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063A - 다가 폐렴구균 다당류-단백질 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가 폐렴구균 다당류-단백질 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063A
KR20190055063A KR1020197004330A KR20197004330A KR20190055063A KR 20190055063 A KR20190055063 A KR 20190055063A KR 1020197004330 A KR1020197004330 A KR 1020197004330A KR 20197004330 A KR20197004330 A KR 20197004330A KR 20190055063 A KR20190055063 A KR 20190055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otypes
pneumococcal
conjugated
serotype
c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7120B1 (ko
Inventor
안경준
최우영
함동수
김훈
신진환
로버트 홉퍼
리차드 디. 켄싱어
모에 캬우
에릭 디사우지에르스
게르슈 세블레인 클로틸드 엘
필립 타라가
Original Assignee
사노피 파스퇴르 인코포레이티드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노피 파스퇴르 인코포레이티드,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주) filed Critical 사노피 파스퇴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55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09Lactobacillales, e.g. aerococcus, enterococcus, lactobacillus, lactococcus, streptococcus
    • A61K39/092Stre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09Lactobacillales, e.g. aerococcus, enterococcus, lactobacillus, lactococcus, stre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116Polyvalent bacterial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85Haptens or antigens, bound to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15Toxins or lectins, e.g. clostridial toxins or Pseudomonas exotox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6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the entire peptide or protein drug conjugate elicits an immune response, e.g. conjugate vac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05Inorganic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tics by the carrier linked to the antigen
    • A61K2039/6031Proteins
    • A61K2039/6037Bacterial toxins, e.g. diphteria toxoid [DT], tetanus toxoid [T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70Multivalent vacc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ir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20개의 상이한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접합체 각각은 파상풍 변성독소 또는 CRM197에 접합된 폐렴연쇄구균의 상이한 혈청형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를 포함하고, 여기서 폐렴연쇄구균 혈청형은 1, 3, 4, 5,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 선택되고, 협막 다당류 중의 두 개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나머지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되며,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된 두 개의 협막 다당류는 혈청형 1, 3, 및 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대상체에서 폐렴연쇄구균 감염 또는 질환에 대한 예방을 위해 이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다가 폐렴구균 다당류-단백질 접합체 조성물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6년 8월 5일자로 출원된 U.S. 가특허원 제62/371,553호 및 2017년 6월 28일자로 출원된 U.S. 가특허원 제62/525,945호의 이익을 청구하며 이의 출원일에 의존하며, 이들의 전체 기재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혼합 운반체(mixed carrier),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백신 및 대상체에서 폐렴연쇄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감염 또는 질환의 예방을 위해 상기 조성물 및 백신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렴구균(폐렴연쇄구균)은 90개가 넘는 알려진 혈청형을 갖는 그람-양성, 랜싯-형상의(lancet-shaped), 조건 혐기성 세균이다. 대부분의 폐렴연쇄구균 혈청형은 질환을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3개의 가장 흔한 혈청형이 전세계적으로 침습성 질환의 대략 90%를 차지한다. 혈청형은 폐렴구균에 대한 가장 중요한 독성 인자인 협막 다당류의 혈청학적 반응에 기초하여 분류된다. 협막 다당류는 T 도움 세포의 부재하에서 항체 생산을 유도하는 T-세포 비의존성 항원이다. T-세포 비의존성 항원은 일반적으로 낮은 친화도 및 오래가지 못하는 면역 반응을 갖고 면역 기억을 거의 또는 전혀 갖지 않는 항체를 유도한다.
초기 폐렴구균 백신은 상이한 혈청형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의 조합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백신은 발달된 또는 건강한 면역계를 갖는 환자에서는 폐렴연쇄구균에 대한 면역력을 부여할 수 있지만, 발달된 면역계가 결핍된 유아 및 종종 손상된 면역 기능을 갖는 노인 대상체에서는 효과적이지 못했다. 특히 폐렴연쇄구균 감염을 발병할 위험이 더 높은 유아 및 노인 대상체에서 폐렴구균 백신에 대한 면역 반응을 개선시키기 위해, 협막 다당류를 적합한 운반 단백질에 접합시켜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을 생성하였다. 적합한 운반 단백질에의 접합은 협막 다당류를 T-세포 비의존성 항원에서 T-세포 의존성 항원으로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접합된 협막 다당류에 대한 면역 반응은 T 도움 세포를 수반하며, 이것은 협막 다당류에의 재노출시 보다 강력하고 신속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데 도움이 된다.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을 개발하는 데에는 적어도 두 가지 접근법이 있다: 단일 운반체 접근법 및 혼합 운반체 접근법. 상이한 협막 다당류 접합체의 면역원성은 폐렴구균 혈청형 및 사용되는 운반 단백질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단일 운반체 접근법에서는, 상이한 혈청형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를 단일 단백질 운반체에 접합시킨다. Pfizer의 PREVNAR 시리즈의 백신이 단일 운반체 접근법의 일례이며, 여기서는 상이한 협막 다당류가 글리신의 글루탐산으로의 단일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디프테리아 변성독소의 비-독성 변이체인 CRM197 단백질 운반체에 접합되어 있다. 7가 PREVNAR 백신(PREVNAR)은 2000년에 처음 승인되었으며 7가지 가장 보편적인 혈청형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를 함유한다: 4, 6B, 9V, 14, 18C, 19F 및 23F. 13가 백신, PREVNAR 13은 혈청형 1, 5, 7F, 3, 6A, 및 19A를 CRM197 단백질 운반체에 부가하였다. 단일 운반체, PREVNAR 백신에서 사용되는 단백질 운반체, CRM197은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에서 혼합 운반체 시스템의 일부로서 사용된 적이 없다.
두 번째 폐렴구균 백신 접근법은 혼합 운반체 접근법이다. 혼합 운반체 접근법에서는, 단일 단백질 운반체를 사용하는 대신에, 둘 이상의 단백질 운반체가 사용되며, 이때 특정 혈청형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가 제1 단백질 운반체에 접합되고 상이한 혈청형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가 적어도 제2의 상이한 단백질 운반체에 접합된다. 예를 들면, GlaxoSmithKline은 에이치. 인플루엔자(H influenzae) 단백질 D, 파상풍 변성독소, 및 디프테리아 변성독소를 단백질 운반체로서 사용하는 SYNFLORIX, 10가(혈청형 1, 4, 5, 6B, 7F, 9V, 14, 18C, 19F 및 23F), 혼합 운반체,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을 개발하였다. SYNFLORIX에서, 혈청형 1, 4, 5, 6B, 7F, 9V, 14, 및 23F는 단백질 D에 접합되고; 혈청형 18C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혈청형 19F는 디프테리아 변성독소에 접합된다[7]. 혈청형 3은 급성 중이염 시험에서 혈청형-특이 효능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SYNFLORIX에 대한 11가 전구체로부터 제거하였다[1]. 또 다른 그룹인 Aventis Pasteur는 디프테리아 변성독소 및 파상풍 변성독소를 단백질 운반체로서 사용하는 11가(혈청형 1, 3, 4, 5, 6B, 7F, 9V, 14, 18C, 19F, 및 23F), 혼합 운반체,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을 개발하였다[2, 3]. 혈청형 3, 9V, 14, 및 18C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이들이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는 경우에서보다 디프테리아 변성독소에 접합되는 경우 더 나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2, 6]. 따라서, 혈청형 3, 6B, 14, 및 18C는 디프테리아 독소에 접합되었고 혈청형 1, 4, 5, 7F, 9V, 19F, 및 23F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었다. 이러한 혼합 운반체, 폐렴구균 백신의 개발은, 부분적으로, 무세포 백일해 백신과 조합되는 경우 감소된 반응의 가능성 및 기술적 이유로 인해 중단되었다[3]. 최근에, 혈청형 5 및 1이 모든 PREVNAR 13 혈청형으로부터 최저 관측 OPA 역가(titre) 중의 하나를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여기서 IgG 역가와 OPA 활성 간에는 연관된 상관관계가 있었다[4]. 또한 혈청형 3의 경우, 훨씬 더 높은 혈청 IgG 농도가 보호를 위해 필요한 것으로 시사되었다[5].
본 출원은 신규의 개선된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mixed carrier, multi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을 제공한다. 하나의 측면에서, 본 출원은 20개의 상이한 폐렴구균 협막(pneumococcal capsular)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각각의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는 폐렴연쇄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의 상이한 혈청형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단백질 운반체(protein carrier)를 포함하고, 여기서 폐렴연쇄구균 혈청형은 1, 3, 4, 5,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 선택되고, 단백질 운반체는 CRM197 또는 파상풍 변성독소(tetanus toxoid)이며, 협막 다당류 중의 두 개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나머지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되며,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는 두 개의 협막 다당류는 혈청형 1, 3, 및 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하나의 측면에서,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20개의 상이한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는 폐렴연쇄구균의 상이한 혈청형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단백질 운반체를 포함하고, 폐렴연쇄구균 혈청형은 1, 3, 4, 5,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 선택되며, 단백질 운반체는 CRM197 또는 파상풍 변성독소이고, 협막 다당류 중의 두 개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나머지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되며,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는 두 개의 협막 다당류는 혈청형 1, 3, 및 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혈청형 1 및 5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혈청형 3, 4,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된다.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혈청형 1 및 3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혈청형 4, 5,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된다.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혈청형 3 및 5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혈청형 1, 4,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인산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알루미늄계 아주반트(adjuvant)와 같은 아주반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은 백신으로서의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은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백신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은 예방학적 유효량의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백신을 대상체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사람과 같은 대상체에서 폐렴연쇄구균 감염 또는 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적어도 50세인 사람이고 질환은 폐렴 또는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invasive pneumococcal disease; IPD)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적어도 6주령인 사람이며 질환은 폐렴,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IPD), 또는 급성 중이염(acute otitis media; AOM)이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사람 대상체는 6주령 내지 5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사람 대상체는 2개월령 내지 15개월령 또는 6 내지 17세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또는 백신은 근육내 주사에 의해 투여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또는 백신은 면역화 시리즈(immunization series)의 일부(part)로서 투여된다.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은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자명해질 것이다.
하기 도면으로 이루어진 본원에 포함된 도면들은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다.
도 1a-d는 기하 평균 역가(geometric mean titer; GMT)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은 혈청형 8 (도 a), 혈청형 10A (도 b), 혈청형 11A (도 c), 및 혈청형 15B (도 d)의 단일-접합체의 생체내 용량-의존적 항체 반응을 보여준다.
정의
본 기재내용이 더 용이하게 이해되도록 하기 위해, 특정 용어들이 먼저 아래에 정의된다. 하기 용어들 및 다른 용어들의 추가의 정의는 명세서를 통해 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 "하나"("a", "an") 및 "그것"("the")은 문맥이 명백히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대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하나의 방법(a method)"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의 방법들,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유형의 단계들 및/또는 본 기재내용 판독시 당업계의 숙련가들에게 자명해지는 것 등을 포함한다.
아주반트: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아주반트"는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비-특이적으로 증진시키는 물질 또는 비히클을 가리킨다.
투여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대상체에게 조성물을 "투여하는"은 조성물을 대상체와 접촉시켜 제공, 적용 또는 유도함을 의미한다. 투여는, 예를 들면, 국소, 경구, 피하, 근육내, 복강내, 정맥내, 경막내 및 피내와 같은 수많은 경로 중의 어느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대략: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대략" 또는 "약"은, 관심이 있는 하나 이상의 값에 적용되는 바와 같이, 명시된 기준 값과 비슷한 값을 가리킨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용어 "대략" 또는 "약"은, 달리 명시되거나 달리 문맥으로 자명하지 않는 한(이러한 값이 가능한 값의 100%를 초과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명시된 기준의 값의 어느 방향으로(초과 또는 미만) 25%, 20%, 19%,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5%, 4%, 3%, 2%, 1%, 또는 그 미만 내에 드는 값의 범위를 가리킨다.
접합체: 본원에서 사용되고 적절한 문맥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접합체(들)" 또는 "당접합체(들)"는 임의의 공유 또는 비공유 생체접합 전략을 사용하여 운반 단백질에 접합된 폐렴연쇄구균 다당류를 가리킨다.
부형제: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부형제"는 조성물에 포함되어, 예를 들면, 목적하는 조도 또는 안정화 효과를 제공하거나 기여할 수 있는 비치료제를 가리킨다.
혼합 운반체: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혼합 운반체,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단백질 운반체를 갖는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을 가리킨다.
다가: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다가"는 하나 이상의 폐렴연쇄구균 혈청형으로부터의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를 갖는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을 가리킨다.
혼합 운반체, 16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혼합 운반체, 16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들)"은 각각의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단백질 접합체가 폐렴연쇄구균의 상이한 혈청형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단백질 운반체를 포함하고, 폐렴연쇄구균 혈청형이 1, 3, 4, 5, 6A, 6B, 7F, 9V, 12F, 14, 18C, 19A, 19F, 22F, 23F, 및 33F이며, 단백질 운반체가 CRM197 또는 파상풍 변성독소이고, 협막 다당류 중의 두 개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나머지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되며,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된 두 개의 협막 다당류가 혈청형 1, 3, 및 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6개의 상이한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가리킨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혈청형 1 및 5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나머지 혈청형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된다(본원에서 PCV16-15TT라고도 함).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혈청형 1 및 3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나머지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된다(본원에서 PCV16-13TT라고도 함).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혈청형 3 및 5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나머지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된다(본원에서 PCV16-35TT라고도 함).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들)"은 각각의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단백질 접합체가 폐렴연쇄구균의 상이한 혈청형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단백질 운반체를 포함하고, 폐렴연쇄구균 혈청형이 1, 3, 4, 5,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이고, 단백질 운반체가 CRM197 또는 파상풍 변성독소이며, 협막 다당류 중의 두 개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나머지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되며,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된 두 개의 협막 다당류가 혈청형 1, 3, 및 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20개의 상이한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가리킨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혈청형 1 및 5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나머지 혈청형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혈청형 1 및 3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나머지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혈청형 3 및 5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나머지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본 기재내용에서 유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통상적이다.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by E. W. Martin,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15th Edition (1975)]에서는 백신, 및 추가의 약제학적 제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치료학적 조성물의 약제학적 전달에 적합한 조성물 및 제형을 기술한다. 적합한 약제학적 부형제는, 예를 들면, 전분, 글루코스, 락토스, 수크로스, 젤라틴, 맥아, 쌀, 밀가루, 백악, 실리카겔,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활석, 염화나트륨, 건조된 탈지 우유,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물, 에탄올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부형제의 특성은 사용되는 투여의 특정 모드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예를 들어, 비경구 제형은 통상적으로 물, 생리 식염수, 평형 염 용액, 완충액, 수성 덱스트로스, 글리세롤 등과 같은 약제학적 및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유체를 비히클로서 포함하는 주사 가능한 유체를 포함한다. 고체 조성물(예를 들면, 산제, 환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경우, 통상의 비독성 고체 부형제는, 예를 들면, 약제학적 등급의 만니톨, 락토스, 전분 또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생물학적으로-중성인 담체에 더하여, 투여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습윤제 또는 유화제, 표면 활성제, 보존제, 및 pH 완충제 등과 같은 미량의 비독성 보조 물질, 예를 들면 나트륨 아세테이트 또는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예방학적 유효량: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이, 용어 "예방학적 유효량" 또는 "예방학적 유효 용량"은 폐렴연쇄구균으로의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하나 이상의 증상의 개시를 지연시키고/시키거나 빈도 및/또는 중증도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데 필요한 양 또는 용량을 가리킨다.
