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478A -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478A
KR20190053478A KR1020170149407A KR20170149407A KR20190053478A KR 20190053478 A KR20190053478 A KR 20190053478A KR 1020170149407 A KR1020170149407 A KR 1020170149407A KR 20170149407 A KR20170149407 A KR 20170149407A KR 20190053478 A KR20190053478 A KR 20190053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ption
goods
product
shopping 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0465B1 (ko
Inventor
신재오
신재동
Original Assignee
신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오 filed Critical 신재오
Priority to KR1020170149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46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복수의 쇼핑몰 사이트들과 연결된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서버에서 수행된다.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제1 크롤러(crawler)를 구동하여 상기 복수의 쇼핑몰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접속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하나의 쇼핑몰에서 상품의 기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기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제2 크롤러를 구동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상품의 상기 기본 정보 중 상기 상품의 상기 상세설명 페이지 URL 주소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상품 상세설명 페이지 URL 주소에 대응하는 페이지의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소스로부터 상품의 옵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옵션 정보를 상기 상품의 상기 기본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METHOD OF PROVIDING COMPREHENSIVE PRODUCT INFORMATION}
본 발명은 종합 상품 정보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쇼핑몰에서 제공되는 상품들(또는 상품 정보들)을 하나의 오픈 마켓에서 종합하여 제공하는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 온라인 쇼핑몰들은 2006년을 기준으로 웹사이트를 통하여 활성화된 시장이다. 현재까지 꾸준한 성장을 통해 15조원(2015년 기준)에 달하는 시장이 되었다. 그리고 웹사이트로 시작한 온라인 쇼핑몰들은 급속도로 PC기반의 시장에서 모바일 시장으로 전환하는 시장에 적응하기 위해 오픈 마켓(쿠팡, 위메프, 11번가 등)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온라인 쇼핑몰이 오픈 마켓에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번거로운 업로드 과정을 거쳐야 한다. 쇼핑몰들은 자사 사이트에 이미 업로드 된 상품들을 오픈 마켓에 등록하기 위해서 다시 업로드를 해야 한다. 즉, 판매 채널 확장을 위해 여러 번의 업로드 과정이 필요하다. 스마트폰 시대에 적응하기 위해 온라인 쇼핑몰들이 어쩔 수 없이 모바일 오픈마켓을 판매 채널로 이용하고 있지만, 모든 상품을 업로드 할 수 없고, 높은 수수료(평균 15%)로 인해 홍보 용도와 이월 상품을 판매하는 창구 정도로 이용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717,063호(2017.03.17.공고) "웹 크롤링 장치 및 이에 의한 웹 크롤링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16-0046662호(2016.04.29.공개) "인터넷쇼핑몰의 최저가격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및 수집된 최저가격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정보를 갱신하는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오픈 마켓의 문제점(즉, 번거로운 업로드)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품 업로드 과정이 없는 오픈 마켓, 즉,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복수의 쇼핑몰 사이트들과 연결된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제1 크롤러(crawler)를 구동하여 상기 복수의 쇼핑몰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접속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하나의 쇼핑몰에서 상품의 기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본 정보는, 상기 선택된 하나의 쇼핑몰에서 사용되는 상기 상품의 식별정보, 상기 상품의 이름 정보, 상기 상품의 가격 정보, 상기 상품의 상세설명 페이지 유알엘(uniform resource locator; URL) 주소 정보, 상기 상품의 이미지 URL 주소 정보,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 및 상기 상품의 품절 유무 정보를 포함함-; 상기 추출된 기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제2 크롤러를 구동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상품의 상기 기본 정보 중 상기 상품의 상기 상세설명 페이지 URL 주소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상품 상세설명 페이지 URL 주소에 대응하는 페이지의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소스로부터 상품의 옵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옵션 정보를 상기 상품의 상기 기본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옵션 정보는, 상기 상품의 색상 정보, 상기 상품의 사이즈 정보, 상기 상품의 옵션별 추가 가격 정보 및 상기 상품의 옵션별 품절 유무 정보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품의 상기 기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하나의 쇼핑몰의 메인 페이지에서 카테고리들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카테고리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페이지에서 상기 상품의 상기 기본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품의 상기 