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213A -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213A
KR20190053213A KR1020197010216A KR20197010216A KR20190053213A KR 20190053213 A KR20190053213 A KR 20190053213A KR 1020197010216 A KR1020197010216 A KR 1020197010216A KR 20197010216 A KR20197010216 A KR 20197010216A KR 20190053213 A KR20190053213 A KR 20190053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evice
link quality
quality parameter
link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닝 양
화 수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53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88Scheduling 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해당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에 대해 정확하게 관리를 진행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분야에서의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접속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현재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배치에 따라 우선 신호 측정을 진행하며, 원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요구하는 조건에 따라 측정 보고를 진행한다. 원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측정 보고 결과를 수집한 후, 해당 측정 보고 결과에 따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를 진행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핸드 오버를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경우, 원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며,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핸드 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사용할 필요가 있는 랜덤 액세스 리소스 등의 핸드 오버할 필요가 있는 리소스를 원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배치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기화를 확립하여 핸드 오버를 완료한다.
상술한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와 원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품질만을 고려하였으며, 신호 측정이 완료된 후에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 결과 보고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단말기 디바이스의 시그널링 오버 헤드가 낭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에 대해 정확하게 관리를 진행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절약할 수 있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현재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우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에 대해 측정을 진행하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확정한 후,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한 후,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함으로써,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에 대해 정확하게 관리를 진행하고, 단말기 디바이스의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절약하며, 나아가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양태의 제 1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 파라미터(즉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 파라미터(즉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도 획득할 수 있으며,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해당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제 1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2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1 역치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2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3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와 제 3 역치의 합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4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4 역치보다 작고, 또한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5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4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5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다.
제 1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5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고,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된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이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고, 또한 현재 자체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정한 경우,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아무런 조작도 진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제 1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6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추가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 보조 접속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 보조 접속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여전히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메인 접속이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7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를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직접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를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할 수 있으며, 해당이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8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고,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정된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현재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접속은 필연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 보조 접속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삭제한 후,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접속은 이중 접속에서 단일 접속으로 변환되며,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만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고, 현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 경우,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아무런 조작도 진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제 1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9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수신 강도, 신호 수신 품질 및 링크 경로 손실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 1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10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에 대해 측정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송신한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결과는 측정된 빔, 셀,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및 주파수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링크 품질 정보는 측정된 빔,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셀 및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링크 품질 정보를 가리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11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측정된 빔,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셀, 주파수 포인트 정보, 측정량 정보, 측정 결과 보고 조건, 측정 시간 트리거량, 측정 결과 보고량, 측정 결과 보고 시간 간격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요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해당 송신 시간 기준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나아가,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는 송신 시간 어드밴스 정보일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는 단말기의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링크에서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를 가리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획득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에 대해 측정을 진행하여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준 신호를 통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해당 기준 신호의 관련 파라미터는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나,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제 1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12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구 메시지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요구하는데 사용된한다.
제 1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13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1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1 양태의 제 14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할 때 점용하는 리소스 위치, 신호 코드 워드, 빔 정보,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및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할 때 채용하는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다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현재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확정하고, 또한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현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에 대해 정확하게 관리를 진행하고, 단말기 디바이스의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양태의 제 1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주기적으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2 양태의 제 2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접속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접속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6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2 양태의 제 3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 1 시간 기간 내에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지속적으로 상기 제 6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2 양태의 제 4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접속이 존재하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7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2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2 양태의 제 5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 2 시간 기간 내에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지속적으로 상기 제 7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2 양태의 제 6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수신 강도, 신호 수신 품질 및 링크 경로 손실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 2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2 양태의 제 7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에 대해 측정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결과는 측정된 빔, 셀,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및 주파수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링크 품질 정보는 측정된 빔,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셀 및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링크 품질 정보를 가리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 2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2 양태의 제 8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측정된 빔,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셀, 주파수 포인트 정보, 측정량 정보, 측정 결과 보고 조건, 측정 시간 트리거량, 측정 결과 보고량, 측정 결과 보고 시간 간격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요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해당 송신 시간 기준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나아가,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는 송신 시간 어드밴스 정보일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는 단말기의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링크에서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를 가리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 2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2 양태의 제 9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요구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구 메시지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요구하는데 사용된다.
