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547A -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 Google Patents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547A
KR20190053547A KR1020170149543A KR20170149543A KR20190053547A KR 20190053547 A KR20190053547 A KR 20190053547A KR 1020170149543 A KR1020170149543 A KR 1020170149543A KR 20170149543 A KR20170149543 A KR 20170149543A KR 20190053547 A KR20190053547 A KR 20190053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ster monomer
monomer
core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5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4597B1 (en
Inventor
이영수
정요한
전은진
Original Assignee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9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597B1/en
Publication of KR20190053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5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597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08F2/26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anio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6Polymer particles coated by polymer, e.g. core shell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24Polymer with special particle form or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polymethylmethacrylate copolymers, which may be used for car glazing. The resin composition for car glaz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impact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Description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0001]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본 발명은 자동차 글레이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that can be used for automotive glazing.

자동차 산업에서 차체 경량화는 이산화탄소의 배출 감소, 연비 개선 등의 이유로 필요한 과제이다. In the automobile industry, weight reduction is a necessary task because of th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 and the improvement of fuel efficiency.

한편, 디자인, 개방감 등을 위하여 차체에 파노라마 선루프와 같이 유리 면적의 확대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mand for the enlargement of the glass area such as the panoramic sunroof is increasing in the body for the design, the open feeling and the like.

이렇게 자동차에 적용되는 유리 소재는 차체에 중량을 증가시키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경량화를 이루고자 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Since the glass material applied to automobiles increases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studi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on technologies aiming to achieve weight reduction as a substitute material.

이러한 소재 중 폴리카보네이트는 유리에 비하여 절반 정도의 비중을 가지고 있어 주목받고 있는 소재 가운데 하나이다. Among these materials, polycarbonate is one of the materials attracting attention because it has about half the weight of glass.

폴리카보네이트는 열변형 온도가 135℃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로 투명성이 뛰어나며, 내충격성, 치수안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제품은 물론 자동차 분야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우수한 내충격성, 투명성을 이용하여 자동차용 글레이징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Polycarbonate is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a thermal deformation temperature of 135 ° C or more,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excellent in impact resistance, dimensional stability, and heat resistance, and is widely used in automobiles as well as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In recent years, it has been widely used as an automotive glazing material due to its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transparency.

하지만, 폴리카보네이트는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이 취약하며, 표면경도가 낮아 높은 수준의 하드코팅이 요구된다. 하드코팅 공정은 비용을 상승시키며 공정 단계 추가로 인한 생산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However, polycarbonate is poor in scratch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and has a low surface hardness, so that a high level hard coating is required. The hard coating process increases the cost and causes a decrease in productivity due to the addition of process steps.

한편, 표면경도가 우수한 내충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으나, 이는 온도 변화에 따른 굴절률 변화로 인하여 헤이즈가 발생하는 등 적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On the other hand, use of an impact resistant polymethylmethacrylate resin having excellent surface hardness has been studied,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such a resin because haze is generated due to a change in refractive index depending on a temperature change.

따라서 자동차의 경량화를 위하여 유리 소재를 대체할 수 있으면서 표면경도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온도에 따른 헤이즈가 발생하지 않는 등 광학 특성이 탁월한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which is superior in op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being superior in surface hardness and impact resistance and capable of replacing a glass material to lighten a vehicle, and not causing haze according to temperature.

한국등록특허 제10-1459130호(2014.10.31)Korean Patent No. 10-1459130 (Oct. 31, 2014)

본 발명은 높은 표면경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온도 변화에 따른 헤이즈가 발생되지 않는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which maintains a high surface hardness and at the same time does not cause haze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또한, 본 발명은 내충격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which is excellent in impact resistance and weather resistance.

