따라 각각의 모듈(11, 12, 13, 14)의 작동 상황에 대한 정보를 중계 모듈(15)을 통하여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박스(19)는 수신된 요청 정보에 따라 각각의 모듈(11, 12, 13, 14)의 작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18)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객체 퇴치 장치(10)는 다양한 퇴치 수단에 대한 적절한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객체 퇴치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사 모듈(11)은 태양광 반사 유닛(111); 및 태양광 반사 유닛(111)을 통하여 분산되는 레이저 유닛(24)을 포함하고, 레이저 유닛(24)의 레이저 광 분산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동 객체의 퇴치 수단은 도 1의 실시 예로 제시된 것처럼 독립된 모듈로 배치되거나, 다수 개의 퇴치 수단이 하나의 모듈에 결합될 수 있다. 수직 고정 부재(P)에 배치 박스(21)가 설치되고, 배치 박스(21)에 가변 광 모듈(13); 음파 송신 유닛(22); 및 레이저 유닛(24)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치 박스(21)의 내부에 가변 광 모듈(13)의 작동 수단, 소리 신호 또는 초음파 발생 수단 및 레이저 발생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이 배치 박스(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수직 고정 부재(P)에 또한 내부에 배터리와 같은 전력 공급 수단이 수용된 전력 공급 박스(23)가 배치될 수 있다.
배치 박스(21)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이 될 수 있고, 위쪽 면에 레이저 유닛(24)이 배치될 수 있다. 레이저 유닛(24)은 위치 조절 기판(241); 위치 조절 기판(241)에 결합되어 레이저를 정해진 방향으로 전송하는 전송 유닛(242); 및 위치 조절 기판(241)을 배치 박스(21)에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2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 부재(243)는 배치 박스(21)의 내부에 배치된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조절 유닛(244)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조절 축(245)에 한쪽 끝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조절 기판(241)이 아래쪽에 방향 설정 유닛(246)이 결합될 수 있고, 실린더 형상의 전송 유닛(242)은 아래쪽 부분이 방향 설정 유닛(246)에 결합되고, 위쪽 부분은 위치 조절 기판(241)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방향 설정 유닛(246)에 원형의 편심 경로가 형성될 수 있고, 편심 경로에 전송 유닛(242)의 아래쪽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편심 경로에서 전송 유닛(242)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에 의하여 전송 유닛(242)에 의한 레이저의 전송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편심 경로는 선형 또는 십자 형상과 같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송 유닛(242)의 아래쪽에 연결된 광섬유(LF)를 통하여 발생된 레이저가 전송 유닛(242)으로 전송되어 태양광 반사 유닛(111)으로 전송될 수 있다.
태양광 반사 유닛(111)은 입사되는 태양광을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광유도 유닛(111a); 광유도 유닛(111a)의 작동을 위한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111c); 구동 수단(111c)에 결합된 회전축(111b); 및 광유도 유닛(111a)의 방향을 탐지하는 방향 탐지 유닛(111d)을 포함할 수 있다. 광유도 유닛(111a)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을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ABS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이와 유사한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광유도 유닛(111a)의 표면은 광 반사 코팅이 될 수 있다. 구동 수단(111c)의 작동에 의하여 광유도 유닛(111a)이 일정한 주기로 회전하거나, 정해진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방향 탐지 유닛(111d)에 의하여 광유도 유닛(111a)의 회전 주기가 탐지되거나, 정해진 방향이 탐지되어 제어 모듈로 전송될 수 있다.
광유도 유닛(111a)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객체 퇴치 장치에 적용된 다양한 반사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태양광을 반사시키거나, 레이저 광을 반사 또는 산란시키는 광유도 유닛(LG)은 전체적으로 뿔 형상이 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유도 면(RS1, RS2)을 가질 수 있다. 유도 면(RS1, RS2)은 위쪽 부분이 꼭지를 형성하면서 밀폐되고, 아래쪽 부분이 열린 형상이 될 수 있다. 각각의 유도 면(RS1, RS2)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형상이 될 수 있고,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유도 면(RS1, RS2)은 다수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아래쪽 부분에 형성되면서 작은 경사각을 가지는 1 유도 면(RS1) 및 1 유도 면(RS1)의 위쪽 부분과 연결되면서 상대적으로 큰 경사각을 가지는 2 유도 면(RS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도 면(RS1, RS2)을 높이 방향을 따라 분리시키는 표시 스트립(SL)이 설치될 수 있다. 표시 스트립(SL)은 예를 들어 붉은 색상, 푸른 색상 또는 노란 색상과 같이 외부에 쉽게 표시되는 색상을 가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편광 필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각각의 광유도 유닛(LG)에 형성되는 각각의 유도 면(RS1, RS2)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반사율을 증가시키거나, 레이저 광의 분산을 유도하는 보조 유도 면(AS)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유도 면(AS)은 1 유도 면(RS1)이 아래쪽에 상대적으로 큰 경사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정해진 방향으로 향하는 유도 면(RS1, RS2)에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광유도 유닛(LG)은 회전 축(111b)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광유도 유닛(LG)은 예를 들어 바람에 의하여 회전되거나, 모터와 같은 구동 유닛에 의하여 회전되거나, 모터와 같은 구동 유닛에 의하여 정해진 방향을 향할 수 있다.