예방: 용어 "예방"은,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특정 질환, 장애 또는 병태(예를 들면, 폐렴연쇄구균으로의 감염)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질환 징후의 회피, 개시의 지연, 및/또는 빈도 및/또는 중증도의 감소를 가리킨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예방은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발병, 빈도, 및/또는 강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질환, 장애 또는 병태에 걸리기 쉬운 개체군에서 관찰되는 경우 제제가 특정 질환, 장애 또는 병태에 대한 예방을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되도록 개체군에 기준하여 평가된다.
대상체: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대상체"는 마우스, 토끼, 및 사람을 포함한 임의의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성인, 청소년 또는 유아이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용어 "개체" 또는 "환자"가 사용되며 "대상체"와 상호교환 가능한 것으로 의도된다.
상세한 설명
개시된 실시형태(들) 및 실시예의 하기 설명은 사실상 단지 예시적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 이의 적용, 또는 사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출원은 신규의 개선된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을 제공한다. 단백질 운반체, CRM197가 단일 운반체,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에서 이전에 사용된 바 있지만, 본 출원은 처음으로 혼합 운반체,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에서의 CRM197의 사용을 기술한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상이한 협막 다당류 접합체의 면역원성은 폐렴구균 혈청형 및 사용되는 운반 단백질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본 출원은 혈청형 3이 파상풍 변성독소보다는 디프테리아 변성독소에 접합되는 경우 더욱 면역원성이었다는 이전의 교시사항에도 불구하고 혼합 운반체 백신의 일부로서 파상풍 변성독소에의 혈청형 3의 성공적인 접합을 기술한다[2, 6]. 이것은 또한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에서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된 혈청형 3에 대한 항체 반응이, 혈청형 3이 단일 운반체, 13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PREVNAR 13)에서 CRM197에 접합된 경우보다 PCV16 및 PCV20 조성물에서 각각 약 4배 및 약 7배 더 높았다는 예기치 못한 조사결과를 개시한다.
게다가, 예기치 못한 조사결과는 혈청형 3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에서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된 다른 혈청형에 대해서도 관찰되었다.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머지 혈청형은 CRM197에 접합된 혼합 운반체, 16가 또는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에서 파상풍 변성독소에의 혈청형 1과 3, 1과 5, 또는 3과 5의 접합(예를 들면, PCV16-13TT, PCV16-15TT, 및 PCV16-35TT 또는 PCV20-35TT, PCV20-13TT, 및 PCV20-15TT)은 단일 운반체,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PREVNAR 13)에서 CRM197에 접합된 동일한 혈청형에 대한 항체 반응(IgG 반응 또는 MOPA 역가)에 비해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된 혈청형에 대해 상당히 강화된 항체 반응을 지속적으로 유도하였으며, 이것은 이러한 특정 혼합 운반체 접근법(파상풍 변성독소 및 CRM197)을 입증한다.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의 항체 반응은 아래 표에 요약되어 있다.
[표 1] PREVNAR 13에 비해 혼합 운반체 백신에서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된 혈청형에 대한 항체 반응의 배수 증가
Figure pct00001
본 출원에 기재된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또한 세계 시장에서 현재 이용 가능한 세 가지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폐렴구균 혈청형을 포함한다: PREVNAR (몇몇 국가에서는 Prevenar라고 부름), SYNFLORIX 및 PREVNAR 13. 현재 커버되지 않는 폐렴구균 혈청형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은, 부분적으로, 항균 내성의 발달, 면역손상된 환자 수의 증가, 및 면역 압력의 부족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이용 가능한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 중 어느 것도 혈청형 12F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또한, 현재 이용 가능한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 중 어느 것도 혈청형 8, 10A, 11A, 15B, 22F 및 33F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본 기재내용은 혼합 운반체(파상풍 변성독소 및 CRM197),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에의 혈청형 8, 10A, 11A, 12F, 15B, 22F, 및 33F의 성공적인 실행을 입증한다.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하나의 측면에서, 본 기재내용은 20개의 상이한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각각의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는 폐렴연쇄구균의 상이한 혈청형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단백질 운반체를 포함하고, 폐렴연쇄구균 혈청형은 1, 3, 4, 5,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이고, 단백질 운반체는 CRM197 또는 파상풍 변성독소이며, 협막 다당류 중의 두 개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나머지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되며,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된 두 개의 협막 다당류는 혈청형 1, 3, 및 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혈청형 1 및 5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나머지 혈청형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혈청형 1 및 3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나머지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혈청형 3 및 5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나머지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된다.
다당류-단백질 접합체 백신에서, 운반 단백질은 다당류 항원에 주로 접합되어 다당류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예를 들면, 항체 반응)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운반 단백질은 바람직하게는 면역원성을 거의 또는 전혀 갖지 않는 비-독성 단백질이다. 운반 단백질은 아래에 더욱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표준 접합 과정을 사용한 폐렴구균 다당류와의 접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어야 한다.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운반 단백질은 파상풍 변성독소(TT) 및 CRM197이고, 이들 각각은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의 설계에는 사용되어 있지만 동일한, 혼합 운반체 백신에서 사용된 적은 없다.
CRM197은 야생형 디프테리아 독소의 면역학적 특성을 보유하는 디프테리아 독소의 비-독성 변이체(즉, 변성독소)이다. CRM197은 구조 유전자에서 단일 염기에 있어서 야생형 디프테리아 독소와는 다르며, 이것은 글루탐산에서 글리신으로의 단일 아미노산 치환을 야기한다. CRM197은 전형적으로 카사미노산 및 효모 추출물-기반 배지에서 성장된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 균주 C7(β197)의 배양물로부터 단리된다. CRM197은 한외여과, 황산암모늄 침전, 및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CRM197은 U.S. 특허 제5,614,382호에 따라 재조합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문헌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CRM197은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의 설계에는 사용되어 있지만 혼합 운반체 백신의 일부로서 사용된 적은 없다.
파상풍 변성독소는 클로스트리듐 테타니(Clostridium tetani)에 의해 유발되는 파상풍(또는 개구장애)에 대한 대규모 면역화를 위해 제조되어 전세계적으로 사용된다. 파상풍 변성독소는 또한 단독으로 및 디프테리아 및/또는 백일해 백신과 조합하여 둘 다로 사용된다. 모 단백질, 파상풍 독소는 일반적으로 클로스트리듐 테타니(Clostridium tetani)의 배양물에서 수득된다. 파상풍 독소는 약 150 kDa의 단백질이며 설파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서브유닛(약 100 kDa 및 약 50 kDa)으로 이루어진다. 독소는 전형적으로 포름알데히드로 해독되며 황산암모늄 침전(예를 들면, [7], [8] 참조) 또는, 예를 들면, 제WO 1996/02542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크로마토그래피 기법과 같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배양 여액으로부터 정제될 수 있다. 파상풍 독소는 또한 재조합 유전적 수단에 의해 불활성화될 수 있다.
파상풍 변성독소는 또한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을 포함한 다른 백신에서 운반 단백질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CRM197과 함께 혼합 운반체,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에서 사용된 적은 없다. 당업계에서는 또한 혈청형 3은 파상풍 변성독소에 비해 디프테리아 변성독소에 접합되는 경우 보다 면역원성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혼합 운반체,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에서 파상풍 변성독소에 혈청형 3을 접합시키는 것을 피해 교시하고 있다[2, 6].
혈청형 1, 3, 4, 5,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를 포함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및 백신에서 사용되는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는, 예를 들면, 제WO 2006/110381호, 제WO 2008/118752호, 제WO 2006/110352호, 및 U.S. 특허 출원 공보 제2006/0228380호, 제2006/0228381호, 제2007/0184071호, 제2007/0184072호, 제2007/0231340호, 제2008/0102498호 및 제2008/0286838호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한, 당업계의 통상의 숙련가에게 알려진 표준 기술들을 포함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기술을 사용하여 폐렴연쇄구균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문헌들 모두는 전문이 참고로 포함된다. 예를 들면, 각각의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 혈청형은 배양 배지(예를 들면, 대두계 배지)에서 성장될 수 있다. 세포를 용해시키고, 개별 다당류를 원심분리, 침전, 한외여과, 및/또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용해물로부터 정제할 수 있다. 또한,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는 합성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생산될 수 있다.
폐렴연쇄구균의 협막 다당류는 8개 이하의 당 잔기를 함유할 수 있는 반복 올리고당 단위를 포함한다. 협막 당류 항원은 전장 다당류일 수 있거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예를 들면, 단일 올리고당 단위, 또는 반복 올리고당 단위의 원래 길이 당류 쇄보다 짧음). 협막 다당류의 크기는 산 가수분해 처리, 과산화수소 처리, 고압 균질화기에 의한 사이징(sizing)에 이은 임의로 올리고당 단편을 생성하기 위한 과산화수소 처리, 또는 미세유동화와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각각의 혈청형의 폐렴구균 접합체는 각 혈청형의 협막 다당류를 운반 단백질에 접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이한 폐렴구균 접합체가 단일 용량 제형을 포함한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각 폐렴구균 혈청형으로부터 제조된 협막 다당류를 협막 다당류가 운반 단백질과 반응할 수 있도록 화학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단 활성화되면, 각각의 협막 다당류를 운반 단백질에 별도로 접합시켜 당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다당류의 화학적 활성화 및 후속적인 운반 단백질에의 접합은 통상의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협막 다당류의 말단에 있는 인접 하이드록실 그룹을, 예를 들면,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는 U.S. 특허 제4,365,170호, 제4,673,574호 및 제4,902,50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과요오드산나트륨, 과요오드산칼륨, 또는 과요오드산을 포함한) 과요오드산염과 같은 산화제에 의해 알데히드 그룹으로 산화시킬 수 있다. 다당류를 또한 1-시아노-4-디메틸아미노 피리디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CDAP)로 활성화시켜 시아네이트 에스테르를 형성할 수 있다. 그후, 활성화된 다당류를 직접 또는 스페이서 또는 링커 그룹을 통해 운반 단백질 상의 아미노 그룹에 커플링시킨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는 말레이미드-활성화된 운반 단백질(예를 들면 N-[y-말레이미도부티릴옥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GMBS)를 사용함) 또는 할로아세틸화 운반 단백질(예를 들면 요오도아세트이미드, N-석신이미딜 브로모아세테이트(SBA; SIB), N-석신이미딜(4-요오도아세틸)아미노벤조에이트(SlAB), 설포석신이미딜(4-요오도아세틸)아미노벤조에이트(설포-SIAB), N-석신이미딜 요오도아세테이트(SIA) 또는 석신이미딜 3-[브로모아세트아미도]프로프리오네이트(SBAP)를 사용함)과의 반응 후 수득된 티오에테르 결합을 통해 운반체에 커플링될 수 있는 티올레이트화 다당류를 제공하는 시스타민 또는 시스테아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아네이트 에스테르(임의로 COAP 화학에 의해 제조됨)를 헥산 디아민 또는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지드(AOH)와 커플링시키고 아미노-유도체화된 당류를 단백질 운반체 상의 카복실 그룹을 통해 카보디이미드(예를 들면, EOAC 또는 EOC) 화학을 사용하여 운반 단백질에 접합시킨다. 이러한 접합체는 예를 들면 제WO 93/15760호, 제WO 95/08348호 및 제WO 96/129094호에 기술되어 있다.
활성화된 협막 다당류와 운반 단백질의 접합은, 예를 들면, U.S. 특허 출원 공보 제2006/0228380호, 제2007/0231340호, 제2007/0184071호 및 제2007/0184072호, 제WO 2006/110381호, 제WO 2008/079653호, 및 제WO 2008/14370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환원적 아민화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문헌들 모두는 전문이 참고로 포함된다. 예를 들면, 활성화된 협막 다당류와 운반 단백질은 환원제와 반응하여 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적합한 환원제는 수소화붕소, 예를 들어 수소화시아노붕소나트륨, 보란-피리딘, 수소화트리아세톡시붕소나트륨, 수소화붕소나트륨, 또는 수소화붕소 교환 수지를 포함한다. 환원 반응의 말기에, 접합체에는 미반응 알데히드 그룹이 남을 수 있다. 미반응 알데히드 그룹은 적합한 캡핑제(capping agent), 예를 들어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을 사용하여 캡핑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환원 반응은 수성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반응은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환원 반응은 DMSO(디메틸설폭사이드) 중에서 또는 DMF(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활성화된 협막 다당류는 운반 단백질에 직접 접합되거나 스페이서 또는 링커, 예를 들어 이관능성 링커의 사용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링커는 임의로, 예를 들면 반응성 아미노 그룹 및 반응성 카복실산 그룹, 2개의 반응성 아미노 그룹 또는 2개의 반응성 카복실산 그룹을 갖는 이형이관능성 또는 동형이관능성이다.