옵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제1 옵션의 제1 옵션 값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옵션에 제1 옵션 값들 중 하나를 입력하여 상기 제1 옵션에 종속적인 제2 옵션의 제2 옵션 값들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옵션에 제2 옵션 값들을 입력하여 추가 가격 정보 및 품절 유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쇼핑몰들 중 상기 선택된 하나에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쇼핑몰들 중 상기 선택된 하나에 대한 크롤링 작업을 제1 주기 이내에 수행한 기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크롤링 작업이 제1 주기 이내에 수행한 기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쇼핑몰들 중 상기 선택된 하나에 대한 크롤링 작업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쇼핑몰들 중 상기 선택된 하나와 다른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품의 상기 기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상기 기본 정보를 추출하는 작업 시간이 기준 작업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 시간이 기준 작업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본 정보의 추출 작업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또는, 크롤링 방법)은 여러 쇼핑몰들에서 상품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쇼핑몰들(또는, 쇼핑몰들의 판매자)로 하여금 별도의 업로드 과정(즉, 상품 정보의 업로드 과정) 없이 오픈 마켓 시장(또는, 모바일 오픈 마켓 시장)에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쇼핑몰들의 상품에 대한 확인 및 구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크롤링 작업 시간을 제한하여 크롤링 작업으로 인한 쇼핑몰 사이트의 과도한 트래픽 발생을 방지하고, 크로링 작업 이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또는, 제1 주기 이내에 크롤링 작업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무분별한 크롤링 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동기화 로봇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쇼핑몰을 통해 제공되는 상품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쇼핑몰을 통해 획득되는 상품 정보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a는 쇼핑몰을 통해 제공되는 상품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쇼핑몰에서 추출된 상품의 기본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쇼핑몰 별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쇼핑몰에서 제공되는 상품 세부 정보 페이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페이지에서 추출된 HTML 소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도 9의 HTML 소스에 옵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옵션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b는 도 9의 HTML 소스에 옵션 정보가 미 포함된 경우, 옵션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동기화 로봇의 크롤링 작업 순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동기화 로봇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또는, 크롤링 방법,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쇼핑몰들의 웹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또는, DB화) 할 수 있다.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크롤링(crawling)이라는 정보 검색 기술을 이용하여 쇼핑몰들의 상품 정보를 수집하고, 정규표현식을 이용하여 수집된 상품정보를 데이터화하고, 상품 정보를 데이터화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오픈 마켓(또는, 판매 채널,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쇼핑몰들의 상품 정보들은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오픈 마켓을 통해 제공되고, 사용자들(또는, 구매자들)은 간편하게 여러 쇼핑몰들의 상품을 한 번에 확인하고, 용이하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상품의 판매자들(또는, 쇼핑몰의 운영자들)은, 오픈 마켓을 통해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알림 정보를 수신하고, 별도로 제공되는 오픈 마켓의 관리자 페이지를 통해 판매 상품을 확인하며, 해당 상품에 대한 배송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들은 용이하게 해당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오픈 마켓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은 보다 다양한 상품 정보들을 제공받아, 보다 사용자 취향에 부합하는 상품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부 용어를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동기화(또는, DB 동기화)는 웹 페이지(또는, 쇼핑몰의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시키는 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
동기화 로봇(또는, 크롤러(crawler))은 DB 동기화를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오픈 마켓(또는, 판매 채널,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서버)에 자동으로 업로드 하는 주체에 해당할 수 있다.
오픈 마켓(또는, 판매 채널,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서버)는 DB 동기화를 이용하여 구축된 오픈 마켓에 해당하거나, 사용자들(또는, 구매자들)이 다양한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에 해당하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쇼핑몰(또는, 온라인 쇼핑몰)은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쇼핑몰을 구축한 판매자에 해당하고, 사용자(또는, 구매자, 유저)는 오픈 마켓을 이용하여 온라인 쇼핑몰들의 상품을 구매하고 확인하는 주체에 해당할 수 있다.