제 2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2 양태의 제 10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2 양태의 상기 가능한 실현 형태에 관련하여, 제 2 양태의 제 11 가능한 실현 형태에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할 때 점용하는 리소스 위치, 신호 코드 워드, 빔 정보,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정보 및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할 때 채용하는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 가능한 실현 형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해당 장치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 가능한 실현 형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 4 양태에 따르면,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 가능한 실현 형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해당 장치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 가능한 실현 형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 5 양태에 따르면,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해당 디바이스는 수신기, 송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버스 시스템을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수신기, 해당 송신기, 해당 메모리 및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버스 시스템에 의해 서로 접속되며, 해당 메모리는 명령어를 기억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수신기가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기가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또한 해당프로세서가 해당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실행할 때, 해당 실행에 의해 해당프로세서가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 형태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 6 양태에 따르면,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해당 디바이스는 수신기, 송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버스 시스템을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수신기, 해당 송신기, 해당 메모리 및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버스 시스템에 의해 서로 접속되며, 해당 메모리는 명령어를 기억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수신기가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기가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또한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실행할 때, 해당 실행에 의해 해당 프로세서가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 형태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 7 양태에 따르면,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며, 해당 시스템은 상기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따른 장치 및 상기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해당 시스템은 상기 제 5 양태 또는 제 5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따른 장치 및 상기 제 6 양태 또는 제 6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 형태에 따른 장치를 포함한다.
제 8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에는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 형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가 포함된다.
제 9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에는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 형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도면을 간단하게 설명하며, 당연히 이하에서 언급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뿐이며, 당업자라면 창조적인 노력이 필요되지 않는 전제에서 이러한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뿐이며,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분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당업자가 창조적 인 노력이 필요하지 않는 전제에서 얻은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은 각종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글로벌 시스템(GSM : 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 Genera1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 장기 진화(LTE :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 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 LT 시분할 듀플렉스(TDD : 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또는 월드와이드 인터라퍼러빌리티 포 마이크로웨이브 어세스(WiMAX :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 시스템 및 미래 나타날수 있는 통신 시스템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또한,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단말기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User Equipment,“UE”로 약칭함),단말기 디바이스, 이동국(Mobile Station,“MS”로 약칭함),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또는 미래 5G 네트워크중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이라 할수 있다.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RAN”로 약칭함)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고,예를 들어,단말기는 이동 전화(또는 “셀룰러” 전화로 칭함) 또는 이동 단말기를 갖추는 컴퓨터 등일 수 있고,예를 들어,단말기는 휴대형,포켓형,핸드 헬드형,컴퓨터 내장형 또는 자동차 탑재형 이동 장치일 수 있고,이들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음성 및 / 또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GSM 또는 CDMA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로 약칭함)일 수 있고,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로 약칭함)일 수도 있으며, 또한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로 약칭함)일 수도 있고,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로 약칭함) 장면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도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자동차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의 PLMN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1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에서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 또는 조작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러한 단계 또는 조작은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기타 조작 또는 도 1의 각 조작의 변형을 실행할 수 있으며, 해당 방법(100)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S110 :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현재 서비스를 제공한다.
S120 :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인접하고,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 파라미터, 즉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함으로써,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에 대해 관리를 진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한 후,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함으로써,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에 대해 정확하게 관리를 진행하고, 단말기 디바이스의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2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서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 또는 조작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러한 단계 또는 조작은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기타 조작 또는 도 2의 각 조작의 변형을 실행할 수 있으며, 해당 방법(200)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S210 :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확정하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S220 :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현재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인접하고,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 파라미터 즉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확정하고,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에 대해 용이하게 관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우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에 대해 측정을 진행하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확정한 후,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확정하고,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현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에 대해 정확하게 관리를 진행하고, 단말기 디바이스의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S120 즉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S120 :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 파라미터(즉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뿐만 아니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 파라미터(즉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도 획득할 수 있으며,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해당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S120에 있어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종합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1 역치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2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1 역치보다 크고, 또한 해당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2 역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보다 양호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역치와 제 2 역치는 미리 설정한 값이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에 확정된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와 제 3 역치의 합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해당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와 제 3 역치의 합보다 큰 경우, 즉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해당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의 일 오프셋 값보다 큰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보다 양호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제 3 역치는 미리 설정한 값이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에 확정된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4 역치보다 작고, 또한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5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4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5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4 역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5 역치보다 큰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4 역치보다 작고, 또한 해당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5 역치보다 큰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 4 역치 및 제 5 역치는 미리 설정한 값이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전에 확정된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4 역치는 상기 제 1 역치일 수 있고, 해당 제 5 역치는 상기 제 2 역치일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S120 즉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고,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된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후에, 현재 접속 상황에 따라 대응하는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고, 또한 현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 경우,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고, 또한 현재 자체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정한 경우,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아무런 조작도 진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추가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 보조 접속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 보조 접속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여전히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메인 접속이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 보조 접속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메인 접속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와 같을 수 있고,다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를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직접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를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할 수 있으며,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 실현 형태에서는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메인 접속으로 설정하는지 보조 접속으로 설정하는지를 확정할 수 있다.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이 양호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메인 접속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핸드 오버를 진행할 수 있고,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이 양호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동시에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이 양호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보조 접속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S120 즉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고,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정된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이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후에, 현재 접속 상황에 따라 대응하는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고, 또한 현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정한 경우,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삭제할 수 있다.