또한, 본 발명은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which is excellent in scratch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것으로, 낮은 표면경도를 가지며, 자외선 안정성, 내충격성 및 광 투과성이 우수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having a low surface hardness and excellent ultraviolet stability, impact resistance and light transmittance, which is contained in the above resin composition for automotive glazing .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70 내지 100중량%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0 내지 30중량%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상기 코어 상에 그라프트되며,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50 내지 99중량%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 1 내지 50중량%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쉘로 이루어진 코어 쉘 구조를 가지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mprising a core consisting of a copolymer derived from 70 to 100% by weight of an acrylic acid ester monomer and 0 to 30% by weight of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and a grafted on the core, wherein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is 50 to 99 And a shell composed of a copolymer derived from an acrylic acid ester monomer content of 1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코어가 20 내지 60중량% 및 쉘이 40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In the resin composition for automotive glaz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may have 20 to 60% by weight of the core and 40 to 80% by weight of the she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평균입경이 50 내지 150nm인 것일 수 있다. In the resin composition for automotive glaz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50 to 150 n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가소제, 이형제,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활제, 충격보강제 및 자외선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ntioxidant, a plasticizer, a releasing agent, a heat stabilizer, an antistatic agent, a flame retardant, a lubricant, an impact modifier, and a UV stabilizer .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의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성형품일 수 있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olded article made of the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이온교환수에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량체, 유화제, 그라프트제 및 개시제가 혼합된 용액을 투입하여 유화 중합하는 코어 입자 제조단계 및(A) a core particle preparation step in which a solution containing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an acrylate ester monomer and a methacrylate ester monomer, an emulsifier, a grafting agent and an initiator is added to ion-exchanged water to effect emulsion polymerization, and

(B) 상기 유화 중합에 의해 생성된 입자가 함유된 용액에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사슬이동제 및 개시제를 넣고 유화 중합하여 상기 입자를 피복하는 쉘층 제조단계(B) preparing a shell layer for coating the particles by adding a methacrylate ester monomer, an acrylate monomer, a chain transfer agent and an initiator to a solution containing the particles produced by the emulsion polymerization,

를 포함하는 자동차 글레이징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o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for automobile glaz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단량체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를 70 내지 100중량%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In the method for prepar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omer in the step (A) may contain 70 to 100% by weight of an acrylate monom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는 50 내지 99중량%,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1 내지 50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In the process for produc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50 to 99% by weight and the acrylic acid ester mono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50% by weight in the step (B)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단량체를 투입 시 두 단계 이상 나누어 실시하고, 다음 단계로 갈수록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의 함량을 줄이면서 반응시키는 것일 수 있다.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thylmethacrylate co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B) is carried out by dividing the monomer into two or more stages when the monomer is added, and gradually decreases the content of the acrylic ester monomer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탄소수 4 내지 30개의 알칼리성 알킬인산염 및 알킬설페이트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음이온계 유화제인 것일 수 있다. In the process for prepar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ulsifier may be any one or more anionic emulsifiers selected from alkaline alkyl phosphates and alkylsulfates having 4 to 30 carbon ato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제는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알릴말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In the process for preparing a polymethylmethacrylate co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fting ag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llyl (meth) acrylate and diallyl maleate.

본 발명의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은 높은 표면경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온도 변화에 따른 헤이즈가 발생되지 않아 광학 특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The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high surface hardness and having no optical haze due to temperature change.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달리 높은 수준의 표면에 하드 코팅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Unlike the polycarbonate resin, it has an advantage that hard coating is not required on a high level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성, 내후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Further, the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xcellent impact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Hereinafter, a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invention can be better understood by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protection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본 발명에서 용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통칭하는 의미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meth) acrylate " means a combination of acrylate and methacrylate.

본 발명의 발명자는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자체 표면경도가 낮은 특성으로 높은 수준의 하드 코팅이 요구됨에 따라 비용이 상승하고 공정을 추가하는 등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에 대한 연구를 심화한 결과, 코어-쉘 구조를 갖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제공함으로써 높은 표면경도를 구현하면서도 온도 변화에 따른 굴절률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어 우수한 광학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recognized that a polycarbonate resin used as a resin for automobile glazing has a low self-surface hardness and a high level of hard coating is required, thereby increasing cost and adding a process, As a result of deepening research on a material capable of replacing the resin, it has been found that by provid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a high surface hardness can be realized and the refractive index change due to temperature change can be minimiz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capable of rea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코어-쉘의 다층 구조를 가지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70 내지 100중량%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0 내지 30중량%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와, 상기 코어 상에 그라프트되며,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50 내지 99중량%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 내지 50중량%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에서, “공중합체”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가 0중량%일 경우인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단독중합체인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를 가진다. 즉, 코어 입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혹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어 입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70 내지 100중량%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0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75 내지 95중량%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0 내지 25중량%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광학 특성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내충격성을 구현하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compris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having a core-shell multilayer structure. Specifically, the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is a copolymer comprising a core composed of a copolymer derived from 70 to 100% by weight of an acrylate-based monomer and 0 to 30% by weight of a methacrylate-based monomer, , 50 to 99% by weight of a methacrylate ester monomer, and 1 to 50% by weight of an acrylate ester monomer. In this case, in the core made of the copolymer, the term " copolymer " has the meaning of a homopolymer composed of an acrylic ester monomer when the methacrylic ester monomer is 0% by weight. That is, the core particle may be composed of a homopolymer of an acrylate monomer or a copolymer of an acrylate monomer and a methacrylate ester monomer. The core particles preferably comprise 70 to 100% by weight of an acrylic ester monomer and 0 to 30% by weight of a methacrylic ester monomer, preferably 75 to 95% by weight of an acrylate ester monomer and 10 to 25% by weight of a methacrylate ester monomer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it is effective in terms of realiz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while having optical characteristics.

