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389Y1 - Rainwater purify device - Google Patents
Rainwater purif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1389Y1 KR200431389Y1 KR2020060017313U KR20060017313U KR200431389Y1 KR 200431389 Y1 KR200431389 Y1 KR 200431389Y1 KR 2020060017313 U KR2020060017313 U KR 2020060017313U KR 20060017313 U KR20060017313 U KR 20060017313U KR 200431389 Y1 KR200431389 Y1 KR 20043138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fall
- tank
- filtration
- initial
- rain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 및 도로의 초기 우수를 정화하는 초기 우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를 침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여과하는 여과조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정화탱크와; 상기 교량 및 도로의 배수관에 연결되며 상기 침전조와 상기 여과조를 통과하는 강우수안내관과, 상기 강우수안내관에서 상기 침전조 내부로 분기된 초기강우수유입관과, 상기 침전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초기강우수유입관을 개폐하는 강우수제어밸브를 갖는 강우수제어관과; 상기 침전조 내측 상부 영역에서 상기 초기강우수유입관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다공상의 유입수여과망과;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강우수통과구에 설치되는 여과부재와; 상기 여과조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조 내의 우수를 여과하는 여과기와; 상기 여과기로부터 상기 정화탱크 외부로 연장되는 정화수방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itial rainwater purifier for purifying initial rainwater of bridges and roads, comprising: a purification tank in which at least one sedimentation tank for sedimenting rainwater and a filtration tank for filtering rainwater flowing from the sedimentation tank are partitioned by partition walls; ; A rainwater guide tube connected to the bridge and the drainage pipe of the bridge and passing through the settling tank and the filtration tank, an initial rainfall inlet pipe branched from the rainfall guide tube into the settling tank, and the initial rainfall inlet pip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ettling tank A rainfall control tube having a rainfall control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A porous inlet water filtration network installed to surround the initial rainfall inflow pipe in the upper region of the sedimentation tank; A filtration member installed in the rainfall passag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A filter installed in the filter tank to filter rainwater in the filter tank;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extending from the filter to the outside of the purification tank.
이에 의하여, 장치의 관리가 편리함과 동시에, 강우량에 관계없이 초기 강우수가 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초기 우수의 정화 효율이 우수한 초기 우수 정화장치가 제공된다.As a result, the initial rainwater purification devic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initial rainfall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stream regardless of the rainfall, and the initial rainwater purifier having excellent initial purification efficiency is provided.
교량, 강우수, 정화, 침전조, 여과조 Bridge, rainfall, purification, sedimentation tank, filtration tank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의 교량 설치상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installation state of the conventional rain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bridges,
도 2는 도 1의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의 부분 절취 사시도, FIG.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rainwater purifier for bridges of FIG. 1; FIG.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초기 우수 정화장치의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itial rain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유입수 여과망 확대사시도,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influent filter network of Figure 3,
도 5는 도 3의 제1 및 제2여과부재 분해사시도,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members of FIG. 3;
도 6은 도 3의 여과기 절취사시도,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cut out of Figure 3,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초기 우수 정화장치의 교량 설치 상태 도면, 7 is a view showing the bridge installation state of the initial rain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초기 우수 정화장치의 우수 정화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8 and 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rainwater purification of the initial rain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정화장치 및 정화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10 and 11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initial rainwater purifier and the purifying a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 : 정화탱크 7 : 강우수제어관 5: purification tank 7: rainfall control pipe
10 : 제1침전조 13 : 맨홀10: first settling tank 13: manhole
15 : 제1여과부재 20 : 제2침전조15: first filtration member 20: second sedimentation tank
25 : 제2여과부재 30 : 여과조25: second filtration member 30: filtration tank
31 : 여과기 33 : 걸름망부재31: filter 33: strainer member
35 : 여과층형성부 36 : 여과층35: filtration layer forming unit 36: filtration layer
37 : 정화수방류관 39 : 방류관조절밸브37: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39: discharge pipe control valve
41 : 격벽 50 : 강우수안내관41: bulkhead 50: rainfall guide
51 : 초기강우수유입관 53 : 강우수제어밸브51: initial rainfall inlet pipe 53: rainfall control valve
본 고안은, 초기 우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itial rainwater purifier.
도로나 교량에는 강우(降雨)시 도로상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빗물을 하천으로 방류하는 배수구 및 배수관이 마련되어야 하며, 배수관의 관로에는 빗물에 섞인 도로상의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초기 우수 정화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Roads and bridges should be provided with drains and drainage pipes to discharge rainwater into the rivers to prevent the accumulation of rainwater on the roads during rainfall, and in the pipelines of the drainage pipes, the initial rainwater to clean pollutants on the road mixed with rainwater. Purifiers should be installed.
