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106A - 창상 치료제로서의 펩타이드의 용도 - Google Patents

창상 치료제로서의 펩타이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106A
KR20190056106A KR1020170153194A KR20170153194A KR20190056106A KR 20190056106 A KR20190056106 A KR 20190056106A KR 1020170153194 A KR1020170153194 A KR 1020170153194A KR 20170153194 A KR20170153194 A KR 20170153194A KR 20190056106 A KR20190056106 A KR 20190056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amino acid
skin
seq
acid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호
김면수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3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6106A/ko
Publication of KR20190056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5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defined seque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상 치료제로서의 펩타이드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In vitro 및 급성 창상 동물모델 모두에서 유의적인 상처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특히 현재 시판되고 있는 상처 치료제인 EGF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상처 치료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피부외용제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창상 치료제로서의 펩타이드의 용도{Use of a peptide as a therapeutic agent for wound healing}
본 발명은 창상 치료제로서의 펩타이드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체온조절, 분비, 배설, 흡수 등의 다양한 작용을 하고, 특히 인체의 최외부에 존재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으로 인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표피는 인체의 외부와 내부로부터 방어작용을 하고, 진피는 피부의 탄력 및 지지 역할, 피하지방은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피부 창상은 일반적으로 피부를 구성하고 있는 표피층 및 하부 진피층이 손상 받은 상태를 의미한다. 정상적인 창상의 치료과정은 지혈단계(응괴 형성), 염증단계, 증식단계(재상피화, 혈관형성, 섬유증식), 창상 수축의 단계를 거친다. 지혈단계는 손상된 창상면의 모세혈관의 파열로 인하여 혈관 내 존재하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에 의해 혈괴(피딱지)가 형성되어 지혈이 되는 단계로 백혈구, 호중구 등의 면역세포가 창상부위로 이동을 시작하며, 각종 사이토카인이 분비된다. 염증단계는 창상부위로 이동된 백혈구, 호중구 등의 면역세포가 창상 외부에서 침입한 이물질, 병원균 등의 위해물질과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신체보호의 단계이며, 손상된 조직의 처리도 일어난다. 증식단계는 섬유아세포의 이동과 증식이 일어나고 콜라겐 및 엘라스틴 등의 조직구성 단백질이 생성되며, 손상된 조직 내로 새로운 혈관이 증식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수축단계는 새로 합성된 조직과 증식된 세포들 간의 느슨한 결합력을 단단히 잡아줘서 조직의 접합력과 탄력성을 올리는 단계이다. 창상 치료에는 피부의 빠른 재생과 복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증식 단계가 신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창상 치료에 있어 섬유아세포는 창상부위로 이동하여 증식 및 창상 부위를 수축시키며, 교원질 등의 세포외 기질을 합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현재, 다양한 활성을 가지고 있어 상처 치료 제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EGF(표피성장인자, Epidermal growth factor)는 정제하여 얻거나 또는 박테리아에서 과량 발현하여 얻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직접 정제하여 얻을 경우 시간, 돈, 그리고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박테리아에서 과량 발현 방법은 세포 내에서의 낮은 발현량과 박테리아의 단백질 분해 효소 등에 의하여 회수 수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EGF는 만성의 상처 부위에는 낮은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으며, 온도 및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한 짧은 반감기로 인하여 효율 대비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새로운 상처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치료제로서의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면서 유효한 치료 효과를 갖는 새로운 창상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본 발명에서 제조한 펩타이드가 유의적인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 효과가 있는 것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상 치료용 펩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In vitro 및 급성 창상 동물모델 모두에서 유의적인 상처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특히 현재 시판되고 있는 상처 치료제인 EGF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상처 치료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피부외용제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인간 상피 세포주인 HaCaT 세포에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상처 치료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급성 창상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상처 치료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SP3'은 본 발명의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처리군.
