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887A - 잔류 농약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잔류 농약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887A
KR20190054887A KR1020180076070A KR20180076070A KR20190054887A KR 20190054887 A KR20190054887 A KR 20190054887A KR 1020180076070 A KR1020180076070 A KR 1020180076070A KR 20180076070 A KR20180076070 A KR 20180076070A KR 20190054887 A KR20190054887 A KR 20190054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valve assembly
ports
holding coil
re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창
정승욱
Original Assignee
조원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창 filed Critical 조원창
Publication of KR2019005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8Diluting, dispersing or mixing samp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Optical Measuring Cel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 가능한 복수개의 포트(11,12,13,14,15,16,17)를 구비한 밸브 조립체(10)와, 상기 복수개의 포트들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밸브 조립체(10)와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용기(21,22,23,24,25)와, 상기 복수개의 포트들중 하나를 통하여 밸브 조립체(10)와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홀딩 코일(holding coil,31)과, 상기 복수개의 포트들중 하나를 통하여 밸브 조립체(10)와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검출셀(separation column, 32)과, 상기 복수개의 용기(21,22,23,24,25)에 담긴 컨트롤 시약 및 시료를 상기 홀딩 코일(31)로 흡입하고, 상기 홀딩 코일(31)에서 혼합된 상기 컨트롤 시약 및 상기 시료의 혼합 용액을 상기 검출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펌프(pump, 36)와, 상기 검출셀(32)에 담긴 혼합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할 수 있는 광학계(33)를 구비하는, 잔류 농약 검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그에 의한 농약 검출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잔류 농약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Residual Pesticides}
본 발명은 잔류 농약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광계를 이용하여 효소-기질 저해 방법을 통해서 잔류 농약을 신속하게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잔류 농약의 정량 분석을 위한 검출 이 수행되며, 특히 분석용 시료의 혼합, 이송시 발생하는 오차를 줄이고, 현장에서 시료의 잔류 농약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분광 광도계를 이용한 잔류 농약 분석을 위한 검출이 수행된다.
본원 발명은 국가 연구개발사업으로서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원을 받아서 수행된 것으로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관리전문기관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연구사업명 : 고부가가치식품개발사업
연구과제명 : 현장 식품안전을 위한 휴대용 분석기 개발 및 상용화
과제 번호: 316073-03
주관기관 : 비아이티밸류
연구기간 : 2016.8.30 - 2018.12.31
공지된 바와 같이 식품안전 확보를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기본안전 수칙 (sSOP)를 고시하고 있으며 식품안전관리인증 (HACCP)과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 (GMP)를 운영하고 있다. HACCP 인증 요건 중 하나인 검사관리는 자체 실험실 또는 검사기관과의 협약에 의한 제품검사를 강제하고 있으며, 이는 업체에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고 있다. 검사기관은 HPLC등 대형장비를 이용하여 잔류농약을 검사하고 있어, 검사기간도 수일이 걸리는 경우가 있어서, 신속하게 측정이 가능한 잔류농약 검사기기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효소-기질 저해반응을 수행할 수 있는 시약과 시료(측정 샘플)를 섞어주는 방법으로 순차 주입 분석법(Sequential Injection Analysis)을 사용하고, 일반 (분광) 광학계를 이용하여 잔류농약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의 경우에는 HPLC등 LAB수준의 대형 분석기기를 이용해야만 하고, 시약과 시료의 혼합등의 측정전의 전단계 과정을 실험자가 수작업으로 실험도구를 이용하여 진행해야하고, 시약이나 시료를 처리하는 전단계과정에 소요되는 시간도 수시간이 걸리는 문제점과 실험과정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현장에서 신속하게 측정을 위해 측정 전단계과정을 밸브조립체, 펌프, 광학계등을 이용하여 측정과정을 자동화하여 식품내 잔류 농약의 양을 보다 현장에서 정밀하게 산출할 수 있는 잔류 농약 속성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 가능한 복수개의 포트를 구비한 밸브 조립체와,
상기 복수개의 포트들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밸브 조립체와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용기와,
상기 복수개의 포트들중 하나를 통하여 밸브 조립체와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홀딩 코일(holding coil) 또는 믹싱 코일(mixing coil)과,
상기 복수개의 포트들중 하나를 통하여 밸브 조립체와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검출셀(separation column)과,
상기 복수개의 용기에 담긴 컨트롤 시약 및 시료를 상기 홀딩 코일로 흡입하고, 상기 홀딩 코일(31)에서 혼합된 상기 컨트롤 시약 및 상기 시료의 혼합 용액을 상기 검출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펌프(pump)와,
