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200A -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 - Google Patents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200A
KR20190054200A KR1020170150191A KR20170150191A KR20190054200A KR 20190054200 A KR20190054200 A KR 20190054200A KR 1020170150191 A KR1020170150191 A KR 1020170150191A KR 20170150191 A KR20170150191 A KR 20170150191A KR 20190054200 A KR20190054200 A KR 20190054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door
enclosure
scre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완
Original Assignee
임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완 filed Critical 임종완
Priority to KR1020170150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4200A/ko
Publication of KR20190054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2Mounting of device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건물의 신발장 뒷쪽의 벽면에 설치되는 전기통신함과 신발장후면판 사이에 형성되는 평면상의 틈새와 수직면상의 틈새가 완벽하게 차폐됨에 따라 벽면이 육안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전기통신함 주변공간에서 신발장으로의 먼지유입이나 유해곤충의 유입 또는 서식통로가 완벽하게 차단됨에 따라 신발장의 위생환경을 확보하고, 전기통신함 주변공간에서 전기통신함으로의 먼지유입이나 유해곤충의 유입 또는 서식통로가 완벽하게 차단됨에 따라 전기통신함의 전기안전성을 확보하고, 신발장후면판에 형성된 개구부의 마감처리의 노력을 절약하고 정상적인 시공이 되게 함으로써 전반적인 시공성, 품질, 안전성 향상과 시공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각틀형상의 함문틀차폐막이 밀착되어 끼워져 고정되게 형성된 함체;와 상기 함체 전단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사각틀형상의 함문틀측면차폐막이 형성되고, 함문틀측면차폐막의 전단 바깥쪽에 형성되어 설치 시 신발장후면판상의 개구부의 가장자리 안쪽면에 밀착되는 함문틀플랜지가 형성되고, 함문틀측면차폐막의 전단 안쪽에 형성되어 설치 시 함문짝을 수용하는 함문짝홀더가 형성되는 함문틀;과 상기 함문틀을 상부면에서 수직으로 나사를 박아 함체에 고정하거나 상기 함문틀을 내측면에서 수평으로 나사를 박아 함체에 고정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 {The electric and telecommunication embedded box with the depth controlled doorframe behind the back plate of the boot rack}
본 발명은 건물의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전기통신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되는 전기통신함의 함체전단과 신발장후면판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완벽하게 막아줌으로써 신발장발장에 대한 신발장후면판후면공간의 먼지유입이나 유해곤충의 유입 또는 서식통로를 차단하여 신발장의 미관과 사용성과 위생을 확보할 수 있고, 전기통신함의 함문틀과 함체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완벽하게 막아줌으로써 전기통신함에 대한 신발장후면판후면공간의 먼지유입이나 유해곤충의 유입 또는 서식통로를 차단하여 기기고장 및 누전사고를 예방함으로써 전기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함문틀을 별도의 보강목을 설치하지 않고 신발장후면판에서 벽면상에 설치되는 함체전단까지의 변화되는 깊이에 맞추어 문틀의 삽입길이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함체에 직접 고정하여 시공성과 품질을 향상 수 있는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공공건물, 오피스텔 등과 같은 건물에서 각 단위 세대별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분전반 같은 전기통신함은 실내 인테리어 등을 고려하여 신발장 뒤쪽의 벽면상에 설치되고 신발장은 구조벽면으로부터 전기통신함의 함체 외측의 돌출길이 이상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전기통신함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는 신발장의 후면판에는 정기점검이나 차단기를 사용하거나 유지관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신발장의 안쪽으로부터 전기통신함의 전면에 설치된 함문짝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발장후면판개구부가 형성된다.