이하, 본 발명의 용어는 하기와 같이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아미노산에 대한 통상의 1문자 및 3문자 코드가 사용될 뿐만 아니라, Aib(α-아미노이소부티르산), Sar(N-methylglycine) 등과 같은 다른 아미노산에 대해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3문자 코드가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약어로 언급된 아미노산은 IUPAC-IUB 명명법에 따라 기재되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peptide)”는 아마이드 결합(또는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2개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머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목적상, 창상 치료 효과를 가지는 펩타이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안정성"은 생체 내 단백질 절단효소의 공격으로부터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보호하는 인 비보 안정성뿐만 아니라, 저장 안정성(예컨대, 상온 저장 안정성)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질환에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개체"는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개선"이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펩타이드는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2개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머를 의미하는데, 펩타이드 자체 크기가 너무 커서 표적 조직 또는 세포에 효과적으로 유입되지 못하거나 반감기가 짧아 단기간에 체내에서 소멸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상기 펩타이드는 창상 치료 활성을 가지는, 2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15개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개 이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펩타이드의 창상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아미노산 잔기의 결실, 삽입,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상이한 서열을 가지는 아미노산의 변이체들 또는 단편들일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의 창상 치료 효과를 전체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펩타이드 수준에서의 아미노산 교환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인산화(phosphorylation), 황화(sulfation), 아크릴화(acrylation), 당화(glycosylation), 메틸화(methylation), 파네실화(farnesylation)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변이체 또는 이의 활성 단편을 포함한다. 상기 실질적으로 동일한 펩타이드란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과 각각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에는 표적화 서열, 태그(tag), 표지된 잔기, 반감기 또는 펩타이드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특정 목적으로 제조된 아미노산 서열이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펩타이드는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서,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재조합과 단백질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하거나 펩타이드 합성과 같은 화학적 합성을 통하여 시험관 내에서 합성하는 방법, 및 무세포 단백질 합성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보다 나은 화학적 안정성, 강화된 약리 특성(반감기, 흡수성, 역가, 효능 등), 변경된 특이성(예를 들어, 광범위한 생물학적 활성 스펙트럼), 감소된 항원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펩타이드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보호기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기는 아세틸기, 플루오레닐 메톡시 카르보닐기, 포르밀기, 팔미토일기, 미리스틸기, 스테아릴기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일 수 있으나, 펩타이드의 개질, 특히 펩타이드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성분이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창상 치료는 피부 손상의 발전 억제, 피부 손상의 경감, 또는 피부 손상의 제거를 의미하며, 상기 창상은 구체적으로 화상, 열상, 표피 창상, 궤양, 외상, 외과적 수술(post-surgical), 출산, 만성적 상처(chronic wound), 피부염(dermatitis)에 의한 손상, 각막 궤양, 각막 상피 박리, 각막염 및 안구건조증으로 인한 손상이다.
또한, 상기 화상은 태양, 화학적, 방사선 또는 열에 의한 화상일 수 있고, 상기 궤양은 당뇨성 궤양일 수 있으며, 상기 만성적 상처는 욕창 또는 압력성 궤양일 수 있고, 상기 피부염은 농가진(impetigo), 간찰진(intertrigo), 모낭염(folliculitis) 및 습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피부염에 의한 손상은 피부주름, 피부 마름 또는 피부 파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를 제작한 후, 인간 상피 세포주인 HaCaT 세포에서 상처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시간에 경과에 따른 유의적인 상처 치료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48시간 이후에는 현저한 상처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급성 창상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상처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급성 창상 마우스 모델(full-thickness excision model)에서 상처 크기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의 펩타이드 처리군에서 상처 치료효능이 유의적으로 나타났고, 특히 일부 구간에서는 양성대조군(EGF 처리군)에 비해서도 치료효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In vitro 및 급성 창상 동물모델 모두에서 유의적인 상처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특히 현재 시판되고 있는 상처 치료제인 EGF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상처 치료 효과 및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콜로이드 현탁액, 분말, 식염수, 지질, 리포좀, 미소구체(microspheres), 또는 나노 구형입자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담체에 운반될 수 있다. 이들은 운반 수단과 복합체를 형성하거나 관련될 수 있고, 지질, 리포좀, 미세입자, 금, 나노입자, 폴리머, 축합 반응제, 다당류, 폴리아미노산, 덴드리머, 사포닌, 흡착 증진 물질 또는 지방산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운반 시스템을 사용하여 생체 내 운반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 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담체로 거즈, 붕대, 밴드, 필름, 접착 패치 및 미접착 패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상체 드르싱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근육 내,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피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창상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창상 치료제와는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배설 속도, 질병 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 투여경로, 투여횟수, 적응증 및 부작용 중 하나 이상을 개시한 지시서와 함께 창상 치료 또는 피부 개선용 키트로 제공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는 상기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항목에서 설명한 