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721A -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721A
KR20190054721A KR1020170151626A KR20170151626A KR20190054721A KR 20190054721 A KR20190054721 A KR 20190054721A KR 1020170151626 A KR1020170151626 A KR 1020170151626A KR 20170151626 A KR20170151626 A KR 20170151626A KR 20190054721 A KR20190054721 A KR 20190054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oon
screen
image
subtitl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5669B1 (ko
Inventor
한성호
박용
Original Assignee
한성호
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호, 박용 filed Critical 한성호
Priority to KR1020170151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66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7Scene chang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방법은 동영상의 재생 중에서 화면 전환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단계; 화면 전환이 발생한다면,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음향이 발생한다면, 카툰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한 카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툰 이미지에 대응하는 카툰 자막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카툰 이미지와 상기 카툰 자막을 카툰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카툰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of cartoon using video}
본 발명은 카툰 즉, 만화 생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영상으로부터 카툰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만화는 사실적인 묘사와 아울러 과감한 생략과 과장에 의한 표현을 도입, 상상력의 개입을 허용함으로서 아이들은 물론 성인에 이르기까지 많은 독자들에게 읽혀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만화의 제작은 모든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그림을 잘 그리는 일부 사람들이나 만화가를 제외하고는 쉽게 손댈 수 없는 창작 과정으로 되어 있다. 최근 컴퓨터 및 콘텐츠 제작 기술의 발달은 이러한 만화의 제작과정에서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분야가 영상처리 및 컴퓨터 그래픽스의 비사실적 렌더링(Non-photorealistic rendering)로, 실사 영상을 손으로 그린 듯한 효과를 가진 이미지로 변환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에도 불구하고 만화 제작에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그림을 잘 못 그리는 일반인에게는 그림 소재의 창작에 있어 제한적이다. 또한, 종래 만화 제작 방법의 경우에는 이미 구축해놓은 DB에서 제한된 이미지 자원을 조합하여 만화를 제작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나, 제한된 이미지 자원을 조합하여 만화를 제작하는 종래방법에서는 사용자별 창의적인 만화를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사 사진을 이용하여 만화를 제작하는 경우도 그냥 사진을 배치하고 조정한 후 말풍선과 같은 만화적 요소만 첨가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영상 콘텐츠를 이용해 카툰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방법은 동영상의 재생 중에서 화면 전환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단계; 화면 전환이 발생한다면,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음향이 발생한다면, 카툰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한 카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툰 이미지에 대응하는 카툰 자막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카툰 이미지와 상기 카툰 자막을 카툰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카툰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화면 전환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에서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사이의 각 픽셀들에 대한 화소 차이값이 일정 크기 이상인 픽셀들의 개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화면 전환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환된 화면의 전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음향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툰 자막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파일로부터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상기 카툰 자막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툰 자막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변환하여 상기 카툰 자막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툰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음향의 크기, 상기 변환된 화면 내에서의 객체의 크기 및 상기 카툰 자막의 문자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카툰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카툰 레이아웃에 상기 생성된 카툰 이미지와 상기 카툰 자막을 배치하여 상기 카툰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는 재생되는 동영상 중에서 화면 전환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화면전환 검출모듈; 화면 전환이 발생한다면,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음향 검출모듈; 상기 음향이 발생한다면,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한 카툰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카툰 이미지에 대응하는 카툰 자막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카툰 이미지와 상기 카툰 자막을 카툰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카툰을 생성하는 카툰 프로세싱 모듈; 및 상기 카툰 이미지의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 상기 카툰 자막의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카툰 레이아웃에 대응하는 상기 카툰의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전환 검출모듈은,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에서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사이의 각 픽셀들에 대한 화소 차이값이 일정 크기 이상인 픽셀들의 개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화면 전환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향 검출모듈은, 상기 전환된 화면의 전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음향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툰 프로세싱 모듈은, 상기 동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파일로부터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상기 카툰 자막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툰 프로세싱 모듈은,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변환하여 상기 카툰 자막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툰 프로세싱 모듈은, 상기 음향의 크기, 상기 변환된 화면 내에서의 객체의 크기 및 상기 카툰 자막의 문자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카툰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카툰 레이아웃에 상기 생성된 카툰 이미지와 상기 카툰 자막을 배치하여 상기 카툰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에서 화면 전환 및 이에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고, 화면 전환 및 음향이 발생한다면, 카툰 필터를 이용하여 전환된 화면에 대한 카툰 이미지 및 카툰 자막을 생성하고, 생성된 카툰 이미지와 카툰 자막을 카툰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카툰을 생성함으로써, 기존의 일반적인 영화, 드라마 등의 동영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로부터 동영상의 특징이 유효하게 반영된 카툰을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카툰 프로세싱 모듈에 의해 전환 화면에 대한 카툰 이미지 및 카툰 자막이 생성되는 것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3a는 한 페이지의 카툰을 위한 카툰 레이아웃을 예시하는 참조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카툰 레이아웃에 카툰 이미지 및 카툰 자막이 배치되어 생성된 카툰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100)는 화면전환 검출모듈(110), 음향 검출모듈(120),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한다.
