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739A - 커팅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 Google Patents

커팅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739A
KR20190055739A KR1020180135157A KR20180135157A KR20190055739A KR 20190055739 A KR20190055739 A KR 20190055739A KR 1020180135157 A KR1020180135157 A KR 1020180135157A KR 20180135157 A KR20180135157 A KR 20180135157A KR 20190055739 A KR20190055739 A KR 20190055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heet
main body
cutting
guide portio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홍
정기수
권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90055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01M2/167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01M4/0435Rolling or calen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극시트가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통과하는 상기 전극시트를 절단하는 커팅부; 및 상기 커팅부에 의해 절단된 전극시트와 분리막을 합치하는 합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합치부 사이에는 상기 커팅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전극시트의 절단부를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합치부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팅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CUTTING ELEMENT AND LAMINATION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INCLUDE THE SAME}
본 발명은 커팅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극활물질이 단면 코팅된 전극시트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커팅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의미하며, 이러한 이차전지는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 자동차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차전지는 전극탭을 구비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탭에 결합되는 전극리드, 상기 전극리드가 결합된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파우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조립체는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는 접합력을 높이기 위한 라미네이션 공정을 수행하며, 상기 라미네이션 공정은 전극을 커팅부를 이용하여 소정 크기로 커팅하는 커팅단계와, 커팅된 전극과 분리막에 합치부를 이용하여 합치한 다음 이송하는 합치단계와, 상기 합치된 전극과 분리막을 라미네이션부를 이용하여 열접합하는 라미네이션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한 라미네이션공정은 상기 커팅부에 의해 커팅된 전극의 절단부(합치장치를 향하는 전극의 선단부)가 휘어지면서 상기 합치부로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집전체의 일면에만 전극활물질이 코팅된 전극은 상기 집전체와 상기 전극활물질의 연신률 차이로 인해 상기 집전체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합치부로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 결과 작업의 연속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6-004008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팅부에 의해 절단된 전극시트의 절단부를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롤러부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작업의 연속성을 높일 수 있는 커팅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는 전극시트가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통과하는 상기 전극시트를 절단하는 커팅부; 및 상기 커팅부에 의해 절단된 전극시트와 분리막을 합치하는 합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합치부 사이에는 상기 커팅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전극시트의 절단부를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합치부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시트는 전극활물질층이 일면에만 구비된 단면 코팅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는 전극활물질층이 없는 상기 전극시트의 무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는 일측에서 타측까지 관통되면서 상기 전극시트가 통과하는 이송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전극시트는 상기 무지면이 상부를 향한 상태로 상기 이송통로를 통과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송통로의 타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이송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전극시트의 무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의 저면에는 상기 이송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전극시트의 무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쿠션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본체부에 상기 합치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시트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장홀과, 상기 장홀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지면으로부터 설정된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합치부는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와 동일한 각도로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부의 선단은 상기 합치부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상기 전극시트의 절단부를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 사이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송통로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의 저면에는 상기 본체부를 통과하는 전극시트의 양쪽 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가이드부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합치부에 의해 합치된 상기 전극시트와 상기 분리막을 접합하는 라미네이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재는 전극시트가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통과하는 상기 전극시트를 절단하는 커팅부; 및 상기 커팅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전극시트의 절단부를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시트는 전극활물질층이 일면에만 구비된 단면 코팅 구조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부는 전극활물질층이 없는 상기 전극시트의 무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는 본체부, 커팅부, 합치부 및 