펩타이드와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항목을 원용하고, 이하에서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피부 외용제에 특유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In vitro 및 급성 창상 동물모델 모두에서 유의적인 상처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특히 현재 시판되고 있는 상처 치료제인 EGF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상처 치료 효과 및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피부외용제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피부 국소 도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폼(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는 상기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항목에서 설명한 펩타이드와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항목을 원용하고, 이하에서는 창상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특유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In vitro 및 급성 창상 동물모델 모두에서 유의적인 상처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특히 현재 시판되고 있는 상처 치료제인 EGF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상처 치료 효과 및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창상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때에는 화장수, 에멀젼, 크림, 에센스, 젤, 팩 및 클렌징크림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초 화장료; 화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 피부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화장수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이외에 다가알콜류(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1∼10 중량% 및 계면활성제(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 0.05∼2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화장수 및 영양크림은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이외에 오일류(스쿠알란, 바셀린, 옥틸도데칸올 등) 5∼20 중량% 및 왁스성분(세탄올,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 3∼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에센스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이외에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5∼3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사지 크림은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이외에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 30∼7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되며, 팩은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이외에 폴리비닐알콜 5∼20 중량%를 함유하는 필 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유화형 화장료에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이외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5∼30 중량% 함유된 워시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창상 또는 피부 조직 재생이 필요한 개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상, 조직 치료방법 또는, 조직 재생 촉진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는 상기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항목에서 설명한 펩타이드와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항목을 원용하고, 이하에서는 창상, 조직 치료방법 또는, 조직 재생 촉진방법에 특유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In vitro 및 급성 창상 동물모델 모두에서 유의적인 상처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특히 현재 시판되고 있는 상처 치료제인 EGF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상처 치료 효과 및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창상, 조직 치료, 또는 조직 재생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인간 또는 인간 이외의 생물, 예를 들면 소, 원숭이, 새, 고양이, 마우스, 렛트, 햄스터, 돼지, 개, 토끼, 양, 말 등의 비인간 포유동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창상 또는 피부 조직이 손상된 개체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는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근육 내,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피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펩타이드의 제작
자동 펩타이드 합성기(Milligen 9050, Millipore, 미국)를 이용하여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합성하고, C18 역상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Waters Associates, 미국)를 이용하여 이들 합성된 펩타이드를 각각 순수 분리하였다. 컬럼은 ACQUITY UPLC BEH300 C18(2.1 × 100 mm, 1.7μm, Waters Co, 미국)을 이용하였다.
서열번호 펩타이드 서열
1 KNAGDS
< 실험예 1> In vitro 에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상처 치료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상처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상피 세포주인 HaCaT 세포의 이동능을 scratch assay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상피 세포주인 HaCaT 세포를 배양 접시에 분주하여 80% 정도로 배양되었을 때 serum free 배지로 교체한 후, 세포의 표면을 P100 pipet tip 을 이용하여 표면을 일정하게 그어 주었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50 ng/ml로 처리하고, 시간에 따른 상처 크기 감소를 현미경하에서 측정한 후, 정량화 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시간에 경과에 따른 유의적인 상처 치료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48시간 이후에는 현저한 상처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
< 실험예 2> 급성 창상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상처 치료 효과 확인
급성 창상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상처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급성 창상 마우스 모델(full-thickness excision model)에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한 후, 상처 크기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8주령 Balb/c 누드 마우스를 아베르틴(Avertin)(2.5%)을 이용해 마취한 후, 10 mm 지름의 원형 펀치(punch)를 사용해 동물 등 부위의 피부를 적출하여 급성 창상을 유발하였다. 적출부에 24 시간 간격으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총 5회 처리하고(500 ng/1회), 시간에 따른 상처 넓이의 감소를 14일 동안 측정하였다(참고문헌: J Biol Chem. 2015 290(40):24592-603). 한편, EGF는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10 ug/1회). 이때,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20% pluronic F-127(in PBS)과 mixture 상태로 처리하였다(참고문헌: Curr Med Chem.2013 20(1):79-94).
