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104A -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104A
KR20190056104A KR1020170153190A KR20170153190A KR20190056104A KR 20190056104 A KR20190056104 A KR 20190056104A KR 1020170153190 A KR1020170153190 A KR 1020170153190A KR 20170153190 A KR20170153190 A KR 20170153190A KR 20190056104 A KR20190056104 A KR 20190056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acoustic signal
frequency band
external electronic
audibl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3651B1 (ko
Inventor
박종진
이원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3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651B1/ko
Priority to PCT/KR2018/009442 priority patent/WO2019098499A1/ko
Priority to US16/762,607 priority patent/US11128974B2/en
Publication of KR20190056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1Automatic calibr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e.g. with test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7Frequency adjustment, e.g. ton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마이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마이크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 {Electronic Apparatus,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and Audio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음향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TV, 컴퓨터, 노트북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소비자의 디테일한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컨텐츠를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TV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체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 블루투스 등의 방법으로 연결된 외부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고사양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서, 고품질의 오디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외부 스피커에서 오디오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를 체크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스피커가 TV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대로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또는 외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의 품질 등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등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TV 등의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된 스피커가 정상적으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지를 확인 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마이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마이크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통해 상기 수신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의 데이터 사이즈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채널 대역폭에 대응하는 사이즈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 및 상기 마이크 주변의 사용자가 발화한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음향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이크를 활성화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 중단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이크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스피커 및 외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스피커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음향 신호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 및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제거된 음향 신호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신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 및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한 음향 신호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로 전송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와 상기 수신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의 데이터 사이즈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채널 대역폭에 대응하는 사이즈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주변의 사용자가 발화한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음향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의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 중단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시스템은, 연결된 스피커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마이크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 및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외부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통해 상기 수신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복호화하고, 상기 스피커로 전송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와 상기 복호화한 음향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의 데이터 사이즈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채널 대역폭에 대응하는 사이즈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 및 상기 마이크 주변의 사용자가 발화한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스피커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음향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의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 중단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음향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이크를 활성화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 중단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이크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전송 중단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마이크(110)를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소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통해 스피커가 정상적으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전자 장치의 대역폭 제약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100), 외부 전자 장치(200) 및 스피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0)는 스피커(3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스피커(3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외부 전자 장치(200)는 Wi-fi 네트워크, Zigbee 네트워크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스피커(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전자 장치(200)는 블루투스 칩, 와이파이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전자 장치(200)는 유선 케이블을 통해 스피커(3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00)는 구리 케이블을 통해 스피커(300)와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 광 케이블을 통해 스피커(3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0)는 스피커(300)를 통해 다양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전자 장치(200)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스피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00)는 방송 영상을 제공할 경우, 방송 영상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외부 전자 장치(200)는 멀티 미디어 컨텐츠 영상을 제공할 경우, 멀티 미디어 컨텐츠 영상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영상을 제공할 경우, 어플리케이션 영상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300)는 mp3 등의 음악 파일이 실행되는 경우, 음악 파일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전자 장치(200)는 스피커(300)를 통해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전자 장치(200)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스피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스피커(300)의 음향 출력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신호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200)는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전자 장치(200)는 스피커(300)로 전송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와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를 비교해서, 