상기 검출셀에 담긴 혼합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할 수 있는 광학계를 구비하는, 잔류 농약 검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학계는 다양한 파장의 광을 파장별로 분광할 수 있는 분광광학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밸브 조립체는 복수개의 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동체와, 상기 밸브 동체와 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공동에 삽입되는 디스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밸브 조립체의 회전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회전부의 회전위치에 따라 밸브 동체의 공동에 형성된 복수개의 포트들이 상기 디스크의 전방 표면에 형성된 연결홈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되면서 시약 및 시료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밸브 조립체의 회전부는 전방 표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동체의 공동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따라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삽입됨으로써 회전부의 회전 정지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홀딩코일은 시약 및 시료가 혼합될 수 있도록 히터를 이용하여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홀딩 코일에 운반 용액을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밸브 조립체의 복수개의 포트들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튜브 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시약과 시료를 순차적으로 주입하여 튜브 용기내로 주입하여 주입된 액체들이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잔류 농약 검출 장치를 이용한 잔류 농약 검출 방법으로서,
시약 및 샘플 시료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시약 및 시료를 밸브 조립체와 펌프를 이용하여 순서에 따라 혼합 및 이송하는 제2단계;
상기 혼합 및 이송된 시약과 샘플을 특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홀딩코일로 주입하는 제3단계;
홀딩코일로 주입된 시약과 샘플시료를 광학계로 측정이 가능한 검출셀 위치로 이송하는 제4단계;
검출셀과 인접하여 설치된 광도계에 의해 시약 및 시료의 각각에 대하여 다수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다수의 흡광도의 효소반응 시간에 따른 변화량을 이용하여 샘플 시료의 농약 잔류량을 분석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잔류 농약 검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홀딩코일로 시약과 샘플을 주입하기 전에 밸브조립체의 복수개의 포트들중 하나의 포트에 설치된 튜브 용기에 시약 및 시료를 주입하여 튜브 용기내에서 시약 및 시료가 혼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잔류 농약 속성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을 통하여 가장 중요한 장점은, 본 발명으로 종전에 수작업으로 하던 시약과 샘플시료의 혼합, 이송의 측정전의 전단계 과정을 기기 내부에서 자동화하여 테스트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고가의 장비가 구축된 실험실에서 검사하던 잔류농약 측정을 밸브조립체와 광학계를 이용하여 농식품 생산, 유통, 가공 및 급식장소등 현장에서 식품 샘플시료내의 잔류농약을 측정할 수 있으며, 시약이나 시료처리를 수작업으로 하던 것을 자동으로 가능하게 되어, 비전문가라도 손쉽게 잔류농약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위험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며, 측정과정의 자동화로 인해 정확하고, 재현성 높게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류 농약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c 는 도 1 에 도시된 밸브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 측면도 및 분해된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밸브 조립체의 동체부와 회전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 는 도 3 에 도시된 8 각형의 밸브 동체를 가진 밸브 조립체에대한 정면도로서, 도 4 는 제 1 포트가 회전부의 연결 포트와 각각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5 는 제 2 포트가 회전부의 연결 포트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 은 밸브 동체로부터 회전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은 디스크의 정확한 정지 위치 설정을 위한 돌기부를 구비한 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은 홀딩코일내부에서 용액들이 흡입, 혼합순서를 예시한 것이다.
도 9 는 검출셀로 흡입된 최종혼합액을 광원과 디텍터를 이용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류농약을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0 은 홀딩코일 내부로 용액을 주입하기전 튜브 용기를 이용하여 용액들이 잘 섞이게 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잔류 농약 검출 장치는 일련의 통합 모듈을 개발하여 시료의 주입으로부터 광학 신호 검출까지 자동으로 정량 측정될 수 있게 하는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순차 주입 분석(Sequential Injection Analysis) 또는 유동주입분석(Flow injection Analysis) 방식을 적용하였다. 유동주입분석법은 기존의 분석기기 제조기술을 활용하여 유체역학적 지식을 접촉시켜 분석 대상물질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검출 시약 유동 장치를 제작하여 그의 유동에 시료 물질을 주입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내경이 가는 튜브 속으로 펌프에 의해 시약 용액의 흐름을 형성시키고, 다시 그 흐름 속에 시료 용액을 주입하여 각종 화학 반응을 일으키게한후 반응 생성물을 튜브 말단의 검출기에 의해 검출하는 정량 분석을 하는 방법으로 실험자가 수동 작업으로 분석한 것에 비교하면 적은 시료, 적은 시약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잔류농약 분석을 위해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고자 한다. 시료(분석물)가 시약과 함께 밸브조립체를 통해 순차적으로 홀딩코일(또는 Mixing 코일)에 주입되고 홀딩코일의 튜브내에서 방사 또는 확산으로 혼합되는 방식을 이용하는것이다. 이때 검출셀로 이동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물질인 운반 용액(carrier solution)이 주입되고 이후에 시약, 샘플, 운반용액이 혼합된 상태로 검출셀로 이동한다. 검출셀에 상기 시약, 시료가 섞인 혼합액체가 도달하면 (분광)광학계를 작동하여 검출셀을 통과한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게 된다. 펌프(pump)는 시료, 시약 및 운반 용액의 흐름을 순차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펌프로는 시린지 펌프(syringe pump)나 펠리스탤릭 (Peristalic)펌프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유동주입분석법은 밸브조립체와 시린지 펌프 동작은 각각의 모터를 이용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상에서 모터의 속도제어를 통한 유량, 작동순서등을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잔류 농약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에서 사용되는 분광 광도계의 원리와 작용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분광 광도계란 특정 파장의 빛을 분광하여 시료에 통과시켜 빛의 투과율과 흡수율(흡광도)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투과율은 빛이 시료를 통과하는 양을 나타내며, 흡광도는 투과율의 로그 함수로 표시되는데, 각각 다음과 같은 수학식에 따라 구해진다.                                          
투과율 t= I/I0
여기서, I0 는 시료에 입사되는 빛의 세기, I는 시료를 통과한 빛의 세기이다.