이 같이 전기통신함이 신발장의 뒤편에 설치되는 경우에 신발장의 벽면 이격여유 확보에 따른 시공오차가 발생하면 신발장후면판에 형성된 신발장후면판개구부와 함체 전단면의 위치가 서로 일치되지 않아 큰 틈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에 따라 벽면에서 이격하여 설치하는 신발장후면판 이격위치상의 시공오차 발생으로 인하여 벽면상에 설치하는 전기통신함의 함체로부터 신발장후면판까지의 거리가 불균일하게 이격되어 함체 전단에 설치된 함문틀과 신발장후면판의 내면이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함체 전단부 및 함문틀과 신발장후면판상의 개구부 사이에 수직면상의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신발장후면판상의 개구부를 함문틀의 크기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절개하여 함문틀을 신발장 안쪽에서 신발장후면판개구부의 뒷쪽으로 집어 넣은 상태에서 전기통신함의 함체(函體)에 직접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수평면상의 틈새가 발생한다.
또, 신발장후면판상에 함문틀 크기 보다 작은 함체전단테두리 크기의 신발장후면판개구부 주변에 보강목을 설치하여 함문틀을 밀착 설치하여 수평면 틈새를 없애는 경우에는 신발장후면판 개구부와 함체전단 사이에 수직면상의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신발장의 뒤편에 전기통신함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신발장 뒤편의 구조벽면(15)에 전기통신함의 함체(71)가 설치되고, 상기 함체(71)가 신발장후면판(11)상의 개구부(13)를 통하여 신발장의 뒤쪽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함문틀(74)을 함체(71)에 직접 고정하는 것을 나타내며, 함체(71)의 구조를 보강하기 위한 리브(72)는 함체(71) 내측면에 함체(71) 전단부에서 후단부까지 세로로 길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경우에 상기 함문틀(74)의 앞면이 신발장후면판(11)과 불일치되게 이격되어 신발장후면판(11)의 안쪽면(12)과 함문틀(74)의 테두리 사이에 수직면상의 틈새(16)가 형성되고, 상기 신발장후면판(11)상의 개구부(13)가 함문틀(74)의 크기 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함문틀(74) 주변의 신발장후면판(11)의 안쪽면에 수평면상의 틈새(16)가 형성됨에 따라 벽면(15)이 노출되고, 신발장후면공간(14)이 신발장의 내부와 연통된다.
이 같이 신발장후면판(11)상의 개구부(13)와 함문틀(74)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16)에 대하여 막음처리가 되지 않은 경우에 벽면(15)이 육안에 노출되어 미관이 현저하게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는 것은 물론, 신발장후면판(11)의 안쪽면(12)의 공간활용도가 현저하게 저해되는 등의 공사미흡상태와 같은 결점이 있고, 신발장 내부가 신발장후면공간(14)와 연통되기 때문에 신발장후면공간(14)의 먼지가 유입되거나 유해곤충이 유입되어 서식하는 통로가 되어 위생환경을 저해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의 신발장의 뒤편에 전기통신함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신발장 뒤편의 구조벽면(15)에 전기통신함의 함체(71)가 설치되고, 신발장개구(13)를 함문틀(74)보다 작게 개구하고 신발장후면판(11)에 개구보강목(79)을 설치하여 함문틀(74) 설치에 필요한 구조내력을 확보하여 함문틀(74)을 신발장개구(13) 주위에 밀착하여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와 같은 또 다른 종래의 경우에 신발장후면판(11)과 함체(71) 사이의 측면공간으로 큰 틈새(16)가 형성되고 보강목(79) 설치로 인한 시공 노력과 자재가 추가되어 별도의 비용이 발생되는 결점이 있고, 함체(71)의 전면을 통하여 신발장후면공간(14)이 연통되어 먼지나 유해곤충이 유해곤충이 함체(71)로 유입되어 서식하는 통로가 되어 기기고장 및 누전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어 전기안전성을 저해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한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00684호(명칭:세대분전반 도어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별도의 비용 증가 없이 낮은 비용으로 분전반의 도어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며, 분전반 앞에 물건들에 대해 제약 없이 간단하게 그 내부 차단기들을 점검,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분리된 형태의 도어를 제공하되 일측의 도어가 슬라이드 형태로 다른 도어에 접혀 구성되면서 분전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는 신발장과 세대 분전반 사이에 별도의 차폐막이 설치되는 