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002A - Filtering system for cleansing liquid - Google Patents

Filtering system for cleansing liqu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002A
KR20190053002A KR1020170148934A KR20170148934A KR20190053002A KR 20190053002 A KR20190053002 A KR 20190053002A KR 1020170148934 A KR1020170148934 A KR 1020170148934A KR 20170148934 A KR20170148934 A KR 20170148934A KR 20190053002 A KR20190053002 A KR 20190053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liquid
cleaning
space
collec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9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0832B1 (en
Inventor
이병석
전학도
조진철
사공헌
Original Assignee
(주)하나에프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에프엠케이 filed Critical (주)하나에프엠케이
Priority to KR1020170148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832B1/en
Publication of KR20190053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0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8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liquid filtering system comprising a tank, a suction pump, a bubble generating unit, and a scraper unit. The tank receives a cleaning contaminated liquid in an inner space, and cleans the same. The suction pump is installed in an inlet pip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ank, and applies the cleaning contaminated liquid to the inside of the tank through the inlet pipe. One end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ank. The other end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is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tank of an area adjacent to one side of the tank. The bubble generating unit is installed in a circulating pipe to circulate the cleaning contaminated liquid stored in the tank, and generates bubbles in the cleaning contaminated liquid. The scraper unit is installed in an upper part of the tank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cleaning contaminated liquid which is floated by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bubble generat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protect the environment, reduce equipment management operating costs, and thoroughly manage the cleaning contaminated liquid by effectively filtering the cleaning contaminated liquid, thereby improving cleaning quality of a cleaning liquid.

Description

세정액 정화 시스템{FILTERING SYSTEM FOR CLEANSING LIQUID}[0001] FILTERING SYSTEM FOR CLEANSING LIQUID [0002]

본 발명은 세정액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세정 오염액의 효과적인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고 설비 관리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는 세정액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liquid clea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ing liquid cleaning system that enables effective filtering of a cleaning liquid to protect environment and reduce facility management and operation costs.

일반적으로 세정기는 피세정물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 및 오염물 등을 최대한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Generally, the main purpose of the scrubber is to remove as much as possible foreign substances and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object to be cleaned as completely as possible.

이러한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세정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를 위해서 세정원액을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이 완료된 세정원액에는 사용 환경 및 방식에 따라 일정량의 미세 이물질과 기름 성분 등이 혼합되어 세정원액이 오염된다. In order to satisfy such a purpose, it is effective to improve the cleaning power. For this purpose, the washing stock solution is used. In the used washing solution, a certain amount of fine foreign matters and oil components are mixed according to the usage environment and the method, .

세정기에 투입되어 사용된 세정원액은 일정 수준의 필터링 장치를 거치면서 정재되어 재사용이 이루어지게 되지만, 반복적인 세정원액의 사용으로 인하여 세정원액의 오염 수준이 높아지게 되어 그 후에는 피세정물에 대한 세정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 washing liquid used in the washing machine is used and is reused after passing through a certain level of filtering device. However, the use of the washing liquid repeatedly increases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washing liquid, Is remarkably deteriorated.

따라서, 피세정물을 세정하는데 사용된 세정액의 세정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면서 효과적으로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환경을 보호하고 설비 관리 운영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세정 오염액을 철저히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lean the cleaning liquid used for cleaning the object to be cleaned while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cleaning liquid, thereby protecting the environment, reducing facility management and operating costs, and thoroughly managing the cleaning liquid. It is necessar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세정 오염액을 효과적인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고 설비 관리 운영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세정 오염액을 철저히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정액의 청정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정액 정화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ectively cleaning cleaned polluted liqui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ing liquid purification system capable of improving quality.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세정 오염액이 내부공간로 유입되어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일측과 연결되는 유입관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 오염액이 상기 유입관을 통하여 상기 탱크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펌프와; 상기 탱크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과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탱크의 일측과 근접한 영역의 상기 탱크 하면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탱크에 수용된 상기 세정 오염액이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 오염액 상에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기포발생부와; 상기 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포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기포에 의하여 부상된 상기 세정 오염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래퍼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정화 시스템을 제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tank for allowing a cleaning contaminant to flow into an interior space for cleaning; A suction pump installed at an inlet pip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ank to allow the cleaned contaminated liquid to flow into the tank through the inlet pipe; The other end of the tank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ank opposite to the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ank in the vicinity of one side of the tank so that the washing liquid contained in the tank is circulated, A bubbl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bubbles on the contaminated liquid; A scraper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ank to remov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cleaning contaminant floated by bubbles generated in the bubble generator; And a cleaning liquid cleaning system.

여기서, 상기 탱크의 내부에는 상기 탱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탱크 내부공간의 하부와 상부가 교번적으로 절개된 복수의 격벽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which are alternately cut in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pace of the tank, may be disposed in the tank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nk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리고, 상기 탱크 내부공간의 상기 타측에는 정화가 이루어진 세정액이 집수되는 정재액 수집공간을 형성하며, 상단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정재액 수집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하는 제1분리판이 설치될 수 있다. A first separation plate may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tank inner space to form a collection liquid for collecting purified cleaning liquid, and a part of the upper end may be cut to communicate the liquid collection space and the inner space. have.

