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638A - Natural draining system in land fill site and method of maintenance control thereof - Google Patents

Natural draining system in land fill site and method of maintenance control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638A
KR20190055638A KR1020170152568A KR20170152568A KR20190055638A KR 20190055638 A KR20190055638 A KR 20190055638A KR 1020170152568 A KR1020170152568 A KR 1020170152568A KR 20170152568 A KR20170152568 A KR 20170152568A KR 20190055638 A KR20190055638 A KR 20190055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reactive medium
shielding wall
landfill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5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2168B1 (en
Inventor
오명학
박해용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52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168B1/en
Publication of KR20190055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6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1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natural drainage system of underground water in a landfill and a maintenance method thereof. The natural drainage system includes a water collecting unit collecting underground water and a collector well filtering and discharging the underground water. The collector well includes a housing and a purification unit, wherein the purification unit can include a detachable reactive medium unit and a shielding wall. The housing can include an inlet unit and an outlet unit of the underground water. Moreover, highly efficient underground water can be filtered and naturally drained according to a configuration of the inlet unit, the outlet unit, and the shielding wall.

Description

매립지 지하수의 자연배수 시스템 및 관리방법{NATURAL DRAINING SYSTEM IN LAND FILL SITE AND METHOD OF MAINTENANCE CONTROL THEREOF }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 drainage system for a groundwater,

본 발명은 매립지 지하수의 자연배수 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립지의 지하수를 적정 수위로 유지시키는 매립지 지하수의 자연배수 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 drainag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andfill ground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natural drainage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groundwater at a proper level.

매립지에는 보유수 등을 효과적으로 모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견고한 내구력을 가진 구조의 암거 외 집, 배수 설비가 설치되어야 하며, 집, 배수 설비를 설치하여 매립지 내의 보유수 등을 배출하더라도 최종처분장 매립지의 보유수 등은 매립된 폐기물에 따라 수질이 변화될 수 있어 배출수를 적절히 처리하는 정화설비가 필요하다.In the landfill, it is necessary to collect the retained water effectively and to install the drainage system of the dugout structure with the durable durability that can discharge quickly, and even if the house and drainage facilities are installed to discharge the water in the landfill, And the number of reservoirs, etc.,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waste landfilled. Therefore, a purification facility is required to properly treat the effluent water.

특히 해상 처분장의 경우, 해상 처분장 내의 수위에 따라 처분장 내의 보유수 등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어 처분장 내의 보유수 등의 수위관리가 필수적이다.Especially, in the case of marine repositories, the number of reserves in the repository can be leaked out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level in the sea repository.

해상 처분장이란, 저투수성 해저지반의 상부에 호안구조물과 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연직차수공으로 구성되는 제방 형식의 차폐시설을 설치하고, 차폐시설 내부에 소각재, 비가연성 고형폐기물, 준설토 등을 매립하는 시설이다.The sea surface repository is a ship-type shielding facility consisting of a revetment structure composed of a revetment structure and a vertical column that blocks the movement of water at the top of the low permeable submarine ground, and an incinerator, incombustible solid waste, Facilities.

해상 처분장은, 해상에서 내부에 물이 존재하는 상태로 호안과 차수공이 설치되므로 차폐시설의 시공 후에도 내부에는 기존의 해수가 존재하며, 폐기물의 매립에 의하여 내부 수위가 증가할 수있고, 해상 처분장의 내부 수위가 외부 해수의 수위보다 높을 경우, 호안과 하부지반 내에서의 물흐름 방향이 해상 처분장의 내부에서 외부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해상 처분장 내부의 보유수가 차폐시설 하부의 해저 지반을 통해 외해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Since the sea and the water column are installed in the sea with the water in the sea, the existing sea water exists in the interior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hielding facility, the internal water level can be increased by the landfill of the waste, When the internal water level is high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external seawater, the direction of water flow in the reef and lower ground is form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sea repository. According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ater retained in the sea repository will be discharged to the sea through the seabed under the shielding facility.