접합을 위한 다른 적합한 기술은, 예를 들면, 국제 특허 출원 공보 제WO 98/4272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카보디이미드, 하이드라지드, 활성 에스테르, 노보란, p-니트로벤조산,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S--NHS, EOC, TSTU를 사용한다. 접합은 당류의 유리 하이드록실 그룹과 1,1'-카보닐디이미다졸(CDl)의 반응(문헌 참조; Bethell et al. (1979) J. Biol. Chem. 254:2572-2574; Hearn et al. (1981) J. Chromatogr. 218:509-518)에 이은 단백질과의 반응에 의한 카바메이트 결합의 형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카보닐 링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1급 하이드록실 그룹으로의 아노머 말단의 환원, 1급 하이드록실 그룹의 임의의 보호/탈보호, CDI 카바메이트 중간체를 형성하기 위한 1급 하이드록실 그룹과 CDI와의 반응, CDI 카바메이트 중간체를 단백질 상의 아미노 그룹과 커플링시킴을 포함할 수 있다.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을 위한 다당류 대 운반 단백질의 비는 전형적으로 0.3-3.0 (w/w) 범위이지만 혈청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비는 존재하는 단백질 및 다당류의 양의 독립적인 측정에 의해,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비의 직접적인 측정을 제공하는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방법은 1H NMR 분광법을 포함하거나 이중 모니터링(예를 들면, 총 물질 및 단백질 함량에 대해 각각 굴절률 및 UV)과 SEC-HPLC-UV/RI의 사용은 접합체의 크기 분포에 걸쳐서 뿐만 아니라 SEC-HPLC-MALLS 또는 MALDI-TOF-MS에 의해 당류/단백질 비를 프로파일링(profiling)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는 다양한 방법으로 정제되고 풍부화(enriching)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농축/투석여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심층 여과를 포함한다. 정제된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를 조합하여 혼합 운반체, 16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을 제형화하며, 이것이 백신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백신 조성물의 제형화는 당업계에서 인정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백신 조성물은 이의 의도된 투여경로와 양립할 수 있도록 제형화된다. 개별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를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과 함께 제형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비히클의 예는 물, 완충 염수, 폴리올(예를 들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덱스트로스 용액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아주반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아주반트는 그 위에 항원이 흡착되는 광물질의 현탁액(명반, 알루미늄 염, 예를 들어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황산수산화인산알루미늄 등); 또는 항원 용액이 광유에 유화되어 있고, 항원성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 때때로 사멸된 마이코박테리아를 포함(프로인트 완전 아주반트(Freund's complete adjuvant))한 유중수 에멀젼(예를 들면, 프로인트 불완전 아주반트)을 포함할 수 있다. 면역자극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예를 들어 CpG 모티프를 포함하는 것)가 또한 아주반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면, U.S. 특허 제6,194,388호; 제6,207,646호; 제6,214,806호; 제6,218,371호; 제6,239,116호; 제6,339,068호; 제6,406,705호; 및 제6,429,199호 참조). 아주반트는 또한 생물학적 분자, 예를 들어 지질 및 공동자극 분자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생물학적 아주반트는 AS04 [9], IL-2, RANTES, GM-CSF, TNF-α, IFN-γ, G-CSF, LFA-3, CD72, B7-1, B7-2, OX-40L 및 41 BBL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아주반트는 알루미늄-기반 아주반트이다. 전형적으로, 단일 0.5ml 백신 용량은 약 0.1mg 내지 2.5mg의 알루미늄-기반 아주반트를 함유하도록 제형화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단일 0.5ml 백신 용량은 0.1mg 내지 2mg, 0.1mg 내지 1mg, 0.1mg 내지 0.5mg, 0.1mg 내지 0.2mg, 0.125mg 내지 2.5mg, 0.125mg 내지 0.5mg, 0.125mg 내지 0.2mg 또는 0.125 내지 0.25mg의 알루미늄-기반 아주반트를 함유하도록 제형화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단일 0.5ml 백신 용량은 약 0.125mg의 알루미늄-기반 아주반트를 함유하도록 제형화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아주반트는 인산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및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아주반트는 인산알루미늄이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폐렴연쇄구균의 감염에 대한 백신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예방적 방법 및 용도
하나의 측면에서, 본 기재내용은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백신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적어도 완충제, 예를 들어 석시네이트 완충제, 염,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및/또는 표면 활성제,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소르베이트 80)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혈청형 1 및 5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혈청형 3, 4,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혈청형 1 및 3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혈청형 4, 5,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혈청형 3 및 5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혈청형 1, 4,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백신은 폐렴연쇄구균 감염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에 대해 사람 대상체에서 보호적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추가의 측면에 따르면, 본 기재내용은 사람 대상체에게 예방학적 유효량의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백신을 투여함을 포함하여, 폐렴연쇄구균 감염 또는 질환의 예방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백신은 아래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전신 또는 점막 경로를 포함하는 임의의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사람 대상체는 노인 대상체이며 질환은 폐렴 또는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IPD)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노인 대상체는 적어도 50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노인 대상체는 적어도 55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노인 대상체는 적어도 60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사람 대상체는 유아이고 질환은 폐렴,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IPD), 또는 급성 중이염(AOM)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유아는 0-2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아는 2 내지 15개월령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사람 대상체는 6주령 내지 17세이며 질환은 폐렴,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IPD) 또는 급성 중이염(AOM)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사람 대상체는 6주령 내지 5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사람 대상체는 5 내지 17세이다.
각각의 백신 용량에서의 접합체의 양 또는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의 예방학적 유효량은 상당한 부작용 없이 예방을 유도하는 양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양은 폐렴구균 혈청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 용량은 약 0.1 μg 내지 약 100 μg의 다당류, 구체적으로, 약 0.1 내지 10 μg, 및 보다 구체적으로, 약 1 μg 내지 약 5 μg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백신에 대한 성분의 최적 양은 대상체에서 적절한 면역 반응의 관찰을 포함하는 표준 연구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 대상체의 백신접종을 위한 양은 동물 시험 결과를 외삽(extrapolating)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은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백신 또는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약 1 μg 내지 약 5 μg의 각각의 협막 다당류; 약 1 μg 내지 약 25 μg의 TT; 약 20 μg 내지 약 75 μg의 CRM197; 및 임의로 약 0.1mg 내지 약 2.5mg의 원소 알루미늄 아주반트를 함유하도록 제형화된 단일 0.5 ml 용량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백신 또는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혈청형 6B(이것은 약 4 μg 내지 약 8 μg 및 임의로 약 4 μg 내지 약 5 μg의 양으로 존재한다)를 제외하고는 약 2 μg 내지 약 4 μg의 각각의 협막 다당류를 함유하도록 제형화된 단일 0.5 ml 용량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백신 또는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혈청형 6B(이것은 약 4.0 μg의 양으로 존재한다)를 제외하고는 약 2.0 μg의 각각의 협막 다당류를 함유하도록 제형화된 단일 0.5 ml 용량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백신 또는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혈청형 6B(이것은 약 4.4 μg의 양으로 존재한다)를 제외하고는 약 2.2 μg의 각각의 협막 다당류를 함유하도록 제형화된 단일 0.5 ml 용량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백신 또는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약 2 μg 내지 약 2.5 μg의 혈청형 4, 5, 6A, 7F, 8, 9V, 10A, 11A, 14, 15B, 18C, 22F, 23F, 및 33F의 협막 다당류 및 약 4 μg 내지 약 5 μg의 혈청형 1, 3, 6B, 12F, 19A, 및 19F의 협막 다당류를 함유하도록 제형화된 단일 0.5 ml 용량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백신 또는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약 2.0 μg의 혈청형 4, 5, 6A, 7F, 8, 9V, 10A, 11A, 14, 15B, 18C, 22F, 23F, 및 33F의 협막 다당류 및 약 4.0 μg의 혈청형 1, 3, 6B, 12F, 19A, 및 19F의 협막 다당류를 함유하도록 제형화된 단일 0.5 ml 용량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백신 또는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약 2.2 μg의 혈청형 4, 5, 6A, 7F, 8, 9V, 10A, 11A, 14, 15B, 18C, 22F, 23F, 및 33F의 협막 다당류 및 약 4.4 μg의 혈청형 1, 3, 6B, 12F, 19A, 및 19F의 협막 다당류를 함유하도록 제형화된 단일 0.5 ml 용량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백신 또는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약 2 μg 내지 약 2.5 μg의 혈청형 4, 5, 6A, 7F, 8, 9V, 10A, 11A, 14, 15B, 18C, 22F, 23F, 및 33F의 협막 다당류; 약 4 μg 내지 약 5 μg의 혈청형 1, 3, 6B, 12F, 19A, 및 19F의 협막 다당류; 약 5 μg 내지 약 15 μg의 TT; 약 50 μg 내지 약 60 μg의 CRM197; 및 임의로 약 0.1mg 내지 약 0.2mg의 원소 알루미늄 아주반트를 함유하도록 제형화된 단일 0.5 ml 용량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백신은 염화나트륨 및 석신산나트륨 완충액을 부형제로서 추가로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혈청형 1 및 3의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 각각이 TT에 접합되고 혈청형 4, 5,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되는 액체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0.5 mL 용량은 약 4.4 μg인 6B를 제외하고는 약 2.2 μg의 각각의 다당류; 약 10 μg 내지 약 15 μg의 TT 운반 단백질 (혈청형 1 및 3의 경우에 대해서만) 및 약 50 μg 내지 약 60 μg의 CRM197 운반 단백질; 아주반트로서의 0.125mg의 원소 알루미늄 (0.5mg 인산알루미늄); 부형제로서의 염화나트륨 및 석신산나트륨 완충액을 함유하는 액체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0.5 mL 용량은 약 4.0 μg인 6B를 제외하고는 약 2.0 μg의 각각의 다당류; 약 10 μg 내지 약 15 μg의 TT 운반 단백질 (혈청형 1 및 3의 경우에 대해서만) 및 약 50 μg 내지 약 60 μg의 CRM197 운반 단백질; 아주반트로서의 0.125mg의 원소 알루미늄 (0.5mg 인산알루미늄); 및 부형제로서의 염화나트륨 및 석신산나트륨 완충액을 함유하는 액체로 제형화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혈청형 1 및 3의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의 각각이 TT에 접합되고 혈청형 4, 5,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되는 액체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0.5 mL 용량은 약 2.2 μg의 혈청형 4, 5, 6A, 7F, 8, 9V, 10A, 11A, 14, 15B, 18C, 22F, 23F, 및 33F의 협막 다당류; 약 4.4 μg의 혈청형 1, 3, 6B, 12F, 19A, 및 19F의 협막 다당류; 약 10 μg 내지 약 15 μg의 TT 운반 단백질 (혈청형 1 및 3의 경우에 대해서만) 및 약 50 μg 내지 약 60 μg의 CRM197 운반 단백질; 아주반트로서의 0.125mg의 원소 알루미늄 (0.5mg 인산알루미늄); 및 부형제로서의 염화나트륨 및 석신산나트륨 완충액을 함유하는 액체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0.5 mL 용량은 약 2.0 μg의 혈청형 4, 5, 6A, 7F, 8, 9V, 10A, 11A, 14, 15B, 18C, 22F, 23F, 및 33F의 협막 다당류; 약 4.0 μg의 혈청형 1, 3, 6B, 12F, 19A, 및 19F의 협막 다당류; 약 10 μg 내지 약 15 μg의 TT 운반 단백질 (혈청형 1 및 3의 경우에 대해서만) 및 약 50 μg 내지 약 60 μg의 CRM197 운반 단백질; 아주반트로서의 0.125mg의 원소 알루미늄 (0.5mg 인산알루미늄); 및 부형제로서의 염화나트륨 및 석신산나트륨 완충액을 함유하는 액체로 제형화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혈청형 1 및 5의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의 각각이 TT에 접합되고 혈청형 3, 4,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되는 액체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0.5 mL 용량은 약 4.4 μg인 6B를 제외하고는 약 2.2 μg의 각각의 당류; 약 5 μg 내지 약 10 μg의 TT 운반 단백질 (혈청형 1 및 5의 경우에 대해서만) 및 약 50 μg 내지 약 60 μg의 CRM197 운반 단백질; 아주반트로서의 약 0.125mg의 원소 알루미늄 (0.5mg 인산알루미늄); 및 부형제로서의 염화나트륨 및 석신산나트륨 완충액을 함유하는 액체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0.5 mL 용량은 약 4.0 μg인 6B를 제외하고는 약 2.0 μg의 각각의 당류; 약 5 μg 내지 약 10 μg의 TT 운반 단백질 (혈청형 1 및 5의 경우에 대해서만) 및 약 50 μg 내지 약 60 μg의 CRM197 운반 단백질; 약 0.125mg의 원소 알루미늄 (0.5mg 인산알루미늄) 아주반트; 및 부형제로서의 염화나트륨 및 석신산나트륨 완충액을 함유하는 액체로 제형화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혈청형 1 및 5의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의 각각이 TT에 접합되고 혈청형 3, 4,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되는 액체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0.5 mL 용량은 약 2.2 μg의 혈청형 4, 5, 6A, 7F, 8, 9V, 10A, 11A, 14, 15B, 18C, 22F, 23F, 및 33F의 협막 다당류; 약 4.4 μg의 혈청형 1, 3, 6B, 12F, 19A, 및 19F의 협막 다당류; 약 5 μg 내지 약 10 μg의 TT 운반 단백질 (혈청형 1 및 5의 경우에 대해서만) 및 