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180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180A
KR20190056180A KR1020170153352A KR20170153352A KR20190056180A KR 20190056180 A KR20190056180 A KR 20190056180A KR 1020170153352 A KR1020170153352 A KR 1020170153352A KR 20170153352 A KR20170153352 A KR 20170153352A KR 20190056180 A KR20190056180 A KR 20190056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uplink carrier
information
cel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6001B1 (ko
Inventor
최승훈
김영범
김태형
배태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3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001B1/ko
Priority to US16/764,759 priority patent/US20200367289A1/en
Priority to PCT/KR2018/014007 priority patent/WO2019098710A1/ko
Publication of KR2019005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8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with additional processing of random access related information at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33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보완상향링크 캐리어(supplementary uplink carrier: SUL carrier)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하향 구성 반송파(downlink carrier: DL carrier)의 셀 공통 신호를 통해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서의 랜덤 접속 설정(random access channel configuration: RACH configuration)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향 구성 반송파에서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을 상기 보완상향링크 캐리어 선택을 위한 임계값(threshold)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서 랜덤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완상향링크 캐리어 선택을 위한 임계값은 상기 랜덤 접속 설정 정보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UPLINK CARRIERS IN WIREL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의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 (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 (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에서는 단말이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접속할 때, 상기 주파수 대역의 특성으로 인해 상향 전송 커버리지가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향 전송 커버리지가 좋은 주파수 대역의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보완상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상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향 전송 커버리지를 개선할 수 있다. 이 때, 본 개시에서는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또한 보완상향링크를 통해 비주기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하향제어채널의 비트 필드를 구성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한다. 또한, 비주기 채널 정보 전송시 특정 하향링크 캐리어들에 대한 채널정보 전송과의 연관관계를 설정하여 어떤 하향링크 캐리어들에 대한 채널 정보 전송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게 지시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보완상향링크 캐리어(supplementary uplink carrier: SUL carrier)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하향 구성 반송파(downlink carrier: DL carrier)의 셀 공통 신호를 통해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서의 랜덤 접속 설정(random access channel configuration: RACH configuration)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향 구성 반송파에서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을 상기 보완상향링크 캐리어 선택을 위한 임계값(threshold)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서 랜덤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완상향링크 캐리어 선택을 위한 임계값은 상기 랜덤 접속 설정 정보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5G 통신시스템에서 보완상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때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 방안을 제공하고, 보완상향링크 캐리어가 설정되어 활성화되었을 때, 비주기 채널 정보 송수신을 위한 특정 하향링크 캐리어를 지시함으로써, 비주기 채널 정보 송수신을 통한 효율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LTE에서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LTE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및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전송 자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5G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전송 자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5G 하향링크 제어채널 및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전송 자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반적인 5G 캐리어 집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5G 상하향캐리어에 보완상향링크 캐리어가 설정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완상향링크 캐리어를 NR 셀에 추가적으로 설정하고, 초기 랜덤 엑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완상향링크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는 방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5G 상하향캐리어에 보완상향링크 캐리어가 설정된 경우 비주기 채널 정보 트리거링이 전송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NR (new radio)시스템을 일례로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자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용어들에 대해 해석 가능한 의미의 예를 제시한다. 하지만, 아래 제시하는 해석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향링크는(uplink; UL)는 단말이 기국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를 의미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예를 들어, 3GPP의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혹은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LTE-advanced (LTE-A), LTE-Pro, 3GPP2의 HRPD(high rate packet data), UMB(ultra mobile broadband), 및 IEEE의 802.16e 등의 통신 표준과 같이 고속, 고품질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상기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downlink; DL)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상향링크(uplink; UL)에서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향링크는 단말(UE(user equipment) 혹은 MS(mobile station))이 기지국(eNode B, 혹은 base station(BS))으로 데이터 혹은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하고, 하향링크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 혹은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한다. 상기와 같은 다중 접속 방식은, 통상 각 사용자 별로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를 실어 보낼 시간-주파수 자원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즉 직교성(orthogonality)이 성립하도록, 할당 및 운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를 구분한다.
LTE 이후의 향후 통신 시스템으로서, 즉, 5G 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 등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자유롭게 반영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요구사항을 동시에 만족하는 서비스가 지원되어야 한다. 5G 통신시스템을 위해 고려되는 서비스로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 통신(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대규모 기계형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초신뢰 저지연 통신(ultra reliability low latency communciation, URLLC) 등이 있다.
eMBB는 기존의 LTE, LTE-A 또는 LTE-Pro가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더욱 향상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5G 통신시스템에서 eMBB는 하나의 기지국 관점에서 하향링크에서는 20Gbps의 최대 전송 속도(peak data rate), 상향링크에서는 10Gbps의 최대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5G 통신시스템은 최대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증가된 단말의 실제 체감 전송 속도(user perceived data rate)를 제공해야 한다. 이와 같은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더욱 향상된 다중 안테나 (multi input multi output, MIMO) 전송 기술을 포함하여 다양한 송수신 기술의 향상을 요구한다. 또한 현재의 LTE가 사용하는 2GHz 대역에서 최대 20MHz 전송대역폭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반면에 5G 통신시스템은 3~6GHz 또는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20MHz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함으로써 5G 통신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동시에, 5G 통신시스템에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mMTC가 고려되고 있다. mMTC는 효율적으로 사물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해 셀 내에서 대규모 단말의 접속 지원,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향상된 배터리 시간, 단말의 비용 감소 등이 요구된다. 사물 인터넷은 여러 가지 센서 및 다양한 기기에 부착되어 통신 기능을 제공하므로 셀 내에서 많은 수의 단말(예를 들어, 1,000,000 단말/km2)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mMTC를 지원하는 단말은 서비스의 특성상 건물의 지하와 같이 셀이 커버하지 못하는 음영지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5G 통신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다른 서비스 대비 더욱 넓은 커버리지를 요구한다. mMTC를 지원하는 단말은 저가의 단말로 구성되어야 하며, 단말의 배터리를 자주 교환하기 힘들기 때문에 10~15년과 같이 매우 긴 배터리 생명시간(battery life time)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URLLC의 경우, 특정한 목적(mission-critical)으로 사용되는 셀룰라 기반 무선 통신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로봇(robot) 또는 기계 장치(machinery)에 대한 원격 제어(remote control), 산업 자동화(industrial automation), 무인 비행장치(unmaned aerial vehicle), 원격 건강 제어(remote health care), 비상 상황 알림(emergency alert) 등에 사용되는 서비스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URLLC가 제공하는 통신은 매우 낮은 저지연 및 매우 높은 신뢰도 제공해야 한다. 예를 들어, URLLC을 지원하는 서비스는 0.5 밀리초보다 작은 무선 접속 지연시간(air interface latency)를 만족해야 하며, 동시에 10-5 이하의 패킷 오류율(packet error rate)의 요구사항을 갖는다. 따라서, URLLC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위해 5G 시스템은 다른 서비스보다 작은 전송 시간 구간(transmit time interval, TTI)를 제공해야 하며, 동시에 통신 링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에서 넓은 리소스를 할당해야 하는 설계사항이 요구된다.