라미네이션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팅부와 상기 합치부 사이에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상기 커팅부를 통과한 전극시트의 절단부를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전극시트의 절단부를 상기 합치부에 삽입되게 가이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의 연속성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에서 가이드부는 전극시트에 구비된 집전체의 무지면을 지지하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즉,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일면에 코팅되는 전극활물질층을 포함하는 단면 코팅 구조의 전극시트는 상기 집전체와 상기 전극활물질층의 연신률 차이로 인해 상기 집전체 방향으로 휨 현상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는 휨 현상이 발생하는 상기 집전체를 지지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전극시트를 상기 합치부에 삽입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에서 본체부는 상기 전극시트를 상기 합치부까지 이송하는 이송통로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통로의 끝단에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상기 이송통로를 통과하는 전극시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합치부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에서 가이드부의 저면에는 집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특히 상기 지지부재는 쿠션력을 가진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상기 집전체가 긁히거나 훼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극시트의 품질성을 높일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에서 가이드부는 합치부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본체부와 합치부 사이의 간격에 맞게 상기 가이드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그 결과 본체부를 통과한 전극시트를 상기 합치부에 삽입되도록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에서 본체부는 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설치되고, 합치부는 지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설치면적의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와 동일한 경사각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극시트의 절단부를 휘어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합치부에 삽입되도록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된 고정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극시트를 향하는 방향 또는 상기 전극시트로부터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설치된 본체부의 경사각에 따라 가이드부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전극시트의 절단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휘어지지 않고 상기 합치부에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에서 가이드부는 본체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상기 가이드부의 교체가 용이하고, 특히 본체부와 합치부 사이 간격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진 가이드부로 교체 장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시트(10)를 공급하는 전극시트 공급부(미도시), 분리막(20)을 공급하는 분리막 공급부(미도시), 상기 전극시트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전극시트(10)가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를 통과하는 전극시트(10)를 소정 크기로 절단하는 커팅부(120), 상기 커팅부(120)에 의해 절단된 전극시트(10)와 상기 분리막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분리막(20)을 가압하여 합치하는 합치부(130) 및 상기 합치부(130)에 의해 합치된 전극시트(10)와 분리막(20)을 접합하는 라미네이션부(14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전극시트(10)는 일면에만 전극활물질층이 코팅된 형성된 단면 코팅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전극시트(10)는 도 1을 참조하면, 금속 소재로 구비된 집전체(11)와, 상기 집전체(11)의 하면에 구비되는 전극활물질층(1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극시트(10)는 하면에 전극활물질층이 형성되고 상면에 전극활물질층이 없는 무지면이 형성되는 단면 코팅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전극활물질이 단면 코팅된 전극시트는 단면양극 또는 단면음극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면 코팅 구조를 가진 전극시트(10)는 상기 전극활물질층(12)이 하부를 향한 상태로 상기 본체부(110)를 통과한다.
본체부
상기 본체부(110)는 전극시트가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것으로, 상기 전극시트 공급부와 상기 합치부(13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시트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극시트(10)를 상기 합치부(130)까지 이송한다.
특히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에는 상기 전극시트(10)가 통과하는 이송통로(111)가 형성되며, 상기 이송통로(111)는 상기 전극시트 공급부와 대응하는 상기 본체부(111)의 일측에서 상기 합치부(130)와 대응하는 타측까지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통로(111)를 통해 상기 전극시트(10)를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전극시트(10)는 무지면이 상부를 향한 상태(즉, 전극활물질층이 이송통로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이송통로(111)를 통과한다.
한편, 상기 이송통로(111)의 벽면에는 상기 전극시트(10)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코팅층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극시트(10)의 측면이 훼손되는 것을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다.
커팅부
상기 커팅부(120)는 전극시트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이송통로(111)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통로(111)를 향해 하강하면서 상기 이송통로(111)를 통과하는 전극시트(10)를 설정된 크기로 절단한다.
합치부
상기 합치부(130)는 상기 커팅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전극시트와 상기 분리막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분리막을 합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극시트(10)와 상기 분리막(20)을 겹쳐지게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롤러(131)와, 상기 합치된 전극시트(10)와 분리막(20)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132)를 포함한다.
라미네이션부
상기 라미네이션부(140)는 상기 합치부(130)에 의해 합치된 전극시트(10)와 분리막을 접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합치된 전극시트(10)와 분리막(20)을 가열하는 가열부재(141)와, 상기 가열부재(141)에 의해 가열된 전극시트(10)와 분리막(20)을 압착하여 접합하는 한 쌍의 압착롤러(142)를 포함한다.