양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 일치하는 경우, 스피커(300)가 정상적으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시스템(1000)은, 스피커(300)의 음향 출력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출력되고 있는 음악 등을 계속해서 감상하면서, 스피커(300)가 정상적으로 음향을 출력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 전자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분, 외부 전자 장치(200)는 데스크 탑 PC, 노트북, 스마트 폰 및 PDA 등과 같이 스피커(300)를 통해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전자 장치(100)는 Wi-fi 네트워크, Zigbee 네트워크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무선통신 네트워크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200)는 블루투스 칩, 와이파이 칩 및 무선통신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음향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는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전자 장치(100)는 스피커(300)로 전송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와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스피커(300)가 정상적으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분,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 폰, PDA 등과 같이 음향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런데, 전자 장치(100)가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음향 신호를 그대로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경우, 몇 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먼저, 사용자의 사생활이 침해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되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음성을 발화한 경우, 전자 장치(100)의 마이크는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된 음향 신호와 함께 사용자 음성을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 음성을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경우, 사용자의 사생활이 침해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00)가 스마트 TV 등과 같이 인터넷이 가능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경우, 해킹에 의해 사용자 음성을 포함하는 음향 신호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외부 전자 장치(200)의 밴드 폭(Bandwidth) 제약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약 16KHz의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갖는 데이터를 이용한다. 그런데, 비가청 주파수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는, 약 48KHz의 샘플링 레이트를 갖는 데이터를 이용하게 된다. 즉, 약 3배 정도 사이즈가 큰 데이터를 이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음향 신호를 그대로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경우, 외부전자 장치(200)의 데이터 송수신 량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00)의 밴드 폭 제약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음향 신호 중에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하고,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전자 장치(200)의 밴드 폭 제약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110), 통신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마이크(110)는 다양한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향 신호는 마이크 주변에서 발생하는 아날로그 신호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크(100)는 마이크(110) 주변에서 발생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물론, 마이크(110) 주변에서 발생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외부 전자 장치(200)가 방송 영상을 제공 중인 경우, 외부 전자 장치(200)와 연결된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되는 방송 영상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외부 전자 장치(200)가 미디어 컨텐츠 영상을 제공 중인 경우,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외부 전자 장치(200)와 연결된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되는 멀티 미디어 컨텐츠 영상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가 될 수 있고, 외부 전자 장치(200)가 어플리케이션 영상을 제공중인 경우,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외부 전자 장치(200)와 연결된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 영상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200)가 mp3 등의 음악 파일을 실행 중인 경우,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음악 파일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마이크(110) 주변의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외부 전자 장치(200)가 스피커(300)의 음향 출력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 신호가 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외부 전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한 음향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한 음향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될 수 있음은 물론,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3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130)는 마이크(110)를 통해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마이크(110)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 및 외부 전자 장치(200)가 외부 전자 장치(200)에 연결된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마이크(110)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는 외부 전자 장치(200)가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 및 마이크(100) 주변의 사용자가 발화한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전자 장치(200)가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외부 전자 장치(200)가 방송 영상을 제공 중인 경우, 방송 영상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200)가 미디어 컨텐츠 영상을 제공 중인 경우,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멀티 미디어 컨텐츠 영상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가 될 수 있고, 외부 전자 장치(200)가 어플리케이션 영상을 제공중인 경우,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어플리케이션 영상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200)가 mp3 등의 음악 파일을 실행 중인 경우,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음악 파일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110)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는 생활 소음, 잡음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전자 장치(200)에 연결된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스피커(300)가 정상적으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신호가 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음향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마이크(110)를 활성화하고, 마이크(110)를 통해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향 전송 요청 신호는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신호로써,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한 음향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음향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마이크(110)를 활성화 시키고, 그 외의 경우는 마이크(110)를 비활성화 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소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30)는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를 신호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30)는 PDM-to-PCM Converter와 같은 다양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에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30)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밴드 패스 필터를 통해,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 중에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인 약 17KHz 내지 20KHz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의 신호는 제거하고,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만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가청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신호 처리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의 데이터 사이즈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200) 간의 채널 대역폭에 대응하는 사이즈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 전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의 데이터 사이즈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의 데이터 사이즈와 비교하였을 때 약 3배 정도 사이즈가 큰 데이터를 이용하게 된다.