해상 처분장의 수위가 해수의 수위보다 약간 낮도록 유지되어야 해저 지반에서의 물 흐름 방향이 해상 처분장의 외부에서 내부로 형성되어, 해상 처분장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water level of the sea repository should be kept slightly low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seawater so that the water flow direction in the seabed ground is form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sea repository so that the water inside the sea repository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한편, 최종 처분장의 매립지는 폐지시까지 장기간이 소요되며, 최종 처분장 매립지반 내부 보유수 등의 집,배수 및 정화설비는 폐기물 등의 매립 초기부터 최종 처분장의 폐지시까지 유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설비의 지속적인 유지 및 관리가 요구되며, 집, 배수 시스템의 유지 및 관리에 경제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적 검토가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the landfill site of the final disposal site takes a long time to be abolished, and the house, drainage and purification facilities such as the final disposal site landfill site and internal reserves can be maintained from the beginning of landfills such as waste disposal until the final disposal site is abolish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aintain and manage related facilities, and technical review to improve economic efficiency and efficiency in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house and drainage systems is need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1447호Korean Patent No. 10-1611447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매립지 내의 보유수 등을 적정 수위로 유지하고, 매립지의 보유수를 적정 상태로 정화할 수 있는 배수 시스템으로, 특히 해상 처분장 내의 수위 및 수질 관리가 용이한 매립지 지하수의 자연배수 시스템 및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to provide a drainage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the reservoir water and the like in a landfill at an appropriate water level and purifying the reservoir water in a landfill, And to provide a natural drainage system and a management method of the groundwater.

또한, 매립지 내의 집,배수 설비의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매립지 지하수의 자연배수 시스템 및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atural drainage system and a management method of a landfill groundwater which is easy and economical to install and manage a house and a drainage facility in a landfill.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매립지 지하수의 자연배수 시스템은 매립지반에 존재하는 지하수를 집수 및 여과하기 위한 집수정과, 집수정과 연결되며 상기 매립지반 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집수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natural drainage system for groundwater in a landf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lector for collecting and filtering groundwater present in the landfill; And includes a collecting se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집수정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매립지반 지하수의 오염물을 여과하기 위한 정화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ing unit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pace therein and a purifying unit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and filtering contaminants in the landfill semi-ground wat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매립지반 지하수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부와 매립지반 지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가 구비되며, 유입부는 배출부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landfill semi-ground water and a drain for discharging the landfill semi-ground water, and the inlet can be located higher than the outle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정화부는, 제1차폐벽과, 제1차폐벽과 마주보도록 구비된 제2차폐벽과, 매립지반 지하수를 여과하기 위한 반응성 매질부가 구비되며, 반응성 매질부는 제1차폐벽과 제2차폐벽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ifying unit may include a first shielding wall, a second shielding wall facing the first shielding wall, and a reactive medium for filtering the landfill semi-groundwater,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first shielding wall and the second shielding wal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차폐벽은 하단에 매립지반 지하수가 유입되는 입구가 구비되며, 제2차폐벽은 상단의 높이가 유입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hielding wall is provid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landfill semi-groundwater flows into the lower end, and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hielding wall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le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정화부는 반응성 매질부의 하단면에 연결된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g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creen connected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reactive medium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집수정의 하우징 또는 정화부에 구비되어 매립지반 지하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ing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of the dust collecting unit or the purifying unit to block inflow of the landfill semi-ground wat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정화부는 반응성 매질부의 여과능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ify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sensor for sensing the filtering ability of the reactive medium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반응성 매질부는 복수개로 병렬구성될 수 있으며, 감지센서는 복수개의 반응성 매질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portions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detection sensor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portion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단부재는 복수개의 반응성 매질부에 대응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locking member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portions may be provided.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매립지 지하수의 자연배수 시스템의 관리방법은, 매립지반에 존재하는 지하수를 집수 및 여과하는 배수 시스템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지하수를 복수개의 반응성 매질부를 통하여 여과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반응성 매질부의 여과능력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반응성 매질부 중에서 여과능력이 저하된 반응성 매질부에만 내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단계와, 여과능력이 저하된 반응성 매질부를 교체하는 단계와, 교체된 반응성 매질부로 지하수의 유입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aging a drainage system for collecting and filtering groundwater existing in a landfill zone, the method comprising: Monitoring the filtration capability of the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portions; blocking inflow of the water only into the reactive medium portion where the filtering ability of the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portions is deteriorated; And replacing the reac- tive medium with the re-introduced groundwater.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지 지하수의 자연배수 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의하면, 매립지 지하수를 정화 및 배출하여 매립지반의 조기안정화에 효과가 있고, 최종 처분장 내의 지하수위를 적정 수위로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atural drainage system and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landfill groundwa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ffective to purify and discharge the landfill groundwater to stabilize the landfill zone early, and to stabilize the groundwater level in the final disposal ground to a proper level Can be managed.