쇼핑몰 관리자 페이지는 오픈 마켓에서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또는, 판매 상품)을 확인할 수 있는 웹페이지 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동기화 로봇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쇼핑몰을 통해 제공되는 상품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b는 쇼핑몰을 통해 획득되는 상품 정보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110),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서버(120) 및 사용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110),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서버(120) 및 사용자 단말(13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서버(120)는 동기화 로봇(121) 및 데이터베이스(DB)(122)를 포함하고, 동기화 로봇(121)을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수집하고, DB(122)를 구축할 수 있다. 구축된 DB에 포함된 상품 정보는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될 수 있다.
동기화 로봇(121)은 여러 쇼핑몰들(또는, 복수의 쇼핑몰들) 각각의 웹 페이지를 체크하고, 신상품이 확인 되거나(즉, 신규 상품 정보가 업로드 되거나) 상품 형태의 변화가 확인되는 경우(즉, 종래 상품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상품 정보를 오픈 마켓(또는,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서버(120))의 DB(122)에 업로드/저장 하거나 갱신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쇼핑몰들의 다양한 상품 정보가 오픈 마켓을 통해 제공되며, 사용자는 손쉽게 상품을 확인 및 구매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판매 상품은 쇼핑몰 관리자 페이지에서 확인되며, 이를 통해 판매자는 판매 상품을 사용자에게 보낼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동기화 로봇(121)은 쇼핑몰의 웹 페이지에서 상품의 기본 정보 및 상품 옵션(또는, 옵션 정보)을 획득할 수 있다.
동기화 로봇(121)은 쇼핑몰에 URL 요청(또는, URL 주소에 기초하여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상품의 기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핑몰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의 카테고리 유형 정보(IF1), 상품 종류, 상품별 기본 정보(IF2)와, 상품별 옵션 정보(IF3)로 단계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품의 기본 정보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핑몰의 웹 페이지의 “카테고리” 유형이 클릭된 경우 제공되는 페이지에서 획득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로봇(121)은 해당 페이지의 HTML 소스를 통해 제1 내지 제8 기본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8 기본 정보들은 쇼핑몰의 상품 식별정보(또는, ID), 상품 이름 정보, 상품 가격 정보, 상품의 상세설명 페이지 URL 정보, 상품의 상세설명 모바일 페이지 URL 정보, 상품 이미지 URL 정보,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예를 들어, 아우터, 자켓 등), 상품의 품절 유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동일한 분야의 쇼핑몰들은 대부분 유사한 URL 소스를 사용하지만, 상품 이름 정보, 품절 유무 정보 등은 쇼핑몰별로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서버는 쇼핑몰 별로 코드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a는 쇼핑몰을 통해 제공되는 상품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쇼핑몰에서 추출된 상품의 기본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동기화 로봇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방법은 동기화 로봇(121)(또는,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서버(1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4의 방법은 쇼핑몰이 가지는 카테고리들을 정렬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http://0000.com/product/list.html?cate_n=41”와 같은 URL 정보에 대한 분석을 통해, “cate_no=41”은 “아우터”로, “cate_no=52”는 아우터로 정의하여, 카테고리를 정렬할 수 있다.
이후, 도 4의 방법은, 복수의 카테고리들 중에서 하나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상품 목록 페이지의 HTML 소스를 추출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도 4의 방법은 페이지의 수를 제한하지 않고 모든 페이지(예를 들어, 1 page ~ last page)에 대한 HTML 소스를 추출할 수 있다.
도 4의 방법은 정규표현식을 통해 추출된 HTML 소스에서 상품 정보들을 각각 분리할 수 있다(S430). 여기서, 정규표현식은 특정한 규칙을 가진 문자열의 집합을 표현하는데 이용되는 형식언어로, 일반적인 텍스트 편집기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문자열의 검색과 치환을 위해 사용되는 정규표현식일 수 있다.