현재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접속은 필연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 보조 접속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삭제한 후,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접속은 이중 접속에서 단일 접속으로 변환되며,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만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고, 또한 현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 경우,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아무런 조작도 진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주기적으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주기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할 수 있고,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예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접속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접속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6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확정한 후,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접속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6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재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해당 제 6 역치보다 큰 경우,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이로써,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목적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이 비교적 양호한 경우에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6 역치보다 큰 경우에만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재 송신할 수 있으며,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 1 시간 기간 내에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지속적으로 상기 제 6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타이머를 시작하여 제 1 시간 기간 내의 각 시각의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으며, 해당 제 1 시간 기간 내에서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지속적으로 제 6 역치보다 큰 경우,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이로써,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시간 기간 내에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대해 통계 및 판단을 진행하고, 예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의 불안정으로 인해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링크 관리가 정확하지 않은 상황을 피하고,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접속이 존재하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7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확정한 후,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접속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7 역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재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해당 제 7 역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7 역치는 상기 제 6 역치보다 작다.
이로써,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는 경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목적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이 열악한 경우에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삭제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7 역치보다 작은 경우에만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해당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 2 시간 기간 내에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지속적으로 상기 제 7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타이머를 시작하여 제 2 시간 기간 내의 각 시각의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으며, 해당 제 2 시간 기간 내에서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지속적으로 제 7 역치보다 작은 경우에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이로써,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시간 기간 내에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대해 통계 및 판단을 진행하고, 예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의 불안정으로 인해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링크 관리가 정확하지 않은 상황을 피하고,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수신 강도, 신호 수신 품질 또는 링크 경로 손실 중의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해당 링크 경로 손실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신호를 송신하는 전력 값과 신호 수신 강도의 차에 따라 산출될 수 있으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신호를 송신하는 전력 값은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S120 즉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에 대해 측정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상응하게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 결과는 측정된 빔,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셀 및 주파수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송신 시간 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링크 품질 정보는 측정된 빔,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셀 및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링크 품질 정보를 가리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응하게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송신한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 결과는 측정된 빔, 셀,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및 주파수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링크 품질 정보는 측정된 빔,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셀 및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링크 품질 정보를 가리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에 대해 측정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며, 해당 측정 구성 정보는 측정의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측정 구성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파라미터에 따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에 대해 측정을 진행할 수 있다.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측정 구성 정보 중의 구성에 따라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측정 결과를 송신하며, 해당 측정 결과에는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측정의 셀 또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측정된 빔,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셀, 주파수 포인트 정보, 측정량 정보, 측정 결과 보고 조건, 측정 시간 트리거량, 측정 결과 보고량, 측정 결과 보고 시간 간격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요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해당 송신 시간 기준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나아가,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는 송신 시간 어드밴스 정보일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는 단말기의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링크에서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를 가리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측정량 정보는 측정할 필요가 있는 양을 가리키고, 구체적으로 측정 신호 수신 강도, 측정 경로 손실, 측정 신호 수신 강도 및 경로 손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 결과 보고 조건은 주기적 보고 또는 이벤트 트리거 보고를 가리킬 수 있으며, 주기적 보고에 관해서 해당 측정 결과 보고 조건에는 또한 주기에 관한 구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이벤트 트리거 보고에 관해서 해당 측정 결과 보고 조건에는 또한 대응하는 이벤트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술한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6 역치보다 크거나, 또는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7 역치보다 작은 경우에 타이머를 시작할 경우, 또한 상기 제 1 기간 및 제 2 기간이 포함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측정 이벤트 트리거량은 상기 이벤트를 트리거하는 측정량을 가리키며, 신호 수신 강도일 수 있고, 경로 손실일 수도 있다. 