화면전환 검출모듈(110)은 재생되는 동영상 중에서 화면 전환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한다. 화면전환 검출모듈(110)은 화면 전환에 대한 검출 결과를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로 전달한다.
화면전환 검출모듈(110)은 재생되는 동영상에서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사이의 각 픽셀들에 대한 화소 차이값이 일정 크기 이상인 픽셀들의 개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화면 전환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 동영상의 경우에는 1초당 24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텔레비젼 등 멀티미디어 동영상의 경우에 1초당 30 프레임 또는 60 프레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화면전환 검출모듈(110)은 동영상을 구성하는 이러한 프레임들 간의 화소값을 비교하여 화면 전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화면전환 검출모듈(110)은 재생되는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에서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사이의 각 픽셀들에 대한 화소값의 차이를 산출한다. 각 픽셀들에 대한 화소 차이값들이 산출되면, 화면전환 검출모듈(110)은 검출된 화소값의 차이가 일정 크기 이상인 픽셀들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크기는 화면 전환이라고 인식될 수 있는 화소값 간의 차이로 정의될 수 있다. 일정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그 후, 화면전환 검출모듈(110)은 화소 차이값이 일정 크기 이상인 픽셀들의 개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화면 전환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치는 화면 전환이라고 판단될 수 있는 정도의 화소값 차이가 인정되는 최소한의 픽셀 개수로 정의될 수 있다. 임계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화면전환 검출모듈(110)은 동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의 화면 이미지로부터 인물과 배경을 구분한다. 여기서, 인물은 사람의 형태이고 그 외는 모두 배경으로 예시할 수 있다.
화면전환 검출모듈(110)은 화면 이미지로부터 인물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화면전환 검출모듈(110)은 영상 처리 기법 중 윤곽선 추출 방법을 사용해 화면 이미지로부터 인물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화면전환 검출모듈(110)은 추출된 인물 이미지의 화면 상에서의 변화(예를 들어, 사람 얼굴의 방향(코의 방향)이 우측을 바라보다가 좌측을 바라보는 장면)를 화면 전환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화면전환 검출모듈(110)은 화면 이미지로부터 인물 이미지를 제외한 이미지를 배경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화면전환 검출모듈(110)은 영상 처리 기법 중 히스토그램의 평활화 기법을 사용해 영상의 밝기값의 분포가 기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화면 전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임계값은 사용자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음향 검출모듈(120)은 화면 전환 검출모듈(110)에서 화면 전환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한다. 음향 검출모듈(120)은 음향 검출 결과를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음향 검출모듈(120)은 음향 검출을 위해 음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검출모듈(120)은 전환된 화면의 전후 일정 시간 내에 음향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전후 일정 시간은 전환된 화면을 기준으로 각각 전후 1[초]를 예시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전후 일정 시간은 예시적인 것이며, 사용자에 의해 전후 일정 시간은 설정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음향 검출모듈(120)은 검출된 음향의 크기(예를 들어, 데시벨(bB))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향의 크기를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음향 검출모듈(120)은 일정 시간 동안 검출되는 음향 중 소리가 가장 센 음향의 크기를 검출할 수도 있고, 일정 시간 동안 검출되는 음향 크기의 평균값을 검출할 수도 있다.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화면 전환 검출모듈(110)의 화면 전환 및 음향 검출모듈(120)의 음향 검출에 따라, 전환된 화면에 대한 카툰 이미지를 생성한다.
