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617A -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617A
KR20190053617A KR1020170149695A KR20170149695A KR20190053617A KR 20190053617 A KR20190053617 A KR 20190053617A KR 1020170149695 A KR1020170149695 A KR 1020170149695A KR 20170149695 A KR20170149695 A KR 20170149695A KR 20190053617 A KR20190053617 A KR 20190053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splacement detection
displacement
detection voltage
voltag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5747B1 (ko
Inventor
김남익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영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9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74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2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of the values of a single variable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혹득 시스템은,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각 지점에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변위를 검출하도록 설치되어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변위 검출 전압값을 출력하는 변위센서와; 상기 변위센서로부터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값을 수집하여 디지털 타입의 변위 검출 데이터로 변환하여서 전송하는 데이터 수집장치와;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변위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수신된 변위 검출 데이터를 데이터 패킷 형태로 가공하고, 해당 가공된 변위 검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데이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변위센서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변위센서로부터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출력되는 다양한 범위의 변위 검출 전압값을 10-6(0.00001) 수준의 높은 해상도로 획득하여서 사용자 통신 환경에 대응되게 데이터를 가공하여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변위센서에 대해 범용성있게 적용하여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검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고정밀도로 획득하여서 사용자에게 직접 인터페이스하여 제공하므로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데이터를 경제성있게 획득하게 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System for Vinyl House Structure Displacement Data Acquisition}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위센서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변위센서로부터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출력되는 다양한 범위의 변위 검출 전압값을 10-6(0.00001) 수준의 높은 해상도로 획득하여서 사용자 통신 환경에 대응되게 데이터를 가공하여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변위센서에 대해 범용성있게 적용하여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검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고정밀도로 획득하여서 사용자에게 직접 인터페이스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관들을 휘어서 아치형태의 서까래(10)를 만들고, 양쪽 선단을 지반에 직접 꽂아서 고정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서까래와 직교하는 몇개의 도리(20)를 설치하여 각각의 서까래-도리 부재 교차 결합부(30)를 조리개로 결합한 유연한 철골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비닐하우스 구조물은 시공된 후에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바람 및 눈과 같은 기상하중을 받은 후에 어느 정도의 구조안전성 또는 구조성능을 확보하고 있는지 파악이 불가능한 실정에 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하여 비닐하우스의 농업시설물에 있어서 대규모의 기상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피해 원인은 다양할 수 있겠지만 시설의 노후로 인한 구조물의 하자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태풍, 폭우, 폭설 등에 의한 비닐하우스 시설의 기상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후환경에서의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특성을 파악하여 비닐하우스 구조물을 설계 시공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비닐하우스 구조물에 변위센서를 설치하여 다양한 기후환경에서의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데이터를 획득해야 한다.