종래 일반적인 초기 우수 정화장치는 단순히 배수관 내에 필터 카트리지를 설치하여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구성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경우에는 빗물이 지속적으로 필터 카트리지를 통과하기 때문에, 강우량이 큰 집중호우나 폭우 등이 발생하면 과부하에 의한 역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Conventional early rainwater purification device has a configuration to filter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simply by installing a filter cartridge in the drain pipe, in this case, because the rainwater continuously passes through the filter cartridge, heavy rainfall or heavy rain with heavy rainfall When the back light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a backflow phenomenon occurs due to overload.
한편, 도로 상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은 대부분 초기 강우수에 씻겨져서 우수 정화장치로 유입되고, 그 이후 지속적으로 정화장치로 유입되는 강우수(이하 "지속 강우수"라 함)는 오염물질을 거의 포함하지 않게 된다.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pollutants present on the road are washed by the initial rainfall and flow into the rainwater purifier, and the rainfall that continuously flows into the purifi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ersistent rainfall") contains almost no pollutants. do.
그러나, 종래 초기 우수 정화장치는 초기 강우수로부터 지속 강우수가 모두 정화장치인 필터 카트리지를 통과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early rainwater purifier has a problem that it is inefficient because the continuous rainfall from the initial rainfall passes through the filter cartridge which is a purifie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초기 우수 정화장치의 하나인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24025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이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10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3)의 도로(5) 상에 형성된 배수구(7)에 설치되며, 상부 내경면이 초기 강우수 유입구(111)로 형성되는 관상의 본체(110)와; 본체(110) 중앙에 동심적으로 설치되며, 내경면이 지속 강우수 유입구(121)로 형성되고 하단부가 교량(3)의 배수관(9)에 연결되는 중앙관(120)과; 본체(110)와 중앙관(120)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 카트리지(125)를 구비하고 있다. One of the early rainwater purifiers to solve this problem has been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5-024025. This
이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101)로 유입되는 강우수 중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초기 강우수는 초기 강우수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어 필터 카트리지(125)에서 오염물질이 걸러진 다음, 중앙관(120) 하단에 형성된 배출공(123)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비교적 오염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지속 강우수는 중앙관(120) 상단의 지속 강우수 유입구(121)로 유입되어 배출된다. The initial rainwater containing contaminants in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그런데, 이러한 종래 초기 우수 정화장치는 필터 카트리지에 걸러지는 오염물질이 본체와 중앙관 사이에 쌓이면 관리자가 일일이 필터 카트리지를 분리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해야 하므로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early rainwater purification device has a problem that management is inconvenient because the administrator must separate the filter cartridge to remove the pollutants once the pollutants filtered by the filter cartridge are accumulat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entral tube.
또한, 필터 카트리지에 비교적 많은 량의 오염물질이 쌓여 있는 상태에서 비 가 내리기 시작하면, 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 강우수가 지속 강우수 유입구로 넘쳐서 중앙관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ain begins to fall in a state wher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ontaminants are accumulated in the filter cartrid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itial rainwater containing the contaminants overflows into the continuous rainfall inlet and is discharged into the stream through the central pipe.
또한, 초기 강우수 유입구와 지속 강우수 유입구가 동일 평면상에서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집중호우나 폭우 등 강우량이 단시간에 크게 형성되는 강우가 발생하면 사실상 많은 량의 초기 강우수가 초기 강우수 유입구뿐만 아니라 지속 강우수 유입구로도 유입되어 하천으로 방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의해, 초기 우수의 정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initial rainfall inlet and the continuous rainfall inlet are arranged concentrically on the same plane, when a rainfall occurs such as heavy rainfall or heavy rainfall in a short time, a large amount of the initial rainfall is actually an initial rainfall As well as the inlet flows into the continuous rainfall inlet is a problem that is discharged into the river. Thereby,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initial stage rain fell.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치의 관리가 편리함과 동시에, 강우량에 관계없이 초기 강우수가 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초기 우수의 정화 효율이 우수한 초기 우수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itial rainwater purifier that is convenient for the management of the device and can effectively prevent the initial rainfall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river regardless of rainfall, and has excellent initial purification efficiency.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교량 및 도로의 초기 우수를 정화하는 초기 우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우수를 침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여과하는 여과조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정화탱크와; 상기 교량 및 도로의 배수관에 연결되며 상기 침전조와 상기 여과조를 통과하는 강우수안내관과, 상기 강우수안내관에서 상기 침전조 내부로 분기된 초기강우수유입관과, 상기 침전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초기강우수유입관을 개폐하는 강우수제어밸브를 갖는 강우수제어관과; 상기 침전조 내측 상부 영역에서 상기 초기강우수 유입관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다공상의 유입수여과망과;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강우수통과구에 설치되는 여과부재와; 상기 여과조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조 내의 우수를 여과하는 여과기와; 상기 여과기로부터 상기 정화탱크 외부로 연장되는 정화수방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정화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itial rain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purifying the initial rainwater of the bridge and road, at least one sedimentation tank for sedimenting the rainwater, and the filtration tank for filtering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sedimentation tank is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A purification tank; A rainwater guide tube connected to the bridge and the drainage pipe of the bridge and passing through the settling tank and the filtration tank, an initial rainfall inlet pipe branched from the rainfall guide tube into the settling tank, and the initial rainfall inlet pip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ettling tank A rainfall control tube having a rainfall control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A porous inflow water filtering network installed to surround the initial rainfall inflow pipe in the upper region of the sedimentation tank; A filtration member installed in the rainfall passag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A filter installed in the filter tank to filter rainwater in the filter tank; It is achieved by the initial storm water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extending from the filter to the outside of the purification tank.