약 50 μg 내지 약 60 μg의 CRM197 운반 단백질; 약 0.125mg의 원소 알루미늄 (0.5mg 인산알루미늄) 아주반트; 부형제로서의 염화나트륨 및 석신산나트륨 완충액을 함유하는 액체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0.5 mL 용량은 약 2.0 μg의 혈청형 4, 5, 6A, 7F, 8, 9V, 10A, 11A, 14, 15B, 18C, 22F, 23F, 및 33F의 협막 다당류; 약 4.0 μg의 혈청형 1, 3, 6B, 12F, 19A, 및 19F의 협막 다당류; 약 5 μg 내지 약 10 μg의 TT 운반 단백질 (혈청형 1 및 5의 경우에 대해서만) 및 약 50 μg 내지 약 60 μg의 CRM197 운반 단백질; 약 0.125mg의 원소 알루미늄 (0.5mg 인산알루미늄) 아주반트; 및 부형제로서의 염화나트륨 및 석신산나트륨 완충액을 함유하는 액체로 제형화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혈청형 3 및 5의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의 각각이 TT에 접합되고 혈청형 1, 4,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되는 액체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0.5 mL 용량은 약 4.4 μg인 6B를 제외하고는 약 2.2 μg의 각각의 당류; 약 10 μg 내지 약 15 μg의 TT 운반 단백질 (혈청형 3 및 5의 경우에 대해서만) 및 약 50 μg 내지 약 60 μg의 CRM197 운반 단백질; 약 0.125mg의 원소 알루미늄 (0.5mg 인산알루미늄) 아주반트; 및 부형제로서의 염화나트륨 및 석신산나트륨 완충액을 함유하는 액체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0.5 mL 용량은 약 4.0 μg인 6B를 제외하고는 약 2.0 μg의 각각의 당류; 약 10 μg 내지 약 15 μg의 TT 운반 단백질 (혈청형 3 및 5의 경우에 대해서만) 및 약 50 μg 내지 약 60 μg의 CRM197 운반 단백질; 약 0.125mg의 원소 알루미늄 (0.5mg 인산알루미늄) 아주반트; 및 부형제로서의 염화나트륨 및 석신산나트륨 완충액을 함유하는 액체로 제형화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혈청형 3 및 5의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의 각각이 TT에 접합되고 혈청형 1, 4,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되는 액체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0.5 mL 용량은 약 2.2 μg의 혈청형 4, 5, 6A, 7F, 8, 9V, 10A, 11A, 14, 15B, 18C, 22F, 23F, 및 33F의 협막 다당류; 약 4.4 μg의 혈청형 1, 3, 6B, 12F, 19A, 및 19F의 협막 다당류; 약 10 μg 내지 약 15 μg의 TT 운반 단백질 (혈청형 3 및 5의 경우에 대해서만) 및 약 50 μg 내지 약 60 μg의 CRM197 운반 단백질; 약 0.125mg의 원소 알루미늄 (0.5mg 인산알루미늄) 아주반트; 및 부형제로서의 염화나트륨 및 석신산나트륨 완충액을 함유하는 액체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0.5 mL 용량은 약 2.0 μg의 혈청형 4, 5, 6A, 7F, 8, 9V, 10A, 11A, 14, 15B, 18C, 22F, 23F, 및 33F의 협막 다당류; 약 4.0 μg의 혈청형 1, 3, 6B, 12F, 19A, 및 19F의 협막 다당류; 약 10 μg 내지 약 15 μg의 TT 운반 단백질 (혈청형 3 및 5의 경우에 대해서만) 및 약 50 μg 내지 약 60 μg의 CRM197 운반 단백질; 약 0.125mg의 원소 알루미늄 (0.5mg 인산알루미늄) 아주반트; 및 부형제로서의 염화나트륨 및 석신산나트륨 완충액을 함유하는 액체로 제형화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액체 제형은 보존제 없이 단일 용량 시린지에 충전될 수 있다. 진탕 후, 액체 제형은 근육내 투여를 위해 준비된 균질한 백색 현탁액인 백신이 된다.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단일 주사로 또는 면역화 시리즈의 일부로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1, 2, 3, 4, 5, 또는 6개월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적절한 간격으로 2회, 3회, 4회, 또는 그 이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예를 들면, 약 2, 3, 4, 및 12-15개월; 약 3, 4, 5, 및 12-15개월; 또는 약 2, 4, 6, 및 12 내지 15개월을 포함하여 출생한지 처음 15개월 내에 4회 유아에게 투여된다. 이러한 첫번째 용량은 6주 정도로 일찍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예를 들면, 약 2, 4, 및 11-12개월을 포함하여 출생한지 처음 15개월 내에 3회 유아에게 투여된다.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또한 폐렴연쇄구균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포함시키기에 적합한 폐렴연쇄구균 단백질의 예는 국제 특허 출원 제WO02/083855호에서 확인된 것들, 뿐만 아니라 국제 특허 출원 제WO02/053761에 기술된 것들을 포함한다.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비경구, 경피, 또는 경점막, 비내, 근육내, 복강내, 피내, 정맥내, 또는 피하 경로와 같이 당업계의 통상의 숙련가에게 알려진 하나 이상의 투여 경로를 통해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이의 의도된 투여 경로와 양립할 수 있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근육내, 복강내, 피하, 정맥내, 동맥내, 또는 경피 주사 또는 호흡기 점막 주사에 의해 액체 제형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액체 형태로 또는 동결건조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주사 가능한 조성물은 통상의 형태로, 액체 용액 또는 현탁액, 주사 전에 액체에 용해 또는 현탁하기에 적합한 고체 형태로서, 또는 에멀젼으로서 제조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주사 용액 및 현탁액은 멸균 분말 또는 과립으로부터 제조된다. 이러한 경로에 의한 투여를 위한 약제학적 제제의 제형화 및 제조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고려사항은, 예를 들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1995]에서 찾아볼 수 있다. 현재는, 경구 또는 비강 스프레이 또는 에어로졸 경로(예를 들면, 흡입에 의한)가 치료제를 폐 및 호흡계로 직접 전달하는 데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계량된 투여량의 조성물을 전달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투여된다. 본원에 기술된 피내 약제학적 조성물을 전달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장치는 U.S. 특허 제4,886,499호, U.S. 특허 제5,190,521호, U.S. 특허 제5,328,483호, U.S. 특허 제5,527,288호, U.S. 특허 제4,270,537호, U.S. 특허 제5,015,235호, U.S. 특허 제5,141,496호, U.S. 특허 제5,417,662호(이들 모두는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에 기술된 것들과 같은 작은 바늘 장치를 포함한다. 피내 조성물은 또한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 제WO1999/34850호에 기재된 것들과 같이 피부에의 유효 관통 길이의 바늘을 제한하는 장치, 및 이의 기능적 등가물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액체 제트 주사기를 통해 또는 각질층을 관통하여 진피에 도달하는 제트를 생성하는 바늘을 통해 액체 백신을 진피에 전달하는 제트 주사 장치가 또한 적합하다. 제트 주사 장치는 예를 들면 U.S. 특허 제5,480,381호, U.S. 특허 제5,599,302호, U.S. 특허 제5,334,144호, U.S. 특허 제5,993,412호, U.S. 특허 제5,649,912호, U.S. 특허 제5,569,189호, U.S. 특허 제5,704,911호, U.S. 특허 제5,383,851호, U.S. 특허 제5,893,397호, U.S. 특허 제5,466,220호, U.S. 특허 제5,339,163호, U.S. 특허 제5,312,335호, U.S. 특허 제5,503,627호, U.S. 특허 제5,064,413호, U.S. 특허 제5,520,639호, U.S. 특허 제4,596,556호, U.S. 특허 제4,790,824호, U.S. 특허 제4,941,880호, U.S. 특허 제4,940,460호, 제WO1997/37705호, 및 제WO1997/13537호(이들 모두는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에 기술되어 있다. 피부의 외층을 통해 진피로 분말 형태의 백신을 가속화시키기 위해 압축 가스를 사용하는 탄도 분말/입자 전달 장치가 또한 적합하다. 추가로, 통상의 시린지가 피내 투여의 전형적인 망투(mantoux)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는 멸균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 현탁액, 및 에멀젼을 포함한다. 비수성 용매의 예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오일, 예를 들어 올리브유, 및 주사 가능한 유기 에스테르, 예를 들어 에틸 올레에이트이다. 오일의 예는 식물성 또는 동물성 오일, 땅콩유, 대두유,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간유, 합성유, 예를 들어 수산 유지, 및 우유 또는 달걀로부터 수득된 지질을 포함한다. 수성 담체는 물, 알콜성/수성 용액, 염수 및 완충 매질을 포함한 에멀젼 또는 현탁액을 포함한다. 비경구 비히클은 염화나트륨 용액, 링거 덱스트로스, 덱스트로스 및 염화나트륨, 락테이트화 링거액, 또는 고정유를 포함한다. 정맥내 비히클은 체액 및 영양분 보충제, 전해질 보충제(예를 들어 링거 덱스트로스를 기본으로 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항미생물제, 항산화제, 킬레이트화제, 및 불활성 가스 등과 같은 보존제 및 기타 첨가제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단위 용량 바이알(unit dose vial), 다중 용량 바이알, 또는 예비-충전된 시린지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액체 제형을 위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수성 또는 비수성 용매, 현탁액, 에멀젼, 또는 오일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등장성, 고장성, 또는 저장성일 수 있다. 그러나, 주입 또는 주사용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등장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등장성 또는 고장성이 조성물의 저장을 위해 유리할 수 있다. 조성물이 고장성인 경우, 조성물은 투여 전에 등장성으로 되도록 희석될 수 있다. 긴장화제는 이온성 긴장화제, 예를 들어 염 또는 비이온성 긴장화제, 예를 들어 탄수화물일 수 있다. 이온성 긴장화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칼륨, 및 염화마그네슘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이온성 긴장화제는 소르비톨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제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조성물이 주입 또는 주사용인 경우, pH 4 내지 pH 10, 예를 들어 pH 5 내지 pH 9, 또는 pH 6 내지 pH 8의 완충 능력을 갖는 완충제에서 제형화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완충제는 미국 약전(USP)에 적합한 것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제는 일염기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글리세르산, 및 락트산; 이염기산, 예를 들어 아코니트산, 아디프산, 아스코르브산, 탄산, 글루탐산, 말산, 석신산, 및 타르타르산; 다염기산, 예를 들어 시트르산 및 인산; 및 염기, 예를 들어 암모니아, 디에탄올아민, 글리신, 트리에탄올아민, 및 TRIS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표면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 활성제의 예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일반적으로 Tween이라고 함), 특히, 폴리소르베이트 20 및 폴리소르베이트 80; 에틸렌 옥사이드(EO), 프로필렌 옥사이드(PO), 부틸렌 옥사이드(BO)의 공중합체(예를 들어 DOWFAX); 에톡시(옥시-1,2-에탄디일) 그룹의 상이한 반복을 갖는 옥토시놀, 특히, 옥토시놀-9(Triton-100); 에틸페녹시폴리에톡시에탄올(IGEPAL CA-630/NP-40); 인지질, 예를 들어 레시틴; 노닐페놀 에톡실레이트, 예를 들어 TERGITOL NP 시리즈; 라우릴, 세틸, 스테아릴, 올레일 알콜-유도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 에테르(Brij 계면활성제), 특히,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라우릴 에테르(Brij 30); SPAN로서 알려진 소르비탄 에테르, 특히,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Span 85) 및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ween 80/Span 85와 같은 표면 활성제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Tween 80과 같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Triton X-100과 같은 옥토시놀의 배합물이 또한 적합하다. 라우레트 9 및 Tween 및/또는 옥토시놀의 배합물이 또한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포함되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예를 들어 Tween 80)의 양은 0.01% 내지 1% (w/v), 0.01% 내지 0.1% (w/v), 0.01% 내지 0.05% (w/v), 또는 약 0.02%일 수 있고; 포함되는 옥틸페녹시 폴리옥시에탄올 또는 노닐페녹시 폴리옥시에탄올(예를 들어 Triton X-100)의 양은 0.001% 내지 0.1% (w/v), 특히 0.005% 내지 0.02%일 수 있고; 포함되는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예를 들어 라우레트 9)의 양은 0.1% 내지 20% (w/v), 가능하게는 0.1% 내지 10%, 특히 0.1% 내지 1% 또는 약 0.5%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방출 제어 시스템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맥내 주입, 경피 패치, 리포솜, 또는 다른 경로가 투여에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측면에서, 거대분자, 예를 들어 미소구체(microsphere) 또는 임플란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기재내용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을 기술한다. 보다 완전한 이해는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수득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폐렴연쇄구균 협막 다당류의 제조
폐렴연쇄구균의 배양 및 협막 다당류의 정제는 당업계의 숙련가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폐렴연쇄구균 혈청형은 아메리칸 타입 컬쳐 컬렉션(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로부터 입수되었다(혈청형 1: ATCC No. 6301; 혈청형 3: ATCC No. 6303; 혈청형 4: ATCC No. 6304; 혈청형 5: ATCC No. 6305; 혈청형 6A: ATCC No. 6306; 혈청형 6B: ATCC No. 6326; 혈청형 7F: ATCC No. 10351; 혈청형 9V: ATCC No. 10368; 혈청형 12F: ATCC No. 6312; 혈청형 14: ATCC No. 6314; 혈청형 18C: ATCC No. 10356; 혈청형 19A: ATCC No. 10357; 혈청형 19F: ATCC No. 6319; 혈청형 22F: ATCC No. 6322; 혈청형 23F: ATCC No. 6323; 혈청형 33F: ATCC No. 10370). 혈청형 8, 10A, 11A, 및 15B를 위한 내부 균주가 사용되었다. 폐렴연쇄구균은 협막 및 비이동성, 그람-양성, 랜싯-형상의 쌍구균, 및 혈액 한천 배지에서의 알파 용혈을 특징으로 하였다. 혈청형은 특이 항-혈청을 사용한 Quelling 시험에 의해 확인하였다(US 특허 제5,847,112호).
세포 은행의 제조
균주를 확대시키고 동물 기원(세대 F1, F2, 및 F3)의 성분들을 제거하기 위해 몇 세대의 시드 스톡(seed stock)을 생성하였다. 두 개의 추가 세대의 시드 스톡을 생산하였다. 1차 추가 세대는 F3 바이알로부터 배양되었고, 후속 세대는 1차 추가 세대의 바이알로부터 배양되었다. 시드 바이알을 합성 글리세롤을 동결보존제로 하여 동결(-70℃ 미만) 저장하였다. 세포 은행 제조를 위해, 모든 배양액을 대두-기반 배지에서 성장시켰다. 동결 전에, 세포를 원심분리에 의해 농축시키고, 폐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 펠렛을 동결보존제(예를 들어 합성 글리세롤)를 함유하는 신선한 배지에서 재현탁시켰다.
배양 및 수확
작업용 세포 은행으로부터의 배양액을 대두-기반 배지를 함유하는 시드 보틀(seed bottle)에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표적 광학 밀도(흡광도)에 도달한 후, 시드 보틀을 사용하여 대두-기반 배지를 함유하는 발효기에 접종하였다. 배양은 광학 밀도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시작할 때 종료하였다. 배양을 종료한 후, 나트륨 데옥시콜레이트를 배양액에 가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생성된 발효기 내용물을 냉각시키고, 단백질 침전을 유도하였다. 그후,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단백질 및 세포 부스러기를 제거하였다.
정제
원심분리로부터 수득된 용액을 심층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원심분리에서는 침전되지 않았던 단백질 및 세포 부스러기를 제거하였다. 여액을 100 kDa MW 막에서 농축시키고 농축물을 10 용적의 25 mM 인산나트륨 완충액(pH 7.2)으로 투석여과하여 샘플을 수득하였다. 샘플을 여과하여 상청액을 수집하고, 이로부터 다당류를 침전시키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30 kDa 막에서 농축시키고, 농축물을 약 10 용적의 삼중 증류수를 사용하여 투석여과하였다. 투석여과를 수행한 후, 남은 용액을 0.2 μm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다. 공정중 제어 시험(in-process control test)을 여액에 대해 수행하였다(외관, 남은 단백질, 남은 핵산, 내독소, 분자량, 및 다당류의 총량). 농축물을 멸균 여과하고 -20℃에서 저장하였다.