구성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시공오차에 의하여 틈새가 발생되는 경우에 외관이 매우 불량해지고 외부의 먼지가 유입되거나 유해곤충이 유입되어 서식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인 환경을 전혀 확보할 수 없는 것은 물론, 먼지나 유해곤충이 함체 내부로 유입되어 기기고장 및 누전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어 전기안전성을 전혀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00684호, "세대분전반 도어장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물의 신발장 뒤쪽의 벽면에 설치되는 전기통신함과 신발장후면판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면상의 틈새와 수평면상의 틈새를 완벽하게 막아줌으로써 벽면이 육안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통신함 주변공간에서 신발장으로의 먼지유입이나 유해곤충의 유입 또는 서식통로를 차단함으로써 신발장의 위생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이 있는 전기통신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통신함 주변공간에서 전기통신함으로의 먼지유입이나 유해곤충의 유입 또는 서식통로를 차단함으로써 전기통신함의 전기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이 있는 전기통신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통신함의 함문짝을 서랍식으로 밀고 당겨 쉽게 열고 닫을 수 있어 점검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전기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이 있는 전기통신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사각틀형상의 함문틀차폐막이 밀착되어 끼워져 고정되게 형성된 1칸 내지 2칸으로 구획된 함체;와 상기 함체 전단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사각틀형상의 함문틀측면차폐막이 형성되고, 함문틀측면차폐막의 전단 바깥쪽에 형성되어 설치 시 신발장후면판상의 개구부의 가장자리 안쪽면에 밀착되는 함문틀플랜지가 형성되고, 함문틀측면차폐막의 전단 안쪽에 형성되어 설치 시 함문짝을 수용하는 함문짝홀더가 형성되는 함문틀;과 상기 함문틀을 상부면에서 수직으로 나사를 박아 함체에 고정하는 제1결합부재;와 필요 시 선택적으로 상기 함문틀을 내측면에서 수평으로 나사를 박아 함체에 고정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1칸 내지 2칸으로 구획된 함체 전단의 내측면 일정부분에는 함문틀차폐막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매끄러운 면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조보강을 목적으로 돌출되는 리브를 함체의 내측면에서 바깥측면으로 이동하여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함문틀은 구획된 각 칸의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함체 전단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신발장후면판과 함체의 이격거리에 따라 삽입깊이가 조정되면서 함체 내외간의 차폐성을 보존하는 사각틀형상의 함문틀측면차폐막이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함문틀측면차폐막 전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설치 시 신발장후면판상의 개구부 가장자리 안쪽면에 밀착되는 함문틀플랜지가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함문틀측면차폐막 전단으로부터 함문짝 두께만큼 아래에서 일정너비만큼 안쪽으로 절곡되어 구획된 각 칸의 사각형 함문짝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된 함문짝홀더가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재는 설치 시 신발장후면판과 함체의 이격거리에 따라 삽입깊이가 조정되는 함문틀을 위치가 변화되는 수평직결나사공에 끼워 고정하는 철판직결나사가 회전추진력으로 탭을 내면서 수평으로 체결할 수 있게 철편의 중앙에 나사골직경 이하 폭의 세로홈을 내어 형성한 수평직결나사인서트와 그 인서트를 수용한 수평직결나사인서트홀더가 함체 바깥쪽면의 전단부 네모서리와 테두리중간부분에 설치되고, 철판직결나사를 체결할 수 있는 수평직결나사공이 함문틀의 함문틀측면차폐막 네모서리와 중간부에 상기 수평직결나사인서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제2결합부재는 설치 시 함문틀 고정 나사를 수직방향으로 체결하는 수직나사인서트너트와 나사에 끼워 함문틀을 반력으로 떠받쳐 주는 나사스프링을 거치하는 원통형 홈의 나사스프링홀더가 함체 전단의 네모서리와 테두리중간부에 설치되고, 수직 나사를 체결할 수 있는 수직나사공이 함문짝홀더의 네모서리와 중간 부근의 상기 