광유도 유닛(LG)은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b을 참조하면, 반사 모듈은 외부 면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반사시키고, 내부 또는 외부로 유도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시키는 다수의 반사면을 가진 광유도 유닛(31 내지 37)을 포함한다. 광유도 유닛(31 내지 37)은 전체적으로 피라미드 형상, 돔 형상, 다각 뿔 형상 또는 원추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유도 유닛(31 내지 37)은 전체적으로 입체 형상의 되면서 외부 표면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시키면서 내부 또는 외부로 유도되는 레이저를 정해진 방향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유도 유닛(31 내지 37)의 외부 표면으로 유도되는 태양광의 적어도 일부가 정해진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광유도 유닛(31 내지 37)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다수 개의 방향 경사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방향 경사 평면은 다수 개의 유도 경사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향 경사 평면은 반사광의 반사 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 유도 경사 평면은 반사광의 초점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방향 경사 평면에 배치된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유도 경사 평면은 각각의 반사면에서 반사되는 광이 미리 결정된 지점에서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유도 유닛(31 내지 37)은 태양광을 반사시키면서 레이저 광을 투과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레이저 광은 광유도 유닛(31 내지 37)의 내부로 유도되거나, 광유도 유닛(31 내지 37)의 외부 면으로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방향 경사 평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 경사 평면은 레이저 광을 정해진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유도 유닛(31 내지 37)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객체 퇴치 장치에 적용되는 가변 음파 발생 제어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객체 탐지 장치는 탐지 모듈(45)로부터 탐지된 이동 객체에 대한 접근 상황을 결정하는 환경 설정 유닛(46)을 포함한다.
탐지 모듈(45)은 이동 객체에 대한 정보를 탐지하면서 이와 함께 환경 정보를 탐지할 수 있고, 탐지 모듈(45)로 탐지된 정보가 환경 설정 유닛(46)으로 전송될 수 있다. 환경 설정 유닛(46)은 이동 객체가 미리 정해진 영역 범위로 접근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구동 개시 유닛(47)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접근 상태에서 환경 정보를 분류하여 구동 개시 유닛(47)으로 전송할 수 있다. 구동 개시 유닛(47)은 환경 설정 유닛(46)에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퇴치 방법을 선택하고 이와 동시에 이동 객체의 이동 상황에 따라 음파 발생 유닛(44)의 작동 개시 시각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방법 및 개시 시각이 제어 유닛(41)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유닛(41)으로 전송된 정보가 처리되어 작동 설정 유닛(42)으로 전송될 수 있고, 작동 설정 유닛(42)은 탐지 정보 및 작동 개시 시각에 기초하여 음파 발생 유닛(44)의 작동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유닛(43)이 작동되어 음파 발생 유닛(44)이 정해진 목표(T)로 음파(SW)가 전송될 수 있다.
음파 발생 유닛(44)에서 발생되는 음파는 다양한 종류의 소리 신호 또는 다양한 주파수의 초음파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 신호 또는 초음파는 목표(T)를 향하여 지향성을 가지도록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파의 유도를 위한 도파관 또는 서로 다른 초음파 진동자의 시간 지연 배열에 의하여 음파가 목표(T)를 향하여 지향성을 가지면서 전송될 수 있다.