여기서, 상기 침전조는 상기 초기강우수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1차 침전시키는 제1침전조와, 상기 제1침전조와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제1침전조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2차 침전시켜 상기 여과조로 전달하는 제2침전조를 가지며;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제1침전조와 상기 제2침전조를 구획하는 격벽에 설치되는 제1여과부재와, 상기 제2침전조와 상기 제2침전조를 구획하는 격벽에 설치되는 제2여과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ettling tank is partitioned by the first settling tank for precipitating rainwater flowing from the initial rainfall inlet pipe and the first settling tank and the partition wall, and the second precipitation of rainwater flowing from the first settling tank into the filtration tank. Has a second settling tank to transmit; Preferably, the filtration member has a first filtration member installed on a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settling tanks, and a second filtration member provided on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second and second settling tanks. Do.
그리고,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강우수통과구에 설치되는 다공성여과필터와, 상기 다공성여과필터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섬유상여과필터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In addition, it is effective that the filtration member has a porous filtration filter installed in the rainfall passage, and a fibrous filtration filter coupl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orous filtration filter.
이때, 제2여과부재의 여과밀도는 상기 제1여과부재의 여과밀도에 비해 조밀한 밀도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iltration density of the second filtration member has a dense density compared to the filtration density of the first filtration member.
한편, 상기 강우수안내관과 상기 초기강우수유입관의 분기영역에는 강우수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강우수제어밸브는 상기 강우수유입공을 개폐하는 개폐변과, 상기 침전조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개폐변을 상하 이동시키는 플로우트를 갖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On the other hand, a rainfall inlet hole is formed in the branching region of the rainfall guide tube and the initial rainfall inlet pipe; The rainfall control valve is more effective to have an opening and closing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ainfall inlet hole, and a float for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settling tank.
그리고, 상기 침전조와 상기 여과조의 상부 슬라부에는 맨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manhole is formed in the upper slab of the precipitation tank and the filtration tank.
또한, 상기 여과기는 상기 여과조 상부영역에 위치하는 다공상의 걸름망부재와; 상기 걸름망부재 하부에 결합되며 저부에 상기 정화수방류관이 결합되는 틀형상의 비투과성 여과층프레임과, 상기 여과층프레임 내에 마련되는 여과층을 갖는 여과층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In addition, the filter and the porous strainer member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filter tank; It is effective to include a filtration layer forming unit having a non-permeable filtration layer frame of the frame shap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trainer member and the purification water discharge pipe is coupled to the bottom, and a filtration layer provided in the filtration layer frame.
이때, 상기 여과층은 상기 여과층프레임의 내에서 상기 여과조의 저부면를 향해 상호 적층된 활성탄층과 자갈층 및 모래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filtration layer is more preferably formed of an activated carbon layer, a gravel layer and a sand layer laminated to each other in the filter layer frame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ration tank.
그리고, 상기 정화탱크 외측의 상기 정화수방류관에는 방류량조절밸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In addition, it is more effective that the discharge amount control valve is provided in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outside the purification tank.
여기서, 상기 방류량조절밸브는 전자밸브로 마련되며, 상기 정화탱크 내부로 유입된 우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방류량조절밸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방류량조절밸브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discharge amount control valve is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ic valv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discharge amount control valv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amount control valve in accordance with the rain water level introduced into the purification tank.