또한, 상기 정재액 수집공간의 상부 일측은 정재액을 외부로 토출하는 제1토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정재액 수집공간의 하부 일측은 폐유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2토출관이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stationary liquid to the outsid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stationary liquid collecting space, and a second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waste oil to the outside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tationary liquid collecting space.

아울러, 상기 세정 오염액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기 기포발생부 전방의 상기 순환관 상에는 상기 세정 오염액이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irculation pump may be installed on the circulation pipe in front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leaning contaminant to circulate the cleaning contaminant.

그리고, 상기 스크래퍼부는 상기 탱크의 상부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축이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탱크의 상부 가장자리 타측에 설치되는 스프라켓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스프라켓에 체결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복수의 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이물질을 걷어내는 스크래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craper portion includes a drive mot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upper edge of the tank and rotating the rotary shaft, a sprocket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dge of the tank, a chain fasten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the sprocket, And a scraper member install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of the chain and scraping off the foreign substances while moving along the chain.

또한, 상기 탱크의 일측에는 상기 탱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정 오염액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레벨링부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level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leaning contaminant introduced into the tank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ank.

아울러, 상기 레벨링부는 일단이 상기 탱크 내부공간의 일정 높이에 배치되고,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탱크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세정 오염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레벨링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eveling unit may include a leveling pipe having one e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inner space of the tank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ed and the other end disposed outside the tank to discharge the cleaned contaminated liqui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정재액 수집공간의 일측에는 상기 정재액 수집공간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별도의 거품제거부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oam collecting space may be provided with a foam removing unit for discharging the foam generated inside the static liquid collecting space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거품제거부는 상기 정재액 수집공간을 분할하여 거품 수집공간을 형성하는 제2분리판과, 상기 정재액 수집공간의 상부에서 상기 거품 수집공간의 중앙 영역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슈트와, 일단이 상기 거품 수집공간의 일정 높이에 배치되고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거품 수집공간의 외부에 배치되어 거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거품제거 파이프와, 상기 거품제거 파이프의 타단 하부에 배치되어 거품 및 폐유를 수용하는 수용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foam remov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separator for dividing the static liquid collecting space to form a foam collecting space, a slanting chut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atic liquid collecting space and inclined downward toward a central region of the foam collecting space, A foam removing pipe having one e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foam collecting space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the other end disposed outside the foam collecting space to discharge the foam to the outside; Bubbles, and waste oil.

본 발명은 세정 오염액을 효과적인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고 설비 관리 운영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세정 오염액을 철저히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정액의 청정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lean quality of the cleaning liquid by enabling the effective cleaning of the cleaning polluted liquid, protecting the environment, reducing facility management and operation costs, and thoroughly managing the cleaning liqui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액 정화 시스템의 전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액 정화 시스템의 배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재액 수집공간 및 거품제거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세정액 정화 시스템을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세정액 정화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간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1의 세정액 정화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간 회로 연결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ront surface of a cleaning liquid purify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rear surface of the cleaning liquid purify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foam collecting space and the foam removing unit of FIG. 2,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leaning solution cleaning system of FIG. 1 viewed from the side,
FIG. 5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cleaning solution cleaning system of FIG. 1,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cleaning liquid purification system of FI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액 정화 시스템의 전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액 정화 시스템의 배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재액 수집공간 및 거품제거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세정액 정화 시스템을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세정액 정화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간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1의 세정액 정화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간 회로 연결 구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rear surface of a cleaning liquid purify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liquid purify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leaning liquid cleaning system of FIG. 1 viewed from the side, FIG. 5 is a side view of the cleaning liquid cleaning system of FIG. 1, FIG.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cleaning solution cleaning system of FIG. 1;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among components of the cleaning system; FIG.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정액 정화 시스템은, 세정 오염액이 내부공간로 유입되어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탱크(100)와; 상기 탱크(100)의 일측과 연결되는 유입관(110)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 오염액이 상기 유입관(110)을 통하여 상기 탱크(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펌프(200)와; 상기 탱크(10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과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탱크(100)의 일측과 근접한 영역의 상기 탱크(100) 하면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탱크(100)에 수용된 상기 세정 오염액이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관(12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 오염액 상에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기포발생부(300)와; 상기 탱크(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포발생부(300)에서 발생되는 기포에 의하여 부상된 상기 세정 오염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래퍼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cleaning solution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nk 100 for allowing cleaning contaminants to flow into the interior space to perform cleaning; A suction pump 200 installed at an inlet pipe 11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ank 100 and allowing the cleaned contaminated liquid to flow into the tank 100 through the inlet pipe 110; The other end of the tank 100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tank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tank 100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ank 100 in the vicinity of one side of the tank 100, A bubble generator 300 installed on the circulation pipe 120 for circulating the polluted liquid to generate bubbles on the polluted liquid; A scraper 400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ank 10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leaning contaminant floated by bubbles generated in the bubble generator 300; .