종래에는 비닐하우스 구조물에 변위센서를 설치하여 변위센서를 통해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변위센서로부터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출력되는 변위 검출 전압값을 수집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특정 변위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변위 검출 전압값만을 수집 처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서 다양한 변위센서에 대하여 범용성있게 적용할 수 없어서 경제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변위센서로부터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출력되는 변위 검출 전압값을 수집 처리하는 경우에 수집 처리 가능한 변위센서의 변위 검출 전압값의 범위가 협소한 특정 범위로 한정되어 있어서 광범위하게 변동하는 변위 검출 전압값을 고정밀도로 수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변위센서로부터 수집되는 변위 검출 데이터를 데이터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인터페이스하여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변위센서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변위센서로부터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출력되는 다양한 범위의 변위 검출 전압값을 10-6(0.00001) 수준의 높은 해상도로 획득하여서 사용자 통신 환경에 대응되게 데이터를 가공하여 데이터 사용처에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변위센서에 대해 범용성있게 적용하여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검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고정밀도로 획득하여서 사용자에게 직접 인터페이스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각 지점에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변위를 검출하도록 설치되어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변위 검출 전압값을 출력하는 변위센서와; 상기 변위센서로부터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값을 수집하여 디지털 타입의 변위 검출 데이터로 변환하여서 전송하는 데이터 수집장치와;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변위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수신된 변위 검출 데이터를 데이터 패킷 형태로 가공하고, 해당 가공된 변위 검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데이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사용자단말로부터의 모드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변위 검출 전압값의 수집 범위를 설정하고, 해당 설정된 수집 범위의 변위 검출 전압값을 수집하여 디지털 타입의 변위 검출 데이터로 변환하고, 해당 변위 검출 데이터는 전송 디지털 데이터 프로토콜 형태로 가공하여 직렬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값 수집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 정보를 MCU(Micro Controller Unit)에 전달하는 직렬포트와; 상기 직렬포트를 통해 인가되는 모드설정 정보를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에 인가하여 ADC의 변위 검출 전압값 수집 범위의 설정을 제어하고, ADC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타입의 변위 검출 데이터를 전송 디지털 데이터 프로토콜 형태로 가공하는 MCU와; 자신에게 개별 접속된 변위센서로부터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을 증폭하여 자신이 소속된 ADC에 인가하는 증폭부와; 상기 MCU의 제어에 따라 변위 검출 전압의 수집 범위를 설정하고, 자신에게 소속된 상기 증폭부로부터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을 디지털 타입의 변위 검출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MCU에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인가하는 ADC와; 상기 MCU에 의해 가공된 변위 검출 데이터를 직렬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전송하는 직렬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직렬로 전송되는 변위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여 MPU(Micro Processor Unit)에 전달하는 직렬통신부와;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데이터 처리장치의 제반 운용을 제어하며, 상기 직렬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변위 검출 데이터를 데이터 패킷 형태로 가공하여 전송부에 인가하는 MPU와; 상기 MPU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패킷 형태로 가공된 변위 검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데이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전송부와; 데이터 처리장치의 운용을 위한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MPU에 제공하고, 상기 MPU에 의해 가공되는 변위 검출 데이터를 저장하고 MPU의 제어에 따라 해당 변위 검출 데이터를 USB포트에 접속된 USB메모리에 제공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USB포트를 통해 모니터와 키보드를 접속하고, 해당 모니터와 키보드를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의 운용을 관리하거나,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USB포트를 통해 터치스크린을 접속하여 해당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의 운용을 관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변위 검출 전압값 수집 범위는 -10mV~10mV 또는 -5mV~5mV 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위센서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변위센서로부터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출력되는 다양한 범위의 변위 검출 전압값을 10-6(0.00001) 수준의 높은 해상도로 획득하여서 사용자 통신 환경에 대응되게 데이터를 가공하여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변위센서에 대해 범용성있게 적용하여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검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고정밀도로 획득하여서 사용자에게 직접 인터페이스하여 제공하므로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데이터를 경제성있게 획득하게 된다.
도 1은 비닐하우스 구조물을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예시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비닐하우스 구조물에 대한 변위센서의 설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를 예시한 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변위센서(DS), 복수의 데이터 수집장치(100) 및 데이터 처리장치(2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변위센서(DS)는 비닐하우스 구조물에 설치되어 해당 구조물의 변위를 검출하여 데이터 수집장치(100)에 인가한다. 변위센서(DS)는 비닐하우스 구조물에 설치되어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변위를 검출하는데, 설정 길이의 비닐하우스 구조물에 대해 복수의 설정 지점에 변위센서(DS)를 설치하되 각 지점에서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변위를 검출하도록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지점에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3개의 변위센서(DS)를 설치한다.
변위센서(DS)는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경우 해당 검출된 변위를 아날로그 타입의 전압값 형태로 출력하는데, 해당 센서의 종류에 따라 -10mV~10mV 또는 -5mV~5mV의 변위 검출 전압값을 출력한다.