흡광도 (ABS) = -log(t)
일반적인 방식의 분광 광도계는 먼저 블랭크(Blank)라 불리는 기준 시료에 빛을 통과시켜 나온 빛의 세기를 100 %로 기억하였다가 (0점 조정), 샘플 시료에 빛을 통과시켜 나온 빛의 세기를 %T(=t×100)값으로 나타낸다.
본원 발명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잔류농약중 유기인계 잔류농약은 412nm의 파장영역에서 주로 측정을 하나 잔류농약 종류에 따라 이용하는 측정 파장대가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각각의 파장영역에 측정이 가능하도록 빛을 단색광으로 분해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파장별으로 분광하여 잔류농약을 측정하거나 전 파장 영역에 걸쳐 스캔(scan)하면서 측정 할 수 있다. 잔류농약 종류에 따라 특정 파장값은 미리 결정하여 측정시 프로그램상에서 선택하고, 측정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원 발명에서 이용되는 잔류농약분석법(속성 분석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잔류 농약 검출에 있어 속성 분석이란 신경전달을 저해하는 유기인계(Organophosphates)와 카바메이트계(Carbamates) 농약을 효소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분석하는 간이분석법의 하나이다. 이들 농약은 곤충신경계에서 아세틸콜린(Acetyl choline)의 분해를 담당하는 아세틸콜린 에스트라제 (Acetylcholinestrase)라는 효소의 기능을 방해함으로써 곤충신경계에 흥분을 유발시켜 불안, 마비, 경련, 탈진 등을 유발하여 죽게 한다.
일반적으로 속성 분석에서는 효소의 반응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발색반응을 추가하는데, 이는 아세틸콜린 에스트라제를 효소로 사용하되, 이에 반응하는 기질로는 아세틸씨오콜린(Acetylthiocholine)을 사용한다. 아세틸씨오콜린은 효소에 의해 아세테이트(Acetate)와 씨오콜린(Thiocholine)으로 분해되고, 생성된 씨오콜린은 발색제와 반응하여 발색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잔류 농약이 있는 경우는 씨오콜린의 생성을 방해하여 발색을 저해시키며, 잔류 농약이 없으면 효소의 활성이 유지되어 발색정도(흡광도)가 커진다. 속성 분석법에서는 흡광도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저해율을 계산하게 되는데, 잔류 농약이 많을수록 저해율은 높아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반응을 자동화시킨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밸브조립체와 펌프를 이용 시료등 용액을 이동, 혼합하고, 반응하는 과정을 일체화 이후에 검출셀로 이동하고, (분광)광학계로 검출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사용자가 혼합 용액에 노출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시료에 포함된 잔류농약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효소저해 반응으로 농약, 즉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의 살충제를 분석할 수 있는데 현재 국내에서 등록 사용되고 있는 잔류농약 품목 280여개중에 유기인계 살충제 110여개와 카바메이트계 살충제가 50여개로 살충제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분광광학계는 특정파장의 좁은범위의 빛의 빔을 공급하기 위해 프리즘과 슬릿(slit)을 적당히 조합하고 프리즘을 회전시키면서 백색광에서 단색광을 꺼내는 monochorometer를 이용하여 분광이 가능하므로 잔류농약의 종류에 따라 원하는 파장대의 광원이 필요한 경우에도 파장을 변경하면서 측정할 수 있어, 유기인계 살충제와 카바메이트계의 다양한 살충제 성분을 파장을 변경해 가면서 적합한 파장대에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잔류 농약 측정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류 농약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잔류 농약 측정 장치는,
개폐 가능한 복수개의 포트(11,12,13,14,15,16,17)를 구비한 밸브 조립체(10)와,
상기 복수개의 포트들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밸브 조립체(10)와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용기(21,22,23,24,25)와,
상기 복수개의 포트들중 하나를 통하여 밸브 조립체(10)와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홀딩 코일(holding coil,31)과,
상기 홀딩 코일(31)과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운반 용액 용기(37)와,
상기 복수개의 포트들중 하나를 통하여 밸브 조립체(10)와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검출셀(32)과,
상기 복수개의 용기(21,22,23,24,25)에 담긴 컨트롤 시약 및 시료와 상기 운반 용액 용기(37)에 담긴 운반 용액을 상기 홀딩 코일(31)로 순차적으로 흡입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홀딩 코일(31)에서 혼합된 상기 컨트롤 시약, 상기 시료 및 상기 운반 용액의 혼합 용액을 다시 상기 검출셀(32)로 이동시킬 수 있는 압력을 발생시키는 펌프(pump, 36)와,
상기 검출셀(32)을 통과하는 혼합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할 수 있는 분광 광도계(33)를 구비한다. 상기 펌프는 예를 들어 시린지 펌프(syringe pump) 또는 페리스태틱 펌프(peristatic pump)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10)에는 6 개의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6 웨이 밸브인 제 1 내지 제 6 포트(port)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제 7 포트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6 개의 포트들중 제 1 내지 제 5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 각각에 적합한 제 1 내지 제 5 용기에 연결된다. 