이에 반해, 밴드 패스 필터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약 0.2KHz 내지 8KHz 대역의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한 음향 신호로써,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200) 간의 채널 대역폭에 대응하는 사이즈보다 작은 데이터 사이즈의 음향 신호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외부 전자 장치(300)에 대역폭 제약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후, 프로세서(130)는 가청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음향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부호화는 SBC Encoder와 같은 다양한 인코딩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청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전송함으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생활 침해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은 약 10KHz 대역의 신호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전송 중단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마이크(110)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전송 중단 요청 신호는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신호로써, 음향 신호 전송의 중단을 요청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전송 중단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마이크(110)를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소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200)는 통신부(210) 및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스피커(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스피커(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피커(300)로 전송하는 음향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될 수 있음은 물론,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전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전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음향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제공 중인 방송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사용자 발화 음성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스피커(300)가 정상적으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신호가 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외부 전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2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220)는 스피커(300)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스피커(300)가 정상적으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신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전자 장치(100)에 의해 신호 처리된 음향 신호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에는 전자 장치(100)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 및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전자 장치(100)의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에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제거된 음향 신호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처리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밴드 패스 필터를 통해,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 중에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인 약 17KHz 내지 20KHz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의 신호는 제거하고,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만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20)는 가청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전자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의 데이터 사이즈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200) 간의 채널 대역폭에 대응하는 사이즈보다 작을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20)는 스피커(300)로 전송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와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 양 음향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220)는 스피커(300)가 정상적으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외부 전자 장치(200)는 음향 전송 요청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S410)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향 전송 요청 신호는 음향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전자 장치(200)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스피커(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 전자 장치(200)는 음향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기 전부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스피커(300)로 전송하고 있을 수도 있고, 음향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스피커(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음향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마이크(110)를 활성화(S415)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음향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마이크(110)를 활성화 시키고, 그 외의 경우는 마이크(110)를 비활성화 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소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활성화 된 마이크(110)를 통해 음향 신호를 수신(S420)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향 신호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포함될 수 물론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200)가 방송 영상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하고 있는 경우나 사용자가 마이크(110) 주변에서 음성을 발화하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 전자 장치(200)가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할 경우, 마이크(110)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와 함께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를 신호 처리(S425)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밴드 패스 필터를 통해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한 음향 신호를 부호화(S430)하여,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전송(S435)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수신(S440)하고, 이를 복호화(S445)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호화는 SBC Decoder와 같은 다양한 디코딩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전자 장치(200)는 스피커(300)로 전송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와 복호화한 음향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판단 결과, 양 음향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 전자 장치(200)는 스피커(300)가 정상적으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외부 전자 장치(200)는 음향 신호 전송의 중단을 요청하는 전송 중단 요청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S450)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양 음향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 일치하는지를 판단한 후, 전송 중단 요청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전송 중단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순서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음향 신호가 수신되면 바로 전송 중단 요청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전송 중단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마이크(110)를 비활성화(S455) 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 및 외부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수신(S510)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마이크(110)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는 전자 장치(100)가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 및 마이크(110) 주변의 사용자가 발화한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에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S52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밴드 패스 필터를 통해,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 중에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인 약 17KHz 내지 20KHz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의 신호는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200)로 전송(S530)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고, 외부 전자 장치(200)의 밴드 폭 제약이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외부 전자 장치(200)는 스피커(300)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전송(S610)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외부 전자 장치(200)에 연결된 스피커(300)가 음향 신호를 정상적으로 출력하고 있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신호가 될 수 잇다.
그리고, 외부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스피커(300)를 통해 출력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수신(S620)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신된 음향 신호는 신호 처리된 음향 신호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음향 신호는 전자 장치(100)의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에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제거된 음향 신호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처리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밴드 패스 필터를 통해, 마이크(110)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 중에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인 약 17KHz 내지 20KHz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의 신호는 제거하고,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만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00)는 가청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전자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외부 전자 장치(200)는 스피커(300)로 전송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와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를 비교해서, 양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 일치하는 경우, 스피커(300)가 정상적으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외부의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즉, 각종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어 상술한 다양한 제어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의 마이크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 및 외부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음향 신호에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하고,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0: 음향 시스템
100: 전자 장치
200: 외부 전자 장치

Claims (17)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마이크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통해 상기 수신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의 데이터 사이즈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채널 대역폭에 대응하는 사이즈보다 작은,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 및 상기 마이크 주변의 사용자가 발화한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음향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이크를 활성화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 중단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이크를 비활성화시키는, 전자 장치.
  6. 전자 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및 외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스피커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음향 신호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 및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제거된 음향 신호인,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 및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한 음향 신호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로 전송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와 상기 수신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의 데이터 사이즈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채널 대역폭에 대응하는 사이즈보다 작은, 전자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 주변의 사용자가 발화한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음향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의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 중단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11. 음향 시스템에 있어서,
    연결된 스피커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마이크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 및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외부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통해 상기 수신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음향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복호화하고, 상기 스피커로 전송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와 상기 복호화한 음향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음향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의 데이터 사이즈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채널 대역폭에 대응하는 사이즈보다 작은, 음향 시스템.
  15. 재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 및 상기 마이크 주변의 사용자가 발화한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스피커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음향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의 전송을 중지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 중단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음향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이크를 활성화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 중단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이크를 비활성화시키는, 음향 시스템.