수직나사인서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를 대체하거나 또는 보완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함문틀의 함문짝홀더의 구획된 각 칸의 테두리와 함문틀플랜지 면에 일치하는 구획된 각 칸의 사각형틀과 후면이 개구되고 전면과 측면이 막혀 있는 함체(函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함문짝홀더의 전면쪽으로부터 함문짝홀더의 테두리부 외측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양측선단 중앙 모서리에 손끝이 걸리는 깊이의 홈으로 서랍형함문짝손잡이가 형성되는 서랍형함문짝;과 상기 함문틀측면차폐막(52) 안쪽에 서랍형함문짝(60)을 탈착식으로 결합하여 개폐하는 제3결합부재(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제3결합부재는 상기 서랍형문짝 양측의 서랍형함문짝손잡이 후단부에 형성하는 함문틀걸림편과 상기 함문틀의 함문틀측면차폐막 후단부에 형성하는 함문짝걸림쇠로 구성되고, 상기 서랍형문짝을 함문짝홀더에 밀어넣거나 잡아당기면 전후 방향으로 연동되어 함문틀걸림편에 대한 서랍형함문짝걸림쇠의 걸림상태가 탄성작용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건물의 신발장 뒷쪽의 벽면에 설치되는 전기통신함과 신발장후면판 사이에 형성되는 평면상의 틈새와 수직면상의 틈새가 완벽하게 차폐됨에 따라 벽면이 육안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이 미려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 전기통신함 주변공간에서 신발장으로의 먼지유입이나 유해곤충의 유입 또는 서식통로가 완벽하게 차단됨에 따라 신발장의 위생환경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 전기통신함 주변공간에서 전기통신함으로의 먼지유입이나 유해곤충의 유입 또는 서식통로가 완벽하게 차단됨에 따라 전기통신함의 전기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신발장후면판에 형성된 개구부의 마감처리의 노력을 절약하고 정상적인 시공이 되게 함으로써 전반적인 시공성, 품질, 안전성 향상과 시공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신발장의 뒤편에 전기통신함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2는 또 다른 종래의 신발장의 뒤편에 전기통신함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의 분리되어 있는 함체와 깊이조절문틀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의 함체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및 부분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의 깊이조절문틀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의 깊이조절문틀의 정면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의 깊이조절문틀의 배면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의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의 또 다른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의 서랍형함문짝과 함문틀을 나타내는 정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장후면판(11)에 매입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20)에서는 전단부 내측면에 함문틀측면차폐막(52)이 밀착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1칸 내지 2칸으로 구획되는 함체(30);와 설치 시 신발장후면판(11)상의 개구부(13) 가장자리의 신발장후면판안쪽면(12)에 밀착되고 함체(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함문틀(51);과 상기 함문틀(51)을 상부면에서 수직으로 나사(43)을 박아 함체(30)에 고정하는 제1결합부재(35);와 상기 함문틀을 내측면에서 수평으로 나사를 박아 함체에 고정하는 제2결합부재(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함체(30)의 내측면은 함문틀측면차폐막(52)이 전단부에서 삽입되는 깊이까지 매끄럽게 형성되고, 함체(30)의 구조보강을 위하여 함체(30)내측면후단부와 함체(30)외측면전단부에 세로로 직선형으로 돌출되면서 일정간격으로 다수 의 리브(31);가 형성되고 그 리브(31)는 일정 단면적을 유지하면서 함체(30) 안쪽바닥면에서 바깥쪽 전단 테두리까지 서로 연결되고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함문틀(51)은 구획된 각 칸의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함체(30) 전단부 내측면에 밀착되어 신발장후면판(11)과 함체(30)의 이격거리에 따라 삽입깊이가 조정되면서 함체(30) 내외부 차폐성을 보존하는 사각틀형상의 함문틀측면차폐막(52);이 형성된다.