즉, 제 1 포트(11), 제 2 포트(12), 제 3 포트(13), 제 4 포트(14) 및 제 5 포트(15)는 제 1 용기(21), 제 2 용기(22), 제 3 용기(23), 제 4 용기(24) 및 제 5 용기(25)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5 포트 각각에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는 개폐 밸브(미도시) 설치됨으로써, 독립적으로 각각의 포트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사용되는 포트수와 기능들은 아래에 예시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또한 제 6 포트(16) 및 제 7 포트(17)에도 개폐 밸브(미도시)가 설치됨으로써 독립적으로 개방 및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 6 포트(16)는 검출셀(32)과 소통할 수 있고, 제 7 포트(17)는 개방(open) 포트로서, 밸브조립체의 (아래에 설명될) 회전부의 위치에 따라, 제 1 포트 내지 제 6 포트들과 선택적으로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7 포트는 상기 홀딩코일(31)과 소통되어, 제1 ~제 6포트와 연결되는 시약이나 시료를 홀딩 코일(31) 또는 검출셀로 이송할 수 있는 포트이다. 또한 운반 용액 용기(37)와 홀딩 코일(31) 사이에도 개폐 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어서, 운반 용액 용기(37)와 홀딩 코일(31) 사이의 소통이 선택적으로 차단 및 개방될 수 있다. 운반 용액 용기(37)에는 운반 용액(carrier solution)이 담긴다. 또한 개방 포트인 제 7 포트(17)는, 홀딩코일(31)내의 혼합액을 검출셀(32)로 보낼 때, 제 6 포트(16)와 소통되어 검출셀로 보낼 수 있다. 상기 과정은 본원 발명의 예시로서, 본원 발명이 그에 의하여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홀딩코일(31)은 시약이나 시료등이 잘 섞일수 있도록 히터등을 이용하여 홀딩코일의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5 용기(21,22,23,24,25)에 담긴 컨트롤 시약 및 시료와, 상기 운반 용액 용기(37)에 담긴 운반 용액(37)은 밸브조립체와 펌프에 의해 순차적으로 홀딩 코일(31)로 흡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용기(21)의 인산 완충액, 제 2 용기(22)의 효소액, 제 3 용기(23)의 샘플시료 추출액 및, 제 4 용기(24)의 기질은 홀딩 코일(31)로 흡입될 수 있으며, 또한 운반 용액 용기(37)에 담긴 운반 용액도 홀딩 코일(31) 안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운반 용액(37)는 밸브조립체와 튜빙의 연결장치, 그리고 펌프에 의해서, 펌프의 피스톤 동작에 의해서 운반용기에 담긴 용액들이 각각 밸브조립체로 이동하여 벨브조립체와 연결된 포트부의 튜빙에 까지 이르게 되어 계속적인 펌프의 진공작용으로 홀딩코일까지 이동하게 된다.
홀딩 코일(31)로 흡입된 인산 완충액, 효소액, 시료 추출액 및 기질은 홀딩 코일(31) 안에서 혼합이 이루어짐으로써 반응이 이루어진다. 상기 홀딩 코일(31) 안에서의 반응은 10분 동안 지속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홀딩 코일(31) 안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다시 펌프(36)의 흡입 작용에 의하여 제 5 용기(25)에 담긴 반응 정지액을 홀딩 코일(31)로 흡입할 수 있으나 반응정지액은 실험방식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에 제 7 포트(17)와 제 6 포트(16)가 개방, 소통되어, 홀딩 코일(31)에서 확산, 혼합된 용액을 펌프(36)의 작용으로 검출셀(32)로 이동한다.
검출셀(32)을 통과하는 혼합 용액은 (분광) 광도계(33)에 의하여 흡광도가 측정된다. 흡광도가 측정되는 과정은 인산완충액, 샘플(Sample, Blank, Control)과, 효소액, 기질액, 반응정지액 이 홀딩코일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섞이면서 도면(미도시)에 있는 검출셀의 이송튜브를 통과할 때 광원과 PD(photodiode)나 CCD센서와 같은 Detector로 측정하게 한다. 측정대상은 Sample, Blank, Control시약을 측정하며, 이들의 측정값의 차이를 각각 계산하여 잔류농약의 함량 정도를 계산하게 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잔류 농약이 있는 경우는 흡광도가 낮아지며, 잔류 농약이 없으면 효소의 활성이 유지되어 흡광도가 커진다. 검출셀로 이동된 시료등은 분광 광도계(33)에 의한 흡광도 측정이 종료된 이후에는 폐기부(34)로 혼합 용액을 이동하여 폐기시킨다.
도 2a 는 도 1 에 도시된 밸브 조립체를 분해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 는 분해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c 는 분해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밸브 조립체는 밸브 동체(B) 및, 회전부(10)를 구비한다.상기 밸브 동체(B)에는 공동(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동(C)은 밸브 동체(B)의 원형인 2 개 측부 표면들중 하나에 실린더형의 공간을 형성한 것으로서,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C)의 원주면은 밸브 동체(B)에 의하여 둘러싸이고, 공동(C)의 일 측면은 밸브 동체(B)에 의하여 폐쇄되는 반면에 다른 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즉, 공동(C)은 폐쇄된 측면과 개방된 측면을 가진다. 회전부(10)의 디스크(D)는 상기 공동(C) 안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즉, 공동(C)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공동(C)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0)는 디스크(D)와, 상기 디스크(D)에 결합된 샤프트(S)를 구비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회전부(10)는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디스크(D)의 평탄한 표면에는 연결홈(G)이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방사상 외측 단부(G1)와 방사상 내측 단부(G2)를 가진다. 상기 방사상 내측 단부(G2)는 디스크의 중심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연결홈(G)은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6 포트(11,12,13,14,15,16) 각각을 제 7 포트(17)와 연결한다.