도 4의 방법은 수집해야 할 정보(예를 들어, 상품의 기본 정보)에 대응하여 정규표현식을 작성할 수 있다(S440). 예를 들어, 상품의 이름 정보를 위한 정규표현식은 “\<cp class=\"name\"\>(.*?)\<Vp\>\”이고, 상품의 가격 정보를 위한 정규표현식은 “/([0-9]{1.3},)?( [0-9]{1.3},)?[0-9]{3}원/” 일 수 있다.
도 4의 방법은 정규표현식을 통해 상품의 기본 정보들을 획득하고, 획득한 기본 정보들을 원하는 형태(또는, 표준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S450).
이후, 도 4의 방법은 가공된 기본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또는 갱신할 수 있다(S460).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핑몰에서 제공되는 상품 정보들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규표현식을 통해 추출되고, 가공되어 도 6과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동기화 로봇(121)은 쇼핑몰 별로 카테고리와 정규표현식을 각각 설정하고, 설정된 카테고리와 정규표현식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또는, 상품의 기본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쇼핑몰의 경우, 동기화 로봇(121)은 제1 카테고리 유형들과 제1 정규표현식을 정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쇼핑몰의 경우, 동기화 로봇(121)은 제2 카테고리 유형들과 제2 정규 표현식을 정의할 수 있다.
즉, 동기화 로봇(121)은 쇼핑몰마다 최적화된 코드를 정의하고, 상품 정보의 수집/가공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프레임을 구동시켜, 상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동기화 로봇(121)은 상품의 기본 정보 이외에 상품 옵션 정보(또는, 상품의 옵션 정보)를 동기화 시킬 수 있다(또는, 크롤링 할 수 있다). 한편, 상품의 기본 정보의 수집과, 상품 옵션 정보의 수집은 상호 다른 동기화 로봇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본 정보 동기화 로봇(또는, 제1 동기화 로봇, 제1 크롤러)에 의해 기본 정보가 수집되고, 상품 옵션 동기화 로봇(또는, 제2 동기화 로봇, 제2 크롤러)에 의해 상품의 옵션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도 8은 쇼핑몰에서 제공되는 상품 세부 정보 페이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페이지에서 추출된 HTML 소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도 9의 HTML 소스에 옵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옵션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0b는 도 9의 HTML 소스에 옵션 정보가 미 포함된 경우, 옵션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해당 페이지를 통해 상품의 세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페이지는 쇼핑몰에서 해당 상품을 클릭한 경우 쇼핑몰에서 제공되는 페이지 일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옵션 동기화 로봇(또는, 동기화 로봇(121))은 해당 페이지(즉, 상품 세부 정보 페이지)의 HTML 소스를 통해 제1 내지 제5 옵션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옵션 정보는 상품의 제1 옵션으로, 예를 들어, 상품의 컬러, 종류 등일 수 있다. 제2 옵션 정보는 상품의 제2 옵션으로, 예를 들어, 상품의 사이즈 일 수 있다. 제3 옵션 정보는 상품의 제3 옵션일 수 있다. 제4 옵션 정보는 상품 옵션별 추가 가격 정보이고, 제5 옵션 정보는 상품 옵션별 품절 유무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품의 옵션 정보는 HTML 소스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품 옵션 동기화 로봇은 쇼핑몰에 대한 URL 요청을 통해 옵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옵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기본 정보가 수집된 쇼핑몰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수집된 기본 정보 중에서 “상품 상세설명 페이지 URL”을 호출하여, 상품 옵션 동기화 로봇은 해당 URL에 접근하여 옵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옵션의 경우 옵션1, 옵션2, 옵션3의 모든 경우의 수 별로 고유 번호가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 P000RZE000A = 빨강/32, P000RZE000B = 빨강/30, P000ZEQ001A = 빨강/28, P002RZQ000A = 파랑/32, P000TEW000C = 파랑/30, P000UBP000A = 파랑/28"와 같이 색상 및 사이즈 별로 상품에 대한 고유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고유 번호들에 따라 추가 가격 정보 및 품절 유무 정보(option_stock_data)와 옵션 종류 정보(option_value_mapper)가 기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가격 정보 및 품절 유무 정보(option_stock_data)의 경우 고유 번호 별로 추가가격과 품절유무를 나타내며, 옵션 종류 정보(option_value_mapper)의 경우 고유 번호 별로 옵션1, 옵션2 및 옵션3의 종류를 나타낼 수 있다.