측정 결과 보고량과 측정량 정보는 같은 것이며, 즉 측정량 정보에 따라 측정을 진행한 결과를 보고한다. 측정 결과 보고 시간 간격은 전회에 측정 결과를 보고한 후 적어도 일정 시간 간격이 지난 후에야만 측정 결과를 재 보고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키며, 이는 주로 링크 품질의 돌발적인 일시적 변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타이밍 어드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링크를 확립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일정한 시간을 앞당겨 진행하는데 사용되며, 예를 들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30ms 또는 50ms 앞당겨 통지하는데 사용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링크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기화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타이밍 어드밴스에 따라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접속 확립 지연을 줄일 수 있다.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획득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에 대해 측정을 진행하여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준 신호를 통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해당 기준 신호의 관련 파라미터는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응하게,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요구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상응하게,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구 메시지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요구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여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확정하여 이를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따라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에 따라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S110 즉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응하게,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확정한 후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으며,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직접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대응하는 리소스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에 대해 측정을 진행한다.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기준 신호는 사운딩 기준 신호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로 약칭함), 물리 링크 제어 채널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로 약칭함)신호 또는 물리 링크 공유 채널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로 약칭함)신호일 수 있으며, 또한 기타의 임의 가능한 신호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할 때 점용하는 리소스 위치, 신호 코드 워드, 빔 정보,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정보 및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할 때 채용하는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 관리 방법은 업링크와 다운링크에 모두 적용되며, 특히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업다운 링크가 대칭의 특징을 구비하거나 또는 업다운 링크의 경로 손실이 상당하는 경우에 적용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 가능한 일 실시예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지국, 전송 포인트 또는 빔일 수 있다. 또한,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셀 및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셀은 기지국, 전송 포인트 또는 빔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의 부분 또는 전부 베어링을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의 부분 또는 전부 데이터 스트림을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3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 또는 조작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러한 단계 또는 조작은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기타 조작 또는 도 3의 각 조작의 변형을 실행할 수 있으며, 해당 방법(300)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S301 :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요구 메시지 및 측정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고, 해당 요구 메시지는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업링크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요구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측정 구성 메시지는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업링크 품질에 대해 측정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해당 측정 구성 정보는 측정의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S302 :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요구 메시지 및 해당 측정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업링크 기준 신호에 대해 구성을 진행하며, 해당 업링크 참조적 구성 파라미터를 확정한다.
S303 :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해당 응답 메시지는 해당 업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S304 :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업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S305 :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업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업링크 기준 신호에 대해 구성을 진행하며,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재 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S306 :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업링크 기준 신호를 송신한다.
S307 :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업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측정 구성 메시지 중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업링크 품질 측정을 진행하여,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얻는다.
S308 :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S309 :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와 자체 사이의 업링크 품질 및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업링크 품질에 따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업링크를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한다.
S310 :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S311 :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핸드 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S312 :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 명령어를 송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와 자체 사이의 링크 품질에 대해 측정을 진행하여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얻어 이를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 후,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 접속을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확정함으로써,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에 대해 정확하게 관리를 진행하고, 단말기 디바이스의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업링크 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하는 전후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적 논리에 의해 확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 과정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400)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장치(400)는 하기의 유닛을 포함한다.
획득 유닛(410)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장치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현재 서비스를 제공한다.