5G의 세가지 서비스들, 즉 eMBB, URLLC, mMTC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서비스들이 갖는 상이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서비스간에 서로 다른 송수신 기법 및 송수신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LTE-advanced)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LTE 시스템의 하향링크에서 상기 데이터 혹은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무선자원영역인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에서 가로축은 시간영역을, 세로축은 주파수영역을 나타낸다. 시간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OFDM 심벌(symbol)로서, Nsymb개의 OFDM 심벌(101)이 모여 하나의 슬롯(slot)(102)을 구성하고, 2개의 슬롯이 모여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103)을 구성한다. 상기 슬롯의 길이는 0.5ms 이고,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0ms 이다.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104)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시간영역 단위이다. 주파수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서브캐리어(subcarrier)로서, 전체 시스템 전송 대역 (transmission bandwidth)의 대역폭은 총 NBW개의 서브캐리어(105)로 구성된다. 시간-주파수영역에서 자원의 기본 단위는 리소스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RE)(106)로서 OFDM 심벌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인덱스로 나타낼 수 있다.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 RB 혹은 physical resource block, PRB)(107)은 시간영역에서 Nsymb개의 연속된 OFDM 심벌(101)과 주파수 영역에서 NRB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108)로 정의된다. 따라서, 하나의 RB(107)에는 RE(106)가 Nsymb x NRB개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최소 전송단위는 상기 RB 단위이다. LTE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상기 Nsymb= 7, NRB=12 이고, NBW 및 NRB는 시스템 전송 대역의 대역폭에 비례한다.
다음으로 LTE 및 LTE-A 시스템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정보(DCI)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혹은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DCI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달된다. DCI는 여러 가지 포맷을 정의하여,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인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인지 여부, 제어정보의 크기가 작은 컴팩트 DCI 인지 여부, 다중안테나를 사용한 공간 다중화 (spatial multiplexing)을 적용하는지 여부, 전력제어 용 DCI 인지 여부 등에 따라 정해진 DCI 포맷을 적용하여 운용한다. 예컨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정보인 DCI format 1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제어정보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 자원 할당 유형 0/1 플래그(resource allocation type 0/1 flag): 리소스 할당 방식이 유형 0 인지 유형 1 인지 통지한다. 유형 0 은 비트맵 방식을 적용하여 RBG(resource block group) 단위로 리소스를 할당한다. LTE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의 기본 단위는 시간 및 주파수 영역 리소스로 표현되는 RB(resource block)이고, RBG 는 복수개의 RB로 구성되어 유형 0 방식에서의 스케줄링의 기본 단위가 된다. 유형 1 은 RBG 내에서 특정 RB를 할당하도록 한다.
- 자원 블록 할당(resource block assignment): 데이터 전송에 할당된 RB를 통지한다. 시스템 대역폭 및 리소스 할당 방식에 따라 표현하는 리소스가 결정된다.
-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 변조방식과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인 transport block 의 크기를 통지한다.
-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프로세스 번호(HARQ process number): HARQ 의 프로세스 번호를 통지한다.
-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new data indicator): HARQ 초기전송인지 재전송인지를 통지한다.
- 중복 버전(redundancy version): HARQ 의 중복 버전(redundancy version)을 통지한다.
- PUCCH를 위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TPC(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 for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상향링크 제어 채널인 PUCCH 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통지한다.
상기 DCI는 채널코딩 및 변조과정을 거쳐 하향링크 물리제어채널인 PDCCH 혹은 EPDCCH (enhanced PDCCH)를 통해 전송된다.
DCI 메시지 payload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붙으며, CRC는 단말의 신원에 해당하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로 스크램블링(scrambling) 된다. DCI 메시지의 목적, 예를 들어 단말-특정(UE-specific)의 데이터 전송, 전력제어 명령 혹은 랜덤 엑세스 응답 등에 따라 서로 다른 RNTI 들이 사용된다. 곧, RNTI가 명시적으로 전송되지 않고 CRC 계산과정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PDCCH 상으로 전송되는 DCI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할당 받은 RNTI를 사용하여 CRC를 확인하여 CRC 확인 결과가 맞으면 해당 메시지는 그 단말에게 전송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2는 LTE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및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전송 자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LTE의 DCI가 전송되는 하향링크 물리채널인 PDCCH(201)와 EPDCCH(enhanced PDCCH, 202)를 도시한다.
도 2에 따르면, PDCCH(201)은 데이터 전송 채널인 PDSCH(203)와 시간다중화 되고, 전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전송된다. PDCCH(201)의 영역은 OFDM 심볼 개수로 표현이 되며 이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을 통해 전송되는 CFI(control format indicator)로 단말에게 지시된다. PDCCH(201)를 서브프레임의 앞부분에 오는 OFDM 심볼에 할당함으로써 단말이 최대한 빨리 하향링크 스케쥴링 할당을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디코딩 지연, 즉 전체적인 하향링크 전송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나의 PDCCH는 하나의 DCI 메시지를 운반하고,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 다수의 단말들이 동시에 스케쥴링될 수 있으므로, 각 셀 내에서는 다수개의 PDCCH의 전송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PDCCH(201)의 디코딩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로는 CRS(204)가 사용된다. CRS(204)는 전대역에 걸쳐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되고 셀 ID(identity)에 따라 스크램블링 및 자원 매핑이 달라진다. CRS(204)는 모든 단말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레퍼런스 신호이기 때문에 단말-특정 빔포밍이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LTE의 PDCCH에 대한 다중안테나 송신기법은 개루프 송신 다이버시티로 한정된다. CRS의 포트 수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디코딩으로부터 암묵적으로 단말에게 알려진다.