한편, 전극시트는 커팅부에 의해 절단될 경우 상기 전극시트의 절단부는 지지력이 상실되면서 소정 각도 휘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 사이에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전극시트는 집전체 보다 전극활물질층의 연신률이 크기 때문에 상기 집전체 방향(도 1에서 보았을 때 전극시트의 상부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전극시트의 절단부(진행 방향 기준으로 전극 시트의 앞쪽 단부 부분)가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 사이에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100)는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131) 사이에 상기 커팅부(120)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전극시트(10)의 절단부가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131) 사이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5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합치부(130)와 대응하는 상기 이송통로(111)의 타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이송통로(111)를 통과하는 상기 전극시트(10)에 구비된 집전체(11)의 무지면을 지지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전극시트(10)의 절단부는 집전체(11) 방향으로 휘어지지 못하고 상기 가이드부(150)의 저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131)를 향해 이송되며, 그 결과 상기 전극시트(10)의 절단부를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131) 사이에 안정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150)의 저면은 도 2를 참조하면, 평평한 수평면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전극시트(10)의 집전체(1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150)의 저면에는 상기 이송통로(111)를 통과하는 상기 전극시트(10)의 무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51)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재(151)는 쿠션성을 가진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전극시트(10)의 무지면이 긁히거나 훼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극시트의 품질성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지지부재(151)는 폴리머일수도 있고, 금속일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151)가 금속일 경우 표면에 양극산화처리(andize)나 폴리머 처리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15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이송통로(111)가 형성된 본체부(110)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13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즉,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합치부(130)를 설치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합치부(130) 사이의 간격이 달라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15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전극시트(10)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수단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가이드부(150)의 상면에 상기 전극시트(10)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152)과, 상기 장홀(152)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볼트(153)를 포함한다.
즉,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고정볼트(153)의 조임을 풀면, 상기 가이드부(150)를 상기 전극시트(10) 이송방향, 도 5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의 가압롤러(131)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반대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볼트(153)를 조이면 가이드부(150)를 본체부(110)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의 효율성과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부(150)는 상기 이송통로(111)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15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볼트(152)의 조임을 완전히 풀면, 상기 가이드부(150)를 상기 본체부(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이드부(150)의 마모도에 따라 새로 교체하거나 또는 다양한 크기를 가진 가이드부(150) 중 어느 하나로 교체할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100)는 설치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한 설치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본체부(110)는 지면 또는 작업대로부터 설정된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합치부(130)는 지면 또는 작업대와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150)는 상기 본체부(110)와 동일한 각도로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부(150)의 선단은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131)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상기 전극시트의 절단부를 휘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전극시트를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 사이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의 설정된 각도(α°)는 지면으로부터 55°이상 90°이하일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150)의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저면에 전극시트(10)의 틸팅을 방지하는 지지돌기(154)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돌기(154)는 가이드부(150)의 저면에서 폭방향으로 양쪽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전극시트(10)의 양쪽 단부를 각각 지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극시트의 틸팅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기(154)는 상기 가이드부(150)의 저면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돌기(154)는 상기 가이드부(15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15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100)는 가이드부(150)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가지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전극시트의 절단부를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합치부에 삽입되게 가이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의 연속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100)의 작업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극활물질층(12)이 일면에만 코팅된 전극시트(10)를 본체부(110)의 이송통로(111) 일측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전극시트(10)는 전극활물질층(12)이 하부를 향한 상태로 상기 이송통로(111)에 삽입한다. 그러면 본체부(110)는 상기 전극시트(10)를 이송통로(111)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통과하도록 이송하고, 커팅부(120)는 상기 이송통로(111)를 통과하는 전극시트(10)를 설정된 크기로 절단하며, 합치부(130)는 상기 커팅부(120)에 의해 절단된 전극시트(10)와 분리막(20)을 적층되게 합치하고, 라미네이션부(140)는 합치된 전극시트(10)와 분리막(20)을 접합한다.
이때 상기 커팅부(120)에 의해 절단된 전극시트(10)의 절단부는 전극활물질층(12)과 집전체(11)의 연신률 차이로 인해 상기 집전체(11)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전극시트(10)가 휘어지지 않도록 상기 전극시트(10)의 집전체(11)를 가이드부(150)가 지지하며, 특히 상기 가이드부(150)는 상기 전극시트(10)를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131)에 삽입되도록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집전체(11)의 하면에 전극활물질층(12)이 형성되는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집전체(11)의 상면에 전극활물질층(12)이 형성되는 것도 실시 가능하다. 즉, 집전체(11)의 하면에 전극활물질층(12)이 형성된 전극시트는 전극조립체의 최상단에 적층되고, 집전체(11)의 상면에 전극활물질층(12)이 형성된 전극시트는 전극조립체의 최하단에 적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재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시트(10)가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를 통과하는 상기 전극시트(10)를 절단하는 커팅부(120), 및 상기 커팅부(120)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전극시트(10)의 절단부를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극시트(10)는 전극활물질층이 일면에만 구비된 단면 코팅 구조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부(150)는 전극활물질층이 없는 상기 전극시트(10)의 무지면을 지지한다.