공동(C)의 폐쇄된 측면에는 제 1 내지 제 6 포트(11, 12, 13, 14, 15, 16)들이 60 도의 등간격으로 배치된다(도 2b 및 도 2c 참조). 또한 공동(C)의 폐쇄된 측면의 중심에는 제 7 포트(17)가 형성되며, 상기 제 7 포트(17)는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동체(B)를 관통하는 유로를 통해 제 7 연결 포트(17')에 연결된다.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6 포트(11,12,13,14,15,16)는 밸브 동체(B)의 원주면에 형성된 연결 포트(11',12',13',14',15',16')들과 유로를 통해서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홈(G)은 공동(C) 안에서의 회전부(10)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즉, 디스크(D)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제 1 내지 제 6 포트(11, 12,13,14,15,16)들중 어느 하나를 제 7 포트(17)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는 연결 홈(G)의 방사상 외측 단부(G1)가 제 1 내지 제 6 포트들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고, 연결 홈(G)의 방사상 내측 단부(G2)가 제 7 포트(17)와 상시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연결 홈(G)의 방사상 외측 단부가 제 1 내지 제 6 포트들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동안 나머지 포트들은 디스크(D)의 표면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 2b 도시된 상태에서는 연결 홈(G)이 12 시 방향으로 지향되므로, 연결홈(G)의 방사상 외측 단부(G1)는 제 1 포트와 연결되고, 연결홈(G)의 방사상 내측 단부(G2)는 중심에 위치한 제 7 포트와 상시적 연결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제 1 포트와 제 7 포트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에, 다른 제 2 내지 제 6 포트는 디스크(D)의 표면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가 유지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홀딩 코일(31)은 (제 7 연결 포트(17')를 통하여) 제 7 포트(17)와 연결되고 검출셀(32)은 (제 6 연결 포트(16')를 통하여) 제 6 포트(16)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홈(G)의 방사상 외측 단부(G1)와 제 6 포트(16)가 상호 연결되는 위치로 디스크(D)가 회전된다면, 홀딩 코일(31)은 제 7 연결 포트(17'), 제 7 포트(17), 연결홈(G), 제 6 포트(16) 및, 제 6 연결 포트(16')를 통하여 검출셀(32)과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홀딩 코일(31)로부터 검출셀(32)로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작용 동안에 다른 포트들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디스크(D)에 형성된 연결홈(G)의 방사상 외측 단부(G1)가 공동(C)의 제 5 포트(15)와 연결되는 위치로 회전부(10)가 회전하면, 홀딩 코일(31)은 제 7 포트(17), 제 7 연결 포트(17'), 제 5 포트(15) 및 제 5 연결 포트(15')를 통하여 제 5 용기(25)와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 5 용기에 담긴 용액이 홀딩 코일(31)로 흡입될 수 있다. 이때, 다른 포트들은 모두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제 5 포트(15)와 제 7 포트(17)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제 1 내지 제 4 포트 및 제 6 포트는 폐쇄된다. 따라서, 밸브 조립체를 통하여 선택적인 흡입 및 배출이 프로그램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밸브 조립체의 동체부와 회전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밸브 조립체는 밸브 동체(B) 및, 상기 밸브 동체(B)에 형성된 공동(C) 안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부(10)를 구비하며, 이는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된 밸브 조립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다만 밸브 동체(B)가 8 각형으로 형성된다. 8 각형으로 형성된 밸브 동체(B)의 8 개의 외측면에는 도 2 의 연결 포트들에 대응하는 제 1 내지 제 8 연결 포트들이 형성된다. 밸브 동체(B)의 공동(C)에는 제 1 내지 제 8 포트들이 원형의 폐쇄된 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공동(C)의 중심에는 제 9 포트가 형성된다. 상기 제 9 포트는 밸브 동체(B)의 중심을 관통하는 유로를 통하여 제 9 연결 포트에 연결된다. 제 9 연결 포트는 밸브 동체(B)의 공동(C)이 형성되지 않은 원형 측면에 형성된다. 디스크(D)의 전방면(FS)에 형성된 연결홈(G)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회전부(10)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제 1 내지 제 8 포트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 9 포트와 연결시키고, 나머지 포트들은 디스크(D)의 전방면에 의하여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위에서 도 2a 내지 도 2c 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도 3 의 실시예에서도 회전부(10)는 공동(C) 안에서 회전하면서 유로를 변경하고 선택할 수 있게 한다. 회전부(10)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어서, 모터 회전에 따라서 회전부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회전부(10)에는 형성된 유로는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밸브 동체의 포트와 연결되거나 차단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도 3 에 도시된 8 각형의 밸브 동체를 가진 밸브 조립체에서 밸브 동체(B)의 공동(C)에 형성된 제 1 포트(12 시 방향에 형성된 포트)가 회전부(10)의 연결 포트와 연결되고, 다른 제 2 내지 제 8 포트들이 모두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 를 참조하면, 제 2 포트가 회전부(10)의 연결 포트와 연결되고, 다른 제 1 및 제 3 내지 제 8 포트가 모두 회전부(10)의 전방면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 은 밸브 동체(B)로부터 회전부(1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0)의 연결홈(G)은 디스크(D)의 원형인 전방면(FS)에 형성된다. 상기 디스크(D)의 전방면(FS)에 의하여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밸브 동체(B)의 공동(C)에 형성되는 제 1 내지 제 8 포트는 공동(C)의 대응하는 원형 내측 표면에 형성된다.