PDCCH(201)의 자원 할당은 CCE(control-channel element)를 기반으로 하며, 하나의 CCE는 9개의 REG(resource element group), 즉 총 36개의 RE(resource element)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정 PDCCH(201)를 위해 필요한 CCE의 개수는 1, 2, 4, 8개가 될 수 있으며, 이는 DCI 메시지 payload의 채널 코딩율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CCE 개수는 PDCCH(201)의 링크 적응(link adaptation)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말은 PDCCH(201)에 대한 정보를 모르는 상태에서 신호를 검출해야 하는데, LTE에서는 블라인드 디코딩을 위해 CCE들의 집합을 나타내는 탐색공간(search space)를 정의하였다. 탐색공간은 각 CCE의 aggregation level(AL)에 복수 개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되지 않고 단말 신원에 의한 함수 및 서브프레임 번호를 통해 암묵적으로 정의된다. 각 서브프레임 내에서 단말은 설정된 탐색공간 내의 CCE들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는 가능한 모든 자원 후보군(candidate)에 대하여 PDCCH(201)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고, CRC 확인을 통해 해당 단말에게 유효하다고 선언된 정보를 처리한다.
탐색공간은 단말-특정 탐색공간과 공통(Common) 탐색 공간으로 분류된다. 일정 그룹의 단말들 혹은 모든 단말들이 시스템정보에 대한 동적인 스케줄링이나 페이징 메시지와 같은 셀 공통의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PDCCH(201)의 공통 탐색 공간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의 사업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1의 전송을 위한 DL-SCH의 스케줄링 할당 정보는 PDCCH(201)의 공통 탐색 공간을 조사하여 수신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EPDCCH(202)는 PDSCH(203)와 주파수 다중화되어 전송된다. 기지국에서는 스케줄링을 통해 EPDCCH(202)와 PDSCH(203)의 자원을 적절히 할당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기존 LTE 단말을 위한 데이터 전송과의 공존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하지만 EPDCCH(202)는 시간 축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전체에 할당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 지연 시간 관점에서 손해가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다수의 EPDCCH(202)는 하나의 EPDCCH(202) set을 구성하게 되고 EPDCCH(202) set의 할당은 PRB(physical resource block) pair 단위로 이루어 진다. EPDCCH set에 대한 위치 정보는 단말-특정적으로 설정되며 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를 통해 시그널링된다. 각 단말에게는 최대 두 개의 EPDCCH(202) set이 설정될 수 있고, 하나의 EPDCCH(202) set은 서로 다른 단말에게 동시에 다중화되어 설정될 수 있다.
EPDCCH(202)의 자원할당은 ECCE(enhanced CCE)를 기반으로 하며, 하나의 ECCE는 4개 또는 8개의 EREG(enhanced REG)로 구성될 수 있고 ECCE 당 EREG의 개수는 CP길이와 서브프레임 설정정보에 따라 달라진다. 하나의 EREG는 9개의 RE들로 구성되고, 따라서 EREG는 PRB pair 당 16개가 존재할 수 있다. EPDCCH 전송 방식은 EREG의 RE 매핑 방식에 따라 localized/distributed 전송으로 구분된다. ECCE의 aggregation 레벨은 1, 2, 4, 8, 16, 32가 될 수 있으며, 이는 CP 길이, 서브프레임 설정, EPDCCH 포맷, 전송 방식에 의해 결정된다.
EPDCCH(202)는 오직 단말-특정 탐색 공간만을 지원한다. 따라서 시스템 메시지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은 반드시 기존 PDCCH(201) 상의 공통 탐색 공간을 조사해야 한다.
EPDCCH(202)에서는 디코딩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205)가 사용된다. 따라서 EPDCCH(202)에 대한 프리코딩은 기지국이 설정할 수 있고, 단말-특정 빔포밍을 사용할 수 있다. DMRS(205)를 통해 단말들은 어떠한 프리코딩이 사용되었는지 알지 못해도 EPDCCH(202)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EPDCCH(202)에서는 PDSCH(203)의 DMRS와 동일한 패턴을 사용한다. 하지만 PDSCH(203)과는 다르게 EPDCCH(202)에서의 DMRS(205)는 최대 4개의 안테나 포트를 이용한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DMRS(205)는 EPDCCH가 전송되는 해당 PRB에서만 전송된다.
DMRS(205)의 포트 설정 정보는 EPDCCH(202) 전송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Localized 전송 방식의 경우, EPDCCH(202)가 매핑되는 ECCE에 해당하는 안테나 포트는 단말의 ID에 기반하여 선택된다. 서로 다른 단말이 동일한 ECCE를 공유하는 경우, 즉 다중사용자 MIMO (multiuser MIMO) 전송이 사용될 경우, DMRS 안테나 포트가 각 단말들에게 할당될 수 있다. 혹은 DMRS(205)를 공유하여 전송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으로 설정되는 DMRS(205) 스크램블링(scrambling) 시퀀스(sequence)로 구분할 수 있다. Distributed 전송 방식의 경우, DMRS(205)의 안테나 포트는 두 개까지 지원되며, 프리코더 싸이클링(precoder cycling) 방식의 다이버시티 기법이 지원된다. 하나의 PRB pair내에서 전송되는 모든 RE들에 대하여 DMRS(205)가 공유될 수 있다.
LTE에서 전체 PDCCH 영역은 논리영역에서의 CCE의 집합으로 구성되며, CCE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탐색공간이 존재한다. 탐색 공간은 공통 탐색공간와 단말-특정 탐색공간으로 구분되고, LTE PDCCH에 대한 탐색공간은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01
상기에 기술한 PDCCH에 대한 탐색공간의 정의에 따르면 단말-특정 탐색공간은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되지 않고 단말 신원(identity)에 의한 함수 및 서브프레임 번호를 통해 암묵적으로 정의된다. 다시 말하자면, 단말-특정의 탐색공간이 서브프레임 번호에 따라 바뀔 수 있으므로 이는 시간에 따라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하여 단말들 사이에서 다른 단말들에 의하여 특정 단말이 탐색공간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blocking 문제로 정의한다.)를 해결해준다. 만약 자기가 조사하는 모든 CCE들이 이미 같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스케쥴링된 다른 단말들에 의하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어떠한 단말이 스케쥴링되지 못한다면, 이러한 탐색공간은 시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그 다음 서브프레임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단말#1과 단말#2의 단말-특정 탐색공간의 일부가 중첩되어 있을지라도, 서브프레임 별로 단말-특정 탐색공간이 변하기 때문에, 다음 서브프레임에서의 중첩은 이와는 다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상기에 기술한 PDCCH에 대한 탐색공간의 정의에 따르면 공통 탐색공간의 경우 일정 그룹의 단말들 혹은 모든 단말들이 PDCCH를 수신해야 하므로 기 약속된 CCE의 집합으로써 정의된다. 다시 말하자면, 공통 탐색공간은 단말의 신원이나 서브프레임 번호 등에 따라 변동되지 않는다. 공통 탐색공간이 비록 다양한 시스템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존재하지만, 개별적인 단말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통 탐색공간은 단말-특정 탐색공간에서 가용한 자원이 부족하여 단말이 스케쥴링 받지 못하는 현상에 대한 해결책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탐색공간은 주어진 aggregation level 상에서 단말이 디코딩을 시도해야 하는 CCE들로 이루어진 후보 제어채널들의 집합이며, 1, 2, 4, 8 개의 CCE로 하나의 묶음을 만드는 여러 가지 aggregation level이 있으므로 단말은 복수개의 탐색공간을 갖는다. LTE PDCCH에서 aggregation level에 따라 정의되는 탐색공간 내의 단말이 모니터링(monitoring)해야 하는 PDCCH 후보군들(candidates)의 수는 하기의 표로 정의된다.