특히, 해상 처분장에서, 반응성 매질을 통하여 보유수에 대한 오염도 저감이 가능하므로 저류지의 환경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수처리시설에서의 오염물질 처리 부하를 감소시킨다.Particularly, in a marine repository, it is possible to reduce pollution with respect to retained water through a reactive medium, thereby improving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of the reservoir and reducing the pollutant processing load in the water treatment facility.

또한, 처분장 내에 폐기물 등을 매립한 후에도 집, 배수 설비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houses and drainage facilities even after waste is buried in the repository.

또한, 유입된 지하수의 여과효율 높고, 자연배수 방식이므로 장기간의 유지 및 관리에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inflowed ground water is high and it is a natural drainage method, there is an economical effect for long-term maintenance and management.

또한, 지하수의 여과를 위한 반응성 매질부를 복수로 구성하고 이들의 여과능력을 모니터링하여 교체시기를 알려주며, 교체시기가 된 반응성매질부의 경우 다른 반응성매질부의 여과기능을 유지하면서도 해당 반응성매질부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여과기능의 중단을 방지하고 유지 보수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portions for filtering groundwater are monitored, and their filtration ability is monitored to indicate the replacement time. In the case of the reactive medium portion to be replaced, only the reactive medium portion is replaced while maintaining the filtering function of the other reactive medium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interruption of the filtration function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mainten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지 지하수의 자연배수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응성 매질부 및 복수로 구성된 반응성 매질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매립지 지하수의 자연배수 시스템 관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natural drainage system for landfill ground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collec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housekeep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4 is a front view depicting collec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reactive medium portion and a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por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aging the natural drainage system of the ground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지 지하수의 자연배수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부(D)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S)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S)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응성 매질부(230)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매립지 지하수의 자연배수 시스템 관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natural drainage system of a landfill ground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water collecting part 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a sump (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the natural drainage system of the landfill ground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매립지 지하수 자연배수 시스템은 집수정(S) 및 집수부(D)를 포함한다.The landfill groundwater natural drainage system includes a sump (S) and a sump (D).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집수정(S)은, 상단이 개방된 개방형 집수정(S)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집수정(S)은 이물질의 유입 방지를 위하여 상단에 캡이 씌워진 집수정(S)일 수 있다.3 and 4, the dust collection S may be an open collection dust collection S having an open upper end. As another example, the dust collecting unit S may be a dust collecting unit S with a cap on the top thereof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dust collecting unit.

상기 집수정(S)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된 정화부(200)를 포함한다. The dust collector S includes a housing 100 having a space therein and a purifier 20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0.

상기 하우징(100)은 하단부가 매립지반(L)의 상부에 매설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집수부(D)와 연결되어 지하수(U)가 유입되는 유입부(110)와, 유입된 지하수(U)가 상기 집수정(S)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120)를 포함한다.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00 may be embed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andfill L. The housing 100 includes an inlet 110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D to receive the ground water U and a discharge part 110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ground water U to the outside of the collecting water S 120).