데이터 수집장치(100)는 복수의 변위센서(DS)로부터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값을 수집하여 12비트 기반 디지털 타입의 변위 검출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처리장치(200)에 전송한다. 데이터 수집장치(100)는 다양한 종류의 변위센서로부터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값을 수집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모드설정에 따라 다양한 범위의 변위 검출 전압값을 수집하되 사용자의 모드설정에 따라 -10mV~10mV 또는 -5mV~5mV 범위의 변위 검출 전압값을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100)는 데이터 처리장치(200)에 변위 검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예를 들어 MODBUS RTU 기반의 데이터 프로토콜 형태로 변위 검출 데이터를 가공하여 직렬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장치(200)는 데이터 수집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변위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수신된 변위 검출 데이터를 데이터 패킷 형태로 가공하고, 해당 가공된 변위 검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데이터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장치(200)는 데이터 수집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변위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MODBUS RTU 기반의 데이터 프로토콜 형태로 변위 검출 데이터를 직렬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장치(200)는 변위 검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데이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경우에, 이더넷(Ethernet) 등을 포함하는 유선통신과, 블루투스, BLU(bluetooth low energy), Lora, WiFi 및 LTE 등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에 의해 변위 검출 데이터를 외부의 데이터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100)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직렬포트(110), 직렬통신부(120), MCU(Micro Controller Unit)(130), 복수의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150) 및 복수의 증폭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직렬포트(110)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값 수집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 정보를 MCU(130)에 전달하고, MCU(130)는 직렬포트(110)를 통해 인가되는 모드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ADC(150)의 변위 검출 전압값 수집 범위의 설정을 제어하되 모드설정에 따라 ADC(150)의 변위 검출 전압값 수집 범위를 -10mV~10mV 또는 -5mV~5mV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단말로부터의 모드설정에 의해 ADC(150)에서의 변위 검출 전압값의 수집 범위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MCU(130)는 ADC(150)를 통해 다양한 변위센서로부터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값을 수집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각 ADC(150)에는 복수의 증폭부(160)가 접속되고, 각 증폭부(160)에는 변위센서(DS)가 개별로 접속되어서, 각 변위센서(DS)로부터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은 증폭부(160)에 의해 증폭되어 ADC(150)에 인가되는데, 각 증폭부(160)는 자체에 개별 접속되어 있는 변위센서(DS)로부터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을 증폭하여 자신이 소속된 ADC(150)에 인가한다.
ADC(150)는 MCU(130)의 제어에 따라 변위센서(DS)로부터 증폭부(160)를 통해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값의 수집 범위를 -10mV~10mV 또는 -5mV~5mV 범위로 설정하고, 해당 설정된 수집 범위의 변위 검출 전압값을 고정밀도로 디지털 타입으로 변환하여 수집함으로써, 다양한 변위센서(DS)로부터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출력되는 다양한 범위의 변위 검출 전압값을 10-6(0.00001) 수준의 높은 해상도로 획득한다.
ADC(150)는 자신에게 소속되어 있는 증폭부(160)로부터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값을 디지털 타입의 변위 검출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MCU(130)에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인가한다.
MCU(130)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직렬포트(110)를 통해 인가되는 모드설정 정보에 따라 ADC(150)에서의 변위 검출 전압값의 수집 범위를 -10mV~10mV 또는 -5mV~5mV 범위로 설정하되 ADC(150)에 모드설정 정보를 인가하여서 ADC(150)의 변위 검출 전압값 수집 범위의 설정을 제어한다. 그리고, MCU(130)는 ADC(15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타입의 변위 검출 데이터를 MODBUS RTU 기반의 디지털 데이터 프로토콜 형태로 가공하여 직렬통신부(120)에 인가한다.
직렬통신부(120)는 MCU(130)로부터 인가되는 변위 검출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장치(200)에 직렬로 전송한다.