도 7 은 디스크(D)의 정확한 정지 위치 설정을 위한 돌기부(71)를 구비한 회전부(10)를 도시한다. 디스크(D)가 밸브 동체(B) 안에서 회전하는 동안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회전부(10)의 원형인 전방부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71)가 형성되고, 밸브 동체(B)의 공동(C) 안에는 상기 돌기부(71)에 대응하는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10)의 돌기부(71)가 공동(C)의 홈(미도시)에 일치하는 위치에서는 밸브 동체(B)의 공동(C)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8 포트들중 하나가 회전부(10)의 연결 포트에 정확하게 일치한다. 상기 돌기부(71)는 디스크(D)의 표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71)는 디스크(D)의 표면에 형성된 구멍에 스프링과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회전부(10) 또는 밸브 동체(B)가 서로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잔류 농약 검출의 원리는 유기인계 살충제의 효소-기질반응 저해작용을 이용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가(AchE) 유기인계살충제와 섞이면, 아세틸콜린이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를 만나서 티오콜린과 아세테이트로 분리되고, 다시 티오콜린이 발색용액(DTNB)를 만나면 황색 계열을 나타내는 티오닉트로벤조에이트를 생성하게 된다. 이것은 농도를 저해하는 것으로 노랑색의 흡광도 값이 작아지는 현상을 나타내므로, 이를 광학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도 8 은 홀딩 코일내부에 용액들이 흡입되고 혼합되는 순서를 예시한 것이다. 각 용액들은 순차적으로 홀딩코일에 들어가고 혼합되어 섞이고, 최종적으로 혼합된 용액이 검출셀까지 이동한다. 도 8 에 도시된 순서는 예시적이고, 변경될 수 있다.
도 8 의 도면 번호 1 내지 7 은 도 1 에 도시된 용기에 담기는 용액들의 번호를 나타낸다. 용액은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주입될 수 있는 인산 완충액(1, PBS),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용액(AchE, 2),샘플액(Blank(3), Control(3'), Sample(3')), 기질액(Acetylthiocholine; ATCI, 4), 인산완충액(PBS, 5), 발 용액(DTNB, 6) 및 인산완충액(PBS, 7)를 포함한다.
위에 설명된 원리에 따라 효소-기질 저해 반응을 위하여 상기 용액들이 순차적으로 주입된다. 우선 인산완충액(1),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용액(2), 샘플액(3 또는 3' 또는 3'')이 홀딩 코일로 주입된다. 다음에 기질액(Acetylthiocholine;ATCI, 4), 인산완충액(5), 발색액(6)이 홀딩 코일로 주입된다. 이후에 인산완충액(7)이 주입된다. 인산 완충액은 효소와 샘플액, 기질액 사이에 소량으로 추가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샘플액에 포함되는 블랭크(3), 콘트롤(3'), 샘플(3")은 각각 별개의 주입 및 혼합 과정에 도입될 수 있다. 즉, 도 8 에서 1 내지 7 로 표시된 용액의 주입 및 혼합은 샘플액을 바꿔가면서 3 번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첫번째의 주입 및 혼합에서는 블랭크(3)가 주입 및 혼합되고, 두번째의 주입 및 혼합에서는 콘트롤(3')이 주입 및 혼합되고, 세번째의 주입 및 혼합에서는 샘플(3")이 주입 및 혼합된다. 따라서 블랭크 측정, 콘트롤 측정 및 샘플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측정에서 얻어진 측정값의 차이에 따라 잔류 농약의 정도가 비교 측정될 수 있다.