Figure pat00002
[표 1]에 따르면 단말-특정(UE-specific) 탐색공간의 경우, aggregation level {1, 2, 4, 8}을 지원하며, 이 때 각각 {6, 6, 2, 2}개의 PDCCH 후보군들을 갖는다. 공통(common) 탐색공간의 경우, aggregation level {4, 8}을 지원하며, 이 때 각각 {4, 2}개의 PDCCH 후보군들을 갖는다. 공통 탐색공간이 aggregation level이 {4, 8}만을 지원하는 이유는 시스템 메시지가 일반적으로 셀 가장자리까지 도달해야 하기 때문에 커버리지(coverage)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공통 탐색공간으로 전송되는 DCI는 시스템 메시지나 단말 그룹에 대한 전력 조정(power control) 등의 용도에 해당하는 0/1A/3/3A/1C와 같은 특정 DCI 포맷에 대해서만 정의된다. 공통 탐색공간 내에서는 공간다중화(spatial multiplexing)를 갖는 DCI 포맷은 지원하지 않는다. 단말-특정 탐색 공간에서 디코딩해야 하는 하향링크 DCI 포맷은 해당 단말에 대하여 설정된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에 따라 달라진다. 전송모드의 설정은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대문에, 해당 설정이 해당 단말에 대하여 효력을 발휘하는 지에 대한 정확한 서브프레임 번호가 지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단말은 전송모드와 상관없이 DCI 포맷 1A에 대하여 항상 디코딩을 수행함으로써 통신을 잃지 않도록 동작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종래 LTE 및 LTE-A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채널 및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탐색공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하에서는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5G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전송 자원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5G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구성하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의 기본단위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제어채널을 구성하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의 기본 단위(REG)는 시간 축으로는 1 OFDM 심볼(301)로 구성되어 있고, 주파수 축으로는 12개의 서브캐리어(12 subcarriers)(302), 즉, 1 RB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채널의 기본 단위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시간 축 기본 단위를 1 OFDM 심볼(301)로 가정함으로써 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데이터채널과 제어채널이 시간다중화 될 수 있다. 데이터채널보다 제어채널을 앞에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프로세싱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지연시간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에 용이하다. 제어채널의 주파수축 기본 단위를 12개의 서브캐리어(302)로 정의되는 1 RB(302)로 설정함으로써 제어채널과 데이터채널 사이의 주파수 다중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REG(303)를 연접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제어채널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5G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할당되는 기본 단위를 CCE(304)라고 할 경우, 1 CCE(304)는 다수의 REG(30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CCE(304)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REG(303)는 12개의 RE로 구성될 수 있고 1 CCE(304)가 6개의 REG(303)로 구성된다면 1 CCE(304)는 72개의 RE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향링크 제어영역이 설정되면 해당 영역은 다수의 CCE(304)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정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제어영역 내의 aggregation level (AL)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CCE(304)로 매핑 되어 전송될 수 있다. 제어영역내의 CCE(304)들은 번호로 구분되며 이 때 번호는 논리적인 매핑 방식에 따라 부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기본 단위, 즉 REG(303)에는 DCI가 매핑되는 RE들과 이를 디코딩하기 위한 레퍼런스 신호인 DMRS(305)가 매핑되는 영역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DMRS(305)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port) 수를 고려하여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두 개의 안테나 포트가 사용되는 일 예를 보여준다. 이 때, 안테나포트#0을 위해 전송되는 DMRS(306)과 안테나포트#1을 위해 전송되는 DMRS(307)가 존재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안테나 포트에 대한 DMRS는 다양한 방식으로 다중화 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서로 다른 안테나 포트에 해당하는 DMRS가 서로 다른 RE에서 각각 직교하여 전송되는 일 예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FDM(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되어 전송될 수 있고, 혹은 CDM(code-division multiplexing)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형태의 DMRS 패턴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안테나포트 수와 연관될 수 있다.
도 4는 5G 하향링크 제어채널 및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전송 자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5G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제어영역(control resource set, CORESET)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에는 주파수 축으로 시스템 대역폭(system bandwidth)(410), 시간축으로 1 슬롯(slot)(420) (도 4의 일 예에서는 1 슬롯을 7 OFDM 심볼로 가정함) 내에 2개의 제어영역(제어영역#1(control resource set #1)(401), 제어영역#2(control resource set #2)(402))이 설정되어 있는 일 예를 보여준다. 제어영역(401, 402)는 주파수 축으로 전체 시스템 대역폭(410) 내에서 특정 서브밴드(subband)(403)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시간 축으로는 하나 혹은 다수 개의 OFDM 심볼로 설정될 수 있고 이를 제어영역 길이(control resource set duration)(404)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4의 일 예에서는 제어영역#1(401)은 2 심볼의 제어영역 길이로 설정되어 있고, 제어영역#2(402)는 1 심볼의 제어영역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5G에서의 제어영역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컨대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MIB(master information block),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단말에게 제어영역을 설정한다는 것은 제어영역의 위치, 서브밴드, 제어영역의 자원할당, 제어영역 길이 등의 정보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하기의 [표 2]와 같은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2]의 설정정보 외에도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이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다.