이때, 상기 방류량조절밸브제어수단은 상기 격벽에 형성된 강우수통과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감지센서와; 상기 강우수제어밸브에 의해 상기 초기강우수유입관이 폐쇄되는 위치에서 수위를 감지하는 고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전자밸브의 개방 또는 차단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와; 상기 저수위감지센서로부터 저수위 감지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방류량조절밸브를 차단하는 한편, 상기 고수위감지센서로부터 고수위 감지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소 정의 시간동안 상기 방류량조절밸브를 개방하였다가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At this time, the discharge control valve control means includes a low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ainfall passag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A high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at a position where the initial rainfall inlet pipe is closed by the rainfall control valve; A timer for setting the opening or closing time of the solenoid valve; When the low water level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low water level sensor, the discharge control valve is shut off, while when the high water level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high water level sensor, the discharge control valve is controlled to open and shut off for a predetermined time set in the timer. It is effective to include a control uni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subject innova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초기 우수 정화장치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초기 우수 정화장치(1)는 복수의 초기 강우수를 정화하여 방류하는 정화탱크(5)와, 초기 강우수를 정화탱크(5)로 유입시키고 지속 강우수는 하천으로 방류하는 강우수제어관(7)을 포함한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itial rain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is figure, the
정화탱크(5)는 초기 강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1차 침전시키는 제1침전조(10)와, 제1침전조(10)에서 침전되지 않은 오염물질을 2차 침전시키는 제2침전조(20)와, 제1 및 제2침전조(10,20)에서 침전되지 않은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조(30)가 격벽(41)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The
제1침전조(10)의 내측 상부 영역에는 후술할 강우수제어관(7)의 초기강우수유입관(51)을 둘러싸는 유입수여과망(11)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유입수여과망(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강우수에 포함된 낙엽이나 비닐 등의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서, 둘레면에 약 10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다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n
그리고, 제1침전조(10)의 내측 하부에는 강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침전을 위해 히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침전조(10)의 상부 슬라브에는 제1침전조(10)에 침전된 오염물질(슬러지)을 외부로 배출하는 한편, 제1침전조(10) 내부의 청소 등의 관리를 위해 맨홀(13)이 마련되어 있다. In addition, a slanted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first settling
제2침전조(20)는 제1침전조(10)에서 침전되지 않은 강우수 내의 오염물질을 침전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침전조(10)와 마찬가지로 그 내측 하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슬라브에 맨홀(13)이 마련되어 있다. The
한편,제1침전조(10)와 제2침전조(20) 및 여과조(30)를 구획하는 각 격벽(41)에는 강우수의 흐름을 위한 강우수통과구(43)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강우수통과구(43)에는 이동하는 강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제1 및 제2여과부재(15,25)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제1 및 제2여과부재(15,2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강우수통과구(43)에 설치되는 다공성여과필터(15b)와, 다공성여과필터(15b)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섬유상여과필터(15d)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5, the first and
다공성여과필터(15b)는 슬러지의 흡착력이 우수한 다공성여재로 마련되며 엘보우형상의 필터관(15a) 내에 카트리지 형태로 출입가능하게 수용되어 슬러지를 여과한다. 그리고, 섬유상여과필터(15d)는 섬유재의 여과포로 마련되어 판면에 다공이 형성되어 있는 필터프레임(15c) 내에 설치되어 슬러지 및 유분을 여과한다. 이때, 필터프레임(15c) 일측은 개폐 가능한 필터커버(15e) 구조를 갖도록 하여 섬유 상여과필터(15d)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orous filtration filter (15b) is provided with a porous media having excellent adsorption power of the sludge and is accommodated in the cartridge form in the elbow-shaped filter tube (15a) to filter the sludge. The