실시예 2. 폐렴연쇄구균 협막 다당류 및 운반 단백질의 접합체의 제조
상이한 혈청형의 다당류를 상이한 경로에 따라 활성화시킨 다음 운반 단백질, CRM197 또는 TT에 접합시켰다. 구체적으로, 접합체는 모든 혈청형의 협막 다당류의 각각을 CRM197에 접합시킴으로써 및 혈청형 1, 3, 및 5의 협막 다당류의 각각을 TT에 접합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활성화 공정은 표적 분자량으로의 각 협막 다당류의 크기의 감소, 화학적 활성화, 및 한외여과를 통한 완충액 교체를 포함한다. 접합체를 한외여과를 사용하여 정제하고 마지막으로 0.2 μm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다. pH, 온도, 농도, 및 시간과 같은 공정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았다.
(1) 활성화 공정
단계 1: 가수분해
환원적 아민화는 단백질의 1급 아민(-NH2) 그룹과 당류의 알데히드 사이에 아미드 결합이 형성되는 중합체를 접합시키기 위한 공지된 방법이다. 그러나, 폐렴연쇄구균 다당류는 어떠한 알데히드 그룹도 갖지 않기 때문에, 알데히드 그룹을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에 부가한다. 단당류의 디올 구조는 과요오드산나트륨(NaIO4)에 의해 산화되어 알데히드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혈청형 1, 3, 4, 6A, 8, 11A, 12F, 14, 15B, 18C, 22F, 및 33F로부터의 협막 다당류는 다음과 같이 전처리하였다.
혈청형 1의 경우에는, 수산화나트륨(0.05M의 최종 염기 농도로)을 협막 다당류의 용액에 가하고, 용액을 50±2℃에서 배양하였다. 그후, 용액을 약 21℃ 내지 약 25℃ 범위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6.0±0.1의 최종 pH로 되도록 이에 염산을 가하여 가수분해를 중단시켰다.
혈청형 3, 8, 11A, 및 15B의 경우에는, 염산(0.01M의 최종 산 농도로)을 협막 다당류의 용액에 가하고, 용액을 60±2℃에서 배양하였다. 그후, 용액을 약 21℃ 내지 약 25℃ 범위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6.0±0.1의 최종 pH로 되도록 이에 0.1M 인산나트륨을 가하여 가수분해를 중단시켰다.
혈청형 4의 경우에는, 염산(0.1M의 최종 산 농도로)을 협막 다당류의 용액에 가하고, 용액을 45±2℃에서 배양하였다. 그후, 용액을 약 21℃ 내지 약 25℃ 범위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6.0±0.1의 최종 pH로 되도록 이에 1M 인산나트륨을 가하여 가수분해를 중단시켰다.
혈청형 6A의 경우에는, 빙초산(0.1M의 최종 산 농도로)을 협막 다당류의 용액에 가하고, 용액을 60±2℃에서 배양하였다. 그후, 용액을 약 21℃ 내지 약 25℃ 범위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6.0±0.1의 최종 pH로 되도록 이에 1M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였다.
혈청형 12F의 경우에는, 염산(0.01M의 최종 산 농도로)을 협막 다당류의 용액에 가하고, 용액을 70±2℃에서 배양하였다. 그후, 용액을 약 21℃ 내지 약 25℃ 범위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6.0±0.1의 용액의 최종 pH로 되도록 이에 0.1M 인산나트륨을 가하여 가수분해를 중단시켰다.
혈청형 14 및 18C의 경우에는, 빙초산(0.2M의 최종 산 농도로)을 협막 다당류의 용액에 가하고, 용액을 약 91-96℃에서 배양하였다. 그후, 용액을 약 21℃ 내지 약 25℃ 범위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용액의 최종 pH가 6.0±0.1로 되도록 이에 1M 인산나트륨을 가하였다.
혈청형 22F 및 33F의 경우에는, 염산(0.01M의 최종 산 농도로)을 협막 다당류의 용액에 가하고, 용액을 60±2℃에서 배양하였다. 그후, 용액을 약 21℃ 내지 약 25℃ 범위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6.0±0.1의 최종 pH로 되도록 이에 0.1M 인산나트륨을 가하여 가수분해를 중단시켰다.
각각의 수득된 협막 다당류를 약 1.0mg/mL 내지 약 2.0mg/mL의 최종 농도로 되도록 주사용수(WFI), 아세트산나트륨, 및 인산나트륨 중에서 희석시켰다.
단계 2: 과요오드산염 반응
각 폐렴구균 당류 활성화를 위한 과요오드산나트륨 몰 당량은 총 당류 함량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완전히 혼합하여, 1, 7F, 및 19F(이 경우 온도는 10℃ 이하였다)를 제외한 모든 혈청형에 대해 21℃ 내지 25℃에서 16 내지 20시간 동안 산화 반응을 진행시켰다. 접합 공정 동안, 알데히드 농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은 접합체의 지속적이고 안정한 생산을 제공한다. 알데히드의 생산 정도는 생산된 알데히드의 농도와 당류의 농도 간의 비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정도는 산화도(degree of oxidation; Do)와 관련되며, 이것은 표 2 및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혈청형에 대해 설정된다.
[표 2] CRM197에 접합된 모든 혈청형에 대한 Do의 범위
Figure pct00002
[표 3] TT에 접합된 혈청형 1, 3, 및 5에 대한 Do의 범위
Figure pct00003
단계 3: 한외여과
산화된 당류를 농축시키고 100 kDa MWCO 한외여과기 상에서 WFI로 투석여과하였다(혈청형 1의 경우 30kDa 한외여과기 및 혈청형 18C의 경우 5 kDa 한외여과기). 투석여과는 혈청형 1의 경우 0.9% 염화나트륨 용액, 혈청형 7F 및 23F의 경우 0.01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pH 4.5), 및 혈청형 19F의 경우 0.01M 인산나트륨 완충액(pH 6.0)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투과액은 버리고, 체류액(retentate)은 0.2 μm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다.
단계 4: 동결건조
수성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운반 단백질에 접합시키고자 하는 혈청형 3, 4, 5, 8, 9V, 10A, 14, 15B, 22F, 및 33F의 협막 다당류의 경우, 다당류와 운반 단백질의 혼합 용액을 수크로스 첨가 없이 제조하고, 동결건조시킨 다음 -25℃ ± 5℃에서 저장하였다.
수성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운반 단백질에 접합시키고자 하는 혈청형 1 및 18C의 협막 다당류의 경우, 다당류 및 운반 단백질을 수크로스 첨가 없이 독립적으로 제조하고, 동결건조시킨 다음 -25℃ ± 5℃에서 저장하였다.
DMSO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운반 단백질에 접합시키고자 하는 혈청형 6A, 6B, 7F, 19A, 19F, 및 23F의 협막 다당류의 경우, 5%±3%의 최종 수크로스 농도에 도달하도록 예비결정된 양의 수크로스를 활성화된 당류에 가하고, 샘플을 독립적으로 제조하고, 동결건조시킨 다음 -25℃ ± 5℃에서 저장하였다.
혈청형 11A의 협막 다당류의 경우, 20%±5%의 최종 수크로스 농도에 도달하도록 예비결정된 양의 수크로스를 활성화된 당류에 가하고, 다당류 및 운반 단백질을 독립적으로 제조하고, 동결건조시킨 다음 -25℃ ± 5℃에서 저장하였다.
혈청형 12F의 협막 다당류의 경우, 10%±5%의 최종 수크로스 농도에 도달하도록 예비결정된 양의 수크로스를 활성화된 당류에 가하고, 다당류 및 운반 단백질을 독립적으로 제조하고, 동결건조시킨 다음 -25℃ ± 5℃에서 저장하였다.
(2) 접합 공정
수성 접합은 혈청형 1, 3, 4, 5, 8, 9V, 10A, 14, 15B, 18C, 22F, 및 33F에 대해 수행하였고, DMSO 접합은 혈청형 6A, 6B, 7F, 11A, 12F, 19A, 19F, 및 23F에 대해 수행하였다. 각각의 협막 다당류를 0.2 내지 2:1의 비로 운반 단백질에 접합시켰다.
단계 1: 용해
수성 접합
혈청형 1, 3, 4, 5, 8, 9V, 10A, 14, 15B, 18C, 22F, 및 33F의 경우, 동결건조된 샘플을 해동시키고 실온에서 평형화시켰다. 동결건조된 샘플을 각 혈청형에 대해 설정된 비로 23±2℃에서 인산나트륨 완충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반응 농도로 재구성하였다.
디메틸 설폭사이드 ( DMSO ) 접합
혈청형 6A, 6B, 7F, 11A, 12F, 19A, 19F, 및 23F의 경우, 동결건조된 샘플을 해동시키고, 실온에서 평형화시키고, DMSO에서 재구성하였다.
단계 2: 접합 반응
수성 접합
혈청형 1, 3, 4, 5, 8, 9V, 10A, 14, 15B, 18C, 22F, 및 33F의 경우, 접합 반응은 당류 몰 당 1.0 내지 1.4몰 수소화시아노붕소나트륨으로 되도록 수소화시아노붕소나트륨 용액(100mg/mL)을 첨가함으로써 개시하였다. 그러나, 혈청형 1 및 3의 경우, 반응은 당류 몰 당 0.5몰 수소화시아노붕소나트륨으로 되도록 수소화시아노붕소나트륨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개시하였다.
TT에 접합되는 혈청형 1, 3, 및 5의 경우, 당류 몰 당 0.5몰 수소화시아노붕소나트륨으로 되도록 하는 혈청형 1을 제외하고는, 접합 반응은 당류 몰 당 1.0 내지 1.4몰 수소화시아노붕소나트륨으로 되도록 수소화시아노붕소나트륨 용액(100mg/mL)을 첨가함으로써 개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3℃ 내지 37℃에서 44 내지 10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반응 온도 및 시간은 혈청형에 따라 조절하였다. 그후, 온도를 23±2℃로 낮추고 염화나트륨 0.9%을 반응기에 가하였다. 수소화붕소나트륨 용액(100mg/mL)을 첨가하여, 당류 몰 당 1.8 내지 2.2몰 당량의 수소화붕소나트륨을 달성하였다. 혼합물을 23±2℃에서 3 내지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과정이 당류 상에 존재하는 미반응 알데히드를 감소시켰다. 그후, 혼합물을 염화나트륨 0.9%로 희석시키고 희석된 접합 혼합물을 0.8 또는 0.45 μm 프리-필터(pre-filter)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DMSO 접합
혈청형 6A, 6B, 7F, 11A, 12F, 19A, 19F, 및 23F의 협막 다당류의 경우, 접합 반응은 활성화된 당류 1몰당 0.8 내지 1.2몰 당량의 수소화시아노붕소나트륨의 비로 되도록 수소화시아노붕소나트륨 용액(100mg/mL)을 첨가함으로써 개시하였다. WFI를 1% (v/v)의 표적 농도로 되도록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혼합물을 23±2℃에서 12 내지 2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00mg/mL의 수소화붕소나트륨 용액(활성화된 당류 몰 당 전형적인 1.8 내지 2.2몰 당량 수소화붕소나트륨) 및 WFI(표적 5% v/v)를 반응에 가하고 혼합물을 23±2℃에서 3 내지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과정이 당류 상에 존재하는 미반응 알데히드를 감소시켰다. 그후, 반응 혼합물을 염화나트륨 0.9%로 희석시키고, 희석된 접합 혼합물을 0.8 또는 0.45 μm 프리-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단계 3: 한외여과
희석된 접합체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최소 15 용적의 0.9% 염화나트륨 또는 완충액으로 100 kDa MWCO 한외여과 필터 또는 300 kDa MWCO 한외여과 필터 상에서 투석여과하였다. 또한, 공정에서 사용되는 완충액의 유형 및 pH는 각각의 혈청형에 따라 달라졌다.
단계 4: 멸균 여과
한외여과 후 체류물을 멸균 여과하고(0.2 μm), 및 공정중 제어(외관, 유리 단백질, 유리 당류, 분자 크기 분포, 멸균성, 당류 함량, 단백질 함량, pH, 내독소, 잔류 시안화물, 잔류 DMSO, 당류 정체(identity), TT 정체, 및 CRM197 정체)를 여과된 접합체에 대해 수행하였다. 최종 농축물을 냉장시키고 2℃ 내지 8℃에서 저장하였다.
실시예 3.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의 제형화
실시예 2로부터 수득된 최종 벌크(bulk) 농축물의 목적하는 용적은 배치(batch) 용적 및 벌크 당류 농도에 기초하여 계산하였다. 0.85% 염화나트륨(생리 식염수),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석시네이트 완충액을 예비-표지된 제형 용기에 첨가한 후, 벌크 농축물을 첨가하였다. 그후, 제제를 완전히 혼합하고 0.2 μm 막을 통해 멸균 여과하였다. 벌크 인산알루미늄의 첨가 동안 및 첨가 후 제형화된 벌크를 부드럽게 혼합하였다. pH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조절하였다. 제형화된 벌크 생성물을 2℃ 내지 8℃에서 저장하였다.
다음의 세 가지 유형의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 제형을 제조하고 각각 PCV20-13TT, PCV20-15TT, 및 PCV20-35TT로 명명하였다.
PCV20-13TT는 혈청형 1 및 3의 각 다당류를 TT에 접합시키고 혈청형 4, 5,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의 각 다당류를 CRM197에 접합시킴으로써 제조된 다당류-접합체를 포함하였다.
PCV20-15TT는 혈청형 1 및 5의 각 다당류를 TT에 접합시키고 혈청형 3, 4,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의 각 다당류를 CRM197에 접합시킴으로써 제조된 다당류-접합체를 포함하였다.
PCV20-35TT는 혈청형 3 및 5의 각 다당류를 TT에 접합시키고 혈청형 1, 4,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의 각 다당류를 CRM197에 접합시킴으로써 제조된 다당류-접합체를 포함하였다.