고유 번호 Option_stock_data Option_value_mapper
P000RZE000A Stock_price=0, use_soldout=F 빨강, 32
P000RZE000B Stock_price=0, use_soldout=F 빨강, 30
P000ZEQ001A Stock_price=0, use_soldout=T 빨강, 28
P002RZQ000A Stock_price=1000, use_soldout=T 파랑, 32
P000TEW000C Stock_price=1000, use_soldout=T 파랑, 30
P000UBP000A Stock_price=1000, use_soldout=F 파랑, 28
표 1은 고유 번호별 옵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stock_price는 추가가격을 나타내고, use_soldout은 품절 유무(단, T가 품절)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HTML 소스에 옵션 정보가 보이지 않는 경우, 상품 옵션 동기화 로봇은 URL 요청방식을 이용하여 옵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내의 첫번째 옵션 선택란의 HTML 소스는 도 9의 (a)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첫번째 옵션(ops1)의 옵션 값(option value)을 두번째 옵션(ops2)를 알아보기 위한 URL에 대입하여 요청하면, 도 9의 (b)와 같이 두번째 옵션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상품이 품절인 경우에는, 옵션 갓으로 "품절"이 출력 될 수 있다.
또한, 두번째 옵션(ops2)의 옵션 값(option value)까지 상세 옵션정보를 알아보기 위한 URL에 대입하여 요청하면, 도 9의 (c)와 같이 첫번째 옵션과 두번째 옵션이 선택되었을 때의 추가가격이 출력될 수 있다.
즉, HTML 소스에 옵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동기화 로봇은 도 10a의 방법에 따라 옵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HTML 소스에 옵션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동기화 로봇은 도 10b의 방법에 따라 옵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a의 방법은 상품 상세 설명 페이지의 URL을 호출하고(S110), 해당 페이지의 HTML 소스를 추출하며(S1020), HTML 소스에 포함된 옵션의 종류와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S1030). 이후, 도 10a의 방법은 옵션별 추가 가격 정보 및 품절 유무 정보를 추출하고(S1040), 추출된 옵션 정보를 DB(122)에 저장할 수 있다(S1050).
유사하게, 도 10b의 방법은 상세 설명 페이지의 URL을 호출하고(S110), 해당 페이지의 HTML 소스를 추출 할 수 있다(S1020). 다만, HTML 소스에 옵션 정보가 미포함 되어 있으므로, 정규 표현식을 통해 제1 옵션(ops1)의 옵션별 값(value)을 추출하고(S1060), 옵션 정보 URL에 제1 옵션(ops1)의 옵션 값(value)을 대입하여 옵션별 추가 가격 정보 및 품절 유무 정보를 확인/획득할 수 있다(S1070). 예를 들어, 도 10b의 방법은 옵션 정보 URL에 제1 옵션(ops1)과 제2 옵션(ops2)의 값(value)을 대입하여 추가 가격 정보를 추출하고, 이후, 제2 옵션(ops2) 정보 URL에 제1 옵션(ops1)의 옵션별 값(value)을 대입하여 제2 옵션(ops2)의 값을 추출하고, 품절 유무 정보를 확인/획득 할 수 있다. 이후, 도 10b의 방법은 추출된 옵션 정보를 DB(122)에 저장할 수 있다(S1050).
도 4 내지 도 10b의 과정을 통해,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또는, 동기화 로봇(121),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서버(120))은 여러 쇼핑몰들에서 상품 정보(즉, 기본 정보 뿐만 아니라 옵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쇼핑몰들(또는, 쇼핑몰들의 판매자)은 별도의 업로드 과정(즉, 상품 정보의 업로드 과정) 없이 오픈 마켓 시장(또는, 모바일 오픈 마켓 시장)에서 상품을 판매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실시간의 쇼핑몰들의 상품을 확인하고 통합 구매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1은 동기화 로봇의 크롤링 작업 순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서버(120)는 복수의 동기화 로봇들(1110, 1120)(또는, 크롤링 로봇들, 크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서버(120)는 제1 및 제2 동기화 로봇들(1110, 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동기화 로봇들(1110, 1120)은 상품의 기본 정보와 옵션 정보를 크롤링 할 수 있다.