상기 쉘층은 상기 코어 입자에 그라프트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50 내지 99중량%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55 내지 95중량%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5 내지 45중량%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높은 표면경도를 유지하면서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의 표면 특성과 동시에 내충격성 및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면에서 효과적이다. The shell layer is formed by grafting on the core particles. The shell layer comprises 50 to 99% by weight of a methacrylate ester monomer and 1 to 50% by weight of an acrylate ester monomer, and preferably 55 to 95% by weight of a methacrylate ester monomer, And 5 to 45% by weight of an acrylic ester monomer.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it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urface properties of abrasion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weather resistance while maintaining a high surface hardness.

본 발명에서는 높은 굴절률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스티렌과 같은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티렌과 같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 오히려 내충격 강도와 내후성이 저하되고 특히 온도 변화에 따라 헤이즈가 발생하여 광학 특성이 저하되어 자동차 글레이징용으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contain an aromatic vinyl compound such as styrene which can be used to have a high refractive index. When an aromatic vinyl monomer such as styrene is used, the impact resistance and weather resistance are lowered. In particular, haze is generated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and optical properties are lower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pply to an automobile glazing.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는 탄소수 1 내지 15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8개의 아크릴산 에스테르인 것으로, 구체적인 일예로,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옥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acrylic ester monomer is an acrylic ester having 1 to 15 carbon atoms, preferably 2 to 8 carbon atoms.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ethyl acrylate, n-butyl acrylate, t-bu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And octyl acry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는 탄소수 1 내지 15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8개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인 것으로, 구체적으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I-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is a methacrylic acid ester having 1 to 15 carbon atoms, preferably 2 to 8 carbon atoms, specifically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I- Butyl methacrylate, t-butyl methacrylate, lauryl methacrylate, and 2-ethylhexyl methacry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코어가 20 내지 60중량% 및 쉘이 40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어가 25 내지 55중량%, 쉘이 45 내지 75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높은 표면경도 및 충격강도 특성과 동시에 우수한 광 투과성의 물성 밸런스를 구현하는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may be composed of 20 to 60% by weight of the core and 40 to 80% by weight of the shell. Preferably, the core may be composed of 25 to 55% by weight and the shell may be composed of 45 to 75% by weight. In the case of satisfying the above range, in view of realizing a high surface hardness and an impact strength characteristic, effective.

이때, 상기 코어 입자는 평균입경이 5 내지 50nm, 10 내지 40n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내충격성 향상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At this time, the core particles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5 to 50 nm and 10 to 40 nm. 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it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impact resistance.

또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평균입경이 10 내지 1,000nm, 구체적으로 20 내지 500nm, 보다 구체적으로 50 내지 200n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우수한 표면특성과 기계적 강도와 동시에 우수한 광학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나, 이는 비한정적인 일예일 뿐 상기 수치범위에 제한받지 않는다. The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1,000 nm, specifically 20 to 500 nm, more specifically 50 to 200 nm. 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it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excellent optical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as excellent surface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strength, but this is a non-limiting example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numerical rang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가소제, 이형제,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활제, 충격보강제 및 자외선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resin composition for automotive glaz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tioxidants, plasticizers, mold release agents, heat stabilizers, antistatic agents, flame retardants, lubricants, impact modifi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이온교환수에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량체, 유화제, 그라프트제 및 개시제가 혼합된 용액을 투입하여 유화 중합하는 코어 입자 제조단계 및(A) a core particle preparation step in which a solution containing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an acrylate ester monomer and a methacrylate ester monomer, an emulsifier, a grafting agent and an initiator is added to ion-exchanged water to effect emulsion polymerization, and

