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778A - Tdsa가 포함된 자외선 차단 분산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Tdsa가 포함된 자외선 차단 분산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778A
KR20190052778A KR1020170148479A KR20170148479A KR20190052778A KR 20190052778 A KR20190052778 A KR 20190052778A KR 1020170148479 A KR1020170148479 A KR 1020170148479A KR 20170148479 A KR20170148479 A KR 20170148479A KR 20190052778 A KR20190052778 A KR 20190052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rsion
ultraviolet
cosmetic composition
blocking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주
정순규
김민태
강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미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미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미랜드
Priority to KR1020170148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2778A/ko
Publication of KR20190052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수에 초미립 이산화티탄(TiO2)을 균질하게 분산하고 여기에 자외선 유기 흡수제와 다가 알코올이 함유되고 염기물질로 중화시키고 bead mill로 2차 분쇄하여 이루어지는 자외선 차단용 분산물 및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TDSA가 포함된 자외선 차단 분산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A UV-shield Dispersion containing TDSA and UV-shiel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TDSA(Terephthalylidene Dicamphor Sulfonic Acid)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분산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제수에 분산질, 분산제, 자외선 유기 흡수제와 다가 알코올류를 첨가하여 자외선차단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로 개시되어 TDSA가 포함된 자외선 차단분산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C(200~280 nm), UVB(280~320 nm), UVA(320~400 nm)로 구분된다. UVC는 DNA결합을 파괴하고 피부암을 유발하지만 파장의 길이가 짧아 침투력이 미약하여 오존층과 성층권에서 대부분 흡수되며(Yasuo, I., The mechanism of oryzanol activity and consideration to applicating efficiency in cosmetic, J. Fragrance 45 : 92-97, 1980) UVB는 피부의 핵산, 단백질 등의 합성을 억제시키고 화상을 입히며 피부 홍반을 발생시킨다. 또 UVA는 UVB에 비해 에너지가 1/1000밖에 되지 못하나 지표에 도달하는 빛의 양은 UVB의 100배에 달하는 파장으로 피부 색소침착과 노화의 주범으로 알려져 있다(Sydney, H. D., Contact sensitization and photocontact sensitization of sunscreening agents. Physician's Guide to Sunscreens, 95-122, 1981).
최근 자외선을 보호하는 오존층이 얇아져 지표로 도달하는 자외선 지수가 높아짐과 동시에 소비자들의 피부미용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품이 소비자로 부터 인기를 얻고 있으며 그 시장규모는 연평균 5%의 성장율을 보이고 있다(2013년 화장품 산업분석보고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차단제에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열, 파동, 형광, 라디칼 등으로 에너지를 변환하여 피부를 방어해주는 자외선 유기 흡수제와 자외선을 산란하는 자외선 무기 차단제로 나누어진다. 자외선 유기 흡수제는 자외선 A 또는 자외선 B에 대한 흡수능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아직 검증되지 않은 원료로 피부의 홍반, 알러지를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외선 무기 차단제는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자외선 유기 흡수제에 비해 적으며 폭넓은 자외선 영역에 대한 차단능을 가지는 장점있다.
이러한 자외선 무기 차단제와 자외선 유기 흡수제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두 자외선 차단제를 모두 화장료에 첨가하는 것이 자외선 차단 기능성이 우수하며 썬크림같은 크림제형의 경우 상기 두 자외선 차단제의 복합첨가가 용이하여 현재 SPF50, PA+++ 썬크림 제품등이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파우더 화장품의 경우 보통 기본 원료인 탈크(Talc)나 세리사이트(Sericite)같은 무기분체에 상기 자외선 무기 차단제와 유기 흡수제를 코팅하여야 하지만 제형 특성상 무기분체와 차단제간의 결합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두 자외선 차단제를 파우더 화장품에 25% 이상 첨가시 파우더간 뭉침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썬크림과 달리 자외선 기능성이 우수한 SPF 50, PA+++ 파우더용 화장품을 개발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파우더 화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피부자극은 없고 자외선 차단기능이 극대화된 복합분체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도핑된 이산화티탄,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광촉매 및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사용한 정화방법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5543호에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주로 이산화티탄을 포함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도핑에 관한 것이다. 또 다층으로 캡슐화된 이산화티탄 및 실리카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4945호에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또는 산화세륨을 실리콘 오일로 코팅하는 것이다. 한편 이산화티탄의 유분산액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6343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실리콘계 오일에 이산화티탄/산화알루미늄 등을 코팅하고 지르코늄 비드(Bead)를 첨가하여 이산화티탄 유분산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어디에도 분산질로 100μm 미만 사이즈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인 이산화티탄을 정제수에 분산함에 있어서 폴리솔베이트, Oleth-10, Decyl Glucoside 중에서 선택되는 계면활성제를 분산제로 사용하여 분산액을 제조하여 얻은 분산액에 염기물질을 첨가하여 중화한 다음 비드밀을 사용해 분산하고 상안정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분산물을 얻고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는 개시되거나 암시 또는 교시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미립자 이산화티탄 입자의 침전이 없는 상안정도가 우수한 수분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 의해 제조된 자외선 차단 분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정제수에 분산질, 분산제, 자외선, 유기흡수제 및 다가 알코올류를 첨가하여 자외선 차단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a)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분산액에 염기물질을 첨가하여 분산액을 중화시키는 단계(b)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분산액을 비드밀(bead mill)로 2차 분쇄하여 분산질을 균일화하여 분산하는 단계(c)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분산액 중 초미립 분산질 이산화티탄입자의 침전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안정도가 우수한 수분산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산물을 평가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 자외선 차단 분산물은 초미립 이산화티탄 무기분체 입자에 자외선 유기흡수제를 계면활성제와 다가 알코올을 첨가하여 분산액을 제조, 중화시킨 후 분산시켜 우수한 상안정도가 확보되어 침전이 없을 뿐 아니라, 자외선 차단능력을 극대화하고 피부자극이 없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이를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시 기능 및 품질 측면에서 자외선 차단제의 효능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안정도가 우수한 자외선차단 분산물 제조공정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 자외선 차단기능성 수분산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분산물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단계 : 자외선 차단 분산액 제조공정
2 단계 : 자외선 차단 분산액의 중화공정
3 단계 : 분산단계
4 단계 : 상안정도 확보단계
실시예 1. 자외선 차단용 수분산액 제조
본 발명은 하기 표 1의 성분과 비율(중량%)에 따라 TDSA함유 자외선 차단기능성 분산물을 얻었다.