도 2는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에 의해 전환 화면에 대한 카툰 이미지 및 카툰 자막이 생성되는 것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2의 (a)는 재생 중인 동영상에서 화면이 전환된 순간의 프레임을 예시하는 이미지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에 예시된 프레임으로부터 생성된 카툰 이미지를 예시한다.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카툰 이미지 생성을 위한 카툰 필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으로부터 카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카툰 필터는 카툰 이미지의 생성을 위한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메모리(140)에 저장된 카툰 이미지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호출 및 구동하여 동영상 프레임으로부터 카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생성된 카툰 이미지에 대응하는 카툰 자막을 생성한다.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동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파일로부터 카툰 이미지에 대응하는 카툰 자막을 생성할 수 있다. 동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파일은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메모리(140)에 저장된 동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파일로부터 전환 화면에 매칭되는 시점의 자막 내용을 일정 길이만큼 추출할 수 있다. 도 2의 (c)는 도 2의 (b)에 도시된 카툰 이미지에 대응하는 카툰 자막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생성된 카툰 이미지에 대응하는 일정 길이의 카툰 자막이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메모리(140)에 저장된 카툰 자막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호출 및 구동하여 전환 화면에 매칭되는 시점의 자막 내용을 추출하고, 추출된 자막 내용을 카툰 이미지에 대응하는 카툰 자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전환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변환하여 카툰 자막을 생성할 수 있다. 동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영상에서 재생되는 사람의 음성 언어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STT(Speech-to-Text) 프로그램 중 하나인 HMM(Hidden Markov Mode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람의 음성들을 통계적으로 모델링하여 음향 모델을 구성하며, 말뭉치 수집을 통하여 언어 모델을 구성하고, 언어 모델을 이용하여 동영상에서 재생되는 사람의 음성을 문자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인식 프로그램은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호출 및 구동하여 동영상에서 재생되는 음성에 대응하는 카툰 자막을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생성된 카툰 이미지 및 카툰 이미지에 대응하는 카툰 자막을 카툰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카툰을 생성한다.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음향의 크기, 전환된 화면 내에서의 객체의 크기 또는 카툰 자막의 문자 개수를 이용하여 카툰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결정된 카툰 레이아웃에 카툰 이미지와 카툰 자막을 배치하여 카툰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카툰 레이아웃은 카툰 이미지가 배치되는 프레임 템플릿에 해당한다.