도 9 는 검출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홀딩코일에서 순차적으로 잘 혼합된 용액을 펌프와 밸브조립체를 이용하여 검출셀로 보내고 검출셀을 통과하는 동안 광원과 디텍터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류농약을 측정한다. 이때 검출셀은 용액이 유입되는 포트(홀)(Flow In)와 용액이 나가는 포트(홀)(Flow Out)를 위에 설명된 원리에 따라 효소-기질 저해 반응을 위하여 상기 용액들이 순차적으로 주입된다. 우선 인산완충액(1),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용액(2), 샘플액(3 또는 3' 또는 3'')이 홀딩 코일로 주입된다. 다음에 기질액(Acetylthiocholine;ATCI, 4), 인산완충액(5), 발색액(6)이 홀딩 코일로 주입된다. 이후에 인산완충액(7)이 주입된다. 인산 완충액은 효소와 샘플액, 기질액 사이에 소량으로 추가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샘플액에 포함되는 블랭크(3), 콘트롤(3'), 샘플(3")은 각각 별개의 주입 및 혼합 과정에 도입될 수 있다. 즉, 도 8 에서 1 내지 7 로 표시된 용액의 주입 및 혼합은 샘플액을 바꿔가면서 3 번 이루어질 수 있따. 여기에서 첫번째의 주입 및 혼합에서는 블랭크(3)가 주입 및 혼합되고, 두번째의 주입 및 혼합에서는 콘트롤(3')이 주입 및 혼합되고, 세번째의 주입 및 혼합에서는 샘플(3")이 주입 및 혼합된다. 따라서 블랭크 측정, 콘트롤 측정 및 샘플 측정이 구비되하고, 유입된 용액이 검출셀에서 나가기전에 광원을 이용하여 광을 조사하고, 조사된 광이 용액을 통과하면서 잔류농약의 양에 따라 흡광도가 달라지는 것을 반대편에 있는 디텍터(Detecto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한다. 광원과 디텍터의 위치는 예시로 다양하게 설치하여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도 2a 내지 도 2c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수행되는 잔류 농약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시린지 펌프(36) 및 상기 제 1 내지 제 7 포트 작용에 의하여, 또한 홀딩 코일(31)과 운반 용액 용기(37) 사이에 설치된 개폐 밸브(미도시)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5 용기(21,22,23,24,25)에 담긴 컨트롤 시약 및 시료와, 상기 운반 용액 용기(37)에 담긴 운반 용액(37)은 홀딩 코일(31)로 흡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용기(21)의 인산 완충액, 제 2 용기(22)의 효소액, 제 3 용기(23)의 시료 추출액 및, 제 4 용기(24)의 기질은 홀딩 코일(31)로 흡입될 수 있으며, 또한 운반 용액 용기(37)에 담긴 운반 용액도 홀딩 코일(31) 안으로 흡입될 수 있다.
홀딩 코일(31)로 흡입된 인산 완충액, 효소액, 시료 추출액 및 기질은 홀딩 코일(31) 안에서 혼합이 이루어짐으로써 반응이 이루어진다. 상기 홀딩 코일(31) 안에서의 반응은 10 분 동안 지속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홀딩 코일(31) 안에서 10 분이 경과한 후에는 다시 시린지 펌프(36)의 흡입 작용에 의하여 제 5 용기(25)에 담긴 반응 정지액을 홀딩 코일(31)로 흡입한다. 제 5 용기(25)의 반응 정지액을 흡입하는 동안에는 제 5 포트(15) 및 제 7 포트(17)만이 개방되고, 다른 포트들은 모두 폐쇄된다. 또한 운반 용액 용기(37)와 홀딩 코일(31) 사이의 소통도 차단된다.
다음에 제 7 포트와 제 6 포트(16)만을 개방하고, 홀딩 코일(31)에서 반응이 정지된 용액을 시린지 펌프(36)의 작용으로 분리 칼럼(32)으로 배출한다.
검출셀(32)에 담긴 혼합 용액은 분광 광도계(33)에 의하여 흡광도가 측정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잔류 농약이 있는 경우는 흡광도가 낮아지며, 잔류 농약이 없으면 효소의 활성이 유지되어 흡광도가 커진다. 분광 광도계(33)에 의한 흡광도 측정이 종료된 이후에는 폐기부(34)로 혼합 용액을 송출하여 폐기시킨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류 농약 검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8 각형의 밸브 동체를 가진 밸브 조립체에서, 밸브 동체의 연결 포트들중 하나에 1 cc 튜브를 연결되어 있다. 즉, 8 각형 밸브 동체의 가장 높은 상단면에 형성된 연결 포트에 1cc 튜브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시켜 놓은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용액이 홀딩코일에서 잘 섞이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서, 시약용액을 섞어주는 전처리 과정이 수행될 수 있는 1cc 튜브를 장착하여 효소용액(AchE)과 기질용액, 샘플용액을 각각 미리 섞는 과정이 상기 1 cc 튜브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홀딩 코일에서의 혼합 과정만으로 반응이 미흡할 경우에, 전처리 과정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효소용액(AchE)을 펌프를 이용하여 주입시켜서 홀딩코일로 밀어줬다가 역방향으로 다시 홀딩코일에서 1cc 튜브로 밀어주어 옮겨놓는다. 다음에, 다른 포트와 연결된 기질용액을 주입시켜 홀딩코일로 이동시킨후에 역방향으로 다시 1cc 튜브로 옮겨서 효소-기질용액을 섞어준다. 다음에 다시 샘플용액 포트에서 홀딩코일로 밀어주고 역방향으로 다시 1cc 튜브로 밀어주어 효소-기질-샘플이 섞여서 효소저해반응을 효율적으로 일으킬 수 있게 해주는 전처리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썩어주는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부에서 진동을 일으키거나 툭툭 쳐 주는 모듈(미도시)을 포함 할 수 있다.