(B) 상기 유화 중합에 의해 생성된 입자가 함유된 용액에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사슬이동제 및 개시제를 넣고 유화 중합하여 상기 입자를 피복하는 쉘층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B) a step of preparing a shell layer in which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an acrylic ester monomer, a chain transfer agent and an initiator are added to a solution containing particles produced by the emulsion polymerization and emulsion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to coat the particles.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는 고무상의 코어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코어 입자 제조단계는 비활성가스 분위기 하에서 반응기에 이온교환수를 넣은 다음 유화제를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시키는 공정을 실시한다. 이때, 이온교환수는 총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500중량부, 구체적으로 200 내지 40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온교환수의 온도범위는 50 내지 7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화중합에 따른 목적하는 물성을 가지는 공중합체 제조에 효과적이다. Specifically, the step (A) is a step of producing core particles of rubber.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core particles, ion-exchanged water is put into a reactor under an inert gas atmosphere, and then an emulsifier is added to the reactor to sufficiently stir. In this case, the ion exchange water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100 to 500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200 to 4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s, and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ion exchange water may be 50 to 70 ° C.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it is effective for producing a copolymer having desired physical properties by emulsion polymerization.

이후,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량체와, 유화제, 그라프트제 및 개시제를 혼합한 혼합 용액을 유화 중합 반응 시킨다. Thereafter, a mixed solution obtained by mixing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an acrylate ester monomer and a methacrylate ester monomer with an emulsifier, a grafting agent and an initiator is emulsion-polymerized.

이때,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는 총 단량체 대비 70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5중량% 포함되며,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다른 물성 저하없이 우수한 내충격성을 구현하는 면에서 효과적이다At this time, the acrylic acid ester mono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70 to 100% by weight, preferably 75 to 9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monomers, and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it is effective in realiz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without deteriorating other physical properties

상기 유화제는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30개의 알칼리성 알킬인산염, 나트륨 도데실설페이트, 나트륨 도데실벤젠설페이트 및 알킬설페이트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음이온계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화제는 총 단량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 구체적으로 0.2 내지 4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The emulsifi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referably at least one anionic emulsifi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aline alkyl phosphates having 4 to 30 carbon atoms, sodium dodecyl sulfate, sodium dodecylbenzenesulfate and alkylsulfate salts can be used have. At this time, the emulsifier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1 to 5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0.2 to 4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s.

상기 그라프트제는 반응성이 서로 다른 이중결합을 지닌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알릴말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그라프트제는 총 단량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부, 구체적으로 0.5 내지 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점도 조절이 용이하고 중합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를 구현하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The grafting agent may be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lyl (meth) acrylate and diallyl maleat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not. The grafting age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0.5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s.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viscosity control is easy, polymerization stability can be ensured, and it is effective in terms of realizing mechanical strength such as tensile strength.

상기 개시제는 황산 제1철, 에티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나트륨, 큐멘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 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아조비스 이소부틸로니트릴, 3급 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파라메탄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및 벤조일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개시제는 총 단량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0.001 내지 10중량부, 구체적으로 0.05 내지 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The initiato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errous sulfate, sodium ethylenediamine tetraacetate, cumene hydroperoxide, diisopropylbenzene hydroperoxide, azobisisobutylonitrile, tertiary butyl hydroperoxide, paramethanhydroperoxide and benzoyl peroxide Oxides,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t this time, the initiato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01 to 10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0.05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s.

상기 코어 입자 제조단계는 가교제를 더 포함하여 반응 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1,2-에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프로판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5-펜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교제는 총 단량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0 내지 10중량부, 구체적으로 0.1 내지 5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가교도를 높일 수 있으며 물성 향상에 더욱 효과적이나, 이는 비한정적인 일예일 뿐 사기 수치범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core particle preparation step may further include a crosslinking agent.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2-ethanediol di (meth) acrylate, 1,3-propanediol di (meth) acrylate, 1,4-butanediol di (meth) Acrylate, 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but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1,6-hexanediol di (meth) acrylate, divinylbenzene,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oly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olybutylene glycol di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 to 10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s. When the range is satisfied,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increased and more effective in improving physical properties. It is an example only and is not limited to the fraud level range.