또한, 제1 및 제2여과부재(15,25)는 제1침전조(10)로부터 제2침전조(20)를 거쳐 여과조(30)로 향하는 강우수의 정화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2여과부재(25)의 여과밀도가 제1여과부재(15)의 여과밀도에 비해 미세한 필터규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members (15, 25) is the second filtration member (25) so that the precipitation of the rainfall from the first settling tank (10) to the
여과조(30)에는 침전조에서 침전되지 않는 강우수내의 유기물성분이나 기름성분 및 부유물 등의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기(3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여과기(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우수내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걸름망부재(33)와, 걸름망부재(33) 하부로부터 여과조(30) 하부면을 향해 형성되는 여과층형성부(35)로 이루어진다. 이때, 여과조(30)의 상부슬라부에도 역시 맨홀(13)이 마련되어 있다. The
걸름망부재(33)는 여과조(30) 최상 수위로부터 여과층형성부(35)까지의 길이를 갖는 틀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둘레면에는 강우수가 통과하도록 약 0.5mm이하의 직경을 갖는 다공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걸름망부재(33)는 여과성능이 우수한 부직포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여과층형성부(35)는 걸름망부재(33)의 둘레에 대응하는 둘레를 갖는 틀형상의 여과층프레임(35a)과, 여과층프레임(35a) 내에 마련되는 여과층(36)을 가지고 있다.The filtration
여과층프레임(35a)은 여과조(30) 내에 유입된 강우수가 걸름망부재(33)를 통 해서만 여과층(36)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둘레면이 유체 비투과성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여과층프레임(35a)의 상단부와 걸름망부재(33)의 하단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형상 맞춤되는 고무재의 결합패킹(33a)이 마련된다. 또한, 여과층프레임(35a)의 저부에는 여과층(36)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강우수를 외부로 방류하기 위한 정화수방류관(37)이 마련되어 있으며, 정화수방류관(37)에는 정화수의 방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류량조절밸브(39)가 설치되어 있다.The
여과층프레임(35a) 내에 마련되는 여과층(36)은 여과층프레임(35a)의 내측 상부로부터 저부를 향해 활성탄층(36a)과 모래층(36b) 및 자갈층(36c)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활성탄층(36a)은 강우수에 포함된 유기물 성분이나 기름 성분 및 중금속 성분이나 제설제로 사용된 염화 칼슘 등의 오염물질을 흡착 여과하며, 모래층(36b)과 자갈층(36c)은 비교적 큰 입자 크기의 오염물질로부터 비교적 미세한 입자 크기의 오염물질을 단계적으로 여과한다. 여기서, 여과층(36)은 전술한 활성탄층(36a)과 모래층(36b) 및 자갈층(36c)의 구성 이외에 여건에 따라 다양한 재료의 여과층(36)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ctivated
한편, 강우수제어관(7)은 정화탱크(5)로 유입되는 강우수의 유동을 안내하는 강우수안내관(50)과, 강우수안내관(50)으로 유입된 강우수중 초기 강우수를 제1침전조(10)로 안내하는 초기강우수유입관(51)과, 강우수 유입 시기에 따라 초기강우수유입관(51)을 개폐하는 강우수제어밸브(53)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rainfall control pipe (7) is a rainwater guide pipe (50) for guiding the flow of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purification tank (5), the first precipitation in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rainfall guide pipe (50) the first precipitation tank (10) It includes a
강우수안내관(50)은 정화탱크(5) 외측으로부터 제1침전조(10)와 제2침전조(20) 및 여과조(30) 상부영역을 거쳐 정화탱크(5) 반대편 외측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강우수안내관(50)은 제1침전조(10) 외측의 유입측 단부 영역이 도로의 배수구(60)나 교량의 배수구(60)로부터 연장된 배수관(61)과 연결되며, 제1침전조(10)와 제2침전조(20) 및 여과조(30)를 지나 정화탱크(5) 반대편 외측으로 연장된 배출측 단부 영역이 하천을 향하는 배수관(61)에 연결된다.The
초기강우수유입관(51)은 제1침전조(10) 영역에 위치하는 강우수안내관(50)의 일 영역으로부터 제1침전조(10)에 설치된 유입수여과망(11) 내측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하향 분기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초기강우수유입관(51)이 분기되는 강우수안내관(50)의 분기 영역에는 초기강우수유입관(51)의 내경에 비해 작은 직경의 강우수유입공(51a)이 형성되어 있다.The initial
이 초기강우수유입관(51)은 정화탱크(5)의 처리용량에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분기관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분기관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initial
강우수제어밸브(53)는 초기강우수유입관(51) 내에 설치되며, 강우수유입공(51a)을 개폐하는 개폐변(53a)과, 부력을 가지고 침전조의 수위변화에 따라 개폐변(53a)을 상하 이동시키는 플로우트(53b)(float)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강우수제어밸브(53)는 제1침전조(10)의 수위가 만수위일 때, 개폐변(53a)이 강우수유입공(51a)을 차단하는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초기 우수 정화장치(1)의 강우수 정화과정을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이때, 초기 우수 정화장치(1)가 도 7과 같이, 교량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초기 우수 정화장치는 도로에 설치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it looks at with reference to Figures 7 to 9 the rainwater purification process of the initial storm water purifi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initial