확정 유닛(420)은 상기 획득 유닛이 획득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는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한 후,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함으로써,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에 대해 정확하게 관리를 진행하고, 단말기 디바이스의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획득 유닛(410)은 또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기 전에,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획득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장치 사이의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확정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1 역치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2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 것으로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와 제 3 역치의 합보다 큰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 것으로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4 역치보다 작고, 또한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5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4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5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확립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립 유닛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한 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고,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립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추가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 보조 접속으로 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립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를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삭제 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삭제 유닛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한 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고,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정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삭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수신 강도, 신호 수신 품질 및 링크 경로 손실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제 1 송신 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송신 유닛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에 대해 측정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획득 유닛(4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송신한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 결과는 측정된 빔, 셀,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및 주파수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업링크 송신 시간 기준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링크 품질 정보는 측정된 빔,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셀 및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링크 품질 정보를 가리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측정된 빔,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셀, 주파수 포인트 정보, 측정량 정보, 측정 결과 보고 조건, 측정 시간 트리거량, 측정 결과 보고량, 측정 결과 보고 시간 간격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요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해당 업링크 송신 시간 기준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나아가, 단말기 디바이스의 업링크 송신 시간 기준 정보는 업링크 송신 시간 어드밴스 정보일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의 업링크 송신 시간 기준 정보는 단말기의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링크에서의 업링크 송신 시간 기준 정보를 가리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제 2 송신 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송신 유닛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요구 메시지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요구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획득 유닛(410)은 또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할 때 점용하는 리소스 위치, 신호 코드 워드, 빔 정보,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및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할 때 채용하는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장치(400)는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용어 "유닛"은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전자 회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예를 들어 공유 프로세서, 전용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세트 등) 및 메모리, 조합 논리 회로 및/또는 설명되어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 기타의 적절한 컴포넌트를 가리킬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일예에서는 당업자라면 장치(400)가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장치(400)가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각 과정 및/또는 단계를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500)의 블록도이다. 도 5와 같이, 해당 장치(500)는 하기의 유닛을 포함한다.
확정 유닛(510)은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확정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장치 사이의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송신 유닛(520)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현재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는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와 해당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확정하고, 또한 해당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현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에 대해 정확하게 관리를 진행하고, 단말기 디바이스의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520)은 구체적으로, 주기적으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장치 사이에 접속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송신 유닛(5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장치 사이에 상기 접속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6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520)은 또한, 제 1 시간 기간 내에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지속적으로 상기 제 6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520)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장치 사이에 상기 접속이 존재하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7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520)은 구체적으로, 제 2 시간 기간 내에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지속적으로 상기 제 7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장치 사이의 신호 수신 강도, 신호 수신 품질 및 링크 경로 손실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제 1 수신 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수신 유닛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장치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장치 사이의 링크 품질에 대해 측정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송신 유닛(5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 결과는 측정된 빔, 셀,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및 주파수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업링크 송신 시간 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링크 품질 정보는 측정된 빔,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셀 및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하는 링크 품질 정보를 가리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측정된 빔,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셀, 주파수 포인트 정보, 측정량 정보, 측정 결과 보고 조건, 측정 시간 트리거량, 측정 결과 보고량, 측정 결과 보고 시간 간격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요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해당 업링크 송신 시간 기준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나아가, 단말기 디바이스의 업링크 송신 시간 기준 정보는 업링크 송신 시간 어드밴스 정보일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의 업링크 송신 시간 기준 정보는 단말기의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링크에서의 업링크 송신 시간 기준 정보를 가리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제 2 수신 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수신 유닛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요구 메시지는 상기 장치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요구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상기 요구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확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송신 유닛(520)은 또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제 3 수신 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3 수신 유닛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할 때 점용하는 리소스 위치, 신호 코드 워드, 빔 정보,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및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할 때 채용하는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장치(500)는 기능 모듈의 형태로 실현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용어 “유닛”은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전자 회로,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예를 들어 공유 프로세서, 전용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세트 등)와 메모리,조합 논리 회로 및 / 또는 설명한 기능을 지원하는 기타 적절한 컴포넌트를 가리킬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일 예에서, 당업자는 장치(500)가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중의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장치(500)가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각각의 과정 및 / 또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600)의 블록도이다. 도 6과 같이, 해당 통신 시스템(600)은 장치(400) 및 장치(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장치(400)는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각 과정 및/또는 단계를 실행하는데 사용되고, 장치(500)는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각 과정 및/또는 단계를 실행하는데 사용되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700)를 나타내고 있으며, 해당 장치(700)는 수신기(710), 프로세서(720), 송신기(730), 메모리(740) 및 버스 시스템(7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신기(710), 프로세서(720), 송신기(730) 및 메모리(740)는 버스 시스템(750)에 의해 접속되며, 해당 메모리(740)는 명령어를 기억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프로세서(720)는 해당 메모리(740)에 기억된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해당 수신기(710)가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송신기(730)가 명령어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해당 수신기(710)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장치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현재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당 프로세서(720)는 상기 획득 유닛이 획득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장치(700)는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중의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또한 상기 방법은 실시예중의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각각의 단계 및 / 또는 과정을 실현하는데 사용될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해당 메모리(740)는 읽기 전용 기억 장치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또한 프로세서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의 일부는 또한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메모리는 또한 디바이스 타입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해당 프로세서(720)는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또한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는 경우, 해당 프로세서는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각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800)를 나타내고 있으며, 해당 장치(800)는 수신기(810), 프로세서(820), 송신기(830), 메모리(840) 및 버스 시스템(8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신기(810), 프로세서(820), 송신기(830) 및 메모리(840)는 버스 시스템(850)에 의해 접속되며, 해당 메모리(840)는 명령어를 기억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프로세서(820)는 해당 메모리(840)에 기억된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해당 수신기(810)가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송신기(830)가 명령어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해당 프로세서(820)는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확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장치 사이의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해당 송신기(830)는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현재 서비스를 제공한다.