KR1020170153190A 2017-11-16 2017-11-16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 KR102443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90A KR102443651B1 (ko) 2017-11-16 2017-11-16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
PCT/KR2018/009442 WO2019098499A1 (ko) 2017-11-16 2018-08-17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
US16/762,607 US11128974B2 (en) 2017-11-16 2018-08-17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udio system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90A KR102443651B1 (ko) 2017-11-16 2017-11-16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104A true KR20190056104A (ko) 2019-05-24
KR102443651B1 KR102443651B1 (ko) 2022-09-15

Family

ID=66538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190A KR102443651B1 (ko) 2017-11-16 2017-11-16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28974B2 (ko)
KR (1) KR102443651B1 (ko)
WO (1) WO201909849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386A1 (ko) * 2021-03-12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입력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997460B2 (en) 2021-03-12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audio inpu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6640A1 (ja) * 2021-02-16 2022-08-25 ヤマハ株式会社 音信号配信方法、音信号配信装置、および音信号配信システム
US20220310111A1 (en) * 2021-03-23 2022-09-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uperimposing high-frequency copies of emitted soun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8499A (ja) * 1992-05-19 1993-12-10 Toa Corp 異常監視装置付き拡声装置
KR101714134B1 (ko) * 2011-12-19 2017-03-0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분산된 멀티-센서 환경에서 오디오 성능을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자동화된 사용자/센서 로케이션 인식
KR20170047634A (ko) * 2015-10-23 2017-05-08 도용남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498A (ko) 1998-10-31 2000-05-25 전주범 텔레비전을 이용한 도어비젼 시스템
JP2005176091A (ja) 2003-12-12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モコン装置
TWM324351U (en) 2007-03-19 2007-12-21 Halfa Entpr Co Ltd Infrared remote controller structure with built-in bluetooth wireless transmission
JP5695447B2 (ja) 2011-03-01 2015-04-08 株式会社東芝 テレビジョン装置及び遠隔操作装置
KR20140104215A (ko) 2013-02-20 2014-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페어링 기능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 오디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페어링 방법
US9844023B2 (en) 2014-10-03 2017-12-12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to silence other devices in response to an incoming audible communication
KR102334860B1 (ko) 2014-11-21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28118A (ko) 2015-04-28 2016-11-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8499A (ja) * 1992-05-19 1993-12-10 Toa Corp 異常監視装置付き拡声装置
KR101714134B1 (ko) * 2011-12-19 2017-03-0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분산된 멀티-센서 환경에서 오디오 성능을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자동화된 사용자/센서 로케이션 인식
KR20170047634A (ko) * 2015-10-23 2017-05-08 도용남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386A1 (ko) * 2021-03-12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입력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997460B2 (en) 2021-03-12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audio inpu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28974B2 (en) 2021-09-21
US20200351605A1 (en) 2020-11-05
KR102443651B1 (ko) 2022-09-15
WO2019098499A1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5460B2 (ja) 新しいメディア装置に関する埋め込み音量メタデータを有する、および、有しないメディアの正規化音声再生のための方法と装置
JP6680858B2 (ja) 異なる再生装置を横断するラウドネスおよびダイナミックレンジの最適化
KR102443651B1 (ko)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
US9756439B2 (en) Method and devices for outputting an audio file
JP5775227B2 (ja) オーディオ符号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0024029B (zh) 音频信号处理
US10482877B2 (en) Remote sensor voice recognition
US20090099851A1 (en) Adaptive bit pool allocation in sub-band coding
CN106303816B (zh) 一种信息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9633667B2 (en) Adaptive audio signal filtering
EP3629558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573329B2 (en) High frequency injection for improved false acceptance reduction
US20180013870A1 (en) Volume adjustment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1012938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headset
US20160140839A1 (en) Data/commands through audio channel
CN113168841B (zh) 经编码的音频的回放期间的声学回声消除
EP3903309B1 (en) High resolution audio coding
CN106293607B (zh) 自动切换音频输出模式的方法及系统
CN109360574B (zh) 一种无线蓝牙系统改进的高级音频编码/解码方法及系统
US20170223469A1 (en) Hearing aid communication system and hearing ai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RU2648632C2 (ru) Классификатор многоканального звукового сигнала
CN112702469B (zh) 语音交互方法和设备、音视频处理方法及语音播报方法
US20220406317A1 (en) Conference terminal and embedding method of audio watermarks
CN111028832B (zh) 麦克风静音模式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20160125886A1 (en) Audio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data transmit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