탱크(100)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세정 대상이 되는 세정 오염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탱크(100)는 장방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면을 스크래프부(400)에 의하여 제거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되어 있다. The tank 100 has a constant internal space to accommodate the cleaning contaminant to be cleaned in the internal space. The tank 100 is formed so as to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is formed with an opening at its upper surface so as to discharge the foreign matter removed by the scrape part 400 to the outside.

유입관(110)은 탱크(100)의 측면 일측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탱크(100)의 내부공간으로 세정 오염물을 유입시키는 통로가 되는데, 이러한 유입관(110) 상에는 세정 오염물을 탱크(10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흡입펌프(200)가 마련되어 있다. The inlet pipe 11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ide of the tank 100 and serves as a passage for introducing clean contaminants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tank 100. On the inlet pipe 110, And a suction pump 200 is provided to allow the refrigerant to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compressor.

탱크(100)와 유입관(110)이 연결되는 위치는 탱크(100) 측면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탱크(10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세정 오염물은 탱크(100)의 저부면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차오르도록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The position where the tank 100 is connected to the inflow pipe 11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tank 100 so that the cleaning contaminant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ank 100 gradually flow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100 It is effective to flow in order to ascend.

이는 탱크(100)의 내부로 세정 오염액을 유입시키면서 세정액 정화 시스템을 구동시에 기포발생부(300)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탱크(100)의 저부면 일측을 통하여 유입되므로 기포에 의하여 세정 오염액이 탱크(100)의 내부로 투입되면서 바로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is because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bubble generator 300 flow through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100 while the cleaning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tank 100 while the cleaning liquid purifying system is operated, So that cleaning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being introduced into the tank 100.

탱크(100)의 내부에는 탱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탱크(100) 내부공간의 하부와 상부가 교번적으로 절개된 복수의 격벽(130)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30 alternately cut in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pace of the tank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nk 100 may be disposed in the tank 1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즉, 탱크(100)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격벽(130) 중에서 첫 번째 격벽(130)은 하부가 절개되고, 이웃하는 두 번째 격벽(130)은 상부가 절개되고, 다시 세 번째 격벽은 하부가 절개됨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배치되어 있다. That is, among the plurality of barrier ribs 130 sequentially disposed from one side of the tank 100 to the other side, the first barrier ribs 130 are cut down, the neighboring second barrier ribs 130 are cut upward, And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partition is sequentially disposed repeatedly.

격벽(130)의 하부와 상부가 교번적으로 절개됨으로써 유입관(110)을 통하여 탱크(10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세정 오염액이 탱크(100)의 내부공간에서 상, 하부를 따라 유동하기 때문에 유입관(110)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며 격벽(130)에 의하여 분할된 공간은 오염 정도가 심하지만, 유입관(110)과 먼 위치에 배치되며 격벽(130)에 의하여 분할된 공간은 세정이 완료된 세정액이 모이게 되어 상대적으로 오염 정도가 낮기 때문에 이로부터 정재액을 배출시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30 are alternately cut so that the cleaning contaminant liquid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ank 100 through the inlet pipe 110 flows alo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 the inner space of the tank 100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130 is disposed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inflow pipe 110 while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130 is cleaned The completed cleaning liquid collects, an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s relatively low.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liquid to be reused.

그리고, 탱크(100) 내부공간의 상기 타측에는 정화가 이루어진 세정액이 집수되는 정재액 수집공간(140)을 형성하며, 상단 일부가 절개되어 정재액 수집공간(140)과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하는 제1분리판(1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liquid collection space 140 for collecting cleaned cleaning liqui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tank 100. The liquid collection space 140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upper end to connect the liquid collection space 140 and the inner space. 1 separator plate 150 is preferably installed.

제1분리판(150)은 탱크(100) 내부공간의 타측에 정재액 수집공간(140)이 마련되도록 하기 위하여 탱크(100)의 내부공간의 타측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판상으로 형성되어 정재액 수집공간(140)과 정재액 수집공간(140)을 제외한 탱크(100)의 나머지 공간을 분할함으로써 세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정재액 수집공간(140) 측으로 유입된 세정 오염액이 세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의 세정 오염액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separator plate 150 is a membe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tank 100 in order to provide a reservoir solution collection space 140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tank 100, The remaining part of the tank 100 excluding the collecting space 140 and the stationary liquid collecting space 140 is divided so that the cleaning liquid flowing into the stationary liquid collecting space 140 side in the cleaned state is not completely cleaned And to prevent it from mixing with the cleaning contaminant.

세정이 완료된 세정 오염액이 세정이 완료되지 않은 세정 오염액과 혼합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정재액 수집공간(140)을 형성하는 제1분리판(150)의 높이는 격벽(130)보다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ight of the first separator 150 forming the stationary solution collecting space 140 is set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partition 130 so as to prevent the cleansed contaminated solution that has been cleaned from mixing with the cleansing contamination solution that has not been cleaned desirable.

이러한 정재액 수집공간(140)의 일측은 정재액을 외부로 토출하는 제1토출관(160)이 연결되고, 정재액 수집공간(140)의 하부 일측은 폐유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2토출관(170)이 연결되어 있다. One side of the static liquid collection space 140 is connected to a first discharge pipe 160 for discharging the stationary liquid to the outside and a lower discharge pipe 160 for discharging the waste oil to the outside. (Not shown).