또, 상기 함문틀측면차폐막(52) 전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설치 시 신발장후면판(11)상의 개구부(13) 가장자리 안쪽면에 밀착되는 함문틀플랜지(53);가 형성된다.
또, 상기 함문틀측면차폐막(52) 전단의 함문짝(55) 두께만큼 아래에서 일정너비만큼 안쪽으로 절곡되어 구획된 각 칸의 사각형 함문짝(55)를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된 함문짝홀더(5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재(35)는 설치 시 철판직결나사(38)가 회전추진력으로 탭을 내면서 수평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게 철편의 중앙에 나사골 직경 폭 이하의 세로홈이 형성된 수평직결나사인서트(36);와 그 인서트를 수용하는 수평직결나사인서트홀더(37);가 함체(30)바깥쪽면의 전단부 네모서리와 테두리중간부분에 형성된다.
또, 상기 함문틀측면차폐막(52)의 네모서리와 중간부에는 설치 시 수평직결나사인서트(36)의 길이를 최소화하면서 철판직결나사(38)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함체(30)의 수평직결나사인서트(36)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평직결나사공(39);이 다수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제2결합부재(41)는 설치 시 함문틀(51) 고정 나사(43)를 수직방향으로 체결하는 수직나사인서트너트(42);와 나사(43)에 끼워 함문틀(51)을 떠받치는 반력을 주는 나사스프링(45);과 그 나사스프링(45)을 거치하는 원통형 홈의 나사스프링홀더(44);가 함체(30) 전단부의 네모서리와 테두리중간부에 형성된다.
또, 상기 함문짝홀더(54)의 네 모서리와 중간부에는 나사(43)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함체(30)의 수직나사인서트너트(42)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직나사공(46);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장후면판(11)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20‘)에서는 도 10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함문틀(51)의 함문짝홀더(54)의 구획된 각 칸의 테두리와 함문틀플랜지(53) 면에 일치하는 사각형틀과 후면이 개구되고 전면과 측면이 막혀 있는 함체(函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함문짝홀더(54)의 전면쪽으로부터 함문짝홀더(54)의 테두리부 외측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양측선단 중앙 모서리에 손끝이 걸리는 깊이의 홈으로 서랍형함문짝손잡이(62)가 형성되는 서랍형함문짝과(60);과 상기 서랍형함문짝(60)에 크기를 일치시켜 수납할 수 있는 함문짝홀더(54)가 함문틀측면차폐막(52) 안쪽에 형성되는 함문틀(51);과 상기 함문틀측면차폐막(52) 안쪽에 서랍형함문짝(60)을 탈착식으로 결합하여 개폐하는 제3결합부재(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제3결합부재(65)는 서랍형함문짝(60)을 함문짝홀더(54)에 밀어넣거나 잡아당겨서 개폐할 수 있도록 함문틀측면차폐막(52)의 서랍형함문짝걸림쇠(63)에 대응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동되게 설치되고 서랍형함문짝걸림쇠(63)의 걸림상태를 탄성작용에 의하여 제어하는 함문틀걸림편(62)이 상기 서랍형함문짝(60) 양측의 서랍형함문짝손잡이(61) 아래 후단부에 형성된다.