한편, 데이터 처리장치(200)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직렬통신부(210), MPU(Micro Processor Unit)(220), 전송부(230), 저장부(240) 및 복수의 USB포트(250a~25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직렬통신부(210)는 데이터 수집장치(100)로부터 직렬로 전송되는 변위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여 MPU(220)에 전달한다.
MPU(220)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데이터 처리장치(200)의 제반 운용을 제어하며, 직렬통신부(210)로부터 전달받은 변위 검출 데이터를 데이터 패킷 형태로 가공하여 전송부(230)에 인가한다.
전송부(230)는 MPU(22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패킷 형태로 가공된 변위 검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데이터 사용자에게 전송하되, 이더넷 등을 포함하는 유선통신과, 블루투스, BLU, Lora, WiFi 및 LTE 등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에 의해 변위 검출 데이터를 외부의 데이터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데이터 처리장치(200)의 운용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그램을 MPU(220)에 제공하고, MPU(220)에 의해 가공되는 변위 검출 데이터를 저장하고 MPU(220)의 제어에 따라 해당 변위 검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저장부(240)는 MPU(220)의 제어에 따라 자체 저장된 변위 검출 데이터를 USB포트(250b)에 접속된 USB메모리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USB포트(250a)에는 모니터가 접속되고, USB포트(250c)에는 키보드가 접속될 수 있으며, 시스템 운영자는 해당 모니터와 키보드를 통해 데이터 처리장치(200)의 운용을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데이터 처리장치(200)에 USB포트를 통해 터치스크린을 접속하여 터치스크린을 통해 데이터 처리장치(200)의 운용을 관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은 비닐하우스 구조물에 설치된 변위센서를 통해 변위 검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사용자는 비닐하우스 구조물에 설치된 변위센서(DS)의 종류에 대응하여 해 데이터 수집장치(100)의 변위 검출 전압값 수집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을 하는데, 사용자는 직렬포트(110)에 접속된 사용자단말을 통해 데이터 수집장치(100)의 모드설정을 한다.
이때, 데이터 수집장치(100)의 직렬포트(110)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값 수집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 정보를 MCU(130)에 전달하고, MCU(130)는 직렬포트(110)를 통해 인가되는 모드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ADC(150)의 변위 검출 전압값 수집 범위의 설정을 제어하되 모드설정 정보에 따라 ADC(150)의 변위 검출 전압값 수집 범위를 -10mV~10mV 또는 -5mV~5mV 범위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수집장치(100)에 변위 검출 전압값의 수집 범위를 설정한 상태에서, 각 변위센서(DS)로부터 변위 데이터 검출 데이터로서 변위 검출 전압값이 출력되면, 증폭부(160)가 자신에게 개별로 접속된 변위센서(DS)로부터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값을 증폭하여 자신이 소속된 ADC(150)에 인가한다.
이에, ADC(150)는 자체에 소속되어 있는 증폭부(160)로부터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값을 디지털 타입의 변위 검출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MCU(130)에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인가한다.
그리고, MCU(130)는 ADC(15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타입의 변위 검출 데이터를 MODBUS RTU 기반의 디지털 데이터 프로토콜 형태로 가공하여 직렬통신부(120)에 인가하며, 직렬통신부(120)는 MCU(130)로부터 인가되는 변위 검출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장치(200)에 직렬로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데이터 수집장치(100)가 변위센서(DS)로부터 수집한 변위 검출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장치(200)에 전송함에 따라, 해당 변위 검출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장치(200)의 직렬통신부(210)에 의해 수신된다.
이에, 직렬통신부(210)는 수신된 변위 검출 데이터를 MPU(220)에 전달하고, MPU(220)는 직렬통신부(210)로부터 전달받은 변위 검출 데이터를 데이터 패킷 형태로 가공하여 전송부(230)에 인가한다.