상기 유입부(110)는, 상기 집수부(D)와 연결되며, 상기 집수부(D)와 같은 높이 또는 상기 집수부(D)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D)에서 집수된 지하수(U)는 중력에 의해 상기 유입부(110)를 통하여 집수정(S) 내로 유입된다.The inflow par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D and may have the same height as the water collecting part D or a lower height than the water collecting part D. [ The groundwater U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D flows into the water collecting S through the inflow part 110 by gravity.

상기 배출부(120)는, 상기 유입부(110)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00)로 유입된 지하수(100)는 상기 유입부(100)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된 상기 배출부(120)를 통하여 중력에 의해 상기 집수정(S) 외부로 배출된다.The discharge portion 120 may be provid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inflow portion 110. The groundwater 100 flowing into the inlet 1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llector S by gravity through the outlet 120 provid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inlet 100.

상기 정화부(200)는, 제1차폐벽(210), 제2차폐벽(220) 및 반응성 매질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rifier 200 may include a first shielding wall 210, a second shielding wall 220, and a reactive medium portion 230.

상기 제1차폐벽(210)은, 상기 하우징(10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지하수(U)의 수평방향 흐름을 차단한다. 상기 제1차폐벽(210)의 하부에는 상기 지하수(U)가 상기 반응성 매질부(230)의 하단부로 흐르도록 입구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입구는 상기 제1차폐벽(210)의 하부가 천공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차폐벽(210)의 하단부가 상기 제2차폐벽(220)과 연결되고, 상기 제1차폐벽(210)이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에서 이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hielding wall 210 is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blocks the flow of the groundwater U flowing through the inlet 1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 inlet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hielding wall 210 so that the groundwater U flows to the lower end of the reactive medium portion 230. In one embodiment, the inlet may be bo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hielding wall 210. In another embodimen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hielding wall 2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shielding wall 220, and the first shielding wall 210 is fix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housing 100 The inlet may be provided.

상기 제2차폐벽(220)은, 상기 제1차폐벽(210)과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차폐벽(210)과 상기 제2차폐벽(220)의 사이에 상기 반응성 매질부(230)가 결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벽(220)의 상단 높이는 상기 유입부(110)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110)로 들어온 지하수(U)가 수두차에 의해 상기 반응성 매질부(230)를 통과한 후 상기 제2차폐벽(220)의 상단을 월류하여 상기 배출부(120)로 배출될 수 있다.The second shielding wall 22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shielding wall 210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hielding wall 210 and the second shielding wall 220, A space may be formed in which the protrusion 230 is coupled.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hielding wall 220 is lower than that of the inflow part 110 so that the groundwater U entering the inflow part 110 passes through the reactive medium part 230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120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hielding wall 220.

상기 반응성 매질부(230)는, 상기 제1차폐벽(210)과 상기 제2차폐벽(220) 사이의 공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반응성 매질부(230) 하단면에는 스크린(240)이 연결될 수 있다.The reactive medium portion 230 is detachably coupled to a space between the first shielding wall 210 and the second shielding wall 220 and the screen 240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reactive medium portion 230. [ Can be connected.

상기 지하수(U)는 상기 반응성 매질부(230)의 하단면에서 상단면까지 수평방향의 흐름이 차단된 상태에서 저속으로 여과되어 높은 여과효율을 갖는다. The groundwater U is filtered at a low speed in a state where the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blocked from the lower end surface to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reactive medium portion 230 to have a high filtration efficiency.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상기 반응성 매질부(230)는, 복수개의 반응성 매질부(230)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반응성 매질부(230)는 반응성 매질부 각각의 여과능력에 따라 독립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4 and 5, the reactive medium portion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portions 230, and the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portions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portions 230, Can be independently replaced.

상기 정화부(200)에는, 상기 반응성 매질부(230)의 여과능력을 측정하는 센서부(400)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반응성 매질부(230)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센서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The purifier 20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400 for measuring a filtration capability of the reactive medium unit 230 and may include a sensor unit 40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units 230, May be provided.