상기 (B) 쉘층 제조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코어 입자 표면에 외부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The step (B) of preparing the shell layer is a step of forming an outer layer on the core particle surface prepared in the step (A).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층은 앞서 (A) 단계에서 제조된 코어 입자가 함유된 반응 용액 상에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사슬이동제 및 개시제를 넣어 유화 중합 반응시켜 내층을 피복하는 외부층을 형성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outer layer is formed by adding a methacrylate ester monomer, an acrylate monomer, a chain transfer agent, and an initiator to the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the core particles prepared in the step (A) Thereby forming an outer layer.

이때,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를 반응기에 투입하는데 있어서, 상기 단량체를 한꺼번에 넣는 것보다 단계를 적어도 둘 이상 나누어서 투입하는 것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내충격성을 확보하면서 우수한 표면특성 및 광학특성을 구현하는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특히, 초기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갈수록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의 함량을 단계적으로 줄여가면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총 단량체 대비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50 내지 99중량%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1 내지 50중량%를 투입함에 있어서 적어도 2단계 이상의 공정으로 나누어 반응기에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정 단순화를 고려해 볼 때 2단계로 구분하여 투입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introducing the methacrylate ester monomer and the acrylic ester monomer into the reactor, it is preferable to divide at least two or more stages of the monomer mixture into the polymerized methacrylate copolymer It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realizing surface characteristics and optic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acrylic acid ester monomer is gradually added to the next stage from the initial stag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wo steps of the methacrylic ester monomer and 1 to 50% by weight of the acrylic acid ester monomer are added to the reactor, It is more preferable to inject them separately.

상기 사슬이동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탄소수 2 내지 18개의 알킬메르캅탄, 벤질메르캅탄 및 메르캅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chain transfer agent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and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yl mercaptans having 2 to 18 carbon atoms, benzyl mercaptan, and mercapto aci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쉘층 제조단계는 가교제를 더 포함하여 반응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앞서 코어 입자에 사용된 가교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총 단량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0 내지 10중량부, 구체적으로 0.1 내지 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The step of preparing the shell layer may further include a crosslinking agent.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the same as the cross-linking agent used in the core particle.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 to 10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s.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 이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중합 반응이 완료되면 응집제를 사용하여 응집시키는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후, 세척 및 건조 공정을 통해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분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집제로는 유기산염 수용액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일예로,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슘, 포름산나트륨 및 포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응집제는 전체 현탁 중합용액 대비 0.01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응집, 세척 및 건조 대신 분무 건조를 통해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is completed after the step (B), a coagul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a coagulant. Thereafter, the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may be separated and washed and dried. At this time, the flocculating agent is preferably an aqueous solution of an organic acid salt, and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acetate, calcium acetate, sodium formate and calcium formate may be used. The floccula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1 to 5 parts by weight, preferably 0.5 to 4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suspension polymerization solution. Or by spray drying instead of agglomeration, washing and drying.

본 발명은 상기의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lded article produced by using the above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상기 성형품은 자동차의 유리 소재를 이용한 부품을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그 적용분야가 크게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 자동차 및 전기전자제품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molded article can replace parts using glass material of automobile. Although the application field of the molded article is not limited to a great extent, it can be specifically applied to the fields of automobiles and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s.

상기 성형품은 높은 표면경도를 가지면서도 온도 변화에도 낮은 헤이즈를 구현하여 우수한 광학 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내충격성,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The molded article has a high surface hardness and a low haze even when the temperature changes, thereby realizing excellent optical characteristics and has an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nd scratch resistance.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의 함량 표시는 중량부로, 상기 중량부는 어느 한 성분을 기준으로 측정된 중량을 의미한다. 즉, 이온교환수 250중량부를 기준으로, 나머지 성분들의 함량은 상기 이온교환수의 중량에 따른 비율로 기재하였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content indications are in parts by weight, and the parts by weight means the weights measured on the basis of one of the components. That is, based on 250 parts by weight of ion-exchanged water, the content of the remaining components is expressed as a ratio based on the weight of the ion-exchanged water.