그리고, 전송부(230)는 MPU(22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패킷 형태로 가공된 변위 검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데이터 사용자에게 전송하되, 이더넷 등을 포함하는 유선통신과, 블루투스, BLU, Lora, WiFi 및 LTE 등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에 의해 변위 검출 데이터를 외부의 데이터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변위센서(DS)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데이터 수집장치(100)가 변위센서(DS)로부터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출력되는 다양한 범위의 변위 검출 전압값을 10-6(0.00001) 수준의 높은 해상도로 획득하여서 데이터 처리장치(200)에 의해 사용자 통신 환경에 대응되게 데이터를 가공하여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변위센서에 대해 범용성있게 적용하여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검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고정밀도로 획득하여서 사용자에게 직접 인터페이스하여 제공하므로,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데이터를 경제성있게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DS; 변위센서 100; 데이터 수집장치
110; 직렬포트 120; 직렬통신부
130; MPU 150; ADC
160; 증폭부 200; 데이터 처리장치
210; 직렬통신부 220; MPU
230; 전송부 240; 저장부
250a~250c; USB포트

Claims (6)

  1.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각 지점에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변위를 검출하도록 설치되어 비닐하우스 구조물의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변위 검출 전압값을 출력하는 변위센서와;
    상기 변위센서로부터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값을 수집하여 디지털 타입의 변위 검출 데이터로 변환하여서 전송하는 데이터 수집장치와;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변위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수신된 변위 검출 데이터를 데이터 패킷 형태로 가공하고, 해당 가공된 변위 검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데이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사용자단말로부터의 모드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변위 검출 전압값의 수집 범위를 설정하고, 해당 설정된 수집 범위의 변위 검출 전압값을 수집하여 디지털 타입의 변위 검출 데이터로 변환하고, 해당 변위 검출 데이터는 전송 디지털 데이터 프로토콜 형태로 가공하여 직렬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값 수집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 정보를 MCU(Micro Controller Unit)에 전달하는 직렬포트와;
    상기 직렬포트를 통해 인가되는 모드설정 정보를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에 인가하여 ADC의 변위 검출 전압값 수집 범위의 설정을 제어하고, ADC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타입의 변위 검출 데이터를 전송 디지털 데이터 프로토콜 형태로 가공하는 MCU와;
    자신에게 개별 접속된 변위센서로부터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을 증폭하여 자신이 소속된 ADC에 인가하는 증폭부와;
    상기 MCU의 제어에 따라 변위 검출 전압의 수집 범위를 설정하고, 자신에게 소속된 상기 증폭부로부터 인가되는 변위 검출 전압을 디지털 타입의 변위 검출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MCU에 변위 검출 데이터로서 인가하는 ADC와;
    상기 MCU에 의해 가공된 변위 검출 데이터를 직렬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전송하는 직렬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직렬로 전송되는 변위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여 MPU(Micro Processor Unit)에 전달하는 직렬통신부와;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데이터 처리장치의 제반 운용을 제어하며, 상기 직렬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변위 검출 데이터를 데이터 패킷 형태로 가공하여 전송부에 인가하는 MPU와;
    상기 MPU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패킷 형태로 가공된 변위 검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데이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전송부와;
    데이터 처리장치의 운용을 위한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MPU에 제공하고, 상기 MPU에 의해 가공되는 변위 검출 데이터를 저장하고 MPU의 제어에 따라 해당 변위 검출 데이터를 USB포트에 접속된 USB메모리에 제공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USB포트를 통해 모니터와 키보드를 접속하여 해당 모니터와 키보드를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의 운용을 관리하거나,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 USB포트를 통해 터치스크린을 접속하여 해당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의 운용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검출 전압값 수집 범위는 -10mV~10mV 또는 -5mV~5mV 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