제1 동기화 로봇(1110)은 A 쇼핑몰, B 쇼핑몰, C 쇼핑몰 및 D 쇼핑몰에 대한 크롤링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고, D 쇼핑몰에 대한 크롤링 작업이 완료된 경우, 다시 A 쇼핑몰에 대한 크롤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동기화 로봇(1110)은 A 쇼핑몰, B 쇼핑몰, C 쇼핑몰 및 D 쇼핑몰에 대한 크롤링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상품의 기본 정보를 획득하고, D 쇼핑몰에 대한 크롤링 작업이 완료된 경우, 다시 A 쇼핑몰, B 쇼핑몰, C 쇼핑몰 및 D 쇼핑몰에 대한 크롤링 작업을 수행하여 상품의 옵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상품의 기본 정보 및 옵션 정보에 대한 크롤링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해당 쇼핑몰에 대한 과도한 트래픽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1 동기화 로봇(1110)은 쇼핑몰들로부터 상품의 기본 정보를 모두 수집한 이후에, 쇼핑몰들로부터 상품의 상세 정보를 순차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제1 동기화 로봇(1110)과 유사하게, 제2 동기화 로봇(1120)은 E 쇼핑몰, F 쇼핑몰, G 쇼핑몰 및 H 쇼핑몰에 대한 크롤링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고, H 쇼핑몰에 대한 크롤링 작업이 완료된 경우, 다시 E 쇼핑몰에 대한 크롤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동기화 로봇(1120)도 쇼핑몰들로부터 상품의 기본 정보를 모두 수집한 이후에, 쇼핑몰들로부터 상품의 상세 정보를 순차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1 동기화 로봇(1110)에 A 내지 D 쇼핑몰들이 할당되고, 제2 동기화 로봇(1120)에 E 내지 H 쇼핑몰들이 할당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및 제2 동기화 로봇(1110, 1120)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동기화 로봇(1110)은 A 쇼핑몰부터 H 쇼핑몰까지 순차적으로 크롤링 작업을 수행하고, 제2 동기화 로봇(112)은 E 쇼핑몰부터 H 쇼핑몰까지, A 쇼핑몰에서 D 쇼핑몰까지 순차적으로 크롤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동기화 로봇(1110, 1120)에 대한 스케줄은 크로링 작업 부하 산출/예측을 통해 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동기화 로봇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서버(120)는 동기화 로봇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모듈(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모듈(123)은 데이터베이스(122)에서 URL을 전달받으면 자동 구동되어 동기화 로봇(121)과 연동되고, URL을 동기화 로봇(121)에 전달하며(S1310), 동기화 로봇(121)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모니터링 모듈(123)은 PID 정보(또는, 프로세스 정보)와 동기화 로봇(121)의 시작시간을 변수 및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S1320).
모니터링 모듈(123)은 동기화 로봇(121)의 작업시간이 제1 기준 작업 시간을 경과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330). 여기서, 제1 기준 작업 시간은 모니터링 모듈(123)에 부여되는 최대 작업시간으로, 크롤링 작업에 의한 쇼핑몰 사이트의 부하 증가를 고려하여 기 설정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123)은 동기화 로봇(121)의 작업시간이 제1 기준 작업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 주기적으로 동기화 로봇(121)의 작업시간이 제1 기준 작업 시간을 경과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 모듈(123)은 동기화 로봇(121)의 작업시간이 제1 기준 작업 시간을 경과한 경우, 동기화 로봇(121)을 강제 종료시킬 수 있다(S1340). 예를 들어, 모니터링 모듈(123)은 기 저장한 PID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PID정보와 일치하는 크롤링 프로세스를 종료하도록 동기화 로봇(121)에 대한 강제종료 명령을 생성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쇼핑몰에 대한 크롤링 작업을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1 쇼핑몰과 다른 제2 쇼핑몰이 선택되고, 제2 쇼핑몰에 대한 크롤링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동기화 로봇(121)은 모니터링 모듈(123)로부터 URL을 수신하고(S1350), 제1 주기 내에 동일한 크롤링(예를 들어, 동일한 쇼핑몰 사이트에 대한 크롤링)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60). 즉, 제1 주기 내에 해당 크롤링 작업이 수행된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기화 로봇(121)은 동일한 크롤링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크롤링을 수행하며(S1370), 주기적으로 제2 작업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80).