도 3a는 한 페이지의 카툰을 위한 카툰 레이아웃을 예시하는 참조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카툰 레이아웃에 카툰 이미지 및 카툰 자막이 배치되어 생성된 카툰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한 페이지를 구성하는 프레임 템플릿은 다양한 크기 및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3a에 도시된 카툰 레이아웃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카툰 레이아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카툰 레이아웃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음향의 크기에 따른 카툰 레이아웃을 결정하기 위해, 음향의 크기가 복수의 계층으로 세분화되고, 세분화된 음향의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른 카툰 레이아웃이 매핑된 레이아웃 테이블정보가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음향 검출모듈(120)에서 검출된 음향의 크기에 대응하는 카툰 레이아웃을 메모리(140)에 저장된 레이아웃 테이블정보를 참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메모리(140)에 저장된 카툰 생성 프로그램을 호출 및 구동함으로써, 음향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카툰 레이아웃에 카툰 이미지 및 카툰 자막을 배치하여 카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의 크기가 5단계로 계층화되어 있으며, 음향 검출모듈(120)에서 검출된 음향의 크기가 가장 큰 경우에는,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는 카툰 레이아웃의 사이즈가 가장 큰 것(예를 들어, 도 3a에서 C에 해당하는 카툰 레이아웃)을 음향 크기에 대응하는 카툰 레이아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결정된 카툰 레이아웃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카툰 이미지와 카툰 자막의 크기 및 모양을 조정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결정된 카툰 레이아웃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카툰 이미지와 카툰 자막의 크기 및 모양이 조정된 카툰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환된 화면 내에서의 객체의 크기에 따른 카툰 레이아웃을 결정하기 위해, 화면 내의 객체에 대한 크기가 복수의 계층으로 세분화되고, 세분화된 객체의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른 카툰 레이아웃이 매핑된 레이아웃 테이블정보가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전환 화면에서의 객체(예를 들어, 사람, 동물, 이동 수단 등)에 대한 화면 내 크기를 검출한다. 이를 위해,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영상에 대한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은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 중 윤곽선 추출 방법을 사용해 화면 이미지로부터 객체의 윤곽선 크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 중 히스토그램의 평활화 기법을 사용해 객체에 대한 히스토그램 평활화값의 크기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영상에 대한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전환 화면에서의 객체에 대한 윤곽선 크기 또는 히스토그램 평활화값 크기를 추출하고, 추출된 윤곽선 크기 또는 히스토그램 평활화값 크기에 대응하는 카툰 레이아웃을 메모리(140)에 저장된 레이아웃 테이블정보를 참조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메모리(140)에 저장된 카툰 생성 프로그램을 호출 및 구동함으로써, 객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카툰 레이아웃에 카툰 이미지 및 카툰 자막을 배치하여 카툰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카툰 자막의 문자 개수에 따른 카툰 레이아웃을 결정하기 위해, 카툰 자막의 문자 개수가 복수의 계층으로 세분화되고, 세분화된 문자 개수에 따라 각각 다른 카툰 레이아웃이 매핑된 레이아웃 테이블정보가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생성된 카툰 자막으로부터 문자 개수를 추출한다.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추출된 문자 개수에 대응하는 카툰 레이아웃을 메모리(140)에 저장된 레이아웃 테이블정보를 참조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카툰 프로세싱 모듈(130)은 메모리(140)에 저장된 카툰 생성 프로그램을 호출 및 구동함으로써, 카툰 자막의 문자 개수에 따라 결정된 카툰 레이아웃에 카툰 이미지 및 카툰 자막을 배치하여 카툰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카툰 생성장치는 동영상의 재생 중에 화면 전환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한다(S200 단계). 카툰 생성장치는 재생되는 동영상에서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사이의 각 픽셀들에 대한 화소 차이값이 일정 크기 이상인 픽셀들의 개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화면 전환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카툰 생성장치는 재생되는 동영상의 프레임들 중에서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사이의 각 픽셀들에 대한 화소값의 차이를 산출한다. 각 픽셀들에 대한 화소 차이값들이 산출되면, 카툰 생성장치는 검출된 화소값의 차이가 일정 크기 이상인 픽셀들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카툰 생성장치는 화소 차이값이 일정 크기 이상인 픽셀들의 개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화면 전환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카툰 생성장치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의 화면 이미지로부터 인물과 배경을 구분할 수 있다. 카툰 생성장치는 영상 처리 기법 중 윤곽선 추출 방법을 사용해 화면 이미지로부터 인물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카툰 생성장치는 추출된 인물 이미지의 화면 상에서의 변화를 화면 전환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카툰 생성장치는 화면 이미지로부터 인물 이미지를 제외한 이미지를 배경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카툰 생성장치는 영상 처리 기법 중 히스토그램의 평활화 기법을 사용해 영상의 밝기값의 분포가 기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화면 전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화면 전환이 검출되지 않는다면, 카툰 생성장치는 전술한 S200 과정을 반복한다.