또, 상기 서랍형함문틀(61)의 함문틀측면차폐막(52)의 양측면 모서리근방 후단에는 서랍형함문짝(61)의 함문틀걸림편(62)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동되게 설치되는 서랍형함문짝걸림쇠(6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신발장후면판(11)과 전기통신함(20) 사이의 틈새(16)와 전기통신함(20)과 신발장후면공간(14) 틈새(16)를 차폐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문틀(51)의 함문틀측면차폐막(52)을 함체(30)의 안쪽면에 끼워 함문틀플랜지(53)를 상기 신발장후면판개구부(13)의 가장자리인 신발장후면판안쪽면(1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1결합부재(35)와 제2결합부재(41)로 결합함으로서 상기 틈새(16)을 완전하게 차폐할 수 있다.
또, 제1결합부재(35)는 함문틀측면차폐막(52)에 형성된 수평직결나사공(39)를 통하여 함체(30)의 수평직결나사인서트(36)에 철판직결나사(38)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함문틀측면차폐막(52)의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수평직결나사공(39)을 배치하여 신발장후면판(11)과 함체간에 상대적으로 변화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수평직결나사인서트(36)의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 제2결합부재(41)는 상기 함체(30)에 함문틀(51)을 끼워 함문틀플랜지(53)가 신발장후면판안쪽면(12)에 밀착될 때까지 함문짝홀더(54)에 형성된 수직나사공(46)을 통하여 함체(30)의 수직나사인서트너트(42)에 나사(43)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나사 스프링(45)은 신발장후면판(11)의 두께가 얇고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나사(43) 체결 시 함문틀(51)의 지지가 어려운 경우에 함문틀(51)을 떠받치는 반력을 주는 나사스프링(45)을 먼저 함체(30)의 나사스프링홀더(44)에 넣어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신발장후면판안쪽면(12)의 변형강도의 강약이나 함문틀측면차폐막(52)의 삽입깊이의 장단을 고려하여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를 선택적으로 단독설치하여 원가를 절감하거나, 보완적으로 병행 설치하여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입전기통신함(20)의 깊이조절 함문틀(51)이 신발장후면판(11)과 벽면(16)간의 이격거리 변화(△x)에 따라 삽입깊이가 조정되고 함문틀플랜지(53)가 신발장뒤판개구부(13)를 덮어 막으면서 신발장후면판(11)에 밀착되어 신발장내부가 신발장후면공간(14)과 완전하게 차폐되고, 전기통신함(20)의 내부가 신발장후면공간(14)과 완전하게 차폐된다.
또, 도 9에 도시된바와 같이 매입전기통신함(20)은 함체(30)가 마감보드(17)와 벽면(15) 사이가 시공오차로 인하여 불특정하게 이격되는 벽체내부에 매입 설치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되어, 함문틀(51)이 마감보드(17)과 벽면(16)간의 이격거리 변화(△x)에 따라 삽입깊이가 조정되고 함문틀플랜지(53)가 마감보드개구부(18)를 덮어 막으면서 마감보드(17)에 밀착되어 마감보드후면공간이 완전하게 차폐되고, 전기통신함(20)의 내부가 마감보드후면공간과 완전하게 차폐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함문틀(51)의 함문틀측면차폐막(52)에 서랍형문짝(60)의 두께만큼 깊게 형성된 함문짝홀더(54)에 사각형틀이 형성된 서랍형문짝(60)을 서랍형함문짝손잡이(61)를 잡아 밀어 넣거나 잡아당기면 서랍형문짝(60)의 함문틀걸림편(62)이 함문틀(51)의 서랍형함문짝걸림쇠(63)에 전후방향으로 연동하여 걸림상태를 탄성작용에 의하여 제어함으로서 쉽게 서랍형문짝(60)을 닫거나 열수 있게 되어있다.