실제로 제어영역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존재하는 영역 혹은 제어영역들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 주파수 영역에서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MAC CE(control element)s 등이 하향 데이터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송되며, 단말은 하향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의 MAC CE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소형 기지국(501)내에 NR 셀(cell) 1(502)과 NR 셀(cell) 2(503)가 공존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단말(504)은 NR 셀 1(502)과 NR 셀 2(503)를 통해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NR 셀 1(502)과 NR 셀 2(503)의 듀플렉스(duplex) 방식이나 면허 대역 혹은 비면허 대역인지에 대한 제한은 없다. 단, 상향링크 전송은 NR 셀 1(502)이 P셀(primary cell)인 경우 NR 셀 1(502)을 통해서만 전송한다. 단말(504)이 서로 다른 2개의 셀을 통해 상향링크 전송을 할 수 있고, 기지국(501)에서 NR 셀 2(503)에서도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도록 단말(504)가 상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향링크 전송은 NR 셀 1(502)와 NR 셀 2(503)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도 5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에서 넓은 커버리지를 위한 매크로(macro) 기지국(511)과 데이터 전송량 증가를 위한 TRP(송-수신 지점, transmit-receive point) 혹은 소형 기지국(512)을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 경우 매크로 기지국(511)이나 TRP 혹은 소형 기지국의 듀플렉스 방식이나 면허 대역 혹은 비면허 대역인지에 대한 제한은 없다. 단, 상향링크 전송은 매크로 기지국이 P셀인 경우 매크로 기지국(511)을 통해서만 전송한다. 이때, 매크로 기지국(511)과 TRP 혹은 소형 기지국(512)은 이상적인 백홀(backhaul)망을 가진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빠른 기지국간 X2 통신(513)이 가능하여, 상향링크 전송이 매크로 기지국(511)에게만 전송되더라도, X2 통신(513)을 통해 TRP 혹은 소형 기지국(512)이 관련 제어 정보를 매크로 기지국(511)으로부터 실시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말(514)이 서로 다른 2개의 기지국을 통해 상향링크 전송을 할 수 있고, 매크로 기지국(511)에서 TRP 혹은 소형 기지국(512)에서도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도록 단말(514)이 상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향링크 전송은 매크로 기지국(511)과 TRP 혹은 소형 기지국(512)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매크로 기지국(511)과 TRP 혹은 소형 기지국(512)은 비이상적인 백홀망을 가진 것으로도 가정하여 기지국과 단말간 송수신이 가능하다.
상기 도 5a와 도 5b의 시스템에서 NR 셀 1(502)과 NR 셀 2(503) 혹은 매크로 기지국(511)과 TRP 혹은 소형 기지국(512)은 복수개의 서빙셀을 구비할 수 있으며, 모두 합쳐 32개의 서빙 셀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방안들은 도 5a의 시스템과 도 5b의 시스템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반송파 결합(carrier aggregation(CA), 혹은 캐리어 집성 혹은 캐리어 집적이라고 칭함)에서 하향링크 캐리어와 상향링크 캐리어들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단말에게 설정되는지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일반적인 5G 캐리어 집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3GPP LTE Rel-10에서 LTE Rel-8과 비교하여 더 높은 데이터 송신량을 지원하기 위하여 대역폭 확장 기술이 채택되었다. 대역폭 확장(bandwidth extension) 또는 반송파 결합(carrier aggregation, CA)이라 불리기도 하는 상기 기술은 대역을 확장하여 한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LTE Rel-8 단말에 비하여 확장한 대역만큼 데이터 송신량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5G에서도 NR 캐리어에 대해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며,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기 위한 상기의 대역들 각각을 구성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라고 부르며, NR 단말은 일반적으로 하향과 상향에 대해서 각각 한 개의 구성 반송파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향 구성 반송파와 시스템 정보에서 내려오는 정보로써 연결(SIB link, 혹은 본 개시에서 SIB 연결로 칭함)되어 있는 상향 구성 반송파를 묶어서 셀(cell)이라고 한다.
도 6에서 하향 구성 반송파(downlink(DL) carrier) 1(601)은 상향 구성 반송파(uplink(UL) carrier) 1(602)과 SIB 연결(link)(603)으로 묶여서 셀 1(607)을 구성하며, 하향 구성 반송파 2(604)는 상향 구성 반송파 2(605)와 SIB 연결(606)으로 묶여서 셀 2(608)을 구성한다.
하향 구성 반송파와 상향 구성 반송파의 SIB 연결 관계는 셀 공통 신호 혹은 단말 전용 신호로 송신되어 단말에게 수신된다. CA를 지원하는 단말은 다수의 서빙 셀(serving cell)을 통하여 하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상향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이 특정 단말에게 특정 서빙 셀에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보내기가 어려운 상황일 때, 다른 서빙 셀에서 PDCCH를 송신하고 해당 PDCCH가 다른 서빙 셀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지시한다는 것을 알려 주는 필드로써 반송파 지시 필드(carrier indicator field, CIF)를 상위 신호로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은 상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반송파 지시 필드가 PDCCH의 정보비트에 포함됨을 알 수 있다. CIF는 특정 서빙 셀에서 PDCCH 정보에 3비트를 추가하여 다른 서빙 셀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CIF가 하향링크 할당 정보(DL assignment)에 포함되어 있을 때, 상기 CIF는 DL assignment에 의해 스케줄링 되는 PDSCH가 송신될 서빙 셀을 가리키며, 상기 CIF가 상향링크 자원 살당 정보(UL grant)에 포함되어 있을 때, 상기 CIF는 UL grant에 의해 스케줄링 되는 PUSCH가 송신될 서빙 셀을 지시하도록 정의된다. PDSCH가 송신되거나 PUSCH가 송신되는 셀을 위해 PDCCH가 전송되는 셀 인덱스 및 PDSCH가 송신되거나 PUSCH가 송신되는 셀과 CIF의 맵핑(mapping)은 사전에 상위 신호로 전송되어 단말이 수신한다. 즉, 상기 상위신호를 단말이 수신하여 PDSCH가 송신되는 셀 및 PUSCH가 송신되는 셀을 위한 PDCCH를 상위 신호에 의해 지시된 PDCCH가 전송되는 셀에서 모니터링 하며, PDCCH가 전송되는 셀에서 수신된 특정 PDCCH에 포함된 CIF 값과 상기 상위 신호를 통해 상기 CIF 값이 지시하는 PDSCH 송신 셀과 PUSCH 송신 셀을 단말이 알 수 있다. 한편, NR에서는 최대 16개 혹은 32개의 서빙 셀 설정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있다.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5G 상하향 캐리어에 추가적으로 보완 상향링크 캐리어(supplementary uplink carrier, 혹은 SUL)가 설정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5G 상하향캐리어에 보완상향링크 캐리어가 설정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하향 구성 반송파(downlink(DL) carrier) 1(701)은 상향 구성 반송파(uplink(UL) carrier) 1(702)과 SIB 연결(link)(703)로 묶여서 셀 A(706)를 구성한다. 이 때, 3.5GHz와 같은 주파수 대역에 셀 A(706)가 위치하는 경우 3.5GHz와 같은 주파수 대역의 특성으로 인해 단말의 상향 전송 커버리지가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3.5GHz의 주파수가 주로 하향 슬롯과 상향 슬롯을 시간적으로 구분하여 활용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 시분할 듀플렉스)로 운영되는 상황을 고려하면 HARQ-ACK 피드백을 전송할 때 가능한 상향 슬롯이 없는 경우 피드백의 지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가령 700MHz 혹은 1.8GHz의 저주파 대역의 상향링크 캐리어를 상기 셀 A(706)에 추가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저주파 대역의 상향링크 캐리어를 단말이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에서는 셀 A(706)에 보완상향링크 캐리어(SUL carrier) 2(704)를 하향 구성 반송파 1(701)에 연결되도록 설정(configuration)(705)하여, 셀 1(707)에 포함되도록 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보완상향링크 캐리어 2(704)의 존재 여부에 따라 셀 A(706)과 셀 1(707)로 구분하여 설명하지만, 보완상향링크 캐리어 2(704)를 포함한 셀 1(707)만이 단말에게 하나의 셀로 인식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완상향링크 캐리어를 셀 1(707)에 추가적으로 설정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도록 한다.