그러나, S200 단계에서, 화면 전환이 발생한다면, 카툰 생성장치는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한다(S202 단계). 카툰 생성장치는 전환된 화면의 전후 일정 시간 내에 음향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카툰 생성장치는 검출된 음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카툰 생성장치는 일정 시간 동안 검출되는 음향 중 소리가 가장 센 음향의 크기를 검출할 수도 있고, 일정 시간 동안 검출되는 음향 크기의 평균값을 검출할 수도 있다.
S202 단계에서, 음향이 검출되지 않는다면, 카툰 생성장치는 전술한 S200 과정 및 S202 과정을 반복한다.
그러나, S202 단계에서, 음향이 발생한다면, 카툰 생성장치는 전환된 화면에 대한 카툰 이미지를 생성한다(S204 단계). 카툰 생성장치는 카툰 이미지 생성을 위한 카툰 필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으로부터 카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카툰 필터는 카툰 이미지의 생성을 위한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카툰 생성장치는 카툰 이미지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호출 및 구동하여 동영상 프레임으로부터 카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S204 단계 후에, 카툰 생성장치는 카툰 이미지에 대응하는 카툰 자막을 생성한다(S206 단계). 카툰 생성장치는 동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파일로부터 카툰 이미지에 대응하는 카툰 자막을 생성할 수 있다. 동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파일은 카툰 생성장치 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카툰 생성장치는 동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파일로부터 전환 화면에 매칭되는 시점의 자막 내용을 일정 길이만큼 추출할 수 있다. 카툰 생성장치는 카툰 자막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호출 및 구동하여 전환 화면에 매칭되는 시점의 자막 내용을 추출하고, 추출된 자막 내용을 카툰 이미지에 대응하는 카툰 자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카툰 생성장치는 전환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변환하여 카툰 자막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동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카툰 생성장치는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영상에서 재생되는 사람의 음성 언어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툰 생성장치는 STT(Speech-to-Text) 프로그램 중 하나인 HMM(Hidden Markov Mode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람의 음성들을 통계적으로 모델링하여 음향 모델을 구성하며, 말뭉치 수집을 통하여 언어 모델을 구성하고, 언어 모델을 이용하여 동영상에서 재생되는 사람의 음성을 문자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카툰 생성장치는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호출 및 구동하여 동영상에서 재생되는 음성에 대응하는 카툰 자막을 생성할 수 있다.
S206 단계 후에, 카툰 생성장치는 생성된 카툰 이미지와 카툰 자막을 카툰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카툰을 생성한다(S208 단계). 카툰 생성장치는 음향의 크기, 전환된 화면 내에서의 객체의 크기 또는 카툰 자막의 문자 개수를 이용하여 카툰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결정된 카툰 레이아웃에 카툰 이미지와 카툰 자막을 배치하여 카툰을 생성할 수 있다.
음향의 크기에 따른 카툰 레이아웃을 결정하기 위해, 카툰 생성장치는 음향의 크기가 복수의 계층으로 세분화되고, 세분화된 음향의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른 카툰 레이아웃이 매핑된 레이아웃 테이블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카툰 생성장치는 검출된 음향의 크기에 대응하는 카툰 레이아웃을 레이아웃 테이블정보를 참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카툰 생성장치는 저장된 카툰 생성 프로그램을 호출 및 구동함으로써, 음향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카툰 레이아웃에 카툰 이미지 및 카툰 자막을 배치하여 카툰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카툰 생성장치는 결정된 카툰 레이아웃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카툰 이미지와 카툰 자막의 크기 및 모양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환된 화면 내에서의 객체의 크기에 따른 카툰 레이아웃을 결정하기 위해, 카툰 생성장치는 화면 내의 객체에 대한 크기가 복수의 계층으로 세분화되고, 세분화된 객체의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른 카툰 레이아웃이 매핑된 레이아웃 테이블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카툰 생성장치는 전환 화면에서의 객체에 대한 화면 내 크기를 검출한다. 