한편, 동기화 로봇(121)은 동일한 크롤링 기록이 존재하거나, 제2 작업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또한, 모니터링 모듈(123)로부터 강제 종료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크롤링 작업을 종료하고(S1390), 크롤링 작업이 종료되었음을 모니터링 모듈(123)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니터링 모듈(123)은 기 저장된 파일(즉, PID 정보 및 시작시간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S1400).
즉, 모니터링 모듈(123)은 동기화 로봇(121)이 무한루프에 빠져 크롤링 작업을 계속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해당 쇼핑몰 사이트에서 부하(예를 들어, 과다한 트래픽)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크롤링 작업에 대한 작업 주기를 설정함으로써(즉, 작업 주기 내에 반복적인 크롤링 작업을 제한함으로써), 동기화 로봇(121)에 의한 무분별한 크롤링 작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크롤링 방법, 크롤링 시스템, 정보 제공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110: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
111, 112, 113: 제1 내지 제3 쇼핑몰
120: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서버
121: 동기화 로봇
122: DB
123: 모니터링 모듈
710: 프레임
1110: 제1 동기화 로봇
1120: 제2 동기화 로봇

Claims (5)

  1. 복수의 쇼핑몰 사이트들과 연결된 종합 상품 정보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에서,
    제1 크롤러(crawler)를 구동하여 상기 복수의 쇼핑몰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접속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하나의 쇼핑몰에서 상품의 기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본 정보는, 상기 선택된 하나의 쇼핑몰에서 사용되는 상기 상품의 식별정보, 상기 상품의 이름 정보, 상기 상품의 가격 정보, 상기 상품의 상세설명 페이지 유알엘(uniform resource locator; URL) 주소 정보, 상기 상품의 이미지 URL 주소 정보,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 및 상기 상품의 품절 유무 정보를 포함함-;
    상기 추출된 기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제2 크롤러를 구동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상품의 상기 기본 정보 중 상기 상품의 상기 상세설명 페이지 URL 주소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상품 상세설명 페이지 URL 주소에 대응하는 페이지의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소스로부터 상품의 옵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옵션 정보를 상기 상품의 상기 기본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옵션 정보는, 상기 상품의 색상 정보, 상기 상품의 사이즈 정보, 상기 상품의 옵션별 추가 가격 정보 및 상기 상품의 옵션별 품절 유무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상기 기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하나의 쇼핑몰의 메인 페이지에서 카테고리들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카테고리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페이지에서 상기 상품의 상기 기본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상기 옵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제1 옵션의 제1 옵션 값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옵션에 제1 옵션 값들 중 하나를 입력하여 상기 제1 옵션에 종속적인 제2 옵션의 제2 옵션 값들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옵션에 제2 옵션 값들을 입력하여 추가 가격 정보 및 품절 유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쇼핑몰들 중 상기 선택된 하나에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쇼핑몰들 중 상기 선택된 하나에 대한 크롤링 작업을 제1 주기 이내에 수행한 기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크롤링 작업이 제1 주기 이내에 수행한 기록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쇼핑몰들 중 상기 선택된 하나에 대한 크롤링 작업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쇼핑몰들 중 상기 선택된 하나와 다른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상기 기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상기 기본 정보를 추출하는 작업 시간이 기준 작업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 시간이 기준 작업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본 정보의 추출 작업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
KR1020170149407A 2017-11-10 2017-11-10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 KR102120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407A KR102120465B1 (ko) 2017-11-10 2017-11-10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407A KR102120465B1 (ko) 2017-11-10 2017-11-10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478A true KR20190053478A (ko) 2019-05-20
KR102120465B1 KR102120465B1 (ko) 2020-06-08