광 발생 모듈 또는 레이저 광이 음파와 유사한 방법으로 발생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객체 퇴치 장치에 적용되는 가변 광 발생 제어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탐지 모듈(45)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환경 설정 유닛(56)은 환경에 적합한 광 발생 조건 및 전송 조건을 탐색하여 구동 개시 유닛(57)으로 전송할 수 있다. 환경 설정 유닛(56) 또는 구동 개시 유닛(57)은 위에서 설명된 환경 설정 유닛(46)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제어 유닛(41) 또는 구동 유닛(53)도 마찬가지로 제어 유닛(41) 또는 구동 유닛(53)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레이저 발생 유닛(54)에 의하여 레이저 광이 발생될 수 있고, 레이저 광의 방향 또는 주기가 방향/펄스 유닛(52)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레이저 광이 정해진 방향으로 전송되면 반사 탐지 유닛(58)에 의하여 반사 여부가 탐지될 수 있다. 반사 탐지 유닛(58)은 광 발생 모듈에 의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광이 전송되는 경우 전송된 광의 효과를 탐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에서 레이저 광의 발생에 대하여 설명이 되었지만 엘이디 소자에 의한 다양한 광의 발생이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객체 퇴치 장치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객체 퇴치 장치는 서로 다른 퇴치 수단 사이의 작동 상관성에 따라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 모듈(6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객체 탐지 장치의 전체 작동이 제어 모듈(6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태양광 모듈(14)이 제어 모듈(61)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탐지 유닛(68)에 의하여 작동 환경이 탐지되어 충전 설정 유닛(67)으로 전송될 수 있고, 충전 설정 유닛(67)은 태양광 모듈(14)이 작동될 수 있는 환경으로 판단되면 제어 모듈(61)로 충전 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모듈(61)에 의하여 태양광 모듈(14)이 작동되어 배터리와 같은 충전기가 충전이 될 수 있다.
제어 모듈(61)에 의하여 음파 발생 모듈(651), 반사 모듈(652), 광 발생 모듈(653) 또는 이와 유사한 퇴치 수단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탐지 모듈(45)은 도 4 또는 도 5의 탐지 모듈(45)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질 수 있고, 환경 설정 유닛(65)이 또한 동일하다. 환경 설정 유닛(65)은 환경 데이터베이스(66)로부터 탐지 모듈(45)에 의하여 탐지된 이동 객체에 대한 환경 상태에서 적합한 퇴치 조건을 탐색하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작동 데이터 유닛(63)에 의하여 음파 발생 모듈(651); 반사 모듈(652) 또는 광 발생 모듈(653)의 작동 조건에 대한 작동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61)에 의하여 구동 설정 유닛(62)이 작동될 수 있고, 구동 설정 유닛(62)은 음파 발생 모듈(651), 반사 모듈(652) 또는 광 발생 모듈(653)에 대한 작동 여부 또는 전력 공급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모듈(651, 652, 653, 45) 사이의 연관성이 작동 상관 유닛(641)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상관 유닛(641)은 정해진 이동 객체의 퇴치를 위하여 서로 관련되는 퇴치 수단 사이의 상관성을 결정하고 예를 들어 상관성을 발생 주기 사이의 관계, 간섭 효과 또는 효과 상관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동 객체에 대한 퇴치 수단이 작동된 이후 탐지 모듈(45)에서 이동 객체에 대한 센서의 작동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작동 상관 유닛(641)은 관련 정보를 스위치 모듈(64)로 전송하고, 스위치 모듈(64)은 작동 상관 유닛(641)으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모듈(651, 652, 653, 45)에 대한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작동 상관 유닛(641) 또는 스위치 모듈(64)의 기능에 의하여 이동 객체에 대한 퇴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이동 객체 퇴치 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는 작동 환경에 기초하여 접근하는 이동 객체에 적합한 접근 제한 수단이 작동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객체 퇴치 장치는 작동 모듈 사이의 정보 교환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객체 퇴치 장치는 야생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는 것에 의하여 조류 인플루엔자의 감염을 방지하면서 자체 전력 공급 수단에 의하여 지역에 제한이 없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객체 퇴치 장치는 조류, 야생 멧돼지, 오소리 또는 이와 유사한 이동 객체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고, 발생되는 음파 또는 광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이동 객체의 접근이 효율적으로 제한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이동 객체 퇴치 장치 11: 반사 모듈
12: 가변 음파 모듈 13: 가변 광 모듈
14: 태양광 모듈 15: 중계 모듈
16: 저장 모듈 17: 관리 서버
18: 휴대용 전자기기 19: 제어 박스
21: 배치 박스 22: 음파 송신 유닛
23: 전력 공급 박스 24: 레이저 유닛
31 내지 37: 광유도 유닛 41: 제어 유닛
42: 작동 설정 유닛 43: 구동 유닛
44: 음파 발생 유닛 45: 탐지 모듈