정재액 수집공간(140)은 순환관(120)의 출구와 원거리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순환관(120) 상에 구비된 기포발생부(300)에서 발생되는 기포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정재액 수집공간(140)으로 집수된 세정 오염액의 상부에는 세정이 완료된 정재액이 존재하게 되고, 하부에는 정재액에 미세하게 잔존하는 오염물이 가라앉은 상태가 된다. Since the stationary liquid collection space 140 is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outlet of the circulation pipe 120, the stationary liquid collection space 140 is not affected by bubbles generated in the bubble generator 300 provided on the circulation pipe 120, The cleaned liquid that has been cleaned is present on the cleaned contaminated liquid collected by the cleaner 140, and the contaminated material that finely remains in the cleaned liquid is settled in the bottom.

따라서, 정재액 수집공간(140)의 일측과 연결된 제1토출관(160)을 통하여 정재액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세정이 완료된 정재액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정재액 수집공간(140)의 하부 일측과 연결된 제2토출관(170)을 통해서는 오염물이 가라앉아 있는 상태의 폐유를 외부로 배출하여 별도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세정 오염액의 오염 정도를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use the cleaned liquid by allowing the liqui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ipe 16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iquid collecting space 140 so that the cleaned liquid can be reused, The waste oil in a state in which the pollutant is in a submerged stat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ipe 170 connected to the second discharge pipe 170. Thus,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entire cleaning pollutant can be reduced.

정재액 수집공간(140)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토출관(160)의 단부는 정재액 수집공간(140) 내부의 일정 높이를 갖도록 배치됨으로써 정재액이 정재액 수집공간(140)에서 일정 높이로 수용된 후에 그 이상이 유입되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정재액의 높이를 일정 정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pipe 16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tatic liquid collecting space 140 is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static liquid collecting space 140 so that the static liquid is collected in the static liquid collecting space 140 at a constant height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stationary liquid be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by discharging the liquid to the outside.

탱크(100)의 내부에 수용된 세정 오염물은 순환관(120)을 통하여 탱크(100)의 일측으로 유입된 후에 탱크(100)의 타측을 통하여 배출된 후에 다시 순환관(120)을 통하여 탱크(100)의 일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점진적으로 오염도를 낮추어 정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clean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tank 100 are introduced into one side of the tank 100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120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tank 100 and then transferred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120 to the tank 100 ) So that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s gradually reduced to achieve the quality of the finished product.

흡입펌프(200)는 유입관(110) 상에 배치되어 탱크(100)의 외부에 존재하는 세정 대상이 되는 세정 오염액을 탱크(10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suction pump 200 is disposed on the inflow pipe 110 and serves to introduce the cleaning contaminant to the inside of the tank 100,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tank 100, to be cleaned.

기포발생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순환관(120) 상에 배치되어 탱크(10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세정 오염액이 유입되도록 하여 탱크(100)의 내부공간에 세정 대상이 되는 세정 오염액이 순환시에 기포가 함께 상기 탱크(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세정 오염액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부상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bubble generator 300 is disposed on the circulation pipe 120 to allow the cleaning contaminant to flow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tank 100, When the polluted liquid circulates, air bubbles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tank 100 so tha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leaning polluted liquid float up.

그리고, 세정 오염액의 유동 방향을 따라 기포발생부(300) 전방의 순환관(120) 상에는 상기 세정 오염액이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펌프(500)가 설치됨으로써 신속하게 세정 오염액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The circulating pump 500 is disposed on the circulation pipe 120 in front of the bubble generator 300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washing contaminant to circulate the washing contaminant so that the washing liquid can be quickly circulated effective.

한편, 스크래퍼부(400)는 탱크(100)의 상부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축이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410)와, 탱크(400)의 상부 가장자리 타측에 설치되는 스프라켓(420)과, 구동모터(410)의 회전축과 스프라켓(420)에 체결되는 체인(430)과, 체인(430)의 복수의 개소에 설치되어 체인(43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이물질을 걷어내는 스크래퍼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The scraper portion 400 includes a driving motor 41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upper edge of the tank 100 to rotate the rotary shaft, a sprocket 420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dge of the tank 400, A scraper member 440 install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of the chain 430 and moving along the movement of the chain 430 to remove the foreign material, .

구동모터(410)는 체인(430)이 회전 구동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탱크(100)의 상부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모터(410)의 회전축이 회전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체인(430)을 회전시키게 된다. The drive motor 41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edge of the tank 100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410 when the power is supplied Thereby rotating the chain 430.

스프라켓(420)은 구동모터(410)의 회전축과 대향되는 탱크(100)의 상부 가장자리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410)의 회전축과 스프라켓(420) 사이에 체인(430)이 설치되도록 한다.The sprocket 42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dge of the tank 100 facing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motor 410 so that the chain 430 is installed between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motor 410 and the sprocket 420 do.

체인(4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410)의 회전축과 스프라켓(420) 사이에 체결되어 회전구동하는 부재로서 일정한 장력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체인(430)의 중앙 영역에서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hain 430 is rotated and driven between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410 and the sprocket 420 to apply a predetermined tension so that sagging does not occur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chain 430 Is effective.