KR1020170149695A 2017-11-10 2017-11-10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 KR101985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695A KR101985747B1 (ko) 2017-11-10 2017-11-10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695A KR101985747B1 (ko) 2017-11-10 2017-11-10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617A true KR20190053617A (ko) 2019-05-20
KR101985747B1 KR101985747B1 (ko) 2019-06-05

Family

ID=6667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695A KR101985747B1 (ko) 2017-11-10 2017-11-10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7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545B1 (ko) * 2007-06-13 2008-01-09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센서 인터페이스모듈이 분리된 다중 채널 무선 계측 시스템
KR20100112277A (ko) * 2009-04-09 2010-10-19 홍사문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원격 자동 계측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86997A (ko) * 2010-01-25 2011-08-02 경남정보대학산학협력단 전기식 센서를 사용한 경사도 계측에 의한 원격관리용 구조물 안정성 감시 시스템
KR20120139891A (ko) * 2011-06-20 2012-12-28 조동혁 기울기 센서가 설치된 구조물 및 구조물 기울기 원격 측정 시스템
KR101493231B1 (ko) * 2014-09-05 2015-02-16 (주)희송지오텍 지진계측 및 전기비저항 모니터링 연계 통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리구조물 모니터링 방법
KR20170111137A (ko) * 2016-03-25 2017-10-12 박노창 온실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545B1 (ko) * 2007-06-13 2008-01-09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센서 인터페이스모듈이 분리된 다중 채널 무선 계측 시스템
KR20100112277A (ko) * 2009-04-09 2010-10-19 홍사문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원격 자동 계측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86997A (ko) * 2010-01-25 2011-08-02 경남정보대학산학협력단 전기식 센서를 사용한 경사도 계측에 의한 원격관리용 구조물 안정성 감시 시스템
KR20120139891A (ko) * 2011-06-20 2012-12-28 조동혁 기울기 센서가 설치된 구조물 및 구조물 기울기 원격 측정 시스템
KR101493231B1 (ko) * 2014-09-05 2015-02-16 (주)희송지오텍 지진계측 및 전기비저항 모니터링 연계 통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리구조물 모니터링 방법
KR20170111137A (ko) * 2016-03-25 2017-10-12 박노창 온실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747B1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ndez et al. A WiFi based smart wireless sensor network for an agricultural environment
CN105547139B (zh) 一种基于Wi-Fi的无线应变测量系统
CN107121218B (zh) 一种一键式气温传感器校准系统
US20170096986A1 (en) State monitoring system
CN101666812B (zh) 基于太阳能的无线加速度应变温度数据采集系统
CN103693211A (zh) 一种直升机旋转部件信号的测试方法及无线采集设备
CN104020346A (zh) 微电流信号提取系统
CN103332207A (zh) 钢轨温度、应变和加速度的数据在线采集方法和装置
KR101981563B1 (ko) 비닐하우스 관리 시스템
KR101049477B1 (ko) 센서 인터페이스 보드 어셈블리
CN102707162A (zh) 一种应变采集电路系统及应变采集方法
CN211187235U (zh) 一种脑电信号采集系统
KR101985747B1 (ko) 비닐하우스 구조물 변위 데이터 획득 시스템
CN211979065U (zh) 一种电缆老化检测系统
JP2018018408A (ja) 無線センサ端末、無線センサシステムおよびセンサデータ収集方法
CN209842605U (zh) 一种总线型隔离器
JP2019035666A (ja) 設備・機器の常時振動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N202382873U (zh) 一种智能温度变送器
CN101848556A (zh) 一种一定环境内的无线传感器网络组网系统
CN211669738U (zh) 时间同步的混合模拟、数字传感器数据采集系统
CN110880233A (zh) 时间同步的混合模拟、数字传感器数据采集系统及方法
JP2018018202A (ja) 無線センサ端末、無線センサシステムおよびセンサデータ収集方法
TW201420007A (zh) 可利用光能轉換成電能的感測裝置及其轉換方法
CN202511759U (zh) 一种无线位移测试系统
CN215261854U (zh) 一种基于物联网的室内环境参数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