46: 환경 설정 유닛 47: 구동 개시 유닛
52: 방향/펄스 유닛 53: 구동 유닛
54: 레이저 발생 유닛 56: 환경 설정 유닛
57: 구동 개시 유닛 58: 반사 탐지 유닛
61: 제어 모듈 62: 구동 설정 유닛
63: 작동 데이터 유닛 64: 스위치 모듈
65: 환경 설정 유닛 66: 환경 데이터베이스
67: 충전 설정 유닛 68: 환경 탐지 유닛
111: 태양광 반사 유닛 111a: 광유도 유닛
111b: 회전축 111c: 구동 수단
111d: 방향 탐지 유닛 112: 회전 조절 블록
113: 수평 위치 부재 114: 회전 브래킷
115: 레이저 유닛 116: 탐지 모듈
121: 신호 발생 유닛 122: 회전 조절 블록
123: 회전 브래킷 241: 위치 조절 기판
242: 전송 유닛 243: 결합 부재
244: 조절 유닛 245: 조절 축
246: 방향 설정 유닛 641: 작동 상관 유닛
651: 음파 발생 모듈 652: 반사 모듈
653: 광 발생 모듈 AS: 보조 유도 면
LF: 광섬유 LG: 광유도 유닛
P: 수직 고정 부재 RS1, RS2: 1, 2 유도 면
SL: 표시 스트립 SW: 음파
T: 목표

Claims (4)

  1. 태양광을 반사시키면서 레이저 광의 분산이 가능한 반사 모듈(11);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 또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가변 음파 모듈(12);
    정해진 방향으로 서로 다른 휘도 또는 발광 형태의 광을 발생시키는 가변 광 모듈(13);
    태양광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모듈(14); 및
    휴대용 전자기기(18) 또는 관리 서버(17)와 유무선 통신을 설정하여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중계 모듈(15)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음파 모듈(12)은 지향성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다수 개의 초음파 진동자로 이루어진 초음파 발생기를 포함하는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반사 모듈(11)은 태양광 반사 유닛(111); 및 태양광 반사 유닛(111)을 통하여 분산되는 레이저 유닛(24)을 포함하고, 레이저 유닛(24)의 레이저 광 분산 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초음파 또는 음파는 가청 음파를 포함하는 저주파대와 고주파대의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반사 모듈(11)은 외부 면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반사시키고, 내부 또는 외부로 유도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시키는 다수의 반사면을 가진 광유도 유닛(31 내지 37)을 포함하는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
KR1020170153548A 2017-11-17 2017-11-17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 KR102003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548A KR102003610B1 (ko) 2017-11-17 2017-11-17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548A KR102003610B1 (ko) 2017-11-17 2017-11-17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514A true KR20190056514A (ko) 2019-05-27
KR102003610B1 KR102003610B1 (ko) 2019-07-24

Family

ID=6667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548A KR102003610B1 (ko) 2017-11-17 2017-11-17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61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3227A (zh) * 2020-12-10 2021-03-16 国网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一种高压线防鸟筑巢装置
WO2022027399A1 (zh) * 2020-08-06 2022-02-10 南京溧水高新创业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现代农业监测设备
CN115067315A (zh) * 2022-06-15 2022-09-20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风电场用驱鸟装置
CN115443982A (zh) * 2022-09-29 2022-12-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淄博供电公司 一种雷达感应声光智能驱鸟装置
KR20230018062A (ko) * 2021-07-29 2023-02-07 강성구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
KR102537072B1 (ko) * 2022-11-24 2023-05-30 주식회사 광진기업 유기 및 유해 동물 가변형 스마트 포획시스템
KR102552817B1 (ko) * 2022-05-19 2023-07-10 미소에이스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친환경 조류접근 제어시스템
KR102604394B1 (ko) * 2023-05-12 2023-11-23 주식회사 베스트정보기술 실시간 데이터 변화의 영상이미지 정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330B1 (ko) * 2020-04-20 2022-07-15 (주)아이티 농작물의 피해 방지를 위한 추적형 야생동물 퇴치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649U (ko) * 1998-07-25 1998-10-26 배정식 까치 퇴치장치
KR20100010803U (ko) 2009-04-24 2010-11-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야생동물 퇴치장치
KR20120069001A (ko) * 2010-11-01 2012-06-28 (주)지이에스 그린음악 공급장치 겸용 위해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
KR20150086015A (ko) 2014-01-17 2015-07-2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명을 이용한 야생동물퇴치기