스크래퍼부재(440)는 체인(430)의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기포에 의하여 세정 오염액의 상측으로 부상하는 이물질이나 오염물을 물리적으로 걷어내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세정 오염액을 정재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scraper member 440 is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of the chain 430 to physically remove foreign matter or contaminants floating upward from the cleaned and contaminating liquid by bubbles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

이러한 스크래퍼부재(440)는 체인(430)의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스프래퍼부재(440)가 세정 오염액의 상면을 완전히 지나간 후에 다른 스크래퍼부재(440)가 후속으로 다시 세정 오염액의 상면을 지나가면서 이물질이나 오염물을 걷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scraper member 440 is disposed at mutually opposed positions of the chain 430 so that after one of the spraper members 440 completely passes over the top surface of the cleaning contaminant liquid, the other scraper member 440 is subsequently cleaned again It is preferable that foreign substances or contaminants can be removed while passing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그리고, 스크래퍼부재(440)는 뜰채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의 사이에 그물과 같은 다공성 재질의 부재가 설치된 구성을 갖도록 하여 세정 오염액의 상부로 부상되는 이물질이나 오염물만 걷어내며, 세정액은 상기 다송성 재질의 부재에 의하여 스크래퍼부재(440)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세정 오염액의 전체적인 양은 감소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The scraper member 440 has a structure in which a member made of a porous material such as a net is provided between frame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flowerpot so that only foreign matter or contaminants floating on the top of the cleaning contaminant liquid are removed, It is effective that the overall amount of the cleaning contaminant solution is not reduced so as to be able to escape from the scraper member 440 by the absence of the transmission material.

레벨링부(600)는 탱크(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탱크(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정 오염액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The leveling unit 60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ank 100 to control the height of the cleaning contaminant introduced into the tank 100.

이러한 레벨링부(600)는 일단이 탱크(100) 내부공간의 일정 높이에 배치되고,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타단이 탱크(1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세정 오염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레벨링 파이프(610)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eveling unit 600 includes a leveling pipe 600 having one e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inner space of the tank 100 and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tank 100 to discharge the cleaned contaminated liquid to the outside 610).

탱크(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레벨링 파이프(610)의 일단이 일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됨으로써 레벨링 파이프(610)의 높이보다 유입된 세정 오염액의 수위가 높을 경우에는 세정 오염액이 레벨링 파이프(610)의 일단으로 유입되어 타단을 통하여 탱크(100)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탱크(100) 내부로 유입된 세정 오염액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leveling pipe 610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tank 100 is installed to have a certain height so that when the level of the cleaning contaminant introduced into the leveling pipe 610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leveling pipe 610, 61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ank 100 through the other end so that the level of the cleaning contaminant introduced into the tank 100 can be maintained constant.

거품제거부(700)는 정재액 수집공간(140)의 일측에는 정재액 수집공간(14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The foam removing unit 700 serves to discharge bubbles generated inside the static-liquid collecting space 140 to the outside on one side of the static-liquid collecting space 140.

거품제거부(700)가 정재액 수집공간(140)의 일측에 구비됨으로써 정재액의 상측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거품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이나 오염물이 정재액과 혼합됨을 방지하여 더욱 청정한 정재액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foam removing unit 70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tatic liquid collecting space 140 to remove bubbles gener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tatic liquid so as to prevent the foreign substances or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foam from being mixed with the static liquid, It is possible to obtain a clean liquid.

이러한 거품제거부(700)는 정재액 수집공간(140)을 분할하여 거품 수집공간(180)을 형성하는 제2분리판(710)과, 정재액 수집공간(140)의 상부에서 거품 수집공간(180)의 중앙 영역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슈트(720)와, 일단이 거품 수집공간(180)의 일정 높이에 배치되고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타단이 거품 수집공간(180)의 외부에 배치되어 거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거품제거 파이프(730)와, 거품제거 파이프(730)의 타단 하부에 배치되어 거품 및 폐유를 수용하는 수용함(7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The foam removing unit 700 includes a second separating plate 710 for dividing the still liquid collecting space 140 to form a foam collecting space 180 and a second collecting plate 710 for collecting the foam collecting space 180), and an inclined chute (720) having one end disposed at a certain height of the foam collecting space (180) and extending a certain length so that the other end is disposed outside the bubble collecting space (180) A foam removing pipe 730 for discharging the foam to the outside and a receiving box 740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foam removing pipe 730 for receiving foam and waste oil.