상기 하우징(100) 또는 상기 정화부(200)에는 지하수(U)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재(300)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차단부재(300)는 상기 복수개의 반응성 매질부(230)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A blocking member 300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or the purifying unit 200 to block the inflow of groundwater U and the blocking member 300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units 230 And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집수정(S)를 통하여 배출된 지하수(U)가 모이는 내수 연못(P)이 형성되고, 상기 내수 연못(P)의 물을 처리하는 수처리시설(F)이 구비되어, 해상 처분장 내부의 수위 및 수질 관리에 용이한 배수 시스템이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응성 매질부를 통하여 매립지 내에 존재하는 지하수에 대한 오염도 저감이 가능하므로 상기 내수 연못(P) 등 저류지의 환경성이 개선되며, 상기 수처리시설(F)에서의 오염물질 처리 부하를 감소시켜 배수 시스템의 운용에 효율적이다. 다만, 상기 내수 연못(P) 및 상기 수처리시설(F)은 본 발명인 매립지 지하수의 자연배수 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1,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pond P is formed in which groundwater U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pool S collects, A water treatment system (F) is provided to facilitate water level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inside a marine reposi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ution degree with respect to the groundwater existing in the landfill can be reduced through the reactive medium, thereby improving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of the reservoir such as the water pond P, It is effective for the operation of the drainage system by reducing the processing load. However, the water pond (P) and the water treatment facility (F) are not essential to the natural drainage system and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ground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집수부(D)는, 도1 및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지의 매립지반(L)과 상기 매립지반(L) 위에 시공된 복토층(C) 사이에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ater collecting part D is provided between the landfill L of the landfill and the superficial layer C installed on the landfill L. As shown in FIG.

우수에 따른 상기 복토층(C) 내부의 물과 상기 매립지반(L) 내에서 양압력에 따라 상승한 물이 상기 집수부(D)에서 집수되어 지하수(U)가 형성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집수부(D)는 자갈, 모래, 토목섬유 등으로 형성된 집수층일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집수부(D)는 유공 파이프일 수 있다.The water inside the cover layer C according to the rainfall and the water rais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ve pressure in the landfill L are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D to form the ground water U. In one embodiment, the collecting part D may be a collecting layer formed of gravel, sand, geosynthetic fibers, or the like. In another embodiment, the collecting part D may be a hollow pip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매립지 지하수의 집수, 배수 및 여과 과정에서 중력에 의한 자연배수가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atural drainage by gravity is possible during collection, drainage, and filtration of landfill groundwater.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반응성 매질부(230) 중에서 여과능력이 저하된 반응성 매질부(230)만 교체되므로, 여과기능의 중단이 방지된다.In addition, since only the reactive medium portion 230 having the reduced filtering ability is replaced among the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portions 230, the interruption of the filtering function is prevented.

이하, 매립지 지하수의 자연배수 시스템의 관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aging the natural drainage system of the groundwater in the landfill will be described.

도6을 참조하면, 상기 관리방법은 먼저 매립지 지하수를 복수개로 구성된 반응성 매질부를 통하여 여과한다(S100). 상기 지하수는 상기 유입부(110)로 유입되어 상기 반응성 매질부 각각을 통하여 여과되므로, 상기 반응성 매질부간의 여과능력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management method first filters landfill groundwater through a plurality of reactive mediums (S100). Since the groundwater flows into the inlet 110 and is filtered through each of the reactive media, the filtration capability of the reactive media may vary.

다음으로 복수개로 구성된 상기 반응성 매질부의 여과능력을 모니터링한다(S200). 상기 복수개의 반응성 매질부와 대응되도록 센서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00)를 통하여 상기 반응성 매질부의 상태를 측정하고, 모니터링하여 상기 반응성 매질부 각각의 여과능력을 산출한다.Next, the filtering ability of the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portions is monitored (S200). The sensor unit 40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units. The state of the reactive medium portion is measured and monitored through the sensor portion 400 to calculate the filtering ability of each of the reactive medium portions.