<제 1실시예>
본 개시에 따른 제 1 실시예에서는 보완상향링크 캐리어를 NR 셀에 추가적으로 설정하고, 초기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를 수행하기 위한 방안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고 보완상향링크 캐리어를 활성화/비활성화 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완상향링크 캐리어를 NR 셀에 추가적으로 설정하고, 초기 랜덤 엑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먼저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에서의 초기 랜덤 접속 수행을 할 수 있도록 기지국은 셀 1(707)의 하향 구성 반송파(701)에서 단말에게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에서의 랜덤 접속 설정(random access channel configuration, 혹은 RACH configuration) 정보를 셀 공통 신호를 통해 전송하고, 단말은 상기 셀 1(707)의 하향 구성 반송파(701)에서의 셀 공통 신호를 통해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에서의 랜덤 접속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S801). 상기 랜덤 접속 설정 정보는 보완상향링크 캐리어 주파수 위치 정보, 대역 정보, 랜덤 프리앰블 전송을 위한 시간, 주파수 정보, 랜덤 프리앰블 시퀀스 정보, 보완상향링크 캐리어 선택을 위한 임계값(threshol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셀 1(707)의 하향 구성 반송파(701)에서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측정하고(S802), 측정한 RSRP를 상기 랜덤 접속 설정 정보에 포함된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 선택을 위한 임계값과 비교하여(S803), 측정한 RSRP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만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에서 랜덤 접속을 수행한다(S804).
측정한 RSRP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셀 1(706)의 상향 구성 반송파(702)에서 랜덤 접속을 수행한다. 상기의 RSRP 측정을 통해 임계값과 비교하는 이유는 TDD인 경우 하향 구성 반송파와 상향 구성 반송파의 상호관계(reciprocity)를 이용하여 하향 구성 반송파(701)의 RSRP를 측정함으로써 상향 구성 반송파(702)의 커버리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RSRP 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향 구성 반송파(702)의 커버리지가 작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이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를 통해 랜덤 접속을 수행한다. 단말이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를 통해 초기 랜덤 접속을 수행한다고 하는 것은 상기 상기 랜덤 접속 설정 정보에 포함된 보완상향링크 캐리어 주파수 위치 정보, 대역 정보, 랜덤 프리앰블 전송을 위한 시간, 주파수 정보 등을 이용하여 단말이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의 특정 시간, 주파수 자원에서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랜덤 접속 절차에 필요한 상향 전송을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에서 완료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말이 랜덤 접속 절차를 보완 상향링크 캐리어(704)에서 완료한 이후 추가적으로 보완 상향링크 캐리어에 대한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상위 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보완 상향링크 캐리어에 대한 설정 정보는 보완 상향링크 캐리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필요한 상위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가령 상향 제어 채널 전송을 위한 전송 PUCCH 포맷 별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정보, 시퀀스/주파수 호핑 정보, 전력 제어 정보, 기타 설정 정보들, 상향 데이터 채널 전송을 위한 주파수 호핑 정보 및 기타 설정 정보들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의 단말이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 대한 설정 정보에 대한 수신을 완료한 이후, 상기 보완 상향링크 캐리어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완상향링크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는 방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Oct 1(901)은 총 5개의 셀까지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기 위한 상위 신호인 MAC CE 전송 정보 혹은 물리 신호인 DCI 전송 정보일 수 있다. Oct 1 내지 Oct 4 (902)는 총 32 개의 셀까지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기 위한 MAC CE 전송 정보 혹은 DCI 전송 정보일 수 있다. 단말은 상기 신호의 수신을 통해 특정 셀 혹은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를 판단한다.
이 때, R은 특정 셀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를 포함하지 않도록 예비(reserved)된 비트를 의미하며, Ci는 셀인덱스 i를 갖는 셀이 설정되었을 때, 상기 셀인덱스 i를 갖는 셀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를 의미한다. 가령, C2가 1인 경우, 셀인덱스 2를 갖는 셀이 활성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C2가 0인 경우, 셀인덱스 2를 갖는 셀이 비활성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말은 설정되지 않은 셀에 대한 셀인덱스를 갖는 Ci 값을 무시할 수 있다.