수득된 PCV20-13TT 및 PCV20-35TT 백신 조성물은 총 0.5 ml 용량에 혈청형 6B의 경우 4.4 μg인 것을 제외하고는 2.2 μg의 각 당류; 10 μg 내지 15 μg의 TT(혈청형 1, 3, 및 5의 경우) 및 50 μg 내지 60 μg의 CRM197; 0.125mg의 원소 알루미늄(0.5mg 인산알루미늄) 아주반트; 4.25mg의 염화나트륨; 약 295 μg의 석시네이트 완충 용액; 및 약 100 μg의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하였다. PCV20-15TT 조성물은 총 0.5 ml 용량에 각각 5 μg 내지 10 μg의 TT(혈청형 1 및 5의 경우) 및 50 μg 내지 60 μg CRM197을 포함하였으며, 나머지 성분들 및 이의 함량은 PCV20-13TT의 것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4: 단일-접합체(혈청형 8, 10A, 11A, 및 15)의 면역원성
앞서 주지된 바와 같이, 본원에 기술된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세계 시장에서 현재 이용 가능한 세 가지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폐렴구균 혈청형을 포함한다. 현재 이용 가능한 백신의 일부가 아닌 이러한 폐렴구균 혈청형은 혈청형 8, 10A, 11A, 및 15B를 포함한다. 혈청형 8, 10A, 11A, 및 15B의 단일-접합체는 실시예 2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이러한 단일-접합체의 면역원성을 생체내에서 시험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토끼(뉴질랜드 화이트, 암컷, 2-3kg)를 0주 및 2주에 단일-접합체로 면역화하였다. 항체 역가를 4주(28일)에 측정하였으며 도 1a-d에 나타내어져 있다. 도 1a-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청형 8, 10, 11A, 및 15B의 각각의 단일-접합체는 기하 평균 역가(GMT)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이 생체내에서 용량-의존적 항체 반응을 보였다.
실시예 5. 16가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의 면역원성
PCV16-13TT, PCV16-15TT, 및 PCV16-35TT를 포함한 혼합 운반체, 16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실시예 3에 요약된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대조물 혼합 운반체, 16가 폐렴구균 조성물을 또한 제조하였으며 폐렴연쇄구균 혈청형 1, 3, 4, 5, 6A, 6B, 7F, 9V, 12F, 14,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의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CRM197을 포함하였다("PCV16-CRM197"). 이러한 16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을 토끼에서 면역원성 반응을 유도하는 능력에 대해 시험하였다. 이러한 면역원성 효과는 혈청 IgG 농도에 대한 항원-특이 ELISA에 의해 및 항체 기능에 대한 옵소닌식세포작용 검정(opsonophagocytic assay; OPA)에 의해 특성화하였다. 뉴질랜드 화이트 토끼를 제형 중의 각 다당류의 계획된 사람 임상 용량보다 5% 더 높은 용량(6B의 경우 4.62 μg인 것을 제외하고는 각 다당류 2.31 μg) 또는 사람 용량(6B의 경우 4.4 ug인 것을 제외하고는 각 다당류 2.2 ug)으로 0주 및 3주에 근육내 면역화하였다. 혈청을 면역화 후 3주마다 샘플링하였다. 두 가지 농도 모두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PCV16-CRM197, PCV16-13TT, PCV16-15TT, 및 PCV16-35TT 조성물에 대한 혈청형-특이 면역 반응을 IgG ELISA 및 기능성 항체를 측정하는 보체-매개된 MOPA에 의해 평가하였다.
4-1. PCV16 - CRM197
혈청형 특이 IgG 농도 측정
각 혈청형에 대한 협막 다당류(PnPs)를 96-웰 플레이트 상에서 0.5 μg/웰(well) 내지 1 μg/웰로 피복시켰다. 등가량의 혈청을 각 대상체로부터 샘플링하고 그룹별로 모았다. 혈청 혼주물(pool)을 Tween 20 및 CWPS 5 μg/mL를 포함하는 항체 희석 완충액으로 2.5배까지 연속 희석시킨 다음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플레이트를 세척 완충액으로 5회 세척한 다음 예비-흡착되고 희석된 혈청 50 μl를 피복된 웰 플레이트에 첨가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내지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웰 플레이트를 동일한 방식으로 세척한 다음 염소 항-토끼 IgG-알칼리성 포스파타제 접합체를 각 웰에 가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플레이트를 상기한 바와 같이 세척하고 기질로서 1mg/mL p-니트로페닐아민 완충액을 각 웰에 가한 다음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50 μl의 3 M NaOH를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quenching)시키고 405 nm 및 6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교 실시예로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13가 백신(PREVNAR13)을 동일한 과정에 적용하였다. 결과가 표 4에 나타내어져 있다.
[표 4] 이차 면역화 후 3주에서 16가지 혈청형에 대한 IgG 농도(U/mL)
Figure pct00004
PCV16-CRM197은 모든 16가지 혈청형에 대해 우수한 수준의 혈청형 특이 IgG 농도를 야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PCV16-CRM197의 경우, PCV16-CRM197 및 PREVNAR13에 공통인 혈청형은 PREVNAR13과 같거나 더 높은 혈청형-특이 IgG 농도를 보였으며 새로 추가된 혈청형 12F, 22F, 및 33F 각각 또한 우수한 수준의 혈청형 특이 IgG 농도를 보였다.
기능적 면역원성 시험( MOPA )
항체 기능은 MOPA 검정으로 혈청을 시험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각 균주의 농도가 약 50,000 CFU/mL로 되도록, -70℃ 이하에서 저장된 폐렴연쇄구균 MOPA 균주를 상응하는 최종 희석도로 희석시켰다. 등가량의 혈청을 각 대상체로부터 샘플링하고, 그룹별로 모으고, 20 μl의 혈청이 U-바닥 플레이트에 남도록 2배 연속 희석시켰다. 샘플을 희석한 후, 각 혈청형에 대해 제조된 10 μl의 균주를 희석된 샘플과 혼합하고, 폐렴연쇄구균과 항체가 잘 혼합되도록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예비-분화된 HL-60 세포와 보체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CO2 배양기(37℃)에서 45분 동안 반응시켰다. 온도를 낮추어 식균 작용을 중단시키고 10 μl의 반응 용액을 30 내지 60분 동안 예비-건조된 한천 플레이트 상에 스폿팅(spotting)한 다음 건조될 때까지 20분 동안 플레이트 상에 흡수되도록 하였다. 25mg/mL TTC 스톡 용액을 제조된 오버레이 한천(overlay agar)에 첨가하고, 상응하는 균주에 적합한 항체를 이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완전히 혼합한 다음 약 25 mL의 혼합물을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약 30분 동안 경화시켰다. 완전히 경화된 플레이트를 CO2 배양기(37℃)에서 12 내지 1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콜로니를 계수하였다. MOPA 역가는 50% 사멸이 관찰되는 희석률로 표현되었다. 비교 실시예로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13가 백신(PREVNAR13)을 동일한 과정에 적용하였다.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어져 있다.
[표 5] 이차 면역화 후 3주에서 16가지 혈청형에 대한 MOPA 역가
Figure pct00005
모든 혈청형은 PCV16-CRM197에서 탁월한 수준의 기능적 면역원성을 보였다. PCV16-CRM197의 경우, PCV16-CRM197 및 PREVNAR13에 공통인 혈청형은 PREVNAR13과 등가이거나 더 양호한 기능적 면역원성을 보였으며 새로 추가된 혈청형 12F, 22F, 및 33F의 각각 또한 높은 수준의 기능적 면역원성을 보였다.
4-2. PCV16 - 13TT
혈청형 특이 IgG 농도 및 기능적 면역원성 역가는 PCV16-13TT가 PCV16-CRM197 대신에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4-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혈청형 특이 IgG 농도 측정
[표 6] 이차 면역화 후 3주에서 16가지 혈청형에 대한 IgG 농도(U/mL)
Figure pct00006
혈청형 1 및 3의 협막 다당류가 TT에 접합되는 경우, 이들은 혈청형이 CRM197에 접합되는 경우 수득되는 것에 비해 상당히 증가된 수준의 혈청형 특이 IgG를 보였다. 또한, CRM197에 접합된 혈청형 12F, 22F, 및 33F의 협막 다당류 각각은 적절한 수준의 혈청형 특이 IgG 농도를 보였으며 혈청형 4, 6B, 7F, 14, 18C, 19A, 및 19F는 PREVNAR13에서보다 더 높은 수준의 혈청형 특이 IgG 농도를 보였다.
기능적 면역원성 시험( MOPA )
[표 7] 이차 면역화 후 3주에서 16가지 혈청형에 대한 MOPA 역가
Figure pct00007
혈청형 1 및 3의 협막 다당류가 TT에 접합되는 경우, 기능적 면역원성은 이들이 CRM197에 접합되는 경우 수득되는 것에 비해 개선되었다. 또한, CRM197에 접합된 혈청형 12F, 22F, 및 33F의 협막 다당류 각각은 탁월한 기능적 면역원성을 보였으며 혈청형 4, 6B, 7F, 9V, 14, 19A, 및 19F의 협막 다당류 각각은 PREVNAR13에서보다 더 나은 기능적 면역원성을 보였다.
4-3. PCV16 - 15TT
혈청형 특이 IgG 농도 및 기능적 면역원성 역가는 PCV16-15TT가 PCV16-CRM197 대신에 사용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4-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혈청형 특이 IgG 농도 측정
[표 8] 이차 면역화 후 3주에서 16가지 혈청형에 대한 IgG 농도(U/mL)
Figure pct00008
혈청형 1 및 5의 협막 다당류가 TT에 접합되는 경우, 혈청형 특이 IgG 농도는 이들이 CRM197에 접합되는 경우 수득되는 것에 비해 상당히 증가하였다. 또한, CRM197에 접합된 혈청형 12F, 22F, 및 33F의 협막 다당류 각각은 높은 수준의 혈청형 특이 IgG 농도를 보였으며 혈청형 3, 4, 6A, 6B, 7F, 14, 18C, 19A, 및 19F의 협막 다당류의 각각은 PREVNAR13에서보다 더 높은 수준의 혈청형 특이 IgG 농도를 보였다.
기능적 면역원성 시험( MOPA )
[표 9] 이차 면역화 후 3주에서 16가지 혈청형에 대한 MOPA 역가
Figure pct00009
혈청형 1 및 5의 협막 다당류가 TT에 접합되는 경우, 기능적 면역원성은 이들이 CRM197에 접합되는 경우 수득되는 것에 비해 개선되었다. 또한, CRM197에 접합된 혈청형 12F, 22F, 및 33F의 협막 다당류 각각은 탁월한 기능적 면역원성을 보였으며 혈청형 3, 4, 6A, 6B, 7F, 및 19F의 협막 다당류 각각은 PREVNAR13에서보다 더 높은 수준의 기능적 면역원성을 보였다.
4-4. PCV16 - 35TT
혈청형 특이 IgG 농도 및 기능적 면역원성 역가는 PCV16-35TT가 PCV16-CRM197 대신에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4-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혈청형 특이 IgG 농도 측정
[표 10] 이차 면역화 후 3주에서 16가지 혈청형에 대한 IgG 농도(U/mL)
Figure pct00010
혈청형 3 및 5의 협막 다당류가 TT에 접합되는 경우, 혈청형 특이 IgG 농도는 이들이 CRM197에 접합되는 경우 수득되는 것에 비해 상당히 증가하였다. 또한, CRM197에 접합된 혈청형 12F, 22F, 및 33F의 협막 다당류 각각은 우수한 혈청형 IgG 농도를 가졌으며 혈청형 1, 4, 6A, 6B, 7F, 9V, 14, 18C, 및 19F의 협막 다당류 각각은 PREVNAR13에서보다 더 높은 수준의 혈청 특이 IgG 농도를 보였다.
기능적 면역원성 시험( MOPA )
[표 11] 이차 면역화 후 3주에서 16가지 혈청형에 대한 MOPA 역가
Figure pct00011
혈청형 3 및 5가 TT에 접합되는 경우, 기능적 면역원성은 이들이 CRM197에 접합되는 경우 수득되는 것에 비해 개선되었다. 또한, CRM197에 접합된 혈청형 12F, 22F, 및 33F의 협막 다당류 각각은 탁월한 기능적 면역원성을 보였으며 혈청형 1, 4, 9V, 12F, 14, 18C, 및 19F의 협막 다당류 각각은 PREVNAR13에서보다 더 높은 수준의 기능적 면역원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 접합체 조성물이 단일 운반체,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 접합체 백신, PREVNAR13과 등가이거나 더 양호한 면역원성을 유도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들은 또한 예기치 않게도, 혼합 운반체 조성물에서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된 혈청형 1, 3, 및/또는 5에 대한 항체 반응이 단일 운반체 PREVNAR 13 백신에서 CRM197에 접합된 동일한 혈청형에 대한 항체 반응에 비해 상당히 강화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들은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 접합체 조성물이 추가된 혈청형, 12F, 22F, 및 33F에 대한 항체 반응을 성공적으로 유도하여, 현재 시판중인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 접합체 백신보다 더 광범위한 혈청형 보호를 제공함을 보여준다.
실시예 6.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백신의 면역원성
PCV20-13TT, PCV20-15TT, 및 PCV20-35TT를 포함한 혼합 운반체,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은 실시예 3에 요약된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러한 20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을 토끼에서 면역원성 반응을 유도하는 능력에 대해 시험하였다. 이러한 면역원성 효과는 혈청 IgG 농도에 대한 항원-특이 ELISA에 의해 및 항체 기능에 대한 옵소닌식세포작용 검정(OPA)에 의해 특성화하였다. 뉴질랜드 화이트 토끼를 제형 중의 각 다당류의 계획된 사람 임상 용량보다 5% 더 높은 용량(6B의 경우 4.62 μg인 것을 제외하고는 각 다당류 2.31 μg) 또는 사람 용량(6B의 경우 4.4 ug인 것을 제외하고는 각 다당류 2.2 ug)으로 0주 및 3주에 근육내 면역화하였다. 혈청을 면역화 후 3주마다 샘플링하였다. 두 가지 농도 모두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PCV20-13TT, PCV20-15TT, 및 PCV20-35TT 조성물에 대한 혈청형-특이 면역 반응을 IgG ELISA 및 기능성 항체를 측정하는 보체-매개된 MOPA에 의해 평가하였다.