강우(降雨)가 시작되면, 초기 강우수가 도로나 교량의 상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60)로 배수되고, 배수된 초기 강우수는 배수관(61)과 연결된 강우수안내관(50)을 통해 정화탱크(5)로 유입된다. 이때, 도로나 교량의 상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은 초기 강우수에 씻겨져서 정화탱크(5)로 유입된다. When the rain starts, the initial rainfall is drained to the
그리고, 정화탱크(5)로 유입된 초기 강우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우수안내관(50)에서 분기된 초기강우수유입관(51)을 통해 제1침전조(10)로 유입된다. 이때, 제1침전조(10)의 수위는 비가 내리기 전에 저수위 상태이므로 강우수제어밸브(53)가 초기강우수유입관(51) 하부영역에 위치하여 강우수유입공(51a)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다. Then, the initial rainfall introduced into the
제1침전조(10)로 초기 강우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강우수에 포함된 낙엽이나 비닐 등의 부유물은 유입수여과망(11) 내에서 걸러진다. 유입수여과망(11)에 걸러진 부유물은 후에 맨홀(13)을 통해서 제거된다. During the initial precipitation of the
한편, 초기 강우수가 유입되기 시작하여 도 9과 같이, 제1침전조(10)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강우수제어밸브(53)는 플로우트(53b)의 부력에 의해 개폐변(53a)이 강우수유입공(51a)을 차단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itial rainfall starts to flow in, as shown in Figure 9, when the water level of the
그러면, 지속 강우수는 강우수안내관(50)을 따라 정화탱크(5) 외부에서 연결 된 배수관(61)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된다. 지속 강우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염물질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하천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Then, the continuous rainfall is discharged to the river through the
그리고, 제1침전조(10)로 유입된 초기 강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 중 자중을 갖는 오염물은 제1침전조(10) 저부에 1차 침전되며, 제1침전조(10)에서 침전되지 않는 초기 강우수내의 유기물성분이나 기름성분 및 부유물 등의 오염물질은 강우수와 함께 제1여과부재(15)를 통해 제2침전조(20)로 이동한다. In addition, the contaminants having their own weight among the contaminants included in the initial rainfall introduced into the
이때, 제2침전조(20)로 이동하는 강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제1여과부재(15)에서 1차적으로 여과된다. At this time, the pollutant contained in the rainwater moving to the
한편, 제2침전조(20)로 유입된 강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 중 자중을 갖는 오염물은 제2침전조(20) 저부로 2차 침전된다. 그리고, 제2침전조(20)의 강우수에 포함된 유기물성분이나 기름성분 및 부유물 등의 오염물질은 강우수와 함께 제2여과부재(25)를 통해 제2침전조(20)로 이동한다. 이때, 여과조(30)로 이동하는 강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제2여과부재(25)에서 2차적으로 여과된다. 여기서, 제2여과부재(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여과부재(15)의 여과밀도가 조밀한 것으로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다. 또한, 제1여과부재(15)와 제2여과부재(25)는 카트리지 구조 및 필터커버(15e)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차후에 교환 및 청소가 용이하다. Meanwhile, contaminants having their own weight among the pollutants included in the rainfall flowing into the
한편, 여과조(30)로 유입된 강우수는 걸름망부재(33)에서 미세한 부유물 등 의 이물질이 걸러진 후, 여과층(36)을 거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ainfall flowing into the
여과층(36)을 거치는 강우수는 활성탄층(36a)에서 유기물 성분이나 기름 성분 및 중금속 성분이나 제설제로 사용된 염화 칼슘 등의 오염물질을 흡착 여과되고, 모래층(36b)과 자갈층(36c)에서 비교적 큰 입자 크기의 부유물로부터 비교적 미세한 입자 크기의 부유물질이 단계적으로 여과된다.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그리고, 여과층(36)을 거치면서 정화된 강우수는 여과조(30)의 저부에 마련된 정화수방류관(37)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된다. 이때, 정화된 강우수의 방류량은 방류량조절밸브(39)의 개방 정도에 의해 조절되며, 방류량조절밸브(39)의 개방 정도는 강우량과 강우 상태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Then, the rainwater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여기서, 정화된 강우수의 방류에 따라 제1침전조(10) 및 제2침전조(20)와 여과조(30)의 수위가 하강하여 지속 강우수가 침전조로 유입될 수도 있지만, 지속적인 수위 변화에 따라 강우수제어밸브(53)가 강우수유입공(51a)을 차단하게 되므로 대부분의 지속 강우수는 정화탱크(5)를 거치지 않고 방류된다. Here, although the water level of the
한편, 소정의 기간 동안 제1침전조(10) 및 제2침전조(20) 내부에 쌓인 오염물질에 의해 형성된 슬러지는 적정한 주기마다 맨홀(13)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여과조(30)의 걸름망부재(33) 및 각 여과층(36)은 맨홀(13)을 통해 적정한 주기마다 교체가 가능하다. 여기서, 제1 및 제2침전조(10,20)의 슬러지 제거 주기 및 여과조(30)의 걸름망부재(33)와 여과층(36)의 교체 주기는 정화탱크(5)의 용량에 따라 장기간 또는 단기간의 주기로 조절할 수 있 다. Meanwhile, sludge formed by contaminants accumulated in the