상기 반응성 매질부의 여과 능력을 산출한 후, 상기 복수개의 반응성 매질부 중에서 여과능력이 저하된 반응성 매질부에만 상기 지하수의 유입을 차단한다(S300). 상기 정화부(200)에는 상기 복수개의 반응성 매질부에 대응하는 차단부재(30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300)는 다른 차단부재(300)와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After calculating the filtering ability of the reactive medium, the inflow of the groundwater is blocked only in the reactive medium portion where the filtering ability of the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portions is decreased (S300). The purge part 200 may include a blocking member 300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parts. The blocking member 300 may be opened and closed independently of the other blocking members 300.

상기 지하수의 유입이 차단된 상기 반응성 매질부을 교체한다(S400). 상기 복수의 반응성 매질부는 상호 독립적으로 착탈이 가능하므로, 상기 매질부을 교체하는 동안 매립지 지하수의 자연배수 시스템의 여과기능은 유지된다.The reactive medium portion in which the introduction of the groundwater is blocked is replaced (S400). Since the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portions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filtering function of the natural drainage system of the landfill groundwater during the replacement of the medium portion is maintained.

이후, 상기 교체된 반응성 매질부로 지하수의 유입을 재개한다(S500).There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groundwater into the replaced reactive medium is resumed (S5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방법에 따르면, 배수 시스템을 중단하지 않고 반응성 매질을 독립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배수 시스템의 경제적이고 유용한 관리가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ctive medium can be independently replaced without interrupting the drainage system, thereby enabling economical and useful management of the drainage system.

100 : 하우징 110 : 유입부
120 : 배출부 200 : 정화부
210 : 제1차폐벽 220 : 제2차폐벽
230 : 반응성 매질부 240 : 스크린
300 : 차단부재 400 : 센서부
S : 집수정 D : 집수부
L : 매립지반 C : 복토층
U : 지하수 F : 수처리시설
P : 내수 연못
100: housing 110: inlet
120: discharging part 200: purifying part
210: first shielding wall 220: second shielding wall
230: Reactive medium part 240: Screen
300: blocking member 400: sensor unit
S: House fix D: Housekeeper
L: Landfill C: Coconut layer
U: Groundwater F: Water treatment facility
P: Domestic water pond

Claims (10)

매립지에 존재하는 지하수를 집수 및 여과하기 위한 집수정; 및 상기 집수정과 연결되며 상기 매립지 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집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정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지하수의 오염물을 여과하기 위한 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Modification of collection to collect and filter groundwater present in landfill; And a coll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ollecting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andfill,
The collection-
A housing having a space therein; And
And a purifier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for filtering contaminants in the groundw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하수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부; 및 상기 지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배출부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comprises: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groundwater; And a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groundwater,
Wherein the inle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outl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는,
제1차폐벽;
상기 제1차폐벽과 마주보도록 구비된 제2차폐벽; 및 상기 지하수를 여과하기 위한 반응성 매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성 매질부는 제1차폐벽과 상기 제2차폐벽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hielding wall;
A second shielding wall provided to face the first shielding wall; And a reactive medium part for filtering the ground water,
Wherein the reactive medium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first shielding wall and the second shielding wal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벽은 하단에 상기 지하수가 유입되는 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2차폐벽은 상단의 높이가 상기 유입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shielding wall is provid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groundwater flows,
Wherein the second shielding wall has a height at an upper end lower than that at the inl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는 상기 반응성 매질부의 하단면에 연결된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urify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creen connected to a lower end surface of the reactive medium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정화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하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llecting unit is connected to a blocking member provided in the housing or the purifying unit to block inflow of the groundwa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는 상기 반응성 매질부의 여과능력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urify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ensor unit for sensing a filtering capability of the reactive medium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매질부는 복수개로 병렬구성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복수개의 반응성 매질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portions are arranged in parallel,
Wherein the sensor unit correspond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units.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반응성 매질부에 대응되어 복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8,
Wherein a plurality of the blocking members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portions.
매립지에 존재하는 지하수를 집수 및 여과하는 배수 시스템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지하수를 복수개로 구성된 반응성 매질부를 통하여 여과하는 단계,
상기 반응성 매질부의 여과능력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반응성 매질부 중에서 여과능력이 저하된 반응성 매질부에만 지하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여과능력이 저하된 반응성 매질부을 교체하는 단계; 및
상기 교체된 반응성 매질부로 지하수의 유입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의 관리방법
A method for managing a drainage system for collecting and filtering groundwater present in a landfill,
Filtering the groundwater through a plurality of reactive mediums,
Monitoring the filtering capability of the reactive medium portion,
Blocking inflow of groundwater only in the reactive medium portion where the filtering ability of the plurality of reactive medium portions is deteriorated;
Replacing the reactive medium portion with the reduced filtration capability; And
And resuming the introduction of the groundwater into the replaced reactive medium part
KR1020170152568A 2017-11-15 2017-11-15 Natural draining system in land fill site and method of maintenance control thereof KR1020921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568A KR102092168B1 (en) 2017-11-15 2017-11-15 Natural draining system in land fill site and method of maintenance control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568A KR102092168B1 (en) 2017-11-15 2017-11-15 Natural draining system in land fill site and method of maintenance control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638A true KR20190055638A (en) 2019-05-23
KR102092168B1 KR102092168B1 (en) 2020-03-23