Family

ID=66678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407A KR102120465B1 (ko) 2017-11-10 2017-11-10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4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3867A1 (ko) * 2020-01-29 2021-08-05 뉴21커뮤니티(주) 검색 키워드를 이용한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20003294A (ko) * 2020-07-01 2022-01-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뮬레이터를 활용한 상품 데이터 크롤링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392B1 (ko) 2022-01-20 2022-08-04 주식회사 로원홀딩스 이미지 크롤링 기법을 활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2784A (ja) * 2002-04-10 2005-07-28 シーネット・ネットワー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ンライン購入システム用コンテンツ集約方法及び装置
KR20110025647A (ko) * 2008-06-05 2011-03-10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수집을 이용한 다수의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증분식 크롤링 방법
KR20160046662A (ko) 2014-10-21 2016-04-29 주식회사 다나와 인터넷쇼핑몰의 최저가격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및 수집된 최저가격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정보를 갱신하는 방법
KR101717063B1 (ko) 2015-12-30 2017-03-17 네이버 주식회사 웹 크롤링 장치 및 이에 의한 웹 크롤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2784A (ja) * 2002-04-10 2005-07-28 シーネット・ネットワー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ンライン購入システム用コンテンツ集約方法及び装置
KR20110025647A (ko) * 2008-06-05 2011-03-10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수집을 이용한 다수의 콘텐츠 제공자에 대한 증분식 크롤링 방법
KR20160046662A (ko) 2014-10-21 2016-04-29 주식회사 다나와 인터넷쇼핑몰의 최저가격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및 수집된 최저가격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정보를 갱신하는 방법
KR101717063B1 (ko) 2015-12-30 2017-03-17 네이버 주식회사 웹 크롤링 장치 및 이에 의한 웹 크롤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3867A1 (ko) * 2020-01-29 2021-08-05 뉴21커뮤니티(주) 검색 키워드를 이용한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20003294A (ko) * 2020-07-01 2022-01-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뮬레이터를 활용한 상품 데이터 크롤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465B1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11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item selection based on characteristic matching
US115619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rvesting data associated with fraudulent content in a networked environment
JP2009181468A (ja) 画像検索ログ収集システム、画像検索ログ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53478A (ko) 종합 상품 정보 제공 방법
US200800280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responding to inquiry regarding digital content
JP2012073795A (ja) サーバ装置、レシピ情報提供方法及びレシピ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2009265747A (ja) マーケティング支援システム、マーケティング支援方法、マーケティング支援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媒体
CN105868225A (zh) 数据查询的方法、客户端、服务器及系统
CN114331512B (zh) 一种可视化数据建模及大数据画像的方法
CN113784155A (zh) 基于直播间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05913101A (zh) 生成商品信息的方法及终端设备
CN112740228A (zh) 视觉搜索引擎
US9369536B1 (en) Event-based user behavior timeline, predictions, and recommendations
JP6251465B1 (ja) レコメンド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レコメンド情報提供方法
JP6409184B2 (ja) 取引支援システム
JP2007047881A (ja) アクセス解析システム、アクセス解析方法及びアクセス解析プログラム
JP2018181286A (ja) 情報提示サーバ、情報提示システム、情報提示方法および情報提示プログラム
JP2002297620A (ja) 商品情報検索システム、商品情報提供側端末装置、商品情報提供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6489380B2 (ja) 商品検索システム
CN108717639A (zh) 扫码快速获得产品详情的方法和系统
CN114328947A (zh) 一种基于知识图谱的问答方法和装置
CN108898466B (zh) 基于b2c平台的目录式产品推送方法及系统
KR101347420B1 (ko)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JP202204213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135179A (ko) 쇼핑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