제2분리판(710)은 정재액 수집공간(140)의 중앙 영역에 직립되게 배치되어 정재액 수집공간(140)을 분할함으로써 거품 수집공간(180)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그 높이는 제1분리판(150) 보다는 낮게 형성되어 정재액 수집공간(140)과 거품 수집공간(180)이 연결되도록 한다. The second separating plate 710 is a member that is disposed upright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static liquid collecting space 140 to form the foam collecting space 180 by dividing the static liquid collecting space 140, (150) so that the static liquid collecting space (140) and the foam collecting space (18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경사슈트(720)는 판재를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하여 상부가 개방되도록 한 부재로서 정재액 수집공간(140)에서 거품 수집공간(180)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정재액 수집공간(140)의 상부에서 발생되는 거품이 경사슈트(720)를 통하여 거품 수집공간(18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lanting chute 720 is formed by bending the plate material in a 'C' shape so that the upper part thereof is opened. The slanting chute 720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oam collecting space 180 in the stationary liquid collecting space 140, To the foam collecting space 180 through the inclined chute 720. The bubble collecting space 180 is formed by the bubble collecting space 180,

거품제거 파이프(730)의 일단은 거품 수집공간(180)의 내부에 일정 높이에 배치됨으로써 거품 수집공간(180)의 상측으로 수집된 거품과 폐유액을 수용함(740) 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One end of the foam removing pipe 73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side the foam collecting space 180 so that the foam collected at the upper side of the foam collecting space 180 and the waste fluid can be discharged to the housing 740 side It plays a role.

수용함(740)은 장방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상면이 개구 형성되어 거품제거 파이프(7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거품과 폐유액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receptacle 74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has an upper surface opened to allow bubbles and waste flui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oam removing pipe 730 to be received therei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액 정화 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solution purify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우선, 작업자는 유입관(110)의 단부를 세정 오염액의 내부로 투입한 후에 흡입펌프(200)를 동작시켜 세정 대상이 되는 세정 오염액이 탱크(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First, the operator inserts the end of the inflow pipe 110 into the inside of the cleaning contaminant, then operates the suction pump 200 to allow the cleaning contaminant to be cleaned to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tank 100.

탱크(100)의 내부로 유입된 세정 오염액이 스크래퍼부(400)의 하측까지 차오르면 작업자는 순환펌프(500)와 기포발생부(300) 및 스크래퍼부(400)를 동작시키게 된다. The operator moves the circulation pump 500, the bubble generating unit 300 and the scraper unit 400 when the cleaned contaminant liquid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tank 100 reaches the lower side of the scraper unit 400.

순환펌프(500)와 기포발생부(300)에 의하여 탱크(100) 내부에 충전된 세정 오염액은 순환하면서 기포가 탱크(100)의 일측 하부를 통하여 세정 오염액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세정 오염액에 포함된 오염물이나 이물질이 부상하도록 한다. The cleaning contaminant solution filled in the tank 100 by the circulation pump 500 and the bubble generator 300 circulates and allows the bubbles to flow into the cleaning contaminant solution side through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tank 100, So that contamination o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ter can be floated.

그와 동시에, 스크래퍼부(400)의 동작에 의하여 스크래퍼부재(440)가 세정 오염액의 상부로 부상한 오염물이나 이물질을 외부로 걷어냄으로써 세정 오염액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e scraper member 440 can remove contaminants or foreign substances that have floated above the cleaned contaminant liquid by the operation of the scraper unit 400, thereby cleaning the cleaning contaminant.

그리고, 세정 오염액은 순환펌프(500)에 의하여 탱크(100)의 내부를 순환시에 탱크(10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격벽(130)에 의하여 상, 하 방향을 따라 유동하게 되면서 스크래퍼부재(440)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세정이 이루어진 후에 탱크(100) 내부공간의 타측에 마련된 정재액 수집공간(140)으로 유입된다.  When the circulating pump 500 circulates the cleaned contaminated liquid through the inside of the tank 100, the polluted liquid flows along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by the plurality of partitions 130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tank 100, And then flows into the still liquid collecting space 140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tank 100 after being continuously cleaned by the member 440.

정재액 수집공간(140)으로 유입된 세정 오염액 중에서 세정이 완료된 정재액은 제1토출관(16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cleaned liquid, which has been cleaned in the cleaning liquid flowing into the liquid collection space 1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first discharge pipe 160 so as to be reusable.

그리고, 정재액이 정재액 수집공간(140)으로 유입되면서 발생되는 거품에는 이물질이나 오염액이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거품은 거품 제거부(700)의 경사슈트(720)를 통하여 거품 수집공간(180)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The bubbles generated when the stationary solution flows into the stationary solution collecting space 140 includ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and polluted liquid. The bubbles are collected in the foam collecting space 140 through the inclined shoot 720 of the foam removing unit 700, (Not shown).

거품 수집공간(180)으로 유입된 거품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폐유액으로 변환되어 거품 수집공간(180)에 가라앉게 되며, 일정 높이 이상으로 폐유액이 수집되면 작업자는 거품제거 파이프(730)를 개방시켜 폐유액과 거품이 수용함(740)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별도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The bubbles flowing into the bubble collecting space 180 are converted into the waste fluid over time and settled in the bubble collecting space 180. When the waste fluid is collec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r higher, the operator opens the bubble removing pipe 730 So that the waste oil and foam are discharged to the accommodation box 740 side so that they can be treated separately.