6-1. PCV20 - 35TT
혈청형 특이 IgG 농도 측정
각 혈청형에 대한 협막 다당류(PnPs)를 96-웰 플레이트 상에서 0.5 μg/웰 내지 1 μg/웰로 피복시켰다. 등가량의 혈청을 각 대상체로부터 샘플링하고 그룹별로 모았다. 혈청 혼주물을 Tween 20 및 CWPS 5 μg/mL를 포함하는 항체 희석 완충액으로 2.5배까지 연속 희석시킨 다음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플레이트를 세척 완충액으로 5회 세척한 다음 예비-흡착되고 희석된 혈청 50 μl를 피복된 웰 플레이트에 첨가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내지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웰 플레이트를 동일한 방식으로 세척한 다음 염소 항-토끼 IgG-알칼리성 포스파타제 접합체를 각 웰에 가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플레이트를 상기한 바와 같이 세척하고 기질로서 1mg/mL p-니트로페닐아민 완충액을 각 웰에 가한 다음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50 μl의 3 M NaOH를 첨가하여 반응을 켄칭시키고 405 nm 및 6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교 실시예로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13가 백신(PREVNAR13)을 동일한 과정에 적용하였다. 결과가 표 12에 나타내어져 있다.
[표 12] 이차 면역화 후 4주에서 20가지 혈청형에 대한 IgG 농도(U/mL)
Figure pct00012
PCV20-35TT 및 PREVNAR13에 공통인 PCV20-35TT에서의 혈청형은 PREVNAR13과 등가이거나 더 높은 혈청형-특이 IgG 농도를 보였고 새로 추가된 혈청형 8, 10A, 11A, 12F, 15B, 22F, 및 33F의 각각 또한 우수한 수준의 혈청형 특이 IgG 농도를 보였다.
기능적 면역원성 시험( MOPA )
항체 기능은 MOPA 검정으로 혈청을 시험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각 균주의 농도가 약 50,000 CFU/mL로 되도록, -70℃ 이하에서 저장된 폐렴연쇄구균 MOPA 균주를 상응하는 최종 희석도로 희석시켰다. 등가량의 혈청을 각 대상체로부터 샘플링하고, 그룹별로 모으고, 20 μl의 혈청이 U-바닥 플레이트에 남도록 2배 연속 희석시켰다. 샘플을 희석한 후, 각 혈청형에 대해 제조된 10 μl의 균주를 희석된 샘플과 혼합하고, 폐렴연쇄구균과 항체가 잘 혼합되도록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예비-분화된 HL-60 세포와 보체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CO2 배양기(37℃)에서 45분 동안 반응시켰다. 온도를 낮추어 식균 작용을 중단시키고 10 μl의 반응 용액을 30 내지 60분 동안 예비-건조된 한천 플레이트 상에 스폿팅한 다음 건조될 때까지 20분 동안 플레이트 상에 흡수되도록 하였다. 25mg/mL TTC 스톡 용액을 제조된 오버레이 한천에 첨가하고, 상응하는 균주에 적합한 항체를 이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완전히 혼합한 다음 약 25 mL의 혼합물을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약 30분 동안 경화시켰다. 완전히 경화된 플레이트를 CO2 배양기(37℃)에서 12 내지 1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콜로니를 계수하였다. MOPA 역가는 50% 사멸이 관찰되는 희석률로 표현되었다. 비교 실시예로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13가 백신(PREVNAR13)을 동일한 과정에 적용하였다. 결과는 표 13에 나타내어져 있다.
[표 13] 이차 면역화 후 4주에서 20가지 혈청형에 대한 MOPA 역가
Figure pct00013
모든 혈청형은 탁월한 수준의 기능적 면역원성을 보였다. PCV20-35TT 및 PREVNAR13에 공통인 PCV20-35TT에서의 혈청형은 PREVNAR13과 등가이거나 더 양호한 기능적 면역원성을 보였으며 새로 추가된 혈청형 8, 10A, 11A, 12F, 15B, 22F, 및 33F 각각 또한 높은 수준의 기능적 면역원성을 보였다.
6-2. PCV20 - 13TT
혈청형 특이 IgG 농도 및 기능적 면역원성 역가는 PCV20-13TT가 PCV20-35TT 대신에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6-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혈청형 특이 IgG 농도 측정
[표 14] 이차 면역화 후 4주에서 20가지 혈청형에 대한 IgG 농도(U/mL)
Figure pct00014
PCV20-13TT 및 PREVNAR13에 공통인 PCV20-13TT에서의 혈청형은 PREVNAR13과 등가이거나 더 높은 혈청형-특이 IgG 농도를 보였으며 새로 추가된 혈청형 8, 10A, 11A, 12F, 15B, 22F, 및 33F 각각 또한 우수한 수준의 혈청형 특이 IgG 농도를 보였다.
기능적 면역원성 시험( MOPA )
[표 15] 이차 면역화 후 4주에서 20가지 혈청형에 대한 MOPA 역가
Figure pct00015
모든 혈청형은 탁월한 수준의 기능적 면역원성을 보였다. PCV20-13TT 및 PREVNAR13에 공통인 PCV20-13TT에서의 혈청형은 PREVNAR13과 등가이거나 더 양호한 기능적 면역원성을 보였으며 새로 추가된 혈청형 8, 10A, 11A, 12F, 15B, 22F, 및 33F 각각 또한 높은 수준의 기능적 면역원성을 보였다.
6-3. PCV20 - 15TT
혈청형 특이 IgG 농도 및 기능적 면역원성 역가는 PCV20-15TT가 PCV20-35TT 대신에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6-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혈청형 특이 IgG 농도 측정
[표 16] 이차 면역화 후 4주에서 20가지 혈청형에 대한 IgG 농도(U/mL)
Figure pct00016
PCV20-15TT 및 PREVNAR13에 공통인 PCV20-15TT에서의 혈청형은 PREVNAR13과 등가이거나 더 높은 혈청형-특이 IgG 농도를 보였으며 새로 추가된 혈청형 8, 10A, 11A, 12F, 15B, 22F, 및 33F 각각 또한 우수한 수준의 혈청형 특이 IgG 농도를 보였다.
기능적 면역원성 시험( MOPA )
[표 17] 이차 면역화 후 4주에서 20가지 혈청형에 대한 MOPA 역가.
Figure pct00017
모든 혈청형은 탁월한 수준의 기능적 면역원성을 보였다. PCV20-15TT 및 PREVNAR13에 공통인 PCV20-15TT에서의 혈청형은 PREVNAR13과 등가이거나 더 양호한 기능적 면역원성을 보였으며 새로 추가된 혈청형 8, 10A, 11A, 12F, 15B, 22F, 및 33F 각각 또한 높은 수준의 기능적 면역원성을 보였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태가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지만, 하기 청구항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형태 및 세부사항에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계의 통상의 숙련가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참고문헌
하기 참고문헌들이 본 출원에서 인용되며 기술 분야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본 출원에서 논의된 분석 및 다른 세부사항을 제공한다. 다음의 참고문헌들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1] Prymula et al., Lancet, 367:740-48 (2006).
[2] Vesikari et al., PIDJ, 28(4):S66-76 (2009).
[3] Dagan et al. Infection & Immunity, 5383-91 (2004).
[4] Juergens et al., Clinical and Vaccine Immunology, 21(9): 1277-1281 (2014).
[5] Andrews et al., Lancet, 14: 839-846 (2014).
[6] Nurkka et al., Vaccine, 20:194-201 (2001).
[7] Levin and Stone, J. Immunology 67:235-242 (1951).
[8] W.H.O. Manual for the Production and Control of Vaccines: Tetanus Toxoid, 1977 (BLG/UNDP/77.2 Rev.I.)
[9] Didierlaurent et al., J. Immunol ., 183: 6186-6197 (2009).

Claims (17)

  1. 각각의 폐렴구균 협막(pneumococcal capsular) 다당류-단백질 접합체(conjugate)가 폐렴연쇄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의 상이한 혈청형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에 접합된 단백질 운반체(protein carrier)를 포함하고, 폐렴연쇄구균 혈청형이 1, 3, 4, 5,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 선택되며, 단백질 운반체가 CRM197 또는 파상풍 변성독소(tetanus toxoid)이고, 협막 다당류 중의 두 개는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나머지 협막 다당류는 CRM197에 접합되며, 상기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는 두 개의 협막 다당류가 혈청형 1, 3, 및 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20개의 상이한 폐렴구균 협막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혈청형 1 및 5로부터의 협막 다당류가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혈청형 3, 4,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의 협막 다당류가 CRM197에 접합되는,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혈청형 1 및 3으로부터의 협막 다당류가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혈청형 4, 5,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의 협막 다당류가 CRM197에 접합되는,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혈청형 3 및 5로부터의 협막 다당류가 파상풍 변성독소에 접합되고, 혈청형 1, 4, 6A, 6B, 7F, 8, 9V, 10A, 11A, 12F, 14, 15B, 18C, 19A, 19F, 22F, 23F, 및 33F로부터의 협막 다당류가 CRM197에 접합되는,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주반트(adjuvant)를 추가로 포함하는,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아주반트가 알루미늄-기반 아주반트인,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아주반트가 인산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및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아주반트가 인산알루미늄인,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9. 대상체에서 폐렴연쇄구균 감염 또는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의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의 용도.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의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백신.
  11. 예방학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의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또는 제10항의 백신을 대상체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대상체에서 폐렴연쇄구균 감염 또는 질환을 예방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적어도 50세인 사람이고 질환이 폐렴 또는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IPD)인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적어도 6주령인 사람이고 질환이 폐렴,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IPD), 또는 급성 중이염(AOM)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6주령 내지 5세, 2 내지 15개월령, 또는 6 내지 17세인 방법.
  15.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사람인, 용도 또는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또는 백신이 근육내 주사에 의해 투여되는 방법.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혼합 운반체, 다가 폐렴구균 접합체 조성물 또는 백신이 면역화 시리즈(immunization series)의 일부로서 투여되는 방법.
KR1020197004330A 2016-08-05 2017-08-04 다가 폐렴구균 다당류-단백질 접합체 조성물 KR102437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71553P 2016-08-05 2016-08-05
US62/371,553 2016-08-05
US201762525945P 2017-06-28 2017-06-28
US62/525,945 2017-06-28
PCT/US2017/045483 WO2018027126A1 (en) 2016-08-05 2017-08-04 Multi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063A true KR20190055063A (ko) 2019-05-22
KR102437120B1 KR102437120B1 (ko) 2022-08-25

Family

ID=6107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330A KR102437120B1 (ko) 2016-08-05 2017-08-04 다가 폐렴구균 다당류-단백질 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1241489B2 (ko)
EP (1) EP3493837B1 (ko)
JP (1) JP7001687B2 (ko)
KR (1) KR102437120B1 (ko)
CN (1) CN109862908B (ko)
AU (1) AU2017306711B2 (ko)
BR (1) BR112019001971A2 (ko)
CA (1) CA3031799A1 (ko)
IL (1) IL264552B2 (ko)
MX (1) MX2019001342A (ko)
PH (1) PH12019500240A1 (ko)
SA (1) SA519401027B1 (ko)
SG (1) SG11201900794PA (ko)
TW (1) TWI789357B (ko)
WO (1) WO201802712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1087A1 (ko) * 2020-08-07 2022-02-10 (주)셀트리온 폐렴구균 다당류-세포벽 유래 물질 접합체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WO2022154520A1 (ko) * 2021-01-14 2022-07-21 (주)셀트리온 다가 폐렴구균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WO2023054998A1 (ko) * 2021-10-01 2023-04-06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주) 향상된 효능을 갖는 알루미늄계 애주번트를 제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56893B (zh) * 2015-07-21 2022-03-01 美商輝瑞股份有限公司 包含經共軛之莢膜糖抗原的致免疫性組成物、包含該致免疫性組成物之套組及彼等之用途
EP3493840B1 (en) 2016-08-05 2022-08-24 Sanofi Pasteur Inc. Multi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 composition
JP2020514326A (ja) * 2017-02-24 2020-05-21 メルク・シャープ・アンド・ドーム・コーポレーションMerck Sharp & Dohme Corp. 肺炎連鎖球菌多糖−タンパク質コンジュゲートの免疫原性の増強
US10729763B2 (en) 2017-06-10 2020-08-04 Inventprise, Llc Mixtures of polysaccharide-protein pegylated compounds
AU2018328035B2 (en) 2017-09-07 2024-03-07 Chitrananda Abeygunawardana Pneumococcal polysaccharides and their use in immunogenic polysaccharide-carrier protein conjugates
KR20200051005A (ko) 2017-09-07 2020-05-12 머크 샤프 앤드 돔 코포레이션 폐렴구균 폴리사카라이드 및 면역원성 폴리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접합체에서의 그의 용도
EP3720483A2 (en) 2017-12-06 2020-10-14 Merck Sharp&Dohme Corp. Compositions comprising streptococcus pneumoniae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IL304977A (en) * 2018-02-05 2023-10-01 Sanofi Pasteur Inc A multivalent pneumococcal protein-polysaccharide conjugate preparation
EP3749358A4 (en) * 2018-02-05 2022-04-20 Sanofi Pasteur, Inc. MULTIVALENT POLYSACCHARIDE-PNEUMOCOCCAL PROTEIN CONJUGATE COMPOSITION
BR112020021296A2 (pt) 2018-04-18 2021-01-26 Sk Bioscience Co., Ltd. polissacarídeo capsular de streptococcus pneumoniae e conjugado imunogênico do mesmo
CN108524926B (zh) * 2018-06-29 2021-06-29 康希诺生物股份公司 一种多价肺炎球菌结合疫苗的制剂组合及其应用
CR20210333A (es) 2018-12-19 2021-08-18 Merck Sharp & Dohme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conjugados de polisacárido de streptococcus pneumoniae con proteína y sus métodos de uso
EP4003410A1 (en) 2019-07-31 2022-06-01 Sanofi Pasteur, Inc. Multi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2477A (ko) * 1997-05-14 2001-02-15 케르네 다니엘 혼합 담체와 결합된 다가(多價)의 백신 조성물
WO2015110941A2 (en) * 2014-01-21 2015-07-30 Pfizer Inc. Immunogenic compositions comprising conjugated capsular saccharide antigen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71552D1 (en) 1979-09-21 1986-05-22 Hitachi Ltd Semiconductor switch
US4270537A (en) 1979-11-19 1981-06-02 Romaine Richard A Automatic hypodermic syringe
US4673574A (en) 1981-08-31 1987-06-16 Anderson Porter W Immunogenic conjugates
US4902506A (en) 1983-07-05 1990-02-20 The University Of Rochester Immunogenic conjugates
US4596556A (en) 1985-03-25 1986-06-24 Bioject, Inc. Hypodermic injection apparatus
CA1283827C (en) 1986-12-18 1991-05-07 Giorgio Cirelli Appliance for injection of liquid formulations
GB8704027D0 (en) 1987-02-20 1987-03-25 Owen Mumford Ltd Syringe needle combination
US4790824A (en) 1987-06-19 1988-12-13 Bioject, Inc. Non-invasive hypodermic injection device
US4940460A (en) 1987-06-19 1990-07-10 Bioject, Inc. Patient-fillable and non-invasive hypodermic injection device assembly
US4941880A (en) 1987-06-19 1990-07-17 Bioject, Inc. Pre-filled ampule and non-invasive hypodermic injection device assembly
US5339163A (en) 1988-03-16 1994-08-16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exposure control device using plural image plane detection areas
FR2638359A1 (fr) 1988-11-03 1990-05-04 Tino Dalto Guide de seringue avec reglage de la profondeur de penetration de l'aiguille dans la peau
US5064413A (en) 1989-11-09 1991-11-12 Bioject, Inc. Needleless hypodermic injection device
US5312335A (en) 1989-11-09 1994-05-17 Bioject Inc. Needleless hypodermic injection device
US5190521A (en) 1990-08-22 1993-03-02 Tecnol Medical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aising a skin wheal and anesthetizing skin
US5527288A (en) 1990-12-13 1996-06-18 Elan Medical Technologies Limited Intradermal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intradermal delivery of drugs
CA2059693C (en) 1991-01-28 2003-08-19 Peter J. Kniskern Polysaccharide antigens from streptococcus pneumoniae
GB9118204D0 (en) 1991-08-23 1991-10-09 Weston Terence E Needle-less injector
SE9102652D0 (sv) 1991-09-13 1991-09-13 Kabi Pharmacia Ab Injection needle arrangement
CA2129899C (en) 1992-02-11 2011-01-04 James J. Mond Dual carrier immunogenic construct
US5328483A (en) 1992-02-27 1994-07-12 Jacoby Richard M Intradermal injection device with medication and needle guard
US5383851A (en) 1992-07-24 1995-01-24 Bioject Inc. Needleless hypodermic injection device
US5569189A (en) 1992-09-28 1996-10-29 Equidyne Systems, Inc. hypodermic jet injector
US5334144A (en) 1992-10-30 1994-08-0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ingle use disposable needleless injector
DE69434079T2 (de) 1993-03-05 2005-02-24 Wyeth Holdings Corp. Plasmid zur Herstellung von CRM-Protein und Diphtherie-Toxin
JP3828145B2 (ja) 1993-09-22 2006-10-04 ヘンリー エム.ジャクソン ファウンデイション フォー ザ アドバンスメント オブ ミリタリー メディスン 免疫原性構成物の製造のための新規シアン化試薬を使った可溶性炭水化物の活性化方法
WO1995024176A1 (en) 1994-03-07 1995-09-14 Bioject, Inc. Ampule filling device
US5466220A (en) 1994-03-08 1995-11-14 Bioject, Inc. Drug vial mixing and transfer device
ES2267100T5 (es) 1994-07-15 2011-04-08 The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Oligonucleótidos inmunomoduladores.