11,12,13,14,15,16,17. 포트 21,22,23,24,25. 용기

Claims (10)

  1. 개폐 가능한 복수개의 포트(11,12,13,14,15,16,17)를 구비한 밸브 조립체(10)와,
    상기 복수개의 포트들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밸브 조립체(10)와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용기(21,22,23,24,25)와,
    상기 복수개의 포트들중 하나를 통하여 밸브 조립체(10)와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홀딩 코일(holding coil,31)과,
    상기 복수개의 포트들중 하나를 통하여 밸브 조립체(10)와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검출셀(separation column, 32)과,
    상기 복수개의 용기(21,22,23,24,25)에 담긴 컨트롤 시약 및 시료를 상기 홀딩 코일(31)로 흡입하고, 상기 홀딩 코일(31)에서 혼합된 상기 컨트롤 시약 및 상기 시료의 혼합 용액을 상기 검출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펌프(pump, 36)와,
    상기 검출셀(32)에 담긴 혼합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할 수 있는 광학계(33)를 구비하는, 잔류 농약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다양한 파장의 광을 파장별로 분광할 수 있는 분광광학계로 구성되는 잔류 농약 검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복수개의 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 동체와, 상기 밸브 동체와 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공동에 삽입되는 디스크를 구비하는 잔류농약 검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밸브 조립체의 회전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회전부의 회전위치에 따라 밸브 동체의 공동에 형성된 복수개의 포트들이 상기 디스크의 전방 표면에 형성된 연결홈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단되면서 시약 및 시료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는, 잔류농약 검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밸브 조립체의 회전부는 전방 표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동체의 공동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따라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삽입됨으로써 회전부의 회전 정지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잔류농약 검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코일은 시약 및 시료가 혼합될 수 있도록 히터를 이용하여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농약 검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코일에 운반 용액을 이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농약 검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밸브 조립체의 복수개의 포트들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튜브 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시약과 시료를 순차적으로 주입하여 튜브 용기내로 주입하여 주입된 액체들이 혼합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 농약 검출장치.
  9. 제 1 항에 따른 잔류 농약 검출 장치를 이용한 잔류 농약 검출 방법으로서,
    시약 및 샘플 시료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시약 및 시료를 밸브 조립체와 펌프를 이용하여 순서에 따라 혼합 및 이송하는 제2단계;
    상기 혼합 및 이송된 시약과 샘플을 특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홀딩코일로 주입하는 제3단계;
    홀딩코일로 주입된 시약과 샘플시료를 광학계로 측정이 가능한 검출셀 위치로 이송하는 제4단계;
    검출셀과 인접하여 설치된 광도계에 의해 시약 및 시료의 각각에 대하여 다수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다수의 흡광도의 효소반응 시간에 따른 변화량을 이용하여 샘플 시료의 농약 잔류량을 분석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잔류 농약 검출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홀딩코일로 시약과 샘플을 주입하기 전에 밸브조립체의 복수개의 포트들중 하나의 포트에 설치된 튜브 용기에 시약 및 시료를 주입하여 튜브 용기내에서 시약 및 시료가 혼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잔류 농약 검출 방법.
KR1020180076070A 2017-11-13 2018-06-29 잔류 농약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KR201900548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216 2017-11-13
KR20170150216 2017-1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887A true KR20190054887A (ko) 2019-05-22

Family

ID=66679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070A KR20190054887A (ko) 2017-11-13 2018-06-29 잔류 농약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48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9309A (zh) * 2021-04-13 2021-07-13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水产农残快速检测装置
CN116953179A (zh) * 2023-09-21 2023-10-27 兰州市食品药品检验检测研究院 一种中药材农药残留检测装置及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9309A (zh) * 2021-04-13 2021-07-13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水产农残快速检测装置
CN113109309B (zh) * 2021-04-13 2024-04-02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一种水产农残快速检测装置
CN116953179A (zh) * 2023-09-21 2023-10-27 兰州市食品药品检验检测研究院 一种中药材农药残留检测装置及方法
CN116953179B (zh) * 2023-09-21 2023-12-26 兰州市食品药品检验检测研究院 一种中药材农药残留检测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2133B2 (en) Centripetal microfluidic platform for LAL reactive substances testing
Valcárcel et al. Flow–Through (Bio) Chemical Sensors
CN104502617A (zh) 一种全自动、高通量农药残留检测的微流控芯片系统及方法
KR20190054887A (ko) 잔류 농약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US20070298514A1 (en) Microlaboratory For Biological Fluids Analysis Using White Light Illumnation
Schindler et al. Determination of enzyme kinetics and chemometric evaluation of reaction products by FTIR spectroscopy on the example of β-fructofuranosidase
CN110602983B (zh) 用于检测流体中分析物的多孔光纤
RU154434U1 (ru) Система для анализа составов газовых и/или жидких технологических потоков химических производств
US11397141B2 (en) Method for diluting a sample liquid and dilution unit for a subsequent analysis
RU2578955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прям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доступного растениям фосфора в углеаммонийной почвенной вытяжке, окрашенной гуминовыми соединениями,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Apostolidis Combinatorial approach for development of optical gas sensors-concept and application of high-throughput experimentation
RU2486504C1 (ru) Способ проточного спектрофотометрического измерения концентраций химических элементов в жидкостях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CN117191728A (zh) 基于紫外可见吸收光谱测定多组分浓度的方法及应用
JP2010091362A (ja) マイクロチップ
Rhodes et al. Automated assay of drugs in body fluids
Bartels et al. Automation von naßchemischen Analysen mit AMICA
Mitchell et al. High speed automatic analysis
JPH08332077A (ja) サンプルカップおよび生化学分析装置
JPS61223619A (ja) 吸光光度分析法
PL223104B1 (pl) Detektor fotometryczny do współpracy z pompami pulsowy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