한편,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정화장치 및 정화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정화장치는 방류량조절밸브의 개폐 동작 제어 구성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3 내지 도 9의 초기 우수 정화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본 실시에에 따른 초기 우수 정화장치의 방류량조절밸브의 개폐 동작 제어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Figures 10 and 11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initial rainwater purifier and purifying a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initial rain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nitial rainwater purifier of FIGS. 3 to 9 except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control valve. Accordingly, hereinafter, onl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control valve of the initial storm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정화장치(1)의 여과조(30)의 정화수방류관(37)에 설치된 방류량조절밸브(39)는 전원을 이용하여 개폐동작되는 전자밸브로 마련되며, 방류량조절밸브(39)에 인접한 정화탱크(5)의 일영역에는 정화탱크(5) 내부로 유입된 우수의 수위에 따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방류량조절밸브(39)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방류량조절밸브제어수단(90)을 포함하고 있다. First, the
방류량조절밸브제어수단(90)은 정화탱크(5) 내부(예컨대, 제1침전조(10) 내부)의 저수위 및 고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감지센서(91) 및 고수위감지센서(93)와, 방류량조절밸브(39)의 개방 또는 차단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95)와, 저수위감지센서(91) 및 고수위감지센서(93)와 타이머(95)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방류량조절밸브(39)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97)로 이루어져 있다. The discharge control valve control means 90 includes a low
저수위감지센서(91)는 정화탱크(5) 내부의 격벽(41)에 형성된 강우수통과 구(43)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우수의 저수위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또한, 고수위감지센서(93)는 강우수제어관(7)의 강우수제어밸브(53)에 의해 초기강우수유입관(51)이 폐쇄되는 위치에서 우수의 고수위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The low
그리고, 타이머(95)는 방류량조절밸브(39)의 개폐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수위감지센서(93)에서 정화탱크 내의 고수위가 감지된 때부터 처리되어야할 초기 강우수 용량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방류량조절밸브(39)를 개방하였다가 차단하는 시간을 설정하고 이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Then, the
한편, 제어부(97)는 저수위감지센서(91)로부터 저수위 감지 신호가 전달되면 방류량조절밸브(39)를 차단하는 한편, 고수위감지센서(93)로부터 고수위 감지 신호가 전달되면 타이머에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방류량조절밸브(39)를 개방하였다가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방류량조절밸브(39)를 비롯한 저수위감지센서(91) 및 고수위감지센서(93)와, 타이머(95) 및 제어부(97)의 동작 전원의 공급은 각종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도로나 교량의 가로등 및 신호기 등으로 전달되는 공급전원을 나누어 이용할 수도 있다.Here, the low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정화장치(1)는 방류량조절밸브(39)의 개폐 동작이 자동 제어됨으로써, 장치의 사용 및 관리가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전술한 도 3 내지 도 9의 초기 우수 정화장치와 동일한 과정으로 초기 강우수를 정화한다. The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우수 정화장치는 초기 강우수는 정화탱크를 거치게 되고 지속 강우수는 정화탱크를 거치지 않고 하천으로 방류됨으로써,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초기 강우수를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ain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bjected to an initial rainwater purification tank and the continuous rainfall may be discharged to a river without passing the purification tank, thereby efficiently purifying initial rainfall water containing pollutants.
그리고, 집중호우나 폭우에 관계없이 초기 강우수가 반드시 정화탱크를 거치게 됨으로써, 초기 강우수에 의한 하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초기 우수의 정화효율이 향상된다.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heavy rain or heavy rain, the initial rainfall is necessarily passed through the purification tan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the river by the initial rainfall. Thereby,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initial stage rainwater improves.