먼저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가 포함된 셀 1(707)이 단말에게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인 경우의 첫번째 내지 세번째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에게 프라이머리 셀이라는 의미는 상기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에서 동기신호를 수신하고, PBCH와 SIB를 수신하며, 초기 랜덤 접속을 수행하는 셀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첫번째 방법은 만일 단말이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서 초기 랜덤 접속을 수행한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 대한 활성화 지시 없이 보완 상향 캐리어가 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하고 주기적 채널 정보를 포함한 상향링크 전송을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서 수행한다. 이 때, 도 9의 Oct 1(901) 혹은 Oct 1 내지 Oct 4 (902)는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를 따로 포함하지 않으며, 프라이머리 셀은 항상 활성화 상태임을 고려했을 때, 단말은 상위 신호로부터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의 재설정 수신(일 예로 설정을 해제하는 것을 포함함)을 통해 보완상향링크 캐리어가 비활성화 되었음을 판단한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두번째 방법은 만일 단말이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서 초기 랜덤 접속을 수행한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 대한 활성화 지시 없이 보완 상향 캐리어가 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하고 주기적 채널 정보를 포함한 상향링크 전송을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서 수행한다. 이 때, 도 9의 Oct 1(901) 혹은 Oct 1 내지 Oct 4 (902)는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를 포함한다. 프라이머리 셀은 항상 활성화 상태임을 고려했을 때, 가령 도 7의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는 특정 Ck로 지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혹은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는 리저브드 비트(R)로써 지시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보완상향링크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세번째 방법은 만일 단말이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서 초기 랜덤 접속 수행 여부와 상관없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 대한 활성화 지시 후에 보완 상향 캐리어가 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하고 주기적 채널 정보를 포함한 상향링크 전송을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서 수행한다. 이 때, 도 9의 Oct 1(901) 혹은 Oct 1 내지 Oct 4 (902)는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를 포함한다. 프라이머리 셀은 항상 활성화 상태임을 고려했을 때, 가령 도 7의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는 특정 Ck로 지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혹은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는 리저브드 비트(R)로써 지시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가 포함된 셀 1(707)이 단말에게 세컨더리 셀인 경우의 네번째, 다섯번째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에게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이라는 의미는 상기 단말이 프라이머리 셀에서 동기신호를 수신하고, PBCH와 SIB를 수신하며, 초기 랜덤 접속을 수행한 이후 데이터 채널 및 제어 채널 송수신을 위해서 상위 신호에 의해 설정 받아 추가한 셀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네번째 방법은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 대한 활성화 지시 후에 보완 상향 캐리어가 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하고 주기적 채널 정보를 포함한 상향링크 전송을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서 수행한다. 이 때, 도 9의 Oct 1(901) 혹은 Oct 1 내지 Oct 4 (902)는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를 따로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완 상향링크 캐리어가 설정되어 있는 상하향 구성 반송파(도 7의 셀 A(706))의 활성화 정보로부터 보완 상향 캐리어가 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하고 주기적 채널 정보를 포함한 상향링크 전송을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서 수행한다 가령, 도 7의 셀 1(707)의 셀 인덱스가 1인 세컨더리 셀인 경우 C1은 셀 A(706)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를 지시하며,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는 셀 A(706)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를 그대로 적용한다. 따라서, 단말은 셀 A(706)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를 통해 보완상향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를 판단한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다섯번째 방법은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 대한 활성화 지시 후에 보완 상향 캐리어가 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하고 주기적 채널 정보를 포함한 상향링크 전송을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서 수행한다. 이 때, 도 9의 Oct 1(901) 혹은 Oct 1 내지 Oct 4 (902)는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를 포함한다. 가령 도 7의 셀 1(707)의 셀 인덱스가 1인 경우 C1은 셀 A(706)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를 지시하며,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는 셀 A(706)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를 지시하는 C1 옆의 C2로 지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혹은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는 리저브드 비트(R)로써 지시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혹은 셀 1(707)의 셀 인덱스 및 셀 A(706)의 CIF 값과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의 CIF 값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셀 1(707)의 셀 인덱스가 7이고, 하향 구성 반송파 1(701)에서 PDCCH를 전송하여 상향 구성 반송파 1(702)에서의 PUSCH를 스케줄링 하기 위한 CIF 값이 3이고, 하향 구성 반송파 1(701)에서 PDCCH를 전송하여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에서 PUSCH를 스케줄링 하기 위한 의 CIF 값이 2인 경우, 셀 인덱스에 따른 C7 은 CIF가 작은 값인 보완상향링크 캐리어(704)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를 지시하며, C8 은 CIF가 큰 값인 셀 A(706)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를 지시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단말이 상기 다섯 가지 방안에 따라 보완 상향링크 캐리어에 대한 활성화를 판단한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PUCCH 전송을 상향 구성 반송파 1(702)에서 전송할 지, 보완 상향 링크 캐리어 (704)에서 전송할지를 상위 신호로 설정을 수신한다. 단말은 PUSCH 전송은 상기 PUCCH 전송이 결정된 캐리어를 통해 수행한다.
추가적으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PUSCH 전송을 상향 구성 반송파 1(702)에서 전송할 지, 보완 상향 링크 캐리어 (704)에서 전송할지를 동적으로 스케줄링 받을 수 있도록 상위 신호로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PDCCH에 포함된 CIF 값이 PUSCH 전송을 상향 구성 반송파 1(702)에서 전송할 지, 보완 상향 링크 캐리어 (704)에서 전송할지를 지시하며, 단말은 CIF 값에 따라서 상향 구성 반송파 1(702) 혹은 보완 상향 링크 캐리어 (704)에서 PUSCH 를 전송한다. 상기 CIF 값에 따른 상향 구성 반송파 1(702) 혹은 보완 상향 링크 캐리어 (704)의 맵핑 관계는 상기 상위 신호 혹은 사전에 보완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한 설정을 지시하는 상위 신호를 통해 단말이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서 보완 상향링크 캐리어가 추가적으로 5G 상하향 캐리어에 설정된 경우 비주기 채널 정보를 트리거링하고 하향 구성 반송파에 대한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방안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 2실시예>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5G 상하향캐리어에 보완상향링크 캐리어가 설정된 경우 비주기 채널 정보 트리거링이 전송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 5G 하향 구성 반송파(downlink(DL) carrier)(1001)와 5G 상향 구성 반송파(uplink(UL) carrier)(1002)는 SIB 연결(link) 관계(1003)로 연결되어 있으며, 보완상향링크 캐리어(SUL carrier)(1004)에 대한 설정 정보를 통해 상기 5G 상하향 구성 반송파에 보완상향링크 캐리어(1004)가 추가적으로 설정(configuration)(1005)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 반송파(1001, 1002)들의 SIB 연결 관계(1003) 및 보완 상향 링크 캐리어(1004)에 대한 설정 정보 수신은 본 개시의 도 5, 6, 7, 8, 9에서 설명한 방안을 따른다.