이를 위해, 카툰 생성장치는 영상에 대한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카툰 생성장치는 영상에 대한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전환 화면에서의 객체에 대한 크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의 크기에 대응하는 카툰 레이아웃을 레이아웃 테이블정보를 참조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카툰 생성장치는 카툰 생성 프로그램을 호출 및 구동함으로써, 객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카툰 레이아웃에 카툰 이미지 및 카툰 자막을 배치하여 카툰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카툰 생성장치는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 중 윤곽선 추출 방법을 사용해 화면 이미지로부터 객체의 윤곽선 크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카툰 생성장치는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 중 히스토그램의 평활화 기법을 사용해 객체에 대한 히스토그램 평활화값의 크기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툰 생성장치는 영상에 대한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전환 화면에서의 객체에 대한 윤곽선 크기 또는 히스토그램 평활화값 크기를 추출하고, 추출된 윤곽선 크기 또는 히스토그램 평활화값 크기에 대응하는 카툰 레이아웃을 메모리에 저장된 레이아웃 테이블 정보를 참조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카툰 생성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카툰 생성 프로그램을 호출 및 구동함으로써, 객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카툰 레이아웃에 카툰 이미지 및 카툰 자막을 배치하여 카툰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카툰 자막의 문자 개수에 따른 카툰 레이아웃을 결정하기 위해, 카툰 생성장치는 카툰 자막의 문자 개수가 복수의 계층으로 세분화되고, 세분화된 문자 개수에 따라 각각 다른 카툰 레이아웃이 매핑된 레이아웃 테이블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카툰 생성장치는 생성된 카툰 자막으로부터 문자 개수를 추출한다. 카툰 생성장치는 추출된 문자 개수에 대응하는 카툰 레이아웃을 레이아웃 테이블정보를 참조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카툰 생성장치는 카툰 생성 프로그램을 호출 및 구동함으로써, 카툰 자막의 문자 개수에 따라 결정된 카툰 레이아웃에 카툰 이미지 및 카툰 자막을 배치하여 카툰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소정 기록매체에 기록해 둠으로써 다양한 전자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전자장치는 PC, 노트북, 휴대용 단말 등일 수 있다. 전자장치는 본원발명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각 재생장치의 내장형으로 하드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 ROM 등이거나, 외장형으로 CD-R, CD-RW와 같은 광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카툰 생성장치
110: 화면전환 검출모듈
120: 음향 검출모듈
130: 카툰 프로세싱 모듈
140: 메모리

Claims (14)

  1. 동영상의 재생 중에서 화면 전환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단계;
    화면 전환이 발생한다면,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음향이 발생한다면, 카툰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한 카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툰 이미지에 대응하는 카툰 자막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카툰 이미지와 상기 카툰 자막을 카툰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카툰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전환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에서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사이의 각 픽셀들에 대한 화소 차이값이 일정 크기 이상인 픽셀들의 개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화면 전환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전환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의 화면 이미지로부터 인물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인물 이미지의 화면 상에서의 변화를 화면 전환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환된 화면의 전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음향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툰 자막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파일로부터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상기 카툰 자막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툰 자막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변환하여 상기 카툰 자막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툰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음향의 크기, 상기 변환된 화면 내에서의 객체의 크기 및 상기 카툰 자막의 문자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카툰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카툰 레이아웃에 상기 생성된 카툰 이미지와 상기 카툰 자막을 배치하여 상기 카툰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방법.