US6429199B1 (en) 1994-07-15 2002-08-06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Immunostimulatory nucleic acid molecules for activating dendritic cells
US6207646B1 (en) 1994-07-15 2001-03-27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Immunostimulatory nucleic acid molecules
US6239116B1 (en) 1994-07-15 2001-05-29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Immunostimulatory nucleic acid molecules
US5599302A (en) 1995-01-09 1997-02-04 Medi-Ject Corporation Medical injection system and method, gas spring thereof and launching device using gas spring
AU4986596A (en) 1995-02-16 1996-09-04 Massachusetts Health Research Institute, Inc. Purified tetanus toxoid and toxin
ES2200059T3 (es) 1995-03-22 2004-03-01 Henry M. Jackson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Military Medicine Produccion de construcciones inmunogenicas usando carbohidratos solubles activados mediante reactivos cianilados organicos.
US5730723A (en) 1995-10-10 1998-03-24 Visionary Medical Products Corporation, Inc. Gas pressured needle-less injection device and method
AU725279B2 (en) 1995-06-07 2000-10-12 Alberta Research Council Inc. Immunogenic and immunostimulatory oligosaccharid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US5866132A (en) 1995-06-07 1999-02-02 Alberta Research Council Immunogenic oligosaccharide compositions
CA2153733A1 (en) 1995-07-12 1997-01-13 Andrew J. Malcolm Immunogenic oligosaccharide compositions
US5695768A (en) 1995-06-07 1997-12-09 Alberta Research Council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Streptococcus pneumoniae serotype 8 oligosaccharides
CA2153730A1 (en) 1995-07-12 1997-01-13 Andrew J. Malcolm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streptococcus pneumoniae serotype 8 oligosaccharides
US5893397A (en) 1996-01-12 1999-04-13 Bioject Inc. Medication vial/syringe liquid-transfer apparatus
GB9607549D0 (en) 1996-04-11 1996-06-12 Weston Medical Ltd Spring-powered dispensing device
CA2281838A1 (en) 1997-02-28 1998-09-03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Use of nucleic acids containing unmethylated cpg dinucleotide in the treatment of lps-associated disorders
US6406705B1 (en) 1997-03-10 2002-06-18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Use of nucleic acids containing unmethylated CpG dinucleotide as an adjuvant
US6299881B1 (en) 1997-03-24 2001-10-09 Henry M. Jackson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Military Medicine Uronium salts for activating hydroxyls, carboxyls, and polysaccharides, and conjugate vaccines, immunogens, and other useful immunological reagents produced using uronium salts
US5993412A (en) 1997-05-19 1999-11-30 Bioject, Inc. Injection apparatus
US6339068B1 (en) 1997-05-20 2002-01-15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Vectors and methods for immunization or therapeutic protocols
IT1298087B1 (it) 1998-01-08 1999-12-20 Fiderm S R L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della profondita' di penetrazione di un ago, in particolare applicabile ad una siringa per iniezioni
CA2323929C (en) 1998-04-03 2004-03-09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Methods and products for stimulating the immune system using immunotherapeutic oligonucleotides and cytokines
CA2365296A1 (en) 1999-03-19 2000-09-28 Pierre Michel Desmons Vaccine
FR2806304B1 (fr) * 2000-03-17 2002-05-10 Aventis Pasteur Conjugues polysaccharidiques du pneumocoque a usage vaccinal contre le tetanos et la diphterie
MXPA03000198A (es) 2000-06-29 2004-09-13 Glaxosmithkline Biolog Sa Composicion de vacuna multivalente.
GB0108364D0 (en) 2001-04-03 2001-05-23 Glaxosmithkline Biolog Sa Vaccine composition
IL155726A0 (en) 2000-12-28 2003-11-23 Wyeth Corp Recombinant protective protein from streptococcus pneumoniae
AU2007200116A1 (en) 2001-04-03 2007-02-01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Vaccine composition
MXPA03009415A (es) 2001-04-16 2004-01-29 Wyeth Corp ESTRUCTURAS NOVEDOSAS DE LECTURA ABIERTA DE STREPTOCOCCUS PNEUMONIAE QUE CODIFICAN ANTIGENOS DE POLIPePTIDOS Y USOS DE LAS MISMAS.
TWI346555B (en) 2002-04-01 2011-08-11 Glaxosmithkline Biolog Sa Vaccine composition
TWI341210B (en) 2002-04-01 2011-05-01 Glaxosmithkline Biolog Sa Vaccine kit
ES2295836T3 (es) 2003-03-13 2008-04-16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Procedimiento de purificacion de citolisina bacteriana.
US7320874B2 (en) 2003-07-08 2008-01-22 Aventis Pasteur Sa Assaying the teichoic acids of gram+ bacteria
GB0421083D0 (en) 2004-09-22 2004-10-27 Glaxosmithkline Biolog Sa Purification process
US7709001B2 (en) 2005-04-08 2010-05-04 Wyeth Llc Multi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 composition
PL1866342T3 (pl) 2005-04-08 2019-04-30 Wyeth Llc Oddzielanie zanieczyszczeń od polisacharydu Streptococcus pneumoniae przez manipulację pH
CN104815327A (zh) 2005-04-08 2015-08-05 惠氏有限责任公司 多价肺炎球菌多糖-蛋白质缀合物组合物
US7955605B2 (en) 2005-04-08 2011-06-07 Wyeth Llc Multi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 composition
US20070184072A1 (en) 2005-04-08 2007-08-09 Wyeth Multi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 composition
CA2808919C (en) 2005-12-22 2016-04-19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Streptococcus pneumoniae capsular saccharide vaccine
US8808707B1 (en) * 2006-05-08 2014-08-19 Wyeth Llc Pneumococcal dosing regimen
MX2009003730A (es) 2006-10-10 2009-04-22 Wyeth Corp Purificacion de polisacaridos de streptococcus pneumoniae tipo 3.
SI2436700T1 (sl) 2007-03-23 2018-09-28 Wyeth Llc Skrajšan postopek čiščenja za proizvodnjo kapsularnih polisaharidov streptococcusa pneumoniae
DK2167121T3 (en) * 2007-06-26 2015-11-23 Glaxosmithkline Biolog Sa A vaccine comprising Streptococcus pneumoniae kapselpolysaccharidkonjugater
KR101450958B1 (ko) 2009-04-30 2014-10-15 콜레이 파마시티컬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폐렴구균 백신 및 그의 용도
TW201136603A (en) * 2010-02-09 2011-11-01 Merck Sharp & Amp Dohme Corp 15-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 vaccine composition
CN101785857B (zh) 2010-03-05 2012-09-26 成都安特金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新的肺炎球菌结合疫苗及其制备方法
GB201003920D0 (en) 2010-03-09 2010-04-21 Glaxosmithkline Biolog Sa Method of treatment
CN102068690A (zh) 2010-12-31 2011-05-25 北京民海生物科技有限公司 多价肺炎球菌荚膜多糖结合疫苗及其制备方法
KR102057217B1 (ko) 2012-06-20 2020-01-22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다가 폐렴구균 다당류-단백질 접합체 조성물
US9517274B2 (en) 2012-08-16 2016-12-13 Pfizer Inc. Glycoconjugation processes and compositions
CN103656632B (zh) 2012-09-24 2016-01-13 北京科兴中维生物技术有限公司 多价肺炎球菌荚膜多糖组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CN103656631B (zh) * 2012-09-24 2015-08-19 北京科兴中维生物技术有限公司 多价肺炎球菌荚膜多糖-蛋白缀合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40075196A (ko) 2012-12-11 2014-06-19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다가 폐렴구균 다당류-단백질 접합체 조성물
ITMI20130142A1 (it) 2013-01-31 2014-08-01 Biosynth Srl Vaccini glicoconiugati comprendenti unita' di base di un costrutto molecolare esprimente epitopi multipli incorporati
MX371453B (es) 2014-01-21 2020-01-29 Pfizer Polisacaridos capsulares de streptococcus pneumoniae y conjugados de los mismos.
CN105934251A (zh) 2014-01-21 2016-09-07 辉瑞大药厂 肺炎链球菌荚膜多糖及其缀合物
CN107029225B (zh) 2014-07-25 2020-08-11 武汉博沃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缀合疫苗及其制备方法
FI3244917T3 (fi) 2015-01-15 2023-05-25 Pfizer Immunogeenisiä koostumuksia pneumokokkirokotteissa käytettäväksi
GB201518684D0 (en) 2015-10-21 2015-12-02 Glaxosmithkline Biolog Sa Vaccine
CA3005524C (en) 2015-11-20 2023-10-10 Pfizer Inc. Immunogenic compositions for use in pneumococcal vaccines
CN106140046B (zh) 2016-07-06 2019-02-22 江南大学 阵列式感应电场流体反应系统及其应用
EP3493840B1 (en) 2016-08-05 2022-08-24 Sanofi Pasteur Inc. Multi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 composition
IL304977A (en) 2018-02-05 2023-10-01 Sanofi Pasteur Inc A multivalent pneumococcal protein-polysaccharide conjugate preparation
EP3749358A4 (en) 2018-02-05 2022-04-20 Sanofi Pasteur, Inc. MULTIVALENT POLYSACCHARIDE-PNEUMOCOCCAL PROTEIN CONJUGATE COMPOSITION
EP4003410A1 (en) 2019-07-31 2022-06-01 Sanofi Pasteur, Inc. Multi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2477A (ko) * 1997-05-14 2001-02-15 케르네 다니엘 혼합 담체와 결합된 다가(多價)의 백신 조성물
WO2015110941A2 (en) * 2014-01-21 2015-07-30 Pfizer Inc. Immunogenic compositions comprising conjugated capsular saccharide antigens and uses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1087A1 (ko) * 2020-08-07 2022-02-10 (주)셀트리온 폐렴구균 다당류-세포벽 유래 물질 접합체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WO2022154520A1 (ko) * 2021-01-14 2022-07-21 (주)셀트리온 다가 폐렴구균 다당류-단백질 접합체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WO2023054998A1 (ko) * 2021-10-01 2023-04-06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주) 향상된 효능을 갖는 알루미늄계 애주번트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06711A1 (en) 2019-02-14
IL264552A (en) 2019-02-28
WO2018027126A1 (en) 2018-02-08
IL264552B (en) 2022-12-01
EP3493837A1 (en) 2019-06-12
AU2017306711B2 (en) 2022-08-04
TW201808328A (zh) 2018-03-16
US20200237889A1 (en) 2020-07-30
JP2019526621A (ja) 2019-09-19
CN109862908A (zh) 2019-06-07
BR112019001971A2 (pt) 2019-05-07
MX2019001342A (es) 2019-07-04
EP3493837A4 (en) 2020-04-08
SA519401027B1 (ar) 2022-07-19
KR102437120B1 (ko) 2022-08-25
US11241489B2 (en) 2022-02-08
JP7001687B2 (ja) 2022-02-04
EP3493837B1 (en) 2022-08-31
CA3031799A1 (en) 2018-02-08
SG11201900794PA (en) 2019-02-27
PH12019500240A1 (en) 2019-10-21
CN109862908B (zh) 2023-05-02
TWI789357B (zh) 2023-01-11
IL264552B2 (en) 202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7120B1 (ko) 다가 폐렴구균 다당류-단백질 접합체 조성물
KR102467074B1 (ko) 다가 폐렴구균 다당류-단백질 접합체 조성물
TWI815860B (zh) 多價肺炎球菌多醣-蛋白質共軛物組成物
US11911452B2 (en) Multi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