아울러, 치료 효과 확인을 위해, 디지털 카메라와 ImageJ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시간에 따른 상처크기를 측정하여 수치화하여 비교하였다(참고문헌: J Appl Behav Anal.2012 45(4):797-808).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BS를 단독으로 처리한 음성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의 펩타이드 처리군에서 상처 치료효능이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일부 구간에서는 양성대조군(EGF 처리군)에 비해서도 치료효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도 2).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유의 촉진에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110>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Use of a peptide as a therapeutic agent for wound healing <130> PB2017-140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 Lys Asn Ala Gly Asp Ser 1 5

Claims (17)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과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들의 단편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의 N- 또는 C- 말단은 아세틸기, 플루오레닐메톡시 카르보닐기, 포르밀기, 팔미토일기, 미리스틸기, 스테아릴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PE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호기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은 화상, 열상, 표피 창상, 궤양, 외상, 외과적 수술(post-surgical), 출산, 만성적 상처(chronic wound), 피부염(dermatitis)에 의한 손상, 각막 궤양, 각막 상피 박리, 각막염 및 안구건조증으로 인한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궤양은 당뇨성 궤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적 상처는 욕창 또는 압력성 궤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은 농가진(impetigo), 간찰진(intertrigo), 모낭염(folliculitis) 및 습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에 의한 손상은 피부주름, 피부 마름 및 피부 파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니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8.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과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들의 단편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피부 외용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의 N- 또는 C- 말단은 아세틸기, 플루오레닐메톡시 카르보닐기, 포르밀기, 팔미토일기, 미리스틸기, 스테아릴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PE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호기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피부 외용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은 화상, 열상, 표피 창상, 궤양, 외상, 외과적 수술(post-surgical), 출산, 만성적 상처(chronic wound), 피부염(dermatitis)에 의한 손상, 각막 궤양, 각막 상피 박리, 각막염 및 안구건조증으로 인한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피부 외용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국소 도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피부 외용제.
  12.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과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들의 단편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치료적 유효량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13.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과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들의 단편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치료적 유효량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창상 드레싱.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거즈, 붕대, 밴드, 필름, 접착 패치 및 미접착 패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드레싱.
  15.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과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들의 단편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6.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과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들의 단편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 투여경로, 투여횟수, 적응증 및 부작용 중 하나 이상을 개시한 지시서를 포함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개선용 키트.
  17.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과 80%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들의 단편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창상 개선 또는 항 피부노화가 필요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상 또는 피부 노화 개선 방법.







KR1020170153194A 2017-11-16 2017-11-16 창상 치료제로서의 펩타이드의 용도 KR20190056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94A KR20190056106A (ko) 2017-11-16 2017-11-16 창상 치료제로서의 펩타이드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94A KR20190056106A (ko) 2017-11-16 2017-11-16 창상 치료제로서의 펩타이드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106A true KR20190056106A (ko) 2019-05-24

Family

ID=6668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194A KR20190056106A (ko) 2017-11-16 2017-11-16 창상 치료제로서의 펩타이드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61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803B1 (ko) 보호용 피부 관리 테트라펩티드
KR102265430B1 (ko) 피부 상태 개선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US7560430B2 (en) Elastin digest compositions and methods utilizing same
KR101969904B1 (ko)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3015533A1 (zh) 一种合成肽以及它们的美容组合物或药用组合物及用途
TWI587867B (zh) 用於促進傷口癒合之短生物活性肽
RU2458069C2 (ru) Выделенный пептид для усиления ранозаживляющей активности кератиноцитов,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заживления ран у млекопитающего и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при заживлении ран у млекопитающего
KR102233647B1 (ko)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펩타이드 aec1d 및 이의 용도
CN114716515A (zh) 一种多肽类似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90056106A (ko) 창상 치료제로서의 펩타이드의 용도
KR20190056110A (ko) 창상 치료제로서의 펩타이드의 용도
KR102118094B1 (ko) 창상 치료제로서의 sis-1 펩타이드의 용도
CN114106100B (zh) 用于修复皮肤创伤或黏膜损伤的多肽及其应用
KR102233646B1 (ko)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펩타이드 aes11-1 및 이의 용도
KR102488519B1 (ko) 신규 고리형 펜타뎁시펩타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유 또는 재생용 조성물
KR20230067931A (ko) E2f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처치유 및 항노화 기능을 갖는 피부 치료용 연고 및 화장품 조성물
KR20230099481A (ko) 피부 상태 개선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220069909A (ko) 베라파밀을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
KR20230099482A (ko) 피부 상태 개선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155151B1 (ko) 성장인자?유래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