또한, 침전조에 쌓이는 슬러지의 제거가 편리하고 슬러지 제거 주기 및 여과층의 교체 주기를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관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In addition, since the sludge accumulated in the settling tank is convenient and the sludge removal cycle and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filtration layer can be made for a long time, the management of the device is made convenien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장치의 관리가 편리함과 동시에, 강우량에 관계없이 초기 강우수가 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초기 우수의 정화 효율이 우수한 초기 우수 정화장치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venient to manage the apparatus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initial rainfall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river regardless of rainfall, and an initial rainwater purification device having excellent initial purification efficiency is provided. .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7313U KR200431389Y1 (en) | 2006-06-27 | 2006-06-27 | Rainwater purif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7313U KR200431389Y1 (en) | 2006-06-27 | 2006-06-27 | Rainwater purify devic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8105A Division KR100784496B1 (en) | 2006-06-27 | 2006-06-27 | Rainwater purify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1389Y1 true KR200431389Y1 (en) | 2006-11-23 |
Family
ID=4177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7313U KR200431389Y1 (en) | 2006-06-27 | 2006-06-27 | Rainwater purif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1389Y1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1716B1 (en) | 2011-01-26 | 2011-06-14 | 신명옥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system and method of first rain |
KR101055993B1 (en) * | 2008-08-22 | 2011-08-11 | 조창식 | Boiling point source processing device |
KR101058919B1 (en) * | 2008-09-23 | 2011-08-23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Initial excellent treatment facility and initial excellent treatment method |
KR101100812B1 (en) * | 2009-05-19 | 2012-01-02 | 투원퓨어텍 주식회사 | Facilities for decreasing non-point source |
KR101168358B1 (en) * | 2009-04-21 | 2012-07-25 | 주식회사 에싸 | The treatment appratus for purified rainwater excluding the first flush |
KR101203059B1 (en) | 2011-08-26 | 2012-11-22 | 장학섭 |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
KR101307289B1 (en) | 2012-03-28 | 2013-09-12 | 주식회사 지승개발 | Filtering apparatus for bridge |
KR101343933B1 (en) * | 2011-09-08 | 2014-01-15 | 유한회사 신정알앤디 |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ratus |
KR101453203B1 (en) | 2013-04-26 | 2014-10-22 | 최인정 | Apparatus for purify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of first-stage-rainwater for bridge |
KR101547016B1 (en) | 2013-07-09 | 2015-08-24 | 현병선 | A Filtering device installed in basin |
-
2006
- 2006-06-27 KR KR2020060017313U patent/KR200431389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5993B1 (en) * | 2008-08-22 | 2011-08-11 | 조창식 | Boiling point source processing device |
KR101058919B1 (en) * | 2008-09-23 | 2011-08-23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Initial excellent treatment facility and initial excellent treatment method |
KR101168358B1 (en) * | 2009-04-21 | 2012-07-25 | 주식회사 에싸 | The treatment appratus for purified rainwater excluding the first flush |
KR101100812B1 (en) * | 2009-05-19 | 2012-01-02 | 투원퓨어텍 주식회사 | Facilities for decreasing non-point source |
KR101041716B1 (en) | 2011-01-26 | 2011-06-14 | 신명옥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system and method of first rain |
KR101203059B1 (en) | 2011-08-26 | 2012-11-22 | 장학섭 |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
KR101343933B1 (en) * | 2011-09-08 | 2014-01-15 | 유한회사 신정알앤디 |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ratus |
KR101307289B1 (en) | 2012-03-28 | 2013-09-12 | 주식회사 지승개발 | Filtering apparatus for bridge |
KR101453203B1 (en) | 2013-04-26 | 2014-10-22 | 최인정 | Apparatus for purify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of first-stage-rainwater for bridge |
KR101547016B1 (en) | 2013-07-09 | 2015-08-24 | 현병선 | A Filtering device installed in basi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31389Y1 (en) | Rainwater purify device | |
KR100904177B1 (en) |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the first rainwater containing non-point source | |
KR200459753Y1 (en) | The diminution apparatu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 |
KR101741449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overflow water of confluent water drainage | |
KR100784496B1 (en) | Rainwater purify device | |
KR20120002026A (en) | Rainwater reusing system | |
KR101558239B1 (en) | Rainwater Filtration Equipment | |
KR102373598B1 (en) | Filtration typ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equipped with backwashing function using treated water | |
KR100913315B1 (en) | The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 |
KR101794124B1 (en)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 |
KR101334884B1 (en) | An apparatus for decreasing non-point source pollutant | |
KR20120022028A (en) | Apparatus for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 |
KR101754123B1 (en) |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with the function of oil capture for the bridge | |
KR101527005B1 (en) |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 |
KR101479462B1 (en)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source contaminants | |
KR100904287B1 (en) | Combined Sewer Overflow System | |
KR101582931B1 (en)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 |
KR101714397B1 (en) | Appratus of decreas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for the bridge | |
KR100605267B1 (en) | Rainwater controlling device | |
KR101522817B1 (en) | Transparent pipe for first flush removal system | |
KR20110131868A (en) | Apparatus for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 |
KR101124604B1 (en) | 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for bridge | |
KR101764398B1 (en) | Nonpoint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using the backwash facilities and stagnant water may exclude | |
KR100704901B1 (en) | Rainwater-controlling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1159474B1 (en) | purifying device for non-point materi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