한편, 상기 본체부(110), 커팅부(120) 및 가이드부(15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본체부, 커팅부 및 가이드부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며, 이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재는 전극시트(10)를 안정적으로 커팅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가이드하여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100: 라미네이션장치
110: 본체부
120: 커팅부
130: 합치부
140: 라미네이션부

Claims (12)

  1. 전극시트가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통과하는 상기 전극시트를 절단하는 커팅부; 및
    상기 커팅부에 의해 절단된 전극시트와 분리막을 합치하는 합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합치부 사이에는 상기 커팅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전극시트의 절단부를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합치부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시트는 전극활물질층이 일면에만 구비된 단면 코팅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는 전극활물질층이 없는 상기 전극시트의 무지면을 지지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는 일측에서 타측까지 관통되면서 상기 전극시트가 통과하는 이송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전극시트는 상기 무지면이 상부를 향한 상태로 상기 이송통로를 통과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송통로의 타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이송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전극시트의 무지면을 지지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저면에는 상기 이송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전극시트의 무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쿠션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본체부에 상기 합치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시트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장홀과, 상기 장홀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지면으로부터 설정된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합치부는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와 동일한 각도로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부의 선단은 상기 합치부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상기 전극시트의 절단부를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 사이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송통로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저면에는 상기 본체부를 통과하는 전극시트의 양쪽 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가이드부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치부에 의해 합치된 상기 전극시트와 상기 분리막을 접합하는 라미네이션부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12. 전극시트가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통과하는 상기 전극시트를 절단하는 커팅부; 및
    상기 커팅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전극시트의 절단부를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시트는 전극활물질층이 일면에만 구비된 단면 코팅 구조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부는 전극활물질층이 없는 상기 전극시트의 무지면을 지지하는 커팅부재.
KR1020180135157A 2017-11-15 2018-11-06 커팅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KR201900557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461 2017-11-15
KR20170152461 2017-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739A true KR20190055739A (ko) 2019-05-23

Family

ID=6668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157A KR20190055739A (ko) 2017-11-15 2018-11-06 커팅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57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587B1 (ko) 2022-02-07 2023-02-10 주식회사 이디에스 이차전지용 라미네이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087A (ko) 2014-10-02 2016-04-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차전지의 라미네이팅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087A (ko) 2014-10-02 2016-04-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차전지의 라미네이팅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587B1 (ko) 2022-02-07 2023-02-10 주식회사 이디에스 이차전지용 라미네이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467B1 (ko) 이차전지용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시스템
CN110352521B (zh) 单电池的制造方法和单电池接合装置
CN114641880A (zh) 制造电极组件的设备和方法
KR20190055739A (ko) 커팅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US113054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ching electrode sheet
KR101587322B1 (ko)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CN101041203A (zh) 电极保护装置、点焊工具和电阻焊方法
KR102270868B1 (ko) 전해액 제거장치,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이차전지
KR20190056812A (ko)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 장치 및 방법
EP2816651B1 (en) Conveyance device and conveyance method
EP2816653B1 (en) Conveyance device and conveyance method
KR20180097348A (ko) 이차전지용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시스템
US11179862B2 (en) No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KR101921295B1 (ko) 이차전지 제조장치
KR20190045602A (ko)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 장치 및 방법
CN101292381A (zh) 用于搬运单个燃料电池用隔板的搬运装置
EP4186662A1 (en) Power transfer unit for electrode cutting device
KR102002953B1 (ko) 전극리드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90096115A (ko) 이차전지용 노칭장치 및 방법
KR20220109202A (ko) 분리막 접착장치
KR101045213B1 (ko) 박스 절곡장치
KR101856819B1 (ko) 전극 조립체 제작 시스템
KR102003712B1 (ko) 전지 탭의 정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전지 탭 피딩 장치
KR20220128954A (ko)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설비
CN217589034U (zh) 一种叠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