그리고, 그와 동시에 새로운 세정 오염물이 흡입펌프(200)의 동작에 의하여 탱크(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세정 오염물이 탱크(100)의 내부에 충진된 높이는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세정 오염물에 대한 지속적인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At the same time, new cleaning contaminants ar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tank 100 by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pump 200, so that the height of the interior of the tank 100 filled with the cleaning contaminants is kept the same, Ensure continuous cleaning.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액 정화 시스템은 세정 오염액을 효과적인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고 설비 관리 운영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세정 오염액을 철저히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정액의 청정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cleaning liquid purify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effectively filter the cleaning liquid so as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reduce facility management and operation costs and thoroughly manage the cleaning liquid, The clean quality can be improved.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탱크 110 : 유입관
120 : 순환관 130 : 격벽
140 : 정재액 수집공간 150 : 제1분리판
160 : 제1토출관 170 : 제2토출관
200 : 흡입펌프 300 : 기포발생부
400 : 스크래퍼부 410 : 구동모터
420 : 스프라켓 430 : 체인
440 : 스크래퍼부재 500 : 순환펌프
600 : 레벨링부 610 : 레벨링 파이프
700 : 거품제거부 710 : 제2분리판
720 : 경사슈트 730 : 거품제거 파이프
740 : 수용함
100: tank 110: inlet pipe
120: circulation tube 130: partition wall
140: Fixing solution collecting space 150: First partition plate
160: first discharge pipe 170: second discharge pipe
200: Suction pump 300: Bubble generator
400: scraper part 410: driving motor
420: Sprocket 430: Chain
440: scraper member 500: circulation pump
600: Leveling section 610: Leveling pipe
700: Foaming agent removal 710: Second separation plate
720: slant suit 730: bubble removal pipe
740: Acceptable

Claims (10)

세정 오염액이 내부공간로 유입되어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탱크(100)와;
상기 탱크(100)의 일측과 연결되는 유입관(110)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 오염액이 상기 유입관(110)을 통하여 상기 탱크(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펌프(200)와;
상기 탱크(10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과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탱크(100)의 일측과 근접한 영역의 상기 탱크(100) 하면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탱크(100)에 수용된 상기 세정 오염액이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관(12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 오염액 상에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기포발생부(300)와;
상기 탱크(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포발생부(300)에서 발생되는 기포에 의하여 부상된 상기 세정 오염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래퍼부(4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정화 시스템.
A tank 100 for allowing the cleaning contaminant to flow into the interior space for cleaning;
A suction pump 200 installed at an inlet pipe 11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ank 100 and allowing the cleaned contaminated liquid to flow into the tank 100 through the inlet pipe 110;
The other end of the tank 100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tank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tank 100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ank 100 in the vicinity of one side of the tank 100, A bubble generator 300 installed on the circulation pipe 120 for circulating the polluted liquid to generate bubbles on the polluted liquid;
A scraper 400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ank 10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leaning contaminant floated by bubbles generated in the bubble generator 300;
Wherein the cleaning liquid is a liqu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100)의 내부에는 상기 탱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탱크 내부공간의 하부와 상부가 교번적으로 절개된 복수의 격벽(130)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정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30), which are alternately cut in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pace of the tank, are arranged in the tank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nk (100) Purifica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100) 내부공간의 상기 타측에는 정화가 이루어진 세정액이 집수되는 정재액 수집공간(140)을 형성하며, 상단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정재액 수집공간(140)과 상기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하는 제1분리판(1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정화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tank 100 is provided with a stationary liquid collection space 140 for collecting the cleaned cleaning liquid, and a part of the upper end is cut off to communicate the stationary liquid collection space 140 and the inner space And a first separator plate (150) is install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재액 수집공간(140)의 상부 일측은 정재액을 외부로 토출하는 제1토출관(160)이 연결되고, 상기 정재액 수집공간(140)의 하부 일측은 폐유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2토출관(17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정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discharge pipe (160) for discharging the stationary liquid to the outsid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static liquid collecting space (140), and a lower one side of the static liquid collecting space (140) And a discharge pipe (17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17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오염액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기 기포발생부(300) 전방의 상기 순환관(120) 상에는 상기 세정 오염액이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펌프(5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정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irculation pump (500) is installed on the circulation pipe (120) in front of the bubble generator (300)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leaning polluting liquid to circulate the cleaning pollution liqu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부(400)는 상기 탱크(100)의 상부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축이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410)와, 상기 탱크(400)의 상부 가장자리 타측에 설치되는 스프라켓(420)과, 상기 구동모터(410)의 회전축과 상기 스프라켓(420)에 체결되는 체인(430)과, 상기 체인(430)의 복수의 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43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이물질을 걷어내는 스크래퍼부재(44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정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craper 400 includes a driving motor 41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upper edge of the tank 100 to rotate the rotary shaft, a sprocket 420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dge of the tank 400, A chain 430 fasten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410 and the sprocket 420 and a plurality of springs 420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chain 430 to move the chain 430, And a scraper member (4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100)의 일측에는 상기 탱크(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정 오염액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레벨링부(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정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eveling part (60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ank (10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leaning contaminant flowing into the tank (10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부(600)는 일단이 상기 탱크(100) 내부공간의 일정 높이에 배치되고,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탱크(1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세정 오염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레벨링 파이프(6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정화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eveling unit 600 includes a leveling unit 600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inner space of the tank 100 and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of the tank 100 to level- (610). ≪ / RTI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재액 수집공간(140)의 일측에는 상기 정재액 수집공간(14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별도의 거품제거부(7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정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nd a foam removing unit (700) for discharging the foam generated inside the static liquid collecting space (140) to the outsid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tatic liquid collecting space (140)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제거부(700)는 상기 정재액 수집공간(140)을 분할하여 거품 수집공간(180)을 형성하는 제2분리판(710)과, 상기 정재액 수집공간(140)의 상부에서 상기 거품 수집공간(180)의 중앙 영역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슈트(720)와, 일단이 상기 거품 수집공간(180)의 일정 높이에 배치되고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거품 수집공간(180)의 외부에 배치되어 거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거품제거 파이프(730)와, 상기 거품제거 파이프(730)의 타단 하부에 배치되어 거품 및 폐유를 수용하는 수용함(7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정화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oam removing unit 700 includes a second separator 710 that divides the static liquid collecting space 140 to form a foam collecting space 180, A bubble collecting space 180 having one e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bubble collecting space 180 and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and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ubble collecting space 180, A foam removing pipe 730 disposed outside the foam removing pipe 730 for discharging the foam to the outside and a receiving box 740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foam removing pipe 730 for receiving foam and waste oil. The cleaning liquid cleaning system.