(실시예 1)(Example 1)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Preparation of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A)단계 : 이온교환수 250중량부, 황산 제1철 0.002중량부, EDTAㆍ2Na염 0.008중량부, 포름알데히드술폭실산나트륨 0.2중량부 및 나트륨 도데실설페이트 2중량부를 교반기 부착 반응기에 주입하고 질소 치환 후, 65℃까지 승온하였다. 이후, 부틸아크릴레이트 27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중량부, 알릴메타크릴레이트 1중량부 및 터셔리부틸하이드로퍼옥시드 0.05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용액 중 1/10을 30분 동안 적가한 후 나머지 9/10를 90분 동안 적가한 후 1시간 동안 교반하며 유화 중합 반응시켰다. 이때 수득된 글래스상 중합체의 평균 직경은 40nm이었다.(A): 250 parts by weight of ion-exchanged water, 0.002 parts by weight of ferrous sulfate, 0.008 parts by weight of EDTA · 2Na salt, 0.2 parts by weight of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and 2 parts by weight of sodium dodecyl sulfate were injected into a reactor equipped with a stirrer After nitrogen substitution,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65 占 폚. Thereafter, 1/10 of a mixed solution composed of 27 parts by weight of butyl acrylate, 3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1 part by weight of allyl methacrylate and 0.05 part by weight of tertiary butyl hydroperoxide was added dropwise for 30 minutes, 9/10 was added dropwise for 90 minutes and then stirred for 1 hour to effect emulsion polymerization. At this time, the average diameter of the obtained glassy polymer was 40 nm.

(B)단계 : 다음으로, 상기 수득된 중합체에 나트륨 도데실설페이트 0.5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6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4중량부, 옥틸메르캅탄 0.04중량부, 터셔리부틸하이드로퍼옥시드 0.05중량부 혼합용액을 1시간에 걸쳐 적가한 후 부틸아크릴레이트 4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6중량부, 도데실메르캅탄 0.12중량부 및 터셔리부틸하이드로퍼옥시드 0.05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용액을 1시간에 걸쳐 적가한 후 1시간 동안 중합 반응시켰다. 최종 중합체의 평균 직경은 60nm이었다. (B): Next, to the polymer obtained, 0.5 part by weight of sodium dodecyl sulfate, 6 parts by weight of butyl acrylate, 24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0.04 part by weight of octyl mercaptan, 0.05 part by weight of a mixed solution of 4 parts by weight of butyl acrylate, 36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0.12 part by weight of dodecyl mercaptan and 0.05 part by weight of tertiary butyl hydroperoxide was added dropwise over 1 hour. The mixture was added dropwise over 1 hour and polymeriz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for 1 hour. The average diameter of the final polymer was 60 nm.

(C)단계 : 상기 수득된 최종 중합체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응집하기 위하여 고형분 입자 100중량부 기준으로 0.02중량부의 아세트산칼슘을 투입하여 70℃에서 응집하고, 얻어진 입자 파우더를 증류수에서 탈수 후 80℃에서 건조하였다.Step (C): 0.02 parts by weight of calcium acetate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lid particles to coagulate the polymethylmethacrylate copolymer, and the resultant particles were agglomerated at 70 DEG C, Followed by drying at 80 ° C.

제조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시편은 하기 평가 항목에 따라 시험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prepared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was extruded using an extruder to prepare a specimen. The specimens were tes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valuation item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2)(Example 2)

(B)단계에서, 단량체로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2단계로 나누어 투입하지 않고, 한꺼번에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The procedure of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butyl acrylate and methyl methacrylate as monomers were not added in two stages but added all at once in step (B).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에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코어가 15중량% 및 쉘이 85중량%이 되도록 함량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The procedure of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the content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was adjusted to 15% by weight of the core and 85% by weight of the shell.

(실시예 4) (Example 4)

실시예 1에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코어가 65중량% 및 쉘이 35중량%이 되도록 함량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The procedure of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the content of the polymethylmethacrylate copolymer core was 65 wt% and that of the shell was 35 wt%.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A)단계에서, 단량체로 부틸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중량부 및 알릴메타크릴레이트 2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The procedure of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20 parts by weight of butyl acrylate, 8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and 2 parts by weight of allyl methacrylate were used as monomers in the step (A).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B)단계에서, 단량체로 부틸아크릴레이트 40중량부 및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이때, 상기 단량체는 실시예 1에서 2단계로 나누어 투입하되, 1차로 부틸아크릴레이트 16중량부 및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8중량부를 넣고, 2차로 부틸아크릴레이트 24중량부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2중량부를 넣었다. (B), 40 parts by weight of butyl acrylate and 30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were used as monomers. 16 parts by weight of butylacrylate and 18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were added to the monomer, and 24 parts by weight of butyl acrylate and 12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were added to the monomer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실시예 1에서, (A) 단계에서 단량체로 스티렌 단량체를 5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Example 1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5 parts by weight of a styrene monomer was further contained as a monomer in the step (A).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실시예 1에서, (B) 단계에서 단량체로 스티렌 단량체를 5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Example 1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5 parts by weight of a styrene monomer was further contained as a monomer in the step (B).