Family

ID=6668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568A KR102092168B1 (en) 2017-11-15 2017-11-15 Natural draining system in land fill site and method of maintenance control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16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7771A (en) * 2002-05-23 2005-09-15 キュノ・エンジニアド・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Water filter assembly
KR100570957B1 (en) * 2004-12-20 2006-04-13 채경희 Apparatus for processing contaminant in road surface drainage of road drain facilities
KR101037952B1 (en) * 2008-05-22 2011-05-31 이재주 The apparatus for removing water out of the damp ground having double vacuum pump
KR20110061945A (en) * 2009-12-02 2011-06-10 이동희 Recycling method of rainwater
KR101249741B1 (en) * 2012-02-29 2013-04-05 이종길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early stage rain water
KR101611447B1 (en) 2015-11-03 2016-04-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Leachate exhausting system of sea repository and leachate exhausting method of sea repositor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7771A (en) * 2002-05-23 2005-09-15 キュノ・エンジニアド・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Water filter assembly
KR100570957B1 (en) * 2004-12-20 2006-04-13 채경희 Apparatus for processing contaminant in road surface drainage of road drain facilities
KR101037952B1 (en) * 2008-05-22 2011-05-31 이재주 The apparatus for removing water out of the damp ground having double vacuum pump
KR20110061945A (en) * 2009-12-02 2011-06-10 이동희 Recycling method of rainwater
KR101249741B1 (en) * 2012-02-29 2013-04-05 이종길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early stage rain water
KR101611447B1 (en) 2015-11-03 2016-04-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Leachate exhausting system of sea repository and leachate exhausting method of sea reposit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168B1 (en) 202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819B1 (en)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KR101400313B1 (en) Water treatment facility
KR100984676B1 (en) Apparatus for drain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KR101349613B1 (en) Low impact development based advanced sand filter
KR101252736B1 (en) Reducing apparatu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of turvulent filtration type
KR101703319B1 (en) Rainwater permeate retention system
KR200431389Y1 (en) Rainwater purify device
KR101181863B1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KR200407745Y1 (en) A Treatment System of Rainwater
KR100951098B1 (en) Apparatus for filter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using a cartrage filter
KR100511208B1 (en) Reservoir system of rainwater
KR100958295B1 (en)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KR100784496B1 (en) Rainwater purify device
KR101089756B1 (en)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KR100927631B1 (en) Non-point source contaminant decreasing device using bio-film filtration
KR20110131868A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KR101202895B1 (en) Rainwater tank apparatus
KR101649039B1 (en) Eco-friendly street inlet
KR20190055638A (en) Natural draining system in land fill site and method of maintenance control thereof
KR100834898B1 (en) Rain recycle device using a hallow fiber-membrane
KR101760856B1 (en) Treatment apparatus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KR101532191B1 (en) Filter backwash function blocks system for nonpoint pollution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952117B1 (en)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KR101159474B1 (en) purifying device for non-point material
JP2003286741A (en) Rainwater clean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