KR1020170148934A 2017-11-09 2017-11-09 Filtering system for cleansing liquid KR1020708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934A KR102070832B1 (en) 2017-11-09 2017-11-09 Filtering system for cleansing liqu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934A KR102070832B1 (en) 2017-11-09 2017-11-09 Filtering system for cleansing liqu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002A true KR20190053002A (en) 2019-05-17
KR102070832B1 KR102070832B1 (en) 2020-04-01

Family

ID=66678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934A KR102070832B1 (en) 2017-11-09 2017-11-09 Filtering system for cleansing liqu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8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1922A (en) * 2021-03-02 2021-04-02 蓬莱市奥源机械有限公司 Oil-water separation device of hydraulic pres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283U (en) * 1998-07-29 1999-02-12 株式会社シイエヌケイ Coolant tank equipped with a mechanism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floating bubbles
KR200357891Y1 (en) * 2004-04-28 2004-07-30 주식회사 동화엔텍 Heat exchanger attached drain pipe for control of water level
KR20120092236A (en) * 2011-02-11 2012-08-21 삼오기계공업주식회사 A pressure float type polluted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microbubble unit and slanted plate sturcture
KR101576379B1 (en) * 2014-07-01 2015-12-10 김홍노 cleaning device of washing water for machine too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283B2 (en) * 1991-04-30 2000-06-26 三菱化学株式会社 Working electrode for coulometer type electrolytic ce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283U (en) * 1998-07-29 1999-02-12 株式会社シイエヌケイ Coolant tank equipped with a mechanism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floating bubbles
KR200357891Y1 (en) * 2004-04-28 2004-07-30 주식회사 동화엔텍 Heat exchanger attached drain pipe for control of water level
KR20120092236A (en) * 2011-02-11 2012-08-21 삼오기계공업주식회사 A pressure float type polluted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microbubble unit and slanted plate sturcture
KR101576379B1 (en) * 2014-07-01 2015-12-10 김홍노 cleaning device of washing water for machine to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1922A (en) * 2021-03-02 2021-04-02 蓬莱市奥源机械有限公司 Oil-water separation device of hydraulic press
CN112591922B (en) * 2021-03-02 2021-05-11 蓬莱市奥源机械有限公司 Oil-water separation device of hydraulic pr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832B1 (en) 202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60341A1 (en) Liquid Solid Separator
KR101879799B1 (en) Apparatus of automatic cleaning screen of sewerage treatment plant
JP5147662B2 (en) Oil / water separation and recovery equipment
KR101882803B1 (en) A chemical solution type deodorizing device having a salt and impurity removing function
KR101219286B1 (en) Water-saving type washing device for recycled plastic
KR102280912B1 (en) Apparatus for filtering polishing wastewater of lens and system for reducing the polishing wastewater
US5565101A (en) Oil and water separator
KR20180098865A (en) Purification Device For Washing Liquid Using Microorganisms
JP2011056487A (en) Cleaning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KR20190053002A (en) Filtering system for cleansing liquid
CN213760881U (en) Municipal administration sewage treatment device
JP3811887B2 (en) Cleaning processing equipment
JP2007203411A (en) Coolant cleaning device
KR102044977B1 (en) Air washer
JP4074927B2 (en) Cleaning processing equipment
JP2003220315A (en) Wet type dust collector
JP4065061B2 (en) Fresh tea leaf cleaning device
JP2005144230A (en) Filtration device
JP2016078224A (en) Cutting liquid purifying device
JP3650510B2 (en) Purification system
JP2004033983A (en) Screen for supplying washing water automatically
CN220443361U (en) Environmental sewage filtering device
CN109174803A (en) The reuse of abandoned car components and waste oil recovery system
KR102232332B1 (en) stormwater filtering system with backwashing facility
RU2060955C1 (en) Apparatus for industrial sewage pur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