(평가)(evaluation)

(1) 투명도 및 헤이즈: ASTM D1003의 규정에 의거하여 헤이즈미터(Haze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측정 시 온도는 20℃와 70℃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1) Transparency and haze: The haze was measured using a hazemeter in accordance with ASTM D1003.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during the measurement was divided into 20 ° C and 70 ° C.

(2) 아이조드 충격강도: ASTM D256의 규정에 의거하여 상온에서 노치드(notched)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2) Izod impact strength: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was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in accordance with ASTM D256.

(3) 황색도(Yellow Index): ASTM D1925의 규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3) Yellow Index: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925.

(4) 연필경도: ASTM D3363의 규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4) Pencil hardnes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3363.

[표 1][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는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높은 투명도를 가지고, 헤이즈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높으면서도 낮은 황색도를 가지며 동시에 높은 표면경도를 나타내어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2은 실시예들과 달리 코어 및 쉘을 구성하는 단량체 함량 범위에 따라 광학 특성이 온도 변화에 따라 크게 저하되었고, 충격강도 및 표면경도 특성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3 및 4는 스티렌 단량체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으로, 온도변화에 따른 광학 특성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낮은 표면강도와 충격강도도 저하되는 특성을 나타내어 자동차 글레이징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As shown in Table 1, Examples 1 to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high transparency and extremely low haze despite temperature changes. In addition, it exhibited high yzod impact strength, low yellowness, high surface hardness, and excellent physical property balance.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the optical characteristics were largely lowered according to the range of the monomer constituting the core and the shell, and the impact strength and surface hardness characteristic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Examples. In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the optical characteristics were remarkably lowered with temperature changes, and the surface strength and impact strength were also lowered. Thus, they were not suitable for use in automotive glazing Respective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defin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1)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70 내지 100중량%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0 내지 30중량%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상기 코어 상에 그라프트되며,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50 내지 99중량%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 1 내지 50중량%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쉘로 이루어진 코어 쉘 구조를 가지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 A core comprising a copolymer derived from 70 to 100% by weight of an acrylic acid ester monomer and 0 to 30% by weight of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and a core which is grafted onto the core, wherein 50 to 99% by weight of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And a core shell structure composed of a shell made of a copolymer derived from 1 to 50% by weight of a polymethylmethacrylate copoly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코어가 20 내지 60중량% 및 쉘이 40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진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has a core content of 20 to 60% by weight and a shell content of 40 to 80% by w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평균입경이 50 내지 150nm인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has an average particle size of 50 to 150 n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가소제, 이형제,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활제, 충격보강제 및 자외선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글레이징용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in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ntioxidant, a plasticizer, a releasing agent, a heat stabilizer, an antistatic agent, a flame retardant, a lubricant, an impact modifier, and a UV stabilizer.
제1항 내지 제4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조성물로 제조되는 성형품. A molded article produced from the composition of any one of claims 1 to 4. (A) 이온교환수에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량체, 유화제그라프트제 및 개시제가 혼합된 용액을 투입하여 유화 중합하는 코어 입자 제조단계 및
(B) 상기 유화 중합에 의해 생성된 입자가 함유된 용액에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사슬이동제 및 개시제를 넣고 유화 중합하여 상기 입자를 피복하는 쉘층 제조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차 글레이징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A) a core particle preparation step in which a solution in which ion exchange water is mixed with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an acrylate ester monomer and a methacrylate ester monomer, an emulsifier graft, and an initiator is added and emulsion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and
(B) preparing a shell layer for coating the particles by adding a methacrylate ester monomer, an acrylate monomer, a chain transfer agent and an initiator to a solution containing the particles produced by the emulsion polymerization,
Wherein the poly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is a poly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단량체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를 70 내지 100중량% 함유하는 것인 자동차 글레이징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onomer comprises 70 to 100% by weight of an acrylate monomer in the step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는 50 내지 99중량%,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1 내지 50중량% 포함되는 것인 자동차 글레이징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50 to 99% by weight and the acrylic acid ester mono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50% by weight in the step (B).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단량체를 투입 시 두 단계 이상 나누어 실시하며, 다음 단계로 갈수록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의 함량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글레이징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 (B) is carried out in two or more stages when the monomer is added, and the content of the acrylic acid ester monomer is further reduced to the next step.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탄소수 4 내지 30개의 알칼리성 알킬인산염 및 알킬설페이트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음이온계 유화제인 자동차 글레이징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mulsifier is at least one anionic emulsifier selected from alkaline alkyl phosphates and alkylsulfates having 4 to 30 carbon atom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제는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알릴말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자동차 글레이징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grafting age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llyl (meth) acrylate and diallyl maleate.
KR1020170149543A 2017-11-10 2017-11-10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KR1020345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43A KR102034597B1 (en) 2017-11-10 2017-11-10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543A KR102034597B1 (en) 2017-11-10 2017-11-10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547A true KR20190053547A (en) 2019-05-20
KR102034597B1 KR102034597B1 (en) 2019-10-21