이에 따라 벽면(15)이 육안에 노출되지 않게 되어 외관이 미려해지고, 신발장에 대한 전기통신함(20) 주변 신발장후면공간(14)에서의 먼지유입이나 유해곤충의 유입 또는 서식통로가 완벽하게 차단됨에 따라 신발장의 위생환경을 확보할 수 있고, 또, 전기통신함(20)에 대한 신발장후면공간(14)에서의 먼지유입이나 유해곤충의 유입 또는 서식통로가 완벽하게 차단됨에 따라 전기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신발장후면판(11)에 형성된 신발장후면판개구부(13)의 마감처리를 위한 노력이 절약되며, 정상적인 시공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전반적인 시공성, 품질 및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1. 신발장후면판 12. 신발장후면판안쪽면
13. 신발장후면판개구부 14. 신발장후면공간
15. 구조벽면 16. 수직면(또는 수평면)상의 틈새
17. 마감보드 18. 마감보드 개구부
20. 전기통신함 20‘. 전기통신함
30. 함체 31. 리브(내부, 외부)
35. 제1결합부재 36. 수평직결나사인서트
37. 수평직결나사인서트홀더 38. 철판직결나사(철판피스)
39. 수평직결나사공(측면)
41. 제2결합부재 42. 수직나사인서트너트
43. 나사(이도피스) 44. 나사스프링홀더
45. 나사스프링 46. 수직나사공(바닥면)
50. 함커버(깊이조절 문)
51. 함문틀 52. 함문틀측면차폐막
53. 함문틀플랜지 54. 함문짝홀더
55. 함문짝
60. 서랍형함문짝
61. 서랍형함문짝손잡이 62. 함문틀걸림편(함문짝외측면)
63. 서랍형함문짝걸림 65. 제3결합부재
70. 종래의 전기통신함
71. 종래의 함체 72. 종래의 리브
73. 종래의 함커버 74. 종래의 함문틀
76. 종래의 함문짝홀더 77. 종래의 수직나사공
78. 종래의 함문짝 79. 신발장후면판 개구보강목

Claims (3)

  1. 중심부에 전기통신함(20)의 함문틀(51)의 함문틀측면차폐막(52)이 밀착되게 끼워지는 매끄러운 내측면이 내측테두리 전단부에 형성되고, 측면구조를 보강하는 리브(31)가 외측면 전단부와 내측면 후단부에 세로로 직선형으로 돌출되면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중간에서 일정 수직단면적을 유지하면서 서로 연결되며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함체(30);와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함체(30) 전단부 내측면에 밀착되어 신발장후면판(11)과 함체(30)의 이격거리에 따라 삽입깊이가 조정되면서 함체(30) 내외부 차폐성을 보존하는 사각틀형상의 함문틀측면차폐막(52)이 형성되고, 함문틀측면차폐막(52) 전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설치 시 신발장후면판(11)상의 개구부(13) 가장자리 안쪽면에 밀착되는 함문틀플랜지(53)가 형성되고, 함문틀측면차폐막(52) 전단의 함문짝(55) 두께만큼 아래에서 일정너비만큼 안쪽으로 절곡되어 사각형 함문짝(55)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된 함문짝홀더(54)가 형성되는 함문틀(51);과
    철판직결나사(38)가 회전추진력으로 탭을 내면서 수평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철편의 중앙에 나사골 직경 폭 이하의 세로홈이 형성된 수평직결나사인서트(36)와 그 인서트(36)를 수용하는 수평직결나사인서트홀더(37)가 상기 함체(30) 외측면 전단부의 네모서리와 테두리중간부분에 형성되고, 수평직결나사인서트(36)의 길이를 최소화하면서 철판직결나사(38)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함문틀측면차폐막(52)의 네모서리와 중간부에 함체(30)의 수평직결나사인서트(36)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평직결나사공(39)이 다수 형성되는 제1결합부재(3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
  2. 제 1항에 있어서
    제1결합부재를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도록, 고정 나사(43)를 수직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는 수직나사인서트너트(36)와 나사(43)에 끼워 함문틀(51)을 떠받치는 반력을 주는 나사스프링(45)과 그 나사스프링(45)을 거치하는 원통형 홈의 나사스프링홀더(44)가 함체(30)의 내측면 전단부의 네모서리부근과 중간부근에 형성되고, 나사(43)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함문짝홀더(54)의 네 모서리와 중간부의 함체(30) 수직나사인서트너트(42)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직나사공(46)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재(4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
  3. 제1항에 있어서,
    함문틀(51)의 함문짝홀더(54)의 테두리와 함문틀플랜지(53) 면에 일치하는 사각형틀과 후면이 개구되고 전면과 측면이 막혀 있는 함체(函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함문짝홀더(54)의 전면쪽으로부터 함문짝홀더(54)의 테두리부 외측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양측선단 중앙 모서리에 손끝이 걸리는 깊이의 홈으로 서랍형함문짝손잡이(61)가 형성되는 서랍형함문짝(60);과