INCI Name 비율 ( 중량% )
H2O to 100
TiO2 30 ~ 40
Triethanolamine 1 ~ 10
Terephthalylidene Dicamphor Sulfonic Acid 10 ~ 20
Oleth 10 1 ~ 10
Polysorbate 60 1 ~ 10
Butylene Glycol 1 ~ 10
Decyl Glucoside 0 ~ 10
1,2-Hexanediol q.s
Ethylhexyl Glycerin q.s
Total 100
실시예 2. 자외선 차단기능성 분산물 제조
먼저 자외선 무기 차단제(상기 표 1참조) 평균입경 100μm미만 사이즈의 초미립 TiO2(U-fine Titanium Dioxide)를 정제수에 균일하게 분산하였다.
이때 Polysorbate 60, Oleth-10, Decyl Glucosid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 화합물을 분산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얻은 수분산액에 자외선 영역에 흡수능이 우수한 특히 UV-A영역에서 흡수능이 우수한 수용성 자외선 유기 흡수제 TDSA(Terephthalylidene Dicamphor Sulfonic Acid)를 첨가하고 방부성이 있는 다가 알코올 1,2-Hexanediol과 Ethylhexylglycerin 을 혼합하였다. 이때, 상기 분산액의 pH을 중성범위로 조절하기 위해 Triethanolamine 또는 Tromethamine을 첨가하고 bead mill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켜 최종 분산물을 얻었다.
본 발명은 피부자극이 없으면서도 자외선차단능력은 극대화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을 뿐아니라 TiO2의 침전이 없어 상안정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정제수에 분산질로 TiO2 , 분산제 및 자외선 유기흡수제에 다가 알코올을 첨가하고 자외선 차단용 분산액을 제조하는 (a)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분산액에 염기물질을 첨가하여 분산액을 중화시키는 단계(b)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분산액을 bead mill로 2차 분쇄하여 균질분산하는 단계(c)와;
    상기 단계에서 또는 분산액이 침전되지 않도록 수분산물을 얻는 단계(d)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자외선 차단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분산물.
  3. 제 2항의 분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48479A 2017-11-09 2017-11-09 Tdsa가 포함된 자외선 차단 분산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2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479A KR20190052778A (ko) 2017-11-09 2017-11-09 Tdsa가 포함된 자외선 차단 분산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479A KR20190052778A (ko) 2017-11-09 2017-11-09 Tdsa가 포함된 자외선 차단 분산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778A true KR20190052778A (ko) 2019-05-17

Family

ID=66678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479A KR20190052778A (ko) 2017-11-09 2017-11-09 Tdsa가 포함된 자외선 차단 분산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27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82923C (en) Topical sunscreen comprising metal oxide and polylactic acid,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 thereof
KR101996254B1 (ko) 무기 분체에 자외선 무기 차단제와 자외선 유기 흡수제 bmdbm가 이중코팅된 자외선 차단기능성 복합분체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27527B1 (ko)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의 수분산액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0675229B2 (en) UV-protective compositions and their use
JP6944717B2 (ja) 紫外線防御組成物
RU2690181C2 (ru) Солнцезащи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в порошкообразной форме
KR100968715B1 (ko)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지 않은 자외선 차단용화장료 조성물
KR20200077509A (ko) 항산화 특성을 갖는 화장용 조성물
KR101049238B1 (ko) 자외선 차단 분백류 화장료 조성물
KR100758819B1 (ko) 고농도, 고분산의 자외선 차단 조성물
KR102047791B1 (ko) pH에 안정한 징크옥사이드 수분산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분산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2778A (ko) Tdsa가 포함된 자외선 차단 분산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3593A (ko) 자외선 차단용 복합분산액 및 그의 제조방법
AU2022343467A1 (en) Sunscreen composition and methods of protection from ultraviolet and visible light
KR20180034225A (ko) 나노물질 및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JP2019521956A (ja) Uv保護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KR20190063562A (ko) 자외선 유기 흡수제를 함유한 무기 자외선 차단 분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633795B1 (ko) 유해 광 차단용 유무기 융합 형태의 하이브리드 복합 조성물
KR102156750B1 (ko) 목분을 포함하는 자외선 산란 또는 반사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4760A (ko) 고기능성 천연 자외선 차단크림 조성물
KR101289431B1 (ko) 캠페리트린을 함유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879215B1 (ko) 무기물 자외선 차단제
CN117959212A (zh) 一种物理防晒霜及其制备方法
KR20110108590A (ko) 무기계 자외선을 함유하지 않은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