  8. 재생되는 동영상 중에서 화면 전환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화면전환 검출모듈;
    화면 전환이 발생한다면,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음향 검출모듈;
    상기 음향이 발생한다면,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한 카툰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카툰 이미지에 대응하는 카툰 자막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카툰 이미지와 상기 카툰 자막을 카툰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카툰을 생성하는 카툰 프로세싱 모듈; 및
    상기 카툰 이미지의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 상기 카툰 자막의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카툰 레이아웃에 대응하는 상기 카툰의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화면전환 검출모듈은,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에서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사이의 각 픽셀들에 대한 화소 차이값이 일정 크기 이상인 픽셀들의 개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화면 전환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화면전환 검출모듈은,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의 화면 이미지로부터 인물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인물 이미지의 화면 상에서의 변화를 화면 전환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음향 검출모듈은,
    상기 전환된 화면의 전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음향이 발생하는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카툰 프로세싱 모듈은,
    상기 동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파일로부터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상기 카툰 자막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카툰 프로세싱 모듈은,
    상기 전환된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변환하여 상기 카툰 자막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카툰 프로세싱 모듈은,
    상기 음향의 크기, 상기 변환된 화면 내에서의 객체의 크기 및 상기 카툰 자막의 문자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카툰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카툰 레이아웃에 상기 생성된 카툰 이미지와 상기 카툰 자막을 배치하여 상기 카툰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
KR1020170151626A 2017-11-14 2017-11-14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 및 방법 KR101985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626A KR101985669B1 (ko) 2017-11-14 2017-11-14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626A KR101985669B1 (ko) 2017-11-14 2017-11-14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721A true KR20190054721A (ko) 2019-05-22
KR101985669B1 KR101985669B1 (ko) 2019-06-04

Family

ID=6668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626A KR101985669B1 (ko) 2017-11-14 2017-11-14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6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119B1 (ko) * 2020-02-10 2021-05-1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을 이용한 영상의 만화 스타일 요약 방법
WO2023191182A1 (ko) * 2022-03-31 2023-10-05 (주)탁툰엔터프라이즈 원터치로 애니메이션을 웹툰으로 자동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789B1 (ko) * 2011-05-11 2013-03-18 (주)판도라티비 3차원 재구성을 이용한 디지털 만화 콘텐츠 생성 방법
KR101536930B1 (ko) * 2014-01-07 2015-07-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을 요약하는 방법 및 동영상 요약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영상 만화 정보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789B1 (ko) * 2011-05-11 2013-03-18 (주)판도라티비 3차원 재구성을 이용한 디지털 만화 콘텐츠 생성 방법
KR101536930B1 (ko) * 2014-01-07 2015-07-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을 요약하는 방법 및 동영상 요약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영상 만화 정보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119B1 (ko) * 2020-02-10 2021-05-1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을 이용한 영상의 만화 스타일 요약 방법
WO2023191182A1 (ko) * 2022-03-31 2023-10-05 (주)탁툰엔터프라이즈 원터치로 애니메이션을 웹툰으로 자동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669B1 (ko) 201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8091B2 (ja) 電子機器、映像コンテンツ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419141B (zh) 一种字幕位置调整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148392B1 (ko) 동영상 메타데이터 태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6661B1 (ko) 미디어 편집방법 및 장치
US9749684B2 (en) Multimedia processing method and multimedia apparatus
US11024338B2 (en)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cessing motion image
KR101378493B1 (ko) 영상 데이터에 동기화된 텍스트 데이터 설정 방법 및 장치
JP2006331393A (ja) アルバム作成装置、アルバム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13984A (ko) 비디오 편집을 위한 터치 최적화 디자인
US9754156B2 (en) Content output apparatus, content out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0996183B (zh) 视频摘要的生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07101945A (ja) 音声付き映像データ処理装置、音声付き映像データ処理方法及び音声付き映像データ処理用プログラム
KR101458521B1 (ko) 증강현실 콘텐츠 재생 시스템
JP2004056286A (ja) 画像表示方法
KR101985669B1 (ko) 동영상을 이용한 카툰 생성장치 및 방법
KR101244789B1 (ko) 3차원 재구성을 이용한 디지털 만화 콘텐츠 생성 방법
CN112601120B (zh) 字幕显示方法及装置
JP2003298981A (ja) 要約画像作成装置、要約画像作成方法、要約画像作成プログラム、及び要約画像作成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US8437611B2 (en) 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reproduc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3109022A (ja) 図書製作システムと図書製作方法
JP2009278202A (ja) 映像編集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457045B1 (ko)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방법 및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10880515B2 (en) Audio-video reproduction for closed caption display control based on multi-media content
KR102541008B1 (ko) 화면해설 컨텐츠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60919B1 (ko) 음성 더빙 기반의 진행자 영상 편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