    상기 서랍형함문짝(60)을 함문짝홀더(54)에 밀어넣거나 잡아당기면 함문틀측면차폐막(52)의 서랍형함문짝걸림쇠(63)에 전후 방향으로 연동되어 탄성작용에 의하여 걸림상태가 제어되는 함문틀걸림편(62)이 서랍형함문짝(60)의 서랍형함문짝손잡이(61) 아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함문틀(51)의 함문틀측면차폐막(52)의 양측면 모서리근방 후단에는 서랍형함문짝(60)의 함문틀걸림편(62)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동되게 설치되는 서랍형함문짝걸림쇠(63)가 형성되어 서랍형함문짝(60)을 함문틀(51)에 탈착식으로 결합하여 개폐할 수 있는 제3결합부재(6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20‘).
KR1020170150191A 2017-11-12 2017-11-12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 KR20190054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191A KR20190054200A (ko) 2017-11-12 2017-11-12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191A KR20190054200A (ko) 2017-11-12 2017-11-12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200A true KR20190054200A (ko) 2019-05-22

Family

ID=6667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191A KR20190054200A (ko) 2017-11-12 2017-11-12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42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422B1 (ko) * 2021-06-03 2022-04-15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주택 정보통신의 내화기능이 강화된 함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684A (ko) 2014-06-25 2016-01-05 클리오주식회사 세대분전반 도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684A (ko) 2014-06-25 2016-01-05 클리오주식회사 세대분전반 도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422B1 (ko) * 2021-06-03 2022-04-15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주택 정보통신의 내화기능이 강화된 함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8456B2 (en) Built-i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and household appliance assembly and built-in furniture unit for a household appliance
US20140033478A1 (en) Fastening assembly for built-in refrigerator on a side wall of a furniture body
US7388162B1 (en) Electrical box and adapter assembly for brick wall installation
US10208963B2 (en) Cooking appliance
WO2023077873A1 (zh) 嵌入式冷冻冷藏装置及其门体连接组件
JP3964428B2 (ja) 冷蔵庫
KR20190054200A (ko)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깊이조절문틀 전기통신함
KR102043507B1 (ko) 신발장 후면판과 전기통신함 사이의 틈새막이장치
US8217263B2 (en) Electrical switchgear cabinet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EP3682777A1 (en) Shower enclosures
RU2350729C2 (ru) Фурнитура для раздвижной створки и система фурнитуры
KR102061945B1 (ko)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전기통신함 깊이조절 문틀연결장치
JP2001269472A (ja) 遊技機
JP4719098B2 (ja) 引手及びそれを用いた引戸
EP4317645A1 (en) Telescopic fixing rod assembly for shower door, and shower door including assembly
JPH0665326B2 (ja) 天板付きキヤビネツト
US20150020537A1 (en) Cooling device comprising a dispenser
JPH09303793A (ja) 組込式厨房家具
JP5405411B2 (ja) 筐体のパネル取付構造
JP4835561B2 (ja) 洗面化粧台
EP4324059A1 (en) Flush-to-wall electrical box
KR20170019775A (ko) 냉장고
JPH0533027Y2 (ko)
JP2022015653A (ja) 洗面ユニット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