JP3207715U (ja) * 2016-03-17 2016-12-01 有限会社西電機 鳥獣侵入防止装置
KR20170001167U (ko) * 2017-03-09 2017-03-30 (주)에코팜 난반사 표면을 구비하는 조류 또는 두더지 퇴치기
KR20170090605A (ko) * 2016-01-29 2017-08-08 유상철 해충 퇴치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7715B2 (ja) * 1995-06-13 2001-09-1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649U (ko) * 1998-07-25 1998-10-26 배정식 까치 퇴치장치
KR20100010803U (ko) 2009-04-24 2010-11-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야생동물 퇴치장치
KR20120069001A (ko) * 2010-11-01 2012-06-28 (주)지이에스 그린음악 공급장치 겸용 위해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
KR20150086015A (ko) 2014-01-17 2015-07-27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명을 이용한 야생동물퇴치기
KR20170090605A (ko) * 2016-01-29 2017-08-08 유상철 해충 퇴치기
JP3207715U (ja) * 2016-03-17 2016-12-01 有限会社西電機 鳥獣侵入防止装置
KR20170001167U (ko) * 2017-03-09 2017-03-30 (주)에코팜 난반사 표면을 구비하는 조류 또는 두더지 퇴치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7399A1 (zh) * 2020-08-06 2022-02-10 南京溧水高新创业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现代农业监测设备
CN112493227A (zh) * 2020-12-10 2021-03-16 国网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一种高压线防鸟筑巢装置
CN112493227B (zh) * 2020-12-10 2022-03-04 国网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一种高压线防鸟筑巢装置
KR20230018062A (ko) * 2021-07-29 2023-02-07 강성구 다초점 레이저를 이용한 유해 조수 퇴치기
KR102552817B1 (ko) * 2022-05-19 2023-07-10 미소에이스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친환경 조류접근 제어시스템
CN115067315A (zh) * 2022-06-15 2022-09-20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风电场用驱鸟装置
CN115067315B (zh) * 2022-06-15 2023-10-03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风电场用驱鸟装置
CN115443982A (zh) * 2022-09-29 2022-12-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淄博供电公司 一种雷达感应声光智能驱鸟装置
KR102537072B1 (ko) * 2022-11-24 2023-05-30 주식회사 광진기업 유기 및 유해 동물 가변형 스마트 포획시스템
KR102604394B1 (ko) * 2023-05-12 2023-11-23 주식회사 베스트정보기술 실시간 데이터 변화의 영상이미지 정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610B1 (ko)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610B1 (ko)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
US8248473B2 (en) Robotic sentry with low dispersion acoustic projector
US201002015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deterring animal intruders
KR101251867B1 (ko) 농작물 보호를 위한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 그리고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를 위한 제어 단말
US7501979B1 (en) Airborne biota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CN102860300B (zh) 一种基于模式识别的自动瞄准激光驱鸟装置及驱鸟方法
KR101565134B1 (ko)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CN110286388A (zh) 激光雷达系统和使用其检测物体的方法及介质
KR101449931B1 (ko) 라이다용 3차원 공간 스캔장치
WO2013114368A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and deterrence of flying animals and prevention of collisions with wind turbines
KR101940253B1 (ko) 조류와 동물 퇴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44982B1 (ko) 야생동물의 침입방지장치
US20190152595A1 (en) Apparatus for Sustained Surveillance and Deterrence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WO2015127292A1 (en) Ultrasonic intrusion deterrence apparatus and methods
KR20210101423A (ko) 레이더를 사용한 조류 퇴치 시스템
US20180217235A1 (en) Projection System for a Time-of-Flight Sensor and Method of Operation of Same
KR20210004761A (ko) 라이다 광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라이다 장치
KR200217227Y1 (ko) 센서를 사용하여 조류를 쫓는 장치
CN102396447A (zh) 一种光电目标识别驱鸟器及驱鸟方法
CN210203085U (zh) 一种激光驱鸟器
CN215501057U (zh) 一种野外驱鸟机器人
KR20160025928A (ko) 퇴치 장치
CN113650037B (zh) 一种光电对抗反狙击手机器人及控制方法
KR102421330B1 (ko) 농작물의 피해 방지를 위한 추적형 야생동물 퇴치장치
CN204837707U (zh) 日夜用智能化视频激光驱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