Family

ID=6667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543A KR102034597B1 (en) 2017-11-10 2017-11-10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59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180A (en) * 2000-05-01 2001-11-23 구광시 Impact modifier for transparent acrylic resin
JP2005533888A (en) * 2002-07-23 2005-11-10 コロン・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Acrylic bead for automobile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coating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crylic so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0837091B1 (en) * 2006-12-27 2008-06-12 제일모직주식회사 Acrylic rubber composition with improved impact resistance and weather resistance, and poly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R101459130B1 (en) 2011-12-30 2014-11-10 제일모직주식회사 Plastic glazing and method for prearing the same
KR20150133735A (en) * 2013-03-25 2015-11-30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Pmma provided with impact resistance and having improved optical properti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180A (en) * 2000-05-01 2001-11-23 구광시 Impact modifier for transparent acrylic resin
JP2005533888A (en) * 2002-07-23 2005-11-10 コロン・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Acrylic bead for automobile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coating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crylic so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0837091B1 (en) * 2006-12-27 2008-06-12 제일모직주식회사 Acrylic rubber composition with improved impact resistance and weather resistance, and poly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R101459130B1 (en) 2011-12-30 2014-11-10 제일모직주식회사 Plastic glazing and method for prearing the same
KR20150133735A (en) * 2013-03-25 2015-11-30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Pmma provided with impact resistance and having improved optical proper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597B1 (en)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106B1 (en) Acrylic impact modifier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acrylic resin comprising thereof
JP3142774B2 (en) Acrylic film and acrylic laminated injection molded product using it
KR101429801B1 (en) Impact modifier for polymethylmetacrylate resi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transparenc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060108624A (en) Flowability improver for engineering plastics,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nd molded articles of the compositions
CN112074568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20170062888A (en) Method for preparing thermoplastic resin, thermoplastic resin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resin
CA2868779C (en) Polycarbonate blend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150068313A (en) COMPOSITION OF STYRENE RESIN HAVING Chemical Resistance and SUPERIOR HEAT RESISTANCE AND MOLDED ARTICLE MADE FROM the SAME
KR100956392B1 (en) Composition of Acrylic polymer with impact resistance using emulsion latex
JP2545414B2 (en) Low haze transpar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998413B1 (en) Transparent acrylic resi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100039509A (en) Manufacturing method of acrylic polymer with impact resistance using emulsion latex
CN107709455B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de of the same
KR20190053547A (en)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glazing
KR100564816B1 (en) Method of Preparing ABS Resin Composition with Good Heat Resistance, Transparence and Natural Color
AU627191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7263613B2 (en) GRAFT COPOLYMER,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CN112689658B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2536520B1 (en) Method for preparing graft polymer
KR102532948B1 (en) Core-shell copolymer an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130082221A (en)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3784480B2 (en) Rubber particles, multilayer structure polymer particles using the same, and resin composition of the polymer particles
KR100989813B1 (en) Acrylic polymer with improved impact resistance and transparency using emulsion latex and Method thereof
KR101082777B1 (en) Method for Acrylic polymer with impact resistance using emulsion latex
KR100519116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Whitening-Resistance, Transparency and Impact Streng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