상기 보완 상향링크 캐리어에서의 PUSCH 스케줄링을 위해서 PDCCH에는 CIF 3비트 필드가 항상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5G 상하향 구성 반송파 및 보완 상향링크 캐리어는 하나의 셀인 셀 1(1007)에 포함되기 때문에 비주기 채널 정보 요청을 위한 비트 필드는 1비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단말이 하나 이상의 서빙 셀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를 조건으로 단말은 비주기 채널 정보 요청을 위한 비트 필드는 1비트로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조건은 보완 상향링크 캐리어가 5G 상하향 구성 반송파에 추가적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도 단말이 비주기 채널 정보 요청을 위한 비트 필드는 1비트로 결정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비주기 채널 요청을 위한 비트 필드의 정보가 '1'인 경우, CIF 값에 따른 상향 구성 반송파에서 PUSCH에 비주기 채널 정보를 다중화하여 전송한다. 만약 상기 비주기 채널 요청을 위한 비트 필드의 정보가 '0'인 경우, CIF 값에 따른 상향 구성 반송파에서 PUSCH만을 전송한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여 상기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과 기지국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 및 도 12는 상기 실시 예에 해당하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보완상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때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 방안을 제공하고, 보완상향링크 캐리어가 설정되어 활성화되었을 때, 비주기 채널 정보 송수신을 위한 특정 하향링크 캐리어를 지시함으로써, 비주기 채널 정보 송수신을 통한 효율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기지국과 단말의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단말 처리부(1101), 단말 수신부(1102), 단말 송신부(110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처리부(1101)는 단말을 구성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단말 수신부(1102)와 단말 송신부(1103)를 통칭하여 단말 송수신부라 칭할 수 있다.
단말 처리부(1101)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동작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때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 방법, 보완상향링크 캐리어가 설정되어 활성화되었을 때, 비주기 채널 정보 송수신을 위한 특정 하향링크 캐리어를 지시 방법 등을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단말 송수신부는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 처리부(1101)로 출력하고, 단말 처리부(110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기지국 처리부(1201), 기지국 수신부(1202), 기지국 송신부(120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처리부(1201)는 기지국을 구성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기지국 수신부(1202)와 기지국 송신부(1203)를 통칭하여 기지국 송수신부라 칭할 수 있다.
기지국 처리부(1201)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때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의 활성화/비활성화 방법, 보완상향링크 캐리어가 설정되어 활성화되었을 때, 비주기 채널 정보 송수신을 위한 특정 하향링크 캐리어를 지시 방법 등을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 송수신부는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 처리부(1201)로 출력하고, 기지국 처리부(120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기지국과 단말이 운용될 수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12가 예시하는 방법 예시도, 시스템의 구성도, 장치 구성도 등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의도가 없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즉, 상기 도 1 내지 도 12에 기재된 모든 구성 또는 동작이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필수 구성요소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일부 구성요소 만을 포함하여도 본 개시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동작들은 해당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메모리 장치를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또는 단말 장치 내의 임의의 구성부에 구비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즉, 기지국 또는 단말 장치의 제어부는 메모리 장치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지국 또는 단말 장치의 다양한 구성부들과, 모듈(module)등은 하드웨어(hardware) 회로, 일 예로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기반 논리 회로와, 펌웨어(firm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 및/혹은 하드웨어와 펌웨어 및/혹은 머신 판독 가능 매체에 삽입된 소프트웨어의 조합과 같은 하드웨어 회로를 사용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다양한 전기 구조 및 방법들은 트랜지스터(transistor)들과, 논리 게이트(logic gate)들과, 주문형 반도체와 같은 전기 회로들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보완상향링크 캐리어(supplementary uplink carrier: SUL carrier)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하향 구성 반송파(downlink carrier: DL carrier)의 셀 공통 신호를 통해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서의 랜덤 접속 설정(random access channel configuration: RACH configuration)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향 구성 반송파에서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을 상기 보완상향링크 캐리어 선택을 위한 임계값(threshold)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보완상향링크 캐리어에서 랜덤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완상향링크 캐리어 선택을 위한 임계값은 상기 랜덤 접속 설정 정보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70153352A 2017-11-16 2017-11-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56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352A KR102456001B1 (ko) 2017-11-16 2017-11-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6/764,759 US20200367289A1 (en) 2017-11-16 2018-11-15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through uplink carr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8/014007 WO2019098710A1 (ko) 2017-11-16 2018-11-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352A KR102456001B1 (ko) 2017-11-16 2017-11-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180A true KR20190056180A (ko) 2019-05-24
KR102456001B1 KR102456001B1 (ko) 2022-10-19

Family

ID=66539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352A KR102456001B1 (ko) 2017-11-16 2017-11-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67289A1 (ko)
KR (1) KR102456001B1 (ko)
WO (1) WO2019098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68254B1 (en) * 2017-09-08 2021-09-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CN112203288B (zh) * 2019-07-08 2022-09-06 中国移动通信集团浙江有限公司 Sul网络规划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11540224B2 (en) 2020-02-11 2022-12-27 Qualcomm Incorporated Vehicle-to-everything (V2X) inter-user equipment (UE) coordination
CN113811003A (zh) * 2020-06-15 2021-12-17 华为技术有限公司 载波配置方法及相关装置
CN113992214A (zh) * 2021-10-12 2022-01-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射频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WO2023177750A1 (en) * 2022-03-15 2023-09-21 Google Llc Ue coordin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42134A1 (en) * 2010-08-16 2013-06-06 Zte Corporation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Base Station
KR20160044589A (ko) * 2008-11-25 2016-04-2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복수의 업링크 반송파 및 복수의 다운링크 반송파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70279580A1 (en) * 2016-03-24 2017-09-28 Qualcomm Incorporated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for enhanced carrier aggreg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4312B (zh) * 2017-04-14 2021-02-09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初始连接的方法和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589A (ko) * 2008-11-25 2016-04-2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복수의 업링크 반송파 및 복수의 다운링크 반송파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30142134A1 (en) * 2010-08-16 2013-06-06 Zte Corporation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Base Station
US20170279580A1 (en) * 2016-03-24 2017-09-28 Qualcomm Incorporated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for enhanced carrier aggrega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5716* *
3GPP R2-171180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001B1 (ko) 2022-10-19
WO2019098710A1 (ko) 2019-05-23
US20200367289A1 (en)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67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fferent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229022B2 (en) Determination of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assignment in power saving mode
KR10242507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하향링크 제어채널 설정 방법 및 장치
US20200389874A1 (en) Determination of search space sets for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monitoring
US116900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fferent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04218B2 (en) Control signaling design for improved resource utilization
KR10248896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 및 데이터채널을 송수신 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3850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086894A1 (en) Multi-cell scheduling with reduced control overhead
KR10237379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탐색 및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64674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5808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하향 제어채널 송수신 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5600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008295A (ko) 새로운 라디오 다운링크 제어 채널
KR102359788B1 (ko)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KR2019003748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04869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8012536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자원영역 설정 및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19004074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부분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9005374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3821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24003893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1528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04997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9007238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