장치(800)가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또한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각 단계 및/또는 과정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메모리(840)는 읽기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의 일부는 또한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또한 디바이스 타입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해당 프로세서(820)는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해당 프로세서가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각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본 발명의 실시예에서,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일 수 있고,프로세서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전용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디스크리트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디스크리트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해당 프로세서는 임의의 범용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및 / 또는"은 관련 대상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고,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 / 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 및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는 일반적으로 전후의 관련 대상은 "또는"의 관계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과정의 번호는 실행 순서의 전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적 논리에 의해 결정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행 과정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개시되는 실시예에 설명되어 있는 각각의 예시적인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로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드웨어의 형식으로 아니면 소프트웨어의 형식으로 실시할지에 대해서는, 기술 방안의 특정적인 응용 및 설계상의 제한 조건에 의하여 결정한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적인 응용에 따라 부동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되어 있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실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설명상의 편의와 간결을 위하여,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는 것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서 공개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기타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언급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획은 단순한 로직 기능 구획이며, 실제적으로 실현할 때 기타 구획 형식이 있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수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를 조합할 수 있거나, 또는 기타 시스템에 집적시킬 수 있거나, 또는 일부의 기술 특징을 생략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명시하거나 논의하는 상호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상기에서 분리 부품으로 설명하는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일 수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 유닛일 수 있고,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다. 즉, 한 곳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적인 필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의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방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각각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시킬수 있고, 각각의 유닛은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고, 두 개이상의 유닛을 하나의 유닛에 집적시킬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을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방식으로 실현하고, 또한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이 사실상, 다시 말하면 선행 기술에 대하여 공헌한 부분이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이 저장 매체에 기억되고, 컴퓨터 기기(PC,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에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일부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휴대용 하드디스크, 읽기 전용 기억 장치(ROM :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기억 장치(RAM :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콤팩트 디스크 등의 각종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것은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가 본 발명에 개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쉽게 취득할 수 있는 변형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허 청구 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54)

  1.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1 역치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2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와 제 3 역치의 합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4 역치보다 작고, 또한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5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고,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된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추가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 보조 접속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를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고,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정된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수신 강도, 신호 수신 품질 및 링크 경로 손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에 대해 측정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송신한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결과에는 측정된 빔, 셀,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및 주파수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업링크 송신 시간 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측정된 빔,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셀, 주파수 포인트 정보, 측정량 정보, 측정 결과 보고 조건, 측정 시간 트리거량, 측정 결과 보고량, 측정 결과 보고 시간 간격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요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시간 기준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구 메시지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요구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할 때 점용하는 리소스 위치, 신호 코드 워드, 빔 정보,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및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할 때 채용하는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16.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주기적으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접속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접속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6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 1 시간 기간 내에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지속적으로 상기 제 6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상기 접속이 존재하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7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 2 시간 기간 내에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지속적으로 상기 제 7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22. 제 16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수신 강도, 신호 수신 품질 및 링크 경로 손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23. 제 16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에 대해 측정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결과에는 측정된 빔, 셀,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및 주파수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업링크 송신 시간 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측정된 빔,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셀, 주파수 포인트 정보, 측정량 정보, 측정 결과 보고 조건, 측정 시간 트리거량, 측정 결과 보고량, 측정 결과 보고 시간 간격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요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시간 기준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25. 제 16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요구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구 메시지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요구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26. 제 16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할 때 점용하는 리소스 위치, 신호 코드 워드, 빔 정보,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정보 및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할 때 채용하는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28.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획득 유닛;
    상기 획득 유닛이 획득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데 사용되는 확정 유닛; 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장치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또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기 전에,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획득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장치 사이의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1 역치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2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 것으로 확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와 제 3 역치의 합보다 큰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 것으로 확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4 역치보다 작고, 또한 상기 제 2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5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33. 제 28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한 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고,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데 사용되는 확립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확립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추가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 보조 접속으로 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확립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링크를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36. 제 28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는지 여부를 확정한 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필요되지 않고,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정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을 삭제하는데 사용되는 삭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37. 제 28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신호 수신 강도, 신호 수신 품질 및 링크 경로 손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38. 제 28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제 1 송신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 품질에 대해 측정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송신한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 결과에는 측정된 빔, 셀,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및 주파수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업링크 송신 시간 기준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측정된 빔,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셀, 주파수 포인트 정보, 측정량 정보, 측정 결과 보고 조건, 측정 시간 트리거량, 측정 결과 보고량, 측정 결과 보고 시간 간격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시간 기준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요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업링크 송신 시간 기준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40. 제 28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제 2 송신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요구 메시지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요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획득 유닛은 또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41. 제 28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 2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42. 제 40 항 또는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할 때 점용하는 리소스 위치, 신호 코드 워드, 빔 정보,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및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할 때 채용하는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43.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확정하는데 사용되는 확정 유닛;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장치 사이의 링크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주기적으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장치 사이에 접속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장치 사이에 상기 접속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6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제 1 시간 기간 내에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지속적으로 상기 제 6 역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47.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장치 사이에 상기 접속이 존재하고,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제 7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 2 시간 기간 내에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가 지속적으로 상기 제 7 역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49. 제 43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장치 사이의 신호 수신 강도, 신호 수신 품질 및 링크 경로 손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50. 제 43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제 1 수신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장치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장치 사이의 링크 품질에 대해 측정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측정 결과에는 측정된 빔, 셀,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및 주파수 포인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업링크 송신 시간 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측정된 빔,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셀, 주파수 포인트 정보, 측정량 정보, 측정 결과 보고 조건, 측정 시간 트리거량, 측정 결과 보고량, 측정 결과 보고 시간 간격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업링크 송신 시간 기준 정보의 단독 요구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52. 제 43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제 2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요구 메시지는 상기 장치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기준 신호를 구성하도록 요구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상기 요구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확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구성 파라미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53. 제 43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링크 품질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기준 신호의 구성 파라미터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제 3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54. 제 52 항 또는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할 때 점용하는 리소스 위치, 신호 코드 워드, 빔 정보, 네트워크 전송 포인트, 및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할 때 채용하는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KR1020197010216A 2016-09-22 2016-09-22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532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99772 WO2018053770A1 (zh) 2016-09-22 2016-09-22 用于管理链路的方法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213A true KR20190053213A (ko) 2019-05-17

Family

ID=61690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216A KR20190053213A (ko) 2016-09-22 2016-09-22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917822B2 (ko)
EP (2) EP3764695B1 (ko)
JP (1) JP6838142B2 (ko)
KR (1) KR20190053213A (ko)
CN (1) CN109792664B (ko)
TW (1) TWI749055B (ko)
WO (1) WO20180537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641A1 (ko) 2017-04-27 2018-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nr 인터워킹을 위하여 측정을 구성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EP3735031B1 (en) * 2018-01-10 2021-12-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Handover processing method, network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1901775B (zh) * 2020-08-14 2021-06-15 青海九零六工程勘察设计院 一种用于传输地下水采样检测信息的方法及系统
CN113543250A (zh) * 2021-06-11 2021-10-22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网络切换方法、系统、装置和存储介质
WO2024058977A1 (en) * 2022-09-13 2024-03-2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uning radio access technologies (rat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WO2024068495A1 (en) * 2022-09-29 2024-04-0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related to dual connectivity measurement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110B1 (ko) * 2003-03-08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상태에서의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
JP4821474B2 (ja) * 2006-07-19 2011-11-24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ハンドオーバ制御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ハンドオーバ方法
US8891489B2 (en) * 2007-03-19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mechanism that exploits uplink channel quality of a target cell
KR101190860B1 (ko) * 2008-12-18 2012-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링크 품질을 고려한 핸드오버 제어방법 및 시스템
EP2428068B9 (en) * 2009-05-08 2013-09-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upporting dtx
JP2012120111A (ja) * 2010-12-03 2012-06-21 Kyocera Corp 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3066237A1 (en) * 2011-11-04 2013-05-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network nodes for detecting short stay handover
US8885569B2 (en) * 2011-12-19 2014-11-11 Ofinno Technologies, Llc Beamforming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EP3220685B1 (en) * 2012-08-02 2020-05-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ase stations and methods for handling over a sub-set of bearers to enable multiple connectivity of a terminal towards several base stations
WO2014052412A2 (en) * 2012-09-26 2014-04-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operation in long-term evolution (lte) systems
US9635606B2 (en) 2012-11-04 2017-04-25 Kt Corporation Access point selection and management
US9066357B2 (en) * 2012-12-31 2015-06-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s based on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DK2946596T3 (en) * 2013-01-18 2017-05-15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Customizing a Mobile Network
EP2950587A4 (en) * 2013-01-25 2016-07-27 Fujitsu Ltd TRANSMISSION PROCEDURE BASED ON A UPLINK SIGNAL, METHOD FOR CONFIGURING A UPLINK SIGNAL, USER DEVICE AND BASE STATION
US9973980B2 (en) * 2013-03-06 2018-05-15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that facilitate handover decisions and related measurements
US9313698B2 (en) 2013-10-11 2016-04-1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GB2519975A (en) * 2013-11-01 2015-05-13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WO2015100533A1 (zh) 2013-12-30 2015-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测量方法、小区切换方法、相关装置及系统
US10306695B2 (en) * 2014-01-31 2019-05-28 Qualcomm Incorporated Procedures for managing secondary eNB (SeNB) radio link failure (S-RLF) in dual connectivity scenarios
CN103916919A (zh) * 2014-04-15 2014-07-0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测量定位的方法及装置
EP3210429A1 (en) * 2014-10-23 2017-08-3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racking area update enhancement in dual connectivity
US10743230B2 (en) * 2015-06-24 2020-08-11 Sony Corporation Node reselection determined by the network on received UE beacon signaling
CN105517080B (zh) * 2015-11-28 2019-02-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制式切换方法、装置以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792664B (zh) 2021-06-08
CN109792664A (zh) 2019-05-21
EP3515119A1 (en) 2019-07-24
WO2018053770A1 (zh) 2018-03-29
EP3515119B1 (en) 2020-11-04
TWI749055B (zh) 2021-12-11
US10917822B2 (en) 2021-02-09
EP3515119A4 (en) 2019-07-24
US20210160750A1 (en) 2021-05-27
US20200128458A1 (en) 2020-04-23
EP3764695A1 (en) 2021-01-13
TW201815186A (zh) 2018-04-16
JP2019534612A (ja) 2019-11-28
JP6838142B2 (ja) 2021-03-03
EP3764695B1 (en)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58901A1 (en) Channel measurement and measurement result reporting method and device
JP7048603B2 (ja) 測定方法、端末装置とネットワーク装置
KR20190053213A (ko)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EP2827634B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report measurement and reporting measurement result
KR102386570B1 (ko) 채널 측정 및 측정 결과 리포팅 방법 및 장치
WO2014094309A1 (zh) 最小化路测测量方法、用户设备和网络设备
CN114390611A (zh) 小区切换方法、终端、基站、装置和存储介质
CN112512132B (zh) 无线通信方法和设备
JP2019519985A (ja) セル・ハンドオーバー方法、基地局および制御ノード
US20230090309A1 (en) Methods of logging early measurement carrier status
CN110140397B (zh) 小区切换过程中的信息传输方法和装置
CN111417156B (zh) 一种配置记录小区重选信息的方法及设备
US11297566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00092769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WO2021160585A1 (en) Enhanced measurement report for conditional handover procedure
KR20180121583A (ko) 마이크로 기지국 기반 연결 동작 방법 및 단말기, 및 기지국
WO2018081972A1 (zh) 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JP2021078151A (ja) リンク管理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WO2